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593A -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 Google Patents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593A
KR20220139593A KR1020210045739A KR20210045739A KR20220139593A KR 20220139593 A KR20220139593 A KR 20220139593A KR 1020210045739 A KR1020210045739 A KR 1020210045739A KR 20210045739 A KR20210045739 A KR 20210045739A KR 20220139593 A KR20220139593 A KR 2022013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wire
vibration
transfer tray
selector
fra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577B1 (ko
Inventor
명등호
Original Assignee
명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등호 filed Critical 명등호
Priority to KR102021004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5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 B65G27/16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of vibrators, i.e. devices for producing movements of high frequency and small amplitude
    • B65G27/24Electro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3Vibrating conveyors
    • B65G2812/0304Driving mean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308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선별된 동선조각에 포함된 탈피물을 재순환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남아 있는 탈피물의 재분리를 반복시켜 최종적으로 동선조각의 분리 회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는, 폐전선을 파쇄 분쇄하여 1차 선별된 동선조각으로부터 분리된 1차 탈피물에 포함된 미량의 잔여 동선을 선별해내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갖는 사각 박스형의 선별기 프레임과; 상기 선별기 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어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진동감쇠 지지대과;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에 수평방향으로 진동가능하도록 다수의 힌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고, 1차 탈피물을 일방에서 제1 메쉬망으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잔여 동선조각을 하부로 걸러내고 1차 탈피물은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2차 선별진동대와; 1차 탈피물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해 상기 2차 선별진동대를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제1 진동유닛과; 상기 2차 선별진동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메쉬망을 빠져나오는 잔여 동선조각을 모아 한 곳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동선조각 수집덕트와; 상기 선별기 프레임측에 지지되어 일방에서 동선조각 수집덕트로부터 배출되는 잔여 동선조각을 이송트레이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제2 진동유닛과; 상기 이송트레이를 따라 이송하는 잔여 동선조각에 섞여있는 미량의 탈피물을 흡입한 후, 원심력을 부여하여 비중차에 의해 분진과 탈피물을 분리하여, 탈피물을 2차 선별진동대의 제1 메쉬망으로 재공급시켜 배출 제거하는 탈피물 흡입/분리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Copper piece second separator using transfer tray coupled dry circulating type}
본 발명은 폐전선을 절단/분쇄한 후 동선조각을 1차로 선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1차 탈피물에 혼합되어 있는 미소의 동선조각을 추가적으로 선별해 낼 수 있도록 한 2차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차 선별된 동선조각에 포함된 탈피물을 재순환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남아 있는 탈피물의 재분리를 반복시켜 최종적으로 동선조각의 분리 회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로 전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폐전선의 발생량도 급속히 증가하여 있다. 폐전선으로부터 구리를 얻기 위해 피복을 소각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환경오염을 야기함으로 최근에는 선별기를 통해 분쇄, 피복 및 동선조각 분리 과정을 거쳐 탈피물과 구리(동)의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1차 선별기를 거쳐 취득하는 구리의 회수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즉, 탈피물에 혼합되어 잔존하는 미소한 크기의 동선조각을 선별해내지 못하고 폐기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58862호(특허문헌 1)로서,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단일의 동력원으로 작동됨으로써 저전력으로도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물의 공급이 필요하고 분쇄 후 1차 선별 과정만을 거치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고 미소한 크기의 동선조각을 회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56750호(특허문헌 2)로서, '폐전선 선별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분쇄기에서 분쇄된 동선과 PVC 피복을 물분사와 진동에 의하여 집진 및 선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별도의 집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전체적인 장치의 설치비용 및 공간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선별 방식의 경우에는 물을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여과 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1차 선별만을 수행함으로 이 역시 미소한 크기의 동선조각을 회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58862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56750호
본 발명은 2차 선별된 동선조각에 포함된 탈피물을 재순환 과정을 거치도록 하여 남아 있는 탈피물의 재분리를 반복시켜 최종적으로 동선조각의 분리 회수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는, 폐전선을 파쇄 분쇄하여 1차 선별된 동선조각으로부터 분리된 1차 탈피물에 포함된 미량의 잔여 동선을 선별해내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갖는 사각 박스형의 선별기 프레임과; 상기 선별기 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어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진동감쇠 지지대과;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에 수평방향으로 진동 가능하도록 다수의 힌지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고, 1차 탈피물을 일방에서 제1 메쉬망으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잔여 동선조각을 하부로 걸러내고 1차 탈피물은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2차 선별진동대와; 1차 탈피물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해 상기 2차 선별진동대를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제1 진동유닛과; 상기 2차 선별진동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메쉬망을 빠져나오는 잔여 동선조각을 모아 한 곳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동선조각 수집덕트와; 상기 선별기 프레임측에 지지되어 일방에서 동선조각 수집덕트로부터 배출되는 잔여 동선조각을 이송트레이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제2 진동유닛과; 상기 이송트레이를 따라 이송하는 잔여 동선조각에 섞여있는 미량의 탈피물을 흡입한 후, 원심력을 부여하여 비중차에 의해 분진과 탈피물을 분리하여, 탈피물을 2차 선별진동대의 제1 메쉬망으로 재공급시켜 배출 제거하는 탈피물 흡입/분리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진동유닛은 상기 선별기 프레임측에 장착된 캠축 구동모터와;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에 회전 지지가능하게 설치되어 캠축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일 개소에 편심되어 있는 원형 캠을 갖는 캠축과; 일단이 원형 캠에 베어링 결합되고 타단이 2차 선별진동대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캠 로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진동유닛은 동선조각 수집덕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미량의 탈피물과 여과된 동선조각을 일방에서 공급받아 일정 구간의 이송을 거쳐 타방으로 배출시키는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트레이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기적 자력으로 진동자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송트레이에 받이된 미량의 탈피물과 동선조각을 타방으로 이송시키는 전자석 진동기;를 포함하되, 선별기 프레임의 진동이 제2 진동유닛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 진동기의 양측에 고정 장착된 링크 연결대와; 일단이 링크 연결대의 양단에 각기 힌지 연결되어 선별기 프레임의 진동을 이송트레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면진링크와; 면진링크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선별기 프레임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지지되어 있는 면진아암;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피물 흡입/분리유닛은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위치되는 탈피물 유입구, 2차 선별진동대의 상방에 위치되는 탈피물 하부배출구 및 탈피물 하부배출구의 상부에 위치된 분진배출구를 갖고 선별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된 사이클론 원심분리기와; 흡입구가 이송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제2 진동유닛측에 고정되어 있는 탈피물 흡입덕트와; 상기 탈피물 흡입덕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송트레이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탈피물과 분진 및 가벼운 동선조각을 흡입하여 사이클론 원심분리기측 탈피물 유입구로 공급시키는 진공송풍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선별진동대에는 제1 메쉬망의 줄눈보다 더 작은 줄눈을 갖는 제2 메쉬망을 갖고 제1 메쉬망의 상부에 배치되어 2차로 미소 동선조각을 하부로 걸러내고 미량의 탈피물은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3차 선별진동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의 진동이 선별기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키기 위해,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는 복수 개소의 방진고무를 통해 선별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에 따르면, 1차 선별기에서 발생된 폐전선 분쇄물(미소한 동선조각+탈피물)을 탈피물 흡입/분리유닛(40)을 통해 여러번 재순환시키면서 2차 선별진동대(16)를 탈피물을 분리하고 미소한 크기의 동선조각만을 선별해 냄으로써 미소 동선조각의 투입 총량 대비 분리 회수율을 99.5% 이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진동유닛(30)을 통해 이송 배출되는 미소 크기의 동선조각은 면진수단에 의해 선별기 프레임의 진동으로부터 영향없이 이송 및 배출이 진행되어 동선조각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탈피물의 재순환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진동감쇠 지지대(14)가 선별기 프레임(12)에 방진고무(13)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탈피물 흡입/분리유닛(40)에 사이클론 원심분리기(41)가 적용되어 재순환과정에서 비중차에 의한 분진과 탈피물 및 동선조각의 분리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3차 선별진동대(50)가 2차 선별진동대(16)와 함께 2단으로 구성된 경우, 탈피물의 회수율을 더욱 높여 동선조각의 분리 회수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동선 선별과 탈피물의 흡입 처리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로서 탈피물의 배출상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진동유닛이 동선조각 2차 선별기측 선별기 프레임의 진동을 영향을 받지않고 작동하고 있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2차 선별진동대에 3차 선별진동대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2차 선별기에 투입되는 폐전선 분쇄물의 사진.
도 10은 도 9의 폐전선 분쇄물로부터 본 발명의 2차 선별기를 이용하여 선별된 조각 동선의 확대 사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10)는 폐전선을 파쇄 분쇄하여 동선 조각을 1차 선별하고 폐기되는 폐전선 분쇄물에 포함된 미량의 잔여 동선을 선별해낸다. 즉, 도 9에 도시된 폐전선 분쇄물(1차 탈피물)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동선 조각을 선별해내는 것이다. 본 동선조각 2차 선별기(10)는 폐전선 분쇄물(1차 탈피물)에 혼합되어 있는 동의 총량 대비 99.5% 이상의 동을 회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동선조각 2차 선별기(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갖는 사각 박스형의 선별기 프레임(12)이 구비된다. 선별기 프레임(12)은 사각파이프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으나 이러한 부재로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별기 프레임(12)에는 제2 진동유닛(30)을 지지하기 위한 수직지지대(122)가 설치되어 있다.
선별기 프레임(12)에 제1 진동유닛(18)의 캠축(182)을 설치하기 위해 진동감쇠 지지대(14)가 설치되어 있다. 진동감쇠 지지대(14)는 선별기 프레임(12)의 상부에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진동감쇠 지지대(14)는 앵글부재로 제작되어져 사각틀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진동감쇠 지지대(14)의 진동이 선별기 프레임(12)에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키기 위해, 진동감쇠 지지대(14)는 4개소의 방진고무(13)를 통해 선별기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감쇠 지지대(14)의 진동이 4개소의 방진고무(13)를 통해 감쇠되어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을 줄일 수 있다.
진동감쇠 지지대(14)의 하부에 2차 선별진동대(16)가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흔들림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2차 선별진동대(16)는 진동감쇠 지지대(14)에 다수의 힌지 링크(15)를 매개로 연결되어 수평 진동(요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2차 선별진동대(16)는 1차 선별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도 9의 폐전선 분쇄물을 일방에서 제1 메쉬망(161)으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잔여 동선조각을 하부로 걸러내고 탈피물은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킨다. 여기서 폐전선 분쇄물은 폐전선이 절단 분쇄되고 이후 1차 동선 조각이 선별된 후 폐기되는 탈피물과 이에 혼합되어 있는 미소 크기의 작은 동선조각이 포함되어 있다.
1차 분쇄물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해 2차 선별진동대(16)를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제1 진동유닛(18)이 구비된다.
제1 진동유닛(18)은 선별기 프레임(12)측에 장착된 캠축 구동모터(181), 진동감쇠 지지대(14)에 회전 지지가능하게 설치되어 캠축 구동모터(18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일 개소에 편심되어 있는 원형 캠(182a)을 갖는 캠축(182), 일단이 원형 캠(182a)에 베어링 결합되고 타단이 2차 선별진동대(16)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캠 로드(183)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캠축 구동모터(181)가 구동되면, 캠축(182)이 편심 회전운동을 하고, 캠 로드(183)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고, 캠로드(183)에 연결된 2차 선별 진동대(16)가 힌지링크(15)에 매달린 상태에서 수평방향(X)으로 진동을 하게 된다.
2차 선별진동대(16)의 하부에 동선조각 수집덕트(20)가 배치되어 있다. 동선조각 수집덕트(20)는 선별기 프레임(12)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동선조각 수집덕트(20)는 2차 선별진동대(16)의 진동 과정에서 제1 메쉬망(161)을 빠져나오는 잔여 동선조각을 모아 한 곳의 배출구(201)로 배출시켜 후술할 이송트레이(31)로 공급한다.
동선조각 수집덕트(20)에서 배출되는 미소 크기의 동선조각을 진동으로 일정 구간 이송 배출시키는 제2 진동유닛(30)이 구비된다. 즉, 제2 진동유닛(30)은 선별기 프레임(12)측에 지지되어 일방에서 동선조각 수집덕트(20)로부터 배출되는 동선조각을 이송트레이(31)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킨다. 물론 이때 동선조각과 함께 미소 크기의 탈피물이 동선조각 수집덕트(20)로부터 배출되어 이송트레이(31)로 유입된다.
제2 진동유닛(30)은, 동선조각 수집덕트(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동선조각 수집덕트(20)로부터 수집된 미량의 탈피물과 여과된 동선조각을 일방에서 공급받아 일정 구간의 이송을 거쳐 타방으로 배출시키는 이송트레이(31)와, 이송트레이(31)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기적 자력으로 진동자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송트레이(31)에 받이된 미량의 탈피물과 동선조각을 타방의 배출쪽으로 이송시키는 전자석 진동기(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송트레이(31)는 타방의 배출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미량의 탈피물과 여과된 동선조각을 진동을 수행하면서 원활하게 이송시킨다.
제2 진동유닛(30)은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제2 진동유닛(30)은 미량의 탈피물과 동선조각의 이송시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 영향을 받지 않도록 추가적으로 면진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자석 진동기(32)의 양측에 고정 장착된 링크 연결대(33)와, 일단이 링크 연결대(33)의 양단에 각기 힌지 연결되어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을 이송트레이(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면진링크(34)와, 면진링크(34)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선별기 프레임(12)측 수직지지대(122)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지지되어 있는 면진아암(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캠축 구동모터(181)의 구동으로 진공감쇠 지지대(14)가 떨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선별기 프레임(12)이 미소 진동이 발생할 경우, 도 7과 같이 면진아암(35)은 면진링크(34)를 요동운동시킬 뿐 면진아암(35)의 흔들림을 전자석 진동기(32)로 전달시키지 못하여 이송트레이(31)에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이송트레이(31)에 공급된 미량의 탈피물과 동선조각은 전자석 진동기(32)의 진동만으로 이송트레이(31)의 길이방향 즉 Y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2차 선별 진동대(16)를 진동시켜 배출시키는 탈피물의 배출 방향(X)과 이송트레이(31)를 통해 배출시키는 동선조각의 방향(Y)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갖더라도 면진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이송트레이(31)에 공급된 미량의 탈피물과 동선조각을 일정 구간 동안 배출 방향쪽으로 원활하게 진동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트레이(31)의 상부로 탈피물 흡입/분리유닛(40)이 설치된다. 탈피물 흡입/분리유닛(40)은 이송트레이(31)를 따라 이송하는 잔여 동선조각에 섞여있는 미량의 작은 탈피물을 흡입한 후, 원심력을 부여하여 비중차에 의해 분진과 탈피물을 분리하여, 탈피물을 2차 선별진동대(16)의 제1 메쉬망(161)으로 재공급시켜 배출 제거시킨다.
탈피물 흡입/분리유닛(40)은,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위치되는 탈피물 유입구(41a), 2차 선별진동대(16)의 상방에 위치되는 탈피물 하부배출구(41b) 및 탈피물 하부배출구(41b)의 상부에 위치된 분진배출구(41c)를 갖고 선별기 프레임(12)의 상부에 배치된 사이클론 원심분리기(41)와, 흡입구(42a)가 이송트레이(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제2 진동유닛(30)측에 고정되어 있는 탈피물 흡입덕트(42)와, 탈피물 흡입덕트(42)의 상부에 설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송트레이(31)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탈피물과 분진 및 가벼운 동선조각을 흡입하여 사이클론 원심분리기(41)측 탈피물 유입구(41a)로 공급시키는 진공송풍기(43)를 포함한다. 탈피물 흡입덕트(42)는 이송트레이(31)에 볼트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이 탈피물 흡입덕트(42)의 흡입구(42a)는 이송트레이(31)의 이송면(31a)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진공송풍기(43)가 구동하면, 탈피물 흡입덕트(42)에 흡입력이 발생하고, 원심분리기(41)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송풍력에 의해 선회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탈피물 흡입덕트(42)의 흡입력에 의해 이송트레이(31)를 따라 이송하는 잔여 동선조각에 섞여있는 미량의 탈피물이 탈피물 흡입덕트(42)의 흡입구(42a)로 흡입된 후, 진공송풍기(43)의 송풍력에 의해 원심분리기(41)의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한다. 물론 미량의 탈피물에는 가벼운 동선조각이 극미량 포함된다. 따라서 비중차에 의해 분진과 탈피물 및 극미량의 동선조각이 분리되어 탈피물 및 극미량의 동선조각은 2차 선별진동대(16)의 제1 메쉬망(161)으로 재공급되고, 가벼운 분진은 분진배출구(41c)를 통해 배출 제거된다. 이에 의해 제1 메쉬망(161)에서는 탈피물을 걸러 배출시키고 다시 동선조각 수집덕트(20)를 거쳐 이송트레이(31)로 공급됨으로써 도 10과 같이 재선별된 동선조각을 취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 및 도 8과 같이 2차 선별진동대(16)에는 3차 선별진동대(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3차 선별진동대(50)는 제1 메쉬망(161)의 줄눈보다 더 작은 줄눈을 갖는 제2 메쉬망(51)을 갖고 제1 메쉬망(161)의 상부에 배치되어 다시 미소 크기의 동선조각을 하부로 걸러내고 미량의 탈피물은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킴으로써 동회수율을 99.5% 이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선별기 프레임
14: 진동감쇠 지지대
16: 2차 선별진동대
18: 제1 진동유닛
20: 동선조각 수집덕트
30: 제2 진동유닛
40: 탈피물 흡입/분리유닛

Claims (6)

  1. 폐전선을 파쇄 분쇄하여 1차 선별된 동선조각으로부터 분리된 1차 탈피물에 포함된 미량의 잔여 동선을 선별해내는 2차 선별기(10)로서,
    일정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갖는 사각 박스형의 선별기 프레임(12)과;
    상기 선별기 프레임(12)의 상부에 지지되어 수평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진동감쇠 지지대(14)과;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14)에 수평방향으로 진동가능하도록 다수의 힌지 링크(15)를 매개로 연결되고, 1차 탈피물을 일방에서 제1 메쉬망(161)으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잔여 동선조각을 하부로 걸러내고 1차 탈피물은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2차 선별진동대(16)와;
    1차 탈피물의 이송 및 배출을 위해 상기 2차 선별진동대(16)를 수평방향으로 진동시키는 제1 진동유닛(18)과;
    상기 2차 선별진동대(16)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 메쉬망(161)을 빠져나오는 잔여 동선조각을 모아 한 곳의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동선조각 수집덕트(20)와;
    상기 선별기 프레임(12)측에 지지되어 일방에서 동선조각 수집덕트(20)로부터 배출되는 잔여 동선조각을 이송트레이(31)로 받이하여 진동에 의해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제2 진동유닛(30)과;
    상기 이송트레이(31)를 따라 이송하는 잔여 동선조각에 섞여있는 미량의 탈피물을 흡입한 후, 원심력을 부여하여 비중차에 의해 분진과 탈피물을 분리하여, 탈피물을 2차 선별진동대(16)의 제1 메쉬망(161)으로 재공급시켜 배출 제거하는 탈피물 흡입/분리유닛(4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진동유닛(18)은,
    상기 선별기 프레임(12)측에 장착된 캠축 구동모터(181)와;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14)에 회전 지지가능하게 설치되어 캠축 구동모터(18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일 개소에 편심되어 있는 원형 캠(182a)을 갖는 캠축(182)과;
    일단이 원형 캠(182a)에 베어링 결합되고 타단이 2차 선별진동대(16)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캠 로드(18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유닛(30)은,
    동선조각 수집덕트(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미량의 탈피물과 여과된 동선조각을 일방에서 공급받아 일정 구간의 이송을 거쳐 타방으로 배출시키는 이송트레이(31)와;
    상기 이송트레이(31)의 하부에 장착되어 전기적 자력으로 진동자에 진동을 발생시켜 이송트레이(31)에 받이된 미량의 탈피물과 동선조각을 타방으로 이송시키는 전자석 진동기(32);를 포함하되,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떨림)이 제2 진동유닛(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 진동기(32)의 양측에 고정 장착된 링크 연결대(33)와; 일단이 링크 연결대(33)의 양단에 각기 힌지 연결되어 선별기 프레임(12)의 진동을 이송트레이(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면진링크(34)와; 면진링크(34)의 타단과 힌지 연결되어 상기 선별기 프레임(12)측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지지되어 있는 면진아암(35);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물 흡입/분리유닛(40)은,
    상부에 접선방향으로 위치되는 탈피물 유입구(41a), 2차 선별진동대(16)의 상방에 위치되는 탈피물 하부배출구(41b) 및 탈피물 하부배출구(41b)의 상부에 위치된 분진배출구(41c)를 갖고 선별기 프레임(12)의 상부에 배치된 사이클론 원심분리기(41)와;
    흡입구가 이송트레이(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제2 진동유닛(30)측에 고정되어 있는 탈피물 흡입덕트(42)와;
    상기 탈피물 흡입덕트(42)의 상부에 설치되고, 흡입력을 발생시켜 이송트레이(31)를 통해 이송 배출되는 탈피물과 분진 및 가벼운 동선조각을 흡입하여 사이클론 원심분리기(41)측 탈피물 유입구(41a)로 공급시키는 진공송풍기(4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선별진동대(16)에는 제1 메쉬망(161)의 줄눈보다 더 작은 줄눈을 갖는 제2 메쉬망(51)을 갖고 제1 메쉬망(161)의 상부에 배치되어 2차로 미소 동선조각을 하부로 걸러내고 미량의 탈피물은 타방으로 이송 배출시키는 3차 선별진동대(5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14)의 진동이 선별기 프레임(12)에 전달되는 것을 감쇠시키기 위해, 상기 진동감쇠 지지대(14)는 복수 개소의 방진고무(13)를 통해 선별기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KR1020210045739A 2021-04-08 2021-04-08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KR10250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39A KR102508577B1 (ko) 2021-04-08 2021-04-08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739A KR102508577B1 (ko) 2021-04-08 2021-04-08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93A true KR20220139593A (ko) 2022-10-17
KR102508577B1 KR102508577B1 (ko) 2023-03-09

Family

ID=8380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739A KR102508577B1 (ko) 2021-04-08 2021-04-08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5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299Y1 (ko) * 2006-07-07 2006-09-22 김상완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58862B1 (ko) 2009-09-08 2012-06-26 변길수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
KR101256750B1 (ko) 2010-04-28 2013-04-19 박기태 폐전선 선별장치
KR101478998B1 (ko) * 2014-07-24 2015-01-05 (주)타이밍 진동 선별장치
KR20150001928A (ko) * 2013-06-28 2015-01-07 화인 주식회사 폐전선의 구리 분리장치
KR102154643B1 (ko) * 2020-01-16 2020-09-10 강경호 폐전선 재활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299Y1 (ko) * 2006-07-07 2006-09-22 김상완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58862B1 (ko) 2009-09-08 2012-06-26 변길수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
KR101256750B1 (ko) 2010-04-28 2013-04-19 박기태 폐전선 선별장치
KR20150001928A (ko) * 2013-06-28 2015-01-07 화인 주식회사 폐전선의 구리 분리장치
KR101478998B1 (ko) * 2014-07-24 2015-01-05 (주)타이밍 진동 선별장치
KR102154643B1 (ko) * 2020-01-16 2020-09-10 강경호 폐전선 재활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577B1 (ko)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4643B1 (ko) 폐전선 재활용 장치
JP4554068B2 (ja) 樹脂付電子・電気部品からの金属の回収方法
CN111659521B (zh) 一种固废资源化处理用多级破碎装置
KR102508580B1 (ko) 이송트레이 분리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KR101533484B1 (ko) 산업용 폐기물의 비중 선별장치
KR20220139593A (ko) 이송트레이 결합형 건식 순환방식을 이용한 동선조각 2차 선별기
CN108312386B (zh) 一种从城市生活垃圾中筛选塑料的方法与装置
JP4009511B2 (ja) ラベル取り機及び廃プラスチック容器のリサイクル回収処理システム
CN214107415U (zh) 一种移动式建筑垃圾精分除杂一体机
CN110774486B (zh) 废旧pcb板的铜粉循环再生利用系统
CN213943465U (zh) 一种废旧电路板金属粉和树脂粉的回收装置
KR101547863B1 (ko) 라디에이터 리사이클 공정
CN212468848U (zh) 一种分选装置及废渣回收设备
KR102154648B1 (ko) 폐전선 재활용을 위한 흡인 진동 선별기
CN108453946B (zh) 一种用于从城市垃圾中分选塑料的系统
CN113118022A (zh) 一种大米加工具有废料收集的除尘装置
JP3309899B2 (ja) アルミニウム切断切粉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CN206967788U (zh) 一种再生塑料无水清洁除杂设备
KR100799849B1 (ko) 풍력과 중력을 이용한 플라스틱 플러프와 후레이크의 건식선별장치
CN217857241U (zh) 一种易于清洁的石墨片加工用高效分选机
CN216397096U (zh) 一种用于中药饮片加工的变频风选装置
CN220760374U (zh) 一种大米生产用除尘装置
CN211303826U (zh) 一种风选系统
CN218460148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施工用物料筛选装置
CN218618671U (zh) 一种选矿震动给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