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1413A -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1413A
KR20220141413A KR1020210047530A KR20210047530A KR20220141413A KR 20220141413 A KR20220141413 A KR 20220141413A KR 1020210047530 A KR1020210047530 A KR 1020210047530A KR 20210047530 A KR20210047530 A KR 20210047530A KR 20220141413 A KR20220141413 A KR 20220141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value
vehicle
measured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추교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1413A/ko
Priority to US17/569,858 priority patent/US11946948B2/en
Priority to CN202210283300.XA priority patent/CN115200633A/zh
Publication of KR20220141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54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7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60W2520/105Longitudinal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35Road bumpiness, e.g. pot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5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at stand still, e.g. engine in idling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89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with indication of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비정상 상태(예를 들어, 파손 등)의 도로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동차 시스템은, 차량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 센서, 상기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 및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되는 시점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상기 중력가속도 값을 영점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해 상기 중력가속도 값에 더해지는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 정차하는 제1 갱신조건 및 상기 차량이 정차된 도로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이하인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차량의 정차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상기 기준가속도로 채택하여 상기 기준가속도를 갱신한다.

Description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METHOD FOR DETECTING A DAMAGED ROAD AND AUTOMOTIVE SYSTEM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비정상 상태(예를 들어, 파손 등)의 도로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 발생하는 포트 홀(pot hole) 등 도로의 비정상 상태로 인해 심각한 인명 피해 및 물적 손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도로 관리 센터(ex, 한국 도로공사, 지방 자치정부 도로 정비과 등)는 주기적으로 도로 상태를 확인하고, 비정상 상태의 도로를 정비하거나 도로 노면을 긴급 복구하여 해당 위험을 제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응은 실시간 도로 상태를 바로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로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투여되는 인력 및 물적 비용의 낭비가 크며, 전국의 도로 상태를 단기간에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을 이용하여 도로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려는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신뢰도 높게 도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중력가속도를 이용하여 도로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스템은, 차량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 센서, 상기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 및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되는 시점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상기 중력가속도 값을 영점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해 상기 중력가속도 값에 더해지는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 정차하는 제1 갱신조건 및 상기 차량이 정차된 도로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이하인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차량의 정차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상기 기준가속도로 채택하여 상기 기준가속도를 갱신한다.
상기 메모리는, 도로 기울기, 곡선 구간, 비포장 구간, 맨홀, 도로 요철, 및 과속 방지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상태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고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의 최저값보다 작거나, 상기 임계범위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시스템은,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시점을 포함하여, 상기 시점의 전후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도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태 감지 방법은, 차량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 정차하는 제1 갱신조건 및 상기 차량이 정차된 도로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이하인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1 갱신조건 및 상기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차량의 정차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크기를 기준가속도로 채택하여 상기 기준가속도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상기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가속도는,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영점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해 상기 중력가속도 값에 더해지는 보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로 상태 감지 방법은,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도로 상태 정보는, 도로 기울기, 곡선 구간, 비포장 구간, 맨홀, 도로 요철, 및 과속 방지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도로 상태 감지 방법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의 최저값보다 작거나, 상기 임계범위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시점을 포함하여, 상기 시점의 전후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도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를 영점 기준으로 보정하는 기준가속도를 소정의 갱신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갱신하여, 도로 상태를 신뢰도 높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파손되거나 미끄러운 도로를 감지함으로써, 도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인력이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태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구간에서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와 기준가속도의 차이값이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태 감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태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도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구간에서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와 기준가속도의 차이값이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도로 관리 시스템(1)은 자동차 시스템(100) 그리고 서버(200)를 포함한다.
자동차 시스템(100)은 차량에 탑재되며, 차량의 운행 및 정차 중에 중력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중력가속도에 기초하여 도로의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도로가 비정상 상태이면, 자동차 시스템(100)은 비정상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시점을 포함하여, 그 시점 전후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의 값 및 부가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부가정보는, 차량이 이동한 도로 상의 위치, 차량의 속도, 및 도로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로 상태 정보는, 도로 기울기, 곡선 구간, 비포장 구간, 맨홀, 도로 요철, 및 과속 방지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복수의 차량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정상 상태의 도로에 대한 정보를 분석 또는 가공하여 기존의 도로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비정상 상태의 도로 인근을 운행 중인 차량에 도로 파손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서버(200)는 도로 관리 센터(ex, 한국 도로공사, 지방 자치정부 도로 정비과 등)로 갱신된 도로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자동차 시스템(100)은 가속도 센서(10), 위치측정 센서(20), 메모리(30), 통신부(40), 그리고 제어부(50)를 포함한다.
가속도 센서(10)는, 차량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제어부(5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10)는, 차량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X축 벡터, Y축 벡터, 및 Z축 벡터로 나누어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0)는, X축 벡터, Y축 벡터, 및 Z축 벡터를 합산하여 중력가속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10)는, AVNT(Audio Video Navigation Telematics) 시스템 내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는 탑재되는 위치에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위치측정 센서(20)는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를 제어부(5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위치측정 센서(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가속도 센서(10)에서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 위치측정 센서(20)에서 측정된 차량의 위치, 차량의 속도, 도로 상태 정보, 그리고 기준가속도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0)는, 소정의 시점에서 측정된 중력가속도 및 차량의 위치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통신부(40)는 서버(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0)는 제어부(50)의 제어로 중력가속도 값 및 부가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가속도 센서(10)에서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에 기초하여 도로의 정상 상태 또는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는,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지점(A)에서 차이값(Y)은 소정의 임계범위의 하한값(예를 들어, -0.25)보다 작다. 제2지점(B) 및 제3지점(C)에서 차이값(Y)은 소정의 임계범위의 상한값(예를 들어, 0.25)보다 크다. 제어부(50)는, 제1지점(A), 제2지점(B) 및 제3지점(C)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는,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Y)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고, 동시에 차이값(Y)에 대응하는 위치가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지점(A), 제2지점(B) 및 제3지점(C)의 차이값(Y)은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자. 이때, 제3지점(C)은 도로 상태 정보(예를 들어, 과속 방지 턱 존재)와 매칭되나, 제1지점(A) 및 제2지점(B) 각각은 도로 상태 정보(예를 들어, 맨홀, 도로 요철, 과속 방지턱 등)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50)는, 차이값(Y)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고 동시에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제1지점(A) 및 제2지점(B)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중력가속도 값에 기초하면 임의의 도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더라도, 그 도로의 위치가 기 저장된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면, 해당 위치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어부(50)는, 새로 발생한 도로 파손 또는 미끄럼 지역 등에 대한 정보만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도로 상태 감지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어부(50)는 차량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 정차하는 제1 갱신조건 및 차량이 정차된 도로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이하인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0). 예를 들어, 제1 갱신조건은 차량이 5초 이상 정차하고, 제2 갱신조건은 차량이 정차된 도로의 기울기가 12° 이상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결과 제1 갱신조건 및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면(S100, Yes), 제어부(50)는, 차량의 정차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기준가속도 값으로 채택하여 기준가속도를 갱신한다(S200).
기준가속도는,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영점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해 중력가속도 값에 더해지는 보정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가속도 값이 -9.2g 그리고 기준가속도 값이 9.6g이면, 보정된 중력가속도 값은 그래프 상에서 영점(0)보다 위(+0.4g)에 위치할 수 있다.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중력가속도 값이 -9.8g 그리고 기준가속도 값은 9.6g이면, 보정된 중력가속도 값은 그래프 상에서 영점(0)보다 아래(-0.2g)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기준가속도는, 차량이 운행하면서 측정하는 중력가속도 값이 영점(0)에서 상하로 얼마나 변동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정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전 기준가속도 값이 9.6g이었고, 제1 갱신조건 및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이 -9.8g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제어부(50)는, 제1 갱신조건 및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의 크기인 9.8g을 기준가속도 값으로 채택하여 기준가속도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기준가속도 값은 9.6g에서 9.8g으로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는, 제1 갱신조건 및 제2 갱신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기준가속도를 갱신하여, 실제 측정되는 중력가속도 값을 영점기준으로 보정시 오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결과 제1 갱신조건 및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지 않거나(S100, No) 또는 기준가속도가 갱신되면(S200), 제어부(50)는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S300)
기준가속도가 갱신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종전의 기준가속도 값과 중력가속도 값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기준가속도가 갱신되면, 제어부(50)는 갱신된 기준가속도 값과 중력가속도 값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는 차이값이 임계범위의 최저값보다 작거나, 임계범위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임계범위의 최저값을 -0.25, 최대값을 0.25로 설정하는 경우, 임계범위는 ‘-0.25≤차이값(Y)≤0.25)’로 표시될 수 있다. 제1지점(A)은 차이값(Y)이 최저값(-0.25) 미만이고, 제2지점(B) 및 제3지점(C)은 차이값(Y)이 최대값(0.25)을 초과한다. 즉, 제어부(50)는 제1지점(A), 제2지점(B) 및 제3지점(C) 각각의 차이값(Y)은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결과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300, No), 제어부(50)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한다(S400). 이때, 도로 상태 정보는, 도로 기울기, 곡선 구간, 비포장 구간, 맨홀, 도로 요철, 및 과속 방지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결과 매칭되지 않으면(S400, No), 제어부(50)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한다(S500).
예를 들어,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기존에 확인된 맨홀, 과속 방지턱 등이 존재하지 않음에도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50)는 해당 위치의 도로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정리하면, 기존에 확인된 도로 상태와 매칭되지 않는 중력가속도 변화가 감지되면, 제어부(50)는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50)는 비정상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시점을 포함하여, 그 시점의 전후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 및 부가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결과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거나(S300, Yes) 또는 판단결과 매칭되면(S400, Yes), 제어부(50)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한다(S600).
예를 들어,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과속 방지턱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50)는 차량이 과속 방지턱을 지나가면서 측정된 중력가속도에 의해 차이값이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제어부(50)는 기존에 확인된 맨홀, 과속 방지턱 등과 같은 도로 상태에 대해서는, 차이값이 임계범위를 벗어나더라도 해당 위치의 도로는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지점(A), 제2지점(B) 및 제3지점(C)의 차이값(Y)은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고, 제3지점(C)은 도로 상태 정보(예를 들어, 과속 방지 턱 존재)와 매칭되나, 제1지점(A) 및 제2지점(B) 각각은 도로 상태 정보(예를 들어, 맨홀, 도로 요철, 과속 방지턱 등)와 매칭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50)는, 차이값(Y)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고 동시에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제1지점(A) 및 제2지점(B)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중력가속도 값에 기초하면 임의의 도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더라도, 그 도로의 위치가 기 저장된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면, 해당 위치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어부(50)는, 새로 발생한 도로 파손 또는 미끄럼 지역 등에 대한 정보만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을 참고하면, 제어부(50)는 비정상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시점(제1지점(A) 및 제2지점(B))을 포함하여, 그 시점의 전후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 및 부가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차량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 센서,
    상기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 및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되는 시점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저장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상기 중력가속도 값을 영점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해 상기 중력가속도 값에 더해지는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 정차하는 제1 갱신조건 및 상기 차량이 정차된 도로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이하인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차량의 정차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의 크기를 상기 기준가속도로 채택하여 상기 기준가속도를 갱신하는, 자동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도로 기울기, 곡선 구간, 비포장 구간, 맨홀, 도로 요철, 및 과속 방지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상태 정보가 더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고 동시에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자동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의 최저값보다 작거나, 상기 임계범위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자동차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정상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시점을 포함하여, 상기 시점의 전후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도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자동차 시스템.
  6. 차량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 정차하는 제1 갱신조건 및 상기 차량이 정차된 도로의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기울기 이하인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제1 갱신조건 및 상기 제2 갱신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차량의 정차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크기를 기준가속도로 채택하여 상기 기준가속도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과 상기 기준가속도 값의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가속도는,
    상기 차량의 운행 중에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영점 기준으로 보정하기 위해 상기 중력가속도 값에 더해지는 보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태 감지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판단결과 상기 차이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결과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도로 상태 정보는,
    도로 기울기, 곡선 구간, 비포장 구간, 맨홀, 도로 요철, 및 과속 방지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태 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가 상기 도로 상태 정보와 매칭되면, 상기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도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로 상태 감지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소정의 임계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의 최저값보다 작거나, 상기 임계범위의 최대값보다 큰 경우 상기 차이값이 상기 임계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도로 상태 감지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상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되는 중력가속도가 측정된 시점을 포함하여, 상기 시점의 전후 소정의 시간 동안 측정된 중력가속도 값을 서버로 전송하는, 도로 상태 감지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차량의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도로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도로 상태 감지 방법.

KR1020210047530A 2021-04-13 2021-04-13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 KR20220141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30A KR20220141413A (ko) 2021-04-13 2021-04-13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
US17/569,858 US11946948B2 (en) 2021-04-13 2022-01-06 Road condition detecting method and automotive system providing the same
CN202210283300.XA CN115200633A (zh) 2021-04-13 2022-03-22 汽车系统、道路状况检测方法、存储介质及道路管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30A KR20220141413A (ko) 2021-04-13 2021-04-13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13A true KR20220141413A (ko) 2022-10-20

Family

ID=8350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30A KR20220141413A (ko) 2021-04-13 2021-04-13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46948B2 (ko)
KR (1) KR20220141413A (ko)
CN (1) CN115200633A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9792C2 (sv) * 2001-08-17 2003-04-08 Volvo Lastvagnar Ab Metod för estimering av massan hos ett fordon vilket framförs på en väg med en varierande lutning samt metod för estimering av lutningen av den väg där ett fordon framförs
JP4792801B2 (ja) * 2005-04-21 2011-10-12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速度制御装置
JP4462316B2 (ja) * 2007-09-26 2010-05-12 株式会社デンソー 経路探索装置
JP6019630B2 (ja) * 2012-03-12 2016-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路面勾配推定装置
EP2828781B1 (en) * 2012-03-22 2019-05-08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A system and a method for improved car prognosis
KR101500070B1 (ko) * 2013-04-15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로경사 추정 시스템
KR101558388B1 (ko) * 2014-04-14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G센서를 이용한 도로 구배 연산 장치 및 방법
KR101601104B1 (ko) * 2014-09-22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G센서를 이용한 도로 구배 연산 장치 및 방법
JP6369408B2 (ja) * 2015-07-16 2018-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路面の冠水推定装置
KR20200005765A (ko) * 2018-07-09 2020-01-17 박석준 차량 가속도 센서 측정을 통한 도로 상태 판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관리 시스템
DE102020100943A1 (de) * 2020-01-16 2021-07-2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aktuellen Querneigungswinkels einer Fahrbahn
KR102396264B1 (ko) * 2020-11-11 2022-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레벨링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2127825A (ja) * 2021-02-22 2022-09-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路判定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46948B2 (en) 2024-04-02
US20220326274A1 (en) 2022-10-13
CN115200633A (zh)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3481B2 (en) Map generation device
US5060162A (en) Vehicle in-situ locating apparatus
JP6312304B2 (ja) 位置測定方法、自己位置測定装置及び車載器
US9341480B2 (en) Min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mining machine management method
TWI452264B (zh) 車輛位置測量裝置及車輛位置測量方法
US200901606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Road Surface Conditions
KR20150038622A (ko) 특성 포인트에 의한 차량 위치의 보정
US20210312726A1 (en) Asset and Vehicle Coupling
US20160274562A1 (en) Min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mining machine management method
CN105849661A (zh) 矿山机械的管理系统和管理方法
US20150066352A1 (en) Min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and mining machine management method
AU2009245863B2 (en) Slippage condition response system
CN103827633A (zh) 用于确定车辆的位置数据的方法
CN111947669A (zh) 用于将基于特征的定位地图用于车辆的方法
JP2007095038A (ja) ホスト車線を決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10869865B (zh) 用于运行较高程度自动化的车辆(haf)、尤其高度自动化车辆的方法
JP2007095038A5 (ko)
KR20220141413A (ko) 도로 상태 감지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자동차 시스템
JP2012002782A (ja) 地図更新システム
KR20090004195A (ko) 차량의 사고감지 및 응급성 판단 방법 및 장치
CN111198391A (zh) 用于定位车辆的系统和方法
US20200402400A1 (en) History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route calculation method, and influence range distribution system
JP2005300415A (ja) 補正装置
KR100586894B1 (ko) 차량의 정지상태 판단방법과 이를 이용한 차량 항법정보생성방법 및 차량항법장치
JP5035226B2 (ja) 新規道路検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