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622A -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622A
KR20220142622A KR1020210048889A KR20210048889A KR20220142622A KR 20220142622 A KR20220142622 A KR 20220142622A KR 1020210048889 A KR1020210048889 A KR 1020210048889A KR 20210048889 A KR20210048889 A KR 20210048889A KR 20220142622 A KR20220142622 A KR 2022014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frame
inclined surface
protrusion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416B1 (ko
Inventor
김두희
Original Assignee
김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희 filed Critical 김두희
Priority to KR102021004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4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는, 조명기기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로서, 링(ring) 형태를 형성하고, 링(ring) 형태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광원을 수용하는 광원수납부; 베이스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는 톱프레임; 및 각각 베이스프레임과 톱프레임을 연결하고, 베이스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톱프레임,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LIGHTING DEVICE KIT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도 짧은 시간 내에 조명기기를 쉽게 제작하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한지전통등은 삼국시대부터 내려온 한국 고유의 문화유산으로 고려시대 연등회, 조선시대 관등놀이로 성황을 이룬다. 문헌에는 삼국사기에 처음 언급되며,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그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후기 세시기에는 한지전통등의 종류와 모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그 형태를 가늠하는 교재로 활용된다. 현재는 일제강점기 민족문화말살정책과 전기문명에 밀려 거의 쇠퇴해서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최근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에 연등회가 지정되며, 연등회의 주요 콘텐츠인 한지전통등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지전통등의 제작은 골조만들기, 배접하기(종이붙이기), 채색하기, 조명 넣기로 진행된다. 한지전통등은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간단한 소품도 완성까지 2시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일반적으로 골조 50%, 배접 30%, 채색 20% 정도로 시간을 배분한다. 긴 제작시간은 한지전통등의 제작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한지전통등의 보급은 어려울 것이다.
한지전통등의 골조 재료는 대나무나 싸리나무 등 탄력이 있는 자연 재료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철사와 같이 가공이 용이한 현대적인 재료를 사용한다. 한지전통등의 제작은 높은 난이도로 일반인의 접근이 힘들다.
특히 제작의 첫 단계인 골조제작의 어려움은 한지전통등 보급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골조를 조금이라도 쉽게 제작하기 위해 골조의 기본형태나 골조 전체를 미리 제작해서 배포하는 경우도 있으나 수작업으로 소량을 공급하는데 그치고 있으며, 이런 경우 온전히 하나의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94235호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의 플레이트를 단순 조립하여 LED 조명을 제작하는 조립 키트에 관한 선행문헌은 다수 출원되어 있으나, 높은 난이도의 골조만들기 및 배접하기를 조립과정에 포함시켜야 하는 한지전통등용 조립 키트에 대한 선행문헌은 찾기 어려운 상태이다.
한지전통등의 배접재료는 비단 등 천 종류와 한지 등 종이 종류를 주로 사용하며, 이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지전통등의 채색재료는 과거에는 천연염료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현대화된 채색물감을 사용한다.
한지전통등의 접합재료는 아교를 사용했으나, 아교는 구하기도 어렵고 접착성이 떨어져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는 관리의 용이함과 편리함을 목적으로 현대화된 화학접착제나 용접을 사용한다.
용접은 특수한 기술이 필요해 소수만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상적인 제작방법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합재료는 화학접착제이지만, 이는 아동이 사용하기에 위험한 물질이며 실제로 피해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술한 긴 제작시간, 골조만들기 및 배접하기의 어려움, 화학접착제 사용 등 한지전통등의 제작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어린아이도 한지전통등을 쉽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94235호 (등록일: 2011.12.08)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도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 가능하고, 화학접착제 없이 골조만들기가 가능하여 어린아이도 안전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명기기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로서, 링(ring) 형태를 형성하고, 링(ring) 형태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광원을 수용하는 광원수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는 톱프레임; 및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톱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은 서로 제1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은 서로 제2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수평방향과 상기 제2 수평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각각에 돌출부 및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각각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밀착되며,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각각 45도의 사잇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의 내면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명기기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광원; 및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에 부착되는 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 키트는, 링(ring) 형태를 형성하고, 링(ring) 형태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광원수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는 톱프레임; 및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톱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한지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1 한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사이마다 부착되는 복수의 제2 한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명기기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로서, 상호 조립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모양의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광원수납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명기기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로서, 상호 조립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모양의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광원수납부를 포함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톱프레임,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도 한지전통등의 모양을 제대로 살리면서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가 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베이스프레임, 톱프레임,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함으로써, 화학접착제 없이 골조만들기가 가능하여 어린아이도 안전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가 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서로 밀착되고, 입체적인 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마찰력을 형성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 가능하면서도, 외력에 저항하는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의 제1 단위프레임의 돌출부가 제2 단위프레임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의 제작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의 제작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는,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도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 가능하고, 화학접착제 없이 골조만들기가 가능하여 어린아이도 안전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는 조명기기(10)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100)이다. 여기서 조명기기(10)는 한지전통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입체적인 프레임은 한지전통등의 골조를 의미할 수 있다.
한지전통등의 골조 재료는 대나무나 싸리나무 등 탄력이 있는 자연 재료를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철사와 같이 가공이 용이한 현대적인 재료를 사용한다. 한지전통등의 제작은 높은 난이도로 일반인의 접근이 힘들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플라스틱 프레임을 한지전통등의 골조로 이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는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도 짧은 시간 내에 조명기기(10)를 쉽게 제작하도록 이루어지며,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을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은 전체적인 외관이 대략 링(ring) 형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링은 글자 그대로 반지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베이스프레임(110)은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반지(고리)모양을 형성한다. 여기서 중심선은 베이스프레임(110)의 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선을 의미한다.
베이스프레임(110)은 4개의 면(surface)을 포함한다. 즉, 베이스프레임(110)은 중심선 쪽을 바라보는 안쪽 면(내측면), 내측면과 반대쪽 면인 외측면,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을 바라보는 제1면,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을 바라보는 제2면을 포함한다.
제1면은 후술할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연결되지 않은 면을 의미한다. 제2면은 후술할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연결된 면을 의미한다. 도 2에서 베이스프레임(110)은 제1면이 아래쪽을 향하고, 제2면이 위쪽을 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면과 제2면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면과 내측면(외측면)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즉, 베이스프레임(110)을 중심선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은 링(ring) 형태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저면은 제1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여기서 저면은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을 바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에 광원수납부(111)가 연결된다. 광원수납부(111)는 글자 그대로 광원(200)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광원수납부(111)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짧은 튜브(tube)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선은 광부의 튜브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선을 의미한다.
광원(200)은 광원수납부(111)의 안쪽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200)은 양초(candle)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광원수납부(111)의 하부에 광원(200)이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단턱은 광부의 하부에서 중심선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광원(200)은 단턱에 안착되어 광원수납부(111)의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선과 광원수납부(111)의 중심선은 평행하다. 따라서 베이스프레임(110)의 링(ring) 형태의 제1면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광원수납부(111)에 삽입된 양초는 똑바로 선 상태를 유지한다.
광원수납부(111)는 복수의 연결부(112)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연결된다. 연결부(112)는 광부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10), 광부 및 연결부(112)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사출성형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프레임(120)은 전체적인 외관이 대략 링(ring) 형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링은 글자 그대로 반지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톱프레임(120)은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반지(고리)모양을 형성한다. 여기서 중심선은 톱프레임(120)의 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선을 의미한다.
톱프레임(120)은 4개의 면(surface)을 포함한다. 즉, 톱프레임(120)은 중심선 쪽을 바라보는 안쪽 면(내측면), 내측면과 반대쪽 면인 외측면,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을 바라보는 제1면,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을 바라보는 제2면을 포함한다.
제1면은 후술할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연결되지 않은 면을 의미한다. 제2면은 후술할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연결된 면을 의미한다. 도 2에서 톱프레임(120)은 제1면이 위쪽을 향하고, 제2면이 아래쪽을 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면과 제2면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면과 내측면(외측면)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즉, 톱프레임(120)을 중심선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프레임(120)은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이격된다. 즉, 톱프레임(120)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위쪽에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0)과 톱프레임(120)은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한다.
거울대칭은 두 물체가 서로 거울에 비춘 모양이 되는 형태를 말한다. 즉,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프레임(110)과 톱프레임(120)은 수평면과 나란한 평면을 기준으로 서로 거울대칭 형태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전체적인 외관이 대략 링(ring) 형태를 형성한다. 여기서 링은 글자 그대로 반지모양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각각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반지(고리)모양을 형성한다. 여기서 중심선은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링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선을 의미한다.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포면은 각각 4개의 면(surface)을 포함한다. 즉,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표면은 각각 중심선 쪽을 바라보는 안쪽 면(내측면), 내측면과 반대쪽 면인 외측면,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을 바라보는 제1면, 중심선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다른 한쪽을 바라보는 제2면을 포함한다.
제1면은 후술할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연결되지 않은 면을 의미한다. 제2면은 후술할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연결된 면을 의미한다. 도 1에서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제1면이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바깥쪽을 향하고, 제2면이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안쪽을 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면과 제2면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면과 내측면(외측면)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을 중심선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은 후술할 돌출부(101) 및 삽입홀(102)의 결합력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과 톱프레임(1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후술할 돌출부(101) 및 삽입홀(102)의 결합력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1 사이드프레임(130)과 제3 사이드프레임(150)은 서로 제1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사이드프레임(140)과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서로 제2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한다. 상술한 제1 수평방향과 제2 수평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수평한 방향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에 돌출부(101) 및 삽입홀(102)이 형성된다.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됨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돌출부(101)는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으로부터 대략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돌출부(101)는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반경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101)는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180도마다 형성된다. 돌출부(101)는 180도마다 각각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돌출부(101)가 180도마다 각각 2개씩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삽입홀(102)은 돌출부(10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180도마다 형성된다.
삽입홀(102)은 180도마다 각각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삽입홀(102)이 180도마다 각각 2개씩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은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90도마다 교대로 형성된다.
베이스프레임(110)의 삽입홀(102)은 베이스프레임(110)의 중심선 방향으로 베이스프레임(110)을 관통한 사각형 홀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홀(102)은 돌출부(101)의 육면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이드프레임(14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돌출부(101)는 베이스프레임(110)의 삽입홀(102)에 삽입된다. 돌출부(101)는 삽입홀(102)에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또는 헐거운끼워맞춤될 수 있다.
톱프레임(120)의 삽입홀(102)은 톱프레임(120)의 중심선 방향으로 톱프레임(120)을 관통한 사각형 홀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홀(102)은 돌출부(101)의 육면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이드프레임(14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돌출부(101)는 톱프레임(120)의 삽입홀(102)에 삽입된다. 돌출부(101)는 삽입홀(102)에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또는 헐거운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프레임(130)의 삽입홀(102)은 제1 사이드프레임(130)의 중심선 방향으로 제1 사이드프레임(130)을 관통한 사각형 홀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홀(102)은 돌출부(101)의 육면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및 톱프레임(120)의 돌출부(101)는 제1 사이드프레임(130)의 삽입홀(102)에 삽입된다. 돌출부(101)는 삽입홀(102)에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또는 헐거운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2 사이드프레임(140)의 삽입홀(102)은 제2 사이드프레임(140)의 중심선 방향으로 제2 사이드프레임(140)을 관통한 사각형 홀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홀(102)은 돌출부(101)의 육면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프레임(130) 및 제3 사이드프레임(150)의 돌출부(101)는 제2 사이드프레임(140)의 삽입홀(102)에 삽입된다. 돌출부(101)는 삽입홀(102)에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또는 헐거운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3 사이드프레임(150)의 삽입홀(102)은 제3 사이드프레임(150)의 중심선 방향으로 제3 사이드프레임(150)을 관통한 사각형 홀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홀(102)은 돌출부(101)의 육면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및 톱프레임(120)의 돌출부(101)는 제3 사이드프레임(150)의 삽입홀(102)에 삽입된다. 돌출부(101)는 삽입홀(102)에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또는 헐거운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삽입홀(102)은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중심선 방향으로 제4 사이드프레임(160)을 관통한 사각형 홀 형태를 형성한다. 삽입홀(102)은 돌출부(101)의 육면체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이드프레임(130) 및 제3 사이드프레임(150)의 돌출부(101)는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삽입홀(102)에 삽입된다. 돌출부(101)는 삽입홀(102)에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또는 헐거운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에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형성된다.
제1 경사면(105)은 돌출부(101)가 형성되는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 경사면(106)은 삽입홀(102)이 형성되는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경사면(105)과 제2 경사면(106)은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90도마다 교대로 형성된다.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은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제2면과 외측면을 연결하는 경사진 면을 형성한다.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은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을 각각 깎은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이 형성된 위치에서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을 중심선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오각형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제1 단위프레임의 돌출부(101)가 제2 단위프레임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3은 톱프레임(120)의 돌출부(101)가 제1 사이드프레임(130)의 삽입홀(102)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01)는 삽입홀(102)에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또는 헐거운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됨에 따라, 톱프레임(120)과 제1 사이드프레임(130)이 결합력을 형성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됨에 따라, 제1 경사면(105)과 제2 경사면(106)이 서로 밀착된다.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체적인 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 경사면(105)과 제2 경사면(106)은 접촉면에서 마찰력을 형성한다.
제1 경사면(105)과 제2 경사면(106)의 접촉면에서 생성된 마찰력은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서 빠지는 것에 저항하는 저항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에 외력에 인가되더라도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은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반경 방향과 45도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되는 방향은 제1 경사면(105) 및 제2 경사면(106)과 각각 45도의 사잇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사잇각과 제2 사잇각의 합은 9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잇각은 제1 경사면(105)과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반경 방향과의 사잇각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2 사잇각은 제2 경사면(106)과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각각의 반경 방향과의 사잇각을 의미한다. 일 예로, 제1 사잇각이 30도이면, 제2 사잇각은 60도일 수 있다. 또는, 제1 사잇각이 55도이면, 제2 사잇각은 35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동일한 형태를 형성한다.
베이스프레임(110)과 톱프레임(120)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사이드프레임(130)과 제3 사이드프레임(150)은 서로 제1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2 사이드프레임(140)과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서로 제2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한다. 이때, 수직방향, 제1 수평방향 및 제2 수평방향은 서로 직각을 형성한다.
따라서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도 복잡한 골조구조에 대한 지식 없이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를 제작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102)의 내면에 오목홈(104)이 형성되고, 돌출부(101)에 돌기(10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됨에 따라, 돌기(103)가 오목홈(104)에 삽입된다.
돌기(103)가 오목홈(104)에 삽입됨에 따라, 돌기(103)와 오목홈(104)은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서 빠지는 것에 저항하는 결합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에 외력에 인가되더라도 제1 경사면(105)과 제2 경사면(106)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제작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조립된다.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탄력적으로 휨 변형(bending deflection)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베이스프레임(110)의 링(ring) 형태의 제1면을 지면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제1 사이드프레임(130)을 결합시킨다.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동일한 형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은 서로 구분없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다음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제2 사이드프레임(140)을 결합시킨다. 또한,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제1 사이드프레임(130)에 제2 사이드프레임(14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제3 사이드프레임(150)을 결합시킨다. 또한,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제1 사이드프레임(130)에 제3 사이드프레임(150)을 결합시킨다.
그 다음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0)에 제4 사이드프레임(160)을 결합시킨다. 또한,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제4 사이드프레임(160)에 제2 사이드프레임(140) 및 제3 사이드프레임(15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1)와 삽입홀(102)의 삽입결합에 의해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에 톱프레임(120)을 결합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10)의 제작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제조 키트(100)에 한지(300) 및 광원(200)을 결합하면 조명기기(10)가 완성된다.
광원(200)은 입체적인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양초(candle)를 의미할 수 있다.
한지(300)는 입체적인 프레임에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한지를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한지 대신 종이, 비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지(300)는 복수의 제1 한지(310) 및 복수의 제2 한지(320)를 포함한다.
제1 한지(310)는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에 각각 부착되는 한지로서, 원(circle) 형태를 형성한다. 제1 한지(310)는 총 4개 구비된다.
제1 한지(310)의 가장자리는 일반적인 풀을 통해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제1면에 각각 부착된다.
사용자는 일반 한지를 제1 한지(310) 형태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1 한지(310)는 미리 제단되어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구성품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흰색 제1 한지(310)에 다양한 그림을 채색할 수 있다. 또는, 제1 한지(310)는 다양한 그림이 미리 인쇄되어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구성품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b) 및 도 6(c)는 제1 한지(310)에 수박 그림(잘라진 수박 단면)이 채색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한지(320)는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사이마다 부착되는 한지로서, 대략 삼각형 형태를 형성한다. 제2 한지(320)는 총 8개 구비된다.
제2 한지(320)의 가장자리는 일반적인 풀을 통해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제1면에 부착된다.
사용자는 일반 한지를 제2 한지(320) 형태로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제2 한지(320)는 미리 제단되어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구성품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흰색 제2 한지(320)에 다양한 그림을 채색할 수 있다. 또는, 제2 한지(320)는 다양한 그림이 미리 인쇄되어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의 구성품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b) 및 도 6(c)는 제2 한지(320)에 수박 그림(수박 껍질)이 채색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일반적인 풀을 통해 제2 한지(320)의 가장자리를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사이마다 부착한다.
그리고 나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일반적인 풀을 통해 제1 한지(310)의 가장자리를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제1면에 각각 부착한다. 물론, 제1 한지(310)의 가장자리는 제2 한지(320)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광원(200)을 톱프레임(120) 안쪽 개구를 통해 광원수납부(111)에 안착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됨으로써, 처음 만들어보는 사람도 한지전통등의 모양을 제대로 살리면서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됨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10), 톱프레임(120), 제1 사이드프레임(130), 제2 사이드프레임(140), 제3 사이드프레임(150) 및 제4 사이드프레임(16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함으로써, 화학접착제 없이 골조만들기가 가능하여 어린아이도 안전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101)가 삽입홀(102)에 삽입됨에 따라, 제1 경사면(105)과 제2 경사면(106)이 서로 밀착되고, 입체적인 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면, 제1 경사면(105)과 제2 경사면(106)이 마찰력을 형성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쉽게 제작 가능하면서도, 외력에 저항하는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100)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1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조명기기는, 상호 조립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모양의 적어도 3개의 사이드 프레임과, 적어도 3개의 사이드 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광원수납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은 생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조명기기는 제1 내지 제4 사이드프레임(130, 140, 150, 16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다르게,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조명기기는 3개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톱프레임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도 추가될 수도 있다. 톱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의 형상은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이 형성하는 모양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이드프레임(130, 140, 150, 16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4 사이드프레임(130, 140, 150, 160)은 사각 프레임, 오각 프레임, 육각 프레임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사이드프레임(130, 140, 150, 160)의 결합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조명기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또한, 톱프레임 및 베이스프레임의 결합구조도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조명기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조명기기
100 : 제조 키트 200 : 광원
110 : 베이스프레임 300 : 한지
111 : 광원수납부 310 : 제1 한지
112 : 연결부 320 : 제2 한지
120 : 톱프레임
130 : 제1 사이드프레임
140 : 제2 사이드프레임
150 : 제3 사이드프레임
160 : 제4 사이드프레임
101 : 돌출부
102 : 삽입홀
103 : 돌기
104 : 오목홈
105 : 제1 경사면
106 : 제2 경사면

Claims (10)

  1. 조명기기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로서,
    링(ring) 형태를 형성하고, 링(ring) 형태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광원을 수용하는 광원수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는 톱프레임; 및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톱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은 서로 제1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은 서로 제2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수평방향과 상기 제2 수평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각각에 돌출부 및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각각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경사면과, 상기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밀착되며,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마찰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은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각각 45도의 사잇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의 내면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7. 링(ring) 형태를 형성하고, 링(ring) 형태의 저면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광원수납부;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서로 거울대칭(mirror symmetry) 형태를 형성하는 톱프레임; 및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톱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제1 사이드프레임, 제2 사이드프레임,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제4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더라도 상기 입체적인 프레임의 형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는,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제1 한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기 톱프레임, 상기 제1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2 사이드프레임, 상기 제3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제4 사이드프레임 사이마다 부착되는 복수의 제2 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기.
  9. 조명기기의 입체적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조 키트로서,
    상호 조립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모양의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광원수납부;
    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제조 키트.
  10. 상호 조립될 수 있으며, 동일한 모양의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3개의 사이드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광원수납부;
    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KR1020210048889A 2021-04-15 2021-04-15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KR102505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89A KR102505416B1 (ko) 2021-04-15 2021-04-15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889A KR102505416B1 (ko) 2021-04-15 2021-04-15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622A true KR20220142622A (ko) 2022-10-24
KR102505416B1 KR102505416B1 (ko) 2023-03-02

Family

ID=8380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889A KR102505416B1 (ko) 2021-04-15 2021-04-15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4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235B1 (ko) 2009-11-05 2011-12-14 (주)대륙아이티에스 Led 조명등 및 이를 위한 조립 키트
KR20170000468U (ko) * 2015-07-21 2017-02-03 한국에스에스(주) 엘이디 조명용 갓
KR20180037849A (ko) * 2016-10-05 2018-04-13 에코리빙 주식회사 조립식 조명갓
CN207702196U (zh) * 2017-09-30 2018-08-07 齐宁 一种组装式的多用途工艺灯
KR20180003596U (ko) * 2017-06-13 2018-12-21 손상 조립식 전등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235B1 (ko) 2009-11-05 2011-12-14 (주)대륙아이티에스 Led 조명등 및 이를 위한 조립 키트
KR20170000468U (ko) * 2015-07-21 2017-02-03 한국에스에스(주) 엘이디 조명용 갓
KR20180037849A (ko) * 2016-10-05 2018-04-13 에코리빙 주식회사 조립식 조명갓
KR20180003596U (ko) * 2017-06-13 2018-12-21 손상 조립식 전등갓
CN207702196U (zh) * 2017-09-30 2018-08-07 齐宁 一种组装式的多用途工艺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416B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42622A (ko)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JP2009123545A (ja) 枠体
KR200481461Y1 (ko) 조명등용 프레임
KR101816301B1 (ko) 짜맞춤 기법을 이용한 전통문양 장식체를 갖는 장식용 목재패널의 조립구조
US20210222853A1 (en) Lamp shade device
KR200176827Y1 (ko) 광고판
CN203571645U (zh) 一种全卡扣连接的蜡烛灯
US3840732A (en) Reflective light box
KR101642288B1 (ko) 굴절 및 반사광을 이용한 광 장식 효과를 갖는 천정 조명등용 커버체
KR200337412Y1 (ko) 전등갓
KR101213536B1 (ko) 액자
KR20030002592A (ko)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KR102606530B1 (ko)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KR200249389Y1 (ko) 광투과창을 갖는 도자기등
CN216552559U (zh) 一种室内电视背景墙
JP3840585B2 (ja) フリーサイズ表示灯
KR200374970Y1 (ko) 연등
KR200310772Y1 (ko) 연등 골조 구조
KR20010000072A (ko) 조립식 간판
KR200449518Y1 (ko) 거실 및 방 겸용 조명등
KR20170000468U (ko) 엘이디 조명용 갓
KR200467569Y1 (ko) 천장용 조명등커버의 측면판 고정구조
KR200368426Y1 (ko) 목재문용 문살
KR101642698B1 (ko) 조립식 원형 등박스
JP5991517B2 (ja) 把持具ユニット及びその把持具ユニットを取り付けた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