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315A -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315A
KR20220142315A KR1020210091840A KR20210091840A KR20220142315A KR 20220142315 A KR20220142315 A KR 20220142315A KR 1020210091840 A KR1020210091840 A KR 1020210091840A KR 20210091840 A KR20210091840 A KR 20210091840A KR 20220142315 A KR20220142315 A KR 2022014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z
learning
team
student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986B1 (ko
Inventor
김재엽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4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315A/ko
Priority to KR1020240031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팀 기반 학습의 도입에 따른 교수자 및 학습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습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교수자 및 학습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습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 자료 공유를 통해 스스로 학습해야 하는 사전학습의 부담은 줄어들고, 학습의 효과는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화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시간을 단축하고, 학습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SERVER FOR SUPPORTING CLASS BASED ON TEAM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팀 기반 학습의 도입에 따른 교수자 및 학습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습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19 팬데믹과 4차 산업혁명의 도래는 대학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코로나 19 팬데믹은 국내대학의 교육이 급격하게 온라인교육으로 전환되도록 하였다. 학생, 교수자 및 대학들은 준비가 부족한 상황에서 급격히 확대된 온라인교육으로 인해 어려운 교육환경에 처해있다.
특히 온라인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지원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LMS)은 설계범위를 초과하는 사용 폭주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여, 학습지원시스템의 보완과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혁신교수법의 도입이 강조되고 있고, 적극적인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익숙한 기존 교육방식 대신에 대학교육 현장에 혁신교수법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도입의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으나, 지원과 동기유발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혁신교수법의 보급과 적용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2021년 1월 현재 국내대학에서 활용되고 있는 학습지원시스템들은 대부분 혁신교수법과 같은 새로운 교육방법의 적용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다.
하지만, 급격히 확대된 온라인교육의 어려움을 지원하고, 새로운 교수법 도입의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34113호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실시간 교육방법”에서는 강사와 학생이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온라인을 통해 1:N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점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교수는 단순히 영상을 통해 강의를 제공하고 학생은 평가점수를 제공하는 단방향 강의일 뿐, 실질적인 참여학습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34113호 (2002.05.08. 공개)
본 발명은 팀 기반 학습의 도입에 따른 교수자 및 학습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습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 자료 공유를 통해 스스로 학습해야 하는 사전학습의 부담은 줄어들고, 학습의 효과는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심화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시간을 단축하고, 학습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팀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학습방을 생성하는 학습방 관리부; 상기 학습방에 학생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학생 단말과 공유하고,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학생 단말에 공유하고,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 지원부;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에 의해 생성된 퀴즈에 대한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퀴즈를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상기 학습방에서 상기 학생의 참여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참여도 산출부; 및 상기 팀 공유 게시판을 통해 질문 메시지가 등록된 후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질의 응답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습 지원부는 상기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 각각에 개인 퀴즈를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하고, 개인 퀴즈에 참여한 후 개인 퀴즈의 정답 유무에 따라 개인 퀴즈 중 적어도 하나의 퀴즈를 이용하여 팀별 퀴즈를 생성하여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 학습 지원부는 상기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가 미리 생성된 풀이 과정에 존재하는 개수에 따라 과정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습 지원부는 상기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는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답을 맞춘 학생이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에게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답을 맞춘 학생이 힌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의 기여도를 산출할 때 헬퍼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질의 응답 관리부는 상기 질문 메시지를 등록한 학생의 레벨과 유사한 레벨의 학생이 등록한 답변 메시지를 우선으로 정렬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에서 실행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방법에 있어서,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팀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학습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방에 학생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학생 단말과 공유하고,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학생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상기 학습방에서 상기 학생의 참여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에 의해 생성된 퀴즈에 대한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퀴즈를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 각각에 개인 퀴즈를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하고, 개인 퀴즈에 참여한 후 개인 퀴즈의 정답 유무에 따라 개인 퀴즈 중 적어도 하나의 퀴즈를 이용하여 팀별 퀴즈를 생성하여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는상기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가 미리 생성된 풀이 과정에 존재하는 개수에 따라 과정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습방에서 상기 학생의 참여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는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답을 맞춘 학생이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에게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답을 맞춘 학생이 힌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의 기여도를 산출할 때 헬퍼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팀 공유 게시판을 통해 질문 메시지가 등록된 후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질문 메시지를 등록한 학생의 레벨과 유사한 레벨의 학생이 등록한 답변 메시지를 우선으로 정렬하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교수자 및 학습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습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자료 공유를 통해 스스로 학습해야 하는 사전학습의 부담은 줄어들고, 학습의 효과는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화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시간을 단축하고, 학습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수 있도록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시스템은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 학생 단말(200_1~200_N) 및 교육자 단말(300)를 포함한다.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구성 요청 메시지를 교육자 단말(300)에 제공하고,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팀 구성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팀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팀 구성 정보에 따라 해당 학생을 같은 팀으로 그룹핑한 후 팀으로 그룹핑된 학생들이 하나의 학습방에 참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을 생성할 때 해당 학습방에 참여 가능한 학생 식별자 및 교육자 식별자를 미리 할당하며, 학생 단말(200_1~200_N) 및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학습방 입장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200_1~200_N) 및 미리 할당된 교육자 식별자에 해당하는 교육자 단말(300)만이 학습방에 참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가 학습방을 생성할 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으로 그룹핑된 학생의 과거 기여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학생을 팀장으로 결정하여 해당 학생 식별자에 팀장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에 학생들이 참여된 후 학생 단말(200_1~200_N)로부터 학습 자료 공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학습 자료 공유 요청 메시지에서 추출한 학습 자료를 학습방에 참여된 다른 학생 단말(200_1~200_N)에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생 별 학습 자료 공유 횟수 및 학습 자료 수신 횟수를 학습방의 상단에 표시하고, 학습 자료를 공유한 학생 식별자를 교육자 단말(300)에 제공하여 학습 자료를 공유한 학생이 가산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생에 의해 학습 자료가 공유되면, 해당 학생의 기여도를 산출할 때 자료 공유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교육자 식별자에 해당하는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미리 수신된 심화 학습 자료를 수신하면,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단말(200_1~200_N)에 제공하여 학생들이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시간을 단축하고, 학습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학습방에서 수업해야 하는 과목의 섹션 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구축된 교육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섹션 정보에 해당하는 학습 자료를 추출하여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단말(200_1~200_N)에 제공한다.
또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200_1~200_N) 각각에 개인 퀴즈를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 퀴즈에 참여한 후 개인 퀴즈의 정답 유무에 따라 개인 퀴즈 중 적어도 하나의 퀴즈를 이용하여 팀별 퀴즈를 생성하여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의 답안 제출은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중 팀장 권한을 가진 학생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생 단말(200_1~200_N)로부터 학생에 의해 생성된 퀴즈에 대한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퀴즈를 퀴즈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한 후, 퀴즈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퀴즈를 개인 퀴즈로 추출한 후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퀴즈가 제공된 후 퀴즈에 대한 정답 유무 및 퀴즈에 참여한 학생의 레벨에 따라 퀴즈의 난이도를 할당한다. 상기의 학생의 레벨은 학생의 팀장 권한을 가진 횟수, 학생의 과거 기여도, 학생이 퀴즈 정답을 맞춘 횟수 및 학생이 응용 문제의 정답을 맞춘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퀴즈를 맞춘 경우 퀴즈에 참여한 학생의 레벨에 해당하는 난이도를 해당 퀴즈에 할당하고, 퀴즈를 맞추지 못한 경우 퀴즈에 참여한 학생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해당하는 난이도를 해당 퀴즈에 할당한다.
또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에 해당하는 팀응공유 게시판에 응용 문제를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응용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응용 문제의 답안 제출은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중 팀장 권한을 가진 학생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의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 및 응용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 각각의 참여 참여도에 따라 학생 각각의 기여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가 미리 생성된 풀이 과정에 존재하는 개수에 따라 과정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의 정답을 맞춘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때 정답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는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답을 맞춘 학생이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에게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답을 맞춘 학생이 힌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의 기여도를 산출할 때 헬퍼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공유 게시판을 통해 질문 메시지 또는 답변 메시지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질문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정렬하여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질문 메시지를 등록한 학생의 레벨과 유사한 레벨의 학생이 등록한 답변 메시지를 우선으로 정렬하게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질문 메시지를 등록한 학생의 팀장 권한을 가진 횟수, 학생의 과거 기여도, 학생이 퀴즈 정답을 맞춘 횟수 및 학생이 응용 문제의 정답을 맞춘 횟수을 이용하여 학생의 레벨를 결정한 후, 학생의 레벨와 유사한 난이도의 학생이 등록한 답변 메시지를 우선으로 정렬하게 제공한다.
학생 단말(200_1~200_N)은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에서 생성된 학습방에 참여하여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학생 단말(200_1~200_N)은 학습방에 참여한 후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에 학습 자료 공유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여 학습 자료를 다른 학생들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학생 단말(200_1~200_N)은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 및 응용 문제를 해결하는데 참여할 수 있다. 이때, 학생 단말(200_1~200_N)은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 및 응용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채팅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채팅 메시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풀이 과정, 정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생 단말(200_1~200_N)은 학습방의 섹션 별로 해당 섹션에 대한 퀴즈를 생성한 후 퀴즈에 대한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를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에 제공하여 등록할 수 있다.
교육자 단말(300)은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에서 생성된 학습방에 참여하여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 선생님 등이 보유하는 단말이다.
교육자 단말(300)은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로부터 팀 구성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 리스트 상의 학생을 나누어 팀 구성 정보를 생성한 후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교육자 단말(300)은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 리스트 상의 학생 각각에 대해서 학생 식별자 순서대로 나누어 팀 구성 정보를 생성한 후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교육자 단말(300)은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 리스트 상의 학생 각각에 대해서 학생의 과거 기여도에 따라 순번을 할당한 후, 순번에 따라 팀 구성 정보를 생성한 후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 관리부(110), 학습 지원부(120), 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부(130), 퀴즈 데이터베이스(140), 참여도 산출부(150) 및 질의 응답 관리부(160)를 포함한다.
학습방 관리부(110)는 팀 구성 요청 메시지를 교육자 단말(300)에 제공하고,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팀 구성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팀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학습방 관리부(110)는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팀 구성 정보에 따라 해당 학생을 같은 팀으로 그룹핑한 후 팀으로 그룹핑된 학생들이 하나의 학습방에 참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학습방 관리부(110)는 학습방을 생성할 때 해당 학습방에 참여 가능한 학생 식별자 및 교육자 식별자를 미리 할당하며, 학생 단말(200_1~200_N) 및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학습방 입장 요청 신호가 수신될 때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200_1~200_N) 및 미리 할당된 교육자 식별자에 해당하는 교육자 단말(300)만이 학습방에 참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학습방 관리부(110)가 학습방을 생성할 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으로 그룹핑된 학생의 과거 기여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학생을 팀장으로 결정하여 해당 학생 식별자에 팀장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학습 지원부(120)는 학습방에 학생들이 참여된 후 학생 단말(200_1~200_N)로부터 학습 자료 공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학습 자료 공유 요청 메시지에서 추출한 학습 자료를 학습방에 참여된 다른 학생 단말(200_1~200_N)에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학습 지원부(120)는 학생 별 학습 자료 공유 횟수 및 학습 자료 수신 횟수를 학습방의 상단에 표시하고, 학습 자료를 공유한 학생 식별자를 교육자 단말(300)에 제공하여 학습 자료를 공유한 학생이 가산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 지원부(120)는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200_1~200_N) 각각에 개인 퀴즈를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 퀴즈에 참여한 후 개인 퀴즈의 정답 유무에 따라 개인 퀴즈 중 적어도 하나의 퀴즈를 이용하여 팀별 퀴즈를 생성하여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습 지원부(12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의 답안 제출은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중 팀장 권한을 가진 학생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학습 지원부(120)는 학습방에 해당하는 팀 공유 게시판에 응용 문제를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응용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응용 문제의 답안 제출은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중 팀장 권한을 가진 학생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한다.
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부(130)는 학생 단말(200_1~200_N)로부터 학생에 의해 생성된 퀴즈에 대한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퀴즈를 퀴즈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한 후, 퀴즈 데이터베이스(140)에 등록된 퀴즈를 개인 퀴즈로 추출한 후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부(130)는 퀴즈가 제공된 후 퀴즈에 대한 정답 유무 및 퀴즈에 참여한 학생의 레벨에 따라 퀴즈의 난이도를 할당한다. 상기의 학생의 레벨은 학생의 팀장 권한을 가진 횟수, 학생의 과거 기여도, 학생이 퀴즈 정답을 맞춘 횟수 및 학생이 응용 문제의 정답을 맞춘 횟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부(130)는 퀴즈를 맞춘 경우 퀴즈에 참여한 학생의 레벨에 해당하는 난이도를 해당 퀴즈에 할당하고, 퀴즈를 맞추지 못한 경우 퀴즈에 참여한 학생의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해당하는 난이도를 해당 퀴즈에 할당한다.
참여도 산출부(150)는 학습방의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 및 응용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 각각의 참여 참여도에 따라 학생 각각의 기여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참여도 산출부(15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가 미리 생성된 풀이 과정에 존재하는 개수에 따라 과정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참여도 산출부(15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의 정답을 맞춘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때 정답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참여도 산출부(150)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는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답을 맞춘 학생이 정답을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에게 마이너스 가중치를 부여하고 정답을 맞춘 학생이 힌트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학생의 기여도를 산출할 때 헬퍼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참여도 산출부(150)는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교육자 식별자에 해당하는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미리 수신된 심화 학습 자료를 수신하면, 심화 학습 자료를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단말(200_1~200_N)에 제공하여 학생들이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시간을 단축하고, 학습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참여도 산출부(150)는 교육자 단말(300)로부터 학습방에서 수업해야 하는 과목의 섹션 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구축된 교육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섹션 정보에 해당하는 학습 자료를 추출하여 학습방에 참여한 학생 단말(200_1~200_N)에 제공한다.
또한, 질의 응답 관리부(160)는 팀 공유 게시판을 통해 질문 메시지 또는 답변 메시지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질의 응답 관리부(160)는 질문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정렬하여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질의 응답 관리부(160)는 질문 메시지를 등록한 학생의 레벨과 유사한 레벨의 학생이 등록한 답변 메시지를 우선으로 정렬하게 제공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질의 응답 관리부(160)는 질문 메시지를 등록한 학생의 팀장 권한을 가진 횟수, 학생의 과거 기여도, 학생이 퀴즈 정답을 맞춘 횟수 및 학생이 응용 문제의 정답을 맞춘 횟수을 이용하여 학생의 레벨를 결정한 후, 학생의 레벨와 유사한 난이도의 학생이 등록한 답변 메시지를 우선으로 정렬하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팀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학습방을 생성한다(단계 S310).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에 학생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학생 단말과 공유하고,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학생 단말에 공유한다(단계 S320).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한다(단계 S330).
단계 S33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 각각에 개인 퀴즈를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하고, 개인 퀴즈에 참여한 후 개인 퀴즈의 정답 유무에 따라 개인 퀴즈 중 적어도 하나의 퀴즈를 이용하여 팀별 퀴즈를 생성하여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한다.
단계 S330에 다른 대한 일 실시예에서,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상기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가 미리 생성된 풀이 과정에 존재하는 개수에 따라 과정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100)는 학습방에서 상기 학생의 참여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기여도를 결정한다(단계 S34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110: 학습방 관리부 120: 학습 지원부
130: 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140: 퀴즈 데이터베이스
150: 참여도 산출부 160: 질의 응답 관리부
200: 학생 단말 300: 교육자 단말

Claims (5)

  1.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팀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학습방을 생성하는 학습방 관리부;
    상기 학습방에 학생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학생 단말과 공유하고,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학생 단말에 공유하고,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 지원부;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에 의해 생성된 퀴즈에 대한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퀴즈를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퀴즈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상기 학습방에서 상기 학생의 참여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참여도 산출부; 및
    상기 팀 공유 게시판을 통해 질문 메시지가 등록된 후 상기 질문 메시지에 대한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수신하면, 복수의 답변 메시지를 정렬하여 제공하는 질의 응답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지원부는
    상기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 각각에 개인 퀴즈를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하고, 개인 퀴즈에 참여한 후 개인 퀴즈의 정답 유무에 따라 개인 퀴즈 중 적어도 하나의 퀴즈를 이용하여 팀별 퀴즈를 생성하여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지원부는
    상기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된 팀별 퀴즈가 개인 퀴즈로 제공되었을 때 정답을 맞춘 학생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팀별 퀴즈를 해결하는데 입력한 채팅 메시지를 분석하여 복수의 키워드를 추출한 후, 복수의 키워드가 미리 생성된 풀이 과정에 존재하는 개수에 따라 과정 가중치를 적용하여 해당 학생의 참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4.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에서 실행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방법에 있어서,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팀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학습방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방에 학생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학생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학생 단말과 공유하고, 교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학생 단말에 공유하는 단계;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
    상기 학습방에서 상기 학생의 참여도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학생의 기여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학생 단말로부터 학생에 의해 생성된 퀴즈에 대한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퀴즈 등록 요청 메시지에 따라 퀴즈를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퀴즈를 학생 단말 각각 또는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방에 미리 할당된 학생 식별자에 해당하는 학생 단말 각각에 개인 퀴즈를 제공하여 학생으로 하여금 개인 퀴즈에 참여하고, 개인 퀴즈에 참여한 후 개인 퀴즈의 정답 유무에 따라 개인 퀴즈 중 적어도 하나의 퀴즈를 이용하여 팀별 퀴즈를 생성하여 팀 공유 게시판에 등록하여 학생 모두가 함께 퀴즈를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방법.
KR1020210091840A 2021-04-14 2021-07-13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645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1614A KR20240035424A (ko) 2021-04-14 2024-03-05 팀 기반의 학습 참여 유도가 가능한 학습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8779 2021-04-14
KR1020210048779 2021-04-1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614A Division KR20240035424A (ko) 2021-04-14 2024-03-05 팀 기반의 학습 참여 유도가 가능한 학습 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315A true KR20220142315A (ko) 2022-10-21
KR102645986B1 KR102645986B1 (ko) 2024-03-11

Family

ID=838054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840A KR102645986B1 (ko) 2021-04-14 2021-07-13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0240031614A KR20240035424A (ko) 2021-04-14 2024-03-05 팀 기반의 학습 참여 유도가 가능한 학습 지원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614A KR20240035424A (ko) 2021-04-14 2024-03-05 팀 기반의 학습 참여 유도가 가능한 학습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598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789A (ja) * 2000-02-16 2001-08-24 Shibatsuu:Kk 学習支援方法及び装置
KR20070087839A (ko) * 2005-12-28 2007-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KR100843173B1 (ko) * 2007-12-05 2008-07-02 (주)이앤스타 인터넷 서버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개설방법
KR20090110418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문제작성을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8045A (ko) * 2017-09-08 2019-03-18 주식회사 듀코젠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200034113A (ko) 2018-09-21 2020-03-31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Led 등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789A (ja) * 2000-02-16 2001-08-24 Shibatsuu:Kk 学習支援方法及び装置
KR20070087839A (ko) * 2005-12-28 2007-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e―Class 관리 시스템과 성적 평가방법
KR100843173B1 (ko) * 2007-12-05 2008-07-02 (주)이앤스타 인터넷 서버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개설방법
KR20090110418A (ko)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온비즈시스템 문제작성을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28045A (ko) * 2017-09-08 2019-03-18 주식회사 듀코젠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문항 저작 솔루션 제공 및 유통 서비스 플랫폼이 가능한 학습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200034113A (ko) 2018-09-21 2020-03-31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Led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986B1 (ko) 2024-03-11
KR20240035424A (ko)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pa Technology in the Teaching of Mathematics: An Analysis of Teachers' Attitud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lla et al. Emergency Remote Teaching During COVID19: The Role of Teachers' Online Community of Practice (CoP) in Times of Crisis.
Mustafa Analyzing education based on metaverse technology
Sharma et al. TPS (think-pair–share): An effectiv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for unleashing discussion in classroom interaction
Waite et al. The conversational classroom
Martins et al. Using Kahoot as a learning tool
Bakar et al. The effect of communication barriers on distance learners achievements
Chokshi et al. A “resident-as-teacher” curriculum using a flipped classroom approach: can a model designed for efficiency also be effective?
Husain et al. The Effectiveness of Advance Organiser Learning Model Assisted by Zoom Meeting Application.
Poçan et al. The effects of Mobile technology on learning performance and motiv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Bentley et al. Using guided inquiry and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to develop research confidence among first year anatomy students
Bhatia et al. Mapping mindset about gamification: Teaching learning perspective in UAE education system and Indian education system
Atun et al. Science KIT Teaching Aid for the Earthquake in Improving Students' Collaboration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in Junior High School.
Said Effective Behavior of EFL Teachers as Perceived by Undergraduate Students in Indonesia.
Morse Increase Engaged Student Learning Using Google Docs as a Discussion Platform.
Norin et al. Interactive methods of teaching at Russian engineering universities
Brancaccio-Taras et al. The science teaching fellows program: a model for online faculty development of early career scientists interested in teaching
Lehtimäki et al. Bebras-inspired computational thinking primary school resources co-created by computer science academics and teachers
Ahmed et al. Attitude towards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courses of MOOCs
Ashari et al.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hrough play module on the understanding of number concept among preschool children
Hansen-Thomas et al. Teacher development: De facto teacher leader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Lesniak et al. Social relationships: Learner perceptions of interactions in distance learning
KR20220142315A (ko) 팀 기반 학습 강의용 학습 지원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Banihani The effect of using blended learning in teaching English on direct and deferred achieve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Langworthy Influence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with disab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