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479A - 난 재배용 화분 - Google Patents

난 재배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479A
KR20220144479A KR1020210050826A KR20210050826A KR20220144479A KR 20220144479 A KR20220144479 A KR 20220144479A KR 1020210050826 A KR1020210050826 A KR 1020210050826A KR 20210050826 A KR20210050826 A KR 20210050826A KR 20220144479 A KR20220144479 A KR 2022014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transparent inner
fitted
tub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년
Original Assignee
김기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년 filed Critical 김기년
Priority to KR102021005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479A/ko
Publication of KR2022014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한 내통을 구비하여 뿌리의 생육 상태와 수분 상태 및 물주는 시기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철사를 이용해 난을 고정할 때 뿌리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난 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본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 내통(20)과, 상기 외통(10)의 하단에 끼워지는 받침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 재배용 화분{FLOWERPOT FOR ORCHID CULTIVATION}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한 내통을 구비하여 뿌리의 생육 상태와 수분 상태 및 물주는 시기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철사를 이용해 난을 고정할 때 뿌리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난 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은 호기성 식물로 화분에 심을 때 전용 난 식재인 난석을 그 크기에 따라 맨 아래부터 대립, 중립, 소립 및 화장토 순으로 사용하며 불투명한 검은색 플라스틱 화분이나 검은 유약이 칠하여진 불투명한 자기 화분인 낙소분을 사용하여 재배한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 화분이나 낙소분을 사용하여 난을 재배할 경우, 난의 뿌리가 위치하고 있는 지하부의 습기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물주는 시기를 잘 알지 못하여 재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종래에는 물주는 시기를 알기 위하여 플라스틱이나 낙소분에 난석을 실제 난을 심을 때와 같은 방식으로 넣은 후 수시로 난석을 들춰보아 난석의 마른 상태를 확인하여 물주는 시기를 알거나 혹은 화분 옆에 물을 담은 컵을 놓은 후 컵의 물이 증발하는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물주는 시기를 파악하기도 하며, 대체로 계절에 따라 경험적으로 일정한 주기별로 물을 주는 방식을 택하여 왔다.
또한, 난을 재배함에 있어 난이 성장함에 따라 난의 잎이 길어지면서 옆으로 늘어지는 경우나 난의 약한 부분이 있는 경우에 화분 내부로 철사를 밀어넣어 철사로 늘어진 잎이나 난의 약한 부분을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난 재배용 화분은 화분의 내부를 적절히 볼 수 없어 뿌리의 생육 상태나 수분 상태 및 물주는 시기를 확인하고 파악하는데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난 재배용 화분은 늘어진 잎이나 난의 약한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철사를 화분의 내부로 밀어 넣는 중에 난의 뿌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881268호 "통기체를 갖는 난 재배용 화분"(2018.07.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한 내통을 구비하여 뿌리의 생육 상태와 수분 상태 및 물주는 시기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철사를 이용해 난을 고정할 때 뿌리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는 난 재배용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난 재배용 화분"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하로 긴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며, 상단 둘레에 수평턱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턱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끼움턱이 형성되는 외통과;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하로 긴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며, 상기 수평턱에 분리 가능하게 올려지도록 상단 둘레에 받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이 끼워지도록 상기 받침턱의 하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하면에 제2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통의 내부면과 외부면의 사이가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투명 내통과;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통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지면에 지지되도록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다리가 형성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 재배용 화분"의 상기 받침대는, 그 내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통은, 상기 걸림턱에 걸리도록 하단 외측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단차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내통은, 상기 수평턱을 커버하도록 상기 받침턱의 외측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커버턱과, 상기 제1 단차턱에 이격되도록 상기 투명 내통의 하단 외측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 재배용 화분"의 상기 투명 내통은, 그 상단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사각판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사각돌턱과, 철사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돌턱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공은, 뿌리가 관통되지 않도록 하단이 수평으로 이어지는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 재배용 화분"의 상기 외통은, 상기 유동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받침대가 끼워지는 상기 외통의 하단 부위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공기공급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내통은, 그 외부면의 둘레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분은,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내통의 내부로 뿌리 부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부는, 상기 설치공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끼워지는 경사관과, 상기 투명 내통의 외부면에 걸리도록 상기 경사관의 상단에 둘레에 형성되는 원형턱과, 상기 경사관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투명 내통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지지부와, 상기 경사지지부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관의 상단을 둘러싸는 지지관과, 상기 경사관의 하단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길이조절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투명한 내통을 구비하여 뿌리의 생육 상태와 수분 상태 및 물주는 시기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난의 재배 관리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철사를 이용해 난을 고정할 때 뿌리의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투명 내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투명 내통을 보인 개략적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 재배용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외통(10)과,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고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 내통(20)과, 상기 외통(10)의 하단에 끼워지는 받침대(30)를 포함한다.
상기 외통(10)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하로 긴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며 상단 둘레에 수평턱(11)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배수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턱(11)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끼움턱(1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명 내통(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투명 내통(20)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상기 투명 내통(20)을 가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턱(11)은 상기 투명 내통(20)의 상단이 걸리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배수공(12)은 상기 투명 내통(20)의 하부를 통과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끼움턱(13)은 상기 투명 내통(20)이 끼워져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외통(10)은 그 하단 외측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단차턱(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차턱(14)은 상기 외통(10)이 상기 받침대(30)에 끼워지면서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투명 내통(20)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하로 긴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며 상기 수평턱(11)에 분리 가능하게 올려지도록 상단 둘레에 받침턱(2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13)이 끼워지도록 상기 받침턱(21)의 하면에 끼움홈(22)이 형성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통기공(23)이 형성되며 하면에 제2 배수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외통(10)의 내부면과 외부면의 사이가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공간(25)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 내통(20)은 그 내부에 흙이 채워지고 난이 식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나아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외통(10)에서 상부로 분리하여 상기 투명 내통(20)에 식재된 난의 뿌리 상태나 수분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턱(21)은 상기 수평턱(11)의 상면에 걸리어 상기 투명 내통(20)이 상기 외통(10)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투명 내통(20)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끼움홈(22)은 상기 끼움턱(13)이 끼워지면서 상기 외통(10)의 내측에 상기 투명 내통(20)이 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통기공(23)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투명 내통(20)의 외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배수공(24)은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부에 그 하부로 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동공간(25)은 상기 외통(10)과 투명 내통(20) 사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공간(25)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통기공(23)을 통해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부로 유입되어 난의 뿌리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투명 내통(20)은 상기 수평턱(11)을 커버하도록 상기 받침턱(21)의 외측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커버턱(26)과, 상기 제1 단차턱(14)에 이격되도록 상기 투명 내통(20)의 하단 외측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턱(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버턱(26)은 상기 수평턱(11)을 커버하여 가리는 역할을 하면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보다 쉽게 상기 투명 내통(20)을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파지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단차턱(27)은 상기 제1 단차턱(14)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퉁과 투명 내통(20)의 사이에 상기 유동공간(25)이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30)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지면에 지지되도록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다리(31)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외통(10)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다리(31)에 의해 지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30)는 그 내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32)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32)은 상기 외통(10)의 제1 단차턱(14)이 걸리어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 재배용 화분의 상기 투명 내통(20)은 그 상단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사각판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사각돌턱(28)과, 철사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돌턱(28)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공(28a)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사각돌턱(28)은 상기 투명 내통(20)의 상단으로 상기 끼움공(28a)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끼움공(28a)은 난을 고정할 수 있는 철사가 끼워져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움공(28a)에 철사가 끼워짐으로써, 난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투명 내통(20)에 채워진 흙으로 철사를 밀어 넣을 필요가 없어져 철사에 의한 뿌리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 통기공(23)은 하단이 수평으로 이어지는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즉 원형이 아닌 하단이 절단되어 수평으로 이어지는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는데, 난의 뿌리가 상기 통기공(23)을 관통되지 않도록 하여 뿌리에 의한 상기 통기공(23)의 막힘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뿌리의 비정상적인 성장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화분의 상기 외통(10)은 상기 유동공간(25)과 연통되도록 상기 받침대(30)가 끼워지는 상기 외통(10)의 하단 부위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공기공급공(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내통(20)은 그 외부면의 둘레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29)을 더 포함하며, 본 화분은 상기 설치공(29)에 설치되는 공기공급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공(15)은 상기 외통(10)의 하단 둘레로 외부 공기가 상기 유동공간(25)으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설치공(29)은 상기 공기공급부(40)가 상기 투명 내통(20)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공급부(40)는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부로 식재된 난의 뿌리 부위에 가깝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부(40)에 의해 난의 뿌리까지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곰팡이 등의 균류에 의한 뿌리 썩음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공기공급부(40)는 상기 설치공(29)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끼워지는 경사관(41)과, 상기 투명 내통(20)의 외부면에 걸리도록 상기 경사관(41)의 상단에 둘레에 형성되는 원형턱(42)과, 상기 경사관(41)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와, 상기 경사지지부(43)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관(41)의 상단을 둘러싸는 지지관(44)과, 상기 경사관(41)의 하단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길이조절관(45)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관(41)은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측 하부로 뿌리를 향해 경사지게 공기가 공급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길이조절관(45)이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형턱(42)은 상기 투명 내통(20)의 외면에 상기 경사관(41)이 걸리어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경사지지부(43)는 상기 지지관(44)이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부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관(44)은 상기 경사관(41)이 흙이나 석재에 의해 꺾이거나 굽혀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길이조절관(45)은 상기 경사관(41)에서 하부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된 상태로 난의 뿌리 크기나 형상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난의 뿌리 부위에 적절히 근접된 상태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외통
11 : 수평턱 12 : 제1 배수공
13 : 끼움턱 14 : 제1 단차턱
15 : 공기공급공
20 : 투명 내통
21 : 받침턱 22 : 끼움홈
23 : 통기공 24 : 제2 배수공
25 : 유동공간 26 : 커버턱
27 : 제2 단차턱 28 : 사각돌턱
28a : 끼움공 29 : 설치공
30 : 받침대
31 : 고정다리 32 : 걸림턱
40 : 공기공급부
41 : 경사관 42 : 원형턱
43 : 경사지지부 44 : 지지관
45 : 길이조절관

Claims (4)

  1.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하로 긴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며, 상단 둘레에 수평턱(11)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1 배수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턱(11)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끼움턱(13)이 형성되는 외통(10)과;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상하로 긴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되며, 상기 수평턱(11)에 분리 가능하게 올려지도록 상단 둘레에 받침턱(2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턱(13)이 끼워지도록 상기 받침턱(21)의 하면에 끼움홈(22)이 형성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통기공(23)이 형성되며, 하면에 제2 배수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외통(10)의 내부면과 외부면의 사이가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공간(25)이 형성되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투명 내통(20)과;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통(10)의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지면에 지지되도록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다리(31)가 형성되는 받침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 재배용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30)는,
    그 내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턱(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통(10)은,
    상기 걸림턱(32)에 걸리도록 하단 외측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1 단차턱(14)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내통(20)은,
    상기 수평턱(11)을 커버하도록 상기 받침턱(21)의 외측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커버턱(26)과,
    상기 제1 단차턱(14)에 이격되도록 상기 투명 내통(20)의 하단 외측 둘레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제2 단차턱(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 재배용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내통(20)은,
    그 상단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사각판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사각돌턱(28)과,
    철사가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사각돌턱(28)에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공(28a)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공(23)은,
    뿌리가 관통되지 않도록 하단이 수평으로 이어지는 브이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 재배용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0)은,
    상기 유동공간(25)과 연통되도록 상기 받침대(30)가 끼워지는 상기 외통(10)의 하단 부위에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공기공급공(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내통(20)은,
    그 외부면의 둘레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공(29)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분은,
    상기 설치공(29)에 설치되고,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부로 뿌리 부위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공급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공급부(40)는,
    상기 설치공(29)의 외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끼워지는 경사관(41)과,
    상기 투명 내통(20)의 외부면에 걸리도록 상기 경사관(41)의 상단에 둘레에 형성되는 원형턱(42)과,
    상기 경사관(41)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투명 내통(20)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지지부(43)와,
    상기 경사지지부(43)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관(41)의 상단을 둘러싸는 지지관(44)과,
    상기 경사관(41)의 하단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길이조절관(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 재배용 화분.
KR1020210050826A 2021-04-20 2021-04-20 난 재배용 화분 KR20220144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26A KR20220144479A (ko) 2021-04-20 2021-04-20 난 재배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826A KR20220144479A (ko) 2021-04-20 2021-04-20 난 재배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79A true KR20220144479A (ko) 2022-10-27

Family

ID=83810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826A KR20220144479A (ko) 2021-04-20 2021-04-20 난 재배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44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268B1 (ko) 2018-06-01 2018-08-16 김사라 통기체를 갖는 난 재배용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268B1 (ko) 2018-06-01 2018-08-16 김사라 통기체를 갖는 난 재배용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600B1 (en) Suspended planter to grow plants from the base
KR101817591B1 (ko) 딸기육묘용 포트
KR101637227B1 (ko) 딸기재배용 사각포트를 이용한 딸기 재배 시설 및 재배 방법
JP6650091B2 (ja) 水耕栽培器
KR20080090617A (ko) 난 재배를 위한 다기능 복합화분
KR101829989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20220144479A (ko) 난 재배용 화분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20190000852U (ko) 수경어항화분
KR101878122B1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101976380B1 (ko) 화분용 뚜껑
KR100557505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걸이화분
KR101951218B1 (ko) 표고버섯재배를 위한 원목을 이용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고버섯재배방법
KR20210016139A (ko) 착탈식 습도센서를 갖는 화분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101528680B1 (ko) 다목적 수경 재배 장치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JPH0965766A (ja) W 鉢
CN214758149U (zh) 一种园艺用沉入式插座
KR102617032B1 (ko) 가정용 원예재배기
KR101387117B1 (ko) 식물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