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336A - 이동식 간이 변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간이 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40336A KR20220140336A KR1020210046712A KR20210046712A KR20220140336A KR 20220140336 A KR20220140336 A KR 20220140336A KR 1020210046712 A KR1020210046712 A KR 1020210046712A KR 20210046712 A KR20210046712 A KR 20210046712A KR 20220140336 A KR20220140336 A KR 20220140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bidet
- piston
- spac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8—Night cabinets or tables with closets or bidet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우묵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대소변을 수용하는 변기 바디부; 및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게 상기 변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변기 시트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 저장이 가능하며 비데(bidet)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식 간이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와상 환자들이 사용하는 간이 변기는 환자와 간병인의 편의성과 청결 유지에 있어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간이 변기는 단지 사용자의 엉덩이 아래에 간이 변기를 대어준다는 점 이외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간이 변기는 누워있는 환자의 용변 시 소변이 변기 밖으로 튀는 문제가 발생하여 환자의 용변 후 간병인이 매번 침대시트를 갈아주어야 한다.
또한, 현재의 간이 변기는 비데(bidet)를 구비하지 않아 간병인이 따로 휴대용 비데를 사용하거나 휴지를 사용하여 용변부위를 세척하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 비데는 와상 환자나 간병인이 사용하기에 움직임 동선상 번잡하고, 휴지만으로는 용변부위의 청결성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물 저장이 가능한 공간을 구비하며,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비데(bide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식 간이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환자의 용변 시 소변이 간이 변기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식 간이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식 간이 변기는,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우묵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대소변을 수용하는 변기 바디부; 및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게 상기 변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변기 시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식 간이 변기는, 상기 수용 공간과 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저장된 상기 물을 흡입 및 토출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비데부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분사구가 마련되는 비데 몸체부;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저장된 상기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상기 물을 상기 비데 몸체부로 토출시켜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 몸체부는,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비데 몸체부는, 상기 펌프부와 유로가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비데 몸체부와 상기 호스는, 상기 분사구의 방향이 전환 가능하도록, 벤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펌프부는, 펌프 바디; 상기 펌프 바디의 내부 공간 배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기 펌프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왕복 운동시키는 조작부;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의 일측을 향하여 상기 피스톤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 상기 펌프 바디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각각 연통시키는 흡입구와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와 상기 수용 공간 사이를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변기 바디부 및 상기 변기 시트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변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튀는 유체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튐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를 마주하는 상기 튐 방지부의 둘레에는, 상기 튐 방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튐 방지부의 내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되는 벤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튐 방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변기 시트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구획부에 의해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상기 변기 시트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상기 변기 시트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 바디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변기 시트부의 내부에 물이 저장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변기 시트부의 수용 공간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변기 시트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이동식 간이 변기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변기 시트부의 수용 공간에 저장된 물을 수원으로 이용하는 비데부를 통해, 사용자의 용변 후 용변 부위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비데(bidet)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물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비데 기능을 갖는 이동식 간이 변기의 구성을 보다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튐 방지부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용변 시 변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외부로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식 간이 변기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튐 방지부의 둘레에 마련되는 벤딩부에 의해 튐 방지부로 튄 소변 등의 유체가 튐 방지부의 내측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사용자의 용변 시 소변 등이 이동식 간이 변기 주변으로 튀는 현상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간이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기 시트부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펌프부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데 몸체부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튐 방지부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변기 시트부의 다른 일 예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기 시트부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펌프부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데 몸체부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튐 방지부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변기 시트부의 다른 일 예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식 간이 변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간이 변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기 시트부(120)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펌프부(132)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비데 몸체부(131)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튐 방지부(140)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변기 시트부(120)의 다른 일 예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식 간이 변기(100)는 변기 바디부(110) 및 변기 시트부(120)를 포함한다.
변기 바디부(110)는 이동식 간이 변기(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변기 바디부(110)는 일측에 개구부(110a)가 마련된다. 변기 바디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묵하게 형성되며, 우묵하게 형성된 공간으로 사용자의 대소변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변기 바디부(110)는 이동 시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기 시트부(120)는 사용자가 이동식 간이 변기(100) 사용 시 앉을 수 있는 자리를 형성한다. 변기 시트부(120)는 변기 바디부(110)의 일측에 마련되는 개구부(110a)의 둘레를 따라 개구부(110a)와 연통되게 변기 바디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변기 시트부(120)는 변기 바디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변기 시트부(120)는, 일단부가 변기 바디부(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틸트(tilt) 가능하게 상기 변기 바디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변기 시트부(12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 가능한 수용 공간(121)이 마련된다. 상기 수용 공간(121)은 상기 변기 시트부(120)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변기 시트부(120)에는, 상기 수용 공간(121)의 물이 배치되는 배출구(123)와 상기 수용 공간(121)으로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124)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123)와 주입구(124)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변기 시트부(120)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수용 공간(121)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변기 시트부(12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식 간이 변기(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상기 물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변기 스트부(120)의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등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변기 시트부(120)는 구획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구획부(122)는, 변기 시트부(1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수용 공간(121)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획부(122)는 상기 수용 공간(121)을 제1 수용 공간(121a)과 제2 수용 공간(121b)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 공간(121a)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은 변기 시트부(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용 공간(121b)은 변기 시트부(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획부(122)는 상기 수용 공간(121)을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동식 간이 변기 사용 시, 필요에 따라, 제1 수용 공간(121a)은 빈 공간으로 두고, 제2 수용 공간(121b)에만 물을 주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직접 맞닿는 변기 시트부(120)의 상부 영역의 온도가, 물의 온도에 따라 급격하게 변화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변기 시트부(120)의 급격한 온도 변화에 사용자의 신체가 노출될 가능성이 낮아, 사용자의 이용 편이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이동식 간이 변기(100)는 비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데부(130)는, 변기 시트부(120)의 수용 공간(121)과 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비데부(130)는 상기 수용 공간(121)에 저장된 상기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토출시켜 이동식 간이 변기(100)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데부(130)는 변기 시트부(120)의 수용 공간(121)에 저장된 상기 물을 수원으로 이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비데(bidet) 기능을 갖는 이동식 간이 변기(100)의 구성을 보다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사용자의 용변 후 용변 부위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비데부(130)는 비데 몸체부(131) 및 펌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비데 몸체부(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측에 사용자의 용변 부위 세척을 위한 분사구(131a')가 마련될 수 있다.
펌프부(132)는, 상기 수용 공간(121)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토출시켜 비데 몸체부(131)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데 몸체부(131)는 상기 분사구(131a')를 통해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비데 몸체부(131)는 호스(131a)를 구비할 수 있다.
호스(131a)는 펌프부(132)와 유로가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분사구(131a')가 형성될 수 있다. 호스(131a)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비데 몸체부(131)와 호스(131a)는 상기 분사구(131a')의 방향이 전환 가능하도록 벤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데 몸체부(131)와 호스(131a)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펌프부(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바디(132a), 피스톤(132b), 조작부(132c), 탄성부(132d), 흡입구(132e1), 토출구(132e2) 및 연결관(132f)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a)는 피스톤(132b)이 상승함에 따라 펌프 바디(132a)의 내부 공간으로 물이 흡입구(132e1)를 통해 흡입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도 3의 (b)는 피스톤(132b)이 하강함에 따라 펌프 바디(132a)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물이 토출구(132e2)를 통해 토출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펌프 바디(132a)는 펌프부(132)의 외관을 형성한다.
피스톤(132b)은 펌프 바디(132a)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조작부(132c)는 피스톤(132b)의 일측을 가압하여 피스톤(132b)을 펌프 바디(132a)의 내부 공간에서 왕복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부(132c)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132d)는 피스톤(132b)의 타측에 마련되고, 피스톤(132b)의 일측을 향하여 피스톤(132b)을 탄성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탄성부(132d)는 피스톤(132b)이 피스톤(132b)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피스톤(132b)의 타측을 밀어내어, 피스톤(132b)의 타측에서 일측으로 피스톤(132b)을 다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부(132d)는 스프링(spring)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132e1)와 토출구(132e2)는, 펌프 바디(132a)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각각 연통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32e1)와 토출구(132e2)에는, 각각 펌프 바디(132a)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 및 토출되는 유체의 개폐를 위한 유입밸브(132e1')와 유출밸브(132e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132e1)는 상기 호스(131a)와 연결 될 수 있다.
연결관(132f)은 펌프부(132)의 상기 흡입구(132e1)와 변기 시트부(120)의 수용 공간(121) 사이를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관(132f)의 일측은 흡입구(132e1)에 연결되고, 연결관(132f)의 타측은 변기 시트부(120)의 배출구(123)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동식 간이 변기(100)는 튐 방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튐 방지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바디부(110)와 변기 시트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a)는 튐 방지부(140)의 저면을 바라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도 5의 (b)는 튐 방지부(140)의 측면을 바라본 모습을 보이고 있고, 도 5의 (c)는 도 5의 (a)에 도시된 A-A 선에 따른 튐 방지부(140)의 단면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튐 방지부(140)는 변기 바디부(110)의 상기 개구부(110a)를 통해 변기 바디부(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튀는 유체를 가로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 간이 변기(100)는, 사용자의 용변 시 변기 바디부(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소변이 튀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식 간이 변기(100) 주변이 소변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튐 방지부(140)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식 간이 변기(100)의 사용자에 따라 튐 방지부(140)의 형상을 변형시켜 변기 바디부(110)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튀는 유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로막아, 소변 등과 같은 유체의 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변기 바디부(110)의 상기 개구부(110a)를 마주하는 튐 방지부(140)의 둘레에는 벤딩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벤딩부(141)는, 상기 튐 방지부(140)의 단부에서 상기 튐 방지부(140)의 내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튐 방지부(140)로 튄 소변 등의 오염 물질이 튐 방지부(140)의 내측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사용자의 용변 시 소변 등이 이동식 간이 변기(100)의 주변으로 튀는 현상을 보다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설명된 실시예들의 범주 및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0 : 이동식 간이 변기
110 : 변기 바디부
110a : 개구부
120 : 변기 시트부
121 : 수용 공간
121a : 제1 수용 공간
121b : 제2 수용 공간
122 : 구획부
123 : 배출구
124 : 주입구
130 : 비데부
131 : 비데 몸체부
131a : 호스
131a' : 분사구
132 : 펌프부
132a : 펌프 바디
132b : 피스톤
132c : 조작부
132d : 탄성부
132e1 : 흡입구
132e1' : 유입밸브
132e2 : 토출구
132e2' : 유출밸브
132f : 연결관
140 : 튐 방지부
141 : 벤딩부
110 : 변기 바디부
110a : 개구부
120 : 변기 시트부
121 : 수용 공간
121a : 제1 수용 공간
121b : 제2 수용 공간
122 : 구획부
123 : 배출구
124 : 주입구
130 : 비데부
131 : 비데 몸체부
131a : 호스
131a' : 분사구
132 : 펌프부
132a : 펌프 바디
132b : 피스톤
132c : 조작부
132d : 탄성부
132e1 : 흡입구
132e1' : 유입밸브
132e2 : 토출구
132e2' : 유출밸브
132f : 연결관
140 : 튐 방지부
141 : 벤딩부
Claims (10)
- 일측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우묵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대소변을 수용하는 변기 바디부; 및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게 상기 변기 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 가능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변기 시트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과 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저장된 상기 물을 흡입 및 토출시켜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지는 비데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부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분사구가 마련되는 비데 몸체부;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저장된 상기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상기 물을 상기 비데 몸체부로 토출시켜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펌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 몸체부는,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되는 상기 물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세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데 몸체부는,
상기 펌프부와 유로가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분사구가 형성되는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비데 몸체부와 상기 호스는, 상기 분사구의 방향이 전환 가능하도록, 벤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펌프 바디;
상기 펌프 바디의 내부 공간 배치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기 펌프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왕복 운동시키는 조작부;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피스톤의 일측을 향하여 상기 피스톤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
상기 펌프 바디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각각 연통시키는 흡입구와 토출구; 및
상기 흡입구와 상기 수용 공간 사이를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호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바디부 및 상기 변기 시트부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변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튀는 유체를 가로막도록 형성되는 튐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마주하는 상기 튐 방지부의 둘레에는, 상기 튐 방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튐 방지부의 내측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되는 벤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튐 방지부는, 적어도 일부가 벤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부는, 상기 수용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구획부에 의해 제1 수용 공간과 제2 수용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용 공간은 사용자의 신체와 맞닿는 상기 변기 시트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상기 변기 시트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간이 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712A KR102515951B1 (ko) | 2021-04-09 | 2021-04-09 | 이동식 간이 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6712A KR102515951B1 (ko) | 2021-04-09 | 2021-04-09 | 이동식 간이 변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0336A true KR20220140336A (ko) | 2022-10-18 |
KR102515951B1 KR102515951B1 (ko) | 2023-03-31 |
Family
ID=8380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6712A KR102515951B1 (ko) | 2021-04-09 | 2021-04-09 | 이동식 간이 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595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7912Y1 (ko) * | 2005-07-14 | 2005-10-10 | 김태진 | 좌변기용 소변받이 |
KR20100005243U (ko) * | 2008-11-12 | 2010-05-20 | 이경옥 |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
US20130091626A1 (en) * | 2011-10-12 | 2013-04-18 | Ahmed I.S.I. Al-Jafar | Wheelchair with toilet, bidet, waste storage tank and discharge |
KR20140077430A (ko) * | 2012-12-14 | 2014-06-24 | 박정호 | 휴대용 비데 |
KR20170037204A (ko) * | 2015-09-25 | 2017-04-04 | 하상균 | 세정수 분사용 압축기를 구비한 착탈식 핸드비데 |
-
2021
- 2021-04-09 KR KR1020210046712A patent/KR1025159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7912Y1 (ko) * | 2005-07-14 | 2005-10-10 | 김태진 | 좌변기용 소변받이 |
KR20100005243U (ko) * | 2008-11-12 | 2010-05-20 | 이경옥 |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
US20130091626A1 (en) * | 2011-10-12 | 2013-04-18 | Ahmed I.S.I. Al-Jafar | Wheelchair with toilet, bidet, waste storage tank and discharge |
KR20140077430A (ko) * | 2012-12-14 | 2014-06-24 | 박정호 | 휴대용 비데 |
KR20170037204A (ko) * | 2015-09-25 | 2017-04-04 | 하상균 | 세정수 분사용 압축기를 구비한 착탈식 핸드비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5951B1 (ko) | 2023-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89019B (zh) | 清洁器吸嘴 | |
CN114504270B (zh) | 用于清洁器的吸嘴 | |
US5299561A (en) | Suction control apparatus for an endoscope | |
CN116269039A (zh) | 清洁器吸嘴 | |
US903256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excreta | |
US5864895A (en) | Handy body washer | |
CN115989982A (zh) | 清洁器的吸嘴 | |
US11214950B2 (en) | Sanitary washing device | |
KR101745857B1 (ko) | 직수식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 |
US11668084B2 (en) | Sanitary washing device | |
KR101663101B1 (ko) | 세정액 토출이 가능한 수도꼭지 | |
KR102003747B1 (ko) | 배설물 처리장치의 세척 및 소독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배설물 처리장치 | |
KR20220140336A (ko) | 이동식 간이 변기 | |
US11591784B2 (en) | Sanitary washing device | |
CN112575859B (zh) | 冲水大便器 | |
CN219909220U (zh) | 具有流体喷射功能的排便装置 | |
CN219825491U (zh) | 具有流体喷射功能的排便装置 | |
KR100236391B1 (ko) | 자동발세정장치 | |
KR100867861B1 (ko) | 노즐팁 | |
CN219909218U (zh) | 具有流体喷射功能的排便装置 | |
CN219887069U (zh) | 具有吹干功能的排便装置 | |
CN219825492U (zh) | 具有流体喷射功能的排便装置 | |
KR102275208B1 (ko) |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 |
KR101284124B1 (ko) | 세제를 배출하는 샤워기 | |
JPH0723897A (ja) | 逆流防止弁を配置した内視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