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3219A - 목 어깨 자세 교정기 - Google Patents

목 어깨 자세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3219A
KR20220143219A KR1020210049226A KR20210049226A KR20220143219A KR 20220143219 A KR20220143219 A KR 20220143219A KR 1020210049226 A KR1020210049226 A KR 1020210049226A KR 20210049226 A KR20210049226 A KR 20210049226A KR 20220143219 A KR20220143219 A KR 2022014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pillow
neck
cervical
cervical vertebr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환권
조근열
온철원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3219A/ko
Publication of KR2022014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9Throat or neck
    • A61F2007/0011Neck only
    • A61F2007/0012Neck only with means for support of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4Cushion or similar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61H2201/1611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61H2201/1616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 어깨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를 베고 누웠을 때 경추를 받쳐 줌은 물론 경추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방에서 하방으로 어깨 부분을 눌러서 펴주도록 된 목 어깨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 어깨 자세 교정기{Neck and shoulder posture corrector}
본 발명은 목 어깨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를 베고 누웠을 때 경추를 받쳐 줌은 물론 경추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방에서 하방으로 어깨 부분을 눌러서 펴주도록 된 목 어깨 자세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의 경추는 척추의 가장 윗부분에 위치에서 사람의 두부와 연결되목뼈에 해당하는 것으로, 목은 머리와 몸통을 연결시켜주는 다리역할을 하며 "1자형" 다리보다 "C자형" 다리가 튼튼하듯이 건강한 목은 C자 형태를 갖는게 맞지만, 대부분의 현대인은 "1자형" 목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이 "1자형" 목은 머리의 무게를 받치고 있는 목주위의 근육에 엄청난 부하가 걸려 근육에 피로가 쌓이게 되고 근육이 딱딱하게 뭉쳐서 두통과 뒷목의 당김, 어깨걸림 등의 원인이 되며 목디스크가 오기 쉽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C자형의 건강한 목에서 일자형이나 역C자형의 기형적인 목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고 그때 목을 자라목과 같은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일자형의 목이 기형적으로 변형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형적인 변형은 경추피로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경추 골곡성 베개와 경추 이완용 기술들이 소개되었으며, 그 예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0957호(명칭 :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 ; 출원일 : 2016년 06월 07일자 ; 이하 문헌 1)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6087호(명칭 :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 출원일 : 2014년 10월 20일자 ; 이하 문헌 2)를 들 수 있다.
상기 문헌 1은 항시 머리 부분의 안정된 지지력이 확보되게 하여 경추 교정 및 치료 효과의 증대 및 바른자세로의 수면으로 인한 숙면의 유도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수면시 경추의 "C"형 굴곡도의 지지 유지와 근육의 이완을 도와주게 하여 수면중 경추의 교정 및 치료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경추를 받쳐주는 부분에 대하여 그 지지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항시 최적의 경추 받침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수면중 옆으로 누워 수면시에도 사용자의 귀 부분이 눌리는 것을 방지하여 귀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옆으로 누워 수면시 어깨와 팔 부분의 눌림을 방지하여 수면중 팔저림과 같은 통증을 방지하게 하며, 또한, 목 교정베개를 사용함에 있어, 전,후 방향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게 하는 등 목 교정베개 사용 효율성의 향상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이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사용자의 어깨 위에 올려진 어깨 누름부; 상기 어깨 누름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 상기 후두부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외후두 융기 주변을 압박하는 제 4뇌실 압박돌기; 및 상기 후두부 지지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를 감싸는 경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는복수의 산과 상기 복수의 산들 사이에 통풍을 유도하는 골을 형성한 뇌척수액 순환유도 목베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1,2를 포함한 종래 기술들은 대부분 경추를 맏쳐주거나 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기능이 그치게 되므로, 경추를 자극하면서 이완시켜 정상 구조로 교정을 유도하거나, 어깨를 뒤로 펴주어 둥근 어깨(어깨가 앞으로 모이는 형태의 어깨)를 교정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는 기능에 한계를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 어깨 자세 교정과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0957호(명칭 : C자형 경추 유지를 통한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에 도움이 되는 목 교정베개 ; 출원일 : 2016년 06월 07일자)
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16087호(명칭 :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 출원일 : 2014년 10월 20일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머리를 베고 누웠을 때 경추를 받쳐 줌은 물론 경추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방에서 하방으로 어깨 부분을 눌러서 펴주도록 된 목 어깨 자세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경추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향 돌출된 베게(11); 상기 베개(11) 양측에서 누은 사용자의 어깨 상방으로 연장 마련되는 어깨대응부(12); 상기 베개(11)와 양측 어깨대응부(12)에 이르도록 내재되어, 베개(11)를 베고 누웠을 때 머리의 하중에 의해 어깨대응부(12)가 하강하도록 하여 어깨를 가압하는 어깨가압부(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개(11)는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개(11)는 경추에서 후두부의 굴곡을 따라 상향 만곡 돌출되는 가운데, 안치되는 경추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이 더 융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개(11) 중 경추와 접하는 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황/종방향으로 돌기(1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베개(11) 중 경추와 접하는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경추자극수단(11b)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독립적인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으로, 상기 베개(11)의 양측 단부와 각 어깨대응부(12)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착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깨대응부(12)는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접하는 면 부분에 경질의 돌기(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깨가압부(13)는 평면적 플레이트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되, 만곡진 부위인 경추 대응 부위가 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형체를 유지시키며 어깨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어깨가압부(13)는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방향의 면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어깨자극수단(12b)이 더 마련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표면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쪽 어깨 부분에 상기 어깨대응부(12)를 안치시키고 머리와 경추 부분을 베개(1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눕게 되면, 베개(11)의 상향 돌출된 부분이 정상적인 경추의 곡선에 따라 경추를 받쳐주면서 뒤로 젖혀지도록 함으로써, 거북목(일자형 목)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머리를 뒤로 젖혀지는 것에 의해 경추의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베개(11)를 베고 눕는 것에 의해 하중이 발생되면, 상기 어깨가압부(13) 전체가 하강하면서 어깨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서 펴줌으로써, 둥근 어깨(어깨가 앞으로 모이는 형태의 어깨)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개(11)가 인체의 정상적인 경추 굴곡에 맞게 목에 가까운 등 부분에서부터 경추를 지나 후두부의 굴곡을 따라 상향 만곡 돌출되는 가운데, 안치되는 경추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이 더 융기됨으로써, 인체의 정상적인 경추 굴곡에 맞춰 교정되도록 사용자의 경추 곡선을 지지 유도함은 물론, 상기 경추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이 융기된 부분이 목의 양쪽을 잡아줌으로써, 뒷 목 부분이 정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개(11) 중 인체의 경추와 접하는 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황/종방향으로 돌기(11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기(11a) 중 양측 부분에 위치하는 돌기가 목의 뒷부분을 가압 자극하여 경추를 따라 위치하는 뇌실을 자극하여 뇌척수액의 흐름이 원활하면서 부드럽게 유지되도록 하고,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돌기가 C2를 자극하여 경추의 어긋남을 교정함과 동시에 피로도를 회복시키는 지압 및 마사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개(11)에 인체의 경추와 접하는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경추자극수단(11b)이 더 마련됨으로써, 뒷목과 어깨를 포함한 신체 부분을 이완시킴으로써, 경추의 어긋남을 교정하는 작용과 견인 동작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깨대응부(12)에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접하는 면 부분에 경질의 돌기(12a)가 형성됨으로써, 베개(11)를 베고 눕는 것에 의해 하중이 발생되면, 상기 어깨대응부(12) 전체가 어깨가압부(13)에 의해 하강하면서 어깨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서 펴줌과 동시에, 상기 돌기(12a)가 국부적으로 지압하여 자극을 다각화하면서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깨가압부(13) 중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방향의 면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어깨자극수단(12b)이 더 마련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표면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어깨대응부(12) 전체가 어깨가압부(13)에 의해 하강하면서 어깨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서 펴줌과 동시에 어깨 부분의 이완 동작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개(11)는 하부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만곡 돌출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를 살짝 들어올리거나 어깨 부분을 누르게 되면, 상기 어깨대응부(12)가 하강하면서 어깨를 더욱 강하게 눌러서 자극하거나 펴주게 되며, 사용자가 목을 뒤로 젖히며 머리로 누르게 되면, 상기 베개(11)가 머리의 정수리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경추 부분을 당기면서 견인 동작이 증대되도록 하며, 이러한 롤링 동작을 반복하면서 어깨와 경추 자극이 교번하도록 함으로써, 교정 내지 자극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개(11)는 하부면이 돔 형태로 만곡 돌출됨으로써, 목을 중심으로 좌우로 롤링(구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경추를 좌우로 스트레칭시킴과 동시에, 롤링 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쪽 어깨대응부(12)가 더욱 하강하면서 해당 어깨를 강하게 늘러서 자극과 교정 작용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목 교정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목 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베고 누운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베고 누운 상태 및 어깨 누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을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인 목 어깨 자세 교정기(10)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향 돌출된 베게(11); 상기 베개(11) 양측에서 누은 사용자의 어깨 상방으로 연장 마련되는 어깨대응부(12); 상기 베개(11)와 양측 어깨대응부(12)에 이르도록 내재되어, 베개(11)를 베고 누웠을 때 머리의 하중에 의해 어깨대응부(12)가 하강하도록 하여 어깨를 가압하는 어깨가압부(13);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베개(11)는 인체의 경추에서 후두부의 굴곡을 따라 상향 만곡 돌출되는 가운데, 안치되는 경추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이 더 융기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11)는 인체의 경추와 접하는 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황/종방향으로 돌기(11a)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개(11)는 인체의 경추와 접하는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경추자극수단(11b)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독립적인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으로, 상기 베개(11)의 양측 단부와 각 어깨대응부(12)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착탈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깨대응부(12)는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접하는 면 부분에 경질의 돌기(12a)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어깨가압부(13)는 평면적 플레이트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되, 만곡진 부위인 경추 대응 부위가 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형체를 유지시키며 어깨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어깨가압부(13)는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방향의 면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어깨자극수단(12b)이 더 마련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표면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향 돌출된 베게(11); 상기 베개(11) 양측에서 누은 사용자의 어깨 상방으로 연장 마련되는 어깨대응부(12); 상기 베개(11)와 양측 어깨대응부(12)에 이르도록 내재되어, 베개(11)를 베고 누웠을 때 머리의 하중에 의해 어깨대응부(12)가 하강하도록 하여 어깨를 가압하는 어깨가압부(13); 를 포함하는 목 어깨 자세 교정기(10)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양쪽 어깨 부분에 상기 어깨대응부(12)를 안치시키고 머리와 경추 부분을 베개(1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게 되면, 베개(11)의 상향 돌출된 부분이 정상적인 경추의 곡선에 따라 경추를 받쳐주면서 뒤로 젖혀지도록 함으로써, 거북목(일자형 목)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머리를 뒤로 젖혀지는 것에 의해 경추의 견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11)를 베고 눕는 것에 의해 하중이 발생되면, 상기 어깨가압부(13) 전체가 하강하면서 어깨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서 펴줌으로써, 둥근 어깨(어깨가 앞으로 모이는 형태의 어깨)의 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중 상기 베개(11)는 라텍스, 실리콘, 천연고무,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그 자체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외피에 상기와 같은 쿠션재가 내재되어서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한 예로 한다.
이때, 상기 베개(11)는 인체의 정상적인 경추 굴곡에 맞게 목에 가까운 등 부분에서 부터 경추를 지나 후두부의 굴곡을 따라 상향 만곡 돌출되는 가운데, 첨부 도면 도 3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되는 경추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이 더 융기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인체의 정상적인 경추 굴곡에 맞춰 교정되도록 사용자의 경추 곡선을 지지 유도함은 물론, 상기 경추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이 융기된 부분이 목의 양쪽을 잡아줌으로써, 뒷 목 부분이 정확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개(11)는 첨부 도면 도 3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인체의 경추와 접하는 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황/종방향으로 돌기(11a)가 형성된 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돌기(11a) 중 양측 부분에 위치하는 돌기는 목의 뒷부분을 가압 자극하여 경추를 따라 위치하는 뇌실을 자극하여 뇌척수액의 흐름이 원활하면서 부드럽게 유지되도록 하고,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돌기는 C2를 자극하여 경추의 어긋남을 교정함과 동시에 피로도를 회복시키는 지압 및 마사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개(11)는 첨부 도면 도 3의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인체의 경추와 접하는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경추자극수단(11b)이 더 마련된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뒷목과 어깨를 포함한 신체 부분을 이완시킴으로써, 경추의 어긋남을 교정하는 작용과 견인 동작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라텍스, 실리콘, 천연고무,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 그 자체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외피에 상기와 같은 쿠션재가 내재되어서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한 예로 한다.
이때,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독립적인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으로, 상기 베개(11)의 양측 단부와 각 어깨대응부(12)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착탈 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러한 체결수단을 통한 착탈 구조는 통상적인 구성 내지 구조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어깨대응부(12)는 첨부 도면 도 4의 확대도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접하는 면 부분에 경질의 돌기(12a)가 형성된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베개(11)를 베고 눕는 것에 의해 하중이 발생되면, 상기 어깨대응부(12) 전체가 어깨가압부(13)에 의해 하강하면서 어깨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서 펴줌과 동시에, 상기 돌기(12a)가 국부적으로 지압하여 자극을 다각화하면서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어깨가압부(13)는 평면적 플레이트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되, 만곡진 부위인 경추 대응 부위가 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형체를 유지시키며 어깨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어깨가압부(13)는 베개(11)에 내재된 부분과 어깨대응부(12)에 내재된 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양측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베개(11)와 어깨대응부(12)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깨가압부(13)는 사용자(환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방향의 면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어깨자극수단(12b)이 더 마련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표면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어깨대응부(12) 전체가 어깨가압부(13)에 의해 하강하면서 어깨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눌러서 펴줌과 동시에 어깨 부분의 이완 동작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11)의 하부면이 볼록하게 만곡 돌출되는 것도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베개(11)의 만곡 돌출된 부위는 베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돔 형태로 돌출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에서, 베개(11)의 만곡 돌출된 부위가 베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우,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머리를 살짝 들어올리거나 어깨 부분을 누르게 되면, 상기 어깨대응부(12)가 하강하면서 어깨를 더욱 강하게 눌러서 자극하거나 펴주게 되며,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목을 뒤로 젖히며 머리로 누르게 되면, 상기 베개(11)가 머리의 정수리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경추 부분을 당기면서 견인 동작이 증대되도록 하며, 이러한 롤링 동작을 반복하면서 어깨와 경추 자극을 교번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베개(11)의 만곡 돌출된 부위가 돔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목을 중심으로 좌우로 롤링(구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경추를 좌우로 스트레칭시킴과 동시에, 롤링 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쪽 어깨대응부(12)가 더욱 하강하면서 해당 어깨를 강하게 늘러서 자극과 교정 작용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깨가압부(13)는 경추와 후두부에 눌려지는 부분이 탄발력을 갖는 판스프링(13a)과, 상기 판스프링(13a)의 양측 상단 좌우측에서 어깨 부위로 연장되는 어깨가압체(13b)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이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11)를 베고 눕는 것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13a)에 가압이 이루어져 하강하게 되면, 상기 어깨가압체(13b)가 어깨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도록 하고, 상기 베개(11)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판스프링(13a)이 원상태로 탄발 회복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목 어깨 자세 교정기 11 : 베개
11a : 돌기 11b : 경추자극수단
12 : 어깨대응부 12a : 돌기
12b : 어깨자극수단 13 : 어깨가압부
13a : 판스프링 13b : 어깨가압수단

Claims (14)

  1. 경추와 대응되는 부분이 상향 돌출된 베게(11);
    상기 베개(11) 양측에서 누은 사용자의 어깨 상방으로 연장 마련되는 어깨대응부(12);
    상기 베개(11)와 양측 어깨대응부(12)에 이르도록 내재되어, 베개(11)를 베고 누웠을 때 머리의 하중에 의해 어깨대응부(12)가 하강하도록 하여 어깨를 가압하는 어깨가압부(13);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11)는,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11)는,
    경추에서 후두부의 굴곡을 따라 상향 만곡 돌출되는 가운데, 안치되는 경추 부분을 감싸도록 양측이 더 융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11)는,
    경추와 접하는 면에 횡방향 또는 종방향 또는 황/종방향으로 돌기(11a)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11)는,
    경추와 접하는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경추자극수단(11b)이 더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동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대응부(12)는,
    베개(11)와 독립적인 쿠션재 그 자체로 이루어지거나 외피에 쿠션재가 내재된 것으로, 상기 베개(11)의 양측 단부와 각 어깨대응부(12)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착탈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대응부(12)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면 부분에 경질의 돌기(12a)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가압부(13)는,
    평면적 플레이트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되, 만곡진 부위인 경추 대응 부위가 목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형체를 유지시키며 어깨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가압부(13)는,
    사용자의 신체와 대응되는 방향의 면 부분에 전원 공급에 의해 진동력과 발열 동작하는 어깨자극수단(12b)이 더 마련되어, 상기 어깨대응부(12)의 표면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에 작용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가압부(13)는,
    베개(11)에 내재된 부분과 어깨대응부(12)에 내재된 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양측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베개(11)와 어깨대응부(12)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개(11)의 하부면이 볼록하게 만곡 돌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개(11)의 만곡 돌출된 부위는,
    베게(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돔 형태로 돌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깨가압부(13)는,
    경추와 후두부에 눌려지는 부분이 탄발력을 갖는 판스프링(13a)과, 상기 판스프링(13a)의 양측 상단 좌우측에서 어깨 부위로 연장되는 어깨가압체(13b)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목 어깨 교정기.
KR1020210049226A 2021-04-15 2021-04-15 목 어깨 자세 교정기 KR20220143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26A KR20220143219A (ko) 2021-04-15 2021-04-15 목 어깨 자세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226A KR20220143219A (ko) 2021-04-15 2021-04-15 목 어깨 자세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219A true KR20220143219A (ko) 2022-10-25

Family

ID=8380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226A KR20220143219A (ko) 2021-04-15 2021-04-15 목 어깨 자세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32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985B2 (en) Orthopedic pillow for sound sleep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JP5894277B2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102284813B1 (ko) 신연을 이용한 경추교정베개
JP2004508891A (ja) 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椅子およびこの椅子で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
KR101474820B1 (ko) 뇌척수액 순환을 유도하는 기능성 베개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KR20180068037A (ko) 경추 교정 베개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20170133002A (ko) 안마 베개
KR101684211B1 (ko) 취침중 후두의 자유운동과 뇌척수액의 흐름을 유도하는 수면베개
KR20200136288A (ko) C자형 경추 교정을 위한 마사지장치
KR20200136285A (ko) 경추 후두하근 마사지장치
JP2005046553A (ja) 健康枕
KR101378163B1 (ko) 멀티자세 교정기
KR100371610B1 (ko) 의자를 이용한 척추 교정방법
KR200216138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20220143219A (ko) 목 어깨 자세 교정기
CN205698413U (zh) 新型颈椎治疗椅
CN210138032U (zh) 一种新型护腰、护颈枕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20210132831A (ko) 경추의 견인운동을 통한 마사지장치
KR20210108556A (ko) 등, 흉부, 목 부위에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 스트레칭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