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6708A -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6708A
KR20220016708A KR1020200096998A KR20200096998A KR20220016708A KR 20220016708 A KR20220016708 A KR 20220016708A KR 1020200096998 A KR1020200096998 A KR 1020200096998A KR 20200096998 A KR20200096998 A KR 20200096998A KR 20220016708 A KR20220016708 A KR 20220016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user
benefit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웅
김다정
김난희
정원식
이인태
이선민
Original Assignee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중소기업은행
Priority to KR102020009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6708A/ko
Publication of KR2022001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1Virtual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ore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장치에서 결제 카드를 촬영하면 해당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가상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 카드를 통해 카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 카드인 실물 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가상 카드를 실물 카드가 촬영된 영상 상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한 후 해당 가상 카드를 통해 실물 카드와 관련된 다양한 카드 관련 정보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각 카드사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가상 카드의 단순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카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카드 관련 정보 확인에 대한 편의성 및 가맹점별 혜택 확인에 대한 용이성에 따른 결제 카드의 합리적 사용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pparatus for guidance on the use of payment card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용자 장치에서 결제 카드를 촬영하면 해당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가상 카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가상 카드를 통해 카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통신을 통해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결제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여 사용자가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받은 카드와 관련된 이용 내역이나 혜택과 같은 카드 관련 정보를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카드 관련 정보의 확인을 위해서 카드사에서 배포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결제 카드를 등록하고,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결제 카드와 관련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내용이 포함된 메뉴를 일일이 찾아 선택해야 하는 복잡하고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카드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데 사용자의 불편이 상당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1805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 카드인 실물 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가상 카드를 실물 카드가 촬영된 영상 상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한 후 해당 가상 카드를 통해 실물 카드와 관련된 다양한 카드 관련 정보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도록 하여 사용자 장치에 각 카드사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메뉴를 찾아 실행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가상 카드의 단순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카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카드 관련 정보 확인에 대한 편의성 및 결제 카드의 합리적 사용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카드를 통한 광고 채널을 추가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실물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및 상기 사용자 관련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카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카드 요청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하는 카드 생성부와, 상기 카드 정보 및 상기 카드 정보에 매칭되어 상기 결제 카드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가상 카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선택에 따른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카드 사용 정보는 상기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잔액, 사용 가능 한도 및 예상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혜택 목록 정보는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는 서로 다른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며 상기 결제 카드로 결제시 가맹점의 할인률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결제 카드의 사용에 따른 결제 내역에 대한 결제 내역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 생성시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별 상기 사용자의 사용 빈도를 분석한 후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혜택 정보의 정렬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혜택 목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저장부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별로 카드정보와 결제 내역 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사용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선호 혜택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 카드에 대한 카드 종류와 동일한 결제 카드를 사용하면서 미리 설정된 유사군 설정 기준에 따라 사용자와 유사군으로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별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혜택 정보 중 상기 유사군이 가장 선호하는 혜택인 최선호 혜택 정보를 선택한 후 상기 최선호 혜택 정보만을 상기 혜택 안내 정보 생성을 위한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상기 유사군 설정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유사군으로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별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군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생성한 상기 유사군의 선호 소비 품목에 대한 선호 정보 및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전월 대비 당월의 소비 내용을 비교 분석한 분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드 사용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혜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맹점 중 선택된 특정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상기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별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증강현실 기반으로 특정 매장에 대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매장 중 선택된 상기 특정 매장에 대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되는 혜택 정보별로 상기 혜택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 단말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를 상기 혜택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실물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및 상기 사용자 관련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카드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드 요청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선택에 따른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되며 상기 결제 카드의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결제 카드를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카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카드 요청저보에 대응되어 상기 가상 카드 수신시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실물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및 상기 사용자 관련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카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 요청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한 후 상기 가상 카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선택에 따른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되며 상기 결제 카드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 카드인 실물 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가상 카드를 실물 카드가 촬영된 영상 상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한 후 해당 가상 카드를 통해 실물 카드와 관련된 다양한 카드 관련 정보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각 카드사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가상 카드의 단순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카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카드 관련 정보 확인에 대한 편의성 및 가맹점별 혜택 확인에 대한 용이성에 따른 결제 카드의 합리적 사용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제 카드와 관련되어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혜택을 사용자가 우선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혜택의 사용이 가능한 매장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치에 표시되는 혜택과 관련된 광고주 또는 가맹점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하는 광고 채널을 가상 카드를 통해 제공할 수 있어 결제 카드와 관련된 선호 혜택의 선별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임과 아울러 별도의 광고 채널 제공을 통한 광고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가상 카드를 이용한 카드 관련 정보 제공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 장치(10) 및 상기 사용자 장치(10)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사용자에 대해 발급된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LoRa(Long Rang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1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1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가 설치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모듈은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저장 모듈에 저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련 데이터를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부(11)로 동작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동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하거나 MCU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장치(10)는 상기 제어 모듈과 저장 모듈 이외에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듈,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버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결제 카드를 발급하는 카드사 서버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카드사 서버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발급된 결제 카드와 관련하여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반의 가상 카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10)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촬영한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가상 카드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결제 카드와 관련된 다양한 안내 정보(카드 관련 정보)를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하여 사용자 장치(10)에 제공함으로써, 결제 카드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를 상술한 구성을 토대로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결제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기프트(gift) 카드, 멤버쉽(membership) 카드 등과 같은 결제에 사용 가능한 모든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영상 분석부(120), 카드 생성부(130),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 장치(10)를 비롯한 각종 외부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구성된 구성부와의 통신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한 통신 과정은 이하 설명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구성된 구성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구성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례로, 통신부(110), 영상 분석부(120), 카드 생성부(130) 및 저장부(150)가 상기 제어부(14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거나 상기 제어부(140)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하며, 제어부(14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상이한 외부 서버로 구성되거나 상기 외부 서버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저장부(150)에 접속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의 구성을 토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동작 구성을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구성된 카메라부를 통해 카드사에서 사용자 장치(10)의 사용자에 대해 발급된 실물(實物)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촬영하여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구성된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구성된 통신 모듈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의 통신 과정에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치(10)에서 실물 카드인 상기 결제 카드를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및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대응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회원 ID, 전화번호, 사용자 장치(10)의 식별정보(일례로,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 비밀코드(비밀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카드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영상을 영상 분석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120)는 상기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결제 카드 관련 카드 번호, 유효 기간 등을 식별(인식)하고 해당 식별된(인식된)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분석부(120)는 미리 설정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결제 카드 관련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카드 식별 정보는 카드 번호, 유효 기간, 결제 카드에 표시된 사용자 성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영상 분석부(120)를 통해 생성된 카드 식별 정보를 영상 분석부(12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카드 생성부(130)에 제공(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생성부는(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150)에 포함된 카드 DB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5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별 회원 정보가 저장된 회원 DB와, 상기 회원 정보와 매칭되어 카드 정보 및 카드 관련 정보가 사용자별로 저장된 카드 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원 DB 및 카드 DB는 하나의 D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회원 DB 및 카드 DB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추가 DB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드 DB에 상기 회원 정보가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생성부(130)는 상기 사용자의 카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카드 DB를 검색한 결과 상기 카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가 상기 카드 DB에 존재하면, 상기 카드 DB로부터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드 생성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드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상기 저장부(150)의 회원 DB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하고, 사용자 인증 성공시 상기 카드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카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생성부(130)는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널리 알려진 다양한 추가 인증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생성부(130)는 상기 카드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카드 DB로부터 추출된 특정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가상 카드 관련 가상 카드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상 카드 관련 가상 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상 카드(또는 가상 카드 정보)는 3차원 모델(3차원 그래픽 모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증강현실 기반의 영상 데이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카드 생성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가상 카드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 정보를 기초로 3차원 모델인 가상 카드를 생성한 후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된 영상 상에 증강 현실 기반으로 상기 가상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드 요청 정보 및 상기 카드 요청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가상 카드 정보는 상기 가상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가 상기 영상 상에서 차지하는 영역에 대한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가상 카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영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영상에서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영역에 매칭하여 상기 영상 상에 가상 카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영상 상에 나타난 결제 카드 상에 가상 카드를 겹쳐서 (상기 결제 카드를 가리도록) 상기 가상 카드를 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입력 모듈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상기 영상 상에 표시된 가상 카드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카드 선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대응되어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10)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상기 저장부(150)의 카드 DB에는 상기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결제 카드의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카드 사용 정보는 상기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잔액, 사용 가능 한도 및 예상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 한도는 신용카드의 경우 신용카드에 설정된 전체 사용 한도에서 사용자의 신용 카드 사용에 따른 사용 금액을 차감하고 남은 잔여 사용 가능 금액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 가능 한도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의 사용 가능 한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결제 카드의 사용에 따른 결제 정보를 상기 결제 카드가 사용된 매장의 매장 단말로부터 수신하거나 상기 결제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의 외부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드 DB에 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사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포함된 가상 카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가상 카드 정보에 포함된 카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특정 카드 정보를 상기 카드 DB에서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상기 특정 카드 정보에 매칭되는 카드 사용 정보를 상기 카드 DB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카드 사용 정보를 기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드 안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카드 안내 정보를 기초로 카드 사용 정보를 상기 표시 모듈에 표시된 영상 상의 가상 카드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카드에 대응되는 결제 카드와 관련된 카드 사용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카드를 조작하여 상기 가상 카드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라 가상 카드의 후면(뒷면)이 선택된(나타난) 경우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상기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에 대응되는 상기 특정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혜택 목록 정보는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는 서로 다른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는 정보이며, 상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 각각은 상기 결제 카드로 결제시 혜택 정보에 대응되는 가맹점의 할인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혜택 정보는 상기 결제 카드를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상품 구매를 위해 결제할 때 상기 가맹점에서 지정한 결제 금액의 할인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상기 혜택 안내 정보 수신시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를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된 가상 카드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를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후면 선택 정보 생성시 상기 가상 카드와 연계하여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은 상태로 전환하면서, 상기 후면 선택 정보에 대응되어 수신된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를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11)는 가상 카드의 전면에 카드 사용 정보를 매칭하여 표시한 상태에서 가상 카드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회전되어 가상 카드의 후면이 선택되면, 상기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된 영상 상에 나타나지 않도록 삭제하면서 상기 혜택 목록 정보를 가상 카드와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카드사별 카드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카드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카드사별 카드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촬영한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 정보, 카드 사용 정보,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제 내역 정보 등과 같은 카드 관련 정보를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집할 수 있으며, 해당 카드 관련 정보를 상술한 동작 구성에 따라 사용자 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카드사 서버로부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 정보 및 카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에서 하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만 설치한 후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 카드를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면, 해당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카드 관련 정보를 가상 카드와 연계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10)에 카드사별로 배포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필요 없이 하나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서로 다른 카드사별로 발급된 각각의 결제 카드에 대한 카드 관련 정보를 통합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장치(10)에서 제어 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배포하지 않은 단순 카메라부의 활성화를 위한 상용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으며,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접속 주소를 지정하면서 카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배포 없이 사용자 장치(10)의 상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가상 카드와 카드 관련 정보를 증강 현실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한 결제 카드인 실물 카드를 촬영하면 카드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가상 카드를 실물 카드가 촬영된 영상 상에 증강현실 기반으로 표시한 후 해당 가상 카드를 통해 실물 카드와 관련된 다양한 카드 관련 정보가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를 통해 제공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장치(10)에 각 카드사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확인 대상 정보가 포함된 메뉴를 일일이 찾아 실행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가상 카드의 단순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카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결제 카드 관련 정보 확인에 대한 편의성 및 결제 카드 관련 가맹점별 혜택 확인에 대한 용이성에 따른 결제 카드의 합리적 사용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저장부(150)의 카드 DB에는 상기 카드 정보(특정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결제 카드의 사용에 따른 결제 내역에 대한 결제 내역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매장 단말이나 외부 카드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결제 카드 관련 결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드 DB에 대응되는 카드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외부 카드사 서버로부터 결제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카드 정보와 매칭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 생성시(생성 과정에서)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상기 카드 DB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별 상기 사용자의 사용 빈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혜택 정보별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혜택 정보의 정렬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혜택 목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또는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50)의 카드 DB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별로 카드정보와 결제 내역 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카드 DB에는 특정 사용자의 회원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회원 정보에 매칭되어 상기 특정 사용자가 발급받은 하나 이상의 카드와 각각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가 상기 카드 DB에 저장되며,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카드 정보별로 결제 내역 정보가 카드 DB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카드사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내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특정 카드 정보에 매칭하여 상기 카드 DB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상기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전월 대비 당월의 소비 내용을 비교 분석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회원 DB에 미리 저장된 회원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유사군 설정 기준에 따라 사용자와 유사한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를 유사군으로 그룹핑한 후 상기 유사군으로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별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군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유사군의 선호 소비 품목에 대한 선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유사군 설정 기준에 따른 사용자와 성별 및 연령대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한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를 선별하여 사용자와 유사군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분석 정보 및 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드 사용 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사용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선호 혜택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 카드에 대한 카드 종류와 (카드 종류가) 동일한 결제 카드를 사용하면서 상기 유사군 설정 기준에 따른 사용자와 유사군으로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별 결제 내역 정보를 상기 카드 DB에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식별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별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혜택 정보 중 상기 유사군이 가장 선호하는 혜택인 최선호 혜택 정보를 선택한 후 상기 최선호 혜택 정보만을 상기 혜택 안내 정보 생성을 위한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최선호 혜택 정보가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를 기초로 생성한 혜택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상기 혜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맹점 중 선택된 특정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1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상기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별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증강현실 기반으로 특정 매장에 대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부(150)에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가맹점별로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매장 각각에 대한 매장 정보가 저장된 매장 D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매장 정보는 가맹점 식별정보, 매장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경로 안내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매장에 대한 매장 목록을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매장 중 선택된 상기 특정 매장에 대한 경로 안내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되는 혜택 정보별로 상기 혜택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 단말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A)를 상기 혜택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광고주별 광고주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포함된 광고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혜택 안내 정보 생성시(생성 과정에서)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혜택 정보별로, 혜택 정보에 설정된 가맹점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맹점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의 광고 정보를 상기 광고 DB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혜택 정보에 포함시키거나 상기 혜택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고 정보가 포함된 혜택 안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의 어플리케이션부(11)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된 혜택 정보를 표시모듈을 통해 표시하면서 상기 혜택 정보와 매칭되는 광고 정보를 상기 혜택 정보에 매칭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고 정보는 상품의 프로모션(promotion) 진행을 위한 프로모션 정보일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결제 카드와 관련되어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혜택을 사용자가 우선 확인 가능하도록 제공함과 아울러 해당 혜택의 사용이 가능한 매장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치(10)에 표시되는 혜택과 관련된 광고주 또는 가맹점의 광고가 제공되도록 하는 광고 채널을 가상 카드를 통해 제공할 수 있어 결제 카드와 관련된 선호 혜택의 선별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높임과 아울러 별도의 광고 채널 제공을 통한 광고주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와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실물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에 대한 영상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요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카드 요청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한 후 상기 가상 카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10)에서 상기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3).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선택에 따른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S4)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되며 상기 결제 카드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10)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5).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장치(10)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S6)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S7).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장치 및 구성부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장치 11: 어플리케이션부
100: 서비스 제공 장치 110: 통신부
120: 영상 분석부 130: 카드 생성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Claims (10)

  1. 사용자 장치로부터 실물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및 상기 사용자 관련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카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카드 요청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하는 카드 생성부;
    상기 카드 정보 및 상기 카드 정보에 매칭되어 상기 결제 카드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가상 카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선택에 따른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에 대응되는 상기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드 사용 정보는 상기 결제 카드에 대응되는 잔액, 사용 가능 한도 및 예상 결제 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혜택 목록 정보는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는 서로 다른 가맹점과 각각 대응되며 상기 결제 카드로 결제시 가맹점의 할인률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카드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결제 카드의 사용에 따른 결제 내역에 대한 결제 내역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 생성시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대응되는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별 상기 사용자의 사용 빈도를 분석한 후 상기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혜택 정보의 정렬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정렬 순서에 따라 정렬된 상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혜택 목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복수의 서로 다른 사용자별로 카드정보와 결제 내역 정보가 상호 매칭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 중 상기 사용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하나 이상의 선호 혜택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 카드에 대한 카드 종류와 동일한 결제 카드를 사용하면서 미리 설정된 유사군 설정 기준에 따라 사용자와 유사군으로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타 사용자별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혜택 정보 중 상기 유사군이 가장 선호하는 혜택인 최선호 혜택 정보를 선택한 후 상기 최선호 혜택 정보만을 상기 혜택 안내 정보 생성을 위한 상기 혜택 목록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카드 선택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되어 상기 유사군 설정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유사군으로 그룹핑된 하나 이상의 타사용자별 결제 내역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유사군의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생성한 상기 유사군의 선호 소비 품목에 대한 선호 정보 및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전월 대비 당월의 소비 내용을 비교 분석한 분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카드 사용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혜택 정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가맹점 중 선택된 특정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매장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 내의 상기 특정 가맹점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매장별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증강현실 기반으로 특정 매장에 대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경로 안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매장 중 선택된 상기 특정 매장에 대한 경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되는 혜택 정보별로 상기 혜택 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주 단말로부터 수신된 광고 정보를 상기 혜택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혜택 안내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9. 사용자 장치로부터 실물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및 상기 사용자 관련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카드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카드 요청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선택에 따른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되며 상기 결제 카드의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장치의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결제 카드를 촬영한 영상을 포함하는 상기 카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카드 요청저보에 대응되어 상기 가상 카드 수신시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부
    를 포함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사용자 장치와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실물 카드인 사용자의 결제 카드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 및 상기 사용자 관련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카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드 요청정보에 포함된 영상에서 상기 결제 카드를 인식하여 카드 식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카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카드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카드 정보를 기초로 가상 카드를 생성한 후 상기 가상 카드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영상 상에 상기 가상 카드가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선택에 따른 카드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매칭되어 미리 저장되며 상기 결제 카드 사용에 따라 갱신되는 카드 사용 정보가 상기 사용자 장치에서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카드 안내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가상 카드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가상 카드의 후면 선택에 대한 후면 선택 정보 수신시 상기 가상 카드의 카드 정보에 포함된 혜택 목록 정보가 상기 가상 카드와 매칭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혜택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00096998A 2020-08-03 2020-08-03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16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98A KR20220016708A (ko) 2020-08-03 2020-08-03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98A KR20220016708A (ko) 2020-08-03 2020-08-03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708A true KR20220016708A (ko) 2022-02-10

Family

ID=8025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998A KR20220016708A (ko) 2020-08-03 2020-08-03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67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24A1 (ko) * 2022-09-01 2024-03-07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혜택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05B1 (ko) 2017-10-20 2018-09-28 코나아이 (주)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카드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805B1 (ko) 2017-10-20 2018-09-28 코나아이 (주)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카드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8824A1 (ko) * 2022-09-01 2024-03-07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혜택 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3547A1 (en)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50778B (zh) 信息推送系统
KR102366744B1 (ko) 사용자 위치 기반의 푸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사용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EP3010245A2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US11145047B2 (en) Method for synthesizing image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6899856A (zh) 用于输出主播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50237457A1 (en) Sim based data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method
CN111277807A (zh) 一种投影实现方法、可穿戴设备、显示设备和存储介质
CN109191585B (zh)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451869A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KR20120108306A (ko) 얼굴 인식 기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87186A1 (en) Wifi Landing Page for Remote Control of Digital Signs
CN107818323A (zh) 用于处理图像的方法和装置
CN106575409B (zh) 基于目标识别的重定向广告产品推荐服务器、其控制方法及记录有计算机程序的记录介质
KR20220016708A (ko) 결제 카드의 사용 안내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CN104932859A (zh) 一种用于手机微网站与led显示屏同步发布的系统及方法
CN113850587A (zh)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及设备
US201600553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 region of interest
KR102211453B1 (ko) 쇼핑 정보 제공 시스템
CN112925595A (zh) 资源分发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640119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653740B1 (ko) 실적 달성을 고려한 카드 분할 결제를 위한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3138391A1 (en) A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dvertisement
CN114040108B (zh) 一种辅助拍摄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10078A (zh) 数据处理方法和装置、用于数据处理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