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607B1 -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607B1
KR102119607B1 KR1020190105266A KR20190105266A KR102119607B1 KR 102119607 B1 KR102119607 B1 KR 102119607B1 KR 1020190105266 A KR1020190105266 A KR 1020190105266A KR 20190105266 A KR20190105266 A KR 20190105266A KR 102119607 B1 KR102119607 B1 KR 102119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ecurity
video
equipment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정민
이광철
김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웹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웹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웹게이트
Priority to KR102019010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정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영상보안장비와, 각 영상보안장비로부터 출력된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각 영상보안장비와 관련된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각 사용자 단말의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정보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 정보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각 영상보안장비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로컬 네트워크 연결 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와 함께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접속정보를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여러 대의 영상보안장비를 다양한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접속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AUTOMATIC SYSTEM FOR LIST MANAGEMENT OF A PICTURE SECURITY APPARATUS}
본 발명은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List)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보안장비 예컨대,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DVR),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Network video recorder, NVR) 등이 널리 보급되면서 여러 대의 영상보안장비를 다양한 환경에서 봐야할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예컨대, 집에 설치한 카메라(Camera)를 사무실의 PC(Personal Computer)에서 보고 내 스마트폰(Smart phone)에서도 보고, 사무실의 카메라를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경우도 있다.
그런데,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장비의 IP 주소나 고유 식별번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PC 프로그램에 입력한 번호를 또 스마트폰 프로그램에 입력해야 하고, 스마트폰이 바뀌면 다시 입력해 줘야 하는 등 접속정보를 기억했다가 여러 번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무실의 외부 IP 주소로 등록해 놓은 영상보안장비라 할지라도 사무실 내에 들어오면 다시 사무실의 내부 IP 주소로 접속하는 것이 더 빠르기 때문에 IP 주소를 변경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94834(2003.08.19.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의 연동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List) 정보를 자동으로 관리해줌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미리 탑재된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여러 대의 영상보안장비를 다양한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접속하여 실시간 모니터링(Monitoring) 할 수 있도록 한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특정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영상보안장비; 각 영상보안장비로부터 출력된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각 영상보안장비와 관련된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각 사용자 단말의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정보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 정보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영상보안장비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로컬 네트워크 연결 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와 함께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접속정보를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보안장비로부터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각 영상보안장비로부터 전송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와 함께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가 별도의 저장장치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정보와 동일할 경우, 기 등록된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각 사용자 계정별로 저장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타인에게 공유할 영상보안장비를 선택하고 공유할 타인의 계정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및 입력된 타인에게 공유할 영상보안장비에 대한 타인의 계정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가 공유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공유 시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와 동일할 경우에만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가 공유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는, 사용자의 회원 아이디/패스워드(ID/PW), 주민번호, 전화번호, 생체특징정보, OTP(One Time Passwor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및 공인 인증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기 등록된 영상보안장비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 검색한 후,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기 등록된 영상보안장비가 검색될 경우 상기 로컬 네트워크상에서 검색된 영상보안장비로부터 고유한 장비식별정보와 함께 내부 IP 주소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정보의 외부 IP 주소 대신에 상기 획득된 로컬 네트워크상의 내부 IP 주소로 상기 검색된 영상보안장비에 자동 접속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보안장비의 고유한 장비식별정보는, 장비의 이름, 장비의 비밀번호, 장비의 일련번호, 장비의 종류, 장비의 제조회사,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장비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장비의 모델 및 장비의 버전, 장비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영상보안장비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DVR),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Network video recorder, NVR)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의 연동을 통해 로컬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List) 정보를 자동으로 관리해줌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미리 탑재된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여 여러 대의 영상보안장비를 다양한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접속하여 실시간 모니터링(Monitoring)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사용자 단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은, 크게 복수의 영상보안장비(100),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영상보안장비(100)는 특정 장소(예컨대, 건물, 공원, 화장실 등)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카메라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각 영상보안장비(10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로컬 네트워크(10) 연결 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와 함께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접속정보를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영상보안장비(100)는 예컨대,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DVR),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Network video recorder, NVR)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안 카메라부는 어두운 곳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적외선(IR) 카메라, CCD 카메라, IP 카메라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특정 장소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예컨대, CCTV 등)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보안 카메라부에는 통상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와, 이미지 신호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와, 백 엔드 칩(Back_End Chip)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를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로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상기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백 엔드 칩은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로부터 출력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 이러한 백 엔드 칩으로는 모바일 스위칭 모뎀(Mobile Switching Modem, MSM)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신호처리기(ISP) 및/또는 백 엔드 칩은 제어부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안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면, 렌즈로부터 입사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촬상 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 센서가 가공되지 않은 Bayer RGB 포맷 데이터를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이미지 신호처리기(ISP)는 이를 실제의 RGB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RGB 포맷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화면 출력에서 요구되는 즉, 이미지 처리를 위한 백 엔드 칩에서 요구되는 YUV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IIC(Inter Integrated Circuit)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백 엔드 칩은 수신된 YUV 포맷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각 사용자 단말(200)은 로컬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영상보안장비(100)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망(20)을 통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로컬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또는 구내 정보 통신망으로서, 네트워크 매체를 이용하여 예컨대, 집, 사무실, 학교 등의 건물과 같은 가까운 지역을 한데 묶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그리고, 통신망(20)은 예컨대, 이더넷(Ethernet) 또는 이동 통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일 수도 있으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차세대 무선망일 수도 있다.
상기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각 사용자 단말(100)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접속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은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 일 수도 있다.
만약, 통신망(20)이 이동 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20)은 각 사용자 단말(100)과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 상호 간의 신호 및/또는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각 영상보안장비(100)로부터 출력된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각 영상보안장비(100)와 관련된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미리 탑재하여 여러 가지의 서비스 기능들을 수행한다.
즉, 각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보안장비(100)로부터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각 사용자 계정별로 저장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서 다운로드된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저장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접속한 후, 타인에게 공유할 영상보안장비(100)를 선택하고 공유할 타인의 계정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기 등록된 영상보안장비가 로컬 네트워크(10)에 존재하는지 검색한 후, 로컬 네트워크(10)에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기 등록된 영상보안장비가 검색될 경우 로컬 네트워크(10)상에서 검색된 영상보안장비(100)로부터 고유한 장비식별정보와 함께 내부 IP 주소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각 영상보안장비(100)의 고유한 장비식별정보는 예컨대, 장비의 이름, 장비의 비밀번호, 장비의 일련번호, 장비의 종류, 장비의 제조회사,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장비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장비의 모델 및 장비의 버전, 장비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각 영상보안장비(100)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장치 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정보의 외부 IP 주소 대신에 상기 획득된 로컬 네트워크(10)상의 내부 IP 주소로 상기 검색된 영상보안장비(100)에 자동 접속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각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또는 스마트 노트(Smart No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 단말 장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개인용 PC, 노트북 PC, 팜(Palm) PC,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통신 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태블릿 PC, 아이패드(iPad) 등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사용자 단말(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210), A/V(Audio/Video) 입력모듈(220), 사용자 입력모듈(230), 센싱모듈(240), 출력모듈(250), 저장모듈(260), 인터페이스 모듈(270), 단말 제어모듈(280) 및 전원모듈(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각 사용자 단말(2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각 사용자 단말(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 통신모듈(210)은 각 사용자 단말(300)과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모듈(210)은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 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 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211)은 다양한 방송채널(예컨대, 위성채널, 지상파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신호(예컨대, TV 방송신호, 라디오 방송신호, 데이터 방송신호 등) 및/또는 방송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이동 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콜(call) 신호, 화상 통화 콜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각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컨대, WLAN(Wi-Fi), Wibro, Wimax, HSDPA, LT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band)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또는 적외선(IR)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215)은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등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따라 전술한 무선 통신모듈(210) 및/또는 유선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V 입력모듈(220)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카메라부(221)와 마이크부(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221)는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부(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모듈(230)은 각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특히 출력모듈(250)의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보안장비 관리 정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터치 패널(정압/정전) 형식이거나 별도의 입력 장치(예컨대, 키 패드 돔 스위치,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다.
센싱모듈(240)은 각 사용자 단말(200)의 개폐 상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특정 부위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 각 사용자 단말(200)의 방위, 각 사용자 단말(2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각 사용자 단말(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각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센싱 신호는 단말 제어모듈(280)에 전달되어, 단말 제어모듈(280)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출력모듈(250)은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1), 음향출력부(252), 알람부(253) 및 햅틱부(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각 사용자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각 사용자 단말(200)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및/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음향출력부(252)는 예컨대, 콜 신호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모드, 방송수신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모듈(2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알람부(253)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각 사용자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콜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햅틱부(254)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부(254)가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부(254)가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저장모듈(260)은 단말 제어모듈(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260)은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260)은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정보의 형성을 위한 소스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바,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데이터가 영상 및 소리로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영상보안장비 관리에 대한 관련데이터 생성의 진행 과정 및 결과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모듈(26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70)은 각 사용자 단말(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 모듈(270)은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각 사용자 단말(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각 사용자 단말(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단말 제어모듈(280)은 통상적으로 각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음성통화, 데이터통신, 화상통화, 각종 어플리케이션 실행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단말 제어모듈(280)은 저장모듈(260)에 저장된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제어하고,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0)은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 영상, 음성 또는 음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조 요소들을 디스플레이부(251) 및 다른 출력장치(예컨대, 음향출력부(252), 알람부(253), 햅틱부(254)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제어모듈(280)은 배터리부(295)의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값을 저장모듈(26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모듈(260)은 모니터링 된 충전 전류와 충전 전압과 같은 배터리 충전상태정보뿐만 아니라 배터리 사양정보(제품 코드, 정격 등)도 함께 저장함이 바람직하다.
전원모듈(290)은 단말 제어모듈(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모듈(290)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부(295)의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로 공급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충전단자(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단말 제어모듈(2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모듈(260)에 저장되고, 단말 제어모듈(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각 사용자 단말(200)이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스마트폰은 일반 핸드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는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폰(Phone)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형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 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은 개방형 운영체제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제를 가진 휴대폰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제어부, 메모리부, 화면출력부, 키입력부, 사운드 출력부, 사운드 입력부, 카메라부, 무선망 통신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및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스마트폰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스마트폰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스마트폰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는 기본적으로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셋트,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셋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 출력부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사운드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CDMA/WCDMA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은 IEEE 802.16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이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ISO 180000 시리즈 규격의 RFID 통신,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공중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은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과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폰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하며, 스마트폰 이외에도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스마트폰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과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가지는 노트북 PC, 태블릿 PC, 그 외에도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로컬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영상보안장비(100)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망(20)을 통해 각 사용자 단말(200)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각 사용자 단말(200)의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정보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 정보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로컬 네트워크(10)를 통해 각 영상보안장비(100)로부터 전송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와 함께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가 별도의 저장장치(미도시)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정보와 동일할 경우, 기 등록된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100)의 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각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상에서 관리자가 소지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통신망(20)을 통해 연결되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에게 시스템 자원(이는 OS, CPU, 메모리, 저장장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을 제공하는 물리적 장비로,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복수의 서버가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과 연결되며, 이때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다수의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도시된 것이며, 예컨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생성된 가상 공간상의 게스트 머신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시스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배하게 된다. 이러한 사항들은 공지의 일반적인 개념들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Cloud) 서비스 환경이란, 인터넷 기반(클라우드)의 컴퓨팅(Computing)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Infra) 구조를 가지며 IT 관련된 기능들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팅 스타일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가상화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주문형 서비스(on-demand) 컴퓨팅 등과 같이 다양한 컴퓨팅 개념과 통신 기술이 혼합되어 적용된 것으로, 통상적으로 다수의 컴퓨터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데이터센터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하나의 가상 컴퓨터 또는 서비스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이에 접속하여 각종 소프트웨어, 보안 솔루션 및 컴퓨팅 능력 등을 주문형 서비스(on-demand)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즉, 상기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기업의 서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던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 기반의 가상 서버(Server) 또는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사용자들은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스토리지, OS 및 보안 등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만 골라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에 기반하여 대가를 지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에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요청하는 컴퓨팅 자원을 통신망(20)을 통해 제공해준다.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요청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이용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에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파일, 게임 프로그램 파일, 텍스트 데이터 파일, 문서 파일, 그림 파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및 바코드 파일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사업자(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파일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장치 즉, 스토리지(Storage)를 구비한다.
또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100)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100)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100)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각 사용자 단말(200)(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100)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각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상기 선택 및 입력된 타인에게 공유할 영상보안장비(100)에 대한 타인의 계정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100)가 공유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300)는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100)의 공유 시 각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와 동일할 경우에만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100)가 공유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는 예컨대, 사용자의 회원 아이디/패스워드(ID/PW), 주민번호, 전화번호, 생체특징정보, OTP(One Time Passwor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및 공인 인증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특정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의 고유식별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체특징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한 요소로 예를 들어, 지문, 홍채, 얼굴, 혈관, 성문, 서명, 음성, 망막, 손금 등이 가능하다. 상기 지문 또는 홍채 하나만을 등록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종류를 모두 등록하여 생체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영상보안장비,
200 : 사용자 단말,
300 :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

Claims (16)

  1. 특정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안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획득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복수의 영상보안장비;
    각 영상보안장비로부터 출력된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비롯하여 각 영상보안장비와 관련된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각 사용자 단말의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계정정보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전송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 정보요청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계정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각 영상보안장비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계정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로컬 네트워크 연결 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와 함께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접속정보를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마다 브로드캐스트 통신으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기 등록된 영상보안장비가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 검색한 후, 상기 로컬 네트워크에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기 등록된 영상보안장비가 검색될 경우 상기 로컬 네트워크상에서 검색된 영상보안장비로부터 고유한 장비식별정보와 함께 내부 IP 주소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중 해당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보안장비로부터 영상보안 정보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상기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각 영상보안장비로부터 전송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와 함께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접속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 계정정보가 별도의 저장장치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정보와 동일할 경우, 기 등록된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의 요청에 응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의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각 사용자 계정별로 저장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여 저장할 경우, 대칭 또는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 계정별로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암호화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전송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해당 클라이언트 회원 로그인 정보와 함께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을 통해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도록 클라우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8. 제5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 또는 클라이언트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서 다운로드된 영상보안장비 관리관련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저장된 각 사용자 계정별 영상보안장비의 리스트 정보데이터를 실시간 검색 및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접속한 후, 타인에게 공유할 영상보안장비를 선택하고 공유할 타인의 계정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 및 입력된 타인에게 공유할 영상보안장비에 대한 타인의 계정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가 공유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는,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의 공유 시 각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가 기 등록된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와 동일할 경우에만 해당 타인의 계정정보를 통해 해당 영상보안장비가 공유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고유인증코드는, 사용자의 회원 아이디/패스워드(ID/PW), 주민번호, 전화번호, 생체특징정보, OTP(One Time Password),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및 공인 인증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기 등록된 사용자 계정정보의 외부 IP 주소 대신에 상기 획득된 로컬 네트워크상의 내부 IP 주소로 상기 검색된 영상보안장비에 자동 접속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14.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보안장비의 고유한 장비식별정보는, 장비의 이름, 장비의 비밀번호, 장비의 일련번호, 장비의 종류, 장비의 제조회사, 장비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장비의 고유 IP(Internet Protocol) 주소, 장비의 모델 및 장비의 버전, 장비의 비밀키 또는 PKI 기반의 개인키에 의해 생성된 장치의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각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용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상기 영상보안장비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자 계정정보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16. 제1 항에 있어서,
    각 영상보안장비는,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DVR),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Network video recorder, NVR)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0190105266A 2019-08-27 2019-08-27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119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6A KR102119607B1 (ko) 2019-08-27 2019-08-27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6A KR102119607B1 (ko) 2019-08-27 2019-08-27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9607B1 true KR102119607B1 (ko) 2020-06-05

Family

ID=7108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266A KR102119607B1 (ko) 2019-08-27 2019-08-27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6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34B1 (ko) 2000-12-16 2003-08-19 박찬준 영상 수신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원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KR20120050364A (ko) * 2010-11-10 2012-05-1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공장 내 정보 전달을 위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4309A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케이티 관리 서버, 등록 단말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 등록 방법
KR20190024644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IoT 기반 창고 보안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2037B1 (ko) * 2019-05-16 2019-08-19 주식회사 경림이앤지 Ip 기반의 cctv 카메라 영상 및 음성데이터의 트랜스코딩 및 암호화 전송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34B1 (ko) 2000-12-16 2003-08-19 박찬준 영상 수신 및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원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 감시 방법
KR20120050364A (ko) * 2010-11-10 2012-05-1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공장 내 정보 전달을 위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4309A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케이티 관리 서버, 등록 단말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 등록 방법
KR20190024644A (ko) * 2017-08-31 2019-03-08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IoT 기반 창고 보안 관제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12037B1 (ko) * 2019-05-16 2019-08-19 주식회사 경림이앤지 Ip 기반의 cctv 카메라 영상 및 음성데이터의 트랜스코딩 및 암호화 전송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72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or securing a device
RU264768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нформацио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87870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가전기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733072B1 (ko) 감시 영상 처리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76183B1 (ko) IoT 기반의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
JP2017509277A (ja) スマート・ハードウェアデバイスの制御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869612A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KR101878710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스마트홈 관리 시스템
CN104967511A (zh) 加密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US11432142B2 (en) Multi-device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device
US201701717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routing information
RU264074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упа к сети
KR102244635B1 (ko) 유해화학물질 누출 방재를 위한 관제 시스템
CN105281907B (zh) 加密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KR102101094B1 (ko) 변전소 내에 설치된 현장기기의 제어를 위한 전력 감시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933638B1 (ko)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웰니스 서비스 시스템
CN113875259B (zh) 用于安全视频帧管理的方法、计算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04579665B (zh) 鉴权方法及装置
KR101874878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접근 제어 시스템
CN11303530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电子病历系统及应用方法
US2017018014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to access multiple servers
KR102119607B1 (ko) 서버 연동을 통한 영상보안장비 리스트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20210146215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거주 시설 공실 관리 시스템
KR20150106803A (ko) 디바이스 내의 파일 시스템 구조를 암호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60770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 정보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