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559A -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559A
KR20220139559A KR1020210045655A KR20210045655A KR20220139559A KR 20220139559 A KR20220139559 A KR 20220139559A KR 1020210045655 A KR1020210045655 A KR 1020210045655A KR 20210045655 A KR20210045655 A KR 20210045655A KR 20220139559 A KR20220139559 A KR 20220139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unit
monitoring
channe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9559A/ko
Publication of KR2022013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5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1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 reflected signal, e.g. using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s [OTD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4Switching arrangements, i.e. number of input/output ports and interconnection ty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5Cables for special applications
    • G02B6/4416Heterogeneous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5Power cables including optical transmis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04B10/0771Fault location on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a supervisory or additional signal
    • H04B10/0775Performance monitoring and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광섬유를 갖는 광케이블 또는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선로 또는 전력선로의 감시작업을 용이히게 수행할 수 있는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OPTICAL SWITCH AND OPTICAL COMMUNICATION LINE MORNITOR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다수의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전력케이블 또는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선로 또는 전력선로의 감시작업을 용이히게 수행할 수 있는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 및/또는 통신 전달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케이블은 그 이송, 포설 전후 선로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에 즉각적인 복구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에 발생한 장애를 복구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해저케이블의 경우 바다속에 설치되므로 상기 장애가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오차 없이 탐지해야 상기 복구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소요되는 많은 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산업용 특수 케이블이나 전력분야에도 광전복합케이블 적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광전복합케이블은 도체로 구성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유닛과 다수의 광섬유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전복합케이블을 공장에서 제조하여 해저 등의 포설 현장으로 이송 및 이를 포설하는 과정에서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유닛과 광유닛의 손상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용량 전력유닛의 경우 밴딩 등에 의한 손상 발생시 고장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포설 공정 전에 고장점을 보수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광유닛의 경우에도 포설 후 테스트 전에 OTDR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광선로 감시장치 등을 이용하여 광선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전력유닛의 경우 포설 공정이 완료된 후 전력공급을 통해 전력라인의 손상 등을 판단할 수 있으나, 전력유닛의 포설 후 테스트 과정에서 전력유닛 고장 발견시 전체 광전복합케이블을 다시 철거하고 보수 및 재포설하는 공정이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므로 이송 과정 또는 포설 과정에 광유닛을 구성하는 광섬유에 감시광을 공급하고 반사광을 분석하여 광유닛에 의한 광선로의 이상유무와 함께 전력유닛에 의한 전력선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즉, 단면적 및 무게가 큰 전력유닛이 권취, 밴딩 과정 또는 이송 과정에서 손상되는 경우 전력유닛 근방에 구비되는 광유닛 역시 함께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의 감시를 통해 전체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광전복합케이블은 다수의 광섬유(예를 들면, 24심, 30심, 48심, 96심, 144심, 288심, 586심)를 구비하는 광유닛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전력유닛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선로 또는 광유닛에 의하여 제공되는 광선로 감시를 위하여, 각각의 광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광섬유 단부에 광커넥터가 달린 광섬유(광패치코드)를 광융착접속기(Optical Fiber Fusion Splicer) 등의 융착 장비 등을 통해 광커넥터가 구비된 확장 광섬유에 융착 접속한 후 광커넥터를 광스위치 등에 연결하고, 광스위치에 연결된 OTDR 감시장치를 통해 시험광과 반사광을 통해 장애지점을 판단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광유닛을 구성하는 광섬유의 개수가 다수인 경우, 개별 광섬유를 광패치코드와 접속하는 사전 준비작업으로서의 광융착 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광스위치 등에 광커넥터 슬롯 또는 대응 커넥터의 개수가 제한되어 광전복합케이블의 이송 또는 포설 과정에서 모든 광섬유에 대한 광선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을 경우 수백개에 이르는 광커넥터를 그룹화하여 순차적으로 광스위치에 연결하여 시험해야 하지만 그 검사 과정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로운 작업으로 광전복합케이블의 이송 및 포설 작업의 작업 지연요소가 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광섬유를 갖는 광케이블 또는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선로 또는 전력선로의 감시작업을 용이히게 수행할 수 있는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OTDR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되어 광선로 감시를 위한 테스트광 및 반사광의 입출력을 위한 광패치코드를 구성하는 광커넥터가 장착되는 제1 광커넥팅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광선로 감시 대상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섬유가 함께 연결되는 멀티 채널 광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멀티 채널 제2 광커넥팅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광커넥팅부 및 상기 제2 광커넥팅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OTDR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공되는 감시광을 상기 제2 광커넥팅부의 각각의 채널로 스위칭하여 전달하며, 상기 감시광의 반사광을 다시 제1 광커넥팅부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 유닛;를 포함하는 광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커넥팅부와 상기 스위칭 유닛은 단일 광섬유를 구비하는 단일 채널 광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유닛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는 다심 광섬유를 구비하는 멀티 채널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유닛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는 MPO 패치코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광커넥팅부는 한 쌍의 MPO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MPO 어댑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섬유 선로 감시를 위한 OTDR 모니터링 장치; 및 전술한 광스위치;를 포함하고, 금속 도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유닛 및 복수 개의 광섬유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광섬유 중 적어도 일부의 광섬유는 상기 광스위치의 제2 커넥팅부를 통해 연결되어 광선로의 모니터링 및 진단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은 복수 개의 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일부의 광섬유는 복수 개의 광유닛에서 선정된 광섬유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부의 광섬유의 단부는 리본화 공정 후 멀티 채널 광커넥터 장착후 상기 제2 커넥팅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광커넥팅부에 접속되는 멀티 채널 광커넥터는 MPO 커넥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유닛은 상기 OTDR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공된 감시광을 상기 제2 광커넥팅부의 어느 하나의 채널로 전달하고, 상기 채널에서의 반사광을 다시 제1 광커넥팅부로 전달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광커넥팅부에 연결된 멀티 채널 광커넥터에 접속된 복수의 광섬유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광전복합케이블의 이송 과정 또는 포설 과정에서, 전체 광유닛의 일부 광섬유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를 리본화하고, 멀티 채널 광커넥터를 장착하여 광스위치에 연결하여 광선로 검사가 수행되므로 광선로 감시 검사 과정의 사전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전체 광유닛의 일부 광섬유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이를 리본화하여 하나의 광커넥터를 광스위치에 연결하여 광선로 감시 시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광전복합케이블의 이송 또는 포설 과정에서 광스위치에 광커넥터를 연결하는 작업을 생략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전력유닛 및 광유닛의 이상유무를 파악하여 광전케이블의 건전성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여 광전복합케이블의 문제점을 조기 검출 및 유지 보수할 수 있으므로 광전복합케이블의 제조 및 포설비용을 전체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광전복합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선로 감시를 위한 종래의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선로 감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를 구성하는 제2 커넥팅부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광전복합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먼저, 광유닛을 구비한 해저용 광전복합케이블의 구조에 대해서 검토한다.
도 1은 광유닛(100)을 구비한 광전복합케이블(10)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전복합케이블(10)은 코어부(500)를 3개 구비한 3상 케이블을 예로 들어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코어부를 복수 개 구비한 형태의 광전복합케이블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부(500)는 도체(510), 절연층(520)을 포함하고, 추가로 내부반도전층, 외부반도전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체(510)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도체(510)는 복수 개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원형으로 압축한 원형 압축도체일 수 있고, 원형의 중심소선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으로 이루어진 평각소선층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일 수 있으며, 상기 평각도체는 원형 압축도체에 비하여 점적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절연층(520)은 상기 도체(510)의 바깥쪽에 구비되어 상기 도체(310)를 따라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연층(520)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520)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은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1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111)와, 상기 광섬유(111)를 수용하는 튜브(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광유닛(100)은 튜브(112) 내에 충진재(113)와 함께 실장시킨 소정 갯수의 광섬유(111)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112)는 고분자 수지와 같은 충격 완화 재질이나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강성이 있는 재질의 1차 튜브(미도시) 외측에 고분자 수지와 같은 충격 완화 재질의 2차 튜브(미도시)가 적용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단일 시스 내부에 단일 보호용 튜브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나 이는 일예에 지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2차 튜브 내부에 복수 개의 보호용 1차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각 보호용 1차 튜브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를 구비하는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은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보호층(60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부(500)와 광유닛(100)을 감싸며 물리적인 보호와 전자기적인 보호를 위해 고분자 수지로 구성되는 베딩층(미도시)이나 금속 차폐층(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600)의 외부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쟈켓(70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의 진원도를 유지하며,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의 이송 또는 포설 시 또는 상기 광전복합케이블(10)에 작용하는 굽힙응력, 포설장력 또는 인장력 등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케이블의 코어부(500)와 광유닛(100)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용 개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전복합케이블은 이송 과정 또는 포설 과정에서 전력유닛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송 또는 포설 과정에서 전력유닛의 손상시 광유닛의 손상도 함께 발생될 수 있다는 가정 아래 본 발명은 광유닛에 의한 광선로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통해 이송 또는 포설 과정에서 전력유닛의 이상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종래와 달리 이송 또는 포설 작업 중단을 최소화하며 작업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선로 감시를 위한 종래의 광스위치(200)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광전복합케이블(10)에서 전력유닛을 제외하고 형상을 단순하게 표현하였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광전복합케이블의 전력유닛 또는 광유닛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을 구성하는 모든 광섬유(111) 단부에 각각 광패치코드를 구성하는 광섬유(161)를 광융착 방식으로 접속하여 접속부(131)를 구성하고, 광커넥터(160’)가 연결된 광섬유(111)를 광스위치(200)에 구비된 광커넥터(260’)에 접속하여 OTDR 모니터링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시험광을 광스위치(200)를 매개로 광유닛을 구성하는 광섬유(111)에 스위칭하여 전송하고, 그 반사광을 다시 OTDR 모니터링 장치(300)로 전송하여 PC 등의 분석장치(400)로 이를 모니터링하며 각각의 광섬유에 의한 광선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그러나, 광스위치(200)의 광커넥터(260’) 형태의 접속구의 개수가 제한되므로,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모든 광섬유(111)의 광선로의 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진단 작업이 필요한 위치에서 광전복합케이블의 이송 또는 포설을 중단하고 광섬유에 연결된 광커넥터들(160’)을 광스위치(200)의 광커넥터 개수에 맞춰 그룹화 또는 세트화하여 광스위치(200)에 그룹별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시험하게 된다.
이러한 세트별 광선로 장애 판단 시험은 동일 위치에서 다수의 광섬유 세트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작업시간이 요구되어 작업 효율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의 광유닛 또는 전력유닛 선로 감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200)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200)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광선로 감시 시스템은 감시 대상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모든 광섬유에 대하여 OTDR 모니터링 장치로 검사를 수행하였으나 검사 과정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전체 광섬유를 검사하지 않고 일부의 광섬유를 표본으로 추출하여 검사를 수행하며, 더 나아가 표본으로 추출된 광섬유들에 개별 광커넥터를 연결하지 않고, 복수의 광섬유가 연결되는 멀티 채널 광커넥터를 연결하여 광스위치(200)에 연결하여 검사 과정에서 광커넥터의 장착 및 분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광전복합케이블은 3개의 전력유닛과 그 둘레의 빈공간에 3개의 광유닛이 구비되며, 각각의 광유닛은 수십개의 광섬유로 구성된다.
따라서, 광선로 감시를 통해 전력유닛의 문제 발생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굳이 모든 광섬유 검사를 수행하지 않아도 전력유닛에 의한 전력 선로의 이상 유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감시 시스템은 광섬유 선로 감시를 위한 OTDR 모니터링 장치(300); 및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할 광스위치(200)를 포함하고, 금속 도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유닛 및 복수 개의 광섬유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상기 광섬유 중 적어도 일부의 광섬유는 상기 광스위치(200)의 제2 광커넥팅부(260)를 통해 연결어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장비는 감시광을 송출하고 반사광을 수신하는 장비로서, 수신된 반사광을 측정하여, 광선로의 장애 여부 및 장애 위치를 판단하는 PC 등의 분석장치(4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모니터링 장치는 원래 공급자측 터미널과 복수개의 수요자측 터미널을 연결하는 광선로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PC 등의 분석장치(400)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고, 신호광과 감시광을 결합시키는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OTDR 모니터링 장치은 이러한 감시광을 광선로에 입사시켜 광선로 길이 방향을 따라 각 지점에서 반사 및 산란되어 되돌아오는 광량을 다시 수신하게 된다. 이에 의해, OTDR 모니터링 장치가 반사된 감시광의 거리 분포를 해석해 광선로의 손실, 접속 손실 및 접속점으로부터의 반사량, 광선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장애 발생 지점까지의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광스위치(200)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며, 광섬유 선로 감시를 위한 OTDR 모니터링 장치(300)와 광패치코드로 연결되어 테스트광 및 반사광이 입출력되는 제1 광커넥팅부(240);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며, 멀티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섬유가 함께 연결되는 멀티 채널 광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멀티 채널 제2 광커넥팅부(260); 및 상기 하우징(210) 내에서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 및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OTDR 모니터링 장치(300)에서 제공되는 감시광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의 각각의 채널로 전달하며, 상기 감시광의 반사광을 다시 제1 광커넥팅부(240)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 유닛(230, 도 4 및 도 5 참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스위치(200)는 커넥터 형태의 제1 광커넥팅부(240)와 제2 광커넥팅부(260)가 하우징(210)에 구비되며, 하우징(210) 내부에 스위칭 유닛(2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200)는 하우징(210) 상에 제1 광커넥팅부(240)와 제2 광커넥팅부(26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와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스위칭 유닛(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는 광섬유 선로 감시를 위한 OTDR 모니터링 장치(300)의 연결을 위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는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광커넥터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마찬가지로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광커넥터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멀티 채널을 형성하는 복수의 광섬유가 함께 연결되는 멀티 채널 광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멀티 채널 광커넥터 또는 후술하는 어댑터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섬유는 감시대상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섬유 중 일부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광선로 감시를 위한 시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일부의 광섬유는 복수 개의 광유닛에서 각각 일부라도 선택되도록 하여 전력유닛의 장애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광전복합케이블은 3개의 전력유닛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고, 광유닛은 전력유닛 외측에 마찬가지로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므로, 어느 하나의 광유닛의 광선로만 검사하는 것 보다 모든 광유닛에서 각각 광섬유를 선정하여 시험을 하는 것이 복수 개의 전력유닛의 장애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는 OTDR 모니터링 장치(300)와 스위칭 유닛(230)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팅부이며, 광스위치(200)가 광신호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므로,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와 상기 스위칭 유닛(230)은 단일 광섬유를 구비하는 단일 채널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스위칭 유닛(230)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다심 광섬유를 구비하는 멀티 채널 광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로 공급되는 감시광은 스위칭 유닛(230)을 통해 제2 광커넥팅부(260)를 구성하는 각각의 광단자로 스위칭될 수 있고, 반사광 역시 상기 스위칭 유닛(230)을 경유하여 상기 OTDR 모니터링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유닛(230)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멀티 채널로 연결되므로, 상기 스위칭 유닛(230)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복수의 광섬유(23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칭 유닛(230)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를 연결하는 광섬유는 광융착 접속부(231)를 형성하며 중간 접속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유닛(230)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 유닛(230)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MPO 커넥터가 광섬유 양단에 체결된 형상의 MPO 패치코드(290)로 연결되며,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한 쌍의 MPO 커넥터(270)를 접속하기 위한 MPO 어댑터일 수 있다.
MPO (Multi-fiber Push On)는 고속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기본 다중 광섬유 커넥터 규격을 의미하며, IEC 61754-7 및 TIA 604-5에서 표준화된 광학 커넥터 규격을 의미한다.
즉, 상기 광스위치(200) 내부에서 상기 스위칭 유닛(230)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MPO 패치코드(290)로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MPO 패치코드(290)의 MPO 커넥터(270)를 양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와 제2 광커넥팅부(260)는 스위칭 유닛(230)을 단일 채널과 멀티 채널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광커넥팅부(240)는 OTDR 모니터링 장치(30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OTDR 모니터링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스위치(200)의 제2 광커넥팅부(260)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대상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광섬유 중 일부의 광섬유는 리본나이저(ribbonizer) 등을 이용하여 리본(110, 도 3 참조)으로 구성되고 리본 단부에 멀티 채널 광커넥터가 장착된 상태로 제2 광커넥팅부(26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200)를 구성하는 재2 광커넥팅부(260)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스위치(200)의 스위칭 유닛(230)과 제2 광커넥팅부(26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MPO 패치코드(290)이며, 감시 대상 광전복합케이블의 리본화된 복수의 광섬유 단부에 MPO 커넥터(27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광커넥팅부(260)는 한 쌍의 MPO 커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양방향 어댑터일 수 있다.
한 쌍의 MPO 커넥터는 암형 MPO 커넥터와 수형 MPO 커넥터일 수 있으며, 제2 광커넥팅부(260)는 한 쌍의 암형 MPO 커넥터와 수형 MPO 커넥터를 양방향으로 장착하기 위한 어댑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스위치(200)는 스위칭 유닛(230)과 제2 광커넥팅부(260)를 MPO 패치코드로 연결하는 경우 그 내부 구성이 간소화되고, 더 나아가 또한 광전복합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섬유를 일부만 리본화하여 MPO 커넥터 등을 연결하여 양방향 MPO 커넥터 장착을 위한 어댑터 형태의 제2 광커넥팅부(260)에 연결하는 경우, 이송 현장 또는 포설 현장에서 다수의 광커넥터를 장착 및 분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광전복합케이블
200 : 광스위치
300 : OTDR 모니터링 장치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OTDR 모니터링 장치와 연결되어 광선로 감시를 위한 테스트광 및 반사광의 입출력을 위한 광패치코드를 구성하는 광커넥터가 장착되는 제1 광커넥팅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광선로 감시 대상 케이블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섬유가 함께 연결되는 멀티 채널 광커넥터가 장착되기 위한 멀티 채널 제2 광커넥팅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광커넥팅부 및 상기 제2 광커넥팅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OTDR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공되는 감시광을 상기 제2 광커넥팅부의 각각의 채널로 스위칭하여 전달하며, 상기 감시광의 반사광을 다시 제1 광커넥팅부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 유닛;를 포함하는 광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커넥팅부와 상기 스위칭 유닛은 단일 광섬유를 구비하는 단일 채널 광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유닛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는 다심 광섬유를 구비하는 멀티 채널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과 상기 제2 광커넥팅부는 MPO 패치코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광커넥팅부는 한 쌍의 MPO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MPO 어댑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스위치.
  4. 광섬유 선로 감시를 위한 OTDR 모니터링 장치;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광스위치;를 포함하고,
    금속 도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유닛 및 복수 개의 광섬유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광유닛을 구비하는 광전복합케이블의 복수 개의 광섬유 중 적어도 일부의 광섬유는 상기 광스위치의 제2 커넥팅부를 통해 연결되어 광선로의 모니터링 및 진단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복합케이블은 복수 개의 광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일부의 광섬유는 복수 개의 광유닛에서 선정된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광섬유의 단부는 리본화 공정 후 멀티 채널 광커넥터 장착후 상기 제2 커넥팅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커넥팅부에 접속되는 멀티 채널 광커넥터는 MPO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스위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유닛은 상기 OTDR 모니터링 장치에서 제공된 감시광을 상기 제2 광커넥팅부의 어느 하나의 채널로 전달하고, 상기 채널에서의 반사광을 다시 제1 광커넥팅부로 전달하는 과정은 상기 제2 광커넥팅부에 연결된 멀티 채널 광커넥터에 접속된 복수의 광섬유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KR1020210045655A 2021-04-08 2021-04-08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KR20220139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55A KR20220139559A (ko) 2021-04-08 2021-04-08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655A KR20220139559A (ko) 2021-04-08 2021-04-08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559A true KR20220139559A (ko) 2022-10-17

Family

ID=8380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655A KR20220139559A (ko) 2021-04-08 2021-04-08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95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7144B2 (ja) 光コネクタ
JP2007286587A (ja) 曲げ不反応性光ファイバを利用するループバック器具
WO2018155872A1 (ko) Otdr을 이용한 광선로 감시 시스템
US200501847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al cable chafing via optical waveguides
CA3047079A1 (en) Optical fiber test apparatus with combined light measurement and fault detection
JP5003969B2 (ja) 光接続部材
CN110045461A (zh) 配网大容量复合光缆熔接的方法
JP6375242B2 (ja) 光線路検査装置及び方法
KR20220139559A (ko) 광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광선로 감시 시스템
WO2001061317A1 (en) Apparatus for optical cable testing
CN111089706A (zh) 多通道光学测试仪
CN112564785B (zh) Odn设备、光纤接头盒、网络检测设备和光分配网络
CN213714684U (zh) 一种多功能的测试尾纤装置
KR200453204Y1 (ko) 광선로상의 광통신 커넥터 감시장치
CN112213075A (zh) 一种多功能的测试尾纤装置及使用方法
US9923630B2 (en) Analyzing optical networks
KR100576152B1 (ko) 광신호검출장치
EP4253932A1 (en) Dual-end loopback-based multi-fiber cable measurement
WO2016027966A1 (ko) 광전케이블집합체의 장애감시시스템 및 장애감시방법
CN104350407A (zh) 用于接合复合线缆的第一和第二光纤的装置和方法
JP3056223B2 (ja) 光ケーブル線路構造
CN218866175U (zh) 一种MPO-Jumper光纤活动连接线
CN219245803U (zh) 一种光缆连接装置
US20230304892A1 (en) Dual-end loopback-based multi-fiber cable measurement
KR100628838B1 (ko) 광신호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