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530B1 -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530B1
KR102606530B1 KR1020210130545A KR20210130545A KR102606530B1 KR 102606530 B1 KR102606530 B1 KR 102606530B1 KR 1020210130545 A KR1020210130545 A KR 1020210130545A KR 20210130545 A KR20210130545 A KR 20210130545A KR 102606530 B1 KR102606530 B1 KR 102606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board
direc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7554A (ko
Inventor
김한준
Original Assignee
김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준 filed Critical 김한준
Priority to KR102021013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5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7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ceiling or like overhead structure, e.g. suspend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2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of polygonal shape, e.g. square or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5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planar substrates or supports, but arranged in different planes or with differing orientation, e.g. on plate-shaped supports with steps on which light-generating elements are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보드와, 천정보드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와, 상단은 수평보드에 결합하고 하단은 천정보드에 결합하여 천정보드와 수평보드를 연결하는 측면보드를 포함하는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으로서, 프레임형상으로 복수개가 측면보드를 따라 결합되며, 천정보드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간접조명을 연출하고, 외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직접조명을 연출하는 조명모듈과; 복수개의 조명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간접조명 연출뿐만 아니라 직접조명 연출도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분위기에 따라 간접조명과 직접조명 중 원하는 조명방식을 선택하여 조명을 연출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system for well ceiling}
본 발명은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조명 연출뿐만 아니라 직접조명 연출도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분위기에 따라 간접조명과 직접조명에서 원하는 조명방식을 선택하여 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실내공간의 개방감과 높은 층고 효과를 얻기 위하여 천정부의 중앙부가 인입된 우물천정 형태의 천정 마감스타일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우물천정 구조는, 천정보드와, 천정보드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와, 상단은 수평보드에 결합하고 하단은 천정보드에 결합하여 천정보드와 수평보드를 연결하는 측면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우물천정은 중앙부가 인입되어 있는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간접조명방식의 조명들이 주로 설치되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5385호는 우물천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도를 조정함과 아울러 여러 가지 색을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무드등, TV시청에 적합한 조도, 독서 및 세밀한 작업에 알맞은 조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우물천정 간접조명등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우물천정 조명은 수평보드에 광을 발산한 후 반사된 간접조명 연출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명연출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5385호
본 발명은, 우물천정에서 간접조명 연출뿐만 아니라 직접조명 연출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조명연출을 할 수 있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보드와, 천정보드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와, 상단은 상기 수평보드에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천정보드에 결합하여 상기 천정보드와 상기 수평보드를 연결하는 측면보드를 포함하는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형상으로 복수개가 상기 측면보드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천정보드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간접조명을 연출하고, 외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직접조명을 연출하는 조명모듈과; 복수개의 상기 조명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모듈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측면보드의 측면에 결합하는 제1측판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측판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설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측판과; 양단부가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에 결합하여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양단부가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확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보드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간접조명유닛과, 상기 연결판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확산판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직접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측판은, 타측 하단부에 상기 확산판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판은, 상기 제1측판과 대면하는 일측 하단부에 상기 확산판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확산판은, 양단부가 상기 제1끼움홈과 상기 제2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은, 양단부가 대면하는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접조명유닛이 결합되는 상부연결판과, 상기 상부연결판에 대하여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연결판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양단부가 대면하는 상기 제2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직접조명유닛이 결합되는 하부연결판과, 상기 상부연결판과 상기 하부연결판을 서로 연결시키는 수직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연결판은, 중앙부에 상기 이격공간과 연통되도록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직접조명유닛은, 폭이 상기 끼움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끼움홀의 상면 테두리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접조명유닛과 상기 직접조명유닛은, LED 구동회로가 형성된 띠형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 구동회로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끼리 결합하는 상기 제1측판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클립과,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끼리 결합하는 상기 제2측판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연결클립은, 종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내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측판들의 하단모서리를 감싸며 접촉 결합하며, 상기 제2연결클립은, 종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내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측판들의 외측면과 저면 모서리를 감싸며 접촉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서로 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상기 조명모듈들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여 상기 조명모듈들을 연결하는 모서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은 간접조명 연출뿐만 아니라 직접조명 연출도 가능한 조명모듈을 통하여 간접조명과 직접조명만 연출하거나 간접조명과 직접조명 모두를 연출하는 등 사용자의 취향과 분위기에 따라 원하는 조명방식을 선택하여 조명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명연출이 가능하고, 연결부를 통해 조명모듈들을 연결되도록 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이 우물천정에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에서 제1측판과 제2측판과 연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은, 천정보드(10)와, 천정보드(10)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20)와, 상단은 수평보드(20)에 결합하고 하단은 천정보드(10)에 결합하여 천정보드(10)와 수평보드(20)를 연결하는 측면보드(30)를 포함하는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는 조명시스템으로서, 간접조명 연출뿐만 아니라 직접조명 연출도 가능하며,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은, 조명모듈과, 연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모듈은 프레임형상으로 복수개가 측면보드(30)를 따라 결합되며, 천정보드(10)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간접조명을 연출하고, 실내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직접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도 2에서 조명모듈은, 측면보드(30)의 형상과 대응하여 사각 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부적으로, 조명모듈은,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과, 연결판(300)과, 확산판(400)과, 조명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측판(1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져 일측면이 측면보드(3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판(100)은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하여 측면보드(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의 결합수단은 측면보드(30)에 접착결합되는 부착수단 또는 체결볼트와 같은 고정수단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측판(100)은, 제2측판(200)과 대면하는 타측면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확산판(400)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측판(2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1측판(100)과 평행하도록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며, 제1측판(100)의 외측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측판(200)은 제1측판(100)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다양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판(200)은, 제1측판(100)과 대면하는 일측면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확산판(400)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판(300)은, 양단부가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에 결합하여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을 연결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과 연결판(300)이 H형상의 종단면 형상을 갖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판(300)은, 상부연결판(310)과, 하부연결판(320)과, 수직연결판(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연결판(3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며, 양단부가 대면하는 제1측판(100)의 타측면과 제2측판(200)의 일측면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부연결판(310)은,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부가 개방된 상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면에 간접조명유닛(510)이 결합되어 간접조명유닛(510)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수평보드(20)를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하부연결판(3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며, 상부연결판(310)에 대하여 이격공간(301)을 형성하도록 상부연결판(310)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양단부가 대면하는 제2측판(200)의 타측면과 제2측판(20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연결판(320)은, 직접조명유닛(52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301)을 통해 직접조명유닛(520)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하부연결판(320)은, 중앙부에 이격공간(301)과 연통되도록 끼움홀(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직접조명유닛(520)이 이격공간(301)에 삽입된 후 끼움홀(321)을 차폐하면서 하부연결판(320)의 상면으로 안착될 수 있다.
수직연결판(330)은, 상부연결판(310)과 하부연결판(320)을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더불어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직접조명유닛(520)을 가이드하여 직접조명유닛(520)이 설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확산판(400)은, 하부연결판(320)에 대하여 확산공간(302)을 형성하도록 하부연결판(320)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직접조명유닛(520)으로부터 발산된 광이 투사되어 실내공간을 향하여 직접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확산판(400)은, 광이 투사되는 재질이라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 모두 적용 가능하며, 제조 및 취급이 용이한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확산판(400)은, 양단부가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세부적으로는 교체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확산판(400)의 착탈 방식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제1측판(100)의 제1끼움홈(110)과 제2측판(200)의 제2끼움홈(21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확산판(400)은, 양단부가 상부 및 측면을 향하여 L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확산판(400)은, 단부를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의 단부방향에서 양단부가 제1끼움홈(110)과 제2끼움홈(210)에 끼우고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제1끼움홈(110)과 제2끼움홈(210)에 결합될 수 있다.
조명부(500)는, 수평보드(20)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간접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간접조명유닛(510)과, 확산판(400)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직접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직접조명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
간접조명유닛(510)은, 상부연결판(3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수평보드(20)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수평보드(20)에서 반사된 광을 통해 실내에 간접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직접조명유닛(520)은, 하부연결판(320)의 하면에 결합되어 확산공간(302) 및 확산판(400)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광을 실내에 직접조사하여 직접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간접조명유닛(510)은, 상부연결판(310)의 상면에 고정 결합시키며, 직접조명유닛(520)은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하부연결판(320)에 끼움 결합되어 확산공간(302)으로 광을 발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직접조명유닛(520)은, 폭이 끼움홀(32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공간(301)에 삽입된 후 끼움홀(321)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하부연결판(320)의 상면에 안착되어 하부연결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간접조명유닛(510)과 직접조명유닛(520)은, LED 구동회로가 형성된 띠형의 기판과,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어 LED 구동회로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간접조명유닛(510)과 직접조명유닛(520)은 테이프(띠)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조건에 따라 그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600)는, 복수개의 조명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볼트를 결합하기 위한 천공작업 등을 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명모듈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어 설치작업을 용이하며, 조명모듈들끼리 이음새없이 그대로 연결하기 때문에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연결부(600)는, 제1연결클립(610)과, 제2연결클립(620)과, 모서리판(6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클립(6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얼라인(align)되게 단부끼리 결합하는 제1측판(10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1연결클립(610)은, 종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내측으로 인접하는 제1측판(100)들의 하단모서리를 감싸며 접촉 결합되어 조명모듈들의 일측을 서로 연결한다.
제2연결클립(6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얼라인되게 단부끼리 결합하는 제2측판(20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2연결클립(620)은, 종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내측으로 인접하는 제2측판(200)들의 외측면과 저면 모서리를 감싸며 접촉 결합되어 조명모듈의 타측을 서로 연결한다. 이때, 제2연결클립(6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의 상단이 제2측판(200)의 상단과 동일하도록 그 높이가 형성되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연결클립(610)과 제2연결클립(620)은, 부착수단을 통해 결합되거나 별도의 결합수단을 통해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수단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모서리판(6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조명모듈들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여 조명모듈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모서리판(6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모서리부분의 제1측판(100)과 제2측판(200)의 하면에 결합되어 모서리부분의 공간을 메워 깔끔한 외관을 형성하도록 하고, 모서리공간에서 조명부(500) 등을 설치한 후 결합되어 마감작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천정보드
20 : 수평보드
30 : 측면보드
100 : 제1측판
110 : 제1끼움홈
200 : 제2측판
210 : 제2끼움홈
300 : 연결판
301 : 이격공간
302 : 확산공간
310 : 상부연결판
320 : 하부연결판
321 : 끼움홀
330 : 수직연결판
400 : 확산판
500 : 조명부
510 : 간접조명유닛
520 : 직접조명유닛
600 : 연결부
610 : 제1연결클립
620 : 제2연결클립
630 : 모서리판

Claims (6)

  1. 천정보드와, 천정보드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와, 상단은 상기 수평보드에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천정보드에 결합하여 상기 천정보드와 상기 수평보드를 연결하는 측면보드를 포함하는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형상으로 복수개가 상기 측면보드를 따라 결합되며, 상기 수평보드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간접조명을 연출하고, 외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여 직접조명을 연출하는 조명모듈과;
    복수개의 상기 조명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조명모듈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기 측면보드의 측면에 결합하는 제1측판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측판의 외측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측판과;
    양단부가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에 결합하여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을 연결하는 연결판과;
    양단부가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확산판과;
    상기 연결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보드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간접조명유닛과, 상기 연결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확산판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직접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측판은, 타측 하단부에 상기 확산판의 일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판은, 상기 제1측판과 대면하는 일측 하단부에 상기 확산판의 타측이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확산판은, 양단부가 상기 제1끼움홈과 상기 제2끼움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연결판은,
    양단부가 대면하는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측면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접조명유닛이 결합되는 상부연결판과, 상기 상부연결판에 대하여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연결판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양단부가 대면하는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직접조명유닛이 결합되는 하부연결판과, 상기 상부연결판과 상기 하부연결판을 서로 연결시키는 수직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판은 상기 하부연결판에 대하여 확산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연결판의 하부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하부연결판은, 중앙부에 상기 이격공간과 상기 확산공간이 연통되도록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직접조명유닛은, 폭이 상기 끼움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된 후 상기 끼움홀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부연결판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확산공간과 상기 확산판을 향하여 광을 발산하고,
    상기 연결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끼리 결합하는 상기 제1측판들을 서로 연결하며 종단면 형상이 ㄴ형상으로 내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1측판들의 하단모서리를 감싸며 접촉결합되는 제1연결클립과, 길이방향을 따라 단부끼리 결합하는 상기 제2측판들을 서로 연결하며 종단면형상이 ㄴ형상으로 내측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측판들의 외측면과 저면 모서리를 감싸며 접촉 결합되는 제2연결클립과, 서로 각을 이루어 결합되는 조명모듈들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위치하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모서리부분의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하면에 결합되어 모서리부분의 공간을 메우고, 상기 조명모듈들을 연결하는 모서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조명유닛과 상기 직접조명유닛은,
    LED 구동회로가 형성된 띠형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 구동회로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된 복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6. 삭제
KR1020210130545A 2021-10-01 2021-10-01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KR10260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45A KR102606530B1 (ko) 2021-10-01 2021-10-01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545A KR102606530B1 (ko) 2021-10-01 2021-10-01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54A KR20230047554A (ko) 2023-04-10
KR102606530B1 true KR102606530B1 (ko) 2023-11-24

Family

ID=8598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545A KR102606530B1 (ko) 2021-10-01 2021-10-01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653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385U (ko)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마인조명 우물천정 간접조명등
KR20120007901A (ko) * 2010-07-15 2012-01-25 (주) 시스템디자인프리미어 조립형 조명기구
KR102389896B1 (ko) * 2019-12-19 2022-04-22 케이에이치필룩스 주식회사 조명장치
KR102396442B1 (ko) * 2019-12-30 2022-05-10 주식회사 알토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54A (ko) 2023-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7812B2 (en) Light-emitting diode panel fixture
CN105674066B (zh) 低型面挤出型材
CN101986004A (zh) 照明装置
KR101989540B1 (ko) 라운드 형상의 측면조사형 조명등기구
CN104154496A (zh) 具有波形反射器的照明组件
KR102228150B1 (ko) 조명매립이 간편한 히든 라인조명몰딩
KR102193121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절곡할 수 있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명등기구
US20190293277A1 (en) Interior building material and attaching structure therefor
JP3121700U (ja) 照明組込み型ショーケース
US20110239503A1 (en) Pattern/character displaying led lamp structure with invisible t-bar support
KR102606530B1 (ko)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US7510297B2 (en) Luminous wall system
WO2020050846A1 (en) Architectural indirect lighting assembly with integrated wiring
KR102199621B1 (ko) 직부형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KR102181274B1 (ko)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설치방법
CA2964921C (en) Design system based on luminaires with multiple illumination panels
KR102582549B1 (ko) 천장 반사조명 프레임 코너 연결부재
JP2006169861A (ja) 発光パネル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備えた建具、並びに透明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KR102171917B1 (ko)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CN212456506U (zh) 转角拼接件
KR102151007B1 (ko) Led 엣지평판 천장등장치
CN205137255U (zh) 一种组装式吊顶用照明灯具
US11966070B2 (en) Light guide and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light guide
KR101311961B1 (ko) 멀티 고정형 조명등기구
KR20210014961A (ko) 면조명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