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442B1 -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 Google Patents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442B1
KR102396442B1 KR1020190178022A KR20190178022A KR102396442B1 KR 102396442 B1 KR102396442 B1 KR 102396442B1 KR 1020190178022 A KR1020190178022 A KR 1020190178022A KR 20190178022 A KR20190178022 A KR 20190178022A KR 102396442 B1 KR102396442 B1 KR 10239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frame
vertical frame
lighting
well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217A (ko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19017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4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56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the air at least partially flowing over lighting fixtures, the heat of which is dissipated or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면이 우물천정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며 공조덕트부와 연통되도록 공조슬롯이 형성된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프레임부는, 수직방향의 외측면이 측면보드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제1수직프레임과 대향하여 제1수직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양단이 제1수직프레임과 제2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제2수직프레임을 상제1수직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시켜 유지되도록 하는 수평프레임과, 일측이 우물천정 구조물의 마감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1수직프레임에 지지되며, 공조슬롯이 형성된 흡배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프레임부에 조명유닛이 설치되기 때문에 조명유닛 설치에 따른 우물천정 타공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부의 공조슬롯을 통하여 우물천정에 디퓨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기 때문에 깔끔하고 미려한 우물천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디퓨저를 설치할 필요 없이 공조기와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Air conditioning and lighting combined unit for well celling}
본 발명은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물천정구조물에 설치되어 조명과 디퓨저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내부에는 전기시설, 공조시설, 스프링클러, 화재감지기 등다양하고 많은 설비들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실내공간의 개방감과 높은 층고 효과를 얻기 위하여 천정부의 중앙부가 인입된 우물천정 형태의 천정마감스타일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우물천정 구조물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9312호는 천정면의 중앙부위 둘레에 수직 하방으로 입설되어 고정결합된 측면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면의 하단에 설치되며, 수평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등간격으로 끼워 맞춤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우물천정 고정구조물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2013년 개정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11조에 의하여 10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의 경우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연환기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기준이 마련되면서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공조설비가 필수항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정마감재와 천정슬라브와의 설치공간이 좁아진 우물천정의 경우 좁아진 내부 설치공간 구조에 따라, 공조설비는 우물천정 부분에 설치가 불가하게 됨에 따라 설치공간이 확보되는 천정의 외곽 모퉁이에 디퓨저를 비롯한 설비가 설치되고, 조명설비는 천정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우물천정 구조물은 천정의 외곽부분에 공조 디퓨저가 설치되고 조명은 중앙부에 설치되는 구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8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우물천정의 테두리부분을 이용하여 실내 조명을 구현하는 예는 개시된 바 있으나, 조명과 공조를 우물천정 구조에서 일체화시킨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우물천정 구조물은 실내공조를 위한 디퓨저와, 조명설비가 별도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만큼 이들 설치에 따른 우물천정 구조물의 타공 부위가 증가하여 깔끔하고 미려한 우물천정을 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조가 우물천정 모퉁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내공조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931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41833호
본 발명은, 조명과 디퓨저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물천정의 타공부위를 줄여 깔끔하고 미려한 우물천정을 연출할 수 있으며, 실내 거실 중앙부에서 공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정보드와, 천정보드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와, 상단은 상기 수평보드에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천정보드에 결합하여 상기 천정보드와 상기 수평보드를 연결하는 측면보드를 포함하는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조명과 공조 디퓨징을 통합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 있어서, 일측면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며 공조덕트부와 연통되도록 공조슬롯이 형성된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수직방향의 외측면이 상기 측면보드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대향하여 상기 제1수직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상기 제1수직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시켜 유지되도록 하는 수평프레임과, 일측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의 마감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공조슬롯이 형성된 흡배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덕트부는, 천정 슬라브와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 사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공조시스템의 공조배관과 연통되는 공조챔버와, 상기 공조챔버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흡배기프레임과 결합되는 덕트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공조슬롯이 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측부흡배기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슬롯은, 상기 공조슬롯과 대면하는 상기 공조챔버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측부흡배기프레임은, 상기 덕트슬롯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공조슬롯이 하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하부흡배기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덕트슬롯은, 상기 공조슬롯과 대면하는 상기 공조챔버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흡배기프레임은, 상기 덕트슬롯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직접조명유닛 또는 상기 우물천정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간접조명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에 상기 직접조명유닛이 설치되는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간접조명유닛이 설치되는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의하여 하부가 개방된 조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조명공간으로 상기 직접조명유닛이 끼움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은, 양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안정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조덕트부가 서로 연통되어 상기 공조덕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공조덕트부가 서로 연통되어 상기 공조덕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부유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유출홀은, 상기 간접조명유닛 설치위치와 인접되게 위치하여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간접조명유닛의 방열공기흐름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상기 직접조명유닛으로 유출되도록 하부유출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유입방향이 경사지도록 경사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입홀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경사방향이 상방 및 하방으로 서로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유입홀은, 복수개가 수평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유입홀과, 상기 상부유입홀의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개가 상기 상부유입홀과 엇갈리게 수평방향을 따라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하부유입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조명설비와 디퓨저 설치를 위하여 우물천정 구조물 여러 곳에 걸쳐 타공부를 형성하던 기존과는 달리 공조슬롯이 형성되고 조명유닛이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부에 의하여 조명과 디퓨저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우물천정의 타공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깔끔하고 미려한 우물천정을 형성할 수 있다.
둘째, 우물천정의 중앙부에서 공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실내공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조명설치와 디퓨저설치를 각각 별도로 작업할 필요 없이 프레임부의 설치만으로 조명설치와 디퓨저 설치를 동시에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이다.
넷째, 프레임부에 간접조명유닛뿐만 아니라 직접조명유닛도 설치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조명디자인이 가능하여 다채로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다섯째, 실내공조방식을 하부공조방식 또는 측면공조방식으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최적의 실내공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서 하부공조방식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서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서 측면공조방식을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을 우물천정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서 수용공간에 설치된 조명안정기의 방열을 위한 프레임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서 수용공간에 설치된 조명안정기의 방열을 위한 프레임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서 유입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500:이하 '복합유닛'이라 한다, 도 4참조)은,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조명과 공조 디퓨징(Defusing)을 통합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공조덕트부(20)와 연통되어 공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조명이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복합유닛에 대하여 살펴봄에 앞서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은, 천정보드(13)와, 천정보드(13)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11)와, 상단은 수평보드(11)에 결합하고 하단은 천정보드(13)에 결합하여 상기 천정보드(13)와 수평보드(11)를 연결하는 측면보드(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은, 상대적으로 넓은 이격공간을 갖는 천정보드(13)와 천정 슬라브와의 사이에 공조덕트부(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공조덕트부(2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공조덕트부(20)는, 천정 슬라브와 천정보드(13) 사이의 설치공간(10a)에 설치되며, 공조시스템의 공조배관(21)과 연통되는 공조챔버(22)와, 상기 공조챔버(22)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덕트슬롯(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덕트슬롯(23)은, 장방형의 슬롯 형태로 형성된 공조슬롯(134a,135a)에 끼움 결합되며 이러한 공조슬롯(134a,135a)과 결합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배관(21)은, 실내의 오염물질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환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공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고, 실내시스템 사양에 따라 전열교환기 등을 구성하여 실내 냉난방을 유지시키는 공조시스템과 연결되어, 실내로 공기가 유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부(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프레임부(100)는, 일측면이 상기 우물천정의 측면부를 따라 고정 결합되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과, 수평프레임(130)과 흡배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의 마감부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은, 외측면이 상기 측면보드(1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며, 실내미관을 고려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면이 상기 천정보드(13)의 하면과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12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게 위치하고, 제1수직프레임(110)과 대향하여 수직되게 설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2수직프레임(120)은, 하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하단부와 동일 높이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 사이에 수평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양단이 제1수직프레임(110)의 내측면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어 제2수직프레임(120)을 제1수직프레임(110)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시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 제2수직프레임(120) 및 수평프레임(130)이 서로 결합되어 종단면 형상이 대략 'H'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의 이격거리를 유지함은 물론 조명유닛(200)이 설치되어, 우물천정에 조명유닛(200) 설치를 위한 타공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유닛(200)은, 실내공간을 향하여 직접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직접조명유닛(210)과, 우물천정 구조물을 향하여 광을 조사함으로써 실내공간을 향하여 간접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간접조명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유닛(200)은, LED조명과, 조명안정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외 조명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판과 같은 다양한 조명부품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평프레임(13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30)은, 제1수평프레임(131)과 제2수평프레임(1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프레임(131)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하면에 직접조명유닛(21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수평프레임(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대하여 하부가 개방된 조명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조명공간으로 직접조명유닛(210)이 탈착가능하게 끼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은 내측면에 끼움돌기(11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직접조명유닛(21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부가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상기 제1수평프레임(131)과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도록 제1수평프레임(131)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간접조명유닛(22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양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 구성으로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프레임(110)의 걸림턱(112)과 제2수직프레임(120)의 걸림턱(122)의 상면에 안착되어 간접조명유닛(220)의 무게와 자중에 의하여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상기한 걸림턱(112,122)에 의한 안착되는 구성 외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에 대응하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대하여 스냅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간접조명유닛(220) 설치 작업 시 작업자가 시야확보가 어려운 곳에서 작업할 필요 없이 제2수평프레임(132)에 간접조명유닛(220)을 미리 설치하고 이를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간접조명유닛(22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101) 내 설치되는 조명안정기(23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간접조명유닛(220)의 설치 여부 등에 따라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령, 직접조명유닛(210)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00)는, 제2수평프레임(132)을 설치하지 않고 제1수평프레임(131)만 포함시켜 설치되고, 상기 제1수평프레임(131)의 하면에 직접조명유닛(2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직접조명유닛(210)과 간접조명유닛(220)을 모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제1수평프레임(131)과 제2수평프레임(132)을 모두 포함시켜 제1수평프레임(131)의 하면에 직접조명유닛(210)이 설치되고, 제2수평프레임(132)의 상면에 간접조명유닛(2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100)는, 하부로 직접조명유닛(210)이 끼움 결합되고, 상부로 간접조명유닛(2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직접조명유닛(210)과 간접조명유닛(220)의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 조명디자인에 따라 직접조명유닛(210)과 간접조명유닛(220)을 다양하게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다채로운 실내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흡배기프레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일측이 우물천정 구조물의 마감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1수직프레임(110)에 지지되며, 상기 공조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흡배기방식에 따라 하부흡배기프레임(134)과, 측부흡배기프레임(135; 도 3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의 복합유닛은 하부공조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하부공조방식인 경우 천정보드(13)에 하부공조구가(13a)가 형성되고, 덕트슬롯(23)은 공조챔버(22)의 하면에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하부공조구(13a)는 측면보드(12)와 인접한 천정보드(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천정보드(13)의 단부뿐만 아니라 측면보드(12)의 하단부 일부도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그 형성 위치에 따라 천정보드(13)에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하부공조방식인 경우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하부흡배기프레임(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흡배기프레임(134)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어 천정보드(13) 설치되고, 공조슬롯(134a)이 하방향을 향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슬롯(134a)은, 상기 덕트슬롯(23)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하부흡배기프레임(134)이 공조덕트부(20)와 연통되게 한다.
이에, 상기 하부흡배기프레임(134)은, 공조챔버(22)가 설치된 상태에서 공조슬롯(134a)을 덕트슬롯(23)을 향하여 상방으로 밀착되게 끼움 조립되어, 공조덕트부(2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측방향을 향하여 공조가 이루어지는 측면공조방식을 갖는 복합유닛(5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한 측면공조방식은 도 1의 하부공조방식과는 달리 공조덕트부(20)를 통하여 유출입되는 공기가 측방향을 향하여 유출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면보드(12)의 상부에 측면공조구(12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조덕트부(20)는, 측면보드(12)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공조구(12a)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대면하는 공조챔버(22)의 일측면에 덕트슬롯(23)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공조챔버(22)는, 상기 측면보드(12)의 하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는 측면보드(12)에 밀착되고 하부는 제1수직프레임(110)에 밀착되게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복합유닛(500)은,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과, 수평프레임(130)과, 흡배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과, 수평프레임(130)은 도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면공조가 이루어지는 측면공조방식인 경우,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측부흡배기프레임(13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흡배기프레임(135)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의 측면보드(12)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공조슬롯(135a)이 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어 공기가 측방향으로 유출입되도록 한다.
상기 측부흡배기프레임(135)은, 공조슬롯(135a)이 상기 덕트슬롯(23)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공조덕트부(20)와 연통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복합유닛(500)은, 측면공조방식 또는 하부공조방식에 따라 측부흡배기프레임(135) 또는 하부흡배기프레임(134)을 통하여 공조덕트부(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공조방식에 대응하여 제1수직프레임(110), 제2수직프레임(120) 및 수평프레임(130)의 설계변경 없이도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고, 실내조건 및 실내환경에 따라 측면공조방식 또는 하부공조방식으로 선택하여 실내공조를 수행할 수 있어 실내공조의 설계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유닛(500)은, 하부공조방식의 경우 공조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측면공조방식의 경우 미관을 깔끔하게 하여 보다 미려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내환경 및 인테리어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되어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복합유닛(500)을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앞서, 도 4의 복합유닛(500)은 측면공조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하부공조방식의 경우에도 동일한 설치과정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합유닛(500)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복합유닛(500)을 설치함에 앞서, 건축물의 마감 시공 공정에서 천정 슬라브에 상기 수평보드(11)와, 측면보드(12)와, 천정보드(13)를 각각 설치 시공한다. 이때, 상기 측면보드(12)에는 측면공조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우물천정 마감공사가 완료되면, 우물천정 구조물의 설치공간(10a)에 공조덕트부(20)를 설치한다. 상기 공조덕트부(20)는 측면공조방식에 따라 측방향에 덕트슬롯(23)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의 마감재 시공과 공조덕트부(20)의 설치시공은 건축물 시공 공정에 따라 서로 다른 순서로 시공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우물천정 구조물과 공조덕트부(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측면보드(12)에 복합유닛(5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복합유닛(500)은, 제1수직프레임(110)과 제2수직프레임(120)과 수평프레임(130)이 미리 결합된 상태로서, 제1수직프레임(110)이 측면보드(12)에 설치되고, 이 후 덕트슬롯(23)으로 측부흡배기프레임(135)의 공조슬롯(135a)을 끼움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복합유닛(5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조명유닛(200)을 설치하는데, 조명디자인에 따라 직접조명유닛(210)은 제1수평프레임(131)의 하부에 설치되고, 간접조명유닛(220)은 제2수평프레임(132)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복합유닛(500)은, 프레임부(100)에 공조슬롯(135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디퓨저 설치 없이도 공조덕트부(20)로부터 공기의 유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퓨저 설치에 의한 우물천정의 타공을 없앨 수 있어 깔끔하고 미려한 우물천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유닛(500)은, 공조슬롯(135a)과 덕트슬롯(23)의 끼움 조립을 통하여 공조덕트부(20)와의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기 제1수평프레임(131)과 제2수평프레임(132) 사이의 수용공간(101)에는, 조명유닛(200)의 조명안정기(230)를 비롯한 조명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명부품 들 중 상기한 조명안정기(230)는, 발열이 많이 나는 부품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차폐된 수용공간(101)에 설치되는 경우 과열이 발생될 수 있다. 때문에, 상기 복합유닛(500)은 이러한 조명안정기(230)의 과열을 방지하는 방열구성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한 수용공간(101)에 설치된 조명안정기(230)의 방열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조명안정기(230)가 설치된 수용공간(101)은, 제1수직프레임(110), 제2수직프레임(120), 제1수평프레임(131) 및 제2수평프레임(132)에 의하여 차폐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명안정기(230)로부터 방열되는 열은 배출되지 않고 수용공간(101) 내에 누적되고, 이렇게 누적된 열은 조명안정기(230)의 과열을 야기 시킨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복합유닛(500)은, 수용공간(101)에 공기유동이 가능하게 하여 수용공간(101) 내의 열이 공기흐름에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조명안정기(230)가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복합유닛(5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1) 내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홀(121)과, 공조덕트부(20)로부터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홀(111)을 형성시켜, 수용공간(101) 내 조명안정기(230)를 방열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복합유닛(500)은, 유출홀(121)의 형성위치에 따라 제2수직프레임(120)에 유출홀(121)이 형성되어 측방향을 향하여 공기가 유출되는 경우와, 제2수평프레임(132)에 상부유출홀(133)이 형성되어 상방향을 향하여 공기가 유출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공조챔버(22)의 측면부가 제1수직프레임(110)에 대하여 이격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유입홀(111)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공조챔버(22)의 측면부가 절곡되어 제1수직프레임(110)의 측면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은 적어도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는 부분이 공조챔버(22)의 측면부와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이하에는 상기한 제1수직프레임(110)의 측면부와 공조챔버(22)의 측면부가 밀착된 경우를 실시예로 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수용공간의 공기가 측방향을 향하여 유출되는 실시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은, 상기 수용공간(101)과 공조덕트부(20)가 서로 연통되어 공조덕트부(20)의 공기가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111)은 공조챔버(22)의 측면과 함께 관통 형성된 홀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120)은,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출홀(121)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합유닛(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유입홀(111)로 유입된 공기가 수용공간(101)을 통과하여 좌측의 유출홀(121)로 유출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복합유닛(500)은, 유입홀(111)과 유출홀(121)이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의 유출입이 보다 원활하고, 이에 따라 방열효과가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상방향을 향하여 유출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수직프레임(110)은, 상기 수용공간(101)과 공조덕트부(20)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공조덕트부(20)의 공기가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되게 하는 유입홀(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조챔버(22)의 측면과 함께 관통 형성된 홀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프레임(132)은,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부유출홀(133)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복합유닛(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유입홀(111)로 유입된 공기가 수용공간(101)을 통과하여 상부의 상부유출홀(133)로 유출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복합유닛(500)은, 상부유출홀(133)이 외관상으로 눈에 띄지 않는 제2수평프레임(132)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깔끔한 인테리어를 연출할 수 있으며, 간접조명유닛(220)의 주위로 공기흐름이 형성되어 간접조명 방열에도 도움이 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상부유출홀(133)은, 간접조명유닛(220)의 설치위치와 인접되게 위치하여, 유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간접조명유닛(220)의 방열공기흐름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복합유닛은, 공조덕트부(2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수용공간(101)의 조명안정기(230)뿐만 아니라 간접조명유닛(220)도 방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효과적인 조명유닛(200)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합유닛(500)은, 제1수평프레임(110)에 하부유출홀(미도시)을 형성하여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직접조명유닛(210)으로 유출되도록 하여 조명안정기(230)뿐만 아니라 직접조명유닛(210)의 방열도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한 유입홀(11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 (a)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홀(111)의 관통 방향이, 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방향이 경사지도록 제1수평프레임(110)에 대하여(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공기가 경사진 상기 유입홀(111)을 거치면서 방향성을 갖도록 하여 수용공간(101)에서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렇게 발생된 와류는 수용공간(101) 내의 공기를 교반시켜 내부의 온도를 보다 균일화되게 하여 조명안정기(230)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111)은, 제1수직프레임(110)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여러 지점에서 수용공간(101)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용공간(101) 내의 공기유동 면적을 늘리고, 와류형성 면적을 늘려 방열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홀(111)은, 복수개가 상열과 하열로 구분되게 배치되어,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부유입홀들과, 상부유입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하부유입홀들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111)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경사방향이 상방 및 하방으로 서로 교번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유입홀의 관통방향은 하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유입홀의 관통방향은 상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부유입홀과 하부유입홀 각각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수용공간(101)에서 서로 충돌하면서 와류 형성이 보다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유입홀(111)의 실시예는, 도시된 유출홀(121)이 제2수직프레임(120)에 형성된 경우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제2수평프레임(132)에 상부유출홀(133)이 형성된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a : 설치공간 11 : 슈평보드
12 ; 측면보드 12a : 측면공조구
13 : 천정보드 13a : 하부공조구
20 : 공조덕트부 21 : 공조배관
22 : 공조챔버 23 : 덕트슬롯
100 : 프레임부 101 : 수용공간
110 : 제1수직프레임 111 : 유입홀
112 : 걸림턱 113 : 끼움돌기
120 : 제2수직프레임 121 : 유출홀
122 : 걸림턱 130 : 수평프레임
131 : 제1수평프레임 132 : 제2수평프레임
133 : 상부유출홀 134 : 하부흡배기프레임
134a : 공조슬롯 135 : 측부흡배기프레임
135a : 공조슬롯 200 : 조명유닛
210 : 직접조명유닛 220 : 간접조명유닛
230 : 조명안정기 500 : 복합유닛

Claims (11)

  1. 천정보드와, 천정보드의 중앙부에 인입되어 설치되는 수평보드와, 상단은 상기 수평보드에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천정보드에 결합하여 상기 천정보드와 상기 수평보드를 연결하는 측면보드를 포함하는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조명과 공조 디퓨징을 통합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은,
    일측면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에 고정 결합되며 공조덕트부와 연통되도록 공조슬롯이 형성된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직접조명유닛 및 상기 우물천정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간접조명유닛을 포함하는 조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부는,
    수직방향의 외측면이 상기 측면보드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 설치되는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대향하여 상기 제1수직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양단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연결하여, 상기 제2수직프레임을 상기 제1수직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시켜 유지되도록 하는 수평프레임; 그리고
    일측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의 마감재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공조슬롯이 형성된 흡배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조덕트부는,
    천정 슬라브와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 사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며, 공조시스템의 공조배관과 연통되는 공조챔버와;
    상기 공조챔버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흡배기프레임과 결합되는 덕트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은,
    하면에 상기 직접조명유닛이 설치되는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간접조명유닛이 설치되는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수평프레임과 상기 제2수평프레임의 수용공간에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안정기가 설치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에는, 상기 조명안정기의 수용공간과 상기 공조덕트부가 서로 연통되어 상기 공조덕트부의 공기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게 하는 복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프레임, 상기 제2수평프레임 또는 제1수평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복수개의 유출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의 유입방향이 경사지도록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되;
    복수개의 유입홀들의 경사방향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방향이 하방인 하방경사와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방향이 상방인 상방경사가 교번하여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공조슬롯이 측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측부흡배기프레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슬롯은, 상기 공조슬롯과 대면하는 상기 공조챔버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측부흡배기프레임은, 상기 덕트슬롯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하부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우물천정 구조물에 설치되고, 상기 공조슬롯이 하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하부흡배기프레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슬롯은, 상기 공조슬롯과 대면하는 상기 공조챔버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흡배기프레임은, 상기 덕트슬롯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7. 삭제
  8. 삭제
  9.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프레임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의하여 하부가 개방된 조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조명공간으로 상기 직접조명유닛이 끼움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10.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프레임은,
    양단부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11. 삭제
KR1020190178022A 2019-12-30 2019-12-30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KR102396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22A KR102396442B1 (ko) 2019-12-30 2019-12-30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22A KR102396442B1 (ko) 2019-12-30 2019-12-30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17A KR20210085217A (ko) 2021-07-08
KR102396442B1 true KR102396442B1 (ko) 2022-05-10

Family

ID=7689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022A KR102396442B1 (ko) 2019-12-30 2019-12-30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4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530B1 (ko) * 2021-10-01 2023-11-24 김한준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474Y2 (ja) * 1993-09-03 1998-07-30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照明装置
JPH0741863U (ja) * 1993-12-27 1995-07-21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空調用吹出し又は吸込み口兼用ダウンライト型照明装置
JP3544053B2 (ja) * 1996-02-29 2004-07-21 松下電工株式会社 システム天井
KR20120007901A (ko) * 2010-07-15 2012-01-25 (주) 시스템디자인프리미어 조립형 조명기구
KR20120119312A (ko) 2011-04-21 2012-10-31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건축물의 우물천장 고정구조물
KR20130141833A (ko) 2012-06-18 2013-12-27 주식회사 필룩스 조명기구
KR101992412B1 (ko) * 2017-11-20 2019-06-24 전창호 엘이디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17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5151C2 (ru) Подвесной профиль,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прохождение воздуха, и узел потолка,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й профиль
KR102230506B1 (ko)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0773846B1 (ko) 모듈라 서비스 유닛
US20110122603A1 (en) Integrated laboratory light fixture
US11859854B2 (en) Ceiling system with air movement
KR102396442B1 (ko) 우물천정용 공조 및 조명 복합유닛
JP6618715B2 (ja) 空調用チャンバー設置構造
US20010035023A1 (en) Case for an air conditioner having an inner machine and an outer machine
JP7286830B2 (ja) パーソナル空調システム
JP6906291B2 (ja) 空気搬送システム
JP6529922B2 (ja) 二世帯住宅の空調システム
JP7100689B2 (ja) ユニット建物の換気システム
JP2018016997A (ja) 建物の通気構造
US11274852B2 (en) Linear supply outlet (LSO)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s for blending heating and cooling fenestrations with architectural appearances
JP7033486B2 (ja) パーソナル空調システム
JP4927520B2 (ja) 設備設置スペースを備えた建物
JP6410302B2 (ja) 自然換気システム
KR20170020625A (ko) 전열교환기용 급배기구 조인트 플랜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1517167B1 (ko)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및 분리형 변풍량 리니어 디퓨저 시공방법
NL2013030B1 (en) Building with ventilation system and terminal.
JP2022156851A (ja) 取り付け金具、断熱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及び放射空調装置
JP474794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1596137A2 (en) Air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suspended ceiling
JPH11304190A (ja) ダクト構造
JP2019070459A (ja) リターン装置、システム天井並びに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