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615A - 배관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615A
KR20220139615A KR1020210045789A KR20210045789A KR20220139615A KR 20220139615 A KR20220139615 A KR 20220139615A KR 1020210045789 A KR1020210045789 A KR 1020210045789A KR 20210045789 A KR20210045789 A KR 20210045789A KR 20220139615 A KR20220139615 A KR 2022013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
pipe
housing
ro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175B1 (ko
Inventor
허철구
허철기
정병기
정일웅
권종정
주동욱
남지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광
Priority to KR102021004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1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1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the movement being hydraulically or electrically contro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단에는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판을 결합 구비하고, 하단에는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를 결합 구비하는 연결로드,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연결로드를 유압으로 지지하는 지지 실린더부, 슬라이딩판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에 따른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배관변동 감지센서, 지지 실린더부 및 배관변동 감지센서와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변동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의 이동범위 수치에 따라 지지 실린더부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면서 배관이 안정적인 변동범위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딩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배관변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pip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과 같은 대형 구조물에는 여러 가지 목적의 배관을 사용한다. 특히, 이같은 대형 구조물에 사용되는 배관은 무게나 크기 등이 큰 대구경 배관을 사용한다.
이러한, 배관은 설치되는 구조물 자체에서 발생된 움직임을 전달받거나, 배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유동에 의하여 배관에 진동이 발생한다. 또한,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온도에 따라 배관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 경우, 배관은 수평 성분 또는 수직 성분의 변위가 발생함으로 인해 배관의 손상 또는 파손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배관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 지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지지장치는, 단순히 배관을 연결 지지할 뿐 실시간으로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할 수 없음과 더불어 변동이나 진동상태에 따라 배관의 지지위치를 조절할 수 없어 배관의 손상이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관용 지지장치에 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50161호(2019.05.10)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파악한 후, 배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배관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단에는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판을 결합 구비하고, 하단에는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를 결합 구비하는 연결로드, 상기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연결로드를 유압으로 지지하는 지지 실린더부, 상기 슬라이딩판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에 따른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배관변동 감지센서, 상기 지지 실린더부 및 배관변동 감지센서와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변동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의 이동범위 수치에 따라 지지 실린더부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면서 배관이 안정적인 변동범위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딩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배관변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하우징 내측에서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조정하는 변동범위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홈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조절연결홈이 형성된 조절연결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동범위 조절부는, 상기 조절연결단과 연결되도록 조절연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이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조절로드, 상기 조절연결단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조절로드 외측에 삽입 설치하는 한 쌍의 걸림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실린더부는, 실린더 로드를 연결로드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 상부의 하우징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실린더로드 단부는 슬라이딩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실린더, 실린더 로드를 연결로드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 하부의 하우징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실린더 로드 단부는 슬라이딩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변동 제어부는, 상기 지지 실린더부와 연결되게 설치하며, 지지 실린더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 상기 유압공급수단 및 배관변동 감지센서와 연결되며, 배관의 안정적인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는 안전범위가 저장되어, 배관변동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위치 정도에 따라 유압공급수단에서 지지 실린더부로의 유압 공급을 조절하면서 배관이 안전범위 내에서 변동이나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유압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는, 연결로드에 연결된 배관을 지지 실린더부의 유압으로 지지하고,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에서 배관변동 감지센서가 연결로드 상단의 슬라이딩판 상하방향 이동위치를 감지하고, 배관변동 제어부는 배관변동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의 이동범위 수치에 따라 지지 실린더부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여 슬라이딩판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배관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변동범위나 진동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의 설치상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A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배관용 지지장치는, 하우징(100), 연결로드(200), 지지 실린더부(300), 배관변동 감지센서(400), 배관변동 제어부(500)를 구비한 상태로 지지 구조물(10)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는 배관(20)을 연결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이후 설명될 연결로드(200)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함과 더불어 변동범위 조절부(230)를 연결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통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 실린더부(300)를 내측에 삽입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상측을 개방시킨 형태의 통 구조로 형성한 후, 덮개판(101)이 개방된 하우징(100)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102)를 통해 하우징(100)의 상측을 밀폐하도록 하우징(100)에 결합됨으로써, 연결로드(200)와 지지 실린더부(300)를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거나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외부로 이탈을 쉽게 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하우징(100)의 바닥면부 중앙에는 연결로드(200)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관통되게 연결 배치할 수 있도록 로드삽입공(100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로드삽입공(100a)이 형성된 부분에는 연결로드(200)를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베어링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판(101)의 상면에는 지지 구조물(10)에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부재(11)를 통해 연결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104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연결러그(104)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측면부에 상호 마주보도록 적어도 한 쌍의 승강가이드홈(103)이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가이드홈(103)은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즉 연결로드(200)의 축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같이, 승강가이드홈(103)은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을 하우징(100)에 연결되게 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가이드함과 더불어 슬라이딩판(210)을 탄성 조절부(400)와 연결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판(210)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조절연결단(211)을 하우징(100)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게 한다.
상기 연결로드(200)는 하우징(1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는 직선형의 축 부재이다. 이러한, 연결로드(200)의 상단에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슬라이딩판(210)을 결합 구비한다. 여기서, 슬라이딩판(210)은 하우징(100)의 내측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실린더부(300)의 탄성력을 연결로드(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판(210)의 외측면 테두리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조절연결단(211)을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조절연결단(211)은 하우징(100)의 승강가이드홈(103)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삽입 배치되는 바, 슬라이딩판(210)이 하우징(100)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변동범위 조절부(230)를 슬라이딩판(210)에 연결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절연결단(211)에는 변동범위 조절부(230)의 조절로드(231)를 삽입상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조절연결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200)의 하단에는 배관(20)을 연결하도록 하우징(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220)를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행거연결부(220)에는 한 쌍의 반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행거판으로 구성된 행거(30)를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31)로 체결할 수 있도록 행거연결공(220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는 하우징(100) 내측에서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정도를 조정하는 변동범위 조절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변동범위 조절부(230)는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범위를 조절하여 지지 실린더(300)의 상하방향 변동범위를 한정하는 바, 연결로드(200)에 연결 지지된 배관(20)이 상하방향으로 변동 가능한 최대범위를 한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변동범위 조절부(230)는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에 설치한다. 그리고, 변동범위 조절부(230)는 조절로드(231), 걸림스토퍼(23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로드(231)는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상태로 지지하는 직선형의 축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조절로드(231)는 슬라이딩판(210)의 조절연결단(211)과 연결되도록 조절연결홈(212)에 삽입되게 설치하며, 조절로드(231)의 상단은 하우징(100)의 상측, 보다 상세하게는 덮개판(101)에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게 결합한다. 그리고, 조절로드(231)의 외측면에는 걸림스토퍼(232)를 나사상태로 결합되게 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스토퍼(232)는 조절로드(231)에 상호 이격상태로 연결 배치되어, 연결로드(200)의 슬라이딩판(210)이 조절로드(231)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되게 하는 부재이다. 즉, 걸림스토퍼(232)는 조절로드(231)에 삽입 설치하는데, 이때 슬라이딩판(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걸림스토퍼(232)가 슬라이딩판(210)을 조절로드(231) 상에서 상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되게 하고, 슬라이딩판(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걸림스토퍼(232)는 슬라이딩판(210)을 조절로드(231) 상에서 하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걸림되게 한다. 이러한, 걸림스토퍼(232)는 조절로드(231) 상에 위치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너트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걸림스토퍼(232)의 일측에는 걸림스토퍼(232)가 조절로드(231) 상에서 일정한 위치로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스토퍼(232)의 내외측을 관통하게 고정핀(도면미도시)을 나사 체결되게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고정핀을 회전시켜 고정핀의 일단이 조절로드(231)의 외측면을 가압되게 배치되도록 할 경우, 걸림스토퍼(232)가 조절로드(231) 상에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판(210)이 조절로드(231) 상에서 상하측으로 안정적인 고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변동범위 조절부(230)의 걸림스토퍼(232)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판(210)에 마주보는 걸림스토퍼(232) 면부에는 슬라이딩판(210)과의 충돌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흡수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는 연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링 형태로 형성되거나, 코일 스프링을 선택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 실린더부(300)는 연결로드(200)를 유압으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즉, 지지 실린더부(300)는 유압으로 동작하면서 연결로드(200)에 연결된 배관(20)의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지지 실린더부(300)는 슬라이딩판(210)과 연결되게 하우징(10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지지 실린더부(300)의 실린더로드는 슬라이딩판(210)에 수직하게 배치된 바, 지지 실린더부(300)는 슬라이딩판(210)을 지지하면서 연결로드(200)가 하우징(100)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지지 실린더부(300)는 상부 실린더(310), 하부 실린더(3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실린더(310)와 하부 실린더(320)는 슬라이딩판(210)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 내측에 삽입 설치한다. 즉, 상부 실린더(310)는 실린더 로드를 연결로드(200)에 나란한 상태로 슬라이딩판(210) 상부의 하우징(100)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부 실린더(310)의 실린더로드 단부는 슬라이딩판(210)의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하고, 상부 실린더(310)의 실린더바디 부분은 하우징(100)의 덮개판(101)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상기 하부 실린더(320)는 실린더 로드를 연결로드(200)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우징 내측에 삽입 설치한다. 즉, 하부 실린더(320)는 실린더 로드 단부를 연결로드(200)에 나란한 상태로 슬라이딩판(210) 하부의 하우징(100)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하부 실린더(320)의 실린더로드 단부는 슬라이딩판(210)의 저면에 고정되게 결합하고, 하부 실린더(320)의 실린더바디 부분은 하우징(100)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게 결합한다.
이같이, 상기 상부 실린더(310)와 하부 실린더(320)는 슬라이딩판(210)을 기준으로 상하측에 각각 연결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유압으로 지지함과 더불어 상부 실린더(310)와 하부 실린더(320)으로의 유압 공급에 따른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위치 변동도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배관변동 감지센서(400)는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변동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즉, 배관변동 감지센서(400)는 지지 실린더부(300)에 의해 연결 지지된 슬라이딩판(210)이 배관(20)의 변동이나 진동상태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변동되는 위치를 감지한다. 이러한, 배관변동 감지센서(400)는 슬라이딩판(210)에 연결 설치하며, 이후 설명될 배관변동 제어부(500)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수단 또는 케이블과 같은 유선수단으로 연결되어, 검출된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변동위치 신호를 배관변동 제어부(500)에 전달한다.
상기 배관변동 제어부(500)는 배관변동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범위 수치에 따라 지지 실린더부(300)의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면서 배관(20)이 안정적인 변동범위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딩판(2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배관변동 제어부(500)는 지지 실린더부(300)의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와, 배관변동 감지센서(400)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수단 또는 케이블과 같은 유선수단으로 연결되어, 배관변동 감지센서(400)에서 검출된 슬라이딩판(210)의 이동범위 수치를 전달받은 후, 지지 실린더부(300)의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 전달한다. 여기서, 배관변동 제어부(500)는 유압공급수단(510), 유압제어수단(520)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공급수단(510)은 지지 실린더부(300)의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에 유압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유압공급수단(510)은 지지 실린더부(300)의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와, 유압제어수단(52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유압공급수단(510)은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탱크(511), 유체저장탱크(511)의 유체를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로 공급되게 펌핑하는 유압펌프(512)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체저장탱크(511)는 유체공급라인을 통해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와 연결되며, 유압펌프(512)는 유압제어수단(520)과 연결되어, 유압제어수단(520)으로부터 전달받는 신호에 따라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로의 유체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게 된다.
상기 유압제어수단(520)은 배관변동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위치 감지값에 따라 유압공급수단(510)에서 지지 실린더부의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로의 유압 공급을 조절하면서 배관(20)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범위 내에서 변동이나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판(210)의 위치를 조절되게 한다. 여기서, 유압제어수단(520)은 유압공급수단(510)의 유압펌프(512) 및 배관변동 감지센서(400)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통신과 같은 무선수단 또는 케이블과 같은 유선수단으로 연결된다. 이때, 유압제어수단(520)에는 배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20)의 안정적인 변동이나 진동상태로 유지하는 안전범위수치값은 미리 저장상태로 구비한다.
이같이, 상기 유압제어수단(520)은 배관변동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위치 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안전범위 수치값을 넘어갈 경우, 유압공급수단(510)을 통한 지지 실린더부의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로의 유압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상부 실린더(310) 및 하부 실린더(320)의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판(210)을 하방 또는 상방으로 밀림 이동되게 하여, 배관(20)fml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안전범위 내에서 변동이나 진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지지장치는, 상기 연결로드(200)에 연결된 배관(20)을 지지 실린더부(300)의 유압으로 지지하고, 배관(20)의 변동이나 진동상태에서 배관변동 감지센서(400)가 연결로드(200) 상단의 슬라이딩판(210)의 상하방향 이동위치를 감지하고, 배관변동 제어부(500)는 배관변동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210)의 이동범위 수치에 따라 지지 실린더부(300)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여 슬라이딩판(210) 위치를 조절하면서 배관(20)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변동범위나 진동상태를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연결로드
210: 슬라이딩판 220: 행거연결부
230: 변동범위 조절부 231: 조절로드
232: 걸림스토퍼 300: 지지 실린더부
310: 상부 실린더 320: 하부 실린더
400: 배관변동 감지센서 500: 배관변동 제어부
510: 유압공급수단 520: 유압제어수단

Claims (5)

  1. 내부공간이 마련된 통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단에는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판을 결합 구비하고, 하단에는 배관을 연결하도록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는 행거연결부를 결합 구비하는 연결로드;
    상기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연결로드를 유압으로 지지하는 지지 실린더부;
    상기 슬라이딩판에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의 변동이나 진동상태에 따른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위치를 감지하는 배관변동 감지센서;
    상기 지지 실린더부 및 배관변동 감지센서와 연결되게 설치하며, 배관변동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의 이동범위 수치에 따라 지지 실린더부로의 유압 공급을 제어하면서 배관이 안정적인 변동범위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도록 슬라이딩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배관변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판과 연결되도록 하우징에 설치하며, 하우징 내측에서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를 조정하는 변동범위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배관용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하우징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게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홈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의 외측 테두리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조절연결홈이 형성된 조절연결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동범위 조절부는,
    상기 조절연결단과 연결되도록 조절연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단이 하우징의 상측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조절로드,
    상기 조절연결단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조절로드 외측에 삽입 설치하는 한 쌍의 걸림스토퍼를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실린더부는,
    실린더 로드를 연결로드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 상부의 하우징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실린더로드 단부는 슬라이딩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 실린더,
    실린더 로드를 연결로드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슬라이딩판 하부의 하우징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실린더 로드 단부는 슬라이딩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 실린더를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변동 제어부는,
    상기 지지 실린더부와 연결되게 설치하며, 지지 실린더부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
    상기 유압공급수단 및 배관변동 감지센서와 연결되며, 배관의 안정적인 변동이나 진동상태를 유지하는 안전범위가 저장되어, 배관변동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슬라이딩판의 상하방향 이동위치 정도에 따라 유압공급수단에서 지지 실린더부로의 유압 공급을 조절하면서 배관이 안전범위 내에서 변동이나 진동이 이루어지도록 슬라이딩판의 위치를 조절하는 유압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배관용 지지장치.
KR1020210045789A 2021-04-08 2021-04-08 배관용 지지장치 KR102520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89A KR102520175B1 (ko) 2021-04-08 2021-04-08 배관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89A KR102520175B1 (ko) 2021-04-08 2021-04-08 배관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615A true KR20220139615A (ko) 2022-10-17
KR102520175B1 KR102520175B1 (ko) 2023-04-11

Family

ID=838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89A KR102520175B1 (ko) 2021-04-08 2021-04-08 배관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971B1 (ko) 2023-10-26 2024-02-13 (주)티엠케이플랜트 배관용 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527Y1 (ko) * 1994-11-10 1998-10-15 윤은중 스프링 행거
KR20130007808A (ko) * 2011-07-11 2013-01-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527Y1 (ko) * 1994-11-10 1998-10-15 윤은중 스프링 행거
KR20130007808A (ko) * 2011-07-11 2013-01-2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밀폐형 스프링 행거의 건전성 검사 장비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175B1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62817C (en) Compensation system for a jacking frame
US20190331570A1 (en) Rock Mechanics Response Test System for Simulated Complex Deep Earth Environment
KR20220139615A (ko) 배관용 지지장치
US5224511A (en) Spring-loaded safety valve
KR20140101789A (ko) 가스 실린더, 특히 고압 가스 실린더
US10294618B2 (en) Friction damper with V-groove
US9637939B2 (en) Concrete distributing apparatus, and vibration suppression method, controller and device for the boom thereof
US20210003191A1 (en) Shock absorber device having structure for constant-speed operation
US9688173B2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for fitting vehicle parts with suspension
EP3152445B1 (en) Hydraulic cylinder
CN109243629B (zh) 用于反应堆容器及柔性长管的模块化分层组合支承装置
KR20220035008A (ko) 배관용 지지장치
AU2013232841A1 (en) Device for compensation of wave influenced distance variations on a drill string
KR20220139616A (ko) 배관용 지지장치
CN104964098A (zh) 双向缓冲管道支吊架
KR102239136B1 (ko) 배관용 지지장치
KR101320032B1 (ko) 축압기
WO2015038004A1 (en) Computerized device for compensation of wave-caused distance variations on a drill string
KR101698690B1 (ko) 자동차 어셈블리의 이동 가능한 체결을 위한 어셈블리 마운트 및 자동차 어셈블리의 장착 방법
US10328537B2 (en) Device for supporting and/or driving machines, instruments and/or structures in general, particularly for supporting and/or driving a telescope
KR101934246B1 (ko) 발전소 배관 안정화장치
KR10201666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모니터링 장치
CN210290316U (zh) 单向恒速阀以及具有单向恒速阀的稳速液压油缸
KR20180075661A (ko) 셀프 얼라인먼트식 베어링 지지 장치
US20210403293A1 (en) (heave) balancing device, hoisting system, method for hoisting and kit of parts for spring balancing a hois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