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658A -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 Google Patents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658A
KR20220142658A KR1020210048969A KR20210048969A KR20220142658A KR 20220142658 A KR20220142658 A KR 20220142658A KR 1020210048969 A KR1020210048969 A KR 1020210048969A KR 20210048969 A KR20210048969 A KR 20210048969A KR 20220142658 A KR20220142658 A KR 2022014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ight
frame
person
measu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499B1 (ko
Inventor
신수용
이만희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49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75Control or determination of height or distance or angle information for sensors or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형성되며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한 측정자의 키와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구동부, 상기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된 정보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A body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to automatically change height according to the person's height}
본 발명은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온을 측정하는 대상의 키에 맞춰 측정기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측정자의 안면에 위치되어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국부적으로 또는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감염병이 꾸준히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유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감염병들의 공통적인 증상으로 발열 증상이 대표적이고, 그에 따라 감염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 체온 측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가정이나, 기초 체온의 측정 등을 통해 임신 주기 등을 관리하는 여성이 있는 가정에 보급된 체온계 외에도, 전염병 관리를 위해서 학교, 학원, 어린이집, 유치원, 군부대, 관공서, 빌딩, 사무실체육관, 백화점, 마트, 식당, 영화관, 교회, 사찰 등 질병의 전염이 우려되는 공공 장소 및 버스 터미널, 지하철역, 기차역, 공항, 항만 등 사람의 이동이 많은 장소(이하, '공공 장소'라 약칭함)에서 사용할 체온계에 대한요구가 폭증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출입구에는 출입하는 인원의 체온을 측정하여 건물이나 매장 내부에 출입하는 인원에 대해 감염증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체온측정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체온측정기는 열화상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출입하는 인원의 체온을 측정하게 되는데, 대부분 성인의 키에 맞춰 제조되고 있기 때문에 영유아나 저학년 어린이의 경우 보호자가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업거나 들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유아나 어린이의 키에 맞춰 제조되는 경우 성인의 체온을 측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175167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자가 근접하면 측정자의 키를 계산한 후 측정자의 안면 정면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안면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소리로 출력하고, 측정범위가 벗어난 경우 측정자의 안면사진과 함께 측정 정보를 저장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높이가 가변될 때 주변 사물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키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는 지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형성되며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한 측정자의 키와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구동부, 상기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된 정보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결합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구동가이드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가이드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하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우징이 승강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 전면에 접근한 측정자 감지하고,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픽셀 개수를 기준으로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사전에 길이가 측정 및 입력되어 있는 기준물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자의 영상을 촬영할 때 상기 기준물체를 함께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기준물체의 픽셀 개수를 기반으로 한 픽셀 당 길이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측정자의 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어 측정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수평거리를 측정하여 측정자가 체온 측정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심도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전면을 촬영하여 상기 체온 측정 위치에 도달한 측정자 및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픽셀단위로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는 위치인식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측정자의 안면 전면에 위치되면 측정자를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 및 체온 값을 측정하는 열화상카메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동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구동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의 안면이 인식되는 위치까지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소독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체온측정이 완료된 후 측정자가 상기 하우징 하부에 손을 위치시키면 상기 소독제가 외부로 배출되어 손을 소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안전센서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인체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의하면, 측정자가 근접하면 측정자의 키를 계산한 후 측정자의 안면 정면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안면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의하면, 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소리로 출력하고, 측정범위가 벗어난 경우 측정자의 안면사진과 함께 측정 정보를 저장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의하면,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높이가 가변될 때 주변 사물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키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가 안면에 위치되어 체온을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가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온을 측정하는 대상의 키에 맞춰 측정기의 높이가 가변되면서 측정자의 안면에 위치되어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의 정면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가 안면에 위치되어 체온을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가 사용자의 키를 측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는 지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개구부(140)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개구부(140)에 형성되며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디스플레이(230)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한 측정자의 키와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감지부(300)와, 프레임(100)에 형성되며 하우징(200)의 위치를 가변시켜 프레임(100)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부(500)와,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우징(200), 구동부(500), 감지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된 정보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전면에는 내측으로 파여지는 개구부(140)가 마련되어 있어 개구부(140)에 하우징(200)이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하단에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면적이 넓게 형성된 받침판(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받침판(130)의 하부면에는 지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의 상단은 하우징(2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막혀져 있으며 상단 내부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제어를 위한 부재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00)의 내측면 중앙에는 지지대(110)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00)이 승강할 때 하우징(200)을 구속시키기 위한 지지대(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우징(200)은 지지대(110)의 외면에 구속된 상태로 자유롭게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하우징(200)은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 방면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부(300)가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00)의 승강에 따라 감지부(300)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전면 중앙에는 디스플레이(230)가 형성되어 있어 감지부(300)에 의해 촬영된 체온 정보를 측정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하우징(200) 내부에 형성된 스피커를 통해 측정된 체온이나 이상상태를 소리로 출력할 수도 있게 된다.
하우징(200)의 전면 하부에는 다수 개의 제어버튼(210)이 형성되어 있어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제어부(600)의 설정값을 변경하거나 하우징(200)의 높이를 수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게 된다.
즉,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어버튼(210)을 통해 하우징(200)의 위치나 감지부(300), 구동부(500)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측면에는 하우징(200)의 위치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동버튼(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버튼(120)이 작동되면 구동부(500)가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의 안면이 인식되는 위치까지 하우징(200)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유아, 어린이의 경우 하우징(200)이 프레임(100) 상단에 위치되었을 때 하우징(200)에 형성된 제어버튼(210)을 조작할 수 없으므로, 영유아 또는 어린이가 조작할 수 있는 높이에 구동버튼(120)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버튼(120)은 하우징(200)을 수동으로 승강 시키거나 전원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동버튼(120)에 의해 하우징(200)이 하강되면 하강되면서 프레임(100)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안면이 인식된 위치에 정지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를 통해 키가 작아 감지부(300)에 의해 측정자의 키를 촬영하지 못해 자동으로 체온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수동으로 하우징(200)을 하강시켜 체온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동버튼(120)을 누른 후 하우징(200)에서는 측정자가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해달라는 안내음성이 송출되고, 안내음성이 송출된 후 1~5초 이후에 구동부(500)에 의해 하우징(200)이 하강되어 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버튼(120)을 누르자마자 동작되게 되면 영유아나 어린이가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하기 전에 하우징(200)이 움직이기 때문에 체온측정이 어려우므로 안내음성을 통해 측정위치를 안내하고 설정된 시간 이후에 하우징(200)이 승강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300)는 하우징(200)의 전면 상단에 위치되어 하우징(200)의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 및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이미지 및 열화상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미지는 측정자의 키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열화상이미지는 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감지부(300)는 측정자가 하우징(200) 또는 프레임(100) 전면에 접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측정자가 설정된 거리 내로 근접한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때 감지부(300)가 프레임(100)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이미지를 촬영하여 키를 산출하게 되고, 전신 촬영이 어려운 경우 구동부(500)를 통해 하우징(200)의 위치를 가변시켜 측정자의 전신이 촬영될 수 있는 위치까지 가변되게 된다.
감지부(300)가 측정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키를 산출한 후 키에 따른 안면의 위치를 판단하게 되고, 안면과 감지부(300)가 수평 상태로 위치되도록 구동부(500)가 동작되어 하우징(200)의 위치가 가변되게 된다.
이를 통해 안면과 수평 상태에서 감지부(300)가 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은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측정자가 측정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하우징(200)이 승강되면서 측정자의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가변되도록 하여 촬영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500)는 하우징(200)의 위치를 승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개구부(140) 양측에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측면과 결합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구동가이드(510)와,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구동가이드(510)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하로 이송시키고 하우징(200)이 승강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모터(5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가이드(510)는 프레임(100)의 개구부(140) 양측에 각각 구동가이드(510)가 마련되고 하우징(200)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가이드(510)는 프레임(100)의 상단 내부에 위치된 구동모터(520)와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터(5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구동모터(520)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되어 있어 직선 방향으로 구동가이드(510)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 볼스크루를 이용하여 구동가이드(510)를 승강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520)는 수치제어를 통해 하우징(200)이 승강되는 높이를 판단하고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승강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내부에 브레이크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520)를 통해 구동가이드(510)는 프레임(100)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되며, 구동가이드(510)에 결합된 하우징(200)은 구동가이드(510)를 따라 수직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제어부(600)는 하우징(200), 감지부(300),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지부(3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연산하여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되게 된다.
이때 제어부(600)는 감지부(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측정자의 키를 픽셀 단위로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고, 열화상이미지를 통해 측정자의 안면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600)에는 통신모듈(630)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에 형성된 서버(640)에 측정 값을 전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측정된 경우 또는 측정자가 체온을 측정하지 않고 건물내부로 들어간 경우 측정자의 사진과 함께 측정된 정보를 서버(640)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서버(640)에 전송된 이미지와 측정 정보는 관리자의 단말기나 보건소 및 의료진에게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비정상적인 온도로 측정된 측정자가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감지부(300)는 하우징(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측정자와 하우징(200) 사이의 수평거리를 측정하여 측정자가 체온 측정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심도센서(330)와, 하우징(200)의 상단에 형성되어 하우징(200) 전면을 촬영하여 체온 측정 위치에 도달한 측정자 및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픽셀단위로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는 위치인식카메라(320)와, 하우징(200)에 형성되어 하우징(200)이 측정자의 안면 전면에 위치되면 측정자를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 및 체온 값을 측정하는 열화상카메라(31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부(300)는 프레임(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대(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접근하는 측정자를 감지하는 다수 개의 감지센서(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부(300)는 프레임(100) 전면에 접근한 측정자 감지하고,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픽셀 개수를 기준으로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여 구동부(500)에 의해 하우징(20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심도센서(330)는 하우징(200)의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가 하우징(200)으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자와 하우징(20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어 측정자가 측정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심도센서(330)를 통해 측정자가 하우징(200) 또는 프레임(100)으로부터 수평 방면으로 설정된 간격에 위치되도록 안내 음성이 출력되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위치인식카메라(32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의 전신을 촬영하여 키를 산출하거나 얼굴을 인식하여 하우징(200)이 측정자의 안면위치에 승강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키를 촬영하여 하우징(20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경우 위치인식카메라(32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600)로 전송되어 제어부(600)가 픽셀 단위로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측정자의 키를 산출할 수 있게 되며, 산출된 키를 이용하여 안면 위치로 하우징(200)이 이동되도록 구동부(500)가 동작되게 된다.
또한 구동버튼(120), 제어버튼(210)에 의해 하우징(200)이 승강되는 경우 위치인식카메라(320)가 하우징(200)을 따라 승강되면서 프레임(100)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인식한 후 구동부(500)가 정지되도록 제어부(600)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즉, 위치인식카메라(320)는 측정자의 키를 촬영한 후 해당 키에 따른 안면위치로 하우징(200)이 승강되도록 제어부(600)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구동부(500)가 수동으로 동작될 때 수직으로 측정자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인식된 위치에서 구동부(500)가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열화상카메라(310)는 하우징(200)이 측정자의 안면 위치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었을 때 작동되어 측정자를 촬영함으로써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어부(600)가 열화상 이미지에서 측정자의 안면을 검출한 후 체온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200)의 디스플레이(230)에 검출된 체온 정보가 송출하게 되며, 제어부(600)는 측정자의 안면 이미지와 측정정보를 서버(640)로 송부함으로써 측정된 정보를 보관하여 추후 감염병 원인을 추적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340)는 하우징(200)이 상단이나 하단에 위치되어 측정자의 키에 따라 안면을 인식하지 못하여 측정자가 접근했는지 확인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레임(100)의 지지대(110)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있다.
감지센서(340)는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져 있어 프레임(100) 전면에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위치된 측정자를 감지할 수 있게 되며, 하우징(200)이 최상단이나 최하단 등 측정자의 안면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도 감지센서(340)를 통해 측정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감지센서(340)를 통해 프레임(100) 전면에 측정자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검출되는 감지센서(340)의 수에 따라 제어부(600)는 측정자의 키 정보를 대략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 구동부(500)를 통해 하우징(200)을 대략적으로 검출된 키에 맞춰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부(300)는 상기와 같이 열화상카메라(310), 위치인식카메라(320), 심도센서(330)가 각각 형성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나, 실질적으로 열화상카메라(310)에 심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고 높은 화소를 이용하는 경우 열화상카메라(310) 하나로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사전에 길이가 측정 및 입력되어 있는 기준물체(6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부(300)는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자의 영상을 촬영할 때 기준물체(620)를 함께 촬영하여, 촬영된 기준물체(620)의 픽셀 개수를 기반으로 한 픽셀 당 길이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측정자의 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준물체(62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측정자를 구별하기 위한 인식영역(610)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기준물체(620)는 사전에 길이가 제어부(600)에 입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레임(100)이 설치될 때 기준물체(620)가 함께 설치되거나 또는 프레임(100)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측정 물체를 선정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기준물체(620)는 감지부(300)에서 측정자를 촬영할 때 기준물체(620)가 함께 촬영될 수 있게 되며,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측정자의 키를 분석할 때 기준물체(620)의 길이를 알고 있기 때문에 기준물체(620)의 길이 값을 이용하여 한 픽셀당 길이가 어느정도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물체(620)가 100mm이고, 기준물체(620)가 촬영된 후 이미지에 형성된 픽셀 개수가 100개인 경우 픽셀 1개당 1mm로 산정하여 측정자의 키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측정자의 키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되며 이미지의 왜곡으로 인한 측정오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200)이 프레임(100)을 따라 승강하면서 촬영된 기준물체(620)의 픽셀 개수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프레임(100)의 최상단에서 촬영했을 때 이미지에 나타나는 길이와, 최하단에서 촬영했을 때 이미지에 나타나는 길이를 각각 설정한 후 하우징(200)의 위치에 따라 보정값을 적용하여 촬영 위치에 따른 오차를 수정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바닥에 형성된 기준물체(620)는 프레임(100)의 최상단에서 촬영하여 수직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고 수평방향의 길이는 길어지게 되고, 최하단에서 촬영하면 수직방향의 길이가 길어지고 수평방향의 길이는 짧아지므로 각각의 길이 차이에 의한 보정값을 제어부(600)에 입력하여 하우징(200)의 위치에 따라 각각 픽셀당 길이의 보정값을 반영해줄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소독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체온측정이 완료된 후 측정자가 하우징(200) 하부에 손을 위치시키면 소독제가 외부로 배출되어 손을 소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2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안전센서(220)가 마련되어 있어 프레임(100)의 개구부(140)에 인체나 물체가 감지되면 구동부(500)가 동작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소독제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소독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마련되고, 하부에는 소독제를 설정된 양만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투입구와 토출구는 모두 전자밸브를 통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어부(600)에 의해 동작이 결정되도록 형성되며, 체온 측정이 완료된 이후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측정된 체온을 표기하고 측정자가 소독제를 바르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200)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하우징(200)의 하부에 손을 넣으면 손 소독제가 배출된다는 안내음성이 출력되며, 하우징(200)의 하부에 측정자가 손을 넣으면 제어부(600)가 이를 감지하여 토출구를 개방시켜 소독제가 배출되게 된다.
또한 측정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안전센서(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전센서(220)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우징(200)에 형성된 안전센서(220)는 발광부이고, 프레임(100)의 상단과 프레임(100)의 하단 내측면에는 수광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발광부에서 수광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며 측정자가 손소독을 하기 위해 하우징(200)의 하부로 손을 넣게 되면 레이저가 차단되면서 측정자의 손이 하우징(200) 하부로 투입된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센서(220)를 통해 프레임(100) 내부로 손을 넣어 장난하는 경우 하우징(200)이 승강하면서 프레임(100)과 하우징(200) 사이에 손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안전센서(220)에 의해 손 또는 물체가 감지되면 제어부(600)는 구동부(500)를 정지시켜 하우징(200)이 승강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레임(100)의 상단 내측면에는 하우징(200) 내부로 소독제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 노즐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100)의 상단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소독제를 보관하는 투입탱크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00)에 저장된 소독제가 소비되면 프레임(100) 내부에 형성된 투입탱크를 통해 하우징(200)에 자동으로 소독제를 충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우징(200)은 프레임(100)의 상단까지 이송되면서 투입노즐이 하우징(200)에 형성된 투입구로 삽입되도록 하고, 투입구는 전자밸브에 의해 개방되어 투입탱크에 저장된 소독제가 하우징(200) 내부로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동작 중 자동으로 소독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소독제가 소진되어 손을 소독하지 않고 건물 내로 출입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에 의하면, 측정자가 근접하면 측정자의 키를 계산한 후 측정자의 안면 정면으로 위치가 가변되어 안면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한 후 체온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및 소리로 출력하고, 측정범위가 벗어난 경우 측정자의 안면사진과 함께 측정 정보를 저장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고,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높이가 가변될 때 주변 사물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키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지지대
120 : 구동버튼 130 : 받침판
140 : 개구부 200 : 하우징
210 : 제어버튼 220 : 안전센서
230 : 디스플레이 300 : 감지부
310 : 열화상카메라 320 : 위치인식카메라
330 : 심도센서 340 : 감지센서
500 : 구동부 510 : 구동가이드
520 : 구동모터 600 : 제어부
610 : 인식영역 620 : 기준물체
630 : 통신모듈 640 : 서버

Claims (8)

  1. 지면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형성되며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한 측정자의 키와 체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프레임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상기 구동부, 상기 감지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된 정보를 연산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결합되어 외부 동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구동가이드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가이드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하로 이송시키고 상기 하우징이 승강된 위치에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레임 전면에 접근한 측정자 감지하고,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픽셀 개수를 기준으로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사전에 길이가 측정 및 입력되어 있는 기준물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자의 영상을 촬영할 때 상기 기준물체를 함께 촬영하여, 촬영된 상기 기준물체의 픽셀 개수를 기반으로 한 픽셀 당 길이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측정자의 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어 측정자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수평거리를 측정하여 측정자가 체온 측정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심도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전면을 촬영하여 상기 체온 측정 위치에 도달한 측정자 및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픽셀단위로 측정자의 키를 측정하는 위치인식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측정자의 안면 전면에 위치되면 측정자를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 및 체온 값을 측정하는 열화상카메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수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동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구동부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위치된 측정자의 안면이 인식되는 위치까지 상기 하우징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소독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되며, 체온측정이 완료된 후 측정자가 상기 하우징 하부에 손을 위치시키면 상기 소독제가 외부로 배출되어 손을 소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안전센서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인체나 물체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가 동작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KR1020210048969A 2021-04-15 2021-04-15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KR10261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69A KR102614499B1 (ko) 2021-04-15 2021-04-15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69A KR102614499B1 (ko) 2021-04-15 2021-04-15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58A true KR20220142658A (ko) 2022-10-24
KR102614499B1 KR102614499B1 (ko) 2023-12-14

Family

ID=8380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969A KR102614499B1 (ko) 2021-04-15 2021-04-15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4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101751677B1 (ko) 2016-10-18 2017-06-2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체온측정 겸용 손소독 시스템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101978264B1 (ko) * 2019-01-24 2019-08-23 (주)아이피캠프 비접촉식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22594A (ko) * 2018-04-22 2019-10-30 씨노가 메디컬 리미티드 카메라 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비엠아이, 바디, 및 기타 물체
KR102216792B1 (ko) * 2020-09-14 2021-02-17 (주)이지코어 손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29B1 (ko) * 2011-07-19 2011-11-16 (주)엘리비젼 자동높이조절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KR101751677B1 (ko) 2016-10-18 2017-06-2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체온측정 겸용 손소독 시스템
KR20190122594A (ko) * 2018-04-22 2019-10-30 씨노가 메디컬 리미티드 카메라 뷰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비엠아이, 바디, 및 기타 물체
KR101978264B1 (ko) * 2019-01-24 2019-08-23 (주)아이피캠프 비접촉식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16792B1 (ko) * 2020-09-14 2021-02-17 (주)이지코어 손소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499B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314B2 (en) Method for enabling the use of an elevator system by disabled persons using position changes, and an elevator system
US11406235B2 (en) Autonomous domestic appliance and seating or reclining furniture as well as domestic appliance
KR101751677B1 (ko) 체온측정 겸용 손소독 시스템
EP333681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 disinfection qualtity control
JP2011067371A (ja) 体温検査装置、体温検査システムおよび体温検査方法
US2013029671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total body imaging
ES2394120T3 (es) Sistema para controlar una persona
KR20170109934A (ko) 침대용 에어 매트리스의 헬스케어 시스템
KR20220142658A (ko)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KR200488699Y1 (ko) 유아교육기관용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KR102260407B1 (ko) 게이트형 방역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06728B2 (en) Self-contained, portable, sanitization device and telemedicine station
KR20200133486A (ko)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용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상태 측정 및 케어 시스템
CN111508125A (zh) 集成测温功能的门禁设备及测温方法
US20220087613A1 (en) Health sensing bathroom device
CN211427855U (zh) 具有测温结构的自助问诊室及系统
TWM621661U (zh) 移動式防疫檢測裝置及門禁設備
JP3229165U (ja) 体温測定装置
KR20220019332A (ko) 클린게이트 자동 출입통제시스템
TW201941145A (zh) 智慧病床及其病房安全照護系統
CN211007779U (zh) 自助体检亭
JP2021166591A (ja) 体温測定装置及び体温測定方法
KR20220012036A (ko)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KR102495438B1 (ko) 복합 건강 관리 키오스크 장치 및 운용 방법
ITMI20100102A1 (it)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determinazione della temperatura corporea di almeno un sogget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