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496A -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496A
KR20220139496A KR1020210045292A KR20210045292A KR20220139496A KR 20220139496 A KR20220139496 A KR 20220139496A KR 1020210045292 A KR1020210045292 A KR 1020210045292A KR 20210045292 A KR20210045292 A KR 20210045292A KR 20220139496 A KR20220139496 A KR 20220139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metal thin
film member
bus bar
materi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543B1 (ko
Inventor
안희익
안문기
Original Assignee
안희익
안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익, 안문기 filed Critical 안희익
Priority to KR102021004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5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bus bar)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다수개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의 절연부와 양단 접지부를 보다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킹작업을 단순화시키고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갖기 위한 부스 바의 형상으로 소재몸통(11)을 절단 성형하는 준비단계(S10);
금속박막인 호일을 접지부(13)의 전체 표면적 보다 적어도 1.2 내지 3배의 표면적을 갖게 절단하는 금속박막부재 재단단계(S20);
상기 재단된 금속박막부재(20)를 작업지그에 공급하는 금속박막부재 투입단계(S30);
상기 금속박막부재(20)의 상면에 소재몸통(11)의 접지부(13)가 위치하여 'ㄷ' 형상의 접힘면(A1,A2,A3)을 형성하는 부스 바 안착단계(S40);
상기 접지부(13)를 기준으로 금속박막부재(20)의 양측 및 일단의 접힘면(A1,A2,A3)이 접지부(13)를 감싸며 접혀지는 마스킹 작업단계(S50);
탄력을 갖는 고정튜브(30)를 상기 마스킹 작업된 접지부(13)에 끼워 마스킹을 고정하면서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구분하는 고정튜브 장착단계(S60);
상기 고정튜브(30)가 고정된 소재몸통(11)의 절연부(12)에 절연성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S70)와;
상기 소재몸통(11)의 고정튜브(30) 및 금속박막부재(20)를 제거하는 마스킹 제거단계(S80);를 포함해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bus bar for electric energy energization}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bus bar)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다수개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의 절연부와 양단 접지부를 보다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킹작업을 단순화시키고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스 바(bus bar)는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근래에는 같은 부피의 도체로 더욱 많은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부스 바를 케이블의 대체품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공장, 빌딩, 아파트, 항만, 자동차 배터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다각도로 공급되고 있다.
상기 부스 바는 일반적으로 소재몸통 중앙에 마련되는 절연부와 소재몸통 단부에 마련되는 접지부로 구분되며, 상기 절연부는 소재몸통을 고무재질로 감싸게 되는데, 상기 절연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온이 발생되는 코팅장치에 소재몸통부를 넣어 절연부를 고무재질로 코팅하거나 또는 절연부에 코팅되는 고무재질 대신 가격이 저렴하고 생산성이 좋으며 접착성과 절연효과가 뛰어난 분체 도료로 코팅작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절연부에 코팅할 때 접지부에 코팅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절연보호필름을 감거나 또는 마스킹 테이프로 테이핑 처리하는 과정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지부에 테이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테이핑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테이핑 작업 후 코팅 시 고온에 의해 테이프의 접착제가 녹아 접지부에 눌러 붙게 되고, 상기 눌러 붙은 접착제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접지부에 실리콘캡을 끼워 코팅작업 이후에도 접지부에서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선행기술도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 실리콘캡의 반복 사용으로 변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접지부에 끼워지는 실리콘캡과 틈새가 발생되어, 상기 틈새에 고무재질이 유입됨으로써 접지부와 절연부의 경계부분을 작업자 일일이 손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5284호. 부스 바 제작방법 (등록일자 2011년 11월 14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스바의 절연부와 접지부를 구분하기 위한 금속박막부재를 보다 간편하게 접어 감싸도록 형성하고, 고정튜브를 이용해 상기 금속박막부재를 고정함으로써 마스킹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박막부재를 사용하여 접지부를 감싸도록 접고, 고정튜브를 절연부와 접지부의 경계부분에 위치시키면서 접혀진 금속박막부재를 고정함으로서 경계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박막부재를 사용하여 금속재질 및 비철금속재질을 갖는 소재몸통의 절연부와 접지부를 구분하는 작업에도 사용가능하고, 상기 금속박막부재를 접지부에 감싸는 마스킹작업을 자동화시켜 생산성 및 생산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갖기 위한 부스 바의 형상으로 소재몸통(11)을 절단 성형하는 준비단계(S10);
금속박막인 호일을 접지부(13)의 전체 표면적 보다 적어도 1.2 내지 3배의 표면적을 갖게 절단하는 금속박막부재 재단단계(S20);
상기 재단된 금속박막부재(20)를 작업지그에 공급하는 금속박막부재 투입단계(S30);
상기 금속박막부재(20)의 상면에 소재몸통(11)의 접지부(13)가 위치하여 'ㄷ' 형상의 접힘면(A1,A2,A3)을 형성하는 부스 바 안착단계(S40);
상기 접지부(13)를 기준으로 금속박막부재(20)의 양측 및 일단의 접힘면(A1,A2,A3)이 접지부(13)를 감싸며 접혀지는 마스킹 작업단계(S50);
탄력을 갖는 고정튜브(30)를 상기 마스킹 작업된 접지부(13)에 끼워 마스킹을 고정하면서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구분하는 고정튜브 장착단계(S60);
상기 고정튜브(30)가 고정된 소재몸통(11)의 절연부(12)에 절연성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S70)와;
상기 소재몸통(11)의 고정튜브(30) 및 금속박막부재(20)를 제거하는 마스킹 제거단계(S8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마스킹 작업단계(S50)는, 금속박막부재(20)의 어느 일측의 측면 접힘면(A1)이 접지부(13)의 상면에 우선 접혀지고, 다른 일측의 측면 접힘면(A2)이 적층되게 접혀진 다음에 일단의 후면 접힘면(A3)이 측면 접힘면(A2)에 적층되게 접혀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마스킹 작업단계(S50)는, 금속박막부재(20)의 일단에 형성된 후면 접힘면(A3)을 접지부(13)의 상면과 양측면 접힘면(A1,A2)에 적층되게 접혀지고, 어느 일측의 측면 접힘면(A1)이 후면 접힘면(A3)의 상면에 적층되게 접혀진 다음에 다른 일측의 측면 접힘면(A2)을 더 적층되게 접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처리단계(S70)는, 소재몸통(11)을 150 내지 350 ℃의 온도에서 5 내지 15분을 가열하는 1차가열단계(S71)와; 가열된 소재몸통(11)을 엑폭시 분말형태의 피복재에 1 내지 7분 동안 침저시켜 절연부에 엑폭시 분말이 부착되게 성형하는 디핑단계(S72)와; 상기 엑폭시 분말이 부착된 소재몸통(11)을 15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8 내지 13분을 가열하여 300 내지 600 ㎛ 의 피복층(40)을 갖게 성형하는 2차가열단계(S73)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마스킹 제거단계(S80); 이후에는, 상기 부스 바(10)를 도금조에 침저시켜 접지부(13)에 니켈도금층(50)을 형성하는 도금단계(S90)가 더 포함되어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재몸통(11)은, 철,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및 비철금속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합금 재질을 갖고 성형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박막부재를 이용하여 부스바의 접지부와 절연부를 보다 간편하게 구분하고, 상기 금속박막부재를 고정튜브로 고정해 마스킹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박막부재를 사용하여 접지부를 감싸도록 접고, 고정튜브를 절연부와 접지부의 경계부분에 위치시켜, 피복층을 표면처리 한 이후에 상기 마스킹을 제거하면 접지부와 절연부를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어 작업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접지부를 금속박막부재가 감싸는 마스킹 작업공정을 자동화시켜 부스 바의 작업 생산성 및 생산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은 본 발명의 구성인 소재몸통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마스킹 작업단계의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고정튜브 장착단계의 접지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된 부스 바의 측단면도.
본 발명인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다수개의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의 절연부와 양단 접지부를 보다 간편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킹작업을 단순화시키고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금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bus bar)의 제작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준비단계(S10), 금속박막부재 재단단계(S20), 부스 바 안착단계(S40), 마스킹 작업단계(S50), 고정튜브 장착단계(S60), 표면처리단계(S70), 마스킹 제거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준비단계(S10)는, 도 2에서와 가팅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갖추기 위해 금속소재를 펀칭 성형하여 부스 바의 형상을 갖추도록 소재몸통(11)을 성형하는 단계이며, 상기 버스 바의형상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고, 펀칭 성형된 부스 바의 모서리 부분에 발생된 버(burr)는 단조 또는 버핑 등의 작업으로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금속박막부재 재단단계(S20)는, 넓게 펼쳐져 권취된 금속박막인 호일을 접지부(13)의 전체 표면적 보다 적어도 1.2 내지 3배의 표면적을 갖게 복수개로 절단하는 단계이며,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소재몸통(11)의 절연부(12)와 접지부(13)의 경계선에 일단이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접지부(13)를 양측 및 타단이 감쌀 수 있는 크기로 복수개 절단한다.
또, 금속박막부재 투입단계(S30)는, 상기 재단된 금속박막부재(20)를 소재몸통(11)을 거치하는 작업지그에 우선 안착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작업지그는 소재몸통(11)의 형상에 대응하는 지그홈이 구비되어 상기 소재몸통(11)을 지그홈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부스 바 안착단계(S40)는, 상기 금속박막부재(20)의 상면에서 지그홈에 조립되는 소재몸통(11)의 접지부(13)가 위치되게 하는 단계이며, 도 3에서와 같이 금속박막부재(20)에 안착된 소재몸통(11)은 절연부(12)와 접지부(13)의 경계선이 금속박막부재(20)의 도면상 상측에 맞춰지고, 접지부(13)의 양측에 측면 접힘면(A1,A2)과 하측에 후면 접힘면(A3)이 'ㄷ' 형상으로 구분되어 진다.
마스킹 작업단계(S50)는, 상기 접지부(13)를 기준으로 금속박막부재(20)의 양측 및 일단의 접힘면(A1,A2,A3)이 접지부(13)를 감싸며 접혀지는 단계이며, 사용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금속박막부재(20)의 어느 일측의 측면 접힘면(A1)이 접지부(13)의 상면에 우선 접혀지고, 다른 일측의 측면 접힘면(A2)이 적층되게 접혀진 다음에 일단의 후면 접힘면(A3)이 측면 접힘면(A2)에 적층되게 접혀지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측면 접힘면(A1,A2)은 접지부(13)의 길이방향으로 후면 접힘면(A3)의 양측을 포함해 함께 접혀지도록 하여 접지부(13)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한 다음에 후면 접힘면(A3)을 접지부(13) 방향으로 접어 측면 접힘면(A2)에 적층되게 한다.
또, 상기 마스킹 작업단계(S50)의 다른 사용 실시예로서, 금속박막부재(20)의 일단에 형성된 후면 접힘면(A3)을 접지부(13)의 상면과 양측면 접힘면(A1,A2)에 적층되게 접혀지고, 어느 일측의 측면 접힘면(A2)이 후면 접힘면(A3)의 상면에 적층되게 접혀진 다음에 다른 일측의 측면 접힘면(A1)을 더 적층되게 접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즉, 상기 마스킹 작업단계(S50)는, 소재몸통(11)은 절연부(12)와 접지부(13)의 경계선에 위치한 금속박막부재(20)에서 'ㄷ' 형상의 측면 접힘면(A1,A2)과 후면 접힘면(A3)을 이용해 접지부(13)를 감싸는 단계이며, 상기 접지부(13)를 감싸 후술되는 표면처리단계(S70)에서 피복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서, 상기 금속박막부재(20)가 안착된 작업지그는 상기 접힘면이 수동 또는 자동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조립된 구성을 갖게 하여, 작업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마스킹 작업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고정튜브 장착단계(S60)는, 탄력을 갖는 고정튜브(30)를 상기 마스킹 작업된 접지부(13)에 끼워 마스킹된 금속박막부재(20)의 선단을 고정하면서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명확하게 구분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소재몸통(11)의 접지부(13)를 감싸는 금속박막부재(20)의 선단에 고정튜브(30)를 끼워 접지부(13)와 금속박막부재(20)가 상호 밀착되게 하여 후술되는 표면처리단계에서 피복층이 접지부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튜브(30)는 탄력 및 내화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성형되는데, 상기의 재질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표면처리단계(S70)는, 상기 마스킹 및 고정튜브가 장착된 소재몸통(11)의 절연부(12)에 절연성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크게 1차가열단계(S71)와, 디핑단계(S72)와; 2차가열단계(S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차가열단계(S71)는, 소재몸통(11)을 150 내지 350 ℃의 온도에서 5 내지 15분을 가열하는 단계이며, 히터를 이용한 간접 가열방식을 이용하도록 한다.
디핑단계(S72)는, 1차 가열된 소재몸통(11)을 엑폭시 분말(epoxy powder)형태의 피복재에 1 내지 7분 동안 침저시켜 절연부(12)의 표면에 엑폭시 분말이 부착되게 성형하는 단계이다.
2차가열단계(S73)는, 상기 엑폭시 분말이 부착된 소재몸통(11)을 15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8 내지 13분을 가열하여 절연부(12)의 표면에 접하고 있는 엑폭시 분말이 더욱 용이하게 녹으면서 300 내지 600 ㎛ 의 피복층(40)을 갖게 성형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표면처리단계(S70)에 의해 절연부(12)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피복층(4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절연부(12)의 형상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피복층(40)이 균일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어 생산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마스킹 제거단계(S80)는, 상기 소재몸통(11)의 고정튜브(30) 및 금속박막부재(20)를 제거하는 단계로, 고정튜브를 제거한 다음에 금속박막부재를 제거하거나 또는 동시에 고정튜브와 금속박막부재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며, 고정튜브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소재몸통의 절연부에 피복층(40)을 형성하고 접지부(13)가 노출된 부스 바(10)는 상기 피복층(40)의 끝 단부가 금속박막부재(20) 및 고정튜브(30)에 의해 깔금하게 마감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부스 바(10)는 접지부(13)의 표면처리를 위해 도금단계(S90)에 투입된다.
상기 도금단계(S90)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부스 바(10)를 도금조에 침적(沈積)시켜 전해 또는 무전해 방식으로 접지부(13)의 표면에 적어도 2 ㎛ 이상 니켈도금층(5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소재몸통(11)의 철, 구리 등의 금속재질 및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합금 재질을 갖고 성형되도록 하는데, 상기 소재몸통(11)에 구리가 포함되는 경우 표면 산화방지를 위해 도금단계(S90)를 수행하나, 다른 재질의 경우 도금단계(S90)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스 바(10)의 피복상태를 확인 및 외형을 검수하여 출하하고 전기자동차 부품 등에서 사용되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S10. 준비단계 S20. 금속박막부재 재단단계
S30. 금속박막부재 투입단계 S40. 부스 바 안착단계
S50. 마스킹 작업단계 S60. 고정튜브 장착단계
S70. 표면처리단계 S71. 1차가열단계
S72. 디핑단계 S73. 2차가열단계
S80. 마스킹 제거단계 S90. 도금단계
10. 부스 바 11. 소재몸통
12. 절연부 13. 접지부
20. 금속박막부재 30. 고정튜브
40. 피복층 50. 니켈도금층

Claims (6)

  1.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갖기 위한 부스 바의 형상으로 소재몸통(11)을 절단 성형하는 준비단계(S10);
    금속박막인 호일을 접지부(13)의 전체 표면적 보다 적어도 1.2 내지 3배의 표면적을 갖게 절단하는 금속박막부재 재단단계(S20);
    상기 재단된 금속박막부재(20)를 작업지그에 공급하는 금속박막부재 투입단계(S30);
    상기 금속박막부재(20)의 상면에 소재몸통(11)의 접지부(13)가 위치하여 'ㄷ' 형상의 접힘면(A1,A2,A3)을 형성하는 부스 바 안착단계(S40);
    상기 접지부(13)를 기준으로 금속박막부재(20)의 양측 및 일단의 접힘면(A1,A2,A3)이 접지부(13)를 감싸며 접혀지는 마스킹 작업단계(S50);
    탄력을 갖는 고정튜브(30)를 상기 마스킹 작업된 접지부(13)에 끼워 마스킹을 고정하면서 접지부(13)와 절연부(12)를 구분하는 고정튜브 장착단계(S60);
    상기 고정튜브(30)가 고정된 소재몸통(11)의 절연부(12)에 절연성을 갖는 피복층을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S70)와;
    상기 소재몸통(11)의 고정튜브(30) 및 금속박막부재(20)를 제거하는 마스킹 제거단계(S80);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작업단계(S50)는,
    금속박막부재(20)의 어느 일측의 측면 접힘면(A1)이 접지부(13)의 상면에 우선 접혀지고, 다른 일측의 측면 접힘면(A2)이 적층되게 접혀진 다음에 일단의 후면 접힘면(A3)이 측면 접힘면(A2)에 적층되게 접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작업단계(S50)는,
    금속박막부재(20)의 일단에 형성된 후면 접힘면(A3)을 접지부(13)의 상면과 양측면 접힘면(A1,A2)에 적층되게 접혀지고, 어느 일측의 측면 접힘면(A1)이 후면 접힘면(A3)의 상면에 적층되게 접혀진 다음에 다른 일측의 측면 접힘면(A2)을 더 적층되게 접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S70)는,
    소재몸통(11)을 150 내지 350 ℃의 온도에서 5 내지 15분을 가열하는 1차가열단계(S71)와;
    가열된 소재몸통(11)을 엑폭시 분말형태의 피복재에 1 내지 7분 동안 침저시켜 절연부에 엑폭시 분말이 부착되게 성형하는 디핑단계(S72)와;
    상기 엑폭시 분말이 부착된 소재몸통(11)을 150 내지 200 ℃의 온도에서 8 내지 13분을 가열하여 300 내지 600 ㎛ 의 피복층(40)을 갖게 성형하는 2차가열단계(S73)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제거단계(S80); 이후에는
    부스 바(10)를 도금조에 침저시켜 접지부(13)에 니켈도금층(50)을 형성하는 도금단계(S9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몸통(11)은,
    철,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및 비철금속재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합금 재질을 갖고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KR1020210045292A 2021-04-07 2021-04-07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KR10253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292A KR102538543B1 (ko) 2021-04-07 2021-04-07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292A KR102538543B1 (ko) 2021-04-07 2021-04-07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496A true KR20220139496A (ko) 2022-10-17
KR102538543B1 KR102538543B1 (ko) 2023-06-05

Family

ID=8380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292A KR102538543B1 (ko) 2021-04-07 2021-04-07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543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176A (ja) * 2000-06-22 2002-01-08 Nagoya Oil Chem Co Ltd マスキングキャップおよびマスキング方法
JP2005251673A (ja) * 2004-03-08 2005-09-15 Toyota Motor Corp バスバー製造方法、バスバー
KR101085284B1 (ko) 2011-01-26 2011-11-22 허만욱 부스 바 제작 방법
US20150255192A1 (en) * 2012-12-28 2015-09-1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Bus bar, bus ba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us bar
US20160167601A1 (en) * 2013-07-08 2016-06-16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US9485892B2 (en) * 2014-11-26 2016-11-01 Yazaki Corporation Flat wiring body module
KR101935557B1 (ko) * 2017-12-27 2019-01-04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셀 절연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JP2019087472A (ja) * 2017-11-09 2019-06-06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バスバーの製造方法及び積層絶縁バスバーの製造方法
KR20190139739A (ko) * 2018-06-08 2019-12-18 대산전자(주) 버스바용 클래드와 버스바용 클래드 제조 방법
KR20210022367A (ko) * 2019-08-20 2021-03-03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버스바의 제조방법
JP2021048001A (ja) * 2019-09-17 2021-03-25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バスバ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176A (ja) * 2000-06-22 2002-01-08 Nagoya Oil Chem Co Ltd マスキングキャップおよびマスキング方法
JP2005251673A (ja) * 2004-03-08 2005-09-15 Toyota Motor Corp バスバー製造方法、バスバー
KR101085284B1 (ko) 2011-01-26 2011-11-22 허만욱 부스 바 제작 방법
US20150255192A1 (en) * 2012-12-28 2015-09-10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Bus bar, bus bar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us bar
US20160167601A1 (en) * 2013-07-08 2016-06-16 Yazaki Corporation Wire harness
US9485892B2 (en) * 2014-11-26 2016-11-01 Yazaki Corporation Flat wiring body module
JP2019087472A (ja) * 2017-11-09 2019-06-06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バスバーの製造方法及び積層絶縁バスバーの製造方法
KR101935557B1 (ko) * 2017-12-27 2019-01-04 세종기술 주식회사 배터리 셀 절연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20190139739A (ko) * 2018-06-08 2019-12-18 대산전자(주) 버스바용 클래드와 버스바용 클래드 제조 방법
KR20210022367A (ko) * 2019-08-20 2021-03-03 신성에스티 주식회사 전기차용 배터리 연결 버스바의 제조방법
JP2021048001A (ja) * 2019-09-17 2021-03-25 日立金属株式会社 絶縁バスバー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543B1 (ko)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11442A1 (en) Terminal-provided wir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jig
JP6673404B2 (ja) 導電部材
US9793625B2 (en) Electric wire with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electric wire
JP2010020980A (ja)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EP2940799B1 (en)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terminal connecting method
JP6118823B2 (ja) 非導電性構造体内の電流リターン回路網の接続方法、等電位シャント接続、および等電位ボンディング
CN105390905A (zh) 覆皮电线的接合方法
WO2019225492A1 (ja) 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電線の接続方法
JP2016001551A (ja) 被覆電線および圧着端子付き電線
CN112310776B (zh) 将接触件导电地连接至导体的方法以及电线
KR20220139496A (ko) 전기에너지 통전용 부스 바의 제작방법
JP6316230B2 (ja) 接続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電線の製造方法
JP6013417B2 (ja) 被覆電線の接合方法
CN111133539B (zh) 具有端子区域的电器件和用于制造端子区域的方法
JP6709705B2 (ja) 端子付き電線
KR101282631B1 (ko) 전선의 단자 접속방법
WO2019004214A1 (ja) 導電路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316229B2 (ja) 接続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電線の製造方法
JP6276820B2 (ja) 被覆電線の接合方法
JP6177394B1 (ja) 導体製造方法および導体
JP6116740B1 (ja) 平編組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24012B2 (ja) シールド電線長トリミング装置
JP6784453B2 (ja) 端子圧着電線の製造方法
JP2017152094A (ja) 端子部材
WO2015064667A1 (ja) リッツ線用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