KR20220145472A -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472A
KR20220145472A KR1020210052043A KR20210052043A KR20220145472A KR 20220145472 A KR20220145472 A KR 20220145472A KR 1020210052043 A KR1020210052043 A KR 1020210052043A KR 20210052043 A KR20210052043 A KR 20210052043A KR 20220145472 A KR20220145472 A KR 2022014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dvertisement
video
information
advertiser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077B1 (ko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0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6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6Advertisement cre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8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estimating age from face image; using age information for improving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광고 송출 위치와 시간정보를 비롯하여 영상광고 송출자가 원하는 영상광고수입 금액정보, 및 영상광고가 송출되는 장소의 업종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 송출장치와,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송출 위치와 시간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지불 금액정보, 및 영상광고 송출을 원하는 장소의 업종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과,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과 영상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서로 매칭시킨 영상광고 중계를 위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전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영상광고 중계서버를 포함함으로써,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최적의 광고 효과를 원하는 고객에게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광고 수익을 효과적으로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IMAGE ADVERTISING INTERMEDI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최적의 광고 효과를 원하는 고객에게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주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알리는 광고 행위는 간판 등의 유형 광고 매체에서 나아가, 신문, 텔레비전 방송 및 인터넷 웹 페이지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다.
이렇게 기존에 이용하지 않은 다양한 광고 매체를 통하여 광고가 가능하더라도 해당 매체가 광고 집행에 일반적이지 않은 경우에는 광고주와 광고 매체 관련자의 광고 관련 비지니스 모델의 개발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즉, 광고주는 광고 매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광고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집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어려우며, 광고 매체 관련자 역시 광고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워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광고 매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결정하기 어렵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817042호(2018.01.10.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광고 송출자와 영상광고주 간에 영상광고 송출을 위한 요구 조건들을 서로 만족하도록 맞춤형 영상광고 계약을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최적의 광고 효과를 원하는 고객에게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광고 수익을 효과적으로 창출할 수 있도록 한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광고 송출 위치와 시간정보를 비롯하여 영상광고 송출자가 원하는 영상광고수입 금액정보, 및 영상광고가 송출되는 장소의 업종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 송출장치;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송출 위치와 시간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지불 금액정보, 및 영상광고 송출을 원하는 장소의 업종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 및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과 영상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서로 매칭시킨 영상광고 중계를 위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전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영상광고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상기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에 영상광고가 송출되는 장소에 드나드는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하여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주 단말은, 해당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시청의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하여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과 영상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서로 매칭시킨 영상광고 중계를 위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전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별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각 영상광고주별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 또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에 대한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전송받을 경우,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에 대한 영상광고 계약동의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와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해당 영상광고 계약동의서에 대한 수락 응답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이 성사될 경우,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을 통해 해당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파일을 업로드(Upload)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과 함께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부터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과 함께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진행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진행상황 정보 및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비용 정산일에 영상광고수입 및 영상광고지불 금액을 각각 정산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와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해당 영상광고 계약동의서에 대한 수락 응답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이 성사될 경우, 해당 영상광고 송출자와 해당 영상광고주로부터 기 설정된 영상광고 중계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며,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 및 사람의 성별 및 연령별로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1 영상광고 D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의 영상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람의 성별 및 연령을 판별한 후, 상기 제1 영상광고 DB에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들 중 상기 판별된 사람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되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사람의 성별 및 연령별로 등록된 영상광고 파일들과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광고 DB에 각 영상광고주별로 사람의 성별 및 연령별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과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 간에 영상광고 계약 성사 시 각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영상광고 DB에서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주 단말을 통해 등록된 영상광고 파일들 중 상기 판별된 사람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되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며,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 및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2 영상광고 D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의 영상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람의 표정을 판별한 후, 상기 판별된 사람의 표정이 어두운 표정일 경우, 상기 제2 영상광고 DB에 저장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 중 임의의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등록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과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광고 DB에 각 영상광고주별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과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 간에 영상광고 계약 성사 시 각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별된 사람의 표정이 어두울 경우, 상기 제2 영상광고 DB에서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주 단말을 통해 등록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 중 임의의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에 적용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은, 신경망(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 Layer Perception), 및 딥러닝(Deep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가 설치된 각 매장 내에 구비되며, 해당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하여 고유한 단말기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POS 단말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POS 단말기로부터 관리 및 수집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고객의 정보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단말기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별 또는 각 POS 단말기별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매장 DB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매장 DB에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상기 매장 DB에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매장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매장 DB에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라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라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전송받을 경우, 해당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른 영상광고 계약동의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각 매장에 설치된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각 클라이언트 단말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에 적용된 유사도 분석은,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상기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상기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디지털 영상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에 따라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한 영상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미리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년/월/일/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미리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년/월/일/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년/월/일/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수행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광고 수행완료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광고주 요청에 의해 기 설정된 광고 운영조건에 따라 광고비를 정산하여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해당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영상광고 송출자와 영상광고주 간에 영상광고 송출을 위한 요구 조건들을 서로 만족하도록 맞춤형 영상광고 계약을 중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광고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최적의 광고 효과를 원하는 고객에게 맞춤형 광고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광고 수익을 효과적으로 창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클라이언트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은, 크게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 및 영상광고 중계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 제1 영상광고 DB(500), 제2 영상광고 DB(600), 매장 DB(700), 적어도 하나의 POS 단말기(800-1 내지 800-N), 클라이언트 단말(900) 등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영상광고 송출자에 의해 설정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광고 송출조건정보는 예컨대,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광고 송출 위치정보(예컨대, 영상광고 송출 주소 등),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광고 송출 시간정보(예컨대, 12시~14시 등), 영상광고 송출자가 원하는 영상광고수입 금액정보(예컨대, 월 5천원 등), 영상광고가 송출되는 장소의 업종정보(예컨대, 편의점, 분식집 등), 및/또는 영상광고가 송출되는 장소에 드나드는 주요 고객층 정보(예컨대, 어린이, 여자, 남자, 학생, 주부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예컨대,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이름,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비밀번호,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일련번호,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종류,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제조회사,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모델 및 버전,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장치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는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부터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과 함께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는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진행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는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디지털 영상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에 따라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한 영상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는 미리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이 사용자(또는 영상광고 송출자)에 의해 년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는 미리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년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년별 및/또는 월별 및/또는 일별 및/또는 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수행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은 각 영상광고주에 의해 설정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는 예컨대,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송출 위치정보(예컨대, 영상광고 송출 주소 등),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송출 시간정보(예컨대, 12시~14시 등),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지불 금액정보(예컨대, 월 5천원 등), 영상광고 송출을 원하는 장소의 업종정보(예컨대, 편의점, 분식집 등), 및/또는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시청의 주요 고객층 정보(예컨대, 어린이, 여자, 남자, 학생, 주부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는 예컨대, 영상광고주 단말의 이름, 영상광주 단말의 비밀번호, 영상광고주 단말의 일련번호, 영상광고주 단말의 종류, 영상광고주 단말의 제조회사, 영상광고주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영상광고주 단말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영상광고주 단말의 모델 및 버전, 영상광고주 단말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영상광고주 단말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 또는 각 영상광고주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고유한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통신망(10)을 통해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통신망(10)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이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1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셀룰러(cellular) 기반의 3G망,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과 영상광고 중계서버(300)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기 설정된 유사도(바람직하게, 약 80% 내지 90% 정도) 이상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과 영상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서로 매칭시킨 영상광고 중계를 위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전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를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및 해당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 각각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에 적용된 유사도 분석은 예컨대,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상기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상기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은 예컨대, 신경망(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 Layer Perception), 및/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별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각 영상광고주별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에 대한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전송받을 경우,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에 대한 영상광고 계약동의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해당 각 영상광고주 단말(100-1 내지 100-N)로 각각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와 해당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해당 영상광고 계약동의서에 대한 수락 응답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이 성사될 경우, 해당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을 통해 해당 각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파일을 업로드(Upload)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해당 각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과 함께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통신망(10)을 통해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해당 각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진행상황 정보 및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비용 정산일에 영상광고수입 및/또는 영상광고지불 금액을 각각 정산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와 해당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해당 영상광고 계약동의서에 대한 수락 응답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이 성사될 경우,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자와 해당 각 영상광고주로부터 기 설정된 영상광고 중계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로부터 전송된 주변의 영상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람의 성별(예컨대, 남성 또는 여성 등) 및/또는 연령(예컨대,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 등)을 판별한 후, 제1 영상광고 DB(500)에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들 중 상기 판별된 사람의 성별 및/또는 연령에 대응되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사람의 성별 및/또는 연령별로 등록된 영상광고 파일들과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제1 영상광고 DB(500)에 각 영상광고주별로 사람의 성별 및/또는 연령별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과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간에 영상광고 계약 성사 시 각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제1 영상광고 DB(500)에서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을 통해 등록된 영상광고 파일들 중 상기 판별된 사람의 성별 및/또는 연령에 대응되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로부터 전송된 주변의 영상정보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람의 표정을 판별한 후, 상기 판별된 사람의 표정이 어두운 표정(예컨대, 우울, 슬픔, 화남, 불행, 분노, 고통, 고민, 고독, 걱정 등)일 경우, 제2 영상광고 DB(600)에 저장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 중 임의의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로부터 등록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과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제2 영상광고 DB(600)에 각 영상광고주별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과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간에 영상광고 계약 성사 시 각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별된 사람의 표정이 어두울 경우, 제2 영상광고 DB(600)에서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을 통해 등록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 중 임의의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POS 단말기(800-1 내지 800-N)로부터 관리 및 수집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고객의 정보데이터와 함께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기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별 및/또는 각 POS 단말기별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매장 DB(700)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900)과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900)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9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단말(900)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즉,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900)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900)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10)을 통해 제공해준다.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외부의 클라이언트 단말(900)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매장 DB(700)에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로부터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라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전송받을 경우, 해당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른 영상광고 계약동의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각 매장에 설치된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 및/또는 해당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로 각각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로부터 전송된 광고 수행완료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광고주 요청에 의해 기 설정된 광고 운영조건에 따라 광고비를 정산하여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의 해당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가 설치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기 설정된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통신망(10)을 통해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는 예컨대, 영상획득장치의 이름, 영상획득장치의 비밀번호, 영상획득장치의 일련번호, 영상획득장치의 종류, 영상획득장치의 제조회사, 영상획득장치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영상획득장치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영상획득장치의 모델 및 버전, 영상획득장치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영상획득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장치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즉,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각 영상획득장치(400-1 내지 400-N)는 연속적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통상의 비디오카메라(Video Camera) 또는 2차원 영상을 검출하는 고체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카메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통상의 PC 카메라의 일종으로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USB(Universal Serial Bus) 카메라,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추후에 개발될 연속적인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카메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체촬상소자(CCD) 카메라는 광학부와 고체촬상소자(CCD)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고체촬상소자(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SB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카메라와, 인터페이스부와, USB 호스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카메라와 인터페이스부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앤드포인트(Endpoint)들이 구성되며, 그들 중 하나는 스냅 샷 전용 앤드포인트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화상 전용 앤드포인트로 사용된다.
상기 카메라는 입력 화상을 디지탈 데이터로 처리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앤드포인트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USB 표준 사양에 맞게 변환시켜 상기 USB 호스트로 전송하며, 상기 USB 호스트는 전달된 디지탈 데이터를 자신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화상 통신을 위해 상대방 USB 호스트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영상광고 DB(500)는 사람의 성별 및/또는 연령별로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영상광고 DB(600)는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매장 DB(700)는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또는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각 매장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각 POS(Point of Sale) 단말기(800-1 내지 800-N)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100-1 내지 100-N)가 설치된 각 매장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해당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하여 기 설정된 고유한 단말기식별정보와 함께 통신망(10)을 통해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유한 단말기식별정보는 예컨대, POS 단말기의 이름, POS 단말기의 비밀번호, POS 단말기의 일련번호, POS 단말기의 종류, POS 단말기의 제조회사, POS 단말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POS 단말기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POS 단말기의 모델 및 버전, POS 단말기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POS 단말기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POS 단말기(800-1 내지 800-N)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은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의 매장 DB(700)에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의 매장 DB(7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은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의 매장 DB(700)에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라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또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200-1 내지 200-N))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영상광고 중계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910), A/V(Audio/Video) 입력모듈(920), 사용자 입력모듈(930), 센싱모듈(940), 출력모듈(950), 저장모듈(960), 인터페이스 모듈(970), 단말 제어모듈(980) 및 전원모듈(9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910)은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과 영상광고 중계서버(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910)은 방송 수신 모듈(911), 이동 통신 모듈(912), 무선 인터넷 모듈(913), 근거리 통신 모듈(914) 및 위치 정보 모듈(9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9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9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9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9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915)은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9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921)와 마이크부(9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9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9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930)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모듈(940)은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개폐 상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방위,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9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9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9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951), 음향출력부(952), 알람부(953) 및 햅틱부(9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51)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컨대,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9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9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9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953)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9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9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9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960)은 단말 제어모듈(9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모듈(9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모듈(9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970)은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9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980)은 통상적으로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980)은 저장모듈(960)에 저장된 영상광고 중계관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실행된 영상광고 중계관련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종 기능 설정 및 등록 정보 등을 생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모듈(910)을 통해 영상광고 중계서버(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980)은 배터리부(9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9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9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990)은 단말 제어모듈(9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9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9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9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9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9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각 클라이언트 단말(90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1 내지 100-N : 영상광고 송출장치,
200-1 내지 200-N : 영상광고주 단말,
300 : 영상광고 중계서버,
400-1 내지 400-N : 영상획득장치,
500 : 제1 영상광고 DB,
600 : 제2 영상광고 DB,
700 : 매장 DB,
800-1 내지 800-N : POS 단말기,
900 : 클라이언트 단말

Claims (22)

  1.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광고 송출 위치와 시간정보를 비롯하여 영상광고 송출자가 원하는 영상광고수입 금액정보, 및 영상광고가 송출되는 장소의 업종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 송출장치;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송출 위치와 시간정보를 비롯하여 해당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지불 금액정보, 및 영상광고 송출을 원하는 장소의 업종정보를 포함하는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 및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전송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과 영상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서로 매칭시킨 영상광고 중계를 위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전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영상광고 중계서버를 포함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상기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에 영상광고가 송출되는 장소에 드나드는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하여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하고,
    각 영상광고주 단말은, 해당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시청의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하여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 분석을 통해 기 설정된 유사도 이상의 유사도가 높은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과 영상광고주의 요구조건을 서로 매칭시킨 영상광고 중계를 위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전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 및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전송된 주요 고객층 정보를 더 포함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와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별로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과 아울러 각 영상광고주별로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 또는 각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에 대한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전송받을 경우, 상기 생성된 맞춤형 영상광고 중계추천정보에 대한 영상광고 계약동의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와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해당 영상광고 계약동의서에 대한 수락 응답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이 성사될 경우,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을 통해 해당 영상광고주가 원하는 영상광고 파일을 업로드(Upload)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과 함께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부터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과 함께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진행상황 정보를 주기적으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된 해당 영상광고주에 의해 업로드 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진행상황 정보 및 해당 영상광고 계약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비용 정산일에 영상광고수입 및 영상광고지불 금액을 각각 정산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해당 영상광고 송출장치와 해당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해당 영상광고 계약동의서에 대한 수락 응답메시지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광고 계약이 성사될 경우, 해당 영상광고 송출자와 해당 영상광고주로부터 기 설정된 영상광고 중계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며,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 및
    사람의 성별 및 연령별로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1 영상광고 DB가 더 포함되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의 영상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람의 성별 및 연령을 판별한 후, 상기 제1 영상광고 DB에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들 중 상기 판별된 사람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되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사람의 성별 및 연령별로 등록된 영상광고 파일들과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영상광고 DB에 각 영상광고주별로 사람의 성별 및 연령별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 영상광고주 단말과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 간에 영상광고 계약 성사 시 각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영상광고 DB에서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주 단말을 통해 등록된 영상광고 파일들 중 상기 판별된 사람의 성별 및 연령에 대응되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주변에 설치되며,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고유한 장치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 및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2 영상광고 DB가 더 포함되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전송된 주변의 영상정보와 함께 고유한 장치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여 사람의 표정을 판별한 후, 상기 판별된 사람의 표정이 어두운 표정일 경우, 상기 제2 영상광고 DB에 저장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 중 임의의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광고주 단말로부터 등록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과 함께 고유한 광고주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영상광고 DB에 각 영상광고주별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 영상광고주 단말과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 간에 영상광고 계약 성사 시 각 영상광고 계약정보에 따라 상기 판별된 사람의 표정이 어두울 경우, 상기 제2 영상광고 DB에서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주 단말을 통해 등록된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들 중 임의의 희망을 주는 영상광고 파일을 추출하여 해당 계약 성사된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3. 제9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에 적용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은, 신경망(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MLP(Multi Layer Perception), 및 딥러닝(Deep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가 설치된 각 매장 내에 구비되며, 해당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일괄적으로 관리함과 아울러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하여 고유한 단말기식별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POS 단말기가 더 포함되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POS 단말기로부터 관리 및 수집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고객의 정보데이터와 함께 고유한 단말기식별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별 또는 각 POS 단말기별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별도의 매장 DB에 저장 및 관리되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매장 DB에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상기 매장 DB에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매장 DB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데이터 및 고객의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7. 제14 항에 있어서,
    각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의 매장 DB에 저장된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라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라 영상광고계약 요청메시지를 전송받을 경우, 해당 각 매장의 판매와 관련된 정보 및 고객의 정보에 따른 영상광고 계약동의서 정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해당 각 매장에 설치된 영상광고 송출장치 및 해당 각 클라이언트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에 적용된 유사도 분석은, 기 설정된 인공지능(AI) 기반의 기계 학습방법을 통해 상기 영상광고 송출가능조건정보와 상기 영상광고주 요구조건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19.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장치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들을 제공받아 이를 디지털 영상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영상신호들을 기 설정된 화면분할 영상정보에 따라 화면분할 및 스케일링 처리한 영상신호들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20.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미리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년/월/일/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21.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는, 미리 저장된 영상광고 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년/월/일/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년/월/일/시간대별로 설정 및 스케줄링 처리된 영상광고 파일의 광고 수행완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고 중계서버는,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로부터 전송된 광고 수행완료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영상광고주 요청에 의해 기 설정된 광고 운영조건에 따라 광고비를 정산하여 각 영상광고 송출장치의 해당 사용자에게 지급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KR1020210052043A 2021-04-22 2021-04-22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KR10264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43A KR102646077B1 (ko) 2021-04-22 2021-04-22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43A KR102646077B1 (ko) 2021-04-22 2021-04-22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472A true KR20220145472A (ko) 2022-10-31
KR102646077B1 KR102646077B1 (ko) 2024-03-11

Family

ID=8380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043A KR102646077B1 (ko) 2021-04-22 2021-04-22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0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670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복수개의 이종 광고매체 광고 중계처리 방법
KR20090117187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맹점에 구비된 광고출력 매체를 통한 광고 출력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034086A (ko) * 2013-09-24 2015-04-02 최민규 광고오픈마켓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692521B1 (ko) * 2016-02-29 2017-01-17 권형달 부동산 정보 제공 및 공유 장치
KR101817042B1 (ko) 2017-06-21 2018-01-10 김대익 온라인 영상광고 계약 중개 시스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190049555A (ko) * 2017-10-30 2019-05-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광고 및 상품 구매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824A (ko) * 2017-11-23 2019-05-31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보안장치를 이용한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670A (ko) *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복수개의 이종 광고매체 광고 중계처리 방법
KR20090117187A (ko) * 2008-05-08 2009-11-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맹점에 구비된 광고출력 매체를 통한 광고 출력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034086A (ko) * 2013-09-24 2015-04-02 최민규 광고오픈마켓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692521B1 (ko) * 2016-02-29 2017-01-17 권형달 부동산 정보 제공 및 공유 장치
KR101817042B1 (ko) 2017-06-21 2018-01-10 김대익 온라인 영상광고 계약 중개 시스템,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20190049555A (ko) * 2017-10-30 2019-05-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광고 및 상품 구매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9824A (ko) * 2017-11-23 2019-05-31 퍼시픽솔루션 주식회사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보안장치를 이용한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077B1 (ko) 202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6940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a collection of images
KR101314865B1 (ko) 모바일 환경에서 tv 화면과 연동하는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부가 서비스 서버 및 방송 시스템
KR101748370B1 (ko) 식별 코드 운용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2326356A (zh) 视频共享
US20160050457A1 (en) Method and system for tv channel content management and monetization based on content fingerprinting using a portab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05519123A (zh) 实况众包的媒体流
CN103765417A (zh) 视频内容注释和/或推荐的方法和设备
CN103765873A (zh) 使用共用和个人装置的个性化用户功能的协作式提供
US20120331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associated information
KR102101094B1 (ko)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EP3491857A1 (en) Single-source cross-platform media measurement arrangement,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1714883B1 (ko) 온라인 광고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17107431A1 (zh) 一种图片分类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056727B1 (ko) 영상광고가 가능한 영상보안장치를 이용한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KR20130024266A (ko) 멀티 코드 생성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TWI551130B (zh) 使用共享視訊裝置及個人裝置之個人化視訊內容消費技術
KR101202943B1 (ko) 인터넷 방송 시스템
KR102646077B1 (ko) 영상광고 중계 서비스 시스템
KR101813885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기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2027A (ko) 식별 코드 기반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휴대 단말기
KR102119607B1 (ko)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20220016708A (ko)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179155A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81660A (ko) Tv 프로그램 연동형 관심정보 공유 장치 및 관심정보 공유 방법
KR10247187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