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675A -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675A
KR20220144675A KR1020210051301A KR20210051301A KR20220144675A KR 20220144675 A KR20220144675 A KR 20220144675A KR 1020210051301 A KR1020210051301 A KR 1020210051301A KR 20210051301 A KR20210051301 A KR 20210051301A KR 20220144675 A KR20220144675 A KR 2022014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compressor
accumula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장기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675A/ko
Priority to US17/558,843 priority patent/US20220333601A1/en
Priority to EP22151129.8A priority patent/EP4080140A1/en
Priority to CN202210125305.XA priority patent/CN115218569B/zh
Publication of KR2022014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675A/ko
Priority to KR1020230023040A priority patent/KR10259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35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92Removing solid or liquid contaminants from the gas under pumping, e.g. by filtering or deposition; Purging; Scrubbin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6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4Accumulators for refrigerant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6Pipes for fluid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 F25B1/04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of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는, 압축기의 쉘 외부에 배치되며, 냉매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일단은 증발기의 출구측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는 냉매연결배관과,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냉매흡입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은 별도의 배관홀더 없이도 어큐뮬레이터의 케이스에 고정되어 어큐뮬레이터의 진동을 줄이면서도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ACCUMULATO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WITH THIS}
본 발명은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 어큐뮬레이터가 쉘의 외부에 구비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매냉매흡입관과 압축부 간의 냉매연결관계에 따라 저압식 압축기와 고압식 압축기로 구분될 수 있다. 저압식 압축기는 냉매냉매흡입관이 쉘의 내부공간에 연통되어 압축부와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이고, 고압식 압축기는 냉매냉매흡입관이 쉘을 관통하여 압축부에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다.
저압식 압축기는 냉매냉매흡입관을 통과하는 냉매가 쉘의 내부공간을 통과함에 따라 쉘의 내부공간에서 액냉매와 기체냉매가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압식 압축기는 압축부의 상류측에 별도의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고압식 압축기는 냉매냉매흡입관을 통과하는 냉매가 압축부로 직접 공급됨에 따라 액냉매가 가스냉매와 함께 압축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압식 압축기는 압축부의 상류측에 별도의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되어 액냉매가 압축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통상 어큐뮬레이터는 압축기의 일측에 편심되게 배치되고, 입구를 이루는 상단은 냉매냉매연결관이 구비되어 증발기의 출구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며, 출구를 이루는 하단은 냉매냉매유로관이 구비되어 압축기와 냉매냉매흡입관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의 중간은 그 어큐뮬레이터를 감싸는 고정브라켓에 의해 압축기에 고정되고 있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는 냉매냉매연결관과 냉매냉매유로관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냉매냉매연결관과 냉매냉매유로관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냉매냉매연결관을 통과하는 가스냉매와 액냉매가 충분히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매냉매유로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 S61-197968호)은 냉매냉매연결관과 냉매냉매유로관이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되 냉매냉매연결관과 냉매냉매유로관의 사이에 차단편이 구비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액냉매가 냉매냉매유로관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지만 차단판이 압축기 진동에 의해 파손되어 장기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허문헌 2(일본공개특허 제2013-119817호)는 냉매냉매유로관의 입구가 냉매냉매연결관을 마주보지 않도록 절곡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냉매냉매유로관이 어큐뮬레이터의 바디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이는 액냉매가 냉매냉매유로관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면서도 냉매냉매유로관이 어큐뮬레이터의 바디에 고정되어 그 냉매냉매유로관의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는 냉매냉매유로관의 외주면 일측이 어큐뮬레이터의 내주면에 용접되는 것이어서 용접면적이 제한적이고 이로 인해 냉매냉매유로관이 어큐뮬레이터로부터 탈거되어 진동 및 소음을 가중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3(일본공개특허 제2011-169183호)은 냉매냉매유로관이 냉매냉매연결관과 동일축선상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냉매냉매유로관이 냉매냉매연결관의 사이에는 스크린이 설치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냉매냉매연결관을 통과하는 냉매가 스크린에 의해 가스냉매와 액냉매로 분리되어 액냉매가 냉매냉매유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은 냉매냉매유로관이 별도의 배관홀더에 의해 어큐뮬레이터의 바디에 고정되는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는 냉매냉매유로관이 배관홀더에 의해 고정되어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할 수 있으나 별도의 배관홀더가 추가됨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각각 냉매냉매연결관이 어큐뮬레이터의 축중심선상에 위치함에 따라 압축기의 축중심에서 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압축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가진되어 전체적으로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한 압축기의 진동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각각 냉매냉매유로관과 냉매냉매연결관이 동일축선상에 배치되거나 냉매냉매유로관이 냉매냉매연결관보다 낮게 배치됨에 따라 액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이로 인해 이들 특허문헌에서는 냉매냉매연결관을 통과한 냉매에서 액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 또는 이와 유사한 스크린부재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매냉매연결관에서 어큐뮬레이터의 냉매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냉매냉매연결관으로부터 인접한 냉매냉매유로관으로 빠르게 빨려 들어가면서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한 압축기의 소음이 가중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S61-197968호(공개일: 1986.9.2.) 일본공개특허 제2013-119817호(공개일: 2013.6.17.) 일본공개특허 제2011-169183호(공개일: 2011.09.01.)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쉘의 일측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의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배관홀더를 배제하고도 어큐뮬레이터의 냉매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배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여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이동하는 냉매가 어큐뮬레이터에서 소음이 감쇄되도록 할 수 있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는 냉매에서 액냉매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동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어큐뮬레이터를 통과하는 냉매가 그 어큐뮬레이터의 냉매수용공간에서 나선형으로 유동하도록 하여 액냉매의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 냉매연결배관, 냉매흡입배관을 포함한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압축기의 쉘 외부에 배치되며, 냉매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일단은 냉매수용공간의 외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은 별도의 배관홀더 없이도 어큐뮬레이터의 케이스에 고정되어 어큐뮬레이터의 진동을 줄이면서도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배관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의 상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냉매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을 케이스에 용이하게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고정부를 길게 형성하여 냉매흡입배관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냉매흡입배관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배관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를 이루는 부품들의 제조 및 조립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축중심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을 통해 압축기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냉매연결배관과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의 양단을 케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하는 동시에 냉매연결배관의출구와 냉매흡입배관의 입구 사이의 거리를 확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케이스의 축중심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상기 케이스의 축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을 케이스에 고정하면서도 냉매연결배관이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냉매수용공간에 연통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상기 냉매흡입배관보다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와 냉매연결배관이 결합되는 부분에서의 진동을 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냉매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통공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수용공간에서 냉매가 장시간 또는 장거리를 유동하도록 하여 가스냉매와 액냉매의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냉매통공은 상기 냉매흡입배관이 상기 냉매연결배관을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에서 냉매흡입배관 사이의 거리를 더욱 확대하여 냉매의 유동시간 및 유동거리를 길게 확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에는 상기 냉매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일 또는 이물질이 압축실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압축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스크린부재는 메쉬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쉬스크린은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 단부에 형성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냉매연결배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는 스크린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을 통해 냉매가 냉매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향해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1 안내부에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제1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안내부가 상기 제1 안내부에서 절곡되는 위치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을 통해 냉매가 냉매수용공간의 측면을 향해 유입됨에 따라 사이클론효과에 의해 액냉매와 가스냉매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지지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스크린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제조비용을 낮추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는, 하단은 복개되어 상기 냉매흡입배관이 관통 결합되고, 상단은 개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단을 복개하며, 상기 냉매연결배관이 관통되는 상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배관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냉매연결배관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홀더를 배제하면서도 냉매흡입배관의 양단을 케이스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쪽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을 압축기쪽으로 인접시켜 냉매연결배관을 통한 진동을 낮출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캡의 내측면에서 상기 상부캡의 외측면쪽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상기 배관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배관홀더를 구비하지 않고도 냉매흡입배관을 케이스에 고정하여 어큐뮬레이터의 진동을 낮출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에 가까운쪽 또는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에서 먼쪽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을 압축기쪽으로 인접시켜 냉매흡입배관을 통한 진동을 낮출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냉매유로관; 및 일단은 상기 냉매유로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냉매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유로관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을 통한 진동을 낮추면서도 압축기와 어큐뮬레이터 사이의 연결부재에 대한 소재선택의 자유로들 높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단일관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압축기의 쉘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품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냉매흡입배관을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쉘, 전동부, 압축부,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한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쉘은 그 내부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전동부는 상기 쉘의 내부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쉘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쉘의 내부공간에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쉘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쉘에 지지되며, 상기 쉘을 관통하여 상기 압축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에서 대부분의 액냉매는 분리되고, 압축기로는 주로 가스냉매가 흡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케이스, 냉매연결배관, 냉매흡입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냉매수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일단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의 외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을 통해 냉매수용공간으로 흡입되는 냉매는 그 냉매수용공간을 순환한 후 냉매흡입배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연결배관과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적어도 일부가 축방향으로 중첩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의 출구와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입구 사이가 멀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은 별도의 배관홀더 없이도 어큐뮬레이터의 케이스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는, 냉매흡입배관은, 냉매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은 별도의 배관홀더 없이도 어큐뮬레이터의 케이스에 고정되어 어큐뮬레이터의 진동을 줄이면서도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상면에는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배관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의 상단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고정부가 케이스의 축중심선상에 형성되고, 냉매흡입배관은 냉매연결배관과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의 양단을 케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흡입배관은 케이스의 축중심선상에 배치되고, 냉매연결배관은 케이스의 축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을 케이스에 고정하면서도 냉매연결배관이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냉매수용공간에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연결배관은 냉매흡입배관보다 압축기의 축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스와 냉매연결배관이 결합되는 부분에서의 진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흡입배관에 냉매통공이 형성되되, 냉매통공은 냉매연결배관의 하단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수용공간에서 냉매가 장시간 또는 장거리를 유동하도록 하여 가스냉매와 액냉매의 분리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연결배관은 냉매수용공간에서 직선관으로 연장되고, 냉매연결배관에는 메쉬스크린으로 된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는 스크린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을 통해 냉매가 냉매수용공간의 바닥면을 향해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연결배관은 냉매수용공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부 및 제1 안내부에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되, 스크린부재는 제1 안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을 통해 냉매가 냉매수용공간의 측면을 향해 유입됨에 따라 사이클론효과에 의해 액냉매와 가스냉매가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지지부재를 추가하지 않고도 스크린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제조비용을 낮추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흡입배관을 지지하는 배관고정부가 상부캡의 중심에 형성되고, 냉매연결배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은 상부캡의 중심에서 압축기의 축중심쪽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연결배관을 압축기쪽으로 인접시켜 냉매연결배관을 통한 진동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연결배관이 삽입되는 관통구멍은 상부캡의 중심에 형성되고, 냉매흡입배관을 지지하는 배관고정부는 상부캡의 중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에 가까운쪽 또는 압축기의 축중심에서 먼쪽으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을 압축기쪽으로 인접시켜 냉매흡입배관을 통한 진동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 장치를 보인 계통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어큐뮬레이터가 적용된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어큐뮬레이터를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어큠레리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Ⅳ-Ⅳ"선단면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의 진동을 종래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로서, 도 8의 (a)는 냉매연결배관에서의 진동변화를, 도 8의 (b)는 냉매흡입배관에서의 진동변화를 각각 보인 그래프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가 적용된 압축기의 냉난방시 소음을 종래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로서, 도 9의 (a)는 냉방시 소음에 대해, 도 9의 (b)는 난방시 소음에 대해 종래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연결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냉매안내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Ⅴ-Ⅴ"선단면도,
도 12은 도 10에서 냉매안내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Ⅴ-Ⅴ"선단면도,
도 13은 어큐뮬레이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어큐뮬레이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는 압축기의 외관을 이루는 쉘이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형 압축기는 물론, 쉘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형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는 롤링피스톤(또는 롤러)과 베인으로 압축부를 이루는 로터리 압축기는 물론, 복수 개의 스크롤이 서로 맞물려 압축부를 이루는 스크롤 압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압축기와 스크롤 압축기는 물론 냉매냉매흡입관이 압축부에 직접 연결되는 고압식 압축기와 같이 어큐뮬레이터가 적용되는 압축기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로터리 압축기 중에서 실린더에 형성된 베인슬롯에 베인이 삽입되어 롤링피스톤(또는 롤러)의 외주면에 미끄러지게 접촉되는 통상적인 로터리 압축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가 적용된 냉동사이클 장치를 보인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가 적용되는 냉동사이클 장치는,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기(30), 증발기(40), 어큐뮬레이터(50)가 폐루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압축기(10)의 토출측에 응축기(20), 팽창기(30), 증발기(40), 어큐뮬레이터(50)가 차례대로 연결되고, 압축기(10)의 흡입측에 어큐뮬레이터(50)를 사이에 두고 증발기(40)의 토출측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10)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20)쪽으로 토출되고, 이 냉매는 팽창기(30)와 증발기(40), 그리고 어큐뮬레이터(50)를 차례대로 거쳐 압축기(10)로 다시 흡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다만, 어큐뮬레이터(50)는 통상 압축기(10)의 흡입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압축기(10)로 흡입되는 냉매에서 액냉매를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어큐뮬레이터(50)가 냉동사이클 장치의 일부를 이룬다기 보다는 압축기의 한 부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어큐뮬레이터가 적용된 로터리 압축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압축기는, 쉘(110)의 내부공간(110a)에 전동부(120)가 설치되고, 전동부(120)의 하측에는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쉘(110)의 내부공간(110a)으로 토출하는 압축부(130)가 설치된다. 전동부(120)와 압축부(130)는 회전축(125)에 의해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쉘(110)의 내부공간은 밀봉되고, 하반부에는 후술할 냉매흡입배관(53)의 일부를 이루며 어큐뮬레이터(5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냉매흡입관(532)이 결합된다. 쉘(110)의 상부에는 응축기에 연결되는 냉매토출관(113)이 결합된다. 냉매토출관(113)은 후술할 회전축(125)과 동일축선상에 결합된다.
냉매흡입관(532)은 쉘(110)을 관통하여 실린더(133)의 흡입구(1331)에 직접 연결되고, 냉매토출관(113)은 쉘(110)을 관통하여 내부공간(110a)에 연통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는 쉘(110)의 내부공간(110a)이 토출압을 이루는 고압식 압축기를 형성하게 된다.
냉매흡입관(532)의 상류측, 즉 증발기(40)와 압축기(10)의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어큐뮬레이터(50)가 설치된다. 어큐뮬레이터(50)는 냉매수용공간(51a)이 구비된 케이스(51)와, 케이스(51)의 상단을 관통하여 냉매수용공간(51a)에 연통되는 냉매연결배관(52)과, 케이스(51)의 하단을 관통하여 냉매수용공간(51a)에 연통되는 냉매흡입배관(53)을 포함한다. 어큐뮬레이터(50)에 대하여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전동부(120)는 고정자(121), 회전자(122)를 포함한다. 전동부(120)는 통상적인 회전모터 또는 구동모터라고 이해될 수 있다.
고정자(121)는 쉘(110)의 내부에 고정되고, 회전자(122)는 고정자(1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고정자(121)에는 고정자코일(1211)이 권선되고, 회전자(122)에는 영구자석(미도시)이 삽입된다. 또한 회전자(122)의 중심에는 회전축(125)이 압입되어 결합된다.
압축부(130)는 메인베어링플레이트(이하, 메인베어링)(131), 서브베어링플레이트(이하, 서브베어링)(132), 실린더(133), 롤링피스톤(134), 베인(135)을 포함한다.
메인베어링(131)은 쉘(110)의 내주면에 고정 결합되고, 메인베어링(131)의 하측에는 그 메인베어링(131)과 함께 회전축(125)을 지지하는 서브베어링(132)이 실린더(133)를 사이에 두고 구비된다. 종방향의 경우 메인베어링(131)은 상부베어링, 서브베어링(132)은 하부베어링이라고 할 수 있다.
메인베어링(131)은 실린더(133)의 상면을 복개하여 함께 압축실(V)을 형성하는 메인플레이트부(1311)와, 메인플레이트부(1311)에서 회전축(125)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125)을 지지하는 메인보스부(1312)로 이루어진다.
메인플레이트부(1311)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쉘(110)의 내주면에 압입되거나 용접되어 결합된다. 메인플레이트부(1311)에는 압축실(V)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구(1313)가 형성되고, 토출구(1313)의 단부에는 그 토출구(1313)를 개폐하는 토출밸브(1315)가 설치된다.
서브베어링(132)은 실린더(133)와 함께 압축실(V)을 형성하는 서브플레이트부(1321)와, 서브플레이트부(1321)에서 회전축(125)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축(125)을 지지하는 서브보스부(1322)로 이루어진다.
서브플레이트부(1321)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실린더(133)와 함께 메인플레이트부(1311)에 볼트 체결되고, 서브보스부(1322)에는 회전축(125)이 관통되어 지지되는 서브축수구멍(1322a)이 형성된다.
메인베어링(131)과 서브베어링(132)의 사이에는 그 메인베어링(131) 및 서브베어링(132)과 함께 압축실(V)을 형성하는 실린더(133)가 구비된다. 실린더(133)는 서브베어링(132)과 함께 메인베어링(131)에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실린더(133)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메인베어링(131)과 서브베어링(132)에 의해 압축실(V)이 형성되고, 실린더(133)의 일측에는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흡입구(1331)가 형성되며, 흡입구(1331)의 일측에는 베인(135)이 미끄러지게 삽입되는 베인슬롯(1332)이 형성된다.
실린더(133)의 압축실(V)에는 회전축(125)에 편심지게 결합되어 선회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롤링피스톤(134)이 구비되고, 실린더(133)의 내벽에는 롤링피스톤(134)에 접하여 그 롤링피스톤(134)과 함께 압축실(V)을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하는 베인(135)이 미끄러지게 삽입된다.
롤링피스톤(134)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25)의 편심부(미부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인(135)은 실린더(133)의 베인슬롯(1332)에 미끄러지게 삽입되어 롤링피스톤(134)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133)의 압축실(V)은 베인(135)에 의해 흡입구(1331)에 연통되는 흡입공간(미부호)과 토출구(1313)에 연통되는 토출공간(미부호)으로 분리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5는 고정브라켓, 136은 토출머플러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고정자(121)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122)와 회전축(125)이 고정자(121)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면서 롤링피스톤(134)이 선회운동을 하고, 이 롤링피스톤(134)의 선회운동에 따라 압축실(V)을 이루는 흡입공간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면 압축실(V)에 연통되는 어큐뮬레이터(50)의 냉매수용공간(51a)으로 냉매가 냉매연결배관(52)을 통해 증발기(40)로부터 유입된다.
이 냉매는 어큐뮬레이터(50)의 냉매수용공간(51a)에서 가스냉매와 액냉매로 분리되고, 가스냉매는 냉매흡입배관(53)을 통해 곧바로 압축실(V)로 흡입되는 반면 액냉매는 냉매수용공간(51a)의 하반부에 고였다가 기화되어 냉매흡입배관(53)을 통해 압축실(V)로 흡입된다.
한편, 압축실(V)로 흡입된 냉매는 롤링피스톤(134)의 선회운동에 의해 점점 압축되고, 이 냉매는 토출공간에서 메인베어링(131)에 구비된 토출구(1313)를 통해 토출머플러(136)로 토출된 후 쉘(110)의 내부공간(110a)으로 배출된다. 이 냉매는 냉매토출관(113)을 통해 응축기(20)를 향해 이동한 후 앞서 설명한 과정을 통해 압축실(V)로 흡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압축기(10)는 전동부(120)와 압축부(13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고, 압축기(10)에서 발생된 진동은 냉매흡입배관(53)과 고정브라켓(115)을 통해 어큐뮬레이터(50)로 전달되며, 이 진동은 어큐뮬레이터(50)에 연결된 냉매연결배관(52)을 통해 냉동사이클 장치로 전달되어 냉동사이클 장치를 포함한 실외기의 소음이 가중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종래에는 어큐뮬레이터(50)의 내부에서 냉매흡입배관(53)을 지지하는 배관홀더(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배관홀더를 추가함에 따라 부품수와 조립공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어큐뮬레이터(50)에 대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냉매연결배관(52)을 통해 어큐뮬레이터(50)의 냉매수용공간(51a)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그 냉매수용공간(51a)에서 냉매흡입배관(53)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압축기(10)의 압축실(V)로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냉매연결배관(52)과 냉매흡입배관(53)이 동일축선상에 배치됨에 따라 냉매연결배관(52)의 출구와 냉매흡입배관(53)의 입구가 인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냉매수용공간(51a)에서 가스냉매와 액냉매가 충분히 분리되지 못하여 다량의 액냉매가 압축실(V)로 유입되어 압축효율 및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냉매연결배관(52)의 출구와 냉매흡입배관(53)의 입구가 인접하게 되면 냉매가 냉매연결배관(52)에서 냉매흡입배관(53)으로 빠르게 흡입되면서 냉매수용공간에서의 흡입소음을 감쇄하지 못하여 압축기(10)와 어큐뮬레이터(50)를 포함한 실외기 소음도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연결배관(52)과 냉매흡입배관(5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배관의 양단이 어큐뮬레이터(50)를 이루는 케이스(51)의 양측에 고정됨으로써 배관홀더를 배제하면서도 어큐뮬레이터(50)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냉매연결배관(52)과 냉매흡입배관(53) 중에서 어느 한 쪽 배관을 압축기에 인접하도록 위치이동시켜 어큐뮬레이터(50)의 진동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큐뮬레이터(50)의 제조비용과 진동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냉매연결배관(52)의 출구가 냉매흡입배관(53)의 입구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수용공간(51a)에서 가스냉매와 액냉매의 분리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흡입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어큐뮬레이터를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어큠레리터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Ⅳ-Ⅳ"선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을 포함한다. 케이스(51)는 압축기(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냉매연결배관(52)은 증발기(40)의 출구와 어큐뮬레이터(50)의 입구 사이를 연결하며, 냉매흡입배관(53)은 어큐뮬레이터(50)의 출구와 압축기(10)의 흡입측을 연결한다. 이에 따라 냉매는 증발기(40)에서 냉매연결배관(52)을 통해 어큐뮬레이터(50)로 유입되고, 이 냉매는 냉매흡입배관(53)을 통해 압축기(10)의 압축실(V)로 흡입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51)는 원통바디(511), 상부캡(512)을 포함한다. 원통바디(511)와 상부캡(512)은 각각 강(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원통바디(511)는 한 개의 원통바디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 개의 원통바디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한 개의 원통바디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원통바디(511)로 형성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원통바디(511)는 그 형상을 상징적으로 정의한 것일 뿐 반드시 원통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사각통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원통바디(511)는 길이방향(또는 축방향)의 양단 중에서 하단은 막히고 상단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원통바디(511)의 하단은 원통바디(511)의 측면에서 단일체로 연장되어 복개되되, 그 중심에는 냉매유로관(531)이 관통되도록 제1 배관구멍(511a)이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원통바디(511)는 하단이 상단과 마찬가지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하단이 막힌 원통바디(51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원통바디(511)의 하단은 하향으로 돌출되는 하향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원통바디(511)의 하단이 반드시 반구형상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원통바디(511)의 하단은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상향반구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다만 원통바디(511)의 하단은 하향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진동측면에서 유리하고 상향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며 냉매수용공간(51a)의 체적을 확보하는데도 유리하다.
원통바디(511)의 하단에는 제1 배관구멍(511a)이 형성된다. 제1 배관구멍(511a)은 후술할 냉매흡입배관(53)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이 삽입되어 케이스(51)에 고정되는 구멍이다.
예를 들어, 제1 배관구멍(511a)은 원통바디(511)의 하단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유로관(531)이 원통바디(511)의 하단 중심을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원통바디(5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관구멍(511a)의 둘레에는 그 제1 배관구멍(511a)을 감싸는 제1 연장돌부(미부호)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관구멍(511a)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이 제1 연장돌부에 용접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원통바디(511)는 케이스(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원통바디(511)는 그 내경이 케이스(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통바디(511)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절두원추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게중심이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진동감쇄측면에서 유리하고 액냉매의 분리효과측면에서도 유리할 수 있다.
원통바디(511)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브라켓(115)에 의해 압축기(10)의 쉘(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브라켓(115)이 한 개인 경우에는 고정브라켓(115)은 원통바디(511)의 상반부를 지지하는 것이 진동감쇄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512)은 전체적으로는 평평한 원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부캡(512)은 상향, 즉 냉매수용공간(5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소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을 줄이는데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냉동사이클 장치의 실외기에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옥외 설치시 빗물 등이 침투하더라도 어큐뮬레이터(50)의 상면에 고이는 것을 억제하여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캡(512)은 중앙부에 평면부(512a)가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고, 평편부(512a)의 양쪽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부가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512a)의 일측에는 제2 배관구멍(512c)이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관구멍(512c)은 냉매연결배관(52)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연결관(521)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구멍이다. 상부캡(512)의 외측면에는 제2 배관구멍(512c)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연장돌부(미부호)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배관구멍(512c)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냉매연결관(521)이 제2 연장돌부(미부호)에 용접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2 배관구멍(512c)은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 즉 케이스(51)의 축중심 또는 상부캡(512)의 중심(O)에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관구멍(512c)은 상부캡(512)의 중심(O)으로부터 압축기(10)의 축중심(CL1)쪽으로 최대한 편심지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연결배관(52)에 연결되는 냉매배관이 진동원인 압축기(10)쪽으로 근접되게 배치되어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되는 2차 진동이 감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 또는 케이스(51)의 축중심을 이루는 상부캡(512)의 중심(O)에는 냉매유로관(531)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배관고정부(512d)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고정부(512d)는 상부캡(512)의 외측면에서 냉매수용공간(5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부캡(512)의 내측면에서 보면 배관고정부(512d)는 기설정된 깊이만큼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은 배관고정부(512d)에 삽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배관고정부(512d)의 높이에 따라 냉매유로관(531)의 삽입깊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고정부(512d)의 높이는 가능한 한 높게 형성되는 것이 냉매유로관(531)의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연결배관(52)은 냉매연결관(521)과 냉매안내관(522)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연결배관(52)은 케이스(51)의 냉매수용공간(51a)에서 그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케이스(5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냉매연결관(521)은 통상 냉매배관과 동일한 소재, 예를 들어 동관(cooper pi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냉매연결관(521)은 상부캡(512)과 동일 소재, 예를 들어 강관(steel pipe)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냉매연결관(521)의 일단은 상부캡(512)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된 제2 배관구멍(512c)에 삽입되어 상부캡(512)의 제2 연장돌부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냉매연결관(521)의 타단은 상부캡(512)의 외부, 즉 냉매수용공간(51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증발기(40)의 출구에서 연장된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연결관(521)은 길이방향으로 케이스(51)와 평행한 직선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배관은 냉매연결관(521)과 동일축선상, 예를 들어 냉매흡입배관(53)으로부터 압축기(10)쪽으로 편심진 위치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기(10)의 진동이 냉매배관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매연결관(521)은 일단, 즉 냉매배관에 연결되는 단부가 냉매흡입배관(53)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하도록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냉매연결관(521)이 압축기(10)쪽으로 근접하여 케이스(51)에 연결됨에 따라 어큐뮬레이터(50)의 진동이 감쇄되면서도 그 어큐뮬레이터(50)와 냉매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기존의 제조라인을 그래로 활용할 수 있다.
냉매안내관(522)은 냉매연결관(521)과 동일한 소재, 예를 들어 동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냉매안내관(522)은 직선관으로 형성되어 냉매연결관(521)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안내관(522)은 양단이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고 양단 사이는 막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매안내관(522)의 상단은 그 일부가 확관되어 냉매연결관(521)의 하단을 마주보도록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안내관(522)의 상단은 제2 배관구멍(512c)의 내측단 주변에서 냉매연결관(521)의 하단이 삽입되어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냉매안내관(522)의 하단은 냉매연결관(521)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냉매수용공간(51a)의 바닥면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안내관(522)의 내부에는 메쉬스크린(523)으로 된 스크린부재가 삽입되고, 메쉬스크린(523)은 금속으로 된 일종의 메쉬뭉치로 형성되어 냉매안내관(522)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냉매안내관(522)의 내부에는 메쉬스크린(523)을 지지하는 스크린지지부(523a)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지지부(523a)는 냉매안내관(522)의 내경이 감소하도록 오무리거나 또는 별도의 링을 삽입하여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안내관(522)에 링을 삽입한 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냉매안내관(522)에서 메쉬스크린(523)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냉매안내관(522)의 하단은 원통바디(511)의 대략 중간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냉매안내관(522)의 하단은 냉매연결배관(52)의 출구를 이루는 것으로, 냉매안내관(522)의 길이는 가능한 한 길게 형성되어 원통바디(511)의 하단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액냉매의 분리효과를 높이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냉매안내관(522)의 하단이 원통바디(511)의 하면에 너무 근접하게 되면 그만큼 냉매안내관(522)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냉매안내관(522)의 길이는 냉매안내관(522)의 하단이 후술할 냉매통공(531c)보다 하측에 위치하면서 원통바디(511)의 상단, 즉 상부캡(512)에서 대략 중간높이까지의 길이보다는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매안내관(522)의 타단이 원통바디(511)의 하면에 접촉되어 용접되거나 별도의 배관고정부(512d)를 구비하여 후술할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과 같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냉매안내관(522)의 중간에 일종의 냉매배출구멍을 이루는 냉매통공(531c)이 냉매유로관(531)의 냉매통공(531c)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흡입배관(53)은 냉매유로관(531) 및 냉매흡입관(532)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흡입배관(53)은 케이스(51)의 냉매수용공간(51a)에서 그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케이스(5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흡입배관(53)은 냉매연결배관(52)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냉매흡입배관(53)의 적어도 일부는 냉매연결배관(52)과 케이스(51)의 길이방향(또는 축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매유로관(531)은 직선관으로 형성되어 원통바디(511)의 중심과 동일축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은 원통바디(511)의 하단 중심에, 제2 단(531b)은 상부캡(512)의 중심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은 원통바디(511)의 제1 배관구멍(511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은 상부캡(512)의 배관고정부(512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유로관(531)은 그 양단이 케이스(51)에 고정되어, 냉매유로관(531)이 후술할 냉매흡입관(532)을 통해 압축기(10)에 연결되더라도 그 냉매유로관(531)의 2차 진동은 최소화될 수 있다.
냉매유로관(531)은 케이스(51)와 같은 강(steel)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과 제2 단(531b)은 각각 원통바디(511)와 상부캡(512)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매유로관(531)의 양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의 외주면과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이 삽입되는 배관고정부(512d)의 내주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거나 또는 탄성면이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매유로관(531)을 상부캡(512)에 용접하지 않고 압입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냉매유로관(531)은 상부캡(512)과 다른 소재, 예를 들어 동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냉매유로관(531)의 중간높이, 즉 제1 단(531a)과 제2 단(531b) 사이에는 냉매수용공간(51a)에 연통되는 냉매통공(531c)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통공(531c)은 냉매연결배관(52)의 출구를 이루는 냉매안내관(522)의 하단보다는 높거나 같게, 바람직하게는 냉매안내관(522)의 하단보다는 기설정된 높이(△H)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매흡입배관(53)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은 냉매연결배관(52)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안내관(522)과 케이스(51)의 길이방향(또는 축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연결관(521)의 출구와 냉매유로관(531)의 입구 사이의 간격이 일정 거리만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안내관(522)의 하단을 통해 냉매수용공간(51a)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냉매통공(531c)을 향해 곧바로 이동하지 않고 냉매수용공간(51a)을 선회한 후에 냉매통공(531c)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냉매수용공간(51a)으로 유입되는 가스냉매에서 액냉매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만, 냉매통공(531c)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통공(531c)은 냉매유로관(531)의 하단에서 인접하게 형성하여 냉매수용공간(51a)에서의 냉매의 이동거리를 최소화하거나 또는 냉매유로관(531)의 하단에서 멀리 형성하여 냉매수용공간(51a)에서의 냉매의 이동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의 흡입량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동시에 냉매의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해 감쇄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한 개의 냉매통공(531c)은 냉매유로관(531)의 내경 또는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통공(531c)의 내경 또는 단면적은 냉매유로관(531)의 내경 또는 단면적 대비 0.5배보다는 크거나 같고 냉매유로관(531)의 내경 또는 단면적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냉매통공(531c)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통공(531c)의 단면적은 냉매유로관(53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냉매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냉매유로관(5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액냉매의 압축기(10)로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냉매의 흡입량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동시에 냉매의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해 감쇄하고자 하는 주파수대역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냉매흡입관(532)은 통상 엘(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은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에 연결되고, 냉매흡입관(532)의 타단은 압축기(10)의 쉘(110)을 관통하여 흡입구(1331)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흡입관(532)은 동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강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의 쉘(110)에 동 소재로 된 연결부재(미부호)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냉매흡입관(532)은 동관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연결부재가 강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냉매흡입관(532) 역시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50)에 비해 진동이 감쇄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의 진동을 종래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로서, 도 8의 (a)는 냉매연결배관에서의 진동변화를, 도 8의 (b)는 냉매흡입배관에서의 진동변화를 각각 보인 그래프들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의 일단을 이루는 냉매연결배관(52)에서의 진동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냉매연결배관(52)에서의 진동은 운전주파수(Hz)가 증가할 수록 점점 증가하되, 종래(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는 운전주파수가 50Hz에서 90Hz로 증가할 때 진동은 대략 1000gal에서 거의 2000gal까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동일 운전주파수 대역에서 진동은 대략 1000gal에서 1500gal까지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가 종래의 어큐뮬레이터(50)에 비해 냉매연결배관(52)에서의 진동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냉매연결배관(52)이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으로부터 압축기(10)의 축중심(CL1)쪽으로 편심되도록 위치이동(shift)되어 연결함에 따라, 어큐뮬레이터(50)의 케이스(51)에서 냉매연결배관(52)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진폭이 감쇄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8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의 타단을 이루는 냉매흡입배관(53)에서의 진동도 크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종래의 냉매흡입배관(53)에서의 진동은 운전주파수(Hz)가 증가할 수록 점점 증가하여 운전주파수가 50Hz에서 90Hz로 증가할 때 진동은 대략 1000gal에서 거의 1400gal까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동일 운전주파수 대역에서 진동은 대략 1000gal에서 오히려 500gal까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가 종래의 어큐뮬레이터(50)에 비해 냉매흡입배관(53)에서의 진동이 더욱 크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연결배관(52)의 축중심(CL3)이 압축기(10)쪽으로 위치이동되어 연결되면서 어큐뮬레이터(50)의 진동이 감쇄되는 동시에, 냉매흡입배관(53)을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의 양단이 어큐뮬레이터(50)의 케이스(51)에 고정됨에 따라 압축기(10)에서 냉매흡입배관(53)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쇄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종래의 어큐뮬레이터에 비해 흡입소음이 감쇄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가 적용된 압축기의 냉난방시 소음을 종래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로서, 도 9의 (a)는 냉방시 소음에 대해, 도 9의 (b)는 난방시 소음에 대해 종래와 비교하여 보인 그래프들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냉방시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가 적용된 압축기(10)는 종래(예를 들어 특허문헌 3)와 비교할 때 소음감소효과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대략 70~80rpm으로 운전을 하는 냉방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대략 52.5dB인데 반해, 종래의 압축기는 대략 53.8dB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시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가 적용된 압축기(10)는 종래에 비해 대략 소음이 1.3dB 정도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도 9의 (b)를 참조하면, 난방시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가 적용된 압축기(10)는 종래와 비교할 때 냉방시보다 더 큰 소음감소효과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대략 80~90rpm으로 운전을 하는 난방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는 대략 51.3dB인데 반해, 종래의 압축기는 대략 53.0dB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시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가 적용된 압축기(10)는 종래에 비해 소음이 대략 1.7dB 정도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매연결배관(52)의 축중심(CL3)이 압축기(10)쪽으로 위치이동되어 연결되는 동시에 냉매흡입배관(53)을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의 양단이 어큐뮬레이터(50)의 케이스(51)에 고정되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냉매연결배관(52)의 출구보다 냉매흡입배관(53)의 입구가 더 높게 배치됨에 따라, 냉매연결배관(52)을 통해 어큐뮬레이터(50)의 냉매수용공간(51a)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냉매흡입배관(53)으로 빠르게 빨려들지 않고 냉매수용공간(51a)을 넓게 순환한 후 냉매흡입배관(53)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큐뮬레이터(50)의 냉매수용공간(51a)에서 흡입소음이 효과적으로 감쇄되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흡입배관(53)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의 제1 단(531a)은 원통바디(511)의 하단에 고정되는 반면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은 원통바디(511)의 상단을 복개하는 상부캡(512)에 고정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별도의 배관홀더를 추가하지 않으면서도 냉매유로관(53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관홀더와 같은 부품이 추가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냉매안내관이 직선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절곡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연결배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냉매안내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Ⅴ-Ⅴ"선단면도이고, 도 12은 도 10에서 냉매안내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을 포함한다. 이들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연결배관(52)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안내관(522)이 전술한 직선관과 다르게 절곡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안내관(522)은 하반부가 절곡되어 출구가 원통바디(511)의 내측면을 향해 개구되는 형상, 즉 엘(L)자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안내관(522)은 입구를 이루는 제1 안내부(522a) 및 출구를 이루는 제2 안내부(52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안내부(522a)는 냉매연결관(521)의 하단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안내부(522b)는 제1 안내부(522a)의 하단 또는 중간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안내부(522a)에는 메쉬스크린(523)이 삽입되고, 제2 안내부(522b)의 출구는 원통바디(51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안내부(522b)는 그 출구단이 냉매유로관(5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 안내부(522a)와 제2 안내부(522b)는 도면에서와 같이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제1 안내부(522a)와 제2 안내부(522b)가 단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냉매안내관(522)의 제조가 용이하고, 제1 안내부(522a)와 제2 안내부(522b)가 조립되는 경우에는 제2 안내부(522b)를 원통바디(511)의 내주면과 대응하게 형성하는 등 제2 안내부(522b)의 형상설계에 대한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1 안내부(522a)와 제2 안내부(522b)는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내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내경이 다른 경우에는 제2 안내부(522b)의 내경을 제1 안내부(522a)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메쉬스크린(523)을 더욱 안정적으로 더욱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2 안내부(522b)는 제1 안내부(522a)의 하단에서 연장될 수도 있고, 제1 안내부(522a)의 중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안내부(522b)가 제1 안내부(522a)의 하단에서 연장될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저항을 낮출 수 있는 반면, 제2 안내부(522b)가 제1 안내부(522a)의 중간에서 연장될 경우에는 메쉬스크린(523)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매안내관(522)의 하반부가 원통바디(511)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절곡된 경우에는 그 냉매안내관(522)을 통과하여 냉매수용공간(51a)으로 유입되는 냉매가 원통바디(511)의 내주면을 따라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면 냉매수용공간(51a)에서 냉매가 원심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일종의 사이클론 효과가 발생되어 가스냉매와 액냉매의 분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냉매가 압축실(V)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큐뮬레이터(50)의 동일체적 대비 액냉매와 가스냉매의 분리효과가 향상됨에 어큐뮬레이터(5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어큐뮬레이터(50)를 소형화하여 진동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냉매안내관(522)이 절곡관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냉매안내관(522)에 메쉬스크린(523)을 삽입한 후 별도의 용접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메쉬스크린(523)이 냉매안내관(522)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쉬스크린(523)이 냉매안내관(5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메쉬스크린(523)을 냉매안내관(522)에 고정하기 위한 용접작업을 배제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제2 안내부(522b)가 제1 안내부(522a)에 대해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직각방향으로 절곡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제2 안내부(522b)의 출구가 제1 안내부(522a)에 대해 대략 45°정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안내부(522b)에서 배출되는 냉매가 나선형으로 선회를 하면서도 케이스(51)의 하면, 즉 냉매통공(531c)으로부터 먼 냉매수용공간(51a)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어 그만큼 액냉매의 분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안내부(522b1)(522b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안내부(522b1)(522b2)는 제1 안내부(522a)의 하단에서 좌우 양쪽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안내관(522)은 한 개의 제1 안내부(522b1)와 복수 개의 제2 안내부(522b2)가 조합되어 티(T)자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매안내관(522)이 절곡되더라도 그 출구가 양쪽에 형성됨에 따라 냉매수용공간(51a)으로 배출되는 냉매의 유동저항이 감소하여 냉매수용공간(51a)을 향해 빠른 속도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안내관(522)의 출구가 복수 개로 형성됨에 따라 냉매수용공간(51a)에서의 냉매순환형태가 복잡하게 되어 냉매 간 충돌이 증가하면서 액냉매의 분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캡에 배관고정부가 상향 돌출되어 냉매유로관의 제2 단이 배관고정부에 삽입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배관고정부가 상부캡에서 하향 돌출되어 그 배관고정부가 냉매유로관의 제2 단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3은 어큐뮬레이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을 포함한다. 이들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51)의 일부를 이루는 상부캡(512)의 중앙에 배관고정부(512d)가 형성되되, 배관고정부(512d)는 냉매수용공간(51a)을 향해 하향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흡입배관(53)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이 상부캡(512)의 배관고정부(512d)에 고정되되, 배관고정부(512d)가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배관고정부(512d)와 냉매유로관(531)은 용접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압입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상기와 같이 배관고정부(512d)가 냉매유로관(531)을 향해 돌출(함몰)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배관고정부(512d)만큼 어큐뮬레이터(5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를 통해 냉매흡입배관(53)의 조립작업시 배관고정부(512d)를 피해 작업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냉매흡입배관(53)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냉매유로관(531)을 절곡하여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에 위치시킬 경우에는 배관고정부(512d)가 상부캡(512)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냉매유로관(531)을 절곡하여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에 위치시키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배관고정부(512d)를 길게 형성하여 냉매유로관(531)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배관고정부(512d)의 길이가 가능한 한 길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배관고정부(512d)가 상부캡(512)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배관고정부(512d)의 돌출길이가 제한적일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와 같이 배관고정부(512d)가 상부캡(512)에서 냉매수용공간(51a)으로 함몰되는 경우에는 배관고정부(512d)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더라도 주변의 부품과 충돌할 우려가 없다. 이를 통해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배관고정부(512d)가 냉매수용공간(51a)을 향해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부캡(512)의 외측면에서 배관고정부(512d)가 함몰됨에 따라, 실외 설치시 배관고정부(512d)에 빗물 등이 고여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부캡(512)의 외측면에서 함몰된 배관고정부(512d)에 마개를 삽입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이 고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부캡에 냉매유로관의 제2 단을 고정하는 배관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캡에 냉매유로관이 관통되는 배관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을 포함한다. 이들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캡(512)의 중심(O)에 제3 배관구멍(512e)이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은 제3 배관구멍(512e)을 통과하여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에는 별도의 마개부재(533)를 끼워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을 복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이 상부캡(512)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복개되는 경우에는 그 냉매유로관(531)의 조립길이에 대한 허용오차를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매유로관(531)의 조립시 가공오차 등으로 인해 냉매유로관(531)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상부캡(512)을 원통바디(511)에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상부캡(512)에 배관고정부(512d)가 형성되어 그 배관고정부(512d)에 냉매유로관(531)이 삽입되는 경우에는 냉매유로관(531)의 길이와 배관고정부(512d)의 높이가 정교하게 가공되어야 한다. 만약 냉매유로관(531)의 길이가 배관고정부(512d)의 높이보다 길면 상부캡(512)이 원통바디(511)에서 들뜨게 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는 냉매유로관(531)이 배관고정부(512d)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냉매유로관(531)이 상부캡(512)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그 냉매유로관(531)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형성하여 가공오차로 인한 냉매유로관(531)과 상부캡(512) 사이의 조립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냉매흡입배관이 어큐뮬레이터의 축중심에 위치하고 냉매연결배관이 어큐뮬레이터의 축중심으로부터 압축기의 축중심쪽으로 편심지게 위치이동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냉매흡입배관과 냉매연결배관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도 15는 어큐뮬레이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을 포함한다. 이들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연결배관(52)이 상부캡(512)의 중심(O)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냉매흡입배관(53)의 축중심(CL4)은 상부캡(512)의 중심(O)으로부터 압축기(10)쪽으로 편심지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연결배관(52)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안내관(522)은 냉매수용공간(51a)을 형성하는 원통바디(511)의 대략 중간높이까지 삽입되고, 냉매흡입배관(53)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은 양단이 각각 원통바디(511)의 하단과 상부캡(512)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512)은 그 중심(O)에 제2 배관구멍(512c)이 형성되어 냉매연결배관(52)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연결관(521)이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캡(512)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중심부분이 볼록한 반구 또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캡(512)은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이 고정되도록 배관고정부(512c)가 형성되되, 배관고정부(512c)는 상부캡(512)의 중심에서 압축기(10)쪽으로 편심지게 위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원통바디(511)의 하단에는 제1 배관구멍(511a)이 형성되되, 제1 배관구멍(511a)은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에서 편심진 위치, 예를 들어 압축기(10)의 축중심(CL1)과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통바디(511)의 하면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에 해당하는 위치가 가장 볼록한 반구 또는 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 배관구멍(511a)이 형성되는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의 냉매연결배관(52)은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을 관통하여 연결됨에 따라, 기존의 실외기 조립라인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압축기(10)와 증발기(40)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의 냉매흡입배관(53)은 어큐뮬레이터(50)의 축중심(CL2)에서 압축기(10)쪽으로 편심지게 위치이동하여 연결됨에 따라, 냉매흡입배관(53)의 일부를 이루는 냉매흡입관(532)의 반경방향 길이(L1)가 짧아지게 된다. 이를 통해 압축기(10)에서 냉매흡입배관(53)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감쇄될 수 있다.
한편,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냉매흡입배관이 냉매유로관과 냉매흡입관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냉매유로관과 냉매흡입관이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어큐뮬레이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큐뮬레이터(50)는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을 포함한다. 이들 케이스(51), 냉매연결배관(52), 냉매흡입배관(53)의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냉매흡입배관(53)은 단일 배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매흡입배관(53)은 한 개의 냉매유로관(531)으로 형성되되, 냉매유로관(531)의 일단은 압축기(10)의 쉘(110)에 고정되는 한편 냉매유로관(531)의 타단은 원통바디(511)의 제1 배관구멍(511a)을 통과하여 상부캡(512)의 배관고정부(512d)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흡입배관(53)을 이루는 냉매유로관(531)은 어큐뮬레이터(50)의 원통바디(511) 또는 상부캡(512)과 같은 강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압축기(10)의 쉘(110)에 용접된 연결부재()와 같은 동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냉매유로관(531)의 제2 단(531b)이 상부캡(512)의 배관고정부(512d)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냉매유로관(531)은 가능한 한 어큐뮬레이터(5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조립공정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매흡입배관(53)이 한 개의 냉매유로관(531)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냉매흡입배관(53)을 냉매유로관(531)과 냉매흡입관(532)으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것에 비해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냉매흡입배관(53)이 단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압축기(10)의 진동이 냉매흡입배관(53)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그 냉매흡입배관(53)이 손상될 염려가 적어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어큐뮬레이터(50)는 원통바디(511)의 상단이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이 개구되어 별도의 하부캡(미도시)으로 복개되거나, 또는 원통바디(511)의 양단이 개구되되 각각 상부캡(512)과 하부캡(미도시)으로 복개될 수도 있다. 이들 경우에도 냉매연결배관(52)과 냉매흡입배관(53)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같이 서로 케이스(51)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고, 냉매흡입배관(53)은 양단이 케이스(5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실린더가 한 개인 단식 로터리 압축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실린더가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식 로터리 압축기는 물론 힌지베인 로터리 압축기 또는 베인로터리 압축기, 그리고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 등 고압식 압축기에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110: 쉘 110a: 내부공간
113: 냉매토출관 115: 고정브라켓
120: 전동부 121: 고정자
1211: 권선코일 122: 회전자
125: 회전축 130: 압축부
131: 메인베어링플레이트 1311: 메인플레이트부
1312: 메인보스부 1313: 토출구
1315: 토출밸브 132: 서브베어링플레이트
1321: 서브플레이트부 1322: 서브보스부
133 : 실린더 1331: 흡입구
1332 : 베인슬롯 134: 롤링피스톤
135: 베인 136: 토출머플러
50: 어큐뮬레이터 51: 케이스
51a: 냉매수용공간 511: 원통바디
511a: 제1 배관구멍 511b: 제2 배관구멍
511c: 배관고정부 512: 상부캡
512a: 평면부 512b: 경사면부
512c: 제2 배관구멍 512d: 배관고정부
512e: 제3 배관구멍 52: 냉매연결배관
521: 냉매연결관 522: 냉매안내관
522a: 제1 안내부 522b,522b1,522b2: 제2 안내부
523: 메쉬스크린 523a: 스크린지지부
53: 냉매흡입배관 531: 냉매유로관
531a: 냉매유로관의 제1 단 531b: 냉매유로관의 제2 단
531c: 냉매통공 531d: 오일통공
532: 냉매흡입관 533: 마개부재
CL1: 압축기의 축중심 CL2: 어큐뮬레이터의 축중심
CL3: 냉매연결배관의 축중심 CL4: 냉매흡입배관의 축중심
L1: 냉매흡입관의 반경방향 길이 O: 상부캡의 중심
V: 압축실

Claims (20)

  1. 압축기의 쉘 외부에 배치되며, 냉매수용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스;
    일단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의 외부로 연장되고, 타단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는 냉매연결배관;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냉매흡입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고정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을 고정하는 배관고정부가 형성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냉매수용공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삽입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에 삽입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냉매흡입배관이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배관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케이스의 축중심선상에 형성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매연결배관과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중첩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케이스의 축중심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상기 케이스의 축중심에 대해 편심지게 배치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상기 냉매흡입배관보다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냉매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냉매통공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통공은 상기 냉매흡입배관이 상기 냉매연결배관을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에는 상기 냉매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재는 메쉬스크린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쉬스크린은 상기 냉매연결배관의 타단 단부에 형성되거나 삽입되고,
    상기 냉매연결배관에는,
    상기 스크린부재를 지지하는 스크린지지부가 구비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연결배관은,
    상기 냉매수용공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제1 안내부에서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재는,
    상기 제1 안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안내부가 상기 제1 안내부에서 절곡되는 위치에 지지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단은 복개되어 상기 냉매흡입배관이 관통 결합되고, 상단은 개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단을 복개하며, 상기 냉매연결배관이 관통되는 상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캡에는,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배관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고정부의 일측에는 상기 냉매연결배관이 관통되어 결합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쪽으로 편심지게 형성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냉매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캡의 내측면에서 상기 상부캡의 외측면쪽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냉매흡입배관의 일단이 상기 배관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고정부는 상기 상부캡의 중심에서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에 가까운쪽 또는 상기 압축기의 축중심에서 먼쪽으로 편심지게 형성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흡입배관은,
    상기 케이스의 냉매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냉매유로관; 및
    일단은 상기 냉매유로관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에 연통되는 냉매흡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유로관은,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20. 내부공간이 밀폐된 쉘;
    상기 쉘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전동부;
    상기 쉘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냉매를 압축하여 상기 쉘의 내부공간에 토출하는 압축부; 및
    상기 쉘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쉘에 지지되며, 상기 쉘을 관통하여 상기 압축부에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제1항 내지 제19항의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된 압축기.
KR1020210051301A 2021-04-20 2021-04-20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20220144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01A KR20220144675A (ko) 2021-04-20 2021-04-20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US17/558,843 US20220333601A1 (en) 2021-04-20 2021-12-22 Accumulato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with accumulator
EP22151129.8A EP4080140A1 (en) 2021-04-20 2022-01-12 Accumulator for compressor and compressor with accumulator
CN202210125305.XA CN115218569B (zh) 2021-04-20 2022-02-10 压缩机用储液器及具备其的压缩机
KR1020230023040A KR102591416B1 (ko) 2021-04-20 2023-02-21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301A KR20220144675A (ko) 2021-04-20 2021-04-20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040A Division KR102591416B1 (ko) 2021-04-20 2023-02-21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675A true KR20220144675A (ko) 2022-10-27

Family

ID=793171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301A KR20220144675A (ko) 2021-04-20 2021-04-20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1020230023040A KR102591416B1 (ko) 2021-04-20 2023-02-21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040A KR102591416B1 (ko) 2021-04-20 2023-02-21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33601A1 (ko)
EP (1) EP4080140A1 (ko)
KR (2) KR20220144675A (ko)
CN (1) CN1152185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9687B2 (ja) 2022-07-29 2024-04-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および冷凍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968A (ja) 1985-02-28 1986-09-02 株式会社東芝 圧縮機のアキユムレ−タ
JP2011169183A (ja) 2010-02-17 2011-09-01 Panasonic Corp 密閉型圧縮機用アキュムレータ
JP2013119817A (ja) 2011-12-08 2013-06-17 Hitachi Appliances Inc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8678A (en) * 1968-05-03 1970-01-06 Parker Hannifin Corp Suction accumulator for refrigeration systems
JPS5493862U (ko) * 1977-12-15 1979-07-03
KR20010004766A (ko) * 1999-06-29 2001-01-15 윤종용 로터리 압축기
KR100332775B1 (ko) * 1999-09-16 2002-04-17 구자홍 어큐뮬레이터
JP2005241068A (ja) * 2004-02-25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アキューム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冷凍装置
JP2006233834A (ja) * 2005-02-24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プレッサ用アキュムレータ
KR20060117833A (ko) * 2005-05-14 200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어큐뮬레이터
CN101109589A (zh) * 2006-07-17 2008-01-23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错管式储液器
JP2008134022A (ja) * 2006-11-29 2008-06-12 Showa Denko Kk 冷凍サイクル用アキュムレータ
KR20080003788U (ko) * 2007-03-06 2008-09-10 케이엠씨 주식회사 파이프 성형 스트레이너
KR101322518B1 (ko) * 2007-07-31 2013-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식 2단 압축기 세트
US8082751B2 (en) * 2007-11-09 2011-12-27 Earth To Air Systems, Llc DX system with filtered suction line, low superheat, and oil provisions
KR101487820B1 (ko) * 2008-03-19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JP2013134004A (ja) * 2011-12-26 2013-07-08 Chiyoda Kucho Kiki Kk アキュムレータ及びアキュムレータの製造方法
CN202660824U (zh) * 2012-05-07 2013-01-09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的储液器结构
CN202902711U (zh) * 2012-09-29 2013-04-24 合肥凌达压缩机有限公司 压缩机气液分离器
CN204084977U (zh) * 2014-08-14 2015-01-07 佛山晓世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改进的压缩机储液器
CN204240665U (zh) * 2014-11-06 2015-04-01 珠海华宇金属有限公司 一种具有滤网结构的储液器
JP6380515B2 (ja) * 2016-12-05 2018-08-2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気液分離器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206420091U (zh) * 2017-01-07 2017-08-18 天津五洲同创空调制冷设备有限公司 风冷低温单元式空调
CN206695454U (zh) * 2017-04-13 2017-12-01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压缩机喷射管及空调器
CN207050283U (zh) * 2017-05-09 2018-02-27 东莞市金瑞五金股份有限公司 一种储液器的排气管及储液器
CN110749132B (zh) * 2018-07-24 2021-08-31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贮液器
WO2020235075A1 (ja) * 2019-05-23 2020-11-26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電動圧縮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EP3757482B1 (en) * 2019-06-26 2022-08-24 BSH Hausgeräte GmbH Compressor and household appliance
CN112577220A (zh) * 2019-09-27 2021-03-30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及其储液器
CN112747511B (zh) * 2019-10-31 2022-03-0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储液分油装置、压缩机组件、热交换系统和电器设备
CN115111820A (zh) * 2021-03-23 2022-09-27 盾安(芜湖)中元自控有限公司 一种储液器
CN114777364A (zh) * 2022-04-19 2022-07-22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贮液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968A (ja) 1985-02-28 1986-09-02 株式会社東芝 圧縮機のアキユムレ−タ
JP2011169183A (ja) 2010-02-17 2011-09-01 Panasonic Corp 密閉型圧縮機用アキュムレータ
JP2013119817A (ja) 2011-12-08 2013-06-17 Hitachi Appliances Inc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18569A (zh) 2022-10-21
CN115218569B (zh) 2024-03-22
KR20230030613A (ko) 2023-03-06
KR102591416B1 (ko) 2023-10-20
US20220333601A1 (en) 2022-10-20
EP4080140A1 (en)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825B2 (en) 2 stage rotary compressor
KR101316247B1 (ko) 로터리 식 2단 압축기
US11293442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discharge cover providing a space to guide a discharge flow from a discharge port to a discharge passgae formed by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US9157438B2 (en) Scroll compressor with bypass hole
KR102591416B1 (ko) 압축기용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KR102646704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381085B1 (ko) 로터리식 2단 압축기
KR102442467B1 (ko) 스크롤압축기
WO2009096206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20060177338A1 (en) Horizontal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EP4187096A1 (en) Scroll compressor
KR20180105378A (ko) 로터리 압축기
KR102182170B1 (ko) 스크롤 압축기
US20190383288A1 (en) Compressor
KR102646705B1 (ko) 스크롤 압축기
US20060177336A1 (en) Dual-piston valve for orbiting vane compressors
US11441562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noise reduction structure
KR102611336B1 (ko) 스크롤 압축기
US20060177339A1 (en) Horizontal type orbiting vane compressor
KR102662550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684108B1 (ko) 스크롤 압축기
US8939741B2 (en) Scroll compressor
CN212389522U (zh) 压缩机
US20200248692A1 (en) Scroll compressor
KR20180104871A (ko) 로터리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