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698B1 - 조립식 원형 등박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원형 등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698B1
KR101642698B1 KR1020150019410A KR20150019410A KR101642698B1 KR 101642698 B1 KR101642698 B1 KR 101642698B1 KR 1020150019410 A KR1020150019410 A KR 1020150019410A KR 20150019410 A KR20150019410 A KR 20150019410A KR 101642698 B1 KR101642698 B1 KR 10164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plate
annular
base
light box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이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성 filed Critical 이대성
Priority to KR102015001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interchangeability, i.e. component parts being especially adapted to be replaced by another part with the same or a different fun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종류가 적고 형태가 단순하며,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베이스조각(11)이 서로 수평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환형판(10);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돌출조각(21)이 상기 베이스환형판(10)의 소정의 위치에 적층되면서 서로 수평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돌출환형판 (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원형 등박스{Prefabricated circular light box}
본 발명은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의 종류가 적고 형태가 단순하며,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사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건물 내부를 꾸미는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인테리어는 장식재나 소품을 활용하여 미적인 공간을 연출하는 것으로, 인테리어의 요소로는 가구, 텍스타일, 조명, 벽 장식 등이 있다.
그 중 조명(전등)은 적은 개수로도 공간 전체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등은 백열등, 형광등, LED조명 등 광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색상 및 밝기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또한 설치 시 천장이나 벽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스탠드 형태로 제작되어 원하는 위치에 전등을 세워놓거나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휴대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전등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개발되면서, 전등과 관련된 부속품이나 인테리어 제품들 또한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의 예로, 등박스는 주로 천장에 설치된 전등 근처에 배치되어 전등을 더욱 돋보이게 하고 천장을 꾸미거나, 간접조명이 삽입되어 조명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테리어 제품이다.
여기서 천장을 꾸미는 용도의 등박스는 전등이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둘레에 설치되는데, 이 때 천장에 설치된 전등은 대부분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등박스도 커야 한다.
만약 이러한 등박스를 일체형으로 한다면, 제작 및 유통상에 적지 않은 문제가 발생한다. 등박스를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만드는 경우에는 큰 크기의 금형이 필요하고 형태가 변형될 때마다 새로운 금형을 제작해야 한다. 등박스를 판상의 재료를 재단하여 만드는 경우에는 남는 재료가 많아 낭비가 된다.
등박스가 일체형이라면 운반 과정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평지나 층계에서 운반될 때는 등박스의 무게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엘리베이터로 운반된다면 엘리베이터에 들어갈 수 있는 물품의 길이(또는 지름)가 약 2.4m 이내이므로 그 이상으로 큰 등박스는 별도의 거중기를 이용하여 외부창을 통해 내부로 들여놓아야 한다.
따라서 등박스는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져 운반된 후 현장에서 조립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제작이 용이한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사각형의 등박스가 다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전등이 설치된 천장에 배치되는 경우 전등과 등박스의 형태가 서로 조화롭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예로, 원형 전등에 어울리는 환형의 조립식 등박스가 제작된 사례가 있다. (도 1a, http://product.hansolhomedeco.com/front/srchPrd/view.do?menuCd=1110100&indxNo xx =597& srchProdName =% eb %93% b1 % eb % b0 %95% ec %8a% a4 & prdCateOneCd =& prdCateTwoCd =&p rdCateThrCd =& prdColorCode =& prdStyleCode =& srchYnNew =& srchYnBest =& srchUse =& srchMaterial 참조) 그러나 이 예시의 경우 프레임 부재의 수가 많아 제작 시간이 길고, 각 프레임들을 연결하기 위해 확장캡과 센터캡이라는 특정 요소가 추가로 제작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종래기술인 등록실용 제20-0321758호 또한 원형 전등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천정설치용 조립식 등박스를 제안하였다. 상기 천정설치용 조립식 등박스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막대 부재와 차단판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부재의 수가 너무 많고, 끼움 결합을 위한 미세한 홈을 만들면 단면 형태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다. 조립할 때는 막대 부재와 차단판 부재의 수평 및 수직으로 끼움 결합을 해야 하는데, 이 때 맞닿는 부분과 끼워지는 부분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제작 및 취급 시 부분적으로 분해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 제20-0321758호
http://product.hansolhomedeco.com/front/srchPrd/view.do?menuCd=1110100&indxNoxx=597&srchProdName=%eb%93%b1%eb%b0%95%ec%8a%a4&prdCateOneCd=&prdCateTwoCd=&prdCateThrCd=&prdColorCode=&prdStyleCode=&srchYnNew=&srchYnBest=&srchUse=&srchMaterial
본 발명은 부품의 종류가 적고 형태가 단순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조립이 용이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베이스조각이 서로 수평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환형판;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돌출조각이 상기 베이스환형판의 소정의 위치에 적층되면서 서로 수평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돌출환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환형판, 돌출환형판 두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은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베이스조각 및 돌출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작 시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 시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품이 단순히 수평연결 또는 적층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등박스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a, 1b는 각각 종래기술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를 나타낸 예 사진 및 도면.
도 2a, 2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제작예 및 설치예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가 단순환형, 타원환형, 원형 및 타원형일 때의 베이스조각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가 단순환형 및 타원환형일 때의 돌출조각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 소정의 광원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예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 광원을 덮는 커버재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예 사진.
도 7a, 7b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 소정의 무늬가 있는 장식재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 예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 도면부호가 병기되어 있는 경우, 이는 설명 위한 예시적인 것일 뿐 도면부호가 구성요소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도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환형판, 돌출환형판, 제2돌출환형판 용어에 사용된 환형은 단순환형뿐만 아니라 타원환형, 원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원형 등박스 및 그의 조립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a, 도 2b에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제작예 및 설치예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1. 조립식 원형 등박스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는 크게 베이스환형판(10)과 돌출환형판(20) 두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은 베이스조각(11), 돌출조각(21)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환형판(10)은 등박스에서 천장과 맞닿는 판재로, 그 형태는 앞서 정의한 환형에 포함되는 모든 경우가 가능하다. 베이스환형판(10)은 복수개의 베이스조각(11)이 수평연결되어 만들어지는데, 여기서 수평연결이란 상기 베이스조각(11)의 잘려진 측면끼리 동일 평면상에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환형판(10)을 일체로 제작하지 않고 베이스조각(11)을 연결하여 제작하는 이유는, 앞서 언급했듯이 제작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베이스환형판(10)을 베이스조각(11)으로 분리할 때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통과하도록 일직선으로 자르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조각(11)의 위치나 순서를 구분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하기 위해서는 각 조각의 형태 및 크기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조각(11)은 일체의 베이스환형판(10)에서 3-4조각으로 자른 것이 제작 및 운반에 바람직하며, 특히 타원환형 또는 타원형일 때는 조각의 형태가 동일하도록 4조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환형판(10)이 단순환형, 타원환형, 원형 및 타원형일 때의 베이스조각(11)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환형판(20)은 베이스환형판(10)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 적층되는 판재이다. 돌출환형판(20)의 형태는 앞서 정의한 환형에 포함되는 모든 경우가 가능하나, 환형 내부 천공된 부분에 전등이 추가될 수도 있으므로 돌출환형판(20)의 형태는 단순환형 또는 타원환형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돌출환형판(20)은 복수개의 돌출조각(21)이 수평연결되어 만들어지며, 돌출환형판(20)을 돌출조각(21)으로 분리하는 방법, 적절한 조각 개수 및 형태는 베이스환형판(10)의 경우와 동일하다. 돌출환형판(20)의 형태, 크기 및 두께는 제한이 없으나, 내경은 상기 베이스환형판(10)의 내경보다 크거나 같고, 외경은 베이스환형판(10)의 외경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경은 환형 판재의 안쪽에서 잰 지름을, 외경은 환형 판재의 바깥쪽에서 잰 지름을 의미한다. 돌출환형판(20)은 한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수의 층을 이루어 베이스환형판(10) 상면에 적층된다. 이 때 각 층에 있는 돌출환형판(20)의 형태, 크기,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돌출환형판(20)이 단순환형 및 타원환형일 때의 돌출조각(21)의 일례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베이스환형판(10)과 돌출환형판(20)은 다양한 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 중 집성목 판은 단순히 목재를 잘라서 이어붙인 재료이므로 사용 시 뒤틀림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목재를 가공하여 만든 MDF 판 또는 PB 판을 사용하거나, 플라스틱 판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베이스환형판(10) 또는 상기 돌출환형판(20)의 상면 소정의 위치에 제2돌출환형판(30)이 추가될 수 있다. 제2돌출환형판(30)을 조각으로 분리하는 방법, 적절한 조각 개수 및 형태, 적층에 관한 사항은 돌출환형판(20)의 경우와 동일하다.
만약 제2돌출환형판(30)이 상기 돌출환형판(20)과 내경이 다른 형태로 제작되어 돌출환형판(20)과 함께 베이스환형판(10)에 결합된다면, 돌출환형판(20)과 제2돌출환형판(30)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사이 공간에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요소 중 하나로, 돌출환형판(20)과 제2돌출환형판(30) 사이 공간에 광원(40)이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광원(40)의 종류는 백열전구, 형광등, LED전구, LED 칩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적절한 형태의 광원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광원(40)은 노출된 상태로 두어도 좋으나, 미관상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변환경과의 조화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직접조명이 아닌 간접조명의 적용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광원(40)을 덮는 커버재(50)가 추가될 수 있다(도 6 참조). 커버재(50)의 형태는 자체적으로 광원(40)을 덮는 형태이거나, 상기 돌출환형판(20) 또는 제2돌출환형판(30)에 걸쳐지거나 끼워져 광원(40)을 덮는 판재 형태일 수 있다. 커버재(50)의 소재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전체를 커버하는 것이나,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부분적으로 천공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이 공간의 미관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디자인 요소로 장식재(60)가 추가될 수 있다(도 7a 참조). 상기 장식재(60)로는 문양이 조각된 판재나 다양한 색상 또는 문양이 인쇄된 종이재, 직물재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사이 공간에 광원(40)이 함께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장식재(60)가 추가됨으로써 커버재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내부, 즉 등박스에서 환형 안쪽에 천공된 부분에도 장식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내부광원(70) 및/또는 내부장식재(80)가 추가될 수 있다. 등박스의 내부장식재(80)는 그 형태, 무늬 및 두께는 제한이 없으나 내부광원(70)을 설치하기 위한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b의 예시는 상기 조립식 등박스에 내부광원(70)이 추가된 것을 나타내고, 도 7b의 예시는 상기 조립식 등박스에 내부장식재(80)가 추가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는 미관을 위해 등박스의 노출 표면에 코팅재가 적층될 수 있다. 코팅재는 코팅필름과 같이 등박스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는 소재나, 페인트 등의 도료와 같이 등박스의 노출 표면에 도포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2.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조립 및 설치방법
본 발명에 의한 등박스의 조립 및 설치는 다음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1) 선조립 후 설치
본 방법은 먼저 등박스의 각 부품을 조립하고 난 후, 완제품인 등박스를 천장에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등박스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로 크기 및 무게가 작은 등박스에 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방법은 (A)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조각(11)을 서로 수평연결하여 베이스환형판(10)을 만드는 단계; (B) 복수개의 상기 돌출조각(21)을 서로 수평연결하여 돌출환형판(20)을 만드는 단계; (C) (A) 단계에서 조립한 베이스환형판(10) 상에, (B) 단계에서 조립한 돌출환형판(20)을 적층하여 원형 등박스를 조립하는 단계; 및 (D) 상기 조립된 등박스를 천장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B) 단계와 (C) 단계는 별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B) 단계와 (C) 단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조립 및 설치방법의 일례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먼저 (A) 단계에서는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조각(11)을 평평한 곳에 배치한다(도 8의 참조). 그 후 베이스조각(11)끼리 연결될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서로 수평연결하여 하나의 베이스환형판(10)을 만든다(도 8의 참조).
그 다음 (B) 단계에서는 상기 (A)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상기 돌출 조각을 평평한 곳에 배치한 후 상기 (A)단계의 베이스조각(11)과 동일한 방법을 활용하여 하나의 돌출환형판(20)을 만든다.
이후 (C) 단계에서는 돌출환형판(20)에서 베이스환형판(10)과 결합될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A) 단계에서 조립한 베이스환형판(10)의 상면에 상기 돌출환형판(20)을 적층하여 원형 등박스를 조립한다.
이 때 상기 (B)와 (C) 단계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환형판(10) 상면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돌출조각(21)끼리 연결될 면과, 베이스환형판(10)과 결합될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그리고 돌출조각(21)을 서로 수평연결하여 돌출환형판(20)을 만들면서, 베이스환형판(10) 위에 적층하면 된다(도 8의 ,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돌출환형판(20)을 다수 층으로 적층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층으로도 적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 단계에서는 조립된 상기 원형 등박스를 천장에 설치한다. 설치 시에는 통상의 등박스 설치 시와 마찬가지로 못, 나사못, 타카핀 등을 박아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원형 등박스에는 필요에 따라 제2돌출환형판(30)을 추가할 수 있는데, 이 때 제2돌출환형판(30)의 연결 및 적층 방법은 상기 (B) 단계에서 돌출환형판(20)의 경우와 동일하다(도 8의 , 참조). 도 8의 , 예시에서 돌출환형판(20)과 제2돌출환형판(30)의 구분은 임의적인 것으로, 내경이 큰 것을 제2돌출환형판(30)으로 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돌출환형판(20) 및 제2돌출환형판(30)을 베이스환형판(10)에 적층할 때 각각의 연결부가 겹쳐지도록 하면, 겹쳐진 연결부가 취약 부분이 되어 외력을 받았을 때 해체되기가 쉽다. 따라서 상기 두 부품의 연결부는 베이스환형판(10)의 연결부와 서로 겹쳐지지 않고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장식적인 효과를 위한 디자인 요소로 광원(40), 광원(40)을 덮는 커버재(50), 장식재(60) 및 코팅재(미도시)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등박스에 광원(40)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예시와 같이 부품 조립 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상기 돌출환형판(20)과 제2돌출환형판(30) 사이 공간에 추가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는 조립 과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광원(40)을 추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환형판(10)이 조립된 상태에서 먼저 광원(40)을 추가한 후 돌출환형판(20)을 조립/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광원(40)에 연결된 전선을 외부의 전력공급원과 연결하기 위해 베이스환형판(10)을 천공할 수 있다. 천공 단계는 베이스환형판(10)이 조립되기 이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등박스에 광원(40)을 덮는 커버재(50)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단층 또는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상기 돌출환형판(20) 및 상기 제2돌출환형판(30)의 상면에 커버재(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돌출환형판(20) 및 제2돌출환형판(30)이 복수층으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간층에 적층된 상기 두 판의 폭을 다른 층에 비해 크게 제작하여 상기 사이 공간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 본 발명의 예시와 같이 돌출된 상기 두 판의 중간층에 커버재(50)를 결합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이 때 중간층에 적층된 상기 두 판의 폭은, 두 판이 모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사이 공간 전체를 가리지 않고, 상기 사이 공간에 추가된 광원(40)의 빛이 외부에서 충분히 보일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재의 결합에는 환형판의 조립 시와 마찬가지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광원을 교체할 경우 커버재를 분리할 때 등박스에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광원(40)을 교체할 경우에 대비하여 커버재(50)를 등박스에서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품과 커버재(50) 사이에 평고정판을 대고 양쪽을 나사못으로 고정하면 분리 시 나사못을 돌려 고정을 풀 수 있다. 또는 부품 한 쪽에 고정쇠를 설치한 후 연결되는 커버재(50)에 걸쳐지도록 하면 분리 시 고정쇠를 회전시키거나 구부려서 고정을 풀 수 있다. 이외에도 종래 알려진 착탈 가능한 결합방식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위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등박스에 장식재(60)를 추가하는 경우 두 가지가 있는데, 상기 광원(40) 및 상기 커버재(50)가 없이 장식재만 추가하면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돌출환형판 및 상기 제2돌출환형판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원(40) 및 상기 커버재(50)가 추가된 상태에서 장식재(60)를 추가하면 상기 커버재(50)와 같이 착탈 가능한 결합방식을 선택하여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내부에도 장식적인 효과를 위한 내부광원(70) 및/또는 내부장식재(80)를 추가할 수 있다. 내부장식재(80)는 등박스의 조립과정 중 적절한 단계에서 추가하여 다른 부품과 함께 조립한 후 설치할 수도 있고, 등박스 전체 조립 후 설치 시 추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절한 단계는 베이스환형판 조립 후부터 등박스가 최종 조립되는 시점까지 사이의 어느 한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등박스에 코팅재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코팅재 적층 단계가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부품들이 모두 조립된 후에 수행되거나, 부품들이 조립되기 이전에 부품 각각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2) 설치 시 조립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크기 및 무게가 커서 미리 조립된 상태로는 작업자가 천장에 설치하기 어려울 경우, 천장에서 설치와 동시에 등박스의 부품을 조립할 수 있다. 이 때의 등박스의 조립은 등박스 조립에서 평평한 바닥을 천장으로 대치한 것을 제외하고는 (1)에 설명된 조립 순서과 동일하다. 다만, 본 방법에서는 베이스조각(11) 또는 돌출조각(21)을 서로 수평연결할 때 조각끼리 연결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10. 베이스환형판 11. 베이스조각
20. 돌출환형판 21. 돌출조각
30. 제2돌출환형판 40. 광원
50. 커버재 60. 장식재
70. 내부광원 80. 내부장식재

Claims (10)

  1. 삭제
  2.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베이스조각이 서로 수평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환형판-이때 환형은 단순환형뿐만 아니라 타원환형, 원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함;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돌출조각이 상기 베이스환형판의 소정의 위치에 적층되면서 서로 수평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돌출환형판-이때 환형은 단순환형뿐만 아니라 타원환형, 원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함; 및
    환형판이 복수개로 분리된 형태의 제2돌출조각이 상기 베이스환형판 또는 상기 돌출환형판의 소정의 위치에 적층되면서 서로 수평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제2돌출환형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환형판과 상기 제2돌출환형판의 사이 공간에 광원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환형판과 상기 제2돌출환형판의 상면 또는 사이 공간에 상기 광원을 덮는 커버재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환형판과 상기 제2돌출환형판의 상면 또는 사이 공간에 장식재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내부에 내부광원과 내부장식재 중 하나 이상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노출 표면에 코팅재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
  8. 제 2 항에 의한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조립 및 설치방법에 있어서,
    (A) 복수개의 상기 베이스조각을 서로 수평연결하여 베이스환형판을 만드는 단계;
    (B) 복수개의 상기 돌출조각을 서로 수평연결하여 돌출환형판을 만드는 단계;
    (C) (A) 단계에서 조립한 베이스환형판 상에, (B) 단계에서 조립한 돌출환형판을 적층하여 원형 등박스를 조립하는 단계;
    (D) 상기 원형 등박스를 천장에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조립 및 설치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와 (C)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조립 및 설치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내지 (C) 단계는 설치되는 천장에서 조립이 진행되어 조립과 동시에 (D)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원형 등박스의 조립 및 설치방법.
KR1020150019410A 2015-02-09 2015-02-09 조립식 원형 등박스 KR10164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410A KR101642698B1 (ko) 2015-02-09 2015-02-09 조립식 원형 등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410A KR101642698B1 (ko) 2015-02-09 2015-02-09 조립식 원형 등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698B1 true KR101642698B1 (ko) 2016-07-27

Family

ID=5661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410A KR101642698B1 (ko) 2015-02-09 2015-02-09 조립식 원형 등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6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758Y1 (ko) 2003-04-22 2003-07-31 이재천 천정설치용 조립식 등박스
KR200364198Y1 (ko) * 2004-07-12 2004-10-08 양병모 방등용 프레임의 구조
KR101527754B1 (ko) * 2014-10-14 2015-06-11 이엔이엘이디 주식회사 조립성을 높인 조명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758Y1 (ko) 2003-04-22 2003-07-31 이재천 천정설치용 조립식 등박스
KR200364198Y1 (ko) * 2004-07-12 2004-10-08 양병모 방등용 프레임의 구조
KR101527754B1 (ko) * 2014-10-14 2015-06-11 이엔이엘이디 주식회사 조립성을 높인 조명하우징 및 이를 구비한 조명기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product.hansolhomedeco.com/front/srchPrd/view.do?menuCd=1110100&indxNoxx=597&srchProdName=%eb%93%b1%eb%b0%95%ec%8a%a4&prdCateOneCd=&prdCateTwoCd=&prdCateThrCd=&prdColorCode=&prdStyleCode=&srchYnNew=&srchYnBest=&srchUse=&srch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6023B2 (en) LED light fixtur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US10048433B2 (en) Flat panel lighting apparatus
US9546770B2 (en) Shade structure
CN108471890A (zh) 用于展示模型的模块化展示系统
KR101642698B1 (ko) 조립식 원형 등박스
US20170328536A1 (en) Multiplayered image transmitting lampshade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 thereof
WO2011140564A2 (en) Luminaire having non-revealed area light sources
KR200473087Y1 (ko) 나무결 문양을 갖는 조명등기구
US20210222853A1 (en) Lamp shade device
CN215474193U (zh) 正方体玻璃景观雕塑
KR20180037849A (ko) 조립식 조명갓
CN202969674U (zh) 深井式吊顶结构
KR101836347B1 (ko) 엘이디 조명등
CN200995923Y (zh) 复合型电梯轿厢地板
ITMI20122043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a led
CN212972483U (zh) 一种美陈道具
KR102606530B1 (ko) 우물천정 직간접 조명시스템
CN210373142U (zh) 一种吸顶灯
KR102505416B1 (ko) 조명기기 제조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기기
KR102469092B1 (ko) 블로우 성형에 의한 비투광성 장식부재를 갖는 조명커버의 제조방법
JP2015032400A (ja) 照明装置
KR101465182B1 (ko) 조명기구용 반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기구
KR100958789B1 (ko) 조명등 케이스
JP2019023954A (ja) 発光パネル
KR101465183B1 (ko) 조명기구용 반사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