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620A - 안개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안개 저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4620A KR20220144620A KR1020210051168A KR20210051168A KR20220144620A KR 20220144620 A KR20220144620 A KR 20220144620A KR 1020210051168 A KR1020210051168 A KR 1020210051168A KR 20210051168 A KR20210051168 A KR 20210051168A KR 20220144620 A KR20220144620 A KR 202201446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fog
- housing
- duct
- reduc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3/00—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e.g. on roads, on airfiel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54/00—Ventilation
- Y10S454/901—Fog dispell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도로변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안개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안개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는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 및,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변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안개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안개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개는 지표 근처에 형성되는 구름의 일종으로서, 통상 가시거리가 1㎞ 이하인 것을 칭한다. 안개는 그 형성 원인에 따라 복사안개, 이류안개, 활승안개, 증기안개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이들 안개는 기본적으로 습도가 높고 x듯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와 만나거나 기타 열복사나 팽창 등의 다른 원인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의 온도로 급속하게 낮아지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안개는 그 존재 자체로 인간의 가시거리를 크게 저하시킨다. 특히, 안개는 태양이 떠오르기 전의 새벽녘에 주로 발생되고, 자동차 전조등과 같이 광원으로부터 투사되는 광을 난반사하여 시야를 어지럽히게 되므로 자동차와 항공기 등의 운행에 심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로부터 도로나 공항 등에는 안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저감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05208호(명칭: 공기교반을 겸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안개제거장치), 공개특허 10-2004-0097100호(명칭: 활주로 및 도로안개제거시스템과 방법). 등록특허 10-0912798호(명칭: 교통안전을 위한 안개 희석장치), 등록특허 10-1004779호(명칭: 안개차단장치), 등록특허 10-1204359호(명칭: 도로용 안개 제거장치). 등록특허 10-1191874호(명칭: 안개 제거 시스템), 공개특허 10-2012-0123808호(명칭: 안개 제거시스템), 공개특허 10-2015-0112287호(명칭: 안개 제거 시스템 및 안개 제거 방법), 공개특허 10-2015-0117892호(명칭: 안개제거형 경보표시등), 공개특허 10-2015-0121909호(명칭: 그물망 형태의 필터를 구비한 원격제어 안개 소산 시스템), 등록특허 10-1570743호(명칭: 하이브리드형 음이온생성장치를 통한 안개제거장치), 공개특허 10-2017-0039867호(명칭: 안개제거 및 방풍 시스템) 등에는 안개를 제거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 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안개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키는데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안개를 매우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안개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안개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변 등에 설치되어 안개 저감은 물론,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안개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개 저감과 더불어 차량의 운행 등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안개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는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 및,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 덕트와,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덕트와 제2 덕트의 사이에는 격벽이 배치되며, 상기 격벽에는 제1 덕트와 제2 덕트 사이의 공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통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기가 공기 배출구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기가 공기 흡입구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순환기가 통기공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 부재는 펠티어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 부재는 열전 소자와, 상기 열전 소자를 수납함과 더불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열전 소자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1 홀더 부재와, 열전 소자의 타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2 홀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는 내부에 열전 소자를 수납하면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 홀더의 외표면에는 제1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열전 부재의 설치를 위해 설치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홀더 부재는 상기 설치공을 중심으로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홀더 부재는 상기 설치공을 중심으로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홀더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부위에는 패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홀더의 외표면에 제2 방열핀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수단과,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검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검출수단과 습도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호 이격되면서 발광 수단과 수광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광 수단의 수광 광량을 근거로 안개의 발생 여부와 안개의 농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는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판에 설치되고, 하우징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1 덕트,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제2 덕트, 상기 제1 덕트 또는 제2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전면판과 제1 덕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필터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은 하우징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부재는 중앙 부분이 타공된 전면 프레임과, 중앙 부분이 타공된 배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과 배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금속 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호 이격되면서 발광 수단과 수광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광 수단의 수광 광량을 근거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과 제1 덕트 사이에 흡음 패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는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판에 설치되고, 하우징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1 덕트,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제2 덕트, 상기 제1 덕트 또는 제2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전면판과 제1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 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기는 발광 부재와 수광 부재의 구동을 통해 안개 발생 여부와 안개 농도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 중의 미세 먼지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안개 저감장치는 제어기에 의해 공기 순환기가 구동되면 하우징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를 열전 부재를 통해서 순환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공기의 습도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공기 중의 안개가 소멸 또는 저감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안개가 제거된 공기는 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공기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는 외부 공기에 비해 온도가 높게 유지되어 외부 공기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개 저감장치 주변의 안개 농도가 추가적으로 낮아지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공기의 순환 경로상에 필터 부재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다시 배출하게 되므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과장되게 묘사되거나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발열 부재(21)의 구조와 그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서 필터 부재(50)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발열 부재(21)의 구조와 그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서 필터 부재(50)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10)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안개 저감장치(10)는 하우징(11)을 구비한다. 도면에서 하우징(11)은 장방향의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하우징(11)의 형상은 특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1)의 재질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안개 저감장치(10)는 도로 등의 양 측면이나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안개 저감장치(10)의 전면, 바람직하게 도로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안개, 즉 안개가 생성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12)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13)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하우징(11)의 하부에 공기 흡입구(12)가 설치되고, 상부에 공기 배출구(13)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공기 흡입구(12)와 공개 배출구(13)의 위치는 특정되지 않는다. 특히 공기 배출구(13)는 안개 저감장치(10)의 전면은 물론이고, 상면이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안개 저감장치(10)는 바람직하게 도로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방음벽 등과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1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하우징(11)의 내부에는 바람직하게 제1 덕트(20)와 제2 덕트(30)가 구비된다. 제1 덕트(20)와 제2 덕트(30)의 사이에는 격벽(40)이 마련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격벽(40)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구비된다. 격벽(40)은 제1 덕트(20)와 제2 덕트(30) 사이의 공기 흐름이나 그 경로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덕트(30)의 전면, 보다 정확하게는 공기 배출구(13)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 덕트(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 순환기(31)가 설치된다. 공기 순환기(31)는 안개 저감장치(10)를 통한 공기의 순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예컨대 모터로 작동되는 공기 순환팬이나 진공 펌프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공기 순환기(31)의 설치 위치는 공기 배출구(13)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 순환기(31)는 공기 흡입구(12)나 격벽(40)의 통기공 등 안개 저감장치(10)의 내부를 통해 공기를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임의의 장소에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순환기(31)가 작동되면 도면에 화살표(W)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12)를 통해서 흡입된 후 제1 덕트(20), 격벽(40)의 통기공, 제2 덕트(30) 및 공기 배출구(13)를 통해서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 경로가 형성된다.
안개 저감장치(10)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 경로, 즉 공기 흡입구(12)와 공기 배출구(13) 사이의 공기 흐름 경로에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21)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제1 덕트(20)의 배면에 열전 부재(21)가 구비된다. 이 열전 부재(21)는 안개 저감장치(1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에 열 또는 냉기를 공급하여 공기의 온도를 상승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안개 저감장치(10)의 내부에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기(22)가 구비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제어기(22)는 공기 순환기(12) 및 열전 부재(21)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이들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22)는 장치의 효율적인 제어를 위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통신은 전력선을 포함하는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서 실행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어기(22)에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제어기(22)나 하우징(11)의 내부 적절한 위치에는 온도 센서 및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제어기(22)는 온도 센서와 습도센서의 검출 결과를 근거로 열전 부재(21)와 공기 순환기(12)를 적절하게 구동 제어한다.
도 3은 도 2에서 열전 부재(21)의 구조와 그 장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열전 부재(21)는 열전소자, 즉 펠티어 소자(211)와 이를 수납하기 위한 홀더(212a, 212b)를 구비한다. 홀더는 내부에 열전 소자(211)를 수납하면서 상호 결합되는 제1 및 제2 홀더 부재(212a, 212b)를 구비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제1 홀더 부재(212a)는 중앙 부분에 펠티어 소자(211)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구비하고, 제2 홀더 부재(212b)는 상기 오목부와 상응하여 볼록부를 구비한다. 이 오목부와 볼록부는 펠티어 소자(211)와 홀더(212a, 212b)를 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홀더(212a, 212b)의 구조는 특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하우징(11)에는 열전 부재(2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111)이 마련되고, 이 설치공(111)의 외주연에는 체결공(112)이 구비된다. 홀더(212a, 212b)에는 상기 체결공(112)에 대응하여 각각 체결공(213a, 213b)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홀더 부재(212a, 212b)는 하우징(11)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11)의 양측면에서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제2 홀더 부재(213b)와 하우징(11)의 사이에는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패드(214)가 설치된다. 이 패드(214)는 제2 홀더 부재(213b)와 하우징(11) 사이를 밀폐시키고, 제2 홀더 부재(213b)와 하우징(11)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1)을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 패드(214)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홀더(212a, 212b)는 금속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고, 제1 홀더 부재(212a)의 외표면에는 방열핀(214a)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제2 홀더 부재(212b)의 외표면에도 제1 홀더 부재(212a)와 마찬가지로 방열핀(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방열핀(214a)은 펠티어 소자(211)로부터 생성되는 열기 및 냉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발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안개 저감장치(10)는 도로나 공항, 교량 등의 안개가 많이 발생되는 지역에 설치된다. 안개 저감장치(10)는 본 장치가 설치되는 주변에 안개가 발생되거나 안개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때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안개 저감장치(10)의 작동은 제어기(22)의 구동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제어기(22)는 통신 모듈을 통한 관리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안개 저감장치(10)의 동작을 실행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 예에서 제어기(22)는 안개의 발생 여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여 안개 저감장치(10)를 구동 제어한다.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가 안개의 발생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으로서 바람직하게 채용될 수 있다.
안개 저감장치(10)의 구동시에는 공기 순환기(31)가 작동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기구(12)를 통해서 장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 및 제2 덕트(20, 30)를 통해 장치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안개의 발생과 그 발생량은 공기의 온도와 수증기량에 의해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수증기가 불포화 상태인 공기가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면 수증기가 포화되면서 응결이 시작되어 안개가 생성되고, 이때 생성되는 안개의 양은 수증기량과 온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높아질수록 이슬점 온도가 높아져서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안개가 발생되고, 공기 중의 수증기량이 낮은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안개가 발생되지 않는다. 안개를 효과적으로 제거 또는 저감하기 위해서는 공기 중의 수증기량을 낮추거나 공기의 온도를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안개 저감장치(10)는 그 내부로 순환되는 공기의 순환 경로에 열전 부재(21)가 구비된다. 이 열전 부재(21)는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이를 발열 소자 또는 냉각 소자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22)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를 근거로 안개의 발생 조건을 판단하게 된다. 만일 주위 환경 조건이 현재 안개가 발생되지는 않았지만 안개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상태이면, 제어기(22)는 순환되는 공기를 과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증기를 물로 응결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수증기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응결되는 물을 저장하거나 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수수단은 하우징에 배수공을 형성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안개가 발생된 상태에서는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공기를 비포화상태로 만드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안개 저감장치(10)는 열전 부재(21)에 의해 장치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여 제2 홀더 부재(2134b) 측은 냉각되게 되므로, 내외부적으로 안개 저감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도로가 호수 등의 수변에 설치되어 이로부터 안개가 유입되는 장소에 보다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안개 저감장치(10)는 일차적으로 수증기가 다량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여 과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공기 중의 수증기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안개 발생을 억제 또는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안개 저감장치(10)는 안개가 발생되면 안개가 포함되는 공기를 흡입 및 가열하여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을 통해 안개를 제거 또는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안개 저감장치(10)는 장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 저감장치(1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도로와 인접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됨으로서 추가적인 안개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도 2에 대응하는 단면 구성도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술한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 안개 저감장치(10)는 전면판(70)과 제1 덕트(20) 사이에 격벽(80)이 설치되고, 격벽(80)과 전면판(70)의 사이에는 필터 부재(50)와 흡음 패드(60)가 구비된다. 여기서 필터 부재(50)와 흡음 패드(6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면판(70)과 격벽(80)에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제1 덕트(20)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가 마련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전면판(70)은 하우징(11)에 힌지결합되어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필터 부재(50)와 흡음 패드(60)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흡음 패드(60)는 차량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여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 흡음 패드(60)는 다공성 재질로 구성되는데, 이 흡음 패드(60)로서는 특정의 것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필터 부재(50)는 자량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미세 먼지 등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필터 부재(50)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필터 부재(50)는 중앙 부분이 타공된 전면 프레임(51)과 배면 프레임(52)을 구비하고, 이 전면 프레임(51)과 배면 프레임(52)의 사이에는 지지체(53)가 배치된다. 지지체(53)는 바람직하게 철 등의 금속 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51, 52)과 지지체(53)의 사이에는 필터(55)가 배치된다. 이 필터(55)로서는 예컨대 미세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필터 부재(50)는 필터(55)를 지지체(53)와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필터 부재(50)를 공기나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안개 저감장치는 공기의 순환 경로에 필터 부재(50)가 구비되므로, 제어기(22)가 공기 순환기(31)를 작동시켜 공기를 순환시킬 때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먼지가 함께 제거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어기(22)는 열전 부재(21)를 구동하지 않고 공기 순환기(42)만을 작동시킴으로써 본 장치를 미세 먼지 제거용으로 전환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안개 저감장치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안개 저감장치(10)의 일측에 발광 부재(100)와 수광 부재(200)가 구비된다. 발광 부재(100)와 수광 부재(200)는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발광 부재(100)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수광 부재(200)로 수광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발광 부재(100)와 수광 부재(200)는 제어기(22)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제어기(22)는 일정 시간 단위, 또는 특정한 시간대, 예컨대 안개가 많이 발생되는 시간대에 발광 부재(100)를 구동하여 수광 부재(200)에서 수광되는 광량에 따라 안개의 발생 여부와 그 농도를 판정한다. 물론, 이들 발광 부재(100)와 수광 부재(200)는 동일한 구동 방식으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판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발광 부재(100)와 수광 부재(200)의 설치 위치는 특정되지 않고, 안개와 미세먼지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임의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술한 도 1 및 도 4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10: 안개 저감장치, 11: 하우징,
12: 공기 흡입구, 13: 공기 배출구,
100: 발광 부재, 200: 수광 부재.
12: 공기 흡입구, 13: 공기 배출구,
100: 발광 부재, 200: 수광 부재.
Claims (15)
-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 및,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1 덕트와,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2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덕트와 제2 덕트의 사이에는 격벽이 배치되며, 상기 격벽에는 제1 덕트와 제2 덕트 사이의 공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통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 부재는 열전 소자와, 상기 열전 소자를 수납함과 더불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열전 소자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1 홀더 부재와, 열전 소자의 타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제2 홀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는 내부에 열전 소자를 수납하면서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 홀더의 외표면에는 제1 방열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열전 부재의 설치를 위해 설치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홀더 부재는 상기 설치공을 중심으로 하우징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홀더 부재는 상기 설치공을 중심으로 하우징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 부재와 하우징의 결합 부위에는 패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의 외표면에 제2 방열핀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검출수단과, 순환되는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검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 검출수단과 습도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호 이격되면서 발광 수단과 수광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광 수단의 수광 광량을 근거로 안개의 발생 여부와 안개의 농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판에 설치되고, 하우징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1 덕트,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제2 덕트,
상기 제1 덕트 또는 제2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전면판과 제1 덕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필터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하우징에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부재는 중앙 부분이 타공된 전면 프레임과, 중앙 부분이 타공된 배면 프레임, 상기 전면 프레임과 배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되는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는 금속 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호 이격되면서 발광 수단과 수광 수단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광 수단의 수광 광량을 근거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제1 덕트 사이에 흡음 패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 공기 중의 안개를 저감시키는 안개 저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판에 설치되고, 하우징 내측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1 덕트,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되는 제2 덕트,
상기 제1 덕트 또는 제2 덕트에 설치되어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공기 순환기,
상기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 사이의 공기 순환 경로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열전 부재,
상기 공기 순환기와 열전 부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전면판과 제1 덕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 패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저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1168A KR20220144620A (ko) | 2021-04-20 | 2021-04-20 | 안개 저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1168A KR20220144620A (ko) | 2021-04-20 | 2021-04-20 | 안개 저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4620A true KR20220144620A (ko) | 2022-10-27 |
Family
ID=8381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1168A KR20220144620A (ko) | 2021-04-20 | 2021-04-20 | 안개 저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44620A (ko) |
-
2021
- 2021-04-20 KR KR1020210051168A patent/KR20220144620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6359B1 (ko) | 습기제거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헤드램프 | |
KR101118563B1 (ko) | 전기 배전함 및 통신함 설치용 냉온유지장치 | |
JP4541923B2 (ja) | 一体型空気調和機 | |
KR100979213B1 (ko) | 공조시스템을 가지는 광고판 | |
US20180149334A1 (en) | Headligh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headlight | |
WO2001007855A1 (en) | Thermal management apparatus for a sealed enclosure | |
WO2014116160A1 (en) | Device for dehumidify | |
KR20180060080A (ko) | 스마트형 실내조명장치 | |
JP3090059B2 (ja) | 粉塵検知センサ付空気清浄機 | |
KR20170009386A (ko) | 원적외선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기능을 갖는 엘이디조명장치 | |
KR20130076661A (ko) |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 | |
KR20220144620A (ko) | 안개 저감장치 | |
KR100730710B1 (ko) | 제습기가 구비된 반도체 테스트장치 | |
KR101491654B1 (ko) | 차량 탑재용 광고장치 | |
JP2000275372A (ja) |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 |
JP6193034B2 (ja) | 発熱体冷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2247310B1 (ko) | 복합 방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구조물 | |
JP2008286497A (ja) |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 |
KR101275530B1 (ko) | 헤드 라이트의 제습용 내부 쿨링 장치 | |
JP5877359B2 (ja) |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 |
KR102519807B1 (ko) | 매립형 안개 저감장치 | |
KR20240057606A (ko) | 안개 저감장치 | |
KR20160148821A (ko) | 열전 제습 장치 | |
KR20230166483A (ko) | 복합 방열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구조물 | |
KR100334615B1 (ko) | 전기 기관차 운전실용 에어컨디셔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