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235A -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 Google Patents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235A
KR20220140235A KR1020210046465A KR20210046465A KR20220140235A KR 20220140235 A KR20220140235 A KR 20220140235A KR 1020210046465 A KR1020210046465 A KR 1020210046465A KR 20210046465 A KR20210046465 A KR 20210046465A KR 20220140235 A KR20220140235 A KR 2022014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tate
mounting block
spacer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0229B1 (ko
Inventor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유니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5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with vanes or blades extending parallel or oblique to the stirr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1Fixing of the stirrer to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erpendicular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더블 블레이드 구조에 의해 블레이드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교반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장치 자체의 구조적인 안정성과 조립 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기(10)의 회전축(12) 상에 장착되어 피교반물을 교반시키도록 된 블레이드유닛에 있어서; 일정 면적의 제1 안착면(27)이 형성된 제1 장착블록(21)과; 상기 제1 안착면(27) 상에 일면이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23)와; 상기 제1 장착블록(21)에 대응되어 제2 안착면(28)이 형성된 제2 장착블록(22)과; 상기 제2 안착면(28) 상에 일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23)에 대해 상하로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24)와; 상기 제1 블레이드(23)와 제2 블레이드(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블레이드(23,24)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된 한 쌍의 지지면(31,32)이 형성된 간격재(25)와; 상기 제1 장착블록(21)과 제2 장착블록(22) 및 상기 간격재(25)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2)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체결볼트(26)를 포함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Blade unit of a m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의 더블 블레이드 구조에 의해 블레이드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교반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반기는 페인트나 안료 등과 같은 액상의 원료를 혼합하거나 입자를 미세하게 분쇄하도록 된 것으로, 대개 본체의 지주 상에 상부프레임을 수평 연장시켜 이에 회전축이 매달린 상태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데,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는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용기 내에 담긴 피교반물을 교반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교반기에 있어서, 통상의 블레이드는 날부분이 일정 각도로 꼬이거나 날의 끝부분이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데, 종래의 블레이드유닛은 전술된 바와 같은 블레이드를 단독으로 장착하여 교반하거나 두개의 블레이드를 상호 밀착시킨 상태로 장착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블레이드유닛은 하나의 블레이드에 의해 교반하도록 구비되어 교반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두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호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두개의 블레이드 사이에 피교반물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두개의 블레이드에 의한 상호작동과 그에 따른 상승되는 교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1512호(2013. 03. 0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더블 블레이드 구조에 의해 블레이드 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교반효과를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장치 자체의 구조적인 안정성과 조립 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교반기(10)의 회전축(12) 상에 장착되어 피교반물을 교반시키도록 된 블레이드유닛에 있어서;
일정 면적의 제1 안착면(27)이 형성된 제1 장착블록(21)과;
상기 제1 안착면(27) 상에 일면이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23)와;
상기 제1 장착블록(21)에 대응되어 제2 안착면(28)이 형성된 제2 장착블록(22)과;
상기 제2 안착면(28) 상에 일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23)에 대해 상하로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24)와;
상기 제1 블레이드(23)와 제2 블레이드(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블레이드(23,24)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된 한 쌍의 지지면(31,32)이 형성된 간격재(25)와;
상기 제1 장착블록(21)과 제2 장착블록(22) 및 상기 간격재(25)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2)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체결볼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격재(25)에는 상기 지지면(31,32)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공(38)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8) 상에는 상기 제1 장착블록(21) 또는 제2 장착블록(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내장볼트(34)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장볼트(34)는 상기 제1 블레이드(23)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장착블록(21) 상에 상기 간격재(25)를 일체로 나사체결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볼트(26)는 상기 내장볼트(34)에 의해 일체화된 제1 블레이드(23)를 상기 회전축(12) 상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24)를 상기 간격재(25)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 장착블록(22)을 일체로 나사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블레이드(23,24)는 상기 장착블록(21,22) 상에 면접촉되는 판부(29)와, 상기 판부(29)의 둘레를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절곡되어 교반과정에서 피교반물이 원심력에 의해 튕겨져 나갈 때에 충돌되는 절곡날부(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블레이드(23)와 제2 블레이드(24)가 간격재(25)의 의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에 따라, 각 블레이드(23,24)에 의한 개별적인 교반효과에 더하여 블레이드(23,24) 상호간의 간섭에 따른 피교반물의 난류형성 등에 따른 교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볼트(26)와 간격재(25)를 장착블록(21,22) 상에 체결하는 내장볼트(34)에 의해 다지점에서 고정시킴에 따라, 체결볼트(26)와 내장볼트(34)에 의해 블레이드(23,24)를 다지점에서 다중으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블레이드(23,24) 사이에 위치되는 간격재(25) 자체에 의해 교반과정에서 피교반물이 부딪혀 흐름변화나 미분화 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격재(25)에 내장볼트(34)가 체결되어 장착블록(21,22) 상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됨에 따라, 체결볼트(26)에 의해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보강하여 더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내장볼트(34)에 의해 구성의 일부를 일체로 유닛화한 상태에서 장치의 구성을 회전축(12) 상에 조립함에 따른 설치나 분리 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유닛(20)은 교반기(10)의 본체(11) 상에 하향 연장되는 설치되는 회전축(12) 상에 장착되어 교반용기(13) 내에 충전된 피교반물을 혼합 또는 미분처리하도록 된 것으로, 두 개의 블레이드(23,24)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결합구조에 의해 교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과 작동상태 등을 도 2 내지 도 5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유닛(20)은 제1 장착블록(21) 상에 밀착되는 제1 블레이드(23)와, 이 제1 블레이드(23)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제2 블레이드(24)가 제2 장착블록(22) 상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23)와 제2 블레이드(24) 사이에 간격재(25)를 개재하여 체결볼트(26)에 의해 일체로 회전축(12) 상에 나사체결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23)와 제2 블레이드(24)의 간격(D)은 대략 2cm 내외로 근접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간격(D)을 특정하게 한정한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는 하나의 블레이드(23)에 의한 교반작동이 다른 블레이드(24)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간격(D)이거나 두 개의 블레이드(23,24)에 의해 피교반물의 흐름이나 교반정도 등을 변화시키도록 연동 가능한 간격(D)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1 블레이드(23)와 제2 블레이드(24) 사이로 피교반물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특정한 흐름이나 난류가 형성되거나 두 개의 블레이드(23,24)에 피교반물이 부딪히는 강도나 범위 등을 넓게 형성하여 미분화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간격재(25)는 상기 장착블록(21,22)에 대응된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23,24)의 외경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원형단면의 블록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이 간격재(25)는 상하에 지지면(31,32)이 형성되어 상기 각 장착블록(21,22)에 대향되어 각 블레이드(23,24)의 타면을 밀착시키게 되며, 상기 지지면(31,32) 측에는 복수개의 체결공(33)이 형성되어 내장볼트(34)에 의해 간격재(25)와 제1 장착블록(21)을 일체로 체결시키는데, 상기 내장볼트(34)에 의해서는 상기 제1 장착블록(21)과 제2 장착블록(22)을 전체적으로 나사체결하도록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체결볼트(26)와 내장볼트(34)는 구성간의 결합력을 더욱 높임과 동시에 조립이나 분해작업 등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과 결합상태 등을 도 3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장착블록(21,22)이나 블레이드(23,24)는 상호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장착위치 등을 달리하여 조립함에 따라 제작 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각 블레이드(23,24)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장착블록(21,22)의 안착면(27,28)에 면접촉된 상태로 밀착되는 디스크 형태의 판부(29)와 이 판부(29)의 둘레에 상하로 교차 절곡된 상부절곡날(30a)과 하부절곡날(30b)로 이루어진 절곡날부(30)로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절곡날부(30)가 블레이드(23,24)의 외주를 따라 상하로 절곡되거나 외경방향으로 중첩된 상태로 형성된 경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블레이드(23,24) 사이에 통과되는 피교반물이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튕겨져 나가면서 상기 절곡날부(30)에 부딪히는 강도나 충격을 극대화하여 피교반물을 미분화시키는 해머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같이 두 개의 블레이드(23,24)가 일정 간격(D)의 이격되어 그 사이로 피교반물이 통과되는 구조에서 유효하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장착블록(21)은 회전축(12)에 삽입되는 축공(35)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제1 블레이드(23)가 밀착되는 제1 안착면(27)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2 장착블록(22)은 상면에 제2 블레이드(24)가 밀착되는 제2 안착면(28)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체결볼트(26)가 체결되는 볼트공(36)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간격재(25)는 상하에 편평하게 된 지지면(31,32)이 형성되고, 이 지지면(31,32)의 중앙부에 상기 체결볼트(26)에 대응된 볼트공(37)이 형성되며, 이 볼트공(37)에 거리를 두고 상기 내장볼트(34)에 대응된 체결공(38)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는 상기 간격재(25)의 지지면(31,32)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공(38) 상에 내장볼트(34)를 체결하여 상기 체결볼트(26)에 의해 장치를 전체적으로 회전축(12) 상에 설치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간격재(25)를 제1 장착블록(21) 상에 체결하여 장치의 구성을 부분적으로 일체화한 상태로 상기 체결볼트(26)에 의해 완전하게 고정 설치하여 상기 각 블레이드(23,24)를 다지점에서 다중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 블레이드(23,24)의 판부(29) 상에는 상기 체결볼트(26)와 내장볼트(34)에 대응되어 중앙에 형성된 센터홀(39)과 이 센터홀(39)의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홀(40,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장착블록(21) 저면측에는 상기 내장볼트(34)가 체결되는 나사홈(4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장착블록(22) 상면측에는 상기 내장볼트(34)의 헤드(34a)가 일부 삽입되는 헤드홈(4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 블레이드(22)에 형성되는 사이드홀(41)은 제1 블레이드(23)의 사이드홀(4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내장볼트(34)의 헤드(34a) 측에 삽입 가능하여 장치가 전체적으로 상호 밀착된 상태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호는 각 블레이드(23,24)의 판부(29) 상에 형성된 장공(44)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블레이드(23,24) 자체의 무게를 줄여 회전과정에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살빼기 부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교반기 12: 회전축
20: 블레이드유닛 21: 제1 장착블록
22: 제2 장착블록 23: 제1 블레이드
24: 제2 블레이드 25: 간격재
26: 체결볼트 27: 제 안착면
28: 제 안착면 29: 판부
30: 절곡날부 30a: 상부절곡날
30b: 하부절곡날 31,32: 지지면
34: 내장볼트

Claims (4)

  1. 교반기(10)의 회전축(12) 상에 장착되어 피교반물을 교반시키도록 된 블레이드유닛에 있어서;
    일정 면적의 제1 안착면(27)이 형성된 제1 장착블록(21)과;
    상기 제1 안착면(27) 상에 일면이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는 제1 블레이드(23)와;
    상기 제1 장착블록(21)에 대응되어 제2 안착면(28)이 형성된 제2 장착블록(22)과;
    상기 제2 안착면(28) 상에 일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블레이드(23)에 대해 상하로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24)와;
    상기 제1 블레이드(23)와 제2 블레이드(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블레이드(23,24)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된 한 쌍의 지지면(31,32)이 형성된 간격재(25)와;
    상기 제1 장착블록(21)과 제2 장착블록(22) 및 상기 간격재(25)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12)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체결볼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25)에는 상기 지지면(31,32)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공(38)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8) 상에는 상기 제1 장착블록(21) 또는 제2 장착블록(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내장볼트(34)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볼트(34)는 상기 제1 블레이드(23)를 고정하도록 상기 제1 장착블록(21) 상에 상기 간격재(25)를 일체로 나사체결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볼트(26)는 상기 내장볼트(34)에 의해 일체화된 제1 블레이드(23)를 상기 회전축(12) 상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2 블레이드(24)를 상기 간격재(25)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2 장착블록(22)을 일체로 나사체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레이드(23,24)는 상기 장착블록(21,22) 상에 면접촉되는 판부(29)와, 상기 판부(29)의 둘레를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절곡되어 교반과정에서 피교반물이 원심력에 의해 튕겨져 나갈 때에 충돌되는 절곡날부(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KR1020210046465A 2021-04-09 2021-04-09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KR102540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65A KR102540229B1 (ko) 2021-04-09 2021-04-09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65A KR102540229B1 (ko) 2021-04-09 2021-04-09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235A true KR20220140235A (ko) 2022-10-18
KR102540229B1 KR102540229B1 (ko) 2023-06-07

Family

ID=8380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465A KR102540229B1 (ko) 2021-04-09 2021-04-09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36Y1 (ko) * 2001-11-06 2002-02-19 박남걸 용수용해장치
KR101241512B1 (ko) 2011-11-22 2013-03-11 김경호 믹싱장치의 교반임펠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36Y1 (ko) * 2001-11-06 2002-02-19 박남걸 용수용해장치
KR101241512B1 (ko) 2011-11-22 2013-03-11 김경호 믹싱장치의 교반임펠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229B1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30256B1 (ru) Узел рабочего колеса мешалки
RU2000108708A (ru) Покрытая стеклом, диспергирующая газ, мешалка
KR20220140235A (ko) 교반기의 블레이드유닛
KR101241512B1 (ko) 믹싱장치의 교반임펠러
KR20180088949A (ko) 전자소재 혼합용 교반 장치
CA1134811A (en) Dual drive co-axial disperser
JP2762388B2 (ja) 流体の混合分散機
CN109200976A (zh) 生产羧基丁苯胶乳的搅拌装置
KR100679280B1 (ko) 교반장치
KR20140063178A (ko) 분할식 교반축
CN108905740A (zh) 一种化工涂料搅拌设备
CN210097480U (zh) 一种双轴油墨调配釜
CN211487691U (zh) 一种卧式反应釜的减震机构
JP3320984B2 (ja) 高粘度流体用撹拌装置
CN209597314U (zh) 粉碎组件和残材搅碎机
CN109046113A (zh) 一种建筑涂料的粉碎搅拌装置
CN214915410U (zh) 一种汽车直流电机碳刷生产用配料微型混合器
CN110508176A (zh) 一种多原料聚集搅拌装置
CN217449707U (zh) 一种对开式开启涡轮搅拌器
JPH07786A (ja) 攪拌翼
CN209952850U (zh) 一种生产油墨用搅拌器
CN217473315U (zh) 一种高速混合分散搅拌装置
US9724655B2 (en) Container for stirrer
CN206064289U (zh) 均质定子支承座
CN217594488U (zh) 一种搅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