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255A -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 Google Patents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255A
KR20220142255A KR1020210048742A KR20210048742A KR20220142255A KR 20220142255 A KR20220142255 A KR 20220142255A KR 1020210048742 A KR1020210048742 A KR 1020210048742A KR 20210048742 A KR20210048742 A KR 20210048742A KR 20220142255 A KR20220142255 A KR 20220142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rist
connection
support part
pa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646B1 (ko
Inventor
지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원메딕스
Priority to KR1020210048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6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4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66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wrists, hands, fingers or thu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는, 일측에 관통공(114a)이 구비된 손가락지지부(114)와, 일측에 타원 형태의 압입공(116c)이 구비된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와,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와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서로 맞닿는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포함하는 부목 본체(110);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관통공(114a)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20a)이 구비되고, 상기 부목 본체(110)에 구비된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손바닥 및 손목과 접촉하여 쿠션을 부여하는 쿠션부재(120);
일단부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상기 압입공(116c)내에서 압입핀(116b)에 의해 고정되고, 몸통부(132)에 수벨크로테이프(132a)가 구비된 제 1탈착밴드(130);
몸통부(142)의 일단부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2연결공(116e)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상기 몸통부(142)에 수벨크로테이프(142a)가 구비된 제 2탈착밴드(140);
몸통부(152)의 일단부가 제 3연결공(116f)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상기 몸통부(152)에 수벨크로테이프(152a)가 구비된 제 3탈착밴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Orthopedics splint assembly for wrist}
본 발명은 부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목은 아래팔과 손 사이의 여덟개의 뼈로 이루어진 관절로서, 양 팔와 손 사이에 위치하여 두 부분을 연결한다. 손목을 이루는 관절에는 손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많은 인대들과 손목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들이 분포하고 있고, 손목뼈 내부의 인대들은 손목뼈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손목관절에서 주로 골절되는 부분은 요골의 끝부분이며, 골절이 관절에 영향을 주면 부종이 생기고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손목은 손과 팔을 이어주는 매개체이며 상하좌우 운동이 가능하여 인간의 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체의 일부중 하나이며 특히, 이들 관절군은 손으로 잡고 하는 운동 또는 활동시에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과사용으로 인한 원인 등으로 상해가 발생될 수 있으며, 상해시는 완전한 치유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적지않고 지속적인 통증이 유발될 수도 있다.
한편, 병원의 정형외과에서 사용되는 부목(splint)은 통상 반기브스라고도 하며, 팔다리에 골절, 염좌 따위가 있을 때 아픈 팔다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대는 도구로서 통기브스인 석고붕대와 구별되고, 근래에는 합성 부목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고정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부목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굴곡진 손상부위의 모양을 쉽게 성형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하고 성형하기 위한 응고시간이나 작업시간이 적절해야 하며, 다루기 쉬워야 하고 경화 후에는 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계적 강도가 충분히 커야 한다.
도 1은 종래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에 사용되는 부목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부목 본체(10)는 손바닥과 손목을 덮기 위해 전체적으로 대략 반원 형태의 만곡진 형상으로서 일측에 엄지손가락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12)이 형성되며, 환자의 체형과 무관하게 단지 대, 중, 소로 구분되게 사출성형하여 고정 타입(fix type)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여러 다양한 체형의 환자 손목에 대응하여 손바닥과 손목에 밀착시켜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운동으로 인한 상해 및 손목관절의 과사용으로 인한 통증유발시 손목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부목 본체(10)가 환자의 체형에 맞지 않는 경우 부목 본체(10)를 의료진 또는 환자 가족이 양손으로 가압하여 환자의 손목에 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더불어 착용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목 본체(10)에 관통공(12)외에 별도의 통풍수단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부목 본체(10)의 사용 과정에서 오랜시간 착용시에 통기성 부족으로 냄새가 부목 본체(10) 부근에서 냄새가 나거나 짓무름, 가려움 등의 2차 감염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19508호(2007. 05. 1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2046762호(2019. 11. 2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다양한 체형(가령,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등)의 환자 손목에 대응하여 손바닥과 손목에 밀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용감이 개선되는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목 본체의 사용 과정에서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부목 본체 부근에서 통기성 부족에 의해 냄새가 나거나 짓무름, 가려움 등의 2차 감염을 유발시키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측에 환자의 엄지손가락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114a)이 구비되고, 이 관통공(114a)과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1연결공(114b)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14a)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2연결공(114c) 및 제 3연결공(114d)이 각각 1쌍 구비된 손가락지지부(114)와, 일측에 타원 형태의 압입공(116c)이 구비되고, 이 압입공과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1연결공(116d)이 구비되며, 상기 압입공(116c)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2연결공(116e) 및 제 3연결공(116f)이 각각 1쌍 구비된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와,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와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서로 맞닿는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생분해성 수지(PLA) 재질의 부목 본체(110);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관통공(11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환자의 엄지손가락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120a)이 구비되고, 표면에 걸쳐 암벨크로테이프(120b)가 구비되어 상기 부목 본체(110)에 구비된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손바닥 및 손목과 접촉하여 쿠션을 부여하는 쿠션부재(120);
일단부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상기 압입공(116c)내에서 압입핀(116b)에 의해 고정되고, 몸통부(132)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1연결공(116d)과,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1연결공(114b)을 차례로 관통하며, 상기 몸통부(132)의 타단부에는 수벨크로테이프(132a)가 구비된 제 1탈착밴드(130);
몸통부(142)의 일단부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2연결공(116e)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상기 몸통부(142)의 타단부는 상기 제 2연결공(114c)을 관통하며, 상기 몸통부(142)의 타단부 끝단에는 수벨크로테이프(142a)가 구비된 제 2탈착밴드(140);
몸통부(152)의 일단부가 상기 제 3연결공(116f)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상기 몸통부(152)의 타단부는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3연결공(114d)을 관통하며, 상기 몸통부(152)의 타단부 끝단에는 수벨크로테이프(152a)가 구비된 제 3탈착밴드(150)를 포함하는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목 본체(110)의 연결부(112)를 기준으로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112)와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2연결공(114c), 제 3연결공(114d) 사이에는 상기 부목 본체(110)의 무게 경감과 더불어 통기(通氣)성 향상을 위한 타원 형태의 통기공(114e)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12)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2연결공(116e), 제 3연결공(116f) 사이에는 통기공(116g)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부목 본체(110)가 중앙의 연결부(112)를 기준으로 일측의 손가락지지부(114)와 타측의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상하 소정의 각도 범위(30~45°)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여러 다양한 체형(가령,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등)의 환자 손목에 대응하여 손바닥과 손목에 밀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용감이 개선된다.
둘째, 부목 본체(110)의 연결부(112)와 제 2연결공(114c), 제 3연결공(114d) 사이에 무게 경감과 더불어 통기(通氣)성 향상을 위한 통기공(114e)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목 본체(110)의 사용 과정에서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통기성 부족에 의해 부목 본체(110) 부근에서 냄새가 나거나 짓무름, 가려움 등의 2차 감염을 유발시키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에 사용되는 부목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에 있어서의 부목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환자의 좌측 손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에 있어서의 부목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환자의 좌측 손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100)는 부목 본체(110), 쿠션부재(120), 그리고 다수의 탈착 밴드(130)(140)(15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부목 본체(110)는 소정의 두께로서, 그 재질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생분해성 수지(PLA;PolyLactic Acid)를 사출기에서 약 190~210℃ 온도 조건하에서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여 제조한다.
생분해성 수지(polylactic acid,PLA)는 생분해성 원료중 하나이며, 옥수수 및 감자의 전분등 100% 재생가능한 자원으로부터 얻어진 단량체를 이용하여 합성된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이다.
이러한 생분해성 수지는 모두 땅속에 묻거나 바다속에 버려두면 세균이나 조류, 곰팡이와 같은 자연에서 살고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며, 저분자 화합물이 되었다가 최종적으로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백년간 썩지 않아 자연환경을 훼손하는 합성수지 플라스틱에 비하여 생분해성이 우수하여 생태계 독성을 유발하기 않아서 자원순환체계와 인간과 환경보호 보존에 가장 바람직한 수지이며, 원료에서 제품의 생산,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친환경을 실현하는 제품으로 매립시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퇴비화되며, 소각시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 발생을 하지 않는 친환경 제품이다.
이와 같은 부목 본체(110)는 중앙의 연결부(112)를 기준으로 일측의 손가락지지부(114)와, 타측의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상하 소정의 각도 범위로 회동된다. 즉, 손가락지지부(114)와,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서로 맞닿는 부위는 직선 형태의 연결부(112)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서 손가락지지부(114)와,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는 연결부(112)를 기준으로 일정 각도(상방향으로 약 45°, 하방향으로 약 30°) 범위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손가락지지부(114)의 일측에는 환자의 엄지손가락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114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과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후술하는 제 1탈착밴드(130)의 몸통부(132)가 관통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제 1연결공(114b)이 형성되며, 관통공(114a)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손가락지지부(1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제 2탈착밴드(140) 및 제 3탈착밴드(150)의 몸통부(142)(152)가 관통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제 2연결공(114c) 및 제 3연결공(114d)이 좌우 각각 1쌍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12)와 제 2연결공(114c), 제 3연결공(114d) 사이에는 부목 본체(110)의 무게 경감과 더불어 통기(通氣)성 향상을 위한 타원 형태의 통기공(114e)이 등간격으로 다수개(본 발명에서는 3개) 형성된다.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은 후술하는 쿠션부재(120)를 매개로 환자의 손바닥 및 손목에 밀착되어 손바닥과 손목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일측에는 제 1탈착밴드(130)의 일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압입핀(116b)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타원 형태의 압입공(116c)이 형성되고, 이 압입공과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제 1탈착밴드(130)의 몸통부(132)가 관통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제 1연결공(116d)이 형성되며, 압입공(116c)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탈착밴드(140) 및 제 3탈착밴드(150)의 몸통부(142)(152)가 관통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제 2연결공(116e) 및 제 3연결공(116f)이 좌우 각각 1쌍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112)와 제 2연결공(116e), 제 3연결공(116f) 사이에는 통기공(116g)이 등간격으로 다수개(본 발명에서는 3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쿠션부재(120)는 일측에서 보아 대략 'C'자 단면 형태로서, 소정 두께의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며, 환자의 손바닥과 손목에 직접 접촉하여 쿠션을 부여한다.
이러한 쿠션부재(120)는 일측에 상기한 관통공(11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환자의 엄지손가락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120a)이 형성되고, 표면에 걸쳐 암벨크로테이프(120b)가 구비되어 있어서, 부목 본체(110)의 밑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 고정 부착된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탈착밴드(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압입공(116c)내에서 압입핀(116b)에 의해 고정되고, 몸통부(132)가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1연결공(116d)과,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1연결공(114b)을 차례로 관통하며, 몸통부(132)의 타단부에는 수벨크로테이프(132a)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탈착밴드(130)의 몸통부(132)가 환자의 손바닥과 손목을 감싼 상태에서 몸통부(132)의 타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하여 젖혀지면서 수벨크로테이프(132a)가 몸통부(132)의 표면에 구비된 암벨크로테이프(미도시, 도 4의 120b 참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탈착밴드(140)는 몸통부(142)의 일단부가 1쌍의 제 2연결공(116e)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몸통부(142)의 타단부는 1쌍의 제 2연결공(114c)을 관통하며, 이때, 몸통부(142)의 타단부 끝단에는 수벨크로테이프(142a)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탈착밴드(140)의 몸통부(142)가 환자의 손바닥과 손목을 감싼 상태에서 몸통부(142)의 타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하여 젖혀지면서 수벨크로테이프(142a)가 몸통부(142)의 표면에 구비된 암벨크로테이프(미도시, 도 4의 120b 참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3탈착밴드(150)는 몸통부(152)의 일단부가 1쌍의 제 3연결공(116f)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몸통부(152)의 타단부는 1쌍의 제 3연결공(114d)을 관통하며, 이때, 몸통부(152)의 타단부 끝단에는 수벨크로테이프(152a)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3탈착밴드(150)의 몸통부(152)가 환자의 손바닥과 손목, 그리고 팔목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몸통부(152)의 타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하여 젖혀지면서 수벨크로테이프(152a)가 몸통부(152)의 표면에 구비된 암벨크로테이프(미도시, 도 4의 120b 참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 중 미설명 부호 114g는 제 1탈착밴드(130)의 몸통부(132)가 압입핀(114f)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압입공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100)가 환자의 좌측 손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엄지손가락은 쿠션부재(120)의 관통공(120a)과, 부목 본체(110)의 관통공(114a)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쿠션부재(120)와 이에 연결된 부목 본체(110)는 환자의 좌측 손바닥과 손목에 걸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있다.
즉, 제 1탈착밴드(130)의 몸통부(132)는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1연결공(116d)과,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1연결공(114b)을 차례로 관통하여 환자의 손바닥과 손목을 감싼 상태에서 그 타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하여 젖혀지면서 수벨크로테이프(132a)가 몸통부(132)의 표면에 구비된 암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된다.
또한, 제 2탈착밴드(140)의 몸통부(142)는 환자의 손바닥과 손목을 감싼 상태에서 그 타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하여 젖혀지면서 수벨크로테이프(142a)가 몸통부(142)의 표면에 구비된 암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된다.
또한, 제 3탈착밴드(150)의 몸통부(152)는 환자의 손목과 팔목의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그 타단부가 연결고리(116a)를 관통하여 젖혀지면서 수벨크로테이프(152a)가 몸통부(152)의 표면에 구비된 암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부목 본체(110)가 중앙의 연결부(112)를 기준으로 일측의 손가락지지부(114)와 타측의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상하 소정의 각도 범위(30~45°)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여러 다양한 체형(가령,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등)의 환자 손목에 대응하여 환자의 손바닥과 손목에 밀착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착용감이 개선된다.
또한, 부목 본체(110)의 연결부(112)와 제 2연결공(114c), 제 3연결공(114d) 사이에 무게 경감과 더불어 통기(通氣)성 향상을 위한 통기공(114e)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목 본체(110)의 사용 과정에서 오랜시간 착용하더라도 부목 본체(110) 부근에서 냄새가 나거나 짓무름, 가려움 등의 2차 감염을 유발시키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부목 본체 112 : 연결부
114 : 손가락지지부 116 :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
118 : 수벨크로테이프 120 : 쿠션부재
130 : 제 1탈착밴드 132,142,152 : 몸통부
140 : 제 1탈착밴드 150 : 제 3탈착밴드

Claims (2)

  1. 일측에 환자의 엄지손가락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114a)이 구비되고, 이 관통공(114a)과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1연결공(114b)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14a)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2연결공(114c) 및 제 3연결공(114d)이 각각 1쌍 구비된 손가락지지부(114)와, 일측에 타원 형태의 압입공(116c)이 구비되고, 이 압입공과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1연결공(116d)이 구비되며, 상기 압입공(116c)과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사각 형태의 제 2연결공(116e) 및 제 3연결공(116f)이 각각 1쌍 구비된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와,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와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서로 맞닿는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112)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생분해성 수지(PLA) 재질의 부목 본체(110);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관통공(11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환자의 엄지손가락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공(120a)이 구비되고, 표면에 걸쳐 암벨크로테이프(120b)가 구비되어 상기 부목 본체(110)에 구비된 수벨크로테이프(118)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환자의 손바닥 및 손목과 접촉하여 쿠션을 부여하는 쿠션부재(120);
    일단부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상기 압입공(116c)내에서 압입핀(116b)에 의해 고정되고, 몸통부(132)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1연결공(116d)과,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1연결공(114b)을 차례로 관통하며, 상기 몸통부(132)의 타단부에는 수벨크로테이프(132a)가 구비된 제 1탈착밴드(130);
    몸통부(142)의 일단부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2연결공(116e)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상기 몸통부(142)의 타단부는 상기 제 2연결공(114c)을 관통하며, 상기 몸통부(142)의 타단부 끝단에는 수벨크로테이프(142a)가 구비된 제 2탈착밴드(140);
    몸통부(152)의 일단부가 상기 제 3연결공(116f)과 연결고리(116a)를 관통한 후 고리 형태로 재봉처리되고, 상기 몸통부(152)의 타단부는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3연결공(114d)을 관통하며, 상기 몸통부(152)의 타단부 끝단에는 수벨크로테이프(152a)가 구비된 제 3탈착밴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목 본체(110)의 연결부(112)를 기준으로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연결부(112)와 상기 손가락지지부(114)의 제 2연결공(114c), 제 3연결공(114d) 사이에는 상기 부목 본체(110)의 무게 경감과 더불어 통기(通氣)성 향상을 위한 타원 형태의 통기공(114e)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12)와 상기 손바닥 및 손목지지부(116)의 제 2연결공(116e), 제 3연결공(116f) 사이에는 통기공(116g)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KR1020210048742A 2021-04-14 2021-04-14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KR10253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42A KR102535646B1 (ko) 2021-04-14 2021-04-14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742A KR102535646B1 (ko) 2021-04-14 2021-04-14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255A true KR20220142255A (ko) 2022-10-21
KR102535646B1 KR102535646B1 (ko) 2023-05-26

Family

ID=8380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742A KR102535646B1 (ko) 2021-04-14 2021-04-14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6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508B1 (ko) 2006-01-09 2007-05-17 류실근 손목고정보호대
JP2009513262A (ja) * 2005-10-27 2009-04-02 ディージェイオー,エルエルシー 骨折ブレイス
KR101916033B1 (ko) * 2018-02-06 2018-11-07 윤홍섭 환자용 부목
KR102046762B1 (ko) 2019-04-25 2019-11-20 정은희 생분해성 수지(Poly Lactic Acid)를 이용한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3262A (ja) * 2005-10-27 2009-04-02 ディージェイオー,エルエルシー 骨折ブレイス
KR100719508B1 (ko) 2006-01-09 2007-05-17 류실근 손목고정보호대
KR101916033B1 (ko) * 2018-02-06 2018-11-07 윤홍섭 환자용 부목
KR102046762B1 (ko) 2019-04-25 2019-11-20 정은희 생분해성 수지(Poly Lactic Acid)를 이용한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646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8396B2 (en) 3D printed splint and cast
US5584799A (en) Splint/therapeutic device
US5295948A (en) Splint/therapeutic device
US5921945A (en) Splint/therapeutic device
US20050080369A1 (en) Splint combined use cast absence for bone fracture fixing
US20100036300A1 (en) Orthopaedic Devices
US7169121B2 (en) Elastic dynamic immobilizer for fingers or toes
US8209771B1 (en) Protective pad with inter-digit separators
WO2014057285A1 (en) Equine limb compression garment
US20070225629A1 (en) Orthopedic brace
US20100004576A1 (en) Finger Splint Device for Preventing Contractures and the Lik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535646B1 (ko) 정형외과 손목용 부목 조립체
KR102046762B1 (ko) 생분해성 수지(Poly Lactic Acid)를 이용한 정형외과용 부목 조립체
US20130237893A1 (en) Infant and Child Upper Extremity And Thoracic Stability Brace
KR101874356B1 (ko)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US20140257157A1 (en) Casting apparatus
US20140083437A1 (en) Arm board device
Lopez et al. Splint modification for flexor tendon repairs
RU276248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пациентов с повреждением лучевого нерва
KR101912301B1 (ko) 엄지 고정 스플린트
US20230293332A1 (en) Waterproof customizable appendage splinting kit
US20230363933A1 (en) Wrist brace
GB2612595A (en) A splint
RU2274431C2 (ru) Тутор
JPS6111039A (ja) 副子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