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458A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458A
KR20220144458A KR1020210050743A KR20210050743A KR20220144458A KR 20220144458 A KR20220144458 A KR 20220144458A KR 1020210050743 A KR1020210050743 A KR 1020210050743A KR 20210050743 A KR20210050743 A KR 20210050743A KR 20220144458 A KR20220144458 A KR 2022014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ayer
quantum dot
color
trans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4458A/ko
Priority to US17/714,598 priority patent/US20220336535A1/en
Priority to CN202210393915.8A priority patent/CN115224082A/zh
Priority to EP22168699.1A priority patent/EP4080578A1/en
Publication of KR2022014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03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01L27/3213
    • H01L27/322
    • H01L27/3246
    • H01L51/5262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H10K71/13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using ink-jet prin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5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used
    • H01L2227/32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제1색 발광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색 발광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색 컬러필터층,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색 컬러필터층 및 상기 기판의 제3영역에 위치하는 제3색 컬러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제1개구, 상기 제2영역과 중첩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3영역과 중첩하는 제3개구를 갖는, 뱅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1투광층, 상기 제2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상기 제1투광층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투광층 및 상기 제3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3색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하고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제품의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기도 하고, 텔레비전 등과 같은 대형 제품의 디스플레이부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화소들을 갖는다. 풀컬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화소들은 서로 상이한 색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일부 화소들은 색변환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일부 화소의 발광부에서 생성된 광은 그에 대응하는 색변환부를 거치면서 다른 색의 광으로 변환되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는, 제조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거나 공정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하고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색 발광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색 발광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색 컬러필터층,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색 컬러필터층 및 상기 기판의 제3영역에 위치하는 제3색 컬러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제1개구, 상기 제2영역과 중첩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3영역과 중첩하는 제3개구를 갖는, 뱅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1투광층, 상기 제2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상기 제1투광층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투광층 및 상기 제3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3색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투광층, 상기 제2투광층 및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젯 공정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에 투광층 물질을 주입하고, 상기 제3개구에 양자점층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층 물질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광층 물질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투광층 물질의 일부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투광층, 상기 제2투광층 및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젯 공정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에 투광층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 공정은, 상기 기판의 전면에 대하여 양자점층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투광층 물질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동시에 형성되고,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이 형성된 이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을 덮는 상기 양자점층 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젯 공정은, 상기 제3개구에 양자점층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 공정은, 상기 기판의 전면에 대하여 투광층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양자점층 물질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이 형성된 이후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을 덮는 상기 투광층 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색 발광층은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색 발광층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색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상기 제1색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보다 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및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통과하는 광의 파장을 변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색 컬러필터층은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색 컬러필터층은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3색 컬러필터층은 상기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최소화하고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하는 중간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은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그리고,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이거나, B이거나, A와 B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 또는/및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및/또는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를 나타낸다.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빛을 방출하는 표시영역(DA)과 빛을 방출하지 않는 주변영역(PA)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하부기판(100, 도 2 참조)은 표시영역(DA)에 해당하는 영역과 주변영역(PA)에 해당하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표시영역(DA)이 사각형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표시영역(DA)의 형상은 원형, 타원 또는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스캔선(미도시)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된 데이터선(미도시)이 교차하는 지점에 화소(PX)들이 위치할 수 있다. 각 화소(PX)는 스캔선 및 데이터선에 연결된 화소회로 및 화소회로에 연결된 발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예컨대, 주변영역(PA)은 표시영역(DA)을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는 표시영역(DA)에 인가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다양한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주변영역(PA)에는 표시영역(DA) 내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주변영역(PA)은 일측에 패드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영역 상에는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는 패드부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부에 포함된 복수의 패드들 각각은 인쇄회로기판의 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패드부는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패드들은 절연층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인쇄회로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로, 발광소자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발광소자는 무기물을 포함하는 무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발광 다이오드는 무기물 반도체 기반의 재료들을 포함하는 PN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발광소자는 발광층으로 양자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비하는 발광소자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후술하는 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유닛(DU)과 표시유닛(DU)에 대향하여 배치된 컬러필터유닛(CU)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유닛(DU)은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유닛(DU)은 제1화소(PX1), 제2화소(PX2) 및 제3화소(PX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화소(PX1), 제2화소(PX2) 및 제3화소(PX3)는 각각 하부기판(100) 상에서 서로 다른 색을 방출하는 화소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화소(PX1)는 제1색 광(La)을 방출할 수 있고, 제2화소(PX2)는 제2색 광(Lb)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3화소(PX3)는 제3색 광(Lc)을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색 광(La)은 청색 광이고, 제2색 광(Lb)은 녹색 광이고, 제3색 광(Lc)은 적색 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들 각각은 발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발광소자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화소(PX1)는 제1발광소자(OLED1)를 구비하고, 제2화소(PX2)는 제2발광소자(OLED2)를 구비하고, 제3화소(PX3)는 제3발광소자(OLED3)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OLED1, OLED2, OLED3)는 각각 제1색 광(La), 예컨대,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OLED1, OLED2, OLED3)는 각각 제1색 광(La), 제2색 광(Lb) 및 제3색 광(Lc)을 발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OLED1, OLED2, OLED3)는 제1색 광(La)과 제2색 광(Lb)이 혼합된 광, 예컨대, 청색 광과 녹색 광이 혼합된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컬러필터유닛(CU)은 제1색 필터부(400a), 제2색 필터부(400b) 및 제3색 필터부(4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OLED1, OLED2, OLED3)에서 발광한 광은 각각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를 통과하여 제1색 광(La), 제2색 광(Lb) 및 제3색 광(Lc)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유닛(DU)과 컬러필터유닛(CU)을 각각 제작하고, 표시유닛(DU)과 컬러필터유닛(CU)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기판(100) 상에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OLED1, OLED2, OLED3)를 형성하여 표시유닛(DU)을 제작하고, 상부기판(400) 상에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을 형성하여 컬러필터유닛(CU)을 제작한다. 이러한 표시유닛(DU)과 컬러필터유닛(CU)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합시킨다. 이때, 표시유닛(DU)과 컬러필터유닛(CU)은 그들 사이에 배치된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을 포함하는 접착층(ADH)을 통해 접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접착층(ADH)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표시유닛(DU) 상에 컬러필터유닛(CU)을 바로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기판(100) 상에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OLED1, OLED2, OLED3)를 형성하여 표시유닛(DU)을 제작하고, 표시유닛(DU) 상에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를 형성함으로써 컬러필터유닛(CU)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유닛(DU)과 컬러필터유닛(CU)은 일체(一體)일 수 있으며, 상부기판(40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는 봉지층(160, 도 4 참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와 봉지층(160) 사이에는 유기층, 무기층, 도전층 또는 이들의 복합막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8d는 도 2의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기반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내용들은 도 3의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 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 도 2 참조)는 하부기판(100), 하부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발광소자들, 상부기판(400), 상부기판(400)의 하부기판(100) 방향의 하면 상에 배치된 필터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기판(100)은 글라스, 금속 또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하부기판(100)이 플렉서블 또는 벤더블 특성을 갖는다면, 하부기판(100)은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하부기판(100)은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층들과 그 층들 사이에 개재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부기판(100) 상에는 제1화소전극(311)을 포함하는 제1발광소자가 위치한다. 물론 하부기판(100) 상에는 제1발광소자 외에도 제1발광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박막트랜지스터(210)도 위치할 수 있다. 제1발광소자가 제1박막트랜지스터(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제1발광소자의 제1화소전극(311)이 제1박막트랜지스터(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박막트랜지스터(210)는 비정질실리콘, 다결정실리콘, 유기반도체물질 또는 산화물반도체물질을 포함하는 제1반도체층(211), 제1게이트전극(213), 제1소스전극(215a) 및 제1드레인전극(2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게이트전극(213)은 다양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다양한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Mo층, Al층 및/또는 Ti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게이트전극(213)은 Mo층/Al층/Mo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소스전극(215a)과 제1드레인전극(215b) 역시 다양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며 다양한 층 구조, 예컨대, Ti층, Al층 및/또는 Cu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소스전극(215a)과 제1드레인전극(215b)은 Ti층/Al층/Ti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반도체층(211)과 제1게이트전극(213)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게이트절연막(121)이 제1반도체층(211)과 제1게이트전극(21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제1게이트전극(213)의 상부에는 층간절연막(13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소스전극(215a) 및 제1드레인전극(215b)은 그러한 층간절연막(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게이트절연막(121) 및 층간절연막(131)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박막트랜지스터(210)와 하부기판(100) 사이에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하는 버퍼층(110)이 개재될 수 있다. 버퍼층(110)은 하부기판(100)의 상면의 평활성을 높이거나, 불순물이 발광소자 및 화소회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박막트랜지스터(210) 상에는 평탄화층(140)이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140)은 제1박막트랜지스터(210)를 덮는 보호막 상부를 대체로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140)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평탄화층(140)이 단층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평탄화층(140)은 다층 구조를 갖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부기판(100)의 평탄화층(140) 상에는 제1발광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화소(PX1)에 위치하는 제1발광소자는 제1화소전극(311), 대향전극(33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320)을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제1화소전극(311)은 평탄화층(140) 등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제1소스전극(215a) 및 제1드레인전극(215b) 중 어느 하나와 컨택하여 제1박막트랜지스터(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화소전극(311)은 ITO, In2O3 또는 IZO 등의 투광성인 도전성 산화물로 형성된 투광성 도전층과, Al 또는 Ag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소전극(311)은 ITO층/Ag층/ITO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중간층(320) 및/또는 대향전극(330)은 제1화소전극 내지 제3화소전극(311, 312, 313)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중간층(320) 및/또는 대향전극(330)은 제1화소전극(311) 내지 제3화소전극(311, 312, 313) 각각에 대응하도록 패터닝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층(32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320)이 저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중간층(320)은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320)이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경우, 중간층(320)은 홀 수송층(HTL)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홀 수송층은 PEDOT을 포함하고, 발광층은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320)은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방법, 증착법 또는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중간층(3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중간층(320)은 복수개의 발광층들과 그들 사이에 배치된 전하생성층(CGL; Charge Generation Lay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중간층(3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색 발광층(EMLa, 도 5 참조)과 적어도 하나의 제2색 발광층(EMLb, 도 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320)의 세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대향전극(330)은 ITO, In2O3 또는 IZO으로 형성된 투광성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향전극(330)은 Al, Mg, Ag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반투과막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층(140) 상부에는 화소정의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50)은 각 화소들에 대응하며 화소전극들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화소개구를 가짐으로써, 화소들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소정의막(150)은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들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봉지층(160)으로 덮어 보호될 수 있다. 봉지층(160)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봉지층과 적어도 하나의 무기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봉지층(160)은 제1무기봉지층(161), 유기봉지층(162) 및 제2무기봉지층(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161)은 대향전극(330)을 덮을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161)과 대향전극(330) 사이에는 캐핑층 등의 다른 층(미도시)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제1무기봉지층(161)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기에 상면이 평탄하지 않으므로, 제1무기봉지층(161)을 덮도록 유기봉지층(162)을 형성하여 상면이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162)은 제2무기봉지층(163)으로 덮일 수 있다.
이러한 제1무기봉지층(161) 및 제2무기봉지층(163)은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트라이산질화규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봉지층(16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화소(PX2)에 위치하는 제2발광소자를 가질 수 있다. 제2발광소자는 제2화소전극(312), 대향전극(33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320)을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물론 하부기판(100) 상에는 제2발광소자 외에도 제2발광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박막트랜지스터(220)도 위치할 수 있다. 제2발광소자가 제2박막트랜지스터(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제2발광소자의 제2화소전극(312)이 제2박막트랜지스터(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화소전극(312)과 제2박막트랜지스터(22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화소전극(311)과 제1박막트랜지스터(2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3화소(PX3)에 위치하는 제3발광소자를 가질 수 있다. 제3발광소자는 제3화소전극(313), 대향전극(330)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320)을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물론 하부기판(100) 상에는 제3발광소자 외에도 제3발광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박막트랜지스터(230)도 위치할 수 있다. 제3발광소자가 제3박막트랜지스터(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제3발광소자의 제3화소전극(313)이 제3박막트랜지스터(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3화소전극(313)과 제3박막트랜지스터(230)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제1화소전극(311)과 제1박막트랜지스터(2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상부기판(400)은 하면이 하부기판(100)을 향하도록 하부기판(10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기판(400)은 제1화소전극 내지 제3화소전극(311, 312, 313)이 상부기판(400)과 하부기판(100)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기판(400)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기판(400)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부기판(400)은 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두 개의 층들과 그 층들 사이에 개재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부기판(400)은 제1화소전극(311)에 대응하는 제1영역(A1), 제2화소전극(312)에 대응하는 제2영역(A2) 및 제3화소전극(313)에 대응하는 제3영역(A3)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응한다는 것'은 상부기판(400)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시, 서로 중첩한다는 의미이다. 즉, 상부기판(400)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시, 제1영역(A1)은 제1화소전극(311)과 중첩하고, 제2영역(A2)은 제2화소전극(312)과 중첩하고, 제3영역(A3)은 제3화소전극(313)과 중첩한다.
상부기판(400)의 하부기판(100) 방향(-z축 방향)의 하면 상에는 필터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필터부들은 제1화소 내지 제3화소(PX1, PX2, PX3)에 각각 대응하는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는 각각 하부기판(100) 또는 상부기판(400)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에서 바라볼 시, 제1화소전극 내지 제3화소전극(311, 312, 313)과 중첩할 수 있다.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는 각각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풀컬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색 필터부(400a)는 제1영역(A1)에서 상부기판(400)과 대향전극(330) 사이에 배치된 제1투광층(415) 및 상부기판(400)과 제1투광층(415) 사이에 배치된 제1색 컬러필터층(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색 필터부(400b)는 제2영역(A2)에서 상부기판(400)과 대향전극(330) 사이에 배치된 제2투광층(425) 및 상부기판(400)과 제2투광층(425) 사이에 배치된 제2색 컬러필터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색 필터부(400c)는 제3영역(A3)에서 상부기판(400)과 대향전극(330) 사이에 배치된 제3색 양자점층(435) 및 상부기판(400)과 제3색 양자점층(435) 사이에 배치된 제3색 컬러필터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색 컬러필터층(410)은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1색 컬러필터층(410)은 450nm 내지 495nm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층일 수 있다. 제1색 컬러필터층(410)은 상부기판(400)의 하부기판(100) 방향(-z축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색 컬러필터층(410)은 상부기판(400)의 제1영역(A1)을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색 컬러필터층(410)은 제2영역(A2)을 노출시키는 제1-2개구(412)를 갖는다. 제1-2개구(412)는 제2화소(PX2)의 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색 컬러필터층(410)은 제3화소전극(313)에 대응하는 제3영역(A3)을 노출시키는 제1-3개구(413)를 갖는다. 제1-3개구(413)는 제3화소(PX3)의 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색 컬러필터층(420)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색 컬러필터층(420)은 495nm 내지 570nm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층일 수 있다. 제2색 컬러필터층(420)은 제1색 컬러필터층(410)의 하부기판(100) 방향(-z축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부분과, 제1색 컬러필터층(410)의 제1-2개구(412)를 채우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색 컬러필터층(420)에서 제1색 컬러필터층(410)의 하부기판(100) 방향(-z축 방향)의 하면 상에 위치하는 부분은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격벽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색 컬러필터층(420)에서 제1색 컬러필터층(410)의 제1-2개구(412)를 채우는 부분은 상부기판(400)의 제2영역(A2)을 덮을 수 있다.
한편, 제2색 컬러필터층(420)은 제1영역(A1)을 노출시키는 제2-1개구(421)를 갖는다. 제2-1개구(421)는 제1화소(PX1)의 영역을 정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색 컬러필터층(420)은 제3화소전극(313)에 대응하는 제3영역(A3)을 노출시키는 제2-3개구(423)를 갖는다.
제3색 컬러필터층(430)은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층일 수 있다. 예컨대, 제3색 컬러필터층(430)은 630nm 내지 780nm에 속하는 파장의 광만을 통과시키는 층일 수 있다. 제3색 컬러필터층(430)은 제1색 컬러필터층(410)의 제1-3개구(413)를 채운다. 물론 제3색 컬러필터층(430)은 제2색 컬러필터층(420)의 제2-3개구(423)를 채우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제3색 컬러필터층(430)은 상부기판(400)의 제3영역(A3)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제1색 컬러필터층 내지 제3색 컬러필터층(410, 420, 430)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광 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외광이 제1색 컬러필터층(410)에 도달하면 사전 설정된 파장의 광만 제1색 컬러필터층(410)을 통과하고 그 외의 파장의 광은 제1색 컬러필터층(410)에 흡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사한 외광 중 사전 설정된 파장의 광만 제1색 컬러필터층(410)을 통과하고 또 그 일부가 그 하부의 대향전극(330) 또는 제1화소전극(311)에서 반사되어, 다시 외부로 방출된다. 결국 제1화소(PX1)가 위치하는 곳에 입사하는 외광 중 일부만 외부로 반사되기에, 외광 반사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은 제2색 컬러필터층(420)과 제3색 컬러필터층(4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2색 컬러필터층(420)의 제2-1개구(421)가 제1영역(A1)을 정의하고, 제1색 컬러필터층(410)의 제1-2개구(412)가 제2영역(A2)을 정의하고, 제1색 컬러필터층(410)의 제1-3개구(413)가 제3영역(A3)을 정의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 제1색 컬러필터층 내지 제3색 컬러필터층(410, 420, 430) 사이에는 블랙매트릭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블랙매트릭스는 제1영역 내지 제3영역(A1, A2, A3) 각각에 대응하는 개구를 가짐으로써, 제1화소 내지 제3화소(PX1, PX2, PX3)의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매트릭스는 후술하는 뱅크(500)가 포함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블랙매트릭스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블랙매트릭스는 포토리지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광 및 현상 등의 과정을 거쳐 용이하게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뱅크(500)는 컬러필터층들이 중첩하는 부분과 하부기판(1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뱅크(500)는 제1색 컬러필터층(410) 및 제2색 컬러필터층(420)이 중첩하는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술한 블랙매트릭스를 구비하는 경우, 뱅크(500)는 블랙매트릭스와 중첩할 수 있다.
뱅크(500)는 제1영역(A1)에 대응하는 제1개구(501), 제2영역(A2)에 대응하는 제2개구(502) 및 제3영역(A3)에 대응하는 제3개구(503)를 가질 수 있다. 뱅크(500)의 제1개구 내지 제3개구(501, 502, 503)는 각각 제1화소 내지 제3화소(PX1, PX2, PX3)의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정의막(150)의 화소개구들과 중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하부기판(100) 또는 상부기판(400)에 수직인 방향에서 바라볼 시 뱅크(500)의 제1개구 내지 제3개구(501, 502, 503) 각각의 가장자리의 형상은 화소정의막(150)의 화소개구들의 가장자리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뱅크(500)는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뱅크(500)는 포토리지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광 및 현상 등의 과정을 거쳐 용이하게 뱅크(500)를 형성할 수 있다.
뱅크(500)의 개구들은 양자점층 또는 투광층으로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양자점층"은 광의 파장을 변환시키는 양자점을 포함하는 층으로서, 해당 층을 통과하는 광은 사전 설정된 파장대역에 속하는 광으로 변환하는 층을 의미한다. "투광층"은 상술한 양자점을 포함하지 않는 층으로서, 해당 층을 통과하는 광의 파장을 변환하지 않는 층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제1화소(PX1) 및 제2화소(PX2)에는 양자점층이 구비되지 않고, 제3화소(PX3)에만 양자점층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투광층(415)은 뱅크(500)의 제1개구(501)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고, 제1화소전극(311)과 중첩한다. 제2투광층(425)은 뱅크(500)의 제2개구(502)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고, 제2화소전극(312)와 중첩한다. 제3색 양자점층(435)은 뱅크(500)의 제3개구(503)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고, 제3화소전극(313)과 중첩한다.
이 경우, 제1화소(PX1)에서는 제1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파장 변환없이 제1투광층(415)을 통과하여 제1색 컬러필터층(410)을 향하여 방출된다. 제2화소(PX2)에서는 제2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파장 변환없이 제2투광층(425)을 통과하여 제2색 컬러필터층(420)을 향하여 방출된다. 제3화소(PX3)에서는 제3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이 제3색 양자점층(435)을 통과하며 제3색에 해당하는 파장대역의 광으로 변환되어 제3색 컬러필터층(430)을 향하여 방출된다.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서로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투광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색 양자점층(435)은 제3화소전극(313) 상의 중간층(320)에서 생성된 제1파장대역의 광 및 제2파장대역의 광을 제3파장대역의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3색 양자점층(435)은 제3화소전극(313) 상의 중간층(320)에서 생성된 450nm 내지 495nm에 속하는 파장대역의 광 및 495nm 내지 570nm에 속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630nm 내지 780nm에 속하는 파장대역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색 양자점층(435)은 수지 내에 복수개의 양자점들이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양자점은 카드뮴설파이드(CdS), 카드뮴텔루라이드(CdTe), 징크설파이드(ZnS) 또는 인듐포스파이드(InP) 등의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다. 양자점은 그 크기가 수 나노미터일 수 있으며, 양자점의 사이즈에 따라 변환 후의 광의 파장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제3색 양자점층(435)이 포함하는 수지는 투광성 물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아크릴, BCB(Benzocyclobutene)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제3색 양자점층(435) 형성용 물질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3색 양자점층(435)은 복수개의 양자점들, 광중합(photopolymerization) 관능기(또는 작용기)를 가진 모노머(monomer)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제3색 양자점층(435)이 포함하는 복수개의 양자점들은 양자점의 표면을 둘러싸는 한 종류 이상의 리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간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리간드는 한자리(mono-dentate) 리간드, 두자리(bi-dentate) 리간드 및/또는 여러자리(poly-dentate) 리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 각각의 상면은 뱅크(500)의 상면과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기판(400)의 하부기판(100) 방향의 하면으로부터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 각각의 하부기판(100) 방향의 하면까지의 거리는, 상부기판(400)의 하부기판(100) 방향의 하면으로부터 뱅크(500)의 하부기판(100) 방향의 하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보호층(IL1)은 제1색 컬러필터층(410)과 제1투광층(415) 사이, 제2색 컬러필터층(420)과 제2투광층(425) 사이 및 제3색 컬러필터층(430)과 제3색 양자점층(4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보호층(IL2)은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제3색 양자점층(435) 및 뱅크(500) 각각의 하부기판(100) 방향의 하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보호층(IL1) 및 제2보호층(IL2)은 상부기판(400)의 전면(全面)에 있어서 일체(一體)일 수 있다.
제1보호층(IL1) 및 제2보호층(IL2)은 투광성을 갖는 무기 절연 물질로서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보호층(IL1) 및 제2보호층(IL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보호층(IL1)은 제1색 컬러필터층 내지 제3색 컬러필터층(410, 420, 430)의 하부기판(100) 방향의 하면을 덮는 유기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보호층(IL1)은 유기물층에 의해 평탄한 하면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하는 중간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 도 1 참조)는 전술한 박막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을 구비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 상부에는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 각각은 전술한 제1화소전극 내지 제3화소전극(311, 312, 313), 중간층(320) 및 대향전극(330)을 구비할 수 있다. 대향전극(330) 상부에는 제1화소 내지 제3화소(PX1, PX2, PX3) 각각에 대응하는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320)이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층들 각각에서 발광한 광들은 대향전극(330) 상부에 배치된 제1색 필터부 내지 제3색 필터부(400a, 400b, 400c)를 통과하며 필터링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제1발광소자 내지 제3발광소자가 구비하는 중간층(320)은 발광층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유닛들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인 텐덤(Tandem)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발광유닛"은 발광층과 함께, 홀 주입층(HIL), 홀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색 발광유닛은 홀 수송층(HTL), 제1색 발광층(EMLa) 및 전자 수송층(ETL)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고, 제2색 발광유닛은 홀 수송층(HTL), 제2색 발광층(EMLb) 및 전자 수송층(ETL)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색 발광층(EMLa)은 제1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고, 제2색 발광층(EMLb)은 제2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색 발광층(EMLb)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제1색 발광층(EMLa)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보다 길 수 있다. 예컨대, 제1색 발광층(EMLa)은 450nm 내지 495nm에 속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하고, 제2색 발광층(EMLb)은 495nm 내지 570nm에 속하는 파장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중간층(320)은 적어도 하나의 제1색 발광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제2색 발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에서는 중간층(320)이 순차로 적층된 3개의 제1색 발광유닛 및 1개의 제2색 발광유닛을 포함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중간층(320)이 포함하는 제1색 발광유닛 및 제2색 발광유닛 각각의 개수와 그들의 배치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대, 도 5와 달리 중간층(320)은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제1색 발광유닛을 포함하거나, 2개 이상의 제2색 발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색 발광유닛이 제1색 발광유닛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제2색 발광유닛이 가장 하부에 배치되고 제2색 발광유닛 상부에 제1색 발광유닛(들)이 순차로 적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유닛들 사이에는 전하생성층(CGL)이 배치될 수 있다. 전하생성층(CGL)은 전자 또는 홀을 제공하는 층으로서, 인접한 발광층들의 발광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하생성층(CGL)은 전자를 제공하는 n-type 전하생성층(CGLn)과 홀을 제공하는 p-type 전하생성층(CGLp)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n-type 전하생성층(CGLn)은 발광유닛의 전자 수송층(ETL) 상부에 배치되어 전자 수송층(ETL)에 전자를 제공할 수 있고, p-type 전하생성층(CGLp)은 발광유닛의 홀 수송층(HTL)의 하부에 배치되어 홀 수송층(HTL)에 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하생성층(CGL)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8d는 전술한 도 2와 같이 표시유닛(DU, 도 2 참조)과 컬러필터유닛(CU, 도 2 참조)을 각각 제작 후 합착하는 제조방법의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내용은 도 3과 같이 표시유닛(DU, 도 3 참조) 상에 컬러필터유닛(CU, 도 3 참조)을 바로 형성하는 제조방법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a 내지 도 8d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 하부에는 컬러필터층들 및 상부기판(400)이 아닌 표시유닛(DU)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컬러필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 및 투광층과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필터층들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부기판(400)의 제1영역(A1)에 위치하는 제1색 컬러필터층(410), 상부기판(400)의 제2영역(A2)에 위치하는 제2색 컬러필터층(420), 상부기판(400)의 제3영역(A3)에 위치하는 제3색 컬러필터층(4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뱅크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영역(A1)과 중첩하는 제1개구(501), 제2영역(A2)과 중첩하는 제2개구(502) 및 제3영역(A3)과 중첩하는 제3개구(503)를 갖는 뱅크(5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투광층과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개구(501)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1투광층(415), 제2개구(502)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2투광층(425) 및 제3개구(503)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3색 양자점층(435)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투광층(415)과 제2투광층(425)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며, 하나의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을 형성하는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을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잉크젯 공정은 뱅크(500)의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 투광층 물질(TLm)을 주입하고, 뱅크(500)의 제3개구(503)에 양자점층 물질(QDLm)을 주입하는 단계와, 투광층 물질(TLm) 및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투광층 물질(TLm) 및 양자점층 물질(QDLm)은 제1개구 내지 제3개구(501, 502, 503)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노즐(미도시)을 통해 잉크 형태로 제1개구 내지 제3개구(501, 502, 503)에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개구 내지 제3개구(501, 502, 503)에는 투광층 물질(TLm) 또는 양자점층 물질(QDLm)이 동시에 주입된 후 경화될 수 있다. 또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투광층 물질(TLm) 및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 주입된 투광층 물질(TLm)의 일부 및 제3개구(503)에 주입된 양자점층 물질(QDLm)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면도 상에서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 각각의 두께는 뱅크(5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투광층(415), 제2투광층(425) 및 제3색 양자점층(435) 각각의 상면은 뱅크(500)의 상면과 단차를 갖게 되어, 화소들 간의 색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은,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을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한 후, 제3색 양자점층(435)은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잉크젯 공정은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 투광층 물질(TLm)을 주입하는 단계와, 투광층 물질(TLm)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투광층 물질(TLm)은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 각각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노즐(미도시)을 통해 잉크 형태로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 주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는 투광층 물질(TLm)이 동시에 주입된 후 경화될 수 있다. 또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투광층 물질(T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 주입된 투광층 물질(TLm)의 일부 및 양자점층 물질(QDLm)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면도 상에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 각각의 두께는 뱅크(5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 각각의 상면은 뱅크(500)의 상면과 단차를 갖게 되어, 화소들 간의 색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상부기판(400)의 전면에 대하여 양자점층 물질(QDLm)을 도포하는 단계와,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코팅 공정은 잉크젯 공정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색 양자점층(435)은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이 형성된 이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양자점층 물질(QDLm)은 상부기판(400)의 전면에 대하여 도포될 수 있다. 상부기판(400)의 전면에 대하여 도포된 양자점층 물질(QDLm)은 제3개구(503)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양자점층 물질(QDLm)은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 형성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제3개구(503)를 채우는 양자점층 물질(QDLm)의 단면도 상의 두께는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을 덮는 양자점층 물질(QDLm)의 단면도 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한편, 도 7c에서는 양자점층 물질(QDLm)이 뱅크(500)를 덮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양자점층 물질(QDLm)은 뱅크(5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제3개구(503)에 도포된 양자점층 물질(QDLm)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면도 상에서 제3색 양자점층(435)의 두께는 뱅크(5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개구(501)의 제1투광층(415) 및 제2개구(502)의 제2투광층(425)을 덮는 양자점층 물질(QDLm)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제1개구(501)의 제1투광층(415) 및 제2개구(502)의 제2투광층(425)을 덮는 양자점층 물질(QDLm)은 전부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는 잔존하는 양자점층 물질(QDLm)이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화소(PX1, 도 4 참조) 및 제2화소(PX2, 도 4 참조)에서 방출되는 광의 특성이 잔존하는 양자점층 물질(QDLm)에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풀컬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방법은, 제3색 양자점층(435)을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한 후,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잉크젯 공정은 제3개구(503)에 양자점층 물질(QDLm)을 주입하는 단계와,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양자점층 물질(QDLm)은 제3개구(503)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노즐(미도시)을 통해 잉크 형태로 제3개구(503)에 주입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양자점층 물질(QD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제3개구(503)에 주입된 양자점층 물질(QDLm)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면도 상에서 제3색 양자점층(435)의 두께는 뱅크(5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색 양자점층(435)의 상면은 뱅크(500)의 상면과 단차를 갖게 되어, 화소들 간의 색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팅 공정은 상부기판(400)의 전면에 대하여 투광층 물질(TLm)을 도포하는 단계와, 투광층 물질(TLm)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코팅 공정은 잉크젯 공정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은 제3색 양자점층(435)이 형성된 이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투광층 물질(TLm)은 상부기판(400)의 전면에 대하여 도포될 수 있다. 상부기판(400)의 전면에 대하여 도포된 투광층 물질(TLm)은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를 채울 수 있다. 또한, 투광층 물질(TLm)은 제3개구(503)에 형성된 제3색 양자점층(435)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를 채우는 투광층 물질(TLm)의 단면도 상의 두께는 제3색 양자점층(435)을 덮는 투광층 물질(TLm)의 단면도 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한편, 도 8c에서는 투광층 물질(TLm)이 뱅크(500)를 덮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투광층 물질(TLm)은 뱅크(50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투광층 물질(T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제1개구(501) 및 제2개구(502)에 도포된 투광층 물질(TLm)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면도 상에서 제1투광층(415) 및 제2투광층(425)의 두께는 뱅크(5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광층 물질(T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제3개구(502)의 제3색 양자점층(435)을 덮는 투광층 물질(TLm)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투광층 물질(TLm)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제3개구(502)의 제3색 양자점층(435)을 투광층 물질(TLm)은 전부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개구(503)에는 잔존하는 투광층 물질(TLm)이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화소(PX2, 도 4 참조)에서 방출되는 광의 특성이 잔존하는 투광층 물질(TLm)에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고품질의 풀컬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만 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 이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00: 하부기판
311, 312, 313: 제1화소전극, 제2화소전극, 제3화소전극
320: 중간층
330: 대향전극
400: 상부기판
400a, 400b, 400c: 제1색 필터부, 제2색 필터부, 제3색 필터부
410, 420, 430: 제1색 컬러필터층, 제2색 컬러필터층, 제3색 컬러필터층
415: 제1투광층, 제2투광층
435: 제3색 양자점층
500: 뱅크
501, 502, 503: 제1개구, 제2개구, 제3개구
EMLa, EMLb: 제1색 발광층, 제2색 발광층
QDLm: 양자점층 물질
TLm: 투광층 물질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제1색 발광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색 발광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판의 제1영역에 위치하는 제1색 컬러필터층,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위치하는 제2색 컬러필터층 및 상기 기판의 제3영역에 위치하는 제3색 컬러필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영역과 중첩하는 제1개구, 상기 제2영역과 중첩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3영역과 중첩하는 제3개구를 갖는, 뱅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1투광층, 상기 제2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상기 제1투광층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제2투광층 및 상기 제3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는 제3색 양자점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층, 상기 제2투광층 및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공정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에 투광층 물질을 주입하고, 상기 제3개구에 양자점층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층 물질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층 물질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투광층 물질의 일부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의 일부가 제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층, 상기 제2투광층 및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동시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공정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에 투광층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 공정은,
    상기 기판의 전면에 대하여 양자점층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투광층 물질의 일부가 제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동시에 형성되고,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이 형성된 이후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을 덮는 상기 양자점층 물질이 제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코팅 공정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잉크젯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공정은,
    상기 제3개구에 양자점층 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 공정은,
    상기 기판의 전면에 대하여 투광층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양자점층 물질의 일부가 제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이 형성된 이후에 동시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층 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을 덮는 상기 투광층 물질이 제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 발광층은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색 발광층은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색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은 상기 제1색 발광층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보다 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색 양자점층은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 및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으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광층 및 상기 제2투광층은 통과하는 광의 파장을 변환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 컬러필터층은 상기 제1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2색 컬러필터층은 상기 제2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고, 상기 제3색 컬러필터층은 상기 제3파장대역에 속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210050743A 2021-04-19 2021-04-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220144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743A KR20220144458A (ko) 2021-04-19 2021-04-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US17/714,598 US20220336535A1 (en) 2021-04-19 2022-04-06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202210393915.8A CN115224082A (zh) 2021-04-19 2022-04-15 制造显示装置的方法
EP22168699.1A EP4080578A1 (en) 2021-04-19 2022-04-19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743A KR20220144458A (ko) 2021-04-19 2021-04-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458A true KR20220144458A (ko) 2022-10-27

Family

ID=8132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743A KR20220144458A (ko) 2021-04-19 2021-04-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36535A1 (ko)
EP (1) EP4080578A1 (ko)
KR (1) KR20220144458A (ko)
CN (1) CN11522408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044A (ko) * 2018-10-11 2020-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24372A (ko) * 2019-04-23 2020-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제어부재 및 이를 적용한 표시장치
KR20200138528A (ko) * 2019-05-30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21216A (ko) * 2019-08-16 2021-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430444B (zh) * 2020-04-30 2023-06-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量子点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36535A1 (en) 2022-10-20
EP4080578A1 (en) 2022-10-26
CN115224082A (zh)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719B1 (ko) 표시 장치
KR102491876B1 (ko) 표시장치
KR2018005438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8768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1178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448564B2 (ja) 表示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US2021034381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209912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2101388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5693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65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83349A1 (zh)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744095B2 (en) Display apparatus with top substrate having grooves including reflective layer, color, and quantum dot layer
US2021033622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0600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44458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US11844259B2 (en) Display apparatus
US11737313B2 (en) Display apparatus
US11800769B2 (en) Display apparatus
US20220199732A1 (en) Display apparatus
KR20220095397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200210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37106A (ko) 표시 장치
KR2022000567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5617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