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185A -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 Google Patents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185A
KR20220139185A KR1020210045515A KR20210045515A KR20220139185A KR 20220139185 A KR20220139185 A KR 20220139185A KR 1020210045515 A KR1020210045515 A KR 1020210045515A KR 20210045515 A KR20210045515 A KR 20210045515A KR 20220139185 A KR20220139185 A KR 20220139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rete
strength
rame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292B1 (ko
Inventor
전창훈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기술산업
주식회사 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기술산업, 주식회사 선종 filed Critical (주)오케이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21004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2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6Concrete reinforced with fibres other than steel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교대(120); 상기 교대(1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거더(130); 상기 기초부(110)의 내측에 배근하는 다수개의 주철근(140); 다수개의 주철근(140)을 빙둘러 감싸도록 설치하는 강화섬유봉(150);을 포함하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초부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넓이 및 형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기초부의 부식 및 균열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강도 및 부착성은 물론 수축 및 팽창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Ramen bridge using high-strength concrete and reinforcing fiber rods}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초부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형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멘교는 지반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초부; 상기 기초부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교대; 상기 교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거더;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시공한다.
이러한 라멘교는 교대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내진성이 우수하며, 교좌장치 및 신축이음장치가 없어 유지관리 및 주행성에 유리한 우수한 교량형식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교대 및 거더의 하중 및 부하와 모멘트가 집중되면서 불필요하게 기초부의 크기 및 형고가 증가하여 시공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기초부의 내부에 시공하는 띠철근이 콘크리트 열화 부식으로 인해 내구성을 저하시킴은 물론 띠철근이 적정의 인장강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라멘교의 균열이 발생하고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기초부의 콘크리트는 인장 응력으로 인해 균열이 발생하고 균열부위로 공기와 습기가 침입하여 수축 팽창을 통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9586호(2010.07.1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59138호(2013.04.3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5413호(2017.01.1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16652호(2020.05.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초부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형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부의 부식 및 균열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100)는,
지반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교대(120); 상기 교대(1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거더(130); 상기 기초부(110)의 내측에 배근하는 다수개의 주철근(140); 다수개의 주철근(140)을 빙둘러 감싸도록 설치하는 강화섬유봉(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부(110)의 콘크리트는
시멘트 20 내지 35 중량부, 골재 50 내지 60 중량부, 칼슘 실리케이트 0.5 내지 2 중량부, Melment F-10 0.01 내지 2 중량부, 반수석고 1 내지 3 중량부, 산화알루미늄 1 내지 2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5 중량부, 수산화칼륨 0.1 내지 1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1 내지 3 중량부, 글라스버블 0.1 내지 5 중량부, 폴리파이버 0.01 내지 5 중량부, 2-에틸헥실-프로페노에이트 1 내지 6 중량부, 프로-2-에노익산 1 내지 4 중량부,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은 0.01 내지 5 중량부, 실크피브로인 0.5 내지 3 중량부, 재유화형 분말수지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화섬유봉(150)은
강화섬유 40 내지 60 중량부, 비닐 에스테르 수지 20 내지 33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15 중량부, 아크릴니트릴 0.1 내지 10 중량부,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 1 내지 3 중량부, 구아검 0.5 내지 1.5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0.1 내지 3 중량부, 저수축제 0.1 내지 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0.1 내지 3 중량부, 자일렌 0.1 내지 2 중량부, 산화아연 0.1 내지 5 중량부, 디큐밀 퍼옥사이드 0.1 내지 2.5 중량부, 소듐 벤조 에이트 0.1 내지 1 중량부, 메톡시실란 0.01 내지 2 중량부, 칼륨인산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초부의 압축강도와 인장강도를 향상시켜 넓이 및 형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기초부의 부식 및 균열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강도 및 부착성은 물론 수축 및 팽창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반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교대(120); 상기 교대(1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거더(130); 상기 기초부(110)의 내측에 배근하는 다수개의 주철근(140); 다수개의 주철근(140)을 빙둘러 감싸도록 설치하는 강화섬유봉(1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기초부(110)는 상기 교대(120)의 단면보다 더 넓은 넓이 및 형고를 갖도록 형성하여, 라멘교의 경간과 동일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초부(110)는 상기 교대(120) 및 거더(130)의 하중 및 부하와 모멘트가 집중되면서 불필요하게 크기(넓이) 및 형고가 증가하여 시공효율을 저하시키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상기 기초부(110)의 콘크리트는
시멘트 20 내지 35 중량부, 골재 50 내지 60 중량부, 칼슘 실리케이트 0.5 내지 2 중량부, Melment F-10 0.01 내지 2 중량부, 반수석고 1 내지 3 중량부, 산화알루미늄 1 내지 2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5 중량부, 수산화칼륨 0.1 내지 1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1 내지 3 중량부, 글라스버블 0.1 내지 5 중량부, 폴리파이버 0.01 내지 5 중량부, 2-에틸헥실-프로페노에이트 1 내지 6 중량부, 프로-2-에노익산 1 내지 4 중량부,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은 0.01 내지 5 중량부, 실크피브로인 0.5 내지 3 중량부, 재유화형 분말수지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시멘트는 조성물질을 서로 접착시키고, 콘크리트를 응결시키며, 응결 후에 강도를 증가시켜 콘크리트의 물성에 대하여 초기 경화를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는 20 내지 3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멘트는 20 중량부 미만이면 시멘트의 함량이 적어지면서 골재의 함량이 늘어나면서 부착강도를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35 중량부 초과이면 시멘트의 함량이 줄어들어 압축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시멘트는 조강 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단기 강도에 효과적인 알라이트(Alite, C3S)의 함량이 높아 3일 강도를 1일 만에 발현하므로 긴급공사에 효과적이며 공기단축이 가능한 조강 시멘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조강 시멘트는 우기, 동절기 등 계절에 따라 공사기간의 단축이 요구되는 공사나, 도로공사, 수중공사 등 공사의 종류에 따라 작업 시간에 제약을 받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골재는 입도 상태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ity)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입도에 따라 공극률이 축소되기도 하고 확대되기도 하여 단위 용적중량이 크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 수밀성,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의 물리적인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골재의 중량부를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상기 골재는 50 내지 6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골재는 50 중량부 미만이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저하시키고, 반대로 60 중량부 초과이면 코스트가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는 C2S 또는 C3S인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속도 및 강도 조절을 위하여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C2S 또는 C3S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캄슘과 규산칼슘 수화물을 생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C2S 또는 C3S는 물과 반응하여 Ca2+가 용출되고, 액상은 높은 알카리성이 되며, 과포화상태에 이르면 수산화칼슘 결정이 석출되고 동시에 (SiO4)4+가 수산화규산 이온(Si(OH)6)2-로 되고, C2S 또는 C3S는 입자 주위에 Ca2+와 결합하여 규산칼슘 수화물(C-S-H)이 생성된다.
이 수화물은 수화 정도에 따라 화학조성이 변화하는 겔 상태의 저결정질이다.
여기서 상기 수화반응물은 원래의 미수화 광물보다 부피가 크므로 경화 후에도 수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의 수화 반응 후 24시간이 경과하면 칼슘 실리케이트는 광물인 C2S 또는 C3S의 수화반응이 계속 일어나 겔 상태의 칼슘실리케이트 수화물을 생성시켜, 수화물 구조에 치밀하게 충전되어 경화체가 에트링자이트 반응과 팽창용으로 수축현상을 상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는 0.5 내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칼슘 실리케이트는 0.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해 경화속도의 조절이 힘들며, 반대로 2 중량부 초과이면 코스트 측면에서의 문제점과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Melment F-10은 동일 단위수량에서 슬럼프의 증대효과를 발휘하는 화합물로서 이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Melment F-10는 응집된 입자를 분산시켜 콘크리트 입자의 유동을 증가시켜 본 발명 조성물 물-콘크리트비의 감수효과로 인한 강도 증진 및 내구성을 개선한다.
이때 상기 Melment F-10을 사용하여 물 사용량을 기존 배합에 비해 15 내지 20% 이상 감소시켰다.
이러한 물 사용량 감소로 수분의 이동 경로인 모세관의 수를 감소시켜 더욱 치밀한 구조의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으며, 이 치밀한 구조의 콘크리트는 표면에서의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여기서 상기 Melment F-10은 0.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Melment F-10은 0.01 중량부 미만이면 유동성이 저하되어 상기 성능발현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반대로 2 중량부 초과이면 과다 사용으로 인해 몰탈 점성이 저하하여 재료가 분리되는 골재 분리 현상이 나타나 보수성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반수석고는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낮추고 수화발열을 지연시키며 수화열에 의한 균열발생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반수석고는 고분말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시멘트의 반응 활성도를 높여 초기강도 하락을 보상하면서 후기 재령의 압축강도 발현을 증가시켜 콘크리트를 제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수석고는 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반수석고는 1 중량부 미만이면 수화발열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져 수화열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발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반대로 3 중량부 초과이면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산화알루미늄은 콘크리트 표면에 견고하고 내식성 및 방수성이 강한 피막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철근 부식 방지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산화알루미늄은 1 내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화알루미늄은 1 중량부 미만이면 재료 분리가 발생되기 쉽고 성능 개선 효과가 미흡하게 되고, 반대로 2 중량부 초과이면 성능은 개선되나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에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휨 강도 및 인장 강도를 증진시키고 양생시 표면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며 콘크리트 시공 후 초기 시공 안정성에 효과적이며 초기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1 중량부 미만이면 인장 강도 및 휨 강도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작업성과 경제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수산화칼륨은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화 전 상태에서는 유동성을 증가시키고 작업성을 개선시키며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화 후 상태에서는 표면 부착력 증가, 응집력증가, 굴곡 강도 증가, 굴곡성 증진 및 방수력 증대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여기서 상기 수산화칼륨은 0.1 내지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산화칼륨은 0.1 중량부 미만이면 표면 부착력 강화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1 중량부 초과이면 수화 반응시 수화 생성물의 생성을 방해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는 콘크리트의 점도 조절 및 보수성을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는 0.0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는 0.01 중량부 미만이면 콘크리트의 작업성은 개선되나 보수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3 중량부 초과이면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버블은 콘크리트의 기계적 특성 및 충진률을 향상시키고 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의 수축으로 인한 라멘교 변형 현상이 극히 적도록 하며, 높은 비율의 충진이 가능하여 콘크리트의 강도향상에 기여하는 기능을 담당함은 물론 경량 충진재로서 라멘교의 전체적인 무게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글라스버블은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글라스버블은 0.1 중량부 미만이면 강도 향상의 특징을 충분히 발현하기 어렵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콘크리트의 팽창메커니즘이 작용함에 따라 강도물성의 저하를 초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폴리파이버(Polyfiber)는 내산성, 내알칼리성, 분산성이 우수하고 섬유의 거친 표면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와 부착성능이 우수하며 섬유의 높은 인장력과 뛰어난 탄성계수, 낮은 신장율, 높은 내후성을 가진다.
특히 상기 폴리파이버는 단위 체적당 차지하는 섬유수가 많아 섬유의 가교작용을 통하여 콘크리트 복합체의 인장강도, 휨 인성 증대 및 균열 저항성 향상, 충격 및 파손, 피로 반복하중을 높여주는 등 콘크리트의 역학적 성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파이버는 0.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파이버는 0.01 중량부 미만이면 휨강도, 인장강도 및 균열저항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강도저하와 콘크리트 혼합 시 섬유가 뭉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2-에틸헥실-프로페노에이트는 콘크리트의 연성 부여 및 부착강도 증진을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2-에틸헥실-프로페노에이트는 1 내지 6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2-에틸헥실-프로페노에이트는 1 중량부 미만이면 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6 중량부 초과이면 압축강도가 저하되고 가격 또한 매우 고가여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2-에노익산은 콘크리트의 1차 중합 폴리머에 음이온성 관능기를 부여하여 이를 통해 다량의 양이온성 표면 관능기를 갖는 콘크리트 입자 표면을 중화시켜 콘크리트 작업시 가사시간을 연장시키며 콘크리트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2-에노익산은 1 내지 4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프로-2-에노익산은 1 중량부 미만이면 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4 중량부 초과이면 콘크리트 생산시 과도한 분산성으로 인해 재료분리 및 유동성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은 휨 인성 및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은 0.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은 0.01 중량부 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재료 분리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실크피브로인은 휨 강도, 인성 등의 우수한 강도, 수밀성, 균열저항성 및 방청성을 더욱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실크피브로인은 0.5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크피브로인은 0.5 중량부 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3 중량부 초과이면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라텍스나 에멀젼을 분무하여 건조시킨 입자 표면에 무기질의 응집방지제(anti-cakingpowder)를 코팅하여 입자끼리 서로 뭉치지 않고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제조한 것으로 물 또는 알칼리용액 중에서 재유화하며, 액상형태의 폴리머 디스퍼젼에 비해 건조 상태의 콘크리트 및 골재를 혼합한 형태로 제품을 제조한 후 물만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프리팩키지 형태의 제품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때 상기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밀도 0.9-1.0g/cm3인 것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비닐카복시레이트(VaVeoVa),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중에서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0.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0.5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반대로 10 중량부 초과이면 입자의 코팅에 의해 수화작용을 방해하여 압축강도가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하, 상기 기초부(110)의 콘크리트를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를 표 1에 나타낸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1>
시멘트 100 중량부
<비교예 2>
시멘트 70 중량부, 골재 30 중량부
<실험예 1>
휨 강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KSF 4042 방법의 휨강도 공시체 모양으로 제작된 재령 30일이 된 콘크리트 시편을 구비하고, 제1시험편에 실시예 1에 따른 휨 강도시편과, 제2시험편에 비교예 1에 따른 휨강도 시편을, 제3시험편은 비교예 2에 따른 휨 강도 시편을 각각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시험편 3개를 제작하고, 제작된 각 시험편들에 KSF 4042 휨강도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아래의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 실시예 1의 제1시험편에서는 휨강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의 휨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압축강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KSF 4042 방법의 압축강도 공시체 모양으로 제작된 재령 30일이 된 콘크리트 시편을 구비하고, 제 1시험편에 실시예 1에 따른 압축강도 시편과, 제 2시험편에 비교예 1에 따른 압축강도 시편을 제 3시험편은 비교예 2에 따른 압축강도 시편을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시험편 3개를 제작하고, 제작된 각 시험편들에 KSF 4042 압축강도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아래의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pat00003
상기의 표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 실시예1 제 1시험편에서는 압축강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실험예 3>
부착강도를 시험하기 위하여 KSF 4042 방법의 부착강도 공시체 모양으로 제작된 재령 30일이 된 콘크리트 시편을 구비하고, 제 1시험편에 실시예 1에 따른 부착강도 시편과, 제2시험편에 비교예 1에 따른 부착강도 시편을, 제 3시험편은 비교예 2에 따른 부착강도 시편을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시험편 3개를 제작하고, 제작된 각 시험편들에 KSF 4042 부착강도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아래의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pat00004
상기의 표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 실시예1의 제 1시험편에서는 부착강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 부착강도가 우수함을 확인할수 있었다.
<실험예 4>
길이변화 시험하기 위하여 KSF 4042 방법의 압축강도 공시체 모양으로 제작된 재령 30일이 된 콘크리트 시편을 구비하고, 제 1시험편에 실시예 1에 따른 길이변화 시험시편과, 제 2시험편에 비교예 1에 따른 길이변화 시험시편을, 제 3시험편은 비교예 2에 따른 길이변화 시험시편을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시험편3개를 제작하고, 제작된 각 시험편들에 KSF 4042 길이변화시험 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아래의 표 5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pat00005
상기의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 실시예1의 제 1시험편에서는 길이변화 수치가 가장 낮게 측정된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110)의 콘크리트 길이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라멘교는 차량 등의 하중이 재하 되면 중력방향 하중뿐만 아니라 모멘트까지 우각부를 통해 교대로 전달되고, 교대를 통해 기초로 전달된다.
종래의 라멘교 경우에는 기초부의 단면이 교대의 단면보다 더 넓은 넓이 및 형고를 갖도록 형성해야 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한 콘크리트를 타설한 라멘교의 기초부는 고강도 압축강도는 물론 단면 및 넓이 및 형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기존 콘크리트 ks규정의 경우 압축강도가 20MPa며, 본 발명을 적용한 기초부의 콘크리트 강도를 60MPa가 나오며 이로 인해 기초부의 단면 및 넓이가 축소됨을 아래의 표 6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pat00006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기초부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높아 기존의 라멘교의 형고가 아래의 표 7과 같이 축소되어 형고에 제약이 따르는 구간에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아울러 본 발명은 라멘교 기초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주철근을 빙둘러 감싸도록 설치하는 금속재질의 띠철근을 대신하여 강화섬유를 포함한 강화섬유봉으로 대체되므로 피복두께로부터 자유롭고 철근 부식, 구조물의 성능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과 더불어 기초부의 두께 및 길이는 대폭 줄일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강화섬유봉(150)은
강화섬유 40 내지 60 중량부, 비닐 에스테르 수지 20 내지 33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15 중량부, 아크릴니트릴 0.1 내지 10 중량부,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 1 내지 3 중량부, 구아검 0.5 내지 1.5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0.1 내지 3 중량부, 저수축제 0.1 내지 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0.1 내지 3 중량부, 자일렌 0.1 내지 2 중량부, 산화아연 0.1 내지 5 중량부, 디큐밀 퍼옥사이드 0.1 내지 2.5 중량부, 소듐 벤조 에이트 0.1 내지 1 중량부, 메톡시실란 0.01 내지 2 중량부, 칼륨인산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특히 강화섬유는 아크릴계 섬유, 아크릴아미드계 섬유,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스틸계 섬유, PP(polypropylene)계 섬유,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ellulose nano-fiber), 셀룰로오스(cellulose)계 섬유, PE(polyethylene)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화섬유는 40 내지 6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강화섬유는 40 중량부 미만이면 라멘교 기초부에 적합한 인장강도 및 휨강도가 기준 이하가 되어 기초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반대로 60 중량부 초과이면 강화섬유의 함량이 높아져 강화섬유를 제외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조성물과의 충분한 함침이 이루어지기 어려워 타 조성물들이 강화섬유와 결합하는 작용이 떨어져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우수한 내약품성, 접착성 및 강인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20 내지 3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닐 에스테르 수지는 20 중량부 미만이면 굽힘 강도 및 인장강도가 떨어지게 되며, 반대로 33 중량부 초과이면 상대적으로 다른 조성물의 함량이 떨어져 제 기능을 발휘가 어렵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액상 에폭시 수지로 뛰어난 접착력, 내약품성, 내열성 등 경화물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용도로 응용되는 범용 에폭시 수지로서, 반응수축이 매우 작고 휘발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치수안정성, 강근성, 고온특성, 내마모성이 좋아 기계적 가공성이 높다.
여기서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5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15 중량부 초과이면 체적이 팽창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우수한 접착력 및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 및 탈락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점도가 100 내지 1,500cps인 저점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수지 50 중량%와, 점도가 3,000 내지 25,000cps인 고점도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50중량 %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1 내지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1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상승으로 인하여 작업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반대로 15 중량부 초과이면 더는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아크릴니트릴은 내구성 및 내알칼리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아크릴니트릴은 0.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크릴니트릴은 0.1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성 및 내알칼리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10 중량부 초과이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Aminofunctional siloxan)은 강화섬유봉이 실온에서 효과적으로 경화하고 내열성, 저온 성능, 내화학성, 내용매성 및 내유성과 같은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은 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은 1 중량부 미만이면 강화섬유봉의 경화효율이 떨어지며, 반대로 3 중량부 초과이면 점도가 높아져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구아검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천연수지로서 수화반응에 의한 팽창 및 탈수에 의한 수축작용과 조성물의 수화반응에 의한 고화시 팽창작용과의 상호작용으로 위 배합이 적용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서 상기 구아검은 0.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아검은 0.5 중량부 미만이면 강화섬유봉의 탄성력이 떨어지며, 반대로 1.5 중량부 초과이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네오펜틸글리콜은 저온에서도 강화섬유 및 수지 조성물이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네오펜틸글리콜은 0.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네오펜틸글리콜은 0.1 중량부 미만이면 강화섬유봉의 경화효율이 떨어지며, 반대로 3 중량부 초과이면 불필요하게 가소 효율이 상승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저수축제는 강화섬유봉 조성물의 경화시 수지가 수축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저수축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포화 폴리에스테르, 염화비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축제는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저수축제는 0.1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그 성능이 더 이상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분산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을 개선함으로써 들뜸 현상 및 뒤틀림 등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0.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0.1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3 중량부 초과이면 그 양이 과도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강화섬유봉의 내후성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자일렌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자일렌은 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일렌은 0.1 중량부 미만이면 점도 조절의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2 중량부 초과이면 그 양이 과도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은 경화 촉진 및 부식 방지를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산화아연은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화아연은 0.1 중량부 미만이면 부식 방지성이 떨어지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조성물의 급격한 반응으로 인해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디큐밀 퍼옥사이드는 경화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디큐밀 퍼옥사이드는 0.1 내지 2.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큐밀 퍼옥사이드는 0.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효율이 떨어지고, 반대로 2.5 중량부 초과이면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상기 소듐 벤조 에이트는 조성물의 점탄성을 높이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소듐 벤조 에이트는 0.1 내지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듐 벤조 에이트는 0.1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며, 반대로 1 중량부 초과이면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메톡시실란은 유기물인 수지와 무기물인 실리카 또는 실리케이트와의 습윤력을 높여주어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메톡시실란은 0.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톡시실란은 0.01 중량부 미만이면 습윤력이 떨어지고 접착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 중량부 초과이면 습윤력 증대로 인한 접착제의 점도 저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칼륨인산염은 조성물의 용해를 빠르게 촉진시켜 초기의 반응열을 높게 하여 응결경화를 빠르게 함으로써 초기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칼륨인산염은 1 내지 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칼륨인산염은 1 중량부 미만이면 가수분해 속도가 저하되어 강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5 중량부 초과이면 급결성능에 의해 수축되어 균열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하, 상기 강화섬유봉(150)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화섬유봉(150)을 표 8에 나타낸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8
<비교예 A>
강화섬유 50 중량부, 비닐에스테르수지 50 중량부
<비교예 B>
강화섬유 50 중량부, 비닐에스테르수지 40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10 중량부
실시예 2와 비교예 A,B를 아래 시험방법으로 시험해 보았다.
<시험방법>
인장강도: KSM ISO 527-4
굴곡강도: KSM ISO 14125
압축강도: KSM ISO 14126
상기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아래의 표 9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pat00009
위와 같이 인장강도, 굴곡강도, 압축강도가 모두 향상되어 라멘교의 경우에는 기초부의 넓이 및 형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라멘교
110: 기초부 120: 교대
130: 거더 140: 주철근
150: 강화섬유봉

Claims (3)

  1. 지반에 설치된 다수개의 기초부(110); 상기 기초부(110)의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교대(120); 상기 교대(1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는 거더(130); 상기 기초부(110)의 내측에 배근하는 다수개의 주철근(140); 다수개의 주철근(140)을 빙둘러 감싸도록 설치하는 강화섬유봉(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110)의 콘크리트는 시멘트 20 내지 35 중량부, 골재 50 내지 60 중량부, 칼슘 실리케이트 0.5 내지 2 중량부, Melment F-10 0.01 내지 2 중량부, 반수석고 1 내지 3 중량부, 산화알루미늄 1 내지 2 중량부, 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5 중량부, 수산화칼륨 0.1 내지 1 중량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1 내지 3 중량부, 글라스버블 0.1 내지 5 중량부, 폴리파이버 0.01 내지 5 중량부, 2-에틸헥실-프로페노에이트 1 내지 6 중량부, 프로-2-에노익산 1 내지 4 중량부,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은 0.01 내지 5 중량부, 실크피브로인 0.5 내지 3 중량부, 재유화형 분말수지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봉(150)은 강화섬유 40 내지 60 중량부, 비닐 에스테르 수지 20 내지 33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 내지 15 중량부, 아크릴니트릴 0.1 내지 10 중량부, 아미노기 함유 실록산 1 내지 3 중량부, 구아검 0.5 내지 1.5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 0.1 내지 3 중량부, 저수축제 0.1 내지 5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0.1 내지 3 중량부, 자일렌 0.1 내지 2 중량부, 산화아연 0.1 내지 5 중량부, 디큐밀 퍼옥사이드 0.1 내지 2.5 중량부, 소듐 벤조 에이트 0.1 내지 1 중량부, 메톡시실란 0.01 내지 2 중량부, 칼륨인산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KR1020210045515A 2021-04-07 2021-04-07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KR102459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15A KR102459292B1 (ko) 2021-04-07 2021-04-07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15A KR102459292B1 (ko) 2021-04-07 2021-04-07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85A true KR20220139185A (ko) 2022-10-14
KR102459292B1 KR102459292B1 (ko) 2022-10-27

Family

ID=8359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15A KR102459292B1 (ko) 2021-04-07 2021-04-07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29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093A (ja) * 1993-11-11 1995-05-30 Fukuvi Chem Ind Co Ltd 樹脂含浸繊維複合体製補強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9586B1 (ko) 2009-07-03 2010-07-12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007708B1 (ko) * 2010-06-28 2011-01-13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59138B1 (ko)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라멘교
KR101695413B1 (ko) 2016-02-05 2017-01-11 주식회사 아라엔텍 탄성힌지로 거동하는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2116652B1 (ko) 2019-05-21 2020-05-28 브릿지스탠다드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거더 연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093A (ja) * 1993-11-11 1995-05-30 Fukuvi Chem Ind Co Ltd 樹脂含浸繊維複合体製補強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9586B1 (ko) 2009-07-03 2010-07-12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007708B1 (ko) * 2010-06-28 2011-01-13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세미-힌지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59138B1 (ko) 2013-02-07 2013-04-30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라멘교
KR101695413B1 (ko) 2016-02-05 2017-01-11 주식회사 아라엔텍 탄성힌지로 거동하는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2116652B1 (ko) 2019-05-21 2020-05-28 브릿지스탠다드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거더 연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292B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449B2 (en) Self-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CN104478371B (zh) 一种节能型混凝土裂缝修补剂
CN102659369B (zh) 一种环氧乳液改性混凝土道桥快速修补砂浆及其制备方法
CN105236891B (zh) 一种嵌缝用柔性混凝土
KR101057132B1 (ko) 친환경 유무기 하이브리드 보수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RU2471738C1 (ru) Ремонтно-гидроизол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добавка в виде волластонитового комплекса для ремонтно-гидроизолирующей композиции,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створов, бетонов и изделий на их основе
KR101302448B1 (ko) 유동성 및 초기 강도발현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보수공법
Bothra et al. Polymer-Modified concrete
KR101777823B1 (ko) 섬유 및 에폭시수지를 혼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사형 frp앵커의 콘크리트 구조물 단부 정착시공방법
CN109020391A (zh) 一种喷射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941932B1 (ko) 리바운더 제로형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재 조성물과 이를 열화방지 코팅제와 함께 이용한 보수보강공법
CN111848067B (zh) 一种用于大型桥梁支座的灌浆料及其制备方法
KR102459292B1 (ko) 고강도 콘크리트와 강화섬유봉을 이용한 라멘교
CN111848068A (zh) 一种用于水平表面缺陷的快速修补砂浆及其制备方法
KR100536471B1 (ko) 통기성이 개선된 콘크리트 박막 보수 및 보강용 에폭시모르타르 조성물
KR102600824B1 (ko) 작업성이 우수한 고내식성 중성화 방지 친환경 폴리머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의 보수방법
KR10187654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용 섬유보강재 및 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공법
KR101745615B1 (ko)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방법
KR101665486B1 (ko) 콘크리트 혼화용 아크릴계 합성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에 의한 교면포장 및 보수공법
KR101712819B1 (ko) 초속경 시멘트 폴리머 개질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11634556B2 (en) Method for preparing accelerator for sprayed mortar/concrete
KR102291788B1 (ko) 개선된 염분침투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및 스케일링저항성을 갖는 고성능 라텍스 개질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포장도로의 보수방법
KR102248355B1 (ko) 속경성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보수공법
CN112960957B (zh) 玻璃纤维增强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0881772B1 (ko) 방수용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포장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