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455A -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455A
KR20220141455A KR1020210047606A KR20210047606A KR20220141455A KR 20220141455 A KR20220141455 A KR 20220141455A KR 1020210047606 A KR1020210047606 A KR 1020210047606A KR 20210047606 A KR20210047606 A KR 20210047606A KR 20220141455 A KR20220141455 A KR 2022014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shaped friction
groove
friction memb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현
김보건
Original Assignee
임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현 filed Critical 임지현
Priority to KR1020210047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455A/ko
Publication of KR2022014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수단의 표면마찰저항을 높여 엉덩이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착석감을 유지하면서도 미끄럼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착석부에 미끄럼방지수단을 고정 설치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자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지하기 위한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착석부는 신체의 엉덩이부분이 놓여지는 착석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착석판부재의 상면에 미끄럼방지용의 띠형상 마찰부재를 착석판부재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배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은 착석판부재의 상면에 띠형상 마찰부재가 삽입되는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의 깊이는 띠형상 마찰부재의 상면이 착석판부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착석판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Chair with non-slip function}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부에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가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신체중 엉덩이 부분이 놓여지는 착석부와,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착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지하기 위한 다리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의자의 착석부는 판상부재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의자를 나무재질로 제작할 경우, 판상부재의 표면을 굴곡형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표면이 미끄럽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의 착석부에 앉아 등 부분을 등받이에 기대면 신체 구조상 엉덩이 부분은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착석부의 판상부재가 편평한 형상이므로 엉덩이가 판상부재 상면에서 전방으로 쉽게 미끄러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곱게 편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않기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해 등이 구부러지는 불안정한 자세로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척추에 변형을 가져와 건강상 문제를 발생하게 되므로 편평한 착석부를 가지는 의자에는 허리를 펴고 바르게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실용산안 20-0243576호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10)와 등받이(20)로 형성된 통상의 좌식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10)의 전방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턱(11)이 형성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11)에 의해 시트부(1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바른 자세로 의자에 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끄럼방지 구성은, 시트부(10)를 굴곡변형시켜 돌출턱(11)을 상방으로 돌출시킨 것이므로, 시트부(10)와 돌출턱(11) 사이의 연결부분이 완만하여 엉덩이가 시트부(10)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질 때 돌출턱(11)을 쉽게 타고 넘어갈 수 있어 미끄럼방지 효과가 그다지 높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미끄럼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돌출턱(11)의 돌출 높이를 더욱 높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엉덩이에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과, 착석감을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을 유발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구성은 돌출턱(11)과 시트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한 재질이므로, 돌출턱(11)의 표면마찰저항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미끄럼방지 효과를 상승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미끄럼방지수단의 표면마찰저항을 높여 엉덩이의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착석감을 유지하면서도 미끄럼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부에 미끄럼방지수단을 고정 설치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지하기 위한 다리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신체의 엉덩이부분이 놓여지는 착석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착석판부재의 상면에 미끄럼방지용의 띠형상 마찰부재를 착석판부재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배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은 착석판부재의 상면에 띠형상 마찰부재가 삽입되는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의 깊이는 띠형상 마찰부재의 상면이 착석판부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착석판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형성한 의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는, 상기 제1 홈의 바닥면에 띠형상 마찰부재와 착석판부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충진하기 위한 제2 홈을 형성한 의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는, 상기 제1 홈의 바닥면에 상기 제1 홈의 폭길이보다 작은 폭길이를 가지는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제2 홈에 끼워지는 삽입돌기를 형성한 의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양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하는 제1 홈의 양측벽에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림유지되는 걸림홈을 형성한 의자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착석판부재의 좌우측 끝단과 조립되는 좌,우착석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좌,우착석측판의 전,후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4개의 지지다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착석측판의 후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2개의 지지다리는 상하방향의 수직선에 대하여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의자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착석부의 착석판부재 상면에서 엉덩이가 미끄러지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진 띠형상 마찰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미끄럼방지 구성의 표면마찰저항을 증대시킴으로써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어도 엉덩이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고 착석감을 유지하면서도 미끄럼방지 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띠형상 마찰부재를 착석부에 고정 설치하는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착석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다리의 각도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의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에서 제4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자는 착석부(100), 다리부(200) 및 등받이부(300)를 구비한다.
착석부(10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놓여지는 착석판부재(110)와, 상기 착석판부재(110)의 좌우 양끝단을 각각 지지하는 좌,우착석측판(121,122)으로 이루어지고, 좌착석측판(121)과 우착석측판(122)은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조립구멍(12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착석판부재(110)의 좌우 양끝단을 조립구멍(123)에 끼워 조립되며, 조립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리부(200)는 상기 착석부(100)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우착석측판(121,122)의 전,후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4개의 전,후방 지지다리(211,212,213,2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착석측판(121,122)의 후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2개의 후방 지지다리(212,2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수직선에 대하여 후방으로 소정각도(θ) 경사지게 연장 형성하여 사용자가 등받이부(300)에 등을 기댈 때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치우쳐서 의자가 뒤로 넘거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등받이부(300)는 사용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판부재(310)와, 상기 등받이판부재(310)를 좌우 양쪽에서 지지하는 좌,우등받이측판(321,3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등받이측판(321,322)은 착석부(100)의 좌,우착석측판(121,122)의 후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되고, 등받이판부재(310)는 양쪽의 좌,우등받이측판(321,322)가 서로 마주하는 안쪽면에 조립구멍(323)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등받이판부재(310)의 좌우 양끝단을 조립구멍(323)에 끼움으로써 조립되며, 조립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또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착석부(100), 다리부(200) 및 등받이부(300)는 나무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에서와 같이 좌착석측판(121)에 좌측의 전,후방 지지다리(211,212)와 좌등받이측판(321)을 일체로 형성하고, 우착석측판(122)에 우측의 전,후방 지지다리(213,214)와 우등받이측판(322)을 일체로 형성하여, 착석판부재(110)와 등받이판부재(310)의 양끝단을 조립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석판부재(110)의 상면에 미끄럼방지용의 띠형상 마찰부재(130)가 고정 설치된다. 띠형상 마찰부재(130)는 폭길이가 두께보다 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착석판부재(110)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배치하여 고정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2열 배치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재질은 비교적 표면마찰저항이 높은 연질의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고정 구조는, 착석판부재(110)의 상면에 띠형상 마찰부재(130)가 삽입되는 제1 홈(111)을 형성하고, 제1 홈(111)의 바닥면에 띠형상 마찰부재(130)와 착석판부재(110)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140)를 충진하기 위한 제2 홈(1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홈(111)의 깊이는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짧게 형성하여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제1 홈(111)에 삽입하였을 때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상면이 착석판부재(110)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착석판부재(110)의 상면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접착제(140)는 빈 공간을 채울 수 있으면서 실리콘 재질과 나무재질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는 실리콘 접착제(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홈(112)에 실리콘 접착제(140)를 충진하고 제1 홈(111)에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착석판부재(110)에 간단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실시예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양측면에 걸림돌기(131)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31)에 대향하는 제1 홈(111)의 양측벽에 걸림돌기(131)가 끼워져 걸림유지되는 걸림홈(113)을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고정구조에 비하여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제1 홈(11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 홈(111)의 바닥면에 상기 제1 홈(111)의 폭길이보다 작은 폭길이를 가지는 제2 홈(112A)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저면에는 상기 제2 홈(112A)에 끼워지는 삽입돌기(132)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착석판부재(11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9는 제3 실시예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양측면에 걸림돌기(131)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131)에 대향하는 제1 홈(111)의 양측벽에 걸림돌기(131)가 끼워져 걸림유지되는 걸림홈(113)을 형성한 구성이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고정구조에 비하여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제1 홈(11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착석판부재(110)의 제2 홈(112)에 실리콘 접착제(140)를 충진시키고, 제1 홈(111)에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끼워 조립하는 것에 의해 착석판부재(110)에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간단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고, 접착제(140)의 접착력에 의해 착석판부재(110)로부터 띠형상 마찰부재(130)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띠형상 마찰부재(130)의 양측면에 걸림돌기(131)를 형성하고, 제1 홈(111)의 양측벽에 걸림홈(113)을 형성하여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제1 홈(111)에 끼워 넣을 때, 걸림돌기를 걸림홈에 걸림유시키면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착석부(1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띠형상 마찰부재(130)를 착석부(100)에 설치한 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착석측판(121)에 좌측의 전,후방 지지다리(211,212) 및 좌등받이측판(321)을 일체로 형성하고, 우착석측판(122)에 우측의 전,후방 지지다리(213,214) 및 우등받이측판(322)을 일체로 형성하여, 착석부(100)와 등받이판부재(310)의 양끝단을 상기 양측의 좌,우착석측판(121,122)과 좌,우등받이측판(321,322)에 각각 조립하면, 간단하게 의자를 완성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고정나사 또는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으로 조립부분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판부재(110)에 앉은 상태에서 등받이판부재(310)에 등을 기댈 경우, 신체 구조상 상대적으로 엉덩이는 착석판부재(110)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반력을 발생하게 되지만, 착석부(100)의 상면에 복수개의 띠형상 마찰부재(130)가 좌우방햐으로 길게 배치되고, 띠형상 마찰부재(130)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표면마찰저항이 높은 것이므로, 엉덩이가 착석부(100)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의자는 장시간 앉아 있어도 엉덩이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착석감을 유지할 수 있고, 장시간 바르게 앉은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척추에 변형을 가져오는 등의 건강상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자는 도 4에서와 같이 양쪽 좌,우착석측판(121,122)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2개의 후방 지지다리(212,214)는 상하방향의 수직선에 대하여 후방으로 소정각도(θ) 경사지게 연장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등받이판부재(310)에 등을 기대는 것에 의해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치우쳐도 후방으로 경사진 지지다리(212,214)에 의해 의자가 뒤로 쉽게 넘어가지 않게 되고, 이로써 의자가 뒤로 넘어감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착석부 110 : 착석판부재
111 : 제1 홈 112,112A : 제2 홈
113 : 걸림홈 121,122 : 좌,우착석측판
130 : 띠형상 마찰부재 131 : 걸림돌기
132 : 삽입돌기 140 : 접착제
200 : 다리부 211~214 : 지지다리
300 : 등받이부 310 : 등받이판부재
321,322 : 좌,우등받이측판

Claims (5)

  1.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유지하기 위한 다리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신체의 엉덩이부분이 놓여지는 착석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착석판부재의 상면에 미끄럼방지용의 띠형상 마찰부재를 착석판부재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배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 구조는, 상기 착석판부재의 상면에 띠형상 마찰부재가 삽입되는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홈의 깊이는 띠형상 마찰부재의 상면이 착석판부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착석판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는,
    상기 제1 홈의 바닥면에 띠형상 마찰부재와 착석판부재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를 충진하기 위한 제2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고정구조는,
    상기 제1 홈의 바닥면에 상기 제1 홈의 폭길이보다 작은 폭길이를 가지는 제2 홈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제2 홈에 끼워지는 삽입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 마찰부재의 양측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에 대향하는 제1 홈의 양측벽에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림유지되는 걸림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착석판부재의 좌우측 끝단과 조립되는 좌,우착석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좌,우착석측판의 전,후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4개의 지지다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착석측판의 후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2개의 지지다리는 상하방향의 수직선에 대하여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210047606A 2021-04-13 2021-04-13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 KR20220141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06A KR20220141455A (ko) 2021-04-13 2021-04-13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606A KR20220141455A (ko) 2021-04-13 2021-04-13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55A true KR20220141455A (ko) 2022-10-20

Family

ID=8380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606A KR20220141455A (ko) 2021-04-13 2021-04-13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14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443B2 (ja) 椅子
AU2007330204A1 (en) Chair-use auxiliary chair for improving posture
US20060152061A1 (en) Structure of a seat of a chair
KR20220141455A (ko)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1379890B1 (ko) 등받이가 개선된 의자
KR200431273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카우치 시스템
JP2021019771A (ja) 敷物として利用可能な椅子の座部、当該座部を備えた椅子
KR200199857Y1 (ko) 허리받침대를 부설한 의자등받이
JP3245175U (ja) 椅子
JPS6314696Y2 (ko)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KR200314743Y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100755502B1 (ko) 계단식 좌식방석
JP4706041B2 (ja) 家具の脚下端部の保護部材及び椅子
JP2011083536A (ja) 連結椅子
JP7029044B2 (ja) 椅子
US20220118312A1 (en) Foot and leg stretching device
JP5420861B2 (ja) 椅子
JP2020203055A (ja) 椅子
KR200484253Y1 (ko) 분리 조합형 침대 겸용 소파세트
TWM581859U (zh) Child growth chair
JP5667966B2 (ja) 椅子
KR200346110Y1 (ko) 둔부받침용 좌식 방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