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2036A -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2036A
KR20220012036A KR1020200091071A KR20200091071A KR20220012036A KR 20220012036 A KR20220012036 A KR 20220012036A KR 1020200091071 A KR1020200091071 A KR 1020200091071A KR 20200091071 A KR20200091071 A KR 20200091071A KR 20220012036 A KR20220012036 A KR 20220012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rilization
light wave
height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철권
Original Assignee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2036A/ko
Publication of KR20220012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자의 출입 인증과 기존 이동 동선에 대한 조회를 통해 출입을 관리하는 한편, 진입 전 손소독과 신체 측정을 통한 적정 부위에 대한 자외선 살균 및 미세 입자로 소독제를 분사함은 물론 에어 샤워 등에 의한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살균과 방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The public cleanliness and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인을 포함한 대중이 출입하는 장소의 입구 또는/및 출구에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출입자의 출입 인증과 기존 이동 동선에 대한 조회를 통해 출입을 관리하는 한편,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살균과 방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공중의 위생과 방역을 고려하여 불특정 다수 또는 특정인을 포함한 대중이 출입하는 장소의 입구에서 출입자에 대해 일일이 살균 소독을 포함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공중 위생 및 방역은 특히,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이 팬데믹(Pandemic) 상황인 최근에 관공서, 병원, 공연장, 영화관 및 운동경기장을 포함한 공공건물이나 시설에서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중 위생 및 방역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972호(건물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 ; 이하 문헌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007호(출입구 방역장치 ; 이하 문헌 2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문헌 1은 출입자의 통행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가 개구되어 개구된 일측이 주택, 사무실, 공장 및 공공시설의 출입구(10)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110)과,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발판소독대(120)와, 상기 통행로를 따라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기(140)와, 상기 설치프레임(1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음이온살균기(150)와, 통행로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오존살균기(160)를 포함하는 출입자방역부(100); 상기 통행로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입자방역부(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송테이블(210)과, 상부면이 상기 통행로의 입구측에서 배출측으로 지속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송테이블(210) 내부에 결합되는 이송롤러(220)와, 상기 통행로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롤러(220)의 상부면에 이격되어 상기 이송테이블(21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커버부재(230)와, 상기 커버부재(230)의 양측 단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커튼부재(240)와,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230)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250)와, 상기 커버부재(23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음이온램프(260)와, 상기 커버부재(230) 내부에 설치되는 오존램프(270)를 포함하는 물품방역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자방역부(100)의 상측에는 출입자의 통행로를 따라 형성되는 슬릿(151)과 상기 슬릿(15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유동부재(152)가 설치되고, 상기 유동부재(152)에는 상기 음이온살균기(150)와 출입자의 통행 위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된 모션센서(17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이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부에 요홈부(116)가 형성된 수직하우징(110)과, 상기 요홈부(116) 상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방을 향해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수평하우징(120)으로 구성된 하우징부(100); 상기 수직하우징(110) 및 수평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출입자가 통과하는 방향을 향해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240)과, 약액이송관(210)을 매개로 약액통(220)에 수용된 약액을 펌프(250)로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240)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에어콤프레셔(230)로 구성된 분사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입측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2개 이상의 근접감지센서(300); 상기 수평하우징(120)의 하부면 일측에 외부출입자가 통과하는 방향을 향해 발광되도록 설치되는 UV살균램프(400); 상기 근접감지센서(300)에서 감지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분사부(200) 및 UV살균램프(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부(100)의 수직하우징(110) 또는 수평하우징(120)에는 외부출입자의 통행을 감지하기 위한 IR센서(126)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8)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IR센서(126)에 외부출입자가 감지될 경우 상기 스피커(118)로 음성을 출력하도록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구 방역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문헌 1,2를 포함한 종래 대부분의 공중 위생 및 방역 관련 기술은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게이트를 통과하는 시점에 소독약액을 분사하거나 UV 또는 IR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위생 및 방역이 극히 단순하면서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그 위생 및 방역 효과가 실질적으로 발휘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중 위생 및 방역과 관련된 종래 기술의 좀 더 구체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972호(명칭 : 건물 출입구 설치용 방역장치 ; 출원일 : 2015.03.13.)
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007호(명칭 : 출입구 방역장치 ; 출원일 : 2016.05.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출입자의 출입 인증과 기존 이동 동선에 대한 조회를 통해 출입을 관리하는 한편, 진입 전 손소독과 신체 측정을 통한 적정 부위에 대한 자외선 살균 및 미세 입자로 소독제를 분사함은 물론 에어 샤워 등에 의한 다각적이고 입체적인 살균과 방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공공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100)에 있어서,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원격지의 통합관리시스템(200) 내지 자체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여, 출입자의 위험영역 방문 여부 및 정상체온 여부에 따라 출입 부적격 여부를 판단하고,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고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한편, 상기 측정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200)에 통신 접속하여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출입인증부(110); 출입인증 완료자의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는 신체측정부(120); 출입인증 및 정상체온인 출입 적격자의 손이 감지되면 소독약액을 설정량 토출 또는 분사하는 손세정부(130); 출입 적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방역동작 대기상태가 되도록 하는 접근감지부(140);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크린부(150); 설정 영역내에 위치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약액살균부(160);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광파살균부(170); 상기 출입인증부(110)에서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과 통신 접속하여 출입 적부를 확인 및 판단하여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 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광파살균부(170)의 광파 조사 높이를 제어하는 한편 체온 측정결과 출입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근감지부(140)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시간 이후 상기 에어크린부(150)와 약액살균부(160) 및 광파살균부(170)의 살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출입인증부(110)는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전자인증코드를 제어부(190)로 제공하여 개인정보 확인 및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자인증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출입자의 이동 동선 업로드 및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거쳐 출입 적격/부적격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90)로 제공하는 전자인증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신체측정부(120)는 비접촉식으로 출입자를 촬영하는 것에 의해 체온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190)로 제공하는 체온측정장치 및 신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손세정부(130)는 출입 적격자의 손이 감지되면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용량만큼 소독약액을 토출 또는 분사하는 소독제자동토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접근감지부(14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의 진입부 상단에 마련되어, 출입 적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에어크린부(15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상부 또는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및 상기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하부면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먼지 내지 유해균을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흡입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약액살균부(16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 입자로된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소독제분사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광파살균부(17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의해 높이 가변하면서 출입 적격자의 얼굴을 제외한 신체에 대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살균용 UV(자외선) 또는 IR(적외선)을 조사하는 살균광파조사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출력부(180)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출입 적격/부적격 여부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한편, 전반적 조작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램프를 포함한 모니터 및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90)는 조작부(미부호)의 설정 입력된 상태로 동작버튼이 조작되면 전원부(미부호)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각부에 공급하고, 상기 출입인증부(110)에서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과 통신 접속하여 출입 적부를 확인 및 판단하여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 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광파살균부(170)의 광파 조사 높이를 제어하는 한편 체온 측정결과 출입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근감지부(140)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시간 이후 상기 에어크린부(150)와 약액살균부(160) 및 광파살균부(170)의 살균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 제어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관공서, 병원, 공연장, 영화관 및 운동경기장을 포함한 공공건물이나 시설 및 직장의 입구 또는/및 출구에 이동식 부스 형태(┏┓ 형태의 게이트 포함) 또는 벽면 또는 현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출입자 인증 및 체온 측정을 통해 출입 적합자와 부적합자를 판별하여, 부적합자는 출입을 제한하거나 별도 절차를 거쳐 관리하고, 출입 적합자는 다각적이면서 입체적인 살균 방역을 거쳐 입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이 이용하는 장소에 대한 방역이 체계적이면서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파살균부(170)가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출입 적격자의 신장에 따라 얼굴을 제외한 부분만 광파를 조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살균광파 예컨대, 살균용 UV(자외선) 또는 IR(적외선)이 얼굴 특히 눈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크린부(150)의 에어분사수단이 부스의 입구 상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 분사 동작하고, 상기 흡입필터링수단이 분사된 에어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을 흡입 여과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출입자가 부스로 들어서기 전에 옷이나 신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을 1차적으로 제거하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살균 효율 및 살균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크린부(150)의 에어분사수단이 부스의 내부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필터링수단은 부스 내부 하부 바닥면에 마련됨으로써, 출입자가 부스에 입실하여 격리된 상태에서 옷이나 신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을 1차적으로 제거하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에어 분사에 의해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형 살균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예을 간략히 도시한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예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이동식 부스 형태로 설치되는 실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출입구에 고정식으로 설치되는 실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100)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100)에 있어서,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원격지의 통합관리시스템(200) 내지 자체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여, 출입자의 위험영역 방문 여부 및 정상체온 여부에 따라 출입 부적격 여부를 판단하고,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고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한편, 상기 측정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200)에 통신 접속하여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출입인증부(110); 출입인증 완료자의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는 신체측정부(120); 출입인증 및 정상체온인 출입 적격자의 손이 감지되면 소독약액을 설정량 토출 또는 분사하는 손세정부(130); 출입 적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방역동작 대기상태가 되도록 하는 접근감지부(140);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크린부(150); 설정 영역내에 위치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약액살균부(160);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광파살균부(170); 상기 출입인증부(110)에서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과 통신 접속하여 출입 적부를 확인 및 판단하여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 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광파살균부(170)의 광파 조사 높이를 제어하는 한편 체온 측정결과 출입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근감지부(140)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시간 이후 상기 에어크린부(150)와 약액살균부(160) 및 광파살균부(170)의 살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출입인증부(110)는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전자인증코드를 제어부(190)로 제공하여 개인정보 확인 및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자인증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출입자의 이동 동선 업로드 및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거쳐 출입 적격/부적격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90)로 제공하는 전자인증장치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신체측정부(120)는 비접촉식으로 출입자를 촬영하는 것에 의해 체온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190)로 제공하는 체온측정장치 및 신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손세정부(130)는 출입 적격자의 손이 감지되면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정된 용량만큼 소독약액을 토출 또는 분사하는 소독제자동토출기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접근감지부(14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의 진입부 상단에 마련되어, 출입 적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광센서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에어크린부(15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상부 또는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및 상기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하부면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먼지 내지 유해균을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흡입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약액살균부(16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 입자로된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소독제분사수단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광파살균부(17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의해 높이 가변하면서 출입 적격자의 얼굴을 제외한 신체에 대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살균용 UV(자외선) 또는 IR(적외선)을 조사하는 살균광파조사수단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출력부(180)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출입 적격/부적격 여부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한편, 전반적 조작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램프를 포함한 모니터 및 스피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90)는 조작부(미부호)의 설정 입력된 상태로 동작버튼이 조작되면 전원부(미부호)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각부에 공급하고, 상기 출입인증부(110)를 포함한 출력부(180)의 동작 및 통합관리시스템(200)과의 통신 접속 및 정보 송수신을 제어하는 관리 수단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공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100)에 있어서,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원격지의 통합관리시스템(200) 내지 자체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여, 출입자의 위험영역 방문 여부 및 정상체온 여부에 따라 출입 부적격 여부를 판단하고,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고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한편, 상기 측정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100)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관공서, 병원, 공연장, 영화관 및 운동경기장을 포함한 공공건물이나 시설 및 직장의 입구 또는/및 출구에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부스 형태(┏┓ 형태의 게이트 포함) 또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또는 현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출입자 인증 및 체온 측정을 통해 출입 적합자와 부적합자를 판별하여, 부적합자는 출입을 제한하거나 별도 절차를 거쳐 관리하고, 출입 적합자는 다각적이면서 입체적인 살균 방역을 거쳐 입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중이 이용하는 장소에 대한 방역이 체계적이면서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좀 더 구체적으로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200)에 통신 접속하여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출입인증부(110); 출입인증 완료자의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는 신체측정부(120); 출입인증 및 정상체온인 출입 적격자의 손이 감지되면 소독약액을 설정량 토출 또는 분사하는 손세정부(130); 출입 적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방역동작 대기상태가 되도록 하는 접근감지부(140);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크린부(150); 설정 영역내에 위치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약액살균부(160);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광파살균부(170); 상기 출입인증부(110)에서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과 통신 접속하여 출입 적부를 확인 및 판단하여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 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광파살균부(170)의 광파 조사 높이를 제어하는 한편 체온 측정결과 출입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근감지부(140)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시간 이후 상기 에어크린부(150)와 약액살균부(160) 및 광파살균부(170)의 살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출입인증부(110)는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전자인증코드를 제어부(190)로 제공하여 개인정보 확인 및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자인증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출입자의 이동 동선 업로드 및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거쳐 출입 적격/부적격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90)로 제공하는 전자인증장치인 것을 실시예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전자인증코드는 QR코드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적용하나, 그 외에 전자인증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확인 인증 절차를 거쳐 출입 적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전자인증코드가 QR코드인 경우, 출입자는 서비스 가입된 포털(예 : 네이버) 웹ㆍ앱에 접속해 로그인한 뒤, 개인통신단말기(모바일 장치) 화면에서‘QR체크인’을 선택하고 정보 수집에 동의한 후 인증하면, 일회용 QR코드가 부여되고, 이를 입장하려는 장소에 설치된 상기 출입인증부(110)의 QR코드 인식기에 인식시킨다.
그리하면, 인식된 QR코드가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되고, 상기 통합관리시스템(200)은 출입자의 이름, 휴대전화 번호, 입장한 시설, 들어간 시각, 이용자 식별정보 등의 기 저장 정보를 로딩 분석하여, 출입자가 이전에 위험 장소를 출입한 적이 있거나 감염 음성자 내지 자가 격리 대상자인지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상기 출입인증부(110)로 전송한다.
상기 출입인증부(110)가 상기 결과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출입자 체온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 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출입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출입 불허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상황 정보를 저장 후 출입인증부(110)를 통해 통합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관리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신체측정부(120)는 비접촉식으로 출입자를 촬영하는 것에 의해 체온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190)로 제공하는 체온측정장치 및 신장측정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비접촉식 체온측정장치는 열화상체온감지장치로서, 출입자를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하여 체온을 측정한다.
이때,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비접촉식 신장측정장치는 각도검출식 신장측정기로서, 설정위치에 직립한 출입자의 발에서부터 머리까지의 각도를 측정하여 높이를 산출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손세정부(130)는 출입 적격자의 손이 감지되면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용량만큼 소독약액을 토출 또는 분사하는 소독제자동토출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손세정부(130)는 소독제자동토출기 본체 상방 또는 측면에 매입된 근접센서에서 손이 감지되면 전자식 디스펜서가 동작하여 설정된 양만큼 소독약액(예 : 알코올 60~90%)을 토출 또는 분사하며, 상기 소독제자동토출기는 호스를 통해 소독약액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일정량 이하로 소진되면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펌프를 통해 자동 공급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상기 출입인증부(110)와 신체측정부(120) 및 손세정부(130)는 출입 영역의 입구 또는 출구에 단일의 스탠드형 본체에 통합적으로 탑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화상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별도의 관리자 모니터로 출력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접근감지부(14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의 진입부 상단에 마련되어, 출입 적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19)로 잠지신호를 제공하는 적외선을 포함한 광센서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나, 그 외에 바닥에 설치되는 중량 센서도 적용 가능한 좋은 예이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에어크린부(15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상부 또는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및 상기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하부면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을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흡입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에어크린부(150)의 에어분사수단은 제어부(19)의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컴프레서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청정 공기 내지 기체(가스)를 설정된 시간과 압력으로 분사하는 노즐로서, 실시예적으로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의 입구 상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 분사 동작하며, 상기 흡입필터링수단은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사된 에어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을 흡입 여과하는 진공흡입기 및 필터로서, 실시예적으로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의 입구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분사된 에어를 포함한 주변 공기를 신속히 강제 흡입하여 여과후 외부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되면, 출입자가 부스로 들어서기 전에 옷이나 신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을 1차적으로 제거하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크린부(150)의 에어분사수단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의 내부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고, 흡입필터링수단은 부스 내부 하부 바닥면에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출입자가 부스에 입실하여 격리된 상태에서 옷이나 신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을 1차적으로 제거하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에어 분사에 의해 미세먼지를 포함한 불순물 내지 유해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약액살균부(16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 입자로된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소독제분사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약액살균부(160)는 분사되는 소독약액을 초음파 진동을 통해 나모입자로 분사함으로써, 출입 적격자에게 분사되어도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약액살균부(160)는 소독약액저장탱크와 연결되어 탱크 내에 소독약액이 일정량 이하로 소진되면 상기 제어부(19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펌프를 통해 자동 공급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광파살균부(17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제어부(190)의 제어신호에 의해 높이 가변하면서 출입 적격자의 얼굴을 제외한 신체에 대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살균용 UV(자외선) 또는 IR(적외선)을 조사하는 살균광파조사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파살균부(17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살균광파 조사 램프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상기 제어부(190)가 측정된 신장 중 얼굴 이상을 제외하고 하방에 위치한 살균광파 조사 램프만 동작시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광파살균부(170)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상하로 승강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상에 살균광파 조사 램프가 설치되어,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상기 제어부(190)가 측정된 신장 중 얼굴 이하의 높이까지 승강하면서 살균광파 조사 램프를 동작시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살균용 UV(자외선) 또는 IR(적외선)이 얼굴 특히 눈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출력부(180)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출입 적격/부적격 여부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한편, 전반적 조작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시각 및 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램프를 포함한 모니터 및 스피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제어부(190)는 조작부(미부호)의 설정 입력된 상태로 동작버튼이 조작되면 전원부(미부호)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각부에 공급하고, 상기 출입인증부(110)에서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과 통신 접속하여 출입 적부를 확인 및 판단하여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 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체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광파살균부(170)의 광파 조사 높이를 제어하는 한편 체온 측정결과 출입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180)를 통해 외부로 출입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근감지부(140)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시간 이후 상기 에어크린부(150)와 약액살균부(160) 및 광파살균부(170)의 살균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 제어회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원격지의 통합관리시스템(200)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을 포함한 정부기관의 질병 통합관제소 또는 위생 및 방역 서비스 관리 주체에 설치된 관리컴퓨터시스템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110 : 출입인증부
120 : 신체측정부 130 : 손세정부
140 : 접근감지부 150 : 에어크린부
160 : 약액살균부 170 : 광파살균부
180 : 출력부 190 : 제어부
200 : 통합관리시스템

Claims (12)

  1. 공공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원격지의 통합관리시스템 내지 자체 관리시스템을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여, 출입자의 위험영역 방문 여부 및 정상체온 여부에 따라 출입 부적격 여부를 판단하고,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고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한편, 상기 측정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출입자의 개인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자출입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에 통신 접속하여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출입인증부;
    출입인증 완료자의 체온과 신장을 측정하는 신체측정부;
    출입인증 및 정상체온인 출입 적격자의 손이 감지되면 소독약액을 설정량 토출 또는 분사하는 손세정부;
    출입 적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방역동작 대기상태가 되도록 하는 접근감지부;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크린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입자의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약액살균부;
    출입 적격자가 설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상기 신체측정부에서 측정한 신장에 따라 얼굴 이하 높이에 대해서만 살균광파를 조사하는 광파살균부;
    상기 출입인증부에서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과 통신 접속하여 출입 적부를 확인 및 판단하여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입 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체측정부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광파살균부의 광파 조사 높이를 제어하는 한편 체온 측정결과 출입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입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근감지부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시간 이후 상기 에어크린부와 약액살균부 및 광파살균부의 살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입인증부는,
    개인통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전자인증코드를 제어부로 제공하여 개인정보 확인 및 저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전자인증코드를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출입자의 이동 동선 업로드 및 출입자의 이전 이동 동선 확인 절차를 거쳐 출입 적격/부적격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전자인증장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인증코드는 QR코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체측정부는,
    비접촉식으로 출입자를 촬영하는 것에 의해 체온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체온측정장치 및 신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크린부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상부 또는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 및 상기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하부면에서 분사된 에어에 의해 유도되는 미세먼지 내지 유해균을 흡입하여 필터링하는 흡입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약액살균부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미세 입자로된 소독약액을 분사하는 소독제분사수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약액살균부는,
    분사되는 소독약액을 초음파 진동을 통해 나모입자로 분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파살균부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상기 신체측정부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높이 가변하면서 출입 적격자의 얼굴을 제외한 신체에 대한 출입 적격자 방향으로 살균용 UV 또는 IR을 조사하는 살균광파조사수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파살균부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살균광파 조사 램프가 다단으로 설치되어, 상기 신체측정부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신장 중 얼굴 이상을 제외하고 하방에 위치한 살균광파 조사 램프만 동작시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파살균부는,
    출입 게이트 프레임 또는 출입 부스 측면에서 상하로 승강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상에 살균광파 조사 램프가 설치되어, 상기 신체측정부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측정된 신장 중 얼굴 이하의 높이까지 승강하면서 살균광파 조사 램프를 동작시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의 설정 입력된 상태로 동작버튼이 조작되면 전원부의 전원을 동작전원으로 각부에 공급하고, 상기 출입인증부에서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통합관리시스템과 통신 접속하여 출입 적부를 확인 및 판단하여 출입 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입 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신체측정부에서 측정된 신장에 따라 광파살균부의 광파 조사 높이를 제어하는 한편 체온 측정결과 출입부적격자인 경우 출력부를 통해 외부로 출입부적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근감지부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설정시간 이후 상기 에어크린부와 약액살균부 및 광파살균부의 살균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 제어회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KR1020200091071A 2020-07-22 2020-07-22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KR20220012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71A KR20220012036A (ko) 2020-07-22 2020-07-22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71A KR20220012036A (ko) 2020-07-22 2020-07-22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036A true KR20220012036A (ko) 2022-02-03

Family

ID=8026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071A KR20220012036A (ko) 2020-07-22 2020-07-22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2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1157A (zh) * 2022-12-21 2023-06-23 湖南普斯赛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检测杀菌方法与杀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1157A (zh) * 2022-12-21 2023-06-23 湖南普斯赛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检测杀菌方法与杀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5699A1 (en) System for sanitizing and controlling people who want to access a room
KR102183235B1 (ko) 회전형 대인 방역기
KR102349257B1 (ko)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KR20170011266A (ko) 열감지식 차단도어를 구비한 감염원 살균 자동 게이트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KR101632716B1 (ko) 손 세정기를 이용한 위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6911B1 (ko) 핸드레일 살균장치
KR20110080726A (ko) 소독분무장치
KR102216792B1 (ko) 손소독장치
CN111265683A (zh) 一种具备检测消毒功能的通道及检测消毒方法
WO2021207772A1 (en) Sanitization booth
US20230104820A1 (en) Self-Contained, Portable, Sanitization Device and Telemedicine Station
KR20220012036A (ko) 공중 위생 및 방역 시스템
KR102260407B1 (ko) 게이트형 방역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92937B1 (ko)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소독액을 균일하게 분사하는 출입 게이트형 소독장치
KR102194621B1 (ko) 에어샤워 시스템
KR102310087B1 (ko)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KR102338485B1 (ko) 신발 오염먼지 제거용 진공흡입식 발판매트를 갖춘 살균소독 게이트
KR102317996B1 (ko) 소독 기능이 구비된 엘리베이터
KR102339743B1 (ko) 터널식 방역장치
KR102495943B1 (ko) 언택트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모듈 방역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20043503A (ko) 출입구 스마트 소독장치
KR102387962B1 (ko) 자동 인체 에어샤워 장치
JP7381675B2 (ja) 消毒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