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836A - 펠라르곤산-기반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펠라르곤산-기반 제초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836A
KR20220144836A KR1020227032059A KR20227032059A KR20220144836A KR 20220144836 A KR20220144836 A KR 20220144836A KR 1020227032059 A KR1020227032059 A KR 1020227032059A KR 20227032059 A KR20227032059 A KR 20227032059A KR 20220144836 A KR20220144836 A KR 20220144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acid
emulsifier
c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젤라 사글리아노
안나 키안콜리니
루이지 카푸치
Original Assignee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노바몬트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20144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8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3/00Herbicides; Algic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펠라르곤산 및 바람직하게는 산 형태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농축된 유화성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제초 적용에서의 및 건조제 수확 보조제로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유리하게는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의 용도를 발견한다.

Description

펠라르곤산-기반 제초제 조성물
본 발명으로 이어진 프로젝트는 보조 계약 번호 745012 하에 유럽 연합의 호라이즌 2020 연구 및 혁신 프로그램 하에서 바이오 기반 산업 공동 사업 민관 파트너십에 의해 자금을 받았다.
본 발명은 펠라르곤산 및 바람직하게는 산 형태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농축된 유화성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제초 적용에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은 또한 유리하게는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 사용된다.
식물 보호 제품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용도 중 하나를 위한 것이다: 모든 유해한 유기체로부터 식물 또는 식물 제품의 보호 또는 이러한 유기체의 영향의 방지, 식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 이외의 물질과 같은 중요한 식물 처리에 대한 영향, 식물 제품의 보존, 원하지 않는 식물 또는 식물 부분의 파괴, 또는 원하지 않는 식물 성장의 방제 또는 방지. 식물 보호 제품은 잡초를 방제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인 제초제 또는 살초제를 포함한다.
제초제는 선택적 또는 전체적 (비-선택적) 일 수 있다. 제초 기능의 선택성은 본질적으로 활성 성분의 특성 및 또한 이의 농도, 제초제가 토양 또는 식물에 적용되는 방식, 및 심지어 이의 분배에 사용되는 기계적 매개체와 관련이 있다.
잎에 적용되는 제초제는 잎 조직 및 싹을 손상시켜 국소적으로 작용하거나, 또는 물질을 식물의 뿌리 부분으로 흡수 및 수송한 후, 일반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작용할 수 있다 (침투성 제초제 또는 수송 제초제). 토양에 적용되는 제초제는 뿌리 시스템을 직접 손상시키거나 또는 종자 발아를 방지함으로써 작용한다.
또다른 분류는 제초제를 유묘 단계에서 잡초를 표적으로 삼아 작물과 경쟁할 수 있기 전에 발아를 억제하는 발아전 제초제, 및 이미 발아된 잡초를 억제하는 발아후 제초제로 나눈다. 발아전 제초제는 토양에 잔류물을 남기는 경향이 있어 환경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제초제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지방 산을 기반으로 하는 조성물은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91/05471 및 WO 91/05472 (Safer Inc.), EP 0 868 849 (W. Neudorff GmbH KG) 를 참조한다.
특히, 펠라르곤산 또는 노난산은 광범위한 일년생 및 다년생 잡초, 단자엽 및 쌍자엽, 조류 및 이끼에 대한 활성이다. 이의 제초 활성은 전형적으로 발아후 잡초 방제, 즉, 엽면 수준에서의 접촉 활성이다. 펠라르곤산은 일반적으로 제품이 적용되는 잡초의 공중 부분 상에서 접촉 건조제로서 작용한다.
WAASA Herbicide Handbook (1 January 1998, pp. 55-57) 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상품명 Scythe® 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노난산은 발아 동안에 식물 성장을 방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비-선택적인, 광범위한 엽면 제초제이다.
펠라르곤산은 임의의 잔류 작용을 갖지 않으며, 이것은 잡초에 대한 불충분하게 긴 방제 기간 및 이들의 가능한 재성장과 같은 일부 단점을 가진다.
또한, 제초제로서 펠라르곤산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 중 하나는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높은 투여량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노지에서의 사용을 어렵고 비경제적으로 만든다.
상표명 FINALSAN® 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초제 제제는, 예를 들어 18.8 중량% 의 펠라르곤산을 함유하고, 100 L 의 물 당 20 L 의 생성물의 속도로 물에 희석되며 (라벨 표시에 따름), ha 당 170 L 의 생성물의 속도로 전답에서 사용되어, 대략 830 L/ha 의 물을 필요로 한다.
요구되는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 전에 물에 희석될 수 있으며, 제초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보다 농축된 펠라르곤산의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성된 묽은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에멀젼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수성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낮은 안정성을 특징으로 하며, 결과적으로 상 분리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잡초 상의 효과적인 분포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이러한 에멀젼의 안정성은 온도 및 물 경도에 크게 의존하므로, 특정한 조건하에서만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에멀젼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에서 언급한 농축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유화제를 함유한다.
시판의 제제 BELOUKHA® 는, 예를 들어 72 중량% 의 펠라르곤산 및 공-제제를 함유하고, 8 % v/v 로 물에 희석되며, 16 L/ha 의 투여량으로 전답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적용 속도에서 물에 유화될 때, 이러한 제제는 광범위한 상 분리를 나타내고, 이는 제조 직후에 발생하며, 사용되는 물의 온도 및 경도가 높을수록 더 빨리 발생한다. 이에 따른 결과는, 사용 직전에 제조하였다 하더라도, 전답에서 생성물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어렵다.
그러므로, 제초제 적용에서 완전한 효능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안정한 즉시 사용 가능한 에멀젼을 수득하기 위해서 물에 희석될 수 있는 상기에서 기술한 것들에 대한 높은 함량의 활성 대안을 특징으로 하는 펠라르곤산 제제를 발견할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출원인은 상기 기술적 과제가 펠라르곤산 외에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및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농축된 유화성 조성물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제 발견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물에 희석되어, 고 농도의 활성 성분에서도 양호한 에멀젼 안정성을 갖는 수성 에멀젼을 생성할 수 있다. 놀랍게도, 수성 에멀젼의 형태로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사용되는 동일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에서도, 펠라르곤산을 기반으로 하는 시판의 또는 문헌에 기재된 제제보다 상당히 우수한 전체 작용 제초제로서 증가된 효능을 나타낸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기상 조건에 따라 2 내지 4 주 이상 동안 효능을 유지할 수 있어, 대부분의 잡초의 재성장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긴 기간 동안 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이들 특징은 또한 잡초 발생을 적절하게 방제하는데 필요한 활성 성분의 양을 크게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전답에서 사용되는 제제의 부피를 감소시킨다.
US 7,820,594 B2 는 펠라르곤산 및 음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처리 후에 처음 며칠 동안만 잡초를 방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 1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40 내지 90 중량% 의 펠라르곤산; 및
(b) 최대 15 중량% 의 하기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을 나타낸다),
(c) 5 내지 55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1 내지 < 15 중량%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상기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05 내지 0.15 임.
놀랍게도, 동일한 양의 활성 성분이 전답에 분포되어 있는 경우, 0.15 초과의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실제로 조성물의 제초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4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5 중량% 의 펠라르곤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 0 내지 15 중량% 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유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 0.5, ≥ 1, ≥ 2, ≥ 3, ≥ 4, ≥ 5 중량% 및 ≤ 15, ≤ 14, ≤ 13, ≤ 12, ≤ 11, ≤ 10, ≤ 9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유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3 내지 1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5 내지 5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유화제의 전체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의 함량이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총 중량에 대해서 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 인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용이하게 제제화될 수 있어, 높은 안정성을 갖는 균질한 용액을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은 유리하게 저장 및 수송될 수 있다.
적용 투여량으로 물에 희석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온도 및 물 경도의 조건하에서, 고 농도의 펠라르곤산에서도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시판의 제제보다 덜 뚜렷한 냄새를 가진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놀랍게도 제초제로서 효과적이며, 유리하게는 전체 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액체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펠라르곤산은 일반적으로 높은 올레산 또는 에루크산 함량을 갖는 식물성 오일로부터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하는데 유용한 펠라르곤산의 제조에 사용되는 식물성 오일은 전형적으로 해바라기유, 홍화유, 브라시카세아에 (Brassicaceae), 예컨대 크람베 아비시니카 (Crambe abyssinica), 브라시카 카리나타 (Brassica carinata), 브라시카 나푸스 (Brassica napus) (유채) 로부터의 오일, 및 카르두에아에 (Cardueae), 예컨대 시나라 카르둔쿨루스 (Cynara cardunculus) (엉겅퀴) 로부터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펠라르곤산은 바람직하게는 고급 올레산 해바라기유로부터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펠라르곤산은, 예를 들어 특허 EP 2 519 489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산화제의 존재하에서, 식물성 오일, 바람직하게는 고급 올레산 해바라기유의 산화적 분해 공정에 의해 생성된다. 식물성 오일의 산화적 분해 공정은 유리하게는 오존의 부재하에서 수행된다.
식물성 오일의 산화적 분해 공정은 일반적으로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특히 펠라르곤산의 생성을 위한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공지된 공정, 예를 들어 유채씨유 또는 우지유의 오존분해 공정 또는 올레핀, 특히 1-옥텐의 하이드로포르밀화 공정과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펠라르곤산을 다른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과의 혼합물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은 유리하게는 펠라르곤산의 중량에 대해서 0.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펠라르곤산 이외의 상기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은 존재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 바람직하게는 카프릴산, 카프르산, 운데칸산, 10-운데센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시놀레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2019/030060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II) 를 갖는 모노불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모노불포화 9-탄소 카르복실산:
CH3-(CH2)m-CH=CH-(CH2)n-COOH
(식 중, 합계 (m+n) 은 5 이고, m 및 n 은 개별적으로 0, 또는 1, 2, 3, 4 및 5 에서 선택되는 정수를 나타낸다).
-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2019/03006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III) 을 갖는 지방족 케토산:
R-C(O)-(CH2)n-COOH
(식 중, R 은 H 또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C5 알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4 알킬기를 나타내고, n 은 0, 1 또는 2 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제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추가의 제초제는 바람직하게는 글리포세이트, 술파닐우레아, 카르펜트라존 에틸,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제초제의 비-제한적인 구체적인 예는, 예를 들어 하기의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아클로니펜, 아미도술푸론, 아미노피랄리드, 아짐술푸론, 벤플루랄린, 벤술푸론-메틸, 비페녹스, 비스피락-Na, 시알로포프-부틸, 시클록시딤, 시프로술파미드, 클레토딤, 클로디나포프-프로파르길, 클로마존, 클로피랄리드, 클로퀸토세트-멕실, 클로로톨루론, 클로르프로팜, 클로르술푸론, 다조메트, 데스메디팜, 디캄바, 디클로포프-메틸, 디플루페니칸, 디메텐아미드-P, 에토푸메세이트, 에톡시술푸론, 펜클로림, 페녹사프로프-P-에틸, 플라자술푸론, 플로라술람, 플루아지포프-P-부틸, 플루페나세트, 플루록시피르, 포람술푸론,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 트리메시움, 글리포세이트 암모늄, 할록시포프-P, 이마자목스, 이마조술푸론, 요오도술푸론-메틸-Na, 이옥시닐, 이소프로투론, 이속사벤, 이속사플루톨, 레나실, 메소술푸론-메틸, 메소트리온, 메타미트론, 메탐 Na, 메타자클로르, 메토술람, 메트리부진, 메트술푸론-메틸, 니코술푸론, 오르토술파무론, 옥사디아르길, 옥사디아존, 옥사술푸론, 옥시플루오르펜, 펜디메탈린, 페녹스술람, 페톡사미드, 피콜리나펜, 피리데이트, 프로피자미드, 프로술푸론, 피라플루펜-에틸, 림술푸론, S-메톨라클로르, 술코트리온, 술포술푸론, 템보트리온, 테르부틸라진, 티펜술푸론-메틸, 트리알레이트, 트랄콕시딤, 트리아술푸론, 트리베누론-메틸, 트리플루술푸론-메틸 및 트리토술푸론.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화제 (b) 는 화학식 (I) 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리한 양태에 따르면, R1, R2, R3 및 R4 중 단지 하나는 CH3 이다.
또다른 양태에 따르면, R1, R2, R3 및 R4 는 H 이다. 즉, n 또는 m 중 하나가 0 인 경우, 나머지 반복 단위의 치환기 (R1 및 R2 또는 R3 및 R4) 는 H 이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유화제는 산 형태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산 형태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는 음전하 (음이온) 가 H+ 이온에 의해 중화되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Z 는 포스페이트기를 나타낸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모노 및/또는 디-에스테르화된 황산 및 모노 및/또는 디-에스테르화된 인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에스테르화된 황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하기의 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모노- 및 디-[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포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포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술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술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포스페이트, 모노- 및 디-[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술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더욱 바람직한 것은 다음과 같다: 모노-[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포스페이트, 모노-[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포스페이트, 모노-[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술페이트, 예를 들어 모노- 및 디-[세틸-폴리에틸렌 글리콜 (10 EO)-폴리프로필렌 글리콜 (5 PO)] 포스페이트, 모노- 및 디-[세틸 스테아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11 EO)] 포스페이트, [도데실 테트라데실 폴리에틸렌 글리콜 (2 EO)] 나트륨 포스페이트. 더욱더 바람직한 것은 모노- 및 디-[세틸 폴리에틸렌글리콜 (10 EO)-폴리프로필렌글리콜 (5 PO)] 포스페이트이다.
이러한 적용에서, "EO" 는 기 -(OCHR1-CHR2)- (R1 = R2 = H) 를 의미하며, "PO" 는 기 -(OCHR3-CHR4)- (R3 또는 R4 = CH3) 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는 친수성 부분 및 친지성 부분을 함유하는 전하를 갖지 않는 계면활성제를 의미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알콕시화된 알코올, 트리-스티릴-페놀, 알콕시화된 지방 산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톡시레이트화된 지방 산 에스테르, 폴리프로폭시레이트화된 지방 산 에스테르 및 에톡시-프로폭시레이트화된 지방 산 에스테르 및 폴리에톡시레이트화된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알콕시화된 알코올의 예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랜덤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알콕시화된 지방 산 에스테르의 예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과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및 리시놀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지방 산의 에스테르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알콕시화된 유도체, 특히 3,6-소르비탄과 C10-C18 지방 산의 에스테르의 폴리에톡시레이트화된 유도체, 또는 3,6-소르비탄과 C10-C18 지방 산의 에스테르의 에톡시-프로폭시레이트화된 유도체를 포함한다.
3,6-소르비탄 모노에스테르의 폴리알콕시화된 유도체의 비-제한적인 구체적인 예는, 예를 들어 1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범위의 옥시알킬렌 단위의 몰수를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폴리알콕시화된 식물성 오일의 예는 지방족 카르복실산, 특히 포화 및/또는 불포화 C14-C20 지방족 카르복실산의 트리글리세리드의 폴리에톡시레이트화된 유도체를 포함한다.
지방족 카르복실산 트리글리세리드의 폴리알콕시화된 유도체의 비-제한적인 구체적인 예는, 예를 들어 폴리에톡시레이트화된 피마자유를 포함한다.
폴리에톡시레이트화된 피마자유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범위의 옥시에틸렌 단위 (EO) 의 몰수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조성물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유용한 유기 용매는 전형적으로 수-불용성 유기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수-불용성 유기 용매는 전형적으로 지방족 탄화수소,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아미드, 알코올, 비-변성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및 C1-C4 저급 알코올을 갖는 트랜스에스테르화된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유기 용매는 비-변성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및 C1-C4 저급 알코올을 갖는 트랜스에스테르화된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유기 용매는 메탄올을 갖는 트랜스에스테르화된 식물성 오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유기 용매는 지방 산의 메틸 에스테르 (바이오디젤)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불용성 유기 용매는 메틸-올레에이트를 주 성분으로서 갖는 바이오디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a) 40 내지 90 중량% 의 펠라르곤산,
(b) > 0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의 하기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를 나타낸다),
(c) 5 내지 5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1 내지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상기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05 내지 0.15 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리하게는 다음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a) 40 내지 85 중량% 의 펠라르곤산,
(b) 5 내지 10 중량% 의 하기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를 나타낸다),
(c) 5 내지 55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1 내지 10 중량%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상기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05 내지 0.15 임.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것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리하게는 다음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a) 40 내지 85 중량% 의 펠라르곤산,
(b) 5 내지 10 중량% 의 하기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 바람직하게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를 나타낸다),
(c) 5 내지 40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1 내지 5 중량%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상기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05 내지 0.15 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 내지 5 중량% 의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 보조제는 방부제, 염료 및 냄새 개선제, 소포제, 점도 및 레올로지 개질제이다. 방부제의 예는 2-히드록시비페닐, 소르브산, p-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벤즈알데히드, 벤조산,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p-니트로페놀이다. 소르브산이 바람직하다. 에멀젼에서의 방부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 내지 1 중량% 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냄새 개선제는 향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5 중량% 의 점도 및 레올로지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점도 및 레올로지 개질제의 예는 광물성 또는 식물성 오일 중의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다양한 길이의 알킬을 갖는 합성 에스테르 (C1 내지 C18 이상, 선형 또는 분지형), 식물성 오일 또는 에스테르 또는 광물성 오일에 용해된 천연 고무 (폴리이소프렌),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이소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폴리-α-올레핀, 중축합된 지방 산, 중합체 에스테르, 예컨대 복합 에스테르, 화학적으로 개질된 식물성 오일, 예컨대 에폭시화된 오일, 에스톨라이드, 또는 중합된 식물성 오일, 로진 산의 에스테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히드록시알킬 알킬 셀룰로오스 에테르 (알킬기는 1 내지 3 개의 탄소를 함유하며, 히드록시알킬기는 2 내지 4 개의 탄소를 함유함),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에테르 또는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에테르이다. 히드록시알킬 알킬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1 내지 0.5 중량% 의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포제의 예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식물성 오일 또는 광물성 오일 중의 옥시란 중합체, 폴리실록산 및 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이다.
제 2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의 것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펠라르곤산, 및
(b) 하기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을 나타낸다),
(c)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혼합은 전형적으로 교반하에서, 균질한 조성물을 수득하도록 고안된 공정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제 3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수성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 수성 상.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수성 상에서 희석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전형적으로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 수성 에멀젼의 총 부피에 대해서 0.1 내지 15 부피% 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 수성 에멀젼의 총 부피에 대해서 85 내지 99.9 부피% 의 수성 상.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 수성 에멀젼의 총 부피에 대해서 0.5 내지 12 부피% 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 수성 에멀젼의 총 부피에 대해서 88 내지 99.5 부피% 의 수성 상.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용어 "에멀젼" 은 유화제에 의해 안정화된 2 개의 비혼화성 액체 상을 포함하는 분산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에멀젼은 전형적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에 분산되어 있는, 일반적으로 0.5 ㎛ 내지 10 ㎛ 의 중간 직경을 갖는 액정 형태의 2 개의 비혼화성 액체 상을 가진다.
따라서, 에멀젼은 2 개의 비혼화성 액체 상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혼합물과 구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유리하게는 수중유 에멀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시판품 BELOUKHA® 과 비교하여 적어도 24 시간 동안 안정하며, 심지어 24 시간 후에도 유리하게는 적어도 30 분 동안 교반 후에 안정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시판품 BELOUKHA® 과 비교하여 전형적으로 6 ℃ 내지 30 ℃ 의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전형적으로 20 내지 342 ppm CaCO3 의 다양한 물 경도 조건하에서 안정하다.
당업자는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CIPAC MT36 표준을 사용하여 에멀젼의 안정성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EPPO (유럽 식물 보호 기구) PP1 식물 보호 표준 (식물 보호 제품의 효능 평가) 에 기초하여 우수한 제초 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우수한 전체 작용 제초 활성을 나타내며, 발아후 제초제로서 특히 효과적이다. 따라서, 제 4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초제로서의 수성 에멀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수성 에멀젼을 식물에 직접 적용하면, 큐티클 및 식물 세포막을 변성 및 파괴하는 작용을 통해 식물 조직의 급속한 건조를 유발한다. 이러한 작용은 비-선택적인 접촉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식물 조직의 후속 탈수 및 사멸과 함께, 세포 주스의 빠른 방출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수성 에멀젼은 건조제 작용을 갖는 광범위한 제초제로서, 및 또한 작물 건조를 위한 수확전 보조제로서 (즉, 감자 및 큰 종자의 콩과 식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도 덩굴, 과수원 및 기타 과수 작물, 예컨대 올리브 및 견과류에서의 잡초 방제에서 적용을 발견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언급한 수성 에멀젼은 덩굴 및 과수원에서 광범위한 건조제 제초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이들 작물에서, 잡초는 물, 토양 영양소 및 빛을 포함하는 식물 자원에 대한 경쟁을 통해 작물 생산성을 손상시킨다. 또한, 일부 경우에 있어서, 잡초는 식물 해충 및 병원균을 은닉하고 매개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작물에서의 잡초를 관리하기 위한 통상적인 기술은 포도원 및 과수원 식물 아래에서 발아전 및 발아후 제초제 적용 및/또는 기계적인 작업 ("경작" 이라고도 함) 을 수반하는 반면, 영구 식물 지상피복은 줄 사이에 유지된다. 글리포세이트로서 잔류 제초제의 단기 효능 및 빈번한 기계적 작업은 재배자가 이들 작물을 성공적으로 경작하고,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통상적인 잡초 관리의 장기적 결과에 대한 우려는 최근에 대안적인 실행에서, 및/또는 통상적인 잡초 관리와 관련된 부정적인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잡초 방제를 제공하는 잔류 효과가 없는 제초제의 사용에서 관심을 발생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잡초 건조제로서의 효능은 동일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을 고려할 때, 참조 시판품 (BELOUKHA®) 보다 높았다. 이러한 적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전형적으로 언더로우 밴드 제초제 적용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통상적인 붐 분무기에 의해 식물에 적용된다.
감자 (솔라눔 투베로숨 엘. (Solanum tuberosum L.)) 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환경 조건으로부터 괴경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식물 및/또는 줄기의 공중 부분의 수확전 작물 건조로서의 적용을 발견할 수 있다. 통상적인 작물 관리에서, 수확전 보조제로서 사용되는 제제는 식물 조직의 건조를 인위적으로 가속화하여, 작물의 기계적 수확을 용이하게 하는 제초제 및/또는 고엽제이다.
주요 감자 건조제 (디쿠아트를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 는 구경꾼과 거주자의 노출 및 또한 조류의 생활에 대한 영향과 관련된 우려로 인해, 2019 년 5 월 4 일부터 EU 에 의해 시장에서 금지 및 철수되었다. 실제로, 감자 수확 전의 건조는 기계적 파괴 및/또는 화학적 건조를 통해 수행되는 통상적인 작업으로서, 피라플루펜-에틸 및 펠라르곤산과 같은 다양한 활성 성분을 사용하며, 효능의 관점에서 다양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동일한 투여량을 고려할 때, 참조 시판품 (BELOUKHA®) 과 비교해서 감자 수확전 건조제로서 더 높은 효능을 나타낸다.
제 5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을 식물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을 방제하거나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식물 또는 이의 부분의 성장을 방제하는데 있어서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의 용도를 발견한다.
특히, 상기에서 언급한 수성 에멀젼은 포도 덩굴 (비티스 비니페라 엘. (Vitis vinifera L.)) 에서 흡반의 방제 및 담배 식물 (니코티아나 타바쿰 엘. (Nicotiana tabacum L.)) 에서 액아의 억제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 상기에서 언급한 수성 에멀젼은 사과 (말루스 도메스티카 보르크흐 (Malus domestica Borkh)) 에서 블러섬 시너로서도 평가되었다.
덩굴에서, 줄기의 기저부 (흡반) 에서 발생하는 싹의 제거는 필수적인 작업이며, 그 이유는 흡반이 식물의 생산적인 부분으로부터 영양분 및 에너지를 빼앗고, 덩굴의 통기를 감소시켜 식물 건강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통상적인 기술에서, 흡반은 수동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환경 영향이 높은 잔류 화학 제품 (글루포시네이트 암모늄) 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이러한 흡반-제거 적용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은 동일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에 대해, 참조 시판품 (BELOUKHA®) 의 효능보다 우수하였다.
담배, 즉, 잎이 주 산물인 작물에서, 2차 싹의 발달은 잎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의 회수 및 제품 품질의 저하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액아의 제거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통상적인 기술에서, 이러한 작업은 노동 비용이 많이 드는 수동으로 (흡인), 또는 공급망에 대해 중요한 운영 및 지속성 문제 (긴 회복 시간 및 수확전 간격, n-데칸올-기반 제제의 강한 지속적 냄새로 인한 영향) 를 나타내는 화학 제품 (n-데칸올, 말레산 히드라지드) 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회복 시간은 적절한 보호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처리 후 작업자가 복귀할 때까지 경과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수확전 간격은 식물 성장 조절제로 처리한 날짜와 처리된 생성물의 수확 날짜 사이에 경과해야 하는 최소 일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담배에서의 곁눈을 방제하는 활성은 동일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에 대해, 시판의 참조 제제 BELOUKHA® 로 수득한 것보다 분명히 우수하였으며, 이는 담배 공급망의 현대화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뿐만 아니라, n-데칸올-기반 제제의 지속적인 냄새와 관련된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감소시켜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전형적으로 분무에 의해 식물에 적용된다.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의 적용에서, 분무는 분무기 막대를 사용하여 식물의 주요 축을 목표로 해야 한다.
사과에서, 꽃/과실 솎아내기는 나무에서 성숙하기 전에 꽃 및/또는 과실 작물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며, 필수적인 표준 관리 절차이다. 실제로, 사과 나무에 과실 꽃 및 과실이 너무 많으면, 종종 낮은 품질의 시장성 있는 생산이 발생한다. 또다른 문제는 사과와 같은 2년생 과실이 과도하게 많은 작물을 가지면, 격년에 부족한 작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패턴은 깨질 수 있으며, 적절한 솎아내기 기술에 의해 일정한 바람직한 크기의 작물을 정기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꽃/과실 솎아내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계적, 화학적, 및 손에 의한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수작업에서, 작업자는 만족스러운 과실 솎아내기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과실을 제거한다. 손에 의한 솎아내기는 매우 노동 집약적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사과 꽃을 기계적으로 솎아내기 위한 기계가 개발되었다. 이들 기계는 일련의 매듭이 있는 로프를 사용하며, 이 로프가 나무 사이로 끌려 꽃의 일부를 떨어뜨린다. 이러한 실행은 많은 경우에 나무에 상당한 손상을 입히며, 이러한 기술의 적용을 위해 조정되어야 하는 일부 나무 구조에서는 솎아내기 효능이 적절하지 않았다. 또한, 기계로 솎아낸 나무에서 해충 (예컨대, 진딧물) 및 질병의 일부 증가가 관찰되었다. 비용 측면에서 화학적 솎아내기가 바람직하지만, 일관된 결과, 뿐만 아니라, 환경 문제는 기존의 화학적 방법의 주요 단점이다. 일관되지 않은 결과는 과도한 솎아내기, 불충분한 솎아내기, 및 잎 손상을 포함한다.
화학적 과실 솎아내기 전략의 성공은 품종, 나무의 상태, 결실, 수분 조절제에 대한 근접성, 날씨, 사용되는 활성 성분 및 특정한 적용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한 사과에서의 꽃 솎아내기의 활성은 시판의 참조 제제 Ethrel C® (활성 성분으로서 에테폰을 가짐) 로 수득한 것과 유사하였으며, 이는 에테폰이 솎아내기가 거의 없는 것부터 결실의 완전한 억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솎아내기 반응을 생성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효능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기의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목적으로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물질
- 고급 올레산 해바라기유의 산화적 분해에 의해 수득된 펠라르곤산 (중량 기준 순도 98 %).
- 펠라르곤산 (대략 680 g/l 의 활성 성분에 해당하는 72 중량% 및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없음) 을 함유하는 상품명 BELOUKHA® 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초제 제제 (2016 년 2 월 26 일자 시행령에 의해 승인된 라벨).
- 유화제 A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틸-폴리에틸렌 글리콜 (10 EO)-폴리프로필렌 글리콜 (5 PO)] 포스페이트 산,
- 유화제 B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세틸 스테아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11 EO)] 포스페이트 산,
- 유화제 C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도데실 테트라데실 폴리에틸렌 글리콜 (2EO)] 나트륨 술페이트,
- 유화제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모노 올레에이트 폴리에톡시레이트 (20 EO),
- 유화제 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르비탄 모노 올레에이트,
- 유화제 F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PEG-80 소르비탄 라우레이트,
- 유기 용매 A: 메틸 올레에이트를 주로 포함하는 지방 산의 메틸 에스테르.
실시예 1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80.7 중량% 의 펠라르곤산
- 6 중량% 의 유화제 A
- 3 중량% 의 유화제 D
- 1 중량% 의 유화제 E
- 9.3 중량% 의 용매 A.
실시예 2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80.7 중량% 의 펠라르곤산
- 6 중량% 의 유화제 B
- 3 중량% 의 유화제 D
- 1 중량% 의 유화제 E
- 9.3 중량% 의 용매 A.
실시예 3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80.7 중량% 의 펠라르곤산
- 6 중량% 의 유화제 C
- 3 중량% 의 유화제 D
- 1 중량% 의 유화제 E
- 9.3 중량% 의 용매 A.
비교예 4
펠라르곤산 (대략 680 g/l 의 활성 성분에 해당하는 72 중량%) 을 함유하는 상품명 BELOUKHA® 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제초제 제제.
비교예 5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80 중량% 의 펠라르곤산
- 5 중량% 의 유화제 D
- 5 중량% 의 유화제 F
- 10 중량% 의 용매 A.
실시예 6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80 중량% 의 펠라르곤산
- 1 중량% 의 유화제 A
- 4 중량% 의 유화제 D
- 5 중량% 의 유화제 F
- 10 중량% 의 용매 A.
비교예 7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성분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41 중량% 의 펠라르곤산
- 1 중량% 의 유화제 A
- 9 중량% 의 유화제 D
- 49 중량% 의 용매 A.
비교예 7 의 조성물에서,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25 로서, 0.15 보다 높다.
실시예 1-3 의 조성물은 주위 온도에서 0.91 g/㎤ 의 밀도를 가지며, 실시예 6 및 비교예 5 는 주위 온도에서 0.92 g/㎤ 의 밀도를 가진다. 실시예 1-3, 6 및 비교예 5 는 대략 720 g/l 의 활성 성분 농도 (즉, 100 % 펠라르곤산) 를 가진다.
비교예 7 의 조성물은 주위 온도에서 0.90 g/㎤ 의 밀도를 가지며, 대략 360 g/l 의 활성 성분 농도 (즉, 100 % 펠라르곤산) 를 가진다.
실시예 1-3, 6 및 비교예 4, 5 및 7 의 조성물을 상이한 농도로 물에 희석시키고, 다음에 대해 시험하였다:
- 실시예 1-3 및 비교예 4 의 조성물을 8 % v/v 및 10 % v/v 로 희석시켜 제조한 에멀젼에 대해 평가한 에멀젼 안정성 (실시예 8, 표 2-4);
- 제조된 묽은 에멀젼을 다음과 같이 전답에 배포함에 의한 제초 활성 (실시예 9, 표 5-6):
ㆍ 6.0 % v/v 및 7.55 % v/v 의 실시예 1 의 조성물 (8640 g/ha 및 10880 g/ha 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
ㆍ 7.55 % v/v 의 실시예 2, 3, 6 및 비교예 5 의 조성물 (10880 g/ha 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
ㆍ 8 % v/v 의 비교예 4 의 조성물 (10880 g/ha 의 활성 성분과 동일한 투여량),
ㆍ 15.10 % v/v 의 비교예 7 의 조성물 (10880 g/ha 의 활성 성분과 동일한 투여량);
- 제조된 에멀젼을 다음과 같이 희석시켜 적용함에 의한 담배 싹의 방제의 유효성 (실시예 10, 표 7):
ㆍ 0.6 % v/v 및 1 % v/v 의 실시예 1 의 조성물 (2592 g/ha 및 4320 g/ha 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
ㆍ 1.2 % v/v 의 비교예 4 의 조성물 (4896 g/ha 의 활성 성분과 동일한 투여량);
- 제조된 에멀젼을 다음과 같이 희석시켜 적용함에 의한 포도 덩굴 흡반의 방제의 유효성 (실시예 11, 표 8):
ㆍ 7.55 % v/v 의 실시예 1 의 조성물 (10880 g/ha 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
ㆍ 8 % v/v 의 비교예 4 의 조성물 (10880 g/ha 의 활성 성분과 동일한 투여량);
- 제조된 에멀젼을 다음과 같이 희석시켜 적용함에 의한 사과 과수원의 잡초 방제의 유효성 (실시예 12, 표 9):
ㆍ 6.00 % v/v 및 7.55 % v/v 의 실시예 1 의 조성물 (8640 g/ha 및 10880 g/ha 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
ㆍ 8 % v/v 의 비교예 4 의 조성물 (10880 g/ha 의 활성 성분과 동일한 투여량);
- 제조된 에멀젼을 다음과 같이 희석시켜 적용함에 의한 감자의 수확전 건조제로서의 유효성 (실시예 13, 표 10):
ㆍ 6.00 % v/v 및 7.55 % v/v 의 실시예 1 의 조성물 (8640 g/ha 및 10880 g/ha 의 활성 성분의 투여량),
ㆍ 8 % v/v 의 비교예 4 의 조성물 (10880 g/ha 의 활성 성분과 동일한 투여량).
실시예 8. 에멀젼 안정성 비교
실시예 1-3 및 비교예 4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의 안정성을 하기에 나타낸 조건하에서 표준 CIPAC 방법 MT 36 (단락 36.1.1 - 손 진탕) 에 따라 다양한 온도에서 다양한 경도의 물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8 % v/v 및 10 % v/v 에멀젼의 안정성을 표준 물 A 및 D (표 1 에 제공된 특징) 중에서 6 ℃, 20 ℃ 및 30 ℃ 에서 시험하였고, 2 h, 24 h 및, 마지막으로 재분산 후, 24 h + 30 min 에서 평가하였으며, 모든 시험한 조건에서, 시판품과 비교하여 더 양호한 거동을 확인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표 2-4 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에멀젼은 비교예 4 의 제초제 조성물의 동일한 희석액으로부터 제조된 것보다 더 안정하며, 24 h + 30 min 에서 재분산 후, 최종 평가에서 자유 오일 분리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9. 자연적인 침입에 대한 제초 활성의 전답 시험
실시예 1-3 및 6 으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의 제초 활성은 비교예 4, 5 및 7 로부터 제조된 에멀젼과 비교하여, 꽃 구성이 쌍자엽 잡초 (특히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 엘. (Artemisia vulgaris L.), 카프셀라 부르사-파스토리스 (Capsella bursa-pastoris), 타락사쿰 오피시날레 (Taraxacum officinale) 및 메디카고 사티바 엘. (Medicago sativa L.)) 및 단자엽 잡초 (시노돈 닥틸론 (Cynodon dactylon) 및 포아 프라텐시스 (Poa pratensis)) 로 주로 이루어진 전답에서 평가하였다.
자연적인 침입에 대한 이러한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실시예 1-3, 6 및 비교예 5 의 조성물의 7.55 % v/v 희석액, 비교예 4 의 조성물의 8 % v/v 희석액 및 비교예 7 의 조성물의 15.10 % v/v 희석액을 제조하여, 동일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 (10880 g/ha) 을 동일한 부피의 수성 에멀젼을 사용하여 전답에 분배하였다. 특히, 실시예 1-3, 6 및 비교예 5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14.5 L/ha 의 수성 에멀젼, 비교예 4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16 L/ha 의 수성 에멀젼 및 비교예 7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29.0 L/ha 의 수성 에멀젼을 분배하였다.
제초 활성의 평가는 4 회의 관련 시간, 즉, 각각 1, 3, 7 및 12 DAA (적용 후 다음날) 에서 수행하였으며, EPPO (식물 보호 제품 표준의 효능 평가 PP1/152 (4); PP1/181 (4)) 에 의해 정의된 표준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시각적 효능 평가 점수 (% 건조) 는 미처리 대조군 (0 % 와 동일) 과 비교하여 0 내지 100 % 의 척도로 할당되었다. 처리의 유효성 평가와 관련된 데이터는 ANOVA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을 유의 수준 p ≤ 0.05 에 대해 터키 시험 (Tukey test) 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표 5
Figure pct00005
전답 시험에서 수득된 결과는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음), 비교예 5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 (음이온성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음) 및 비교예 7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 (상기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15 초과임) 보다, 실시예 1-3 및 6 으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에 대해, 단자엽 및 쌍자엽 잡초에 대한 통계적으로 더 높은 제초 활성을 보여준다. 특히, 동일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 (10880 g/ha) 을 사용한 경우 (표 5), 적용 3 일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초 활성은 비교예 4 및 5 보다 10 % 이상 더 높았으며, 12 일 후에는 17 % 이상 더 높았다. 또한, 적용 3 일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초 활성은 비교예 7 보다 40 % 이상 더 높았으며, 12 일 후에는 50 % 이상 더 높았다.
자연적인 침입에 대해 전답 조건하에서 시험을 반복하고, 실시예 1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6 % v/v 및 7.55 % v/v 로 희석된 2 개의 수성 에멀젼의 제초 활성을 비교예 4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8 % v/v 희석액과 비교하여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특히, 제초 활성은 8640 g/ha 및 10880 g/ha 의 활성 성분 (각각 본 발명에 따른 6 % v/v 및 7.55 % v/v 에멀젼을 사용) 및 10880 g/ha 의 활성 성분 (비교예 4 의 제제로부터 제조된 8 % v/v 에멀젼을 사용) 의 투여량을 전답에 분배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pct00006
표 6 에 나타낸 전답 시험에서 수득한 결과는 적용 후 처음 12 일 후에, 실시예 1 로부터 제조된 에멀젼의 제초 활성이 20 % 더 적은 활성 성분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비교예 4 에서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0. 담배 싹 방제의 유효성의 증거
실시예 1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의 담배 싹 방제에서의 효능을 버지니아 브라이트 (Virginia Bright) 품종의 식물에 대해 평가하고,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에멀젼과 비교하였다.
담배 싹에 대한 이러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실시예 1 의 조성물의 0.6 % v/v 및 1 % v/v 의 2 개의 희석액, 및 비교예 4 의 조성물의 1.2 % v/v 의 하나의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특히, 효능은 2592 g/ha 및 4320 g/ha 의 활성 성분 (각각 본 발명에 따른 0.6 % v/v 및 1 % v/v 에멀젼을 사용) 및 4896 g/ha 의 활성 성분 (비교예 4 의 제제로부터 제조된 1.2 % v/v 에멀젼을 사용) 을 각각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은 EPPO PP 표준 1/152 (4), 1/135 (4), 1/181 (4) 및 1/155 (3)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각각의 에멀젼의 3 회, 즉, 개화전 동안에 1 회 (A) 및 개화후 동안에 2 회 (B, C) 적용을 수행하였다.
EPPO PP 1/155 (3) 에 따라서 담배에서의 곁눈 방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총 5 개의 정단 싹에 대한 활성 싹의 수를 4 회 관련 시간에서 계수하였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표 7
Figure pct00007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에멀젼은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 단지 적당한 활성을 나타냈지만, 세번째 적용 후에 활성 싹의 82 내지 84 % 가 5 개의 정단 싹의 총계에 여전히 기록되었기 때문에 (7 DAC 및 13 DAC 참조), 4 회 관련 시간에서 기록된 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른 1 % v/v 에멀젼의 놀라운 유효성을 보여주었다. 활성 성분의 농도가 비교 (1.2 % v/v) 보다 낮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과는 더욱 놀랍다.
특히, 세번째 적용 후에, 본 발명에 따른 1 % v/v 에멀젼은 놀랍게도 높은 담배 싹 방제를 나타냈으며, 5 개의 정단 싹의 총계의 28 % 만이 활성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0.6 % v/v 에멀젼은 활성 성분의 약 절반 만을 함유하지만, 비교에 필적할 만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11. 포도 덩굴의 흡반 방제의 유효성의 증거
포도 덩굴 (비티스 비니페라 엘. (Vitis vinifera L.)) 의 흡반 방제에서의 실시예 1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의 효능을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에멀젼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실시예 1 로부터의 조성물의 7.55 % v/v 및 비교예 4 로부터의 조성물의 8.0 % v/v 로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로부터의 조성물 및 비교예 4 로부터의 조성물의) 두 희석액으로부터 10880 g/ha 의 활성 성분을 적용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시험은 GEP (Good Experimental Practice)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 및 적용은 지침 EPPO 표준 PP 1/152 (4), 1/135 (4), 1/181 (4), 1/161 (3) 및 1/64 (4)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EPPO PP 1/161 (3) (포도덩굴의 흡반 방제) 에 따라서 포도 덩굴의 흡반 방제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각의 에멀젼의 2 개의 상이한 적용 (작물의 BBCH 55 계절적 성장 단계에서의 첫번째 적용 및 BBCH 67 단계에서의 두번째 적용) 을 시험에서 수행하였다.
첫번째 적용 전에, 활성 흡반의 균일한 존재 및 발달이 시험 영역 전체에서 관찰되었다. 전체 시험 기간 동안에, 손상되고 죽은 싹의 백분율을 기록하여 흡반 방제를 평가하였다. 흡반 방제 활성의 평가는 상이한 관련 시간에서, 각각 22 DAB 및 43 DAB 에서 수행하였다.
시각적 효능 평가 점수 (% 건조) 는 미처리 대조군 (0 % 와 동일) 과 비교하여 0 내지 100 % 의 척도로 할당되었다.
평가 데이터는 분산 분석 (ANOVA) 에 의해 분석하였다. 처리의 유의한 효과가 수득된 경우 (ANOVA 분석에 기초함), 평균 사이의 차이를 SNK (Student-Newman-Keuls) 시험 (P = 0.05) 으로 확인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표 8
Figure pct00008
표 8 의 데이터는 실시예 1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이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22 DAB 에서 62.6 % 대 43.8 %, 및 43 DAB 에서 44.8 % 대 36.2 %).
실시예 12: 사과 과수원의 잡초 방제의 유효성의 증거
사과 과수원 cv. Brookfield (말루스 도메스티카 보르크흐 (Malus domestica Borkh)) 의 잡초 방제에서의 실시예 1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의 효능을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에멀젼과 비교하였다. 이러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실시예 1 의 조성물의 6.00 % v/v 및 7.55 % v/v 의 2 개의 희석액, 및 비교예 4 의 조성물의 8.00 % v/v 의 하나의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특히, 효능은 8640 g/ha 및 10880 g/ha 의 활성 성분 (각각 본 발명에 따른 6.00 % v/v 및 7.55 % v/v 에멀젼을 사용) 및 10880 g/ha 의 활성 성분 (비교예 4 의 제제로부터 제조된 8.00 % v/v 에멀젼을 사용) 을 각각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은 GEP (Good Experimental Practice)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 및 적용은 지침 EPPO 표준 PP 1/152 (4) (효능 평가 시험의 설계 및 분석), 1/135 (4) (식물독성 평가), 1/181 (4) (효능 평가 시험의 수행 및 보고) 및 1/90 (3) (과수원의 잡초 및 감귤류 및 올리브와 같은 기타 과수 작물) 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시험은 사과 과수원의 잡초에 대한 각각의 에멀젼의 효능 및 선택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설정하였다. 적용은 작물의 계절적 성장 단계인 BBCH 78 및 BBCH 81 에서 2 회 수행하였다. 첫번째 적용 시점에서, 전답에서의 잡초 군집을 결정하고, 제곱미터 당 목표 잡초의 수를 기록하였다. 잡초 군집은 전답에서 균일하였다. 제초 활성의 평가는 4 회의 관련 시간에서, 각각 7 DAA 및 14 DAA 에서 및 14 DAB 및 20 DAB 에서 수행하였다.
시각적 효능 평가 점수 (% 건조) 는 미처리 대조군 (0 % 와 동일) 과 비교하여 0 내지 100 % 의 척도로 할당되었다.
시험의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표 9
Figure pct00009
이들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실시예 1) 이 비교예 4 로부터의 에멀젼보다 더 효과적이며, 활성 성분의 농도가 비교예보다 더 낮더라도 (실시예 1 의 8640 g/ha 대 비교예 4 의 10880 g/ha), 장기간에서도 (14 DAB 및 20 DAB 에서) 양호한 방제를 보장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
실시예 13: 감자의 수확전 건조제로서의 유효성의 증거
실시예 1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의 수확전 건조제로서의 효능을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에멀젼과 비교하여 감자 cv. Mikado 에서 평가하였다.
이러한 활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실시예 1 로부터의 조성물의 6.0 % v/v 및 7.55 % v/v 희석액 및 비교예 4 로부터의 조성물의 8 % v/v 희석액을 제조하여, 실시예 1 로부터의 조성물의 7.55 % v/v 희석액 및 비교예 4 로부터의 조성물의 8 % v/v 희석액에 대한 10880 g/ha 의 동일한 투여량의 활성 성분을 동일한 부피의 수성 에멀젼을 사용하여 전답에 분배하였다. 특히, 실시예 1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12.0 L/ha 및 14.5 L/ha 의 에멀젼 및 비교예 4 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16 L/ha 의 에멀젼을 분배하였다.
건조제 활성의 평가는 14 DAA (적용 후 다음날) 에서 수행하였으며, EPPO 지침 PP n. 135 (4) (식물독성 평가), PP n. 143 (3) (감자에 사용되는 건조제), PP n. 152 (4) (효능 평가 시험의 설계 및 분석), e PP n. 181 (4) (효능 평가 시험의 수행 및 보고) 에 의해 정의된 표준에 따라서 수행하였다.
시각적 효능 평가 점수 (% 건조) 는 미처리 대조군 (0 % 와 동일) 과 비교하여 0 내지 100 % 의 척도로 할당되었다. 처리의 유효성 평가와 관련된 데이터는 ANOVA 시험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평균을 유의 수준 p ≤ 0.05 에 대해 터키 시험 (Tukey test) 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시험의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낸다.
표 10
Figure pct00010
전답 시험에서 수득된 결과는 실시예 1 로부터의 조성물의 6.00 % v/v 희석액에 대한 8640 g/ha 의 더 낮은 투여량의 활성 성분에서도, 비교예 4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보다 실시예 1 로부터 제조된 수성 에멀젼에 대해 통계적으로 더 높은 건조제 활성을 보여준다.

Claims (15)

  1.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물:
    (a) 40 내지 90 중량% 의 펠라르곤산; 및
    (b) 최대 15 중량% 의 하기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을 나타낸다),
    (c) 5 내지 55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1 내지 < 15 중량%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상기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05 내지 0.15 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a) 40 내지 85 중량% 의 펠라르곤산,
    (b) 5 내지 10 중량% 의 화학식 (I) 을 갖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을 나타낸다),
    (c) 5 내지 55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1 내지 10 중량% 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상기 펠라르곤산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의 합계의 중량 함량 사이의 비는 0.05 내지 0.15 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b) 의 함량이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총 중량에 대해서 5 중량% 초과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 (b) 가 산 형태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모노- 및 디-에스테르화된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가 H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R2, R3 및 R4 중 단지 하나가 CH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화제 (b) 가 모노-[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포스페이트, 모노-[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포스페이트, 모노-[알킬-폴리에틸렌 글리콜] 술페이트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가 지방족 탄화수소,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의 디에스테르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아미드, 알코올, 비-변성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리드) 및 C1-C4 저급 알코올을 갖는 트랜스에스테르화된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다음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펠라르곤산 및
    (b) 하기 화학식 (I) 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R-(OCHR1-CHR2)n-(OCHR3-CHR4)m-O-)q-Z
    (식 중,
    R 은 선형 또는 분지형 C4-C18 알킬 라디칼이고,
    R1, R2, R3 및 R4 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H3 이고,
    n 및 m 은 0 내지 30 의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수이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0 이 아니며, q 는 1 또는 2 이고,
    Z 는 산 형태의 술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기 또는 이의 염을 나타낸다),
    (c)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
    (d)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부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유화제.
  11. 다음을 포함하는 수성 에멀젼: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 수성 상.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다음을 포함하는 수성 에멀젼:
    - 수성 에멀젼의 총 부피에 대해서 0.1 내지 15 부피% 의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 수성 에멀젼의 총 부피에 대해서 85 내지 99.9 부피% 의 수성 상.
  13. 제초제로서의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따른 수성 에멀젼의 용도.
  14. 식물 또는 이의 부분의 성장을 방제하는데 있어서 식물 성장 조절제로서의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따른 수성 에멀젼의 용도.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따른 수성 에멀젼을 식물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의 성장을 방제 또는 억제하는 방법.
KR1020227032059A 2020-02-21 2021-02-18 펠라르곤산-기반 제초제 조성물 KR20220144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03635A IT202000003635A1 (it) 2020-02-21 2020-02-21 Composizioni erbicide a base di acido pelargonico
IT102020000003635 2020-02-21
PCT/EP2021/054050 WO2021165411A1 (en) 2020-02-21 2021-02-18 Pelargonic acid-based herbicide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836A true KR20220144836A (ko) 2022-10-27

Family

ID=7073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059A KR20220144836A (ko) 2020-02-21 2021-02-18 펠라르곤산-기반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230079789A1 (ko)
EP (2) EP4025049B1 (ko)
JP (1) JP2023514712A (ko)
KR (1) KR20220144836A (ko)
CN (1) CN115209729A (ko)
AU (1) AU2021222964A1 (ko)
BR (1) BR112022016584A2 (ko)
CA (1) CA3166651A1 (ko)
CL (1) CL2022002260A1 (ko)
ES (1) ES2932666T3 (ko)
HU (1) HUE060714T2 (ko)
IT (1) IT202000003635A1 (ko)
PL (1) PL4025049T3 (ko)
PT (1) PT4025049T (ko)
WO (1) WO2021165411A1 (ko)
ZA (1) ZA202208333B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8468A (en) * 1989-10-13 1992-03-24 Safer, Inc. Fatty acid based emulsifiable concentrate having herbicidal activity
US5106410A (en) * 1989-10-13 1992-04-21 Safer, Inc. Fatty acid based herbicidal compositions
US4975110A (en) 1989-10-13 1990-12-04 Safer, Inc. Fatty acid based herbicidal compositions
US5035741A (en) 1989-10-13 1991-07-30 Safer, Inc. Fatty acid based emulsifiable concentrate having herbicidal activity
US5366995A (en) * 1991-05-01 1994-11-22 Mycogen Corporation Fatty acid based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established plant infections
US5284819A (en) * 1992-05-01 1994-02-08 Mycogen Corporation Herbicidally-active glycol esters of fatty acids
CA2139849A1 (en) * 1992-07-14 1994-01-20 Jeffrey Coultas Novel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ucker control in tobacco
DE4343856A1 (de) * 1993-12-22 1995-06-29 Hoechst Ag Öl-in-Wasser-Emulsionen
US5919733A (en) 1997-04-04 1999-07-06 W. Neudorff Gmbh Kg Non-staining herbicidal soap
US7820594B2 (en) * 2003-01-09 2010-10-26 Coleman Robert D Pes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CN101743964A (zh) * 2008-12-09 2010-06-23 上海市农业科学院 一种生物源除草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IT1397378B1 (it) 2009-12-30 2013-01-10 Novamont Spa Processo continuo di scissione ossidativa di oli vegetali
ES2587685T3 (es) * 2012-07-25 2016-10-26 Bayer Cropscience Ag Formulación de concentrado emulsionable (CE) con ácidos grasos activos herbicidas
CN104186562B (zh) * 2014-08-20 2016-07-20 杨凌农科大无公害农药研究服务中心 一种含壬酸的生物源增效复配除草剂及其制备方法
JP2016190832A (ja) * 2015-03-30 2016-11-10 丸和バイオケミカル株式会社 ペラルゴン酸を用いる効果的除草技術
IT201700088474A1 (it) 2017-08-02 2019-02-02 Novamont Spa Composizioni erbicide a base di acido pelargonico
IT201700088554A1 (it) 2017-08-02 2019-02-02 Novamont Spa Composizioni erbicide a base di acido pelargonico e altri acid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32666T3 (es) 2023-01-23
ZA202208333B (en) 2023-04-26
CA3166651A1 (en) 2021-08-26
US20230079789A1 (en) 2023-03-16
HUE060714T2 (hu) 2023-04-28
CN115209729A (zh) 2022-10-18
BR112022016584A2 (pt) 2022-10-11
EP4025049B1 (en) 2022-11-23
WO2021165411A1 (en) 2021-08-26
PT4025049T (pt) 2022-12-06
PL4025049T3 (pl) 2023-01-30
CL2022002260A1 (es) 2023-06-23
EP4025049A1 (en) 2022-07-13
AU2021222964A1 (en) 2022-09-08
EP4140300A1 (en) 2023-03-01
JP2023514712A (ja) 2023-04-07
IT202000003635A1 (it) 202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3197B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pesticides
UA125608C2 (uk) Комбінації гербіцидів, які містять глюфосинат та індазифлам
AU2015205559B2 (en) Use of a chemical agent for thinning of stone fruit
EP0774903B1 (en) Pest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fatty amine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endothall and salts thereof
KR20220144836A (ko) 펠라르곤산-기반 제초제 조성물
JP6950074B2 (ja) ノナン酸とケト酸に基づく除草剤組成物
US11653648B2 (en) Herbicidal compositions based on nonanoic acid and nonenoic acid
EP0946089A1 (en) Plant growth regulators in pyrrolidone solvents
WO1998027811A9 (en) Plant growth regulators in pyrrolidone solvents
AU741375B2 (en) Pest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fatty amine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endothall and salts thereof
CA3211973A1 (en) Liquid herbicidal compositions
JP2022517959A (ja) 農業用組成物
JPS6136486B2 (ko)
MXPA97001091A (es) Composiciones pesticidas que contienen aminas grasas etoxiladas para incrementar la efectividad del endotalio y sus sales
KR20170046092A (ko) 제초제 조합물
MXPA98007159A (en) Regulators of plant growth of solvents pirro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