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356B1 -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 Google Patents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356B1
KR101874356B1 KR1020160038926A KR20160038926A KR101874356B1 KR 101874356 B1 KR101874356 B1 KR 101874356B1 KR 1020160038926 A KR1020160038926 A KR 1020160038926A KR 20160038926 A KR20160038926 A KR 20160038926A KR 101874356 B1 KR101874356 B1 KR 101874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plint
shape
pal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204A (ko
Inventor
손동진
Original Assignee
(주)케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어테크 filed Critical (주)케어테크
Priority to KR1020160038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35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66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wrists, hands, fingers or thu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wrist support ; Compression devices for tennis elbow (epicondy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래팔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아래팔거치부와, 상기 아래팔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손바닥거치부와, 상기 손바닥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 및 손등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보강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부위 내측에 홀을 형성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Patient Specific Wrist Splint}
본 발명은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래팔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아래팔거치부와, 상기 아래팔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손바닥거치부와, 상기 손바닥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 및 손등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보강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부위 내측에 홀을 형성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것이다.
뼈(Bone), 관절(Joint), 근육(Muscle), 힘줄(Tendon), 인대(Ligament), 연골(Cartilage), 신경(Nerve) 등으로 이루어진 근골격계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과도한 사용, 잘못된 자세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각종 질환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근골격계의 질환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정형외과용 의료품이 캐스트(Cast)와 스플린트(Splint)이다.
캐스트는, 골절, 인대파열, 탈구, 심한 피부 염증 등으로 일정기간 환부를 고정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수화성 석고 붕대, 또는 이와 유사기능을 가진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을 한다.
반면에 스플린트는, 염좌, 탈구, 골절 등이 발생한 환자의 환부 주위에 부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스플린트의 외주를 별도의 붕대 등을 사용하여 감아 환부를 고정하게 된다.
소위 통 깁스를 할 때 사용되는 것이 캐스트이고, 반 깁스를 할 때 사용되는 것이 스플린트라 하겠으며, 이 가운데 본원발명은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6563호(2001.03.05)에 개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종래의 스플린트는 수경화성 수지로 만들어져, 물을 적시기 전의 스플린트를 환자의 환부 근처에 대어 대략적인 재단을 한 뒤, 재단된 스플린트를 물에 담갔다 빼 물에 젖은 스플린트를 환자에 환부에 붙여 굳게 하며, 스플린트 위에 별도의 붕대를 감아 이를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플린트(91)를 시술하는 과정은 환자의 환부가 심하게 젖거나 부산물이 피부에 들러붙어 그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시술하는 과정이 번잡하다 보니 지속적으로 환자의 환부를 자극하는 빈도가 높아지며, 시술된 스플린트(91)가 완전히 굳기 전에 환자의 외측형상과 상보적인 내측형상을 만들기 위해 스플린트(91)를 문지르면서 몰딩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이러한 몰딩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시술의의 능력에 따라 시술결과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압박강도가 너무 강해 환자에게 혈액순환장애 등의 문제를 유발하기도 하고, 다른 경우에는 압박강도가 너무 약해 스플린트(91)가 환자의 환부를 적절하게 지지하지 못하고 흘러내리는 문제를 낳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스플린트(91)로 압박되어 밀폐된 환자의 환부는 오랜 기간 동안 씻지도 못하여 세균 번식에 의한 각종 피부질환의 위험에 노출되며, 이로 인해 환자는 극심한 가려움증을 호소하게 되고, 땀 및 각종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스플린트(91)로부터 심한 악취까지 동반돼, 환자 개인은 물론이고 주위 사람들에게까지 불쾌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스플린트(91)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환자의 환부를 스캐닝을 해 3D 프린팅 기술 등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작하고, 그 외주면에 고정수단을 두어, 환자의 환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스플린트의 고정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며, 통풍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식의 스플린트에 관한 기술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팔 및 손과 상보적인 형상의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를 구성하여, 사전 계획에 따라 정확한 위치상에 환자의 환부가 거치되는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환자의 환부가 심하게 젖거나 부산물이 피부에 들러붙어 그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시술하는 과정이 번잡하다 보니 지속적으로 환자의 환부를 자극하는 빈도가 높아지며, 시술된 스플린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환자의 외측형상과 상보적인 내측형상을 만들기 위해 스플린트를 문지르면서 몰딩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구성하여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높임으로써, 스플린트를 착용한 환자의 환부가 세균 번식에 의한 각종 피부질환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과, 환자의 극심한 가려움증 및 땀 등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팔 및 손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바디부를 구성하여, 개개 환자의 체형, 신체적 특징에 알맞은 스플린트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이격공간을 만들어 스플린트의 고정력을 약화시키거나, 잘못된 돌출공간을 만들어 스플린트를 착용한 환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주는 등 스플린트가 환자에게 제대로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외측면상에 돌출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여, 바디부 상에 관통홀을 형성할 경우 스플린트의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켜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부를 띠 형태로 구성하여 띠 형태의 보강부 사이사이에 관통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플린트의 휨 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외측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보강부를 이격 형성하여 보강부 사이사이에 관통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플린트의 휨 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웃하는 보강부를 연결하여 격자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휨 모멘트가 가해져도 스플린트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바디부 상의 지점에 관통홀을 구성하여,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플린트의 휨 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의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부위 내측에 홀을 형성한 고정부를 구성하여, 고정부의 홀을 통해 압박수단이 삽입되어 감기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스플린트의 고정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래팔거치부의 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와, 아래팔거치부의 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고정부의 홀을 통한 압박수단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엄지근육이 손바닥거치부 내측에 수용되지 않도록 손바닥거치부의 전측부분이 깎여 들어간 함입부를 포함하여, 신체의 엄지 하측 손바닥 부분에 넓은 면적에 걸쳐 엄지의 운동을 관장하는 엄지근육이, 환부를 보호하기 위해 딱딱한 재질로 구성된 손목 스플린트로 덮여, 이를 착용한 환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단이 훅 형상을 가져 환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성하여, 고정부를 통해 별도의 압박수단이 착용되기 전이라도,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가 시술전 사전에 계획했던 적절한 위치상에 용이하게 위치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손의 외주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된 단일폐곡선 형상의 파지부를 구성하여, 고정부를 통해 별도의 압박수단이 착용되기 전이라도, 환자가 단일폐곡선 형상으로 구성된 스플린트의 파지부 내측으로 손가락을 끼워넣는 것만으로 좀 더 확실하게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가 위치설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디부는 연질재료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부는 경질재료로 구성하여, 스플린트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환자의 팔과 손의 손상을 방지하고 스플린트를 착용한 환자의 착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자의 팔 및 손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아래팔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아래팔거치부와, 상기 아래팔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손바닥거치부와, 상기 손바닥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 및 손등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플린트는, 바디부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보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는,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는, 바디부의 외측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는, 바디부의 외측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는, 이웃하는 보강부를 연결하여 격자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플린트는, 보강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바디부 상의 지점에 상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스플린트는, 바디부의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부위 내측에 홀을 형성한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부는, 아래팔거치부의 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와 아래팔거치부의 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가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손바닥거치부는, 엄지근육이 손바닥거치부 내측에 수용되지 않도록 손바닥거치부의 전측부분이 깎여 들어간 함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파지부는, 엄지와 검지 사이를 파지하는 훅 형상의 일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파지부는, 훅 형상의 일단을 손의 외주를 완전히 감싸도록 연장형성하여, 단일폐곡선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는, 연질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경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의 팔 및 손과 상보적인 형상의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를 구성하여, 사전 계획에 따라 정확한 위치상에 환자의 환부가 거치되는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환자의 환부가 심하게 젖거나 부산물이 피부에 들러붙어 그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시술하는 과정이 번잡하다 보니 지속적으로 환자의 환부를 자극하는 빈도가 높아지며, 시술된 스플린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환자의 외측형상과 상보적인 내측형상을 만들기 위해 스플린트를 문지르면서 몰딩하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강한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을 구성하여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높임으로써, 스플린트를 착용한 환자의 환부가 세균 번식에 의한 각종 피부질환의 위험에 노출되는 것과, 환자의 극심한 가려움증 및 땀 등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환자의 팔 및 손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바디부를 구성하여, 개개 환자의 체형, 신체적 특징에 알맞은 스플린트를 제공함으로써, 불필요한 이격공간을 만들어 스플린트의 고정력을 약화시키거나, 잘못된 돌출공간을 만들어 스플린트를 착용한 환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주는 등 스플린트가 환자에게 제대로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외측면상에 돌출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여, 바디부 상에 관통홀을 형성할 경우 스플린트의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단면의 두께를 증가시켜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강부를 띠 형태로 구성하여 띠 형태의 보강부 사이사이에 관통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플린트의 휨 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외측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보강부를 이격 형성하여 보강부 사이사이에 관통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플린트의 휨 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이웃하는 보강부를 연결하여 격자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휨 모멘트가 가해져도 스플린트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강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바디부 상의 지점에 관통홀을 구성하여, 스플린트의 통풍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스플린트의 휨 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의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돌출형성되고, 돌출된 부위 내측에 홀을 형성한 고정부를 구성하여, 고정부의 홀을 통해 압박수단이 삽입되어 감기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환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스플린트의 고정력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팔거치부의 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와, 아래팔거치부의 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하여, 고정부의 홀을 통한 압박수단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엄지근육이 손바닥거치부 내측에 수용되지 않도록 손바닥거치부의 전측부분이 깎여 들어간 함입부를 포함하여, 신체의 엄지 하측 손바닥 부분에 넓은 면적에 걸쳐 엄지의 운동을 관장하는 엄지근육이, 환부를 보호하기 위해 딱딱한 재질로 구성된 손목 스플린트로 덮여, 이를 착용한 환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단이 훅 형상을 가져 환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구성하여, 고정부를 통해 별도의 압박수단이 착용되기 전이라도,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가 시술전 사전에 계획했던 적절한 위치상에 용이하게 위치설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손의 외주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된 단일폐곡선 형상의 파지부를 구성하여, 고정부를 통해 별도의 압박수단이 착용되기 전이라도, 환자가 단일폐곡선 형상으로 구성된 스플린트의 파지부 내측으로 손가락을 끼워넣는 것만으로 좀 더 확실하게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가 위치설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바디부는 연질재료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부는 경질재료로 구성하여, 스플린트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환자의 팔과 손의 손상을 방지하고 스플린트를 착용한 환자의 착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스플린트의 시술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바디부를 구분 분해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아래팔거치부에 관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손목거치부에 관한 도면.
도 6은 도 3의 파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관통홀 및 보강부에 관한 도면.
도 9는 보강부에 관한 개념도.
도 10은 도 2의 고정부에 관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명세서에서는, 신체 중심 쪽을 근위부, 신체의 중심으로부터 먼 쪽을 원위부라하며, 신체 중심방향을 근위방향, 신체 중심으로부터 먼 방향을 원위방향이라 하고,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서 엄지가 위치하는 쪽을 전측, 소지가 위치하는 쪽을 후측이라 정한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에 관한 도면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원발명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1)는, 바디부(10), 관통홀(30), 보강부(50), 고정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0)는, 환자의 팔 및 손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도 3은 도 2의 바디부를 구분 분해한 도면이며, 도 3을 참고할 때, 상기 바디부(10)는, 아래팔거치부(11), 손바닥거치부(13), 파지부(15)를 포함한다.
상기 아래팔거치부(11)는, 아래팔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U형의 외주형상을 가지면서 근위부에서 원위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4 참고). 시술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1)를 제작하기 전에 환자의 아래팔 외주형상을 스캐닝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3차원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를 3D 프린터 등을 이용해 구현되도록 한다. 상기 아래팔거치부(11)의 외측면에는 환자의 이름이나, 스플린트(1) 제작일 등이 새겨져, 스플린트(1)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바닥거치부(13)는, 아래팔거치부(11)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손바닥거치부(13)와 아래팔거치부(11)의 경계는 환자의 손목에서 형성되는바, 상기 손바닥거치부(13)는 환자의 손목에서부터 형성되어 원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봄이 바람직하다. 이때 손목을 중심으로 상기 아래팔거치부(11)와 상기 손바닥거치부(13)가 각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각은 환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환자의 손을 떠받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각은 환자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손목거치부에 관한 도면으로, 도 5의 (a)는 전측면도, 도 5의 (b)는 후측면도, 도 5의 (c)는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내용에 의하면 상기 손바닥거치부(13)는, 상기 스플린트(1)가 환자의 환부 외표면의 정확한 위치상에 안착되도록 내측형상이 환자의 손바닥 외측형상과 상보적이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1)를 제작하기 전에 환자의 손바닥 외측형상을 스캐닝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3차원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를 3D 프린터 등을 이용해 구현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손바닥거치부(13)는 함입부(131)를 포함한다(도 5의 (a) 및 (c) 참고).
상기 함입부(131)는, 엄지근육이 손바닥거치부(13) 내측에 수용되지 않도록 손바닥거치부(13)의 전측부분이 깎여 들어간 부분을 가리킨다. 신체의 엄지 하측 손바닥 부분에는 넓은 면적에 걸쳐 엄지의 운동을 관장하는 근육이 존재하는데, 만일 상기 엄지근육이 환부를 보호하기 위해 딱딱한 재질로 구성된 손목 스플린트(1)로 덮이게 되면, 자연스러운 엄지 운동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바, 상기 손바닥거치부(13)의 전측부분을 함입형성하여, 엄지근육이 손바닥거치부(13)의 내측에 수용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손목 스플린트(1)를 착용한 환자의 불편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손바닥거치부(13)의 후측단은 상기 아래팔거치부(11)와 유사하게 후측단으로 갈수록 곡률이 커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손바닥거치부(13) 내측에 포함되는 환자의 손날을 적절하게 파지함으로써 환자의 손이 상기 스플린트(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반면에 상기 손바닥거치부(13)의 전측단은 상기 함입부(131)가 형성되면서 대략 환자의 손바닥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바, 스플린트(1)를 착용한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측단으로 갈수록 곡률이 커지도록 구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부(15)는, 상기 손바닥거치부(13)의 원위부 일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과 손등을 감싸는 띠 형상의 구성으로, 손바닥 및 손등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진다. 상기 파지부(15)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1)를 제작하기 전에 환자의 손바닥과 손등의 외측형상을 스캐닝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3차원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를 3D 프린터 등을 이용해 구현되도록 한다. 도 6은 도 3의 파지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지부(15)는, 일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상기 자유단이 훅(Hook)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훅 형상의 일단은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엄지와 검지 사이를 파지하게 된다. 이로써 후술할 고정부(17)를 통해 별도의 압박수단(P)이 착용되기 전이라도,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1)가 시술 전 사전에 계획했던 적절한 위치상에 용이하게 위치설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지부(15)는, 일단을 자유단으로 구성하여 훅 형상으로 하는 것 대신에, 상기 일단을 환자의 손의 외주를 완전히 감싸도록 연장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단일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파지부(15)를 단일폐곡선 형상으로 구성할 경우 후술할 고정부(17)를 통해 별도의 압박수단(P)이 착용되기 전이라도, 환자가 단일폐곡선 형상으로 구성된 스플린트(1)의 파지부(15) 내측으로 손가락을 끼워넣는 것만으로 좀 더 확실하게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1)를 위치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 파지부(15)가 단일폐곡선 형상을 가지게 될 경우, 환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가 상기 단일폐곡선 내측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30)은, 상기 바디부(10) 상에 바디부(10)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그 형태에 관하여 이를 특정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좁고 기다란 구멍인 슬릿(Slit)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스플린트(1) 상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다양한 위치에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 도 10 내지 도 11은 상기 관통홀(30)이 후술할 보강부(50) 사이에서 보강부(50)가 형성된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30)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된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는 상기 관통홀(30)이 보강부(50)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불규칙한 배열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내용을 참고하면, 임의의 보강부(50)를 중심으로 이웃하는 관통홀(30) 간을 엇갈려 구성함으로써, 스플린트(1)의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는 등, 상기 관통홀(3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면서 스플린트(1)의 통풍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보강부(50)는, 바디부(1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바디부(10) 상에 바디부(10)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0)을 형성할 경우, 바디부(10) 자체의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50)는 상기 관통홀(3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도 8,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30) 사이 바디부(10)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즉, 이웃하는 보강부(50) 사이에 상기 관통홀(30)이 구성됨).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부(50)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스플린트(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보강부에 관한 개념도로, 상기 바디부(10)의 두께를 h1이라고 가정했을 때, 상기 h1의 값은 환자가 스플린트(1)를 착용할 때 스플린트(1) 자체의 무게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최소한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h1의 값이 작아지면 스플린트(1)의 강성이 떨어지게 되고, 상기 관통홀(30)이 스플린트(1)의 바디부(10)에 포함되면 그 강성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바, 본 발명은 스플린트(1)의 강도 확보차원에서 h2의 두께를 가지는 보강부를 추가로 포함하면서 상기 h2의 값은 h1의 값보다 크도록 구성하게 된다.
도 8, 도 10 내지 도 11은 상기 보강부(50)를 바디부(10)의 길이방향으로 근위부에서 원위부를 잇는 복수 개의 보강부(50)가 소정의 간격에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고, 도 12는 바디부(10)의 폭방향으로 전측부에서 후측부를 잇는 복수 개의 보강부(50)가 소정의 간격에 따라 이격되도록 형성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보강부(50)의 간격과 관련하여, 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12 참고).
또한 도 8,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예에 따라 보강부(50) 상호간의 연결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연결이 발생한 실시예를 제외하는 것은 아닌바, 도 13을 참고하면, 보강부(50) 간의 연결을 허용하여 격자 형태 등으로 상기 보강부(5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관통홀(30)과 보강부(50)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70)는, 바디부(10)의 전측단 또는 후측단에 돌출형성되는 구성으로, 고정부(70)의 내측에는 홀(71)이 형성된다. 도 10은 도 2의 고정부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홀(71)을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압박수단(P)의 단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압박수단(P)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14의 (a) 참고). 도 10에 도시된 내용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70)가 아래팔거치부(11)의 전측단과 후측단에 각각 2개씩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개념은 아니며, 바디부(10)의 전측단 또는 후측단의 다양한 위치에 임의의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아래팔거치부(11)가 U형의 외주형상을 이루고,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수단(P)을 삽입하여 본원발명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1)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팔거치부(11)의 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70)와 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70)는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10)는 연질재료로, 상기 보강부(50)는 경질재료로서 소재의 강도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9 참고). 이를 위해 상기 바디부(10)와 보강부(50)를 소재의 강도가 서로 다른 이종의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겠으나, 일종의 재료라도 스플린트(1)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디부(10)는 소프트(Soft)하게, 상기 보강부(50)는 하드(Hard)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원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염좌, 골절 등을 입은 환자의 손(H)을 스캐닝하여 환자 데이터를 획득하고, 3D 프린터 등을 사용하여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1)를 구성한 뒤, 제작된 상기 환자 맞춤형 스플린트(1)를 환자의 손에 위치설정시킨다. 이 후, 상기 고정부(70)의 홀(71)(도 10 참고)을 통해 압박수단(P)을 삽입하여 스플린트의 외주를 따라 압박수단(P)이 감기도록 함으로써, 본원발명인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1)를 통해 환자에게 반 깁스를 시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손목스플린트 10: 바디부
11: 아래팔거치부 13: 손바닥거치부
15: 파지부 30: 관통홀
50: 보강부 70: 고정부
71: 홀

Claims (12)

  1. 3D 프린팅에 의해 제작되며, 환자의 팔 및 손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에 바디부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아래팔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아래팔거치부와, 상기 아래팔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손바닥거치부와, 상기 손바닥거치부의 원위단에 연장형성되어 손바닥 및 손등의 외주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는 파지부와, 내측에 홀을 형성하며 측단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바디부의 외측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이웃하는 보강부를 연결하여 격자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린트는, 보강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바디부 상의 지점에 상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아래팔거치부의 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와 아래팔거치부의 후측단에 형성된 고정부가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거치부는, 엄지근육이 손바닥거치부 내측에 수용되지 않도록 손바닥거치부의 전측부분이 깎여 들어간 함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엄지와 검지 사이를 파지하는 훅 형상의 일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훅 형상의 일단을 손의 외주를 완전히 감싸도록 연장형성하여, 단일폐곡선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12.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연질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경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KR1020160038926A 2016-03-31 2016-03-31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KR101874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26A KR101874356B1 (ko) 2016-03-31 2016-03-31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926A KR101874356B1 (ko) 2016-03-31 2016-03-31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04A KR20170112204A (ko) 2017-10-12
KR101874356B1 true KR101874356B1 (ko) 2018-07-05

Family

ID=6014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926A KR101874356B1 (ko) 2016-03-31 2016-03-31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404B1 (ko) 2017-11-03 2020-01-15 김종훈 통기공이 형성된 실리콘 부목
KR102127956B1 (ko) * 2018-01-23 2020-06-29 (주)파트론 신체 정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4438B2 (ja) 2003-03-05 2009-08-19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個別成型可能手首用添え木
JP4439018B2 (ja) * 1995-12-20 2010-03-24 クリンソフィックス アーゲー 医療用副木
JP5615849B2 (ja) * 2009-02-24 2014-10-29 エクソス エルエルシー カスタム適合される製品用の複合材料
US20160008160A1 (en) * 2014-04-11 2016-01-14 Leah Rotter Thermoformable laminate for orthopedic spli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9018B2 (ja) * 1995-12-20 2010-03-24 クリンソフィックス アーゲー 医療用副木
JP4314438B2 (ja) 2003-03-05 2009-08-19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個別成型可能手首用添え木
JP5615849B2 (ja) * 2009-02-24 2014-10-29 エクソス エルエルシー カスタム適合される製品用の複合材料
US20160008160A1 (en) * 2014-04-11 2016-01-14 Leah Rotter Thermoformable laminate for orthopedic spl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20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925B1 (en) Finger splint
US6146347A (en) Appliance and method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KR100446556B1 (ko) 골절고정을 위한 부목겸용 깁스부재
US9901506B2 (en) Ear insert for relief of TMJ discomfort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4111194A (en) Posterior knee immobilizing brace
US6383157B1 (en) Wrist-band for the 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the carpal tunnel syndrome and its positioning operating mode
EP3638161A1 (en) A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for use in treating a bone fracture
KR101874356B1 (ko)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US20070225629A1 (en) Orthopedic brace
US20170258623A1 (en) Pre-Fabricated, Yet Highly Customizable Immobilization Device
JP5808877B1 (ja) 踵足首サポーター
US4300543A (en) Protective cast device
US20040143205A1 (en) Wrist brace with metacarpal phalangeal block
US20160051391A1 (en) Cervical splint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210282958A1 (en) Finger splint for pip immobilization
KR101833308B1 (ko) 환자 맞춤형 손목 스플린트
KR101912301B1 (ko) 엄지 고정 스플린트
US20140330183A1 (en) Orthopedic Cast and Method to Manufacture Same
US20230363933A1 (en) Wrist brace
US11857447B1 (en) Brace for reducing and stabilizing fracture in human hand
US20060129079A1 (en) Therapeutic device
EP2015715B1 (en) Support device
Talmon et al. Self-made tooth guard using Turbocast™
KR200292859Y1 (ko) 손가락 환부용 교정장치
RU2204344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ывиха акромиального конца ключиц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