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401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401A
KR20220140401A KR1020210190296A KR20210190296A KR20220140401A KR 20220140401 A KR20220140401 A KR 20220140401A KR 1020210190296 A KR1020210190296 A KR 1020210190296A KR 20210190296 A KR20210190296 A KR 20210190296A KR 20220140401 A KR20220140401 A KR 20220140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ain
container
blende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중
김양호
김영수
박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401A/ko
Publication of KR2022014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벤딩각과 비틀림각을 가지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과,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와 보조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벤딩각과 서로 다른 비틀림각을 가진다. 이와 같은 블랜더에서는 재료의 절삭 능률이 향상되고 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렌더{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각도로 벤딩되거나 비틀리도록 형성되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blender)는 믹서기 또는 분쇄기 등으로 일컫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칼날이 회전하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잘게 자르는 용도로 주로 쓰인다.
통상의 블렌더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가 하측에 위치하고, 이러한 본체의 상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가 안착되며, 용기 내부에는 음식물을 파쇄하거나 잘게 자르기 위한 블레이드(칼날)가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에 음식물 등과 같은 식품을 넣은 후, 본체의 조작버튼이나 노브 등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회전을 전달받은 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거나 썰게 된다.
이러한 블렌더는 근래 직장인의 바쁜 일상 및 음식물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사용자의 욕구와 부합하여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즉, 소형의 핸드블렌더가 개발되기도 하고, 좀 더 크기가 큰 대용량 또는 고속으로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하는 블렌더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 구조나 블레이드(칼날) 구조에서는 음식물의 분쇄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음식물의 분쇄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음식물의 혼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1219753호 등에도 믹서기의 커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로한 종래기술에서는 커터(칼날)가 좌우에 대칭되게 2개가 형성되며, 수평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커터(칼날)이 용기의 바닥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음식물의 분쇄가 용기의 하단에 위치한 음식물에만 집중되어 전체 음식물의 분쇄 및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음식물 분쇄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384979호에는 위와 같은 커터에 비해 개선된 칼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전후좌우로 4개의 칼날이 구비되고, 칼날의 방향도 수평 외에 하측으로도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도 칼날에 의해 절개되는 음식물의 영역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음식물 가공 및 혼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블렌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미국특허공개번호 US20160066748A1에서와 같이 블렌더의 블레이드(칼날)이 상하로 벤딩(bending)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벤딩(bending)된 블레이드 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판(gusset)을 더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도 블레이드의 분쇄능력이나 소음 문제는 해소되지 않고 있다. 즉, 본 종래기술에서는 블레이드(칼날)를 상하로 벤딩(bending)함으로써 블레이드에 의해 분쇄되는 영역을 넓히고자 한 부분은 어느 정도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나, 여전히 4개의 블레이드(칼날)에 의해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구성되므로 음식물의 분쇄능력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보강판(gusset)이 블레이드(칼날)에 형성되기는 하나, 이러한 보강판(gusset)은 블레이드(칼날)의 벤딩(bending) 부분 강도를 보강하는데 역할이 있으며, 블레이드(칼날)의 회전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와류를 일으키거나 소음 발생원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 특허공개번호 US20190045976A1에서도 상하로 블레이드(칼날)를 벤딩(bending)하고 여러개의 블레이드(칼날)에 의해 음식물이 분쇄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여기에서도 블레이드(칼날)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블레이드(칼날)의 수량만 늘어나므로, 다수의 블레이드(칼날)에 의한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19753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384979호 미국 특허공개번호 US20160066748A1 미국 특허공개번호 US20190045976A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블레이드가 메인블레이드와 일정 각도로 교차 설치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벤딩각을 가지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비틀림각을 가지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중 일부는 상향날이며 다른 일부는 하향날로 이루어지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선단부에 요철(凹凸)이 형성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후방 와류에 의해 형성되는 소음이 감소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에는 다수의 메인칼날부가 형성되는 메인블레이드와, 다수의 메인칼날부 사이에 보조칼날부가 위치되는 보조블레이드가 구비된다. 따라서 부피가 큰 음식물의 절개도 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벤딩각을 가진다. 따라서 음식물(재료)의 절단이 골고루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비틀림각을 가진다. 따라서 양력 및 불균일한 와류 생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수평날과, 상기 수평날보다 상측을 향하는 상향날과, 상기 수평날보다 하측을 향하는 하향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향날은, 상기 하향날보다 많은 갯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인블레이드의 선단에는, 요철(凹凸) 형상이 성형된다.
상기 요철(凹凸) 형상은, 3개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凹凸) 형상은, 톱니(sawtooth)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조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와 교차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와 45°로 교차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서로 등(等)간격으로 설치되는 4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1개의 수평날과, 2개의 상향날과, 1개의 하향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날은 벤딩각이 18° 및 24°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향날은 벤딩각이 -7°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상방향으로 45° 또는 60°의 벤딩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블레이드는 일정 각도록 비틀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비틀림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의 비틀림각은 영(0) 또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틀림각이 2.1°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는 비틀림각이 11°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어셈블리에 메인블레이드 외에 보조블레이드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음식물이 보조블레이드와 메인블레이드에 의해 이중으로 절개 또는 분쇄되므로 분쇄 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둘, 본 발명에서는 보조블레이드의 칼날부가 메인블레이드의 칼날부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보조블레이드의 칼날부와 메인블레이드의 칼날부에 순차적으로 부딪히면서 절개되므로 모터어셈블리의 부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즉, 음식물이 한번에 절개되는 부하보다 작은 부하로 음식물이 절개 또는 분쇄되는 효과가 있다.
셋, 본 발명에서는 보조블레이드의 보조칼날부 길이는 메인블레이드의 메인칼날부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정 크기의 음식물은 먼저 메인칼날부 사이에 위치하여 보조칼날부에 의해 일부가 절개된 다음 메인칼날부에 의해 전체 또는 보조칼날부보다 훨씬 많은 부분의 절개가 이루어지고, 모터어셈블리나 블레이드어셈블리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이나 에러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넷, 본 발명에서는 보조블레이드의 보조칼날부가 메인블레이드의 메인칼날부보다 상측으로 더 벤딩(bending)되는 구성을 가진다. 즉, 보조칼날부는 메인칼날부에 비해 상측 중앙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측으로 벤딩(bending)된 보조칼날부는 절개되는 음식물이 용기의 중앙으로 모이는 것을 방지하거나 중앙으로 모인 음식물을 절개하여 회오리를 일으킴으로써 음식물이 잘 섞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 본 발명에서는 메인칼날부는 메인고정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짝수개가 구비되며, 다수의 메인칼날부는 메인고정부로부터 상측 및 하측으로 벤딩(bending)되는 구조를 가지고, 보조칼날부는 상측으로 더 벤딩(bending)된다. 따라서, 블레이드어셈블리의 칼날부에 의해 음식물이 분쇄되는 영역이 용기의 하부 및 중앙까지 확대되므로 분쇄 능률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디수의 메인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벤딩각을 가진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골고루 잘 절단되고, 앞선 블레이드의 후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회전 부하나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일곱,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디수의 메인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비틀림각(받음각)을 가진다. 따라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골고루 잘 섞이게 만들며, 양력 및 불균일 와류를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여덟,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의 선단에 톱니 형상의 요철(凹凸)이 성형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선단의 홈 속으로 음식물이 유입되어 이탈되지 못하고 절개되므로 상대적으로 무른 음식물도 잘 절단되므로 분쇄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내부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용기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용기의 하측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상반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뚜껑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뚜껑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절개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뚜껑의 구성을 보인 상측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8의 뚜껑의 구성을 보인 하측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8의 뚜껑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절개된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8의 뚜껑을 구성하는 뚜껑 몸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어셈블리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블레이드의 제1실시예 구성을 보인 상측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의 제1실시예의 하측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19는 도 16의 A-A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블레이드의 제2실시예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의 제2실시예의 상측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의 제2실시예의 하측 사시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블레이드의 제3실시예 구성을 보인 상측 사시도.
도 25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블레이드의 제4실시예 구성을 보인 상측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벤딩각을 가지는 것을 보인 상측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의 정면도와 좌측면도.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블레이드에 의해 블렌더 내부의 유동흐름을 보인 해석 이미지.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소음원을 형상화한 해석 이미지.
도 31은 도 26에 도시된 각각의 블레이드에 걸리는 하중부하를 보인 그래프.
도 32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실시예 중 스트레이트 형상 블레이드를 보인 상측 사시도.
도 33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실시예 중 요철(凹凸)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블레이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4는 도 32과 도 33에 도시된 각 블레이드의 음향파워를 보인 해석 그래프.
도 35은 도 32과 도 33에 도시된 각 블레이드 표면에서의 압력 섭동과 공동 체적을 보인 해석결과 이미지.
도 36는 도 32에 도시된 스트레이트 형상 블레이드에서 보조블레이드와 메인블레이드의 설치 각도에 따른 공동노이즈원 및 비공동노이즈원의 결과값을 보인 그래프.
도 37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레이드 중 요철(凹凸)의 유무에 따른 노이즈원과 하중변동을 서로 비교한 결과값 그래프.
도 38은 도 32과 도 33에 도시된 각 블레이드의 음향파워에 대한 해석치와 실험치를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와 종단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100)를 지지하는 본체(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는 음식물이 수납되어 절개되거나 분쇄되는 등의 가공이 일어나는 부분이며, 상기 본체(500)는 상기 용기(100)를 지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체(500)의 내부에는 상기 용기(100)에서 음식물이 절개되거나 분쇄되는 것을 제어하거나 전력 공급 등을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용기(100)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은 개구되어 음식물이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외부에서 내부를 투시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의 내측 하부에는 블레이드어셈블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잘게 절개하거나 분쇄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어셈블리(600)와 연결되어, 모터어셈블리(600)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100)는 이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용기(110)와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는 서로 접하도록 구성되거나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일부만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는 이너가이드(122)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상기 이너가이드(122)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서 회전하는 음식물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나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의 우측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00)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3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단이 상기 용기(100)의 상면과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300)의 반대측에는 주둥이(10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주둥이(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의 좌측면 상단에 형성되며, 용기(100) 내부에서 절개작업이 완료된 음식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둥이(102)는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좌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100)의 상면은 뚜껑(400)에 의해 차폐된다. 즉, 상기 용기(100)의 상면에는 뚜껑(4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기(100)의 상방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은 상기 용기(100)의 상면을 덮어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은 사용자의 가압이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뚜껑(400)의 외주면에는 가스켓(402)이 더 구비되어 뚜껑(400)과 용기(1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한다. 물론, 이러한 가스켓(402)은 상기 뚜껑(400)이 상기 용기(100)에 압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
상기 뚜껑(400)에는 캡(45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의 원형 홈인 뚜껑홀(40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뚜껑홀(401)에 캡(450)이 장착되어 뚜껑홀(401)을 차폐한다.
상기 캡(4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뚜껑(40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압착에 의한 억지끼움이나 회전동작에 의해 뚜껑(400)에 착탈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캡(450)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뚜껑(400)에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며,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캡(450)은 상기 뚜껑(4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뚜껑(400)을 열지 않고 상기 캡(450)만 연 상태에서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캡(450)을 열어 용기(100) 내부에 음식물을 투입하거나 믹서봉 등을 이용하여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을 섞는 등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캡(450)의 상단은 상기 뚜껑(400)의 상단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뚜껑(400)을 열거나 닫는 경우에 파지할 수 있는 뚜껑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본체(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사각통상의 육면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용기(100)를 지지하며, 내부에는 모터어셈블리(600)와 PCB와 같은 전자부품 등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물론 이러한 본체(500)의 외관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500)의 내부 중앙부에는 모터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칼날)가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상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하단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500)의 전면에는 노브(50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노브(50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5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브(502)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작동 세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노브(502)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회전 속도가 고속과 저속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터치조작부(504)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조작부(50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렌더의 조작을 터치에 의해 하기 위한 것으로, 블렌더의 동작 시작과 정지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의 노브(502)와 터치조작부(504)는 블렌더의 작동 설정과 조작을 서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기능이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편의에 의해 상기 노브(502)나 터치조작부(504)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블렌더의 작동을 설정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서로 기능이 중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조작부(504)의 옆(도 1에서는 좌측)에는 표시부(506)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표시부(506)가 더 구비되며, 이러한 표시부(506)는 블렌더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표시부(506)는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측에는 쿨링팬(6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쿨링팬(610)은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에서 생성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본체(500) 내부로 흡입하여 공기의 유동을 강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쿨링팬(610)은 외부로부터 공기가 본체(500) 내부로 흡입되어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본체(500) 내부에 구비되는 PCB 등의 부품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본체(500)의 하면에는 베이스단(5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단(510)은 상기 본체(50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무선전력모듈(520)이 수용된다. 상기 무선전력모듈(520)은 유도 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방식으로 외부의 전력(Wireless Power)을 공급받아 상기 본체(500) 내부의 모터어셈블리(6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500)와 용기(100) 등에는 상기 뚜껑(400)이 상기 용기(100)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시스템이 더 구비된다.
상기 감지시스템은 상기 용기(100)에 개폐 가능한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도록 하여, 이러한 전기회로가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5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폐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감지시스템은, 상기 본체(500)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1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송신수단(700)과,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수단(220)과, 상기 용기(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400)의 닫힘 여부에 따라 용기(100)에 형성되는 전기회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수단(230)과, 상기 용기(100)의 일면에 구비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상기 개폐수단(230) 사이에 전기의 흐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투명전극필름(240)과, 상기 본체(500)나 용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개폐수단(230)이 연결된 전기회로가 폐회로를 형성하여 전기의 흐름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8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본체(500) 외부로부터 본체(500)로 유입되거나 본체(500) 자체에 미리 저장된 전력을 상기 용기(10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기전력 발생이 가능한 유도코일(coil)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상기 본체(50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전력수신수단(220) 사이에 유도기전력에 의해 전력이 전달되도록 코일(coil)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전력수신수단(220)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어 유도기전력이 생성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본체(500)의 우측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상기 용기(100)의 우측하단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개폐수단(230)은, 상기 용기(100)에 형성되는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뚜껑(4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개폐(on/off)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400)과 용기(100)에 각각 구비되는 영구자석(232)과 리드스위치(234)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구자석(232)이 상기 뚜껑(400)의 우측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위치(234)는 상기 용기(100)의 상단 우측(손잡이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드스위치(234)는 상기 손잡이(30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스위치홈(236)에 수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리드 스위치(reed switch)는 유리 튜브 속에 자성체가 되는 가동접점을 봉입하여 자석을 접근시킴으로써 유리 튜브 내의 접점은 온(ON) 되도록 한 것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의 자체 구성과 원리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이러한 개폐수단(230)으로 상기 영구자석(232)과 리드스위치(234)를 사용하는 외에, 다른 전기적 온(on)/오프(off) 수단이나 기구적인 구조물을 이용하여 전기회로가 개폐(on/off)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여, 상기 뚜껑(400)과 용기(100)에 각각 설치되는 영구자석(232)과 리드스위치(234)의 설치 위치를 반대로 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감지수단(800)은, 상기 개폐수단(230)에 의해 용기(100)에 형성된 전기회로에 전류가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 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장치나 구조물 등이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를 이용하여 빛을 감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감지수단(800)은,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어 빛을 생성하는 광송신모듈(810)과, 상기 본체(500)에 구비되어 상기 광송신모듈(810)로부터 송신되는 빛을 수신하는 광수신모듈(8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송신모듈(810)과 광수신모듈(820)은 서로 인접한 곳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송신모듈(810)은 상기 용기(100)의 좌측 하단에 위치되며, 상기 광수신모듈(820)은 상기 본체(500)의 좌측 상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광송신모듈(810)에는 전기에 의해 빛을 생성하는 엘이디(LED)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수신모듈(820)에는 빛을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면에 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ITO필름(Indium-Tin Oxide film)과 같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용기(100)의 상측에 구비된 개폐수단(230)이 상기 용기(10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전력수신수단(220) 및 광송신모듈(810)과도 연결되어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상하로 길게 부착되어 용기(10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전기신호가 전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상기 용기(100)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도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되어 용기(100)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을 상기 용기(100)의 표면에 부착한 경우 부착면과의 사이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ITO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중앙부분에 타공을 추가하여 기포가 빠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포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안착단(900)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9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상기 용기(100)의 하단이 상하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100)는 겹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너가이드(122)는 내측용기(120)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용기(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에는 상기 용기(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용기(100)의 하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0)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겹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용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용기(110)와,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측용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 즉,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외부에서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또는 투명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용기(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하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외면 우측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메인손잡이(302)가 우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손잡이(302)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부가 상기 외측용기(110)의 우측 상단에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손잡이(302)는 상기 외측용기(110)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손잡이(302)가 상기 외측용기(110)에 일체로 형성되면, 상대적으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접합되거나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강도와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메인손잡이(302)가 상기 용기(100)에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리드스위치(234)가 수용되는 스위치홈(23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상단에는 스위치홈(236)이 형성되어 상기 리드스위치(234)가 장착될 공간을 제공하며, 이러한 스위치홈(236)의 좌측은 개방된다.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외측에는 외장손잡이(304)와 내측손잡이(306)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손잡이(306)의 우측에는 외장손잡이(304)가 구비되고, 좌측에는 내측손잡이(306)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외장손잡이(304)도 상기 메인손잡이(302)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상면과 우측면 및 전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끈하고 녹이 잘 슬지 않으면서도 쉽게 깨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비자로 하여금 미감을 형성하도록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손잡이(306)는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좌측면과 저면을 감싸는 것으로,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저면과 대응되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내측손잡이(306)는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상단 하부를 감싸는 연결부(306a)와, 상기 연결부(306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손잡이(302)의 좌측면을 감싸는 손부(306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06a)는 상기 외장손잡이(304)와 같이 매끈하고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부(306b)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감겨지는 부분이므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306a)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부(306b)에는 사용자의 네 손가락(엄지 제외)이 감싸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접촉감을 줄 수 있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용기(120)는 상기 외측용기(110)보다 작은 크기(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측용기(110) 내부에 안착된다.
상기 내측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내측용기(120)의 외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수의 이너가이드(122)가 상하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 등이 장착된다.
상기 내측용기(120)의 좌측 상단에는 주둥이(102)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내측용기(120)의 우측 상단에는 차폐단(124)이 우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차폐단(124)은 상기 외측용기(110)의 스위치홈(236) 상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치홈(236)의 상단 크기와 대응되도록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측용기(120)의 하단에는 블레이드어셈블리(200)가 장착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블레이드(칼날)에 의해 음식물이 잘게 분쇄되거나 혼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어셈블리(60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 등은 상기 내측용기(120)의 바닥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뚜껑(400)의 외주면에는 자석홀더(404)가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의 외주면에는 자석홀더(404)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자석홀더(404)의 내부에는 영구자석(232)이 장착된다.
상기 영구자석(232)은 상기 뚜껑(400)이 용기(1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리드스위치(234)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는 코일홀더어셈블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코일홀더어셈블리는, 유도코일이 구비되는 코일홀더(130)와, 상기 코일홀더(130)를 상하로 감싸는 상커버(140) 및 하커버(15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외측용기(110)의 저면과 상기 내측용기(120)의 저면 사이에는 코일홀더(130)가 구비되며, 이러한 코일홀더(130)에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광송신모듈(810)이 장착된다.
상기 코일홀더(130)는 전체적으로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링(ring) 형상의 코일홀더(130) 우측단에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이 구비된다. 즉,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코일홀더(130)의 우측단에는 전력을 수신하는 유도코일(coil)이 구비되어 전력수신수단(220)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코일홀더(130)에 구비되는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은, 피시비(PCB)기판에 수신 유도코일이 동일 평면에 패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의 일 실시예는 상기 코일홀더(130)의 저면에 수신 유도코일이 수신 중심점을 중심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피시비(PCB) 기판에 다수 회 권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홀더(130)의 저면에는 광송신모듈(810)이 구비된다.
상기 광송신모듈(810)은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빛을 발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수단(800)의 일 구성을 이루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빛을 생성하는 엘이디(LED)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광송신모듈(8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개폐수단(230) 등과 폐회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홀더(130)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의해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광송신모듈(810) 및 개폐수단(230)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코일홀더(130)에는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하는 변환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홀더(130)의 우측단 상면에는 홀더단자(132)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단자(132)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하단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코일홀더(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단은 상기 전력수신수단(220) 등이 형성될 수 있도록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홀더(130)의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다수의 부품 고정을 위한 후크가 관통되는 홈이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코일홀더(130)는 상하의 커버에 의해 보호된다. 즉 상기 코일홀더(130)의 상하에는 코일홀더(130)의 상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커버(140) 및 하커버(150)가 구비되어 상기 코일홀더(130)의 상하를 감싸게 된다.
상기 상커버(140)의 우측단에는 상기 코일홀더(130)의 홀더단자(132)가 수용되는 단자홀더(142)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홀더(142)의 내부에 상기 홀더단자(132)가 하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수용되고, 이러한 단자홀더(142)의 상부는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하단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커버(140)에는 하커버(150)와 결합하기 위한 후크(hook)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TO필름(Indium-Tin Oxide film)과 같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100)의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상기 외측용기(110)와 내측용기(120) 사이에 설치되면, 상기 내측용기(120)의 음식물과의 접촉이 방지되는 한편, 상기 외측용기(110) 외부의 바깥 이물질과도 접촉이 차단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내측용기(12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면 또는 상기 내측용기(120)의 외측면(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은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면에 상하로 부착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의 상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 이상 절곡되어, 하단은 상기 상커버(140)의 단자홀더(142)를 관통하여 상기 코일홀더(130)의 홀더단자(132)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리드스위치(234)에 연결된다.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부 표면(내면)에는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부착되는 필름가이드가 상하로 형성되기도 한다. 즉, 필름가이드가 상기 외측용기(110)의 내부 우측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투명전극필름(240)이 부착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내측용기(120)의 상단에는 상기 영구자석(232)이 수용되는 자석홈(126이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용기(120)의 우측면 상단은 우측으로 단차지게 절곡되어 자석홈(126)을 형성하며, 이러한 자석홈(126)은 상기 영구자석(232) 등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용기(100)의 저면은 상기 본체(50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상기 용기(100)가 쉽게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용기(100)는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의 안착단(90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0)의 저면은 상기 본체(5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이탈도 용이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용기(100)의 저면에는 소정 크기의 폭을 가지는 테두리단(170)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단(170)은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의 하측단(910) 상면에 접하는 부분으로, 하측단(910)의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0)의 저면 중앙부는 상측으로 함몰되어 상측단수용홈(172)을 형성한다. 즉, 상기 용기(100)의 테두리단(170) 내측은 상측으로 함몰되어 상측단수용홈(172)을 형성하며, 이러한 상측단수용홈(172)에는 상기 용기(100)가 본체(500)에 장착될 때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의 상측단(920)이 수용된다.
상기 테두리단(170)은, 일부가 개구된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개구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할 코일안착부(940)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테두리단(170)의 우측단은 개구되어 코일안착부홈(170a)을 형성하며, 이러한 코일안착부홈(170a)에 아래에서 설명할 코일안착부(940)가 수용된다.
상기 용기(100)의 저면 중앙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원형단(17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상측단수용홈(172)의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원형단(174)이 구비된다.
상기 원형단(17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중공되어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와 모터어셈블리(6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원형단(174)은 아래에서 설명할 본체(500)에 형성되는 원형단수용홈(980)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원형단(174)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장착돌기(174a)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장착돌기(174a)는 상기 용기(100)가 상기 본체(500)에 견고하게 정위치에 장착되도록 하며,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착돌기(174a)가 4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착돌기(17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장착돌기(174a)가 아래에서 설명할 돌기홈(982)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 내지 도 7에는 상기 본체(500)의 상반부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는 상기 본체(5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상기 본체(500)의 상반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상기 본체(500)에서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용기(100)의 저면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단(900)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9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안착단(900)은 상기 용기(10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안착단(900)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하단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하측단(910)과, 상기 하측단(910)으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측단(9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측단(920)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단(91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하측단(910)의 상부에는 하측단(9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측단(920)이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하측단(910)과 직경이 작은 상측단(920) 사이에는 상기 본체(500)의 상면과 같이 수평을 이루는 단차면(90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면에는,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이 각각 구비된다. 즉, 원형의 외면을 가지는 상기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주면에는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이 각각 구비되어 하측단(910)과 상측단(920)의 외면(측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은 내측의 부품을 보호함과 더불어 외장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외장링(912)과 상단링(914)은 상기 외장손잡이(304)와 같이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끈하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단(920)과 하측단(910) 사이의 단차면(902)에는, 탄성재질을 가지는 탄성부재(9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9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단(9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차면(902)을 덮는 한편, 상기 상측단(920)의 하반부를 감싸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93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본체(500)의 상측에 용기(100)가 놓여질 때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상측단(920) 위에 놓여지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이 접하게 될 때, 서로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500) 상측단(920) 및 하측단(910)과 상기 용기(100)의 저면이 서로 충돌되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930)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100)의 안착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용도를 가지며, 더불어 필요에 따라 전도고무가 사용되기도 하며, 이때에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에도 전도고무가 구비된다.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에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상기 광수신모듈(82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측단(920)의 우측면은 우측으로 더 돌출되어 코일안착부(940)가 형성되고, 이러한 코일안착부(940)의 상면에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이 설치된다.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은 상기 용기(100)에 구비되는 전력수신수단(220)과 근접하여 전력수신수단(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력송신수단(700)은 유도코일(coil)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같이 코일(coil)이 중심점(미도시)을 기준으로 나선형태로 동일 면에 다수 회 권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PCB기판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500) 내부에는 발진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발진회로부에서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으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고, 전력송신수단(700)에는 인가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진회로부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에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전류세기의 변화에 의해 전력송신수단(700)에서는 자기장이 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전력수신수단(220)과 전력송신수단(700)이 상하로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면,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변함에 따라 전력송신수단(700)에서의 자기장이 변하게 되고, 상기 전력송신수단(700) 및 전력수신수단(220) 간 유도결합에 의해 상기 전력수신수단(220)을 지나는 자속이 변하게 되어 전력수신수단(220)에 유도기전력(induced electromotive force)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도기전력을 상기 광송신모듈(810)로도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광수신모듈(820)은 상기 전력송신수단(700)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즉, 상기 용기(100)에 설치되는 광송신모듈(810)과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 좌측단에 구비되는 수신홈(822)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 좌측단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소정 크기의 수신홈(822)이 형성되고, 이러한 수신홈(822)에 상기 광수신모듈(82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광수신모듈(820)은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광(光)센서(photosensor, photodetecto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송신모듈(810)에서 송신하는 광을 수광하고, 이러한 수광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에는 홀센서(950)와 용기감지스위치(96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즉, 상기 상측단(920)의 상면 선단과 후단부에는 각각 용기스위치홈(962)과 센서홈(952)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용기스위치홈(962)과 센서홈(952)에 상기 용기감지스위치(960)와 홀센서(950)가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용기감지스위치(960)는 리드스위치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500)의 상면에 용기(100)가 안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용기감지스위치(96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용기(100)의 하단에도 이와 대응되는 자석(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홀센서(950)는 상기 본체(500)에 안착되는 용기(100)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에도 상기 용기(100)의 저면에 대응되는 신호 전달수단이 필요할 것이다.
상기 상측단(92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상단링(914)은 2개로 분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단(920)의 우측은 우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코일안착부(940)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코일안착부(940)의 외면을 감싸는 돌출편(916)과, 나머지 부분을 감싸는 곡률편(918)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측단(920)의 상부는 커버(970)에 의해 덮여진다. 따라서, 상기 상측단(920)에 설치되는 상기 전력송신수단(700)과 광수신모듈(820), 용기감지스위치(960), 홀센서(950) 등은 상기 커버(970)에 의해 덮여 보호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단(900)의 중앙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용기(100)의 블레이드어셈블리(200)와 상기 본체(500)에 내장되는 모터어셈블리(6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측단(920)의 중앙부는 하측으로 함몰된 원형단수용홈(980)이 형성되며, 이러한 원형단수용홈(98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용기(100) 하단의 원형단(174)이 수용된다. 즉, 상기 상측단(920)도 전체적으로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상측단(920)의 중앙에는 원형의 원형단수용홈(980)이 형성된다.
상기 상측단(920)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홈(98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홈(982)은 상기 원형단수용홈(98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함몰되게 형성된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용기(100)의 장착돌기(174a)가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홈(982)은 상기 장착돌기(174a)와 대응되는 크기와 수량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기홈(982)의 폭 크기는 상기 장착돌기(174a)의 폭 크기보다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3에는 상기 뚜껑(40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는 상기 뚜껑(400)의 사시도와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과 도 11에는 상기 뚜껑(400)의 상측 및 하측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상기 뚜껑(400)의 절개된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뚜껑(400)의 몸체(410)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은, 상하로 관통되는 뚜껑홀(401)이 형성되는 몸체(410)와, 상기 뚜껑홀(401)을 차폐하는 캡(450)과, 상기 캡(450)이 상기 몸체(4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잠금수단(440)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410)는 원형의 링(ring)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측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뚜껑홀(4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뚜껑홀(401)에는 상기 캡(45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뚜껑홀(401)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몸체(410)는, 중앙부에 상기 뚜껑홀(40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뚜껑케이스(420)와, 상기 뚜껑케이스(420)의 측면을 감싸는 뚜껑외장재(4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케이스(420)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슬릿리브(420a)가 형성되어 상기 뚜껑외장재(430)와 뚜껑케이스(420)가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슬릿리브(420a)는 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한 쌍의 슬릿리브(420a)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틈새인 슬릿(slit)이 형성되고, 이러한 슬릿(slit) 부분에 실리콘(silicon, silicone) 등과 같은 접착제나 탄성제가 도포 또는 충진되어 상기 뚜껑외장재(430)와 뚜껑케이스(4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슬릿리브(420a)가 뚜껑케이스(42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억지끼움으로 상기 뚜껑외장재(430)와 뚜껑케이스(420)가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뚜껑케이스(420)는 상기 몸체(410)의 개략적인 외관과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뚜껑케이스(420)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상기 뚜껑홀(401)이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케이스(420)의 외측에는 소비자로 하여금 외관이 고급스럽고 심미감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 뚜껑외장재(4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뚜껑케이스(420)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외장재(430)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뚜껑외장재(430)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재질 등과 같이 표면이 매끈하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외장재(430)는 상기 뚜껑케이스(420)의 외주면(측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억지끼움 등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케이스(420)의 외주면(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슬릿리브(420a)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등(等)간격으로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케이스(420)는,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는 외벽(422)과, 상기 외벽(42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내부에는 상기 뚜껑홀(401)이 형성되도록 하는 내벽(424)과, 상기 외벽(422)과 내벽(424)의 상단을 연결는 상면(426) 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뚜껑케이스(420)는 전체적으로는 내부가 중공된 소정 폭을 가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뚜껑케이스(420)는, 내부 중앙부에는 뚜껑홀(40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원형의 링(ring) 구조를 가진다.
상기 뚜껑(400)은 상기 용기(100)의 상면을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는 뚜껑홀(40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뚜껑홀(401)에는 캡(45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0)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홀(hole)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뚜껑홀(401)을 구성하며, 이러한 뚜껑홀(401)은 캡(450)이 차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410)의 일측에는, 상기 뚜껑(400)과 용기(1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가스켓(402)과, 상기 가스켓(402)이 고정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링(412)이 더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몸체(410)의 하측에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가지는 지지링(412)과 가스켓(40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링(412)은 상기 몸체(410)의 하단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402)은 이러한 지지링(412)이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링(412)은 상기 외벽(422)의 하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412)의 외면에는 상기 가스켓(402)이 밀착 설치된다.
상기 지지링(412)의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지지홈(412a)이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홈(412a)에 상기 가스켓(402)이 수용되어 체결된다.
상기 가스켓(402)은 상기 뚜껑(400)과 용기(1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상기 용기(100)에 닫혀진 뚜껑(400)이 저절로 용기(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402)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는 다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캡(450)은, 상기 몸체(4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면판(452)과, 상기 뚜껑홀(401)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캡바디(4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바디(4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내부가 중공된 원뿔대 또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원뿔대 형상이나 상하의 지름이 동일한 원통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판(452)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상기 캡바디(454)의 상면을 차폐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바디(454)의 상단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캡바디(454)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뚜껑홀(401)의 상단 내면과 접하는 중간링(456)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중간링(456)은 상기 캡바디(454)의 중앙 부분 또는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450)이 상기 몸체(410)에 장착될 때 상기 상면(426)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간링(456)의 상면은 상기 몸체(410)의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중간링(456)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통기홈(456a)이 더 형성되어 상기 중간링(456)의 상하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통기홈(456a)은 상기 캡(450)의 중간링(456) 상하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링(456)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벽(424)의 상단에는, 상기 중간링(456)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안착홈(424a)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424)의 내면 상단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함몰된 안착홈(424a)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424a)의 내주면은 상기 중간링(456)의 외주면과 대응되거나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벽(424)의 상단 내경 크기는 상기 중간링(456)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중간링(456)은 상기 안착홈(424a)에 안착되어 상기 내벽(424) 아래로 내려오지 못하고 지지된다.
상기 외벽(4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벽(424)의 상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내벽(424)의 상하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거나 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440)은, 상기 몸체(410)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잠금돌기(442)와, 상기 캡(450)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442)가 수용되도록 하는 잠금통로(444) 등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잠금수단(440)은 상기 몸체(4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잠금돌기(442)와, 상기 캡(45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442)가 유동하거나 수용되도록 하는 잠금통로(4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잠금돌기(442)와 잠금통로(444)의 구조와 형성 위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잠금돌기(442)는, 상기 내벽(424)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잠금돌기(442)는, 상기 내벽(424)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내벽(424)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바디(454)의 외면과 밀착되는 밀착면(424b)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캡바디(454)의 하반부는 부분적으로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밀착면(424b)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밀착면(424b)은 상기 캡바디(454)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캡바디(454)에 전후 또는 좌우로 대칭되게 2개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잠금돌기(442)는, 상기 밀착면(424b)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돌기(442)는, 상기 밀착면(424b)으로부터 내측(뚜껑의 중앙으로)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밀착면(424b)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잠금돌기(442)가 상기 캡바디(454) 또는 상기 밀착면(424b)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거리는, 아래에서 설명할 캡(450)의 출입홈(444a)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잠금돌기(442)가 상기 밀착면(424b) 외에 다른 부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밀착면(424b)은 상기 내벽(424)으로부터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잠금돌기(442)가 상기 밀착면(424b) 외의 내벽(424) 내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밀착면(424b)에 형성되는 경우보다 돌출 두께가 더 크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잠금돌기(442)는 상기 잠금통로(444)와 대응되는 수량이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돌기(442)는 상기 내벽(424)이나 밀착면(424b)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돌기(442)가 상기 내벽(424)이나 밀착면(424b)에 2개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밀착면(424b)의 일측에는, 밀착면(424b)보다 외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밀착면(424b) 상측의 음식물이 하측으로 낙하하는 통로가 되는 복귀홈(424c)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밀착면(424b)은 상기 내벽(424)의 하반부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2개가 분리 형성되며, 이러한 2개의 밀착면(424b) 사이에는 복귀홈(424c)이 형성된다.
상기 복귀홈(424c)은 상기 밀착면(424b)보다 외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므로, 상하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캡(450)이 몸체(4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면(424b) 상측으로 상기 용기(100)의 음식물이 튀어 올라온 경우에는 상기 복귀홈(424c)을 통해 다시 아래로 낙하하여 용기(100)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밀착면(424b)의 일단에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밀착면(424b) 상측의 음식물이 상기 복귀홈(424c)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복귀가이드(424d)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밀착면(424b)의 양단 또는 좌우 어느 일단에는, 좌측이나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복귀가이드(424d)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착면(424b)의 상측에 위치된 음식물은 상기 복귀가이드(424d)를 따라 상기 복귀홈(424c)로 미끄러져 내려오게 되고, 결국에는 복귀홈(424c)을 통해 하측의 용기(100)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잠금통로(444)는 상기 캡(4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442)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함은 물론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캡(450)이 상기 몸체(410)에 결합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잠금통로(444)는, 상기 캡(45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442)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출입홈(444a)과, 상기 출입홈(444a)의 일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442)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잠금홈(444b)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캡바디(454)의 하단 외주면에는 한 쌍의 잠금통로(444)가 형성되며, 이러한 잠금통로(444)의 수량은 상기 잠금돌기(442)의 수량과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입홈(44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바디(454)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출입홈(444a)은 상기 캡바디(454)의 하단 내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출입홈(444a)의 상하 길이는 상기 내벽(424)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잠금돌기(442)까지의 거리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홈(444b)은 상기 출입홈(444a)의 상단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출입홈(444a)은 상하로 수직으로 형성됨에 반하여, 상기 잠금홈(444b)은 좌우로 수평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출입홈(444a)의 상단과 잠금홈(444b)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이 연결되어, 상기 잠금돌기(442)가 상기 출입홈(444a)과 잠금홈(444b)에 수용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잠금홈(444b)에는, 상기 잠금홈(444b)에 수용된 잠금돌기(442)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돌기(446)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기 잠금홈(444b)에는 소정 크기의 방지돌기(446)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방지돌기(446)는 상기 잠금홈(444b)의 상하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방지돌기(446)의 돌출 크기는 상기 잠금홈(444b)의 깊이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지돌기(446)는 상기 잠금홈(444b)의 끝단 부근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는 상기 방지돌기(446)가 상기 잠금홈(444b)의 우측단 부근에 형성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캡바디(454)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보강부(454a)가 형성되기도 한다. 즉, 상기 잠금통로(444)가 형성되는 캡바디(454)의 반대편(내측면)은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캡바디(454)의 외주면에 잠금통로(444)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캡바디(454)가 소정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와 도 15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4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다수의 메인칼날부(250b)가 형성되는 메인블레이드(250)와, 다수의 메인칼날부(250b) 사이에 보조칼날부(252b)가 위치되는 보조블레이드(252)와,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의 회전 중심이 되는 블레이드축(260)과, 상기 용기(10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축(26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270)와,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가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캡(28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는 블레이드(250,252)에 의해 음식물이 잘게 분쇄되거나 혼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음식물 분쇄를 위한 블레이드(250,252)는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는 음식물의 분쇄 작용을 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며,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를 도와 음식물이 보다 더 잘게 그리고 손쉽게 분쇄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는,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결합되는 메인고정부(250a)와, 상기 메인고정부(250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메인칼날부(250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고정부(25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메인칼날부(250b)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로부터 방사상으로 4개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중앙으로부터 등(等)각을 이루도록 대칭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중앙부에는 평판 형상을 가지는 소정 크기의 메인고정부(250a)가 형성되며, 이러한 메인고정부(250a)의 외측으로 4개의 메인칼날부(250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짝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블레이드축(260)을 기준으로 전후나 좌우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4개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메인칼날부(250b)가 3개가 구비되거나 5개가 등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홀수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와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메인고정부(250a)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끝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거나, 메인고정부(250a)의 끝단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소정 각도로 벤딩(bending)되어 상측이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도 14 및 도 15에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총 4개 중 좌우로 형성된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와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전후로 형성된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전후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로 벤딩(bending)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 외에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상기 메인고정부(250a)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벤딩(bending)될 수도 있다.(도 17 참조)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전후나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대칭되지 않는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좌우로 형성되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모두 수평이나 상하를 향하도록 벤딩(bending)되는 외에, 좌측과 우측의 메인칼날부(25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좌우로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칼날부(250b) 중 좌측의 메인칼날부(250b)는 하측으로 벤딩(bending)되고, 우측의 메인칼날부(250b)는 상측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도 17 참조)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결합되는 보조고정부(252a)와, 상기 보조고정부(252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칼날부(252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통상 메인블레이드(25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보조고정부(25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결합되는 부분이며,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칼날부(252b)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칼날부(252b)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보다 적은 수량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칼날부(252b)의 길이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의 길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보조칼날부(252b)가 상기 메인칼날부(250b)와 동일한 수량이나 크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칼날부(252b)가 상기 메인칼날부(250b)와 적은 수량과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칼날부(250b)의 분쇄 작용을 보조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보조칼날부(252b)도 짝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고정부(252a)의 양단으로부터 상측으로 각각 벤딩(bending)된 2개의 보조칼날부(252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보조칼날부(252b)도 상기 메인칼날부(250b)와 같이 4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칼날부(252b)가 상기 보조고정부(252a)로부터 2개가 서로 대칭되게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보조칼날부(252b)는, 상기 보조고정부(252a)의 끝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벤딩(bending)되어 보조고정부(252a)와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칼날부(252b)와 보조고정부(252a)가 이루는 각은, 상기 메인칼날부(250b)와 메인고정부(250a)가 이루는 각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보조칼날부(252b)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보다 상측으로 더 벤딩(bending)된다. 즉, 상기 보조칼날부(252b)와 보조고정부(252a)의 상면이 이루는 각도(角度,angle)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와 메인고정부(250a)가 이루는 각도(角度,angle)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보조블레이드(252)가 메인블레이드(250)의 음식물 분쇄 작용을 돕는 것과 동시에 용기(100)의 내부 중앙부의 음식물 유동을 제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블레이드(252)의 보조칼날부(252b)가 용기(100)의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용기(100) 내부 중앙의 음식물이 회전하여 섞이게 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작용하는 공간 외의 중앙부분에 놓여지는 음식물을 상기 보조칼날부(252b)가 부분적으로 절개함과 동시에 중앙부분의 음식물을 상측이나 외측으로 밀어내거나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칼날부(250b)측 또는 상측 등으로 음식물이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가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 등에 유동을 생성함과 동시에 음식물을 분쇄하는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도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기능을 도와 용기(100) 중앙부의 음식물을 분쇄함과 동시에 유동을 일으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칼날부(252b)는 상기 다수의 메인칼날부(250b)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다수의 메인칼날부(250b)가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이루는 각도가 90°가 되도록 등(等)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메인칼날부(250b) 사이에 상기 보조칼날부(252b)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미치지 않는 때에 상기 보조칼날부(252b)가 음식물에 작용하게 되므로, 음식물의 가공 능률이 증대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의 중앙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대(264)가 수용되는 체결홈(25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고정부(250a)와 상기 보조블레이드(252)의 보조고정부(252a)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체결홈(25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54)은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대(264)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축(2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2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270)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고정 장착되는 안착부(272)와, 상기 안착부(272)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 상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부(27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부(2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은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안착부(272)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도록 하는 키면(272a)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착부(272)에는, 상기 바디(270)가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키면(272a)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바디(270)는 상기 용기(10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축(260)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고정 삽입되도록 하는 키면(272a)이 형성된다.
상기 키면(272a)은 상기 안착부(272)의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평면을 가지도록 성형된 것으로, 이러한 키면(272a)이 상기 용기(100)의 대응면(도시되지 않음)에 위치되어 상기 바디(27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키면(27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구되는 평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로 대칭되도록 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상측으로부터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된다.
상기 돌출부(2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272)의 상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부(274)의 하단 외경은 상기 안착부(272)의 외경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270)가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설치될 때, 상기 돌출부(274)의 하단 외경은 상기 용기(100)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바디 삽입홀(도시되지 않음) 내경보다 더 크게 되어, 상기 돌출부(274)는 상기 내측용기(100)의 바닥면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돌출부(2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축(260)은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270)의 내측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축(260)은 상기 바디(27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바디(270)의 내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축(260)이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bearing)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축(260)의 하단에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와 연동하여 모터어셈블리(600)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연결부(26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2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요철(凹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스플라인(spline)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262)와 결합하는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상단 연결부에는 이와 대응되는 스플라인(spline)보스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축(260)의 상단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가 설치되는 체결대(264)와, 상기 고정캡(280)이 체결되는 체결단(266)이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블레이드축(26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캡(280)이 결합되는 체결단(266)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단(266)의 하측에는 상기 체결대(26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대(2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27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블레이드축(260)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가 상기 체결대(26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되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의 저면은 상기 바디(270)의 상면과 간섭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는 상기 체결대(264)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축(26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대(264)의 외면은 상기 체결홈(254)의 내경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에 형성되는 체결홈(254)이 정사각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체결대(264)의 외면도 이러한 체결홈(254)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게 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는 상기 체결대(264)에 장착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 기구 없이도 상기 블레이드축(260)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대(264)의 평단면은, 상기 체결홈(254)과 대응되는 정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대(264)의 외면 크기는 상기 체결홈(254)의 내면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가져 상기 체결홈(254)에 상기 체결대(264)가 수용되어야 하며, 상기 체결대(264) 평단면에서 대각선 길이의 크기는 상기 체결홈(254)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의 거리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가 상기 체결대(264)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 고정캡(280)은 상기 블레이드축(260)의 상단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가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장착되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캡(280)은, 상기 체결단(266)에 결합되는 너트부(282)와, 상기 너트부(28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돔(dome) 형상으로 돌출된 캡부(28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너트부(282)의 내부에는 탭(tap)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266)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캡(280)은 상기 체결단(266)에 나사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부(284)는 반구형 지붕 형상인 돔(dome)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너트부(282)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캡부(284)는, 상기 너트부(282)의 중앙에 형성되는 캡부(284) 내측의 홀(hole) 속으로 음식물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상면에 음식물이 밀착하여 고정되지 않고 미끄러지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도 16 내지 도 36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blade)의 다양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6 내지 도 36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메인블레이드(250)의 5가지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메인블레이드(250)의 5가지 실시예 구성은 보조블레이드(252)에도 적용 가능하다.
먼저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blade)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16 및 도 17에는 상기 블레이드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블레이드(blade)의 제1실시예의 구성이 상측 및 하측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블레이드(blade)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도 16의 A-A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는 상기 블레이드(250,252) 중 메인블레이드(25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메인블레이드(250)의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메인블레이드(250)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메인블레이드(250)와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메인블레이드(250)의 구성 중 동일 기능을 하는 구성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편의상 중복되는 상세 구성 및 기능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블레이드(250)는, 상기 블레이드축(260)에 결합되는 메인고정부(250a)와, 상기 메인고정부(250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메인칼날부(250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로부터 방사상으로 4개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중앙으로부터 등(等)각을 이루도록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외측으로 4개의 메인칼날부(250b)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4개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와 동일 평면을 이루거나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칼날부(250b)는 총 4개 중 좌우로 형성된 메인칼날부(250b)는 상측으로 벤딩(bending)되어 상기 메인고정부(250a)와 소정 각도(α)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전후로 형성된 메인칼날부(250b)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전후 끝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로 벤딩(bending)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 외에 상기 메인칼날부(250b)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메인고정부(250a)와 수평을 이루도록 동일 평면으로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전후나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대칭되지 않는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좌우로 형성되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가 모두 수평이나 상하를 향하도록 벤딩(bending)되는 외에, 좌측과 우측의 메인칼날부(250b)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좌우로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칼날부(250b) 중 좌측의 메인칼날부(250b)는 하측으로 벤딩(bending)되고, 우측의 메인칼날부(250b)는 상측으로 벤딩(bending)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좌우로 형성되는 한 쌍의 메인칼날부(250b)가 상측이나 하측으로 함께 벤딩(bending)되는 경우라도 벤딩(bending) 각도가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 18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좌측에 형성되는 메인칼날부(250b')와 메인고정부(250a)가 이루는 각도(α)는,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우측에 형성되는 메인칼날부(250b")와 메인고정부(250a)가 이루는 각도(α)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메인칼날부(250b')가 상하로 휘어진 각도를 벤딩각(α)이라 하기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고정부(250a)의 좌우로 형성되는 상기 메인칼날부(250b) 4개가 모두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4개가 모두 서로 다른 각도나 방향을 가지도록 벤딩(bending)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칼날부(250b)의 벤딩(bending) 각도가 다양하게 구성되면, 상기 메인칼날부(250b)에 의해 분쇄 또는 절개되는 음식물이 영역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분쇄능률이 향상될 것이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50,252)는, 적어도 어느 일단은 중앙부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 또는 보조블레이드(252)의 일단은 끝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도면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선단과 후단에는 끝단(전방과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메인블레이드(250)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블레이드(250)의 선단은 칼날면 역할을 하는 모서리(leading edge)를 의미하며, 후단은 칼날면과 반대편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로 한다. 즉, 도 16에서 메인블레이드(250)가 화살표로 도시된 것과 같이 시계방향(상방에서 볼 경우)으로 회전할 때에는 음식물을 절개하는 칼날면이 선단(leading edge)이 되고, 음식물 절개에 사용되지 않는 칼날면의 반대편은 후단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 경우 도 19에서는 좌측단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선단(leading edge)이 되고, 우측단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후단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250,252)의 적어도 어느 일면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250c,250c')을 가진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선단이나 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경사면(250c,250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블레이드(250,252)의 메인칼날부(250b) 상면이나 하면에는, 선단 또는 후단의 테두리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250c,250c')이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상면이나 하면 끝단부에는 점차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경사면(250c,250c')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선단과 후단에 각각 경사면(250c,250c')이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상면 후단에는 끝단(후단)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된 상경사면(250c)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하면 선단(leading edge)에는 끝단(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면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된 하경사면(250c')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면(250c,250c')은 음식물의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유체와 음식물에 의한 와류(vortex)를 감소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선단이 경사면(250c,250c')으로 이루어져 예리하게 되면 칼날면이 날까로워 음식물의 절개에 용이하게 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후단이 경사면(250c,250c')으로 되면 수직으로 되는 경우에 비해 소용돌이(vortex)가 방지 또는 감소되어 저항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모터어셈블리(600)의 부하가 줄어들고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선단부가 후단부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는 선단(도 19에서는 좌측단)이 후단(도 19에서는 우측단)보다 소정 각도(β) 만큼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는 선단이 후단보다 소정 각도(β) 만큼 높게 형성되면, 메인칼날부(250b)에 의해 음식물이 하측으로 밀려나는 효과가 있으므로 분쇄와 동시에 음식물의 유동이 생성되어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는 선단이 후단보다 소정 각도(β) 만큼 높게 형성되는 것은 메인블레이드(250)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으로부터 메인칼날부(250b)가 비틀린 비틀림각(β)을 의미하며, 이러한 메인블레이드(250)의 비틀림각(β)을 '받음각'이라 하기도 한다.
도 20 내지 도 23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2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0과 도 21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2실시예 구성을 보인 평면도와 상측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2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2실시예의 하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50,252)의 선단이나 후단에는, 요철(凹凸) 형상이 성형된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선단이나 후단에는 요철(凹凸) 형상이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凹凸) 형상은, 상기 경사면(250c,250c')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요철(凹凸) 형상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선단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요철(凹凸) 형상은 톱니(serration)형상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선단에 요철(凹凸)이 형성되면, 음식물과 접촉하는 칼날면 면적이 증가되므로 음식물의 분쇄 능률이 향상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 선단에 형성되는 요철(凹凸)은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의 요철(凹凸) 형상은 볼록부와 오목홈이 모두 반원형상(상방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가 회전할 때, 상기 용기(100) 내부의 음식물이 상기 요철(凹凸) 형상의 오목홈 사이에 잠시 갇히면서 절단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음식물의 분쇄 능률이 향상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凹凸) 형상은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의 후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가 회전할 때 생성되는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즉, 다수의 요철(凹凸) 형상 중 골(오목홈)에 소음이 갇혀 밖으로 퍼져나가지 못하는 한편, 이러한 다수의 오목한 골(오목홈)에서 생성되는 소음 파장이 위상차에 의해 서로 상쇄되므로 소음이 감소하는 효과가 생긴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에 5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4 및 도 25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구성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4 및 도 25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50,252)의 선단에는 요철(凹凸) 형상이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요철(凹凸) 형상은 상기 경사면(250c,250c')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에 형성되는 요철(凹凸) 형상은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거나 톱니(sawtooth)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도시된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3실시예에는 상기 요철(凹凸) 형상이 4개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25에 도시된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4실시예에는 상기 요철(凹凸) 형상이 3개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25에 도시된 제4실시예에서는 요철(凹凸) 형상이 3개가 형성된 경우이며, 이러한 요철(凹凸)은 블레이드의 안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바깥부분(끝단)은 요철(凹凸)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고유의 절삭 기능을 성실하게 수행 가능하다. 즉, 블레이드의 끝단을 이용하여 딱딱하거나 큰 재료(음식물)의 절삭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톱니(sawtooth) 형상의 요철(凹凸)을 이용하여 무른 재료 등을 효과적으로 절삭 가능하여 다양한 재료에 대한 절삭력이 향상된다.
도 26 내지 도 2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레이드에 형성되는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본 블레이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7에는 도 26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25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8에는 도 27에 도시된 메인블레이드(250)의 정면도와 좌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사용된 블레이드 중 적어도 상기 메인블레이드(250)는 각각 서로 다른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을 가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를 구성하는 4개의 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벤딩각(α) 및 비틀림각(β)을 가지며,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를 구성하는 2개의 블레이드(Blade 5 및 Blade 6)는 동일한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을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다른 각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의 일례로 4개의 상기 메인블레이드(250)가 수평날과 상향날 및 하향날을 모두 갖추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4개의 상기 메인블레이드(250) 중 2개는 서로 마주보며 상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4개의 메인블레이드(250)가 서로 다른 벤딩각(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은 블랜더 내부 음식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골고루 절단하여 잘 자르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방향의 블레이드가 하방향보다 더 많도록 하는 것은 통상 블레이드어셈블리(200)가 블랜더의 용기(100)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측을 향한 블레이드가 더 많도록 한 것이다.
또한 4개의 메인블레이드(250)의 비틀림각(β)도 각각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메인블레이드(250)가 회전 할 때 앞선 블레이드의 후류를 피하도록 하여 부하와 소음 등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은 양력 및 불균형 와류를 생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벤딩각(α)은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가 상하로 벤딩된 각도이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250b")가 수평인 메인고정부(250a)로부터 상하로 휘어진 각을 의미한다.
도 27의 (a)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2블레이드(251b)와 제4블레이드(251d)의 최적의 벤딩각(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7의 (b)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제1블레이드(251a)와 제3블레이드(251c)의 최적 벤딩각(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비틀림각(β)은 다수의 블레이드가 중심선으로부터 비틀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메인칼날부(250b',250b")가 상하로 휘어지는 벤딩선(B)과 중심선(O)이 이루는 각이다. 도 28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각 블레이드가 가지는 최적의 비틀림각(β)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끝부분인 칼날팁(T)은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이루어져 재료의 절삭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팁(T)은 끝단부(a)의 크기는 1mm, 팁폭(b) 크기는 4.9mm, 팁길이(c)는 4.8m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칼날팁(T)의 각 모서리는 유선형 또는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레이드의 회전시 마찰저항과 절삭력 및 강도와 소음 등을 고려한 수치이다.
상기와 같은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의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은 서로 다른 각도록 가지게 하면서 그 각도의 크기는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제2블레이드(251b)와 제4블레이드(251d)는 상방향을 향하는 상향날로서 각각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이 양(+)이 되며, 상기 제1블레이드(251a)는 수평날로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이 영(0)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3블레이드(251c)는 상향날 사이에 형성되는 하향날이며, 벤딩각(α)은 음(-)이 되고 비틀림각(β)은 양(+)이 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블레이드(251c)는 끝단부가 용기(100)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250)는 서로 다른 비틀림각(β)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250)의 비틀림각(β)은 영(0) 또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동일한 비틀림각(β)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블레이드(252)의 비틀림각(β)도 서로 동일하거나 각각 다른 수치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블레이드(252)의 비틀림각(β)은 영(0) 또는 양(+)의 값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상향날은 상기 하향날보다 많은 갯수가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블레이드(251b)와 제4블레이드(251d)와 같이 상향날이 2개이고, 상기 제3블레이드(251c)와 같은 하향날이 1개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1블레이드(251a)와 같은 수평날은 기본적인 분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게 되며, 상기 제2블레이드(251b) 및 제4블레이드(251d)와 같은 상향날은 양력 생성 및 분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3블레이드(251c)와 같은 하향날은 용기(100)의 바닥부에 유동이 생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하측의 재료 분쇄 기능을 가지게 된다.
아래 표는 각 블레이드의 최적 벤딩각(α)과 비틀림각(β)을 구하기 위한 실제 테스트 대상물과 결과이다. 즉 [표1] 내지 [표5]에는 테스트에 사용된 대상물인 블레이드의 스펙이 나타나 있으며, [표6]에는 대상물을 통해 건조콩을 분쇄시험한 테스트 결과가 나타나 있다.
제1대상물
항목 제1블레이드 제2블레이드 제3블레이드 제4블레이드
벤딩각(α) 0 18 -4 24
비틀림각(β) 0 4 11 0
칼날길이(mm) 40 46 40 46
제2대상물
항목 제1블레이드 제2블레이드 제3블레이드 제4블레이드
벤딩각(α) 0 24 -7 18
비틀림각(β) 0 4.1 11 4.1
칼날길이(mm) 40 46 40 46
제3대상물
항목 제1블레이드 제2블레이드 제3블레이드 제4블레이드
벤딩각(α) 0 24 -7 18
비틀림각(β) 0 3.1 11 3.1
칼날길이(mm) 40 46 40 46
제4대상물
항목 제1블레이드 제2블레이드 제3블레이드 제4블레이드
벤딩각(α) 0 24 -7 18
비틀림각(β) 0 2.1 11 2.1
칼날길이(mm) 40 46 40 46
제5대상물
항목 제1블레이드 제2블레이드 제3블레이드 제4블레이드
벤딩각(α) 0 24 -7 18
비틀림각(β) 0 1 11 1
칼날길이(mm) 40 46 40 46
분쇄시험결과
건조콩크기 제1대상물 제2대상물 제3대상물 제4대상물 제5대상물
0mm 45.5 45.5 50.5 52.5 44.5
0.125mm 18 18 15 19 16
0.25mm 45 45 46 49 53
0.5mm 27 27 22 22 27
1mm 7 7 5 2 2
2mm 1 1 1.5 1 1
4mm 0 0 0 0 0
0.5mm이하입자량(g) 109 109 112 121 114
결과표에 나타난 것과 같이 건조콩을 사용하여 분쇄시험한 결과, 0.5mm이하의 입자량은 제4대상물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이는 제4대상물을 사용한 경우에 절삭력이 가장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하면, 상기 4개의 메인블레이드 중 제1블레이드(251a)는 벤딩되지 않는 블레이드이다. 즉 제1블레이드(251a)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중앙부로부터 수평으로 형성된 블레이드이며, 따라서 제1블레이드(251a)의 벤딩각(α)은 영(zero)이 되며, 비틀림각(β)도 0°이다.
상기 제1블레이드(251a)의 반시계방향으로는 제2블레이드(251b)가 구비되며, 제2블레이드(251b)는 벤딩각(α)은 상측 18°이다. 따라서, 제2블레이드(251b)의 메인칼날부(250b)는 수평 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중앙부인 메인고정부(250a)에 대하여 상측으로 18°경사지게 형성되며, 비틀림각(β)은 2.1°이다.
상기 제2블레이드(251b)의 반시계방향으로는 제3블레이드(251c)가 구비되며, 제3블레이드(251c)는 벤딩각(α)은 -7°이다. 따라서, 제3블레이드(251c)의 메인칼날부(250b)는 수평 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중앙부인 메인고정부(250a)에 대하여 하측으로 7°경사지게 형성되며, 비틀림각(β)은 11°이다.
상기 제3블레이드(251c)의 반시계방향으로는 제4블레이드(251d)가 구비되며, 제4블레이드(251d)는 벤딩각(α)은 상측 24°이다. 따라서, 제4블레이드(251d)의 메인칼날부(250b)는 수평 또는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중앙부인 메인고정부(250a)에 대하여 상측으로 24°경사지게 형성되며, 비틀림각(β)은 2.1°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를 구성하는 제1블레이드(251a)와 제2블레이드(251b), 제3블레이드(251c), 제4블레이드(251d)는 서로 반시계 방향으로 등(等)간격(약90°)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블레이드(250)의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를 구성하는 2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제1블레이드(251a)와 제2블레이드(251b) 그리고 제3블레이드(251c)와 제4블레이드(251d)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보조블레이드(252)는 모두 상방향으로 45° 또는 60°의 벤딩각(α)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주로 큰 재료의 초기 자르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메인블레이드(250)의 상측에 놓여지는 재료(음식물)을 직접 향하도록 벤딩각(α)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45° 또는 6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표7]에는 보조블레이드(252)의 최적 벤딩각도를 구하기 위한 테스트 결과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는 한 쌍의 보조블레이드(252)의 벤딩각(α)이 각각 45°와 60°로 이루어진 경우와, 한 쌍의 보조블레이드(252)의 벤딩각(α)이 모두 60°인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시행한 결과이다.
보조칼날의 벤딩각도와 칼날길이에 따른 분쇄시험 결과표
벤딩각도(°) 칼날길이(mm) 평균입경
45°와 60° 24(long) 384
60°와 60° 17(shot) 305
실험결과, [표7]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벤딩각(α)이 모두 60°이고 블레이드길이가 17mm인 경우에 평균입경(mm)이 상대적으로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블레이드(252)의 벤딩각(α)은 모두 60°가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9과 도 30에는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가 서로 다른 벤딩각(α)을 가지는 경우의 해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6과 같은 블레이드를 가지는 경우의 유동해석 결과가 나타나 있다. 상세하게는 도 29에는 블렌더 내부의 유동흐름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0에는 블레이드의 소음원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렌더 용기를 단면으로 자른 상태를 가정하여 내부 유동을 살펴보면, 도 29에서와 같이 블렌더 내부의 속도장과 유동흐름이 나타나며, (c)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으로 내려온 유동은 칼날과 만난 뒤 용기 벽면으로 퍼지고, 용기 벽면에서 블렌더의 리브(Rib) 형상을 만나 용기의 상단부로 이동함을 볼 수 있다.
(a)에서와 같이 벽면을 타고 올라간 유동이 용기 상단에서 중앙부로 모여 다시 유동은 하강함을 볼 수 있다. (b)에서 유동은 블렌더 칼날회전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블렌더 하부에서는 중심에서 용기 벽면으로 퍼지며, 상부에서는 용기 벽면에서 블렌더 중심으로 모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블렌더 내부에서는 초기에는 공기와 물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가 블레이드(칼날)이 회전하면 저압부에서 공동이 생성되고 소멸하게 되며, 공동의 크기는 도 30에서와 같이 블레이드의 벤딩각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벤딩된 제2블레이드(251b) 및 제4블레이드(251d)의 후류 방향으로 가장 크게 생성되었으며, 상단의 2개의 보조블레이드(252)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되었다. 또한 블레이드 표면의 압력섭동을 보면, 하방향으로 향하는 제3블레이드(251c)에서 곡선을 따라 압력 섭동이 크게 나타나며, 이는 공동이 발생하는 형상을 따라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1에는 도 26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6개의 블레이드에 걸리는 부하가 나타나 있다. 즉, 소음원을 추출하기 위해 6개의 블레이드가 각각 받는 힘을 측정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유동 특성중 하나인 중심에서 하강하는 유동의 영향으로 Z축방향의 힘이 가장 많이 발행하게 된다. 각데이터는 3회전의 데이터로 구성되었으며, 1회전 데이터를 볼 때 비슷한 유동 특성이 2번 반복됨을 볼 수 있다. 이는 유동에 가장 많은 힘을 받는 메인블레이드(250)의 상방향 벤딩 블레이드인 제2블레이드(251b)와 제4블레이드(251d) 2개의 칼날이 대칭적으로 위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공동 소음원을 검출하기 위하여 각 칼날에서 발생하는 공동체적을 추출하였고, 공동체적의 변화율을 계산하여 공동소음의 소음원으로 묘사하였다. 각 체적별 변화량을 보면 평날인 제1블레이드(251a)보다 벤딩된 블레이드들이 상대적으로 큰 변화를 보여주며, 특히 제2블레이드(251b) 및 제4블레이드(251d)의 생성 및 소모량이 다른 블레이드들에 비해 많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동소음의 영향에는 제2블레이드(251b) 및 제4블레이드(251d)의 영향이 큰 것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32과 도 33에는 유동 및 소음측정을 위한 해석과 실험에 사용된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2에는 기본적인 블레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2의 (a)에는 보조블레이드(252)가 메인블레이드(250)와 나란히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2의 (b)에는 보조블레이드(252)가 메인블레이드(250)와 45°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3에는 선단부에 요철(凹凸)이 형성된 형태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메인블레이드(250)와 보조블레이드(252)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3의 (a)에는 는 선단에 3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보조블레이드(252)가 4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메인블레이드(250)와 나란히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3의 (b)에는 선단에 3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보조블레이드(252)가 3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메인블레이드(250)와 45°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33의 (c)에는 선단에 3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보조블레이드(252)가 4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메인블레이드(250)와 45°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구성, 도 33의 (d)에는 선단에 3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보조블레이드(252)가 5개의 요철(凹凸)이 형성된 메인블레이드(250)와 45°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구성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각 블레이드의 형상과 구성은 상기에서 예로 설명한 바와 같이, 4개의 상기 메인블레이드(250)는 서로 등(等)간격으로 형성되며, 수평날과 상향날 및 하향날을 모두 갖추고 서로 다른 벤딩각을 가진다. 즉 4개의 메인블레이드 중 제1블레이드(251a)는 벤딩되지 않아 벤딩각(α)이 0°이며, 제2블레이드(251b)는 벤딩각(α)이 상측 18°이고, 제3블레이드(251c)는 벤딩각(α)이 -7°, 제4블레이드(251d)는 벤딩각(α)이 상측 24°이다.
또한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모두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보조블레이드(252)는 상방향으로 45° 또는 60°의 벤딩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구성에 대한 소음과 부하의 영향을 해석 및 테스트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도 34에는 각 블레이드의 음향(noise)파워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ST'는 도 32의 (a)와 같이 블레이드에 요철(凹凸)이 없는 스트레이트 형태이고 보조블레이드(252)와 메인블레이드(250)가 나란히 결합된 샘플을 의미하며, 'SE'는 도 33의 (a)와 같이 블레이드의 선단에 요철(凹凸)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조블레이드(252)와 메인블레이드(250)가 나란히 결합된 샘플을 의미한다.
또한 앞에 'NEW'가 붙은 경우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새로이 사용된 형태의 블레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조블레이드(252)가 메인블레이드(250)와 45°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샘플을 의미한다. 즉 'NEW ST'는 도 32의 (b)와 같이 스트레이트 형태의 블레이드이면서 보조블레이드(252)가 메인블레이드(250)와 45°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것이며, 'NEW SE'는 도 33의 (b),(c),(d)와 같이 블레이드의 선단에 요철(凹凸)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조블레이드(252)와 메인블레이드(250)가 45°로 교차되도록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NEW SE' 다음의 ()안에 표기된 숫자는 메인블레이드(250)의 선단에 형성된 요철(凹凸)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NEW SE(3)'은 도 33의 (b)를 지칭하며, 'NEW SE(4)'은 도 33의 (c)를 지칭하고, 'NEW SE(5)'은 도 33의 (d)에 도시된 샘플을 지칭한다.
여기서 도 32의 (a) 및 도 3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존의 블레이드 형태에 비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블레이드가 전체적으로 소음이 적게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34의 (a)에서와 같이 메인블레이드(250)의 선단에 형성되는 요철(凹凸)의 수는 많을수록 공동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메인블레이드(250)의 선단에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요철(凹凸)이 3개나 4개인 경우에 비해 5개인 경우가 공동이 더 감소하므로 소음도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톱날 형상의 요철(凹凸)이 블레이드의 선단에 형성되면, 무르고 질긴 재료(음식물)의 분쇄 성능이 향상된다.
도 35에는 상기 샘플들의 각 블레이드별로 소음원이 되는 블레이드 표면에서의 압력 섭동과 공동의 체적을 나타낸 결과 이미지이다. 여기서는 메인블레이드(250)의 후류 및 하부에 생기는 공동의 양이 줄어들며, 공동의 형상도 깨지는 형상으로 나타난다. 또한 직선날(ST)인 경우보다 요철(凹凸)이 형성된 톱날(SE) 형태인 경우에 블레이드(칼날) 앞전에서 요철(톱날) 형상으로 인하여 공동이 깨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비교대상인 도 32의 (a) 및 도 33의 (a)에 도시된 블레이드 형태에 비해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블레이드가 전체적으로 공동이 적어 소음이 적게 발생하는 등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6에는 요철(凹凸)이 없는 블레이드에서의 공동노이즈원 및 비공동노이즈원을 서로 비교한 결과값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2의 (a)와 같은 'ST' 보다 도 32의 (b)인 'New ST'가 공동소음과 비공동 소음이 모두 저감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32의 (a)와 같이 보조블레이드(252)와 메인블레이드(250)가 나란히 결합되도록 하는 경우에 비해 도 32의 (b)와 같이 보조블레이드(252)가 메인블레이드(250)와 45°로 교차되도록 하는 것이 소음 등을 줄이는데 유리함을 의미한다.
도 37에는 요철(凹凸)이 없는 블레이드와 요철(凹凸)이 있는 블레이드에서의 노이즈원과 하중변동을 서로 비교한 결과값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2과 같이 요철(凹凸)이 없는 블레이드의 경우보다 도 33처럼 요철(凹凸)이 있는 블레이드의 경우에 공동소음과 비공동 소음이 모두 저감되고 작용하는 하중도 전체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8에는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수치해석 결과와 실제 실험값과 비교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실험은 종합적인(Overall)값을 측정하였으며, 해석은 음향파워를 계산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凹凸)이 5개인 'New SE(5)'의 미세한 차이를 제외하면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가 전반적으로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용기 110. 외측용기
120. 내측용기 130. 코일홀더
132. 홀더단자 140. 상커버
142. 단자홀더 150. 하커버
170. 테두리단 172. 상측단수용홈
174. 원형단 200. 블레이드어셈블리
220. 전력수신수단 230. 개폐수단
232. 영구자석 234. 리드스위치
240. 투명전극필름 250. 메인블레이드
250a. 메인고정부 250b. 메인칼날부
251a. 제1블레이드 251b. 제2블레이드
251c. 제3블레이드 251d. 제4블레이드
252. 보조블레이드 260. 블레이드축
262. 연결부 264. 체결대
266. 체결단 270. 바디
280. 고정캡 300. 손잡이
302. 메인손잡이 304. 외장손잡이
306. 내측손잡이 400. 뚜껑
410. 몸체 420. 뚜껑케이스
430. 뚜껑외장재 440. 잠금수단
442. 잠금돌기 444. 잠금통로
446. 방지돌기 450. 캡
452. 상면판 454. 캡바디
456. 중간링 460. 캡홈
470. 기밀부재 472. 압착부재
474. 밀봉부재 500. 본체
510. 베이스단 520. 무선전력모듈
600. 모터어셈블리 610. 쿨링팬
700. 전력송신수단 800. 감지수단
810. 광송신모듈 820. 광수신모듈
900. 안착단 910. 하측단
920. 상측단 930. 탄성부재
940. 코일안착부 950. 홀센서
960. 용기감지스위치 970. 커버
B. 벤딩선 O. 중심선
α. 벤딩각 β. 비틀림각

Claims (18)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하측에 구비되어 용기를 지지하는 본체와, 상기 용기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용기의 상방을 개폐하는 뚜껑과,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와 보조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벤딩각과 서로 다른 비틀림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수평날과, 상기 수평날보다 상측을 향하는 상향날과, 상기 수평날보다 하측을 향하는 하향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날은,
    상기 하향날보다 많은 갯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선단에는,
    요철(凹凸) 형상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凹凸) 형상은, 3개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凹凸) 형상은, 톱니(sawtooth)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와 교차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와 45°로 교차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레이드는,
    서로 등(等)간격으로 설치되는 4개의 블레이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는,
    1개의 수평날과, 2개의 상향날과, 1개의 하향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날은 벤딩각이 18° 및 24°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날은 벤딩각이 -7°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상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블레이드는,
    상방향으로 45° 또는 60°의 벤딩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의 비틀림각은 영(0) 또는 양(+)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비틀림각이 2.1°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는 비틀림각이 11°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
KR1020210190296A 2021-04-09 2021-12-28 블렌더 KR20220140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0296A KR20220140401A (ko) 2021-04-09 2021-12-28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691A KR20220140325A (ko) 2021-04-09 2021-04-09 블렌더
KR1020210190296A KR20220140401A (ko) 2021-04-09 2021-12-28 블렌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691A Division KR20220140325A (ko) 2021-04-09 2021-04-09 블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401A true KR20220140401A (ko) 2022-10-18

Family

ID=813253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691A KR20220140325A (ko) 2021-04-09 2021-04-09 블렌더
KR1020210190296A KR20220140401A (ko) 2021-04-09 2021-12-28 블렌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691A KR20220140325A (ko) 2021-04-09 2021-04-09 블렌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22883A1 (ko)
EP (1) EP4070701B1 (ko)
KR (2) KR20220140325A (ko)
WO (1) WO202221584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53B1 (ko) 2011-11-24 2013-01-09 박영근 음식물 믹서기용 커터
KR101384979B1 (ko) 2013-09-12 2014-04-14 설정구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US20160066748A1 (en) 2014-09-05 2016-03-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ades and blade assemblies for a blender
US20190045976A1 (en) 2017-08-11 2019-02-14 Sinsion Technology Industrial Co., Ltd. Blend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5585A (ja) * 1998-06-25 2000-01-11 Lion Corp 撹拌機及び撹拌装置
US6550703B2 (en) * 2001-03-29 2003-04-22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Blender cutter
US6609821B2 (en) * 2001-04-13 2003-08-26 Sunbeam Products, Inc. Blender base with food processor capabilities
DE102005033175B3 (de) * 2005-07-13 2006-11-30 Groz-Beckert Kg Weblitze, insbesondere für schnell laufende Webmaschinen
CN201147211Y (zh) * 2008-01-21 2008-11-12 胡秋雷 用于豆浆机或搅拌机上的粉碎刀
EP2127577A1 (en) * 2008-05-30 2009-12-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blender system having a cutter assembly
FR2974995B1 (fr) * 2011-05-13 2013-06-07 Seb Sa Outil de mixage pour recipient de travail d'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EP2736392B1 (en) * 2011-07-26 2019-06-05 SharkNinja Operating LLC Blender system and rotatable blade assembly
US9370280B2 (en) * 2011-09-23 2016-06-21 Whirlpool Corporation Blender with varying internally and externally shaped container
US20160174770A1 (en) * 2014-02-26 2016-06-23 Ming-Hsien Lee Blenderblade assembly and shaft assembly thereof
US10925438B1 (en) * 2014-04-14 2021-02-23 All Metal Sales, Inc. Blender blade formed of titanium or titanium alloy
US9750373B2 (en) * 2014-11-11 2017-09-05 Whirlpool Corporation High-speed blending blade for a food processing appliance
KR20170018400A (ko) * 2015-05-18 2017-02-17 웬 칭 리 교반용 커터 그룹
CN211355090U (zh) * 2019-10-23 2020-08-28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破壁机的粉碎刀具
CN213551385U (zh) * 2020-08-13 2021-06-29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食物破碎用刀具组件及食物破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53B1 (ko) 2011-11-24 2013-01-09 박영근 음식물 믹서기용 커터
KR101384979B1 (ko) 2013-09-12 2014-04-14 설정구 분해 조립이 용이한 믹서기
US20160066748A1 (en) 2014-09-05 2016-03-10 Sharkninja Operating Llc Blades and blade assemblies for a blender
US20190045976A1 (en) 2017-08-11 2019-02-14 Sinsion Technology Industrial Co., Ltd. Bl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0701B1 (en) 2024-05-01
EP4070701A1 (en) 2022-10-12
US20220322883A1 (en) 2022-10-13
KR20220140325A (ko) 2022-10-18
WO2022215845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8602B2 (ja) 手持ち式電気ブレンダーのワンド形装着体
KR102511609B1 (ko) 블렌더
KR20210048914A (ko) 블렌더
KR20220140401A (ko) 블렌더
KR20220140329A (ko) 블렌더
KR20210044071A (ko) 블렌더
KR102630211B1 (ko) 블렌더
KR20210044070A (ko) 블렌더
CN113784649B (zh) 料理机
EP3804589B1 (en) Blender
US20220400903A1 (en) Blender
KR20210044068A (ko) 블렌더
KR20210019798A (ko) 블렌더
KR20210044072A (ko) 블렌더
KR20230017061A (ko) 블렌더
KR20230019540A (ko) 블렌더
AU2020328374B2 (en) Blender
CN105682518B (zh) 用于厨房器具的带有分离肋的工具
KR20220165356A (ko) 블렌더
KR20220165357A (ko) 블렌더
KR20210053726A (ko) 블렌더
KR20210019958A (ko)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