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817A -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 Google Patents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817A
KR20220138817A KR1020220041182A KR20220041182A KR20220138817A KR 20220138817 A KR20220138817 A KR 20220138817A KR 1020220041182 A KR1020220041182 A KR 1020220041182A KR 20220041182 A KR20220041182 A KR 20220041182A KR 20220138817 A KR20220138817 A KR 2022013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s
aquatic
lid
main body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김인숙
라명화
박영제
노한철
김종만
김우중
Original Assignee
(주)한국종합환경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종합환경연구소 filed Critical (주)한국종합환경연구소
Publication of KR2022013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01K61/53Baske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생물의 종자를 지정된 바다에 방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Device for seed sowing of marine creatures and method for discharging seed of marine creatures}
본 발명은 수산생물의 종자를 일정 영역의 바다에 방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류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산업 분야의 경우 과거 자연적으로 얻어지는 수산자원을 채취하였다면 지금은 산업 및 기술의 발달로 양식장을 조성하여 인공적으로 양식 하거나 자원조성을 위해 자연에 방류하여 채취하기도 한다.
바다 속의 어류나 무척추동물 등이 서식하는 데에는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자연환경을 필요로 하나, 기후변화 및 산업화에 의한 정화되지 않은 생활폐수나 산업폐기물 등이 바다에 유입되고, 무분별한 간척사업 등으로 자연환경이 파괴되거나 오염으로 인해 어패류 등이 점차 사라져 가고 있어 인공으로 양식을 하는 일이 많아졌다.
인공양식과 더불어 과도한 어획과 매립·간척 및 해양오염 등으로 수산자원이 계속 감소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1976년부터 수산자원을 조성하기 위해 수산종자방류사업을 시작하였다. 즉, 인공양식이 적절하지 않은 품목은 육상에서 키운 종자를 선박을 이용하여 바다에 방류하여 자생 및 성장하게 하여 채취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이러한 수산종자방류사업은 수산종자를 바다에 방류하여 수산자원의 양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자원조성사업으로 현재 생산이 가능한 수산종자의 수는 50여종이 넘는다.
한편, 종래 수산종자의 방류 방식은 단순히 선상에서 해수면으로 수산종자를 부어 넣는 것에 그쳤고, 수산종자를 방류한 후 별다른 관리나 조치가 수반되는 것은 아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산종자 방류 방식에 의해서 방류된 종자는 종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서식지에 도달하기도 전에 포식자들에 노출되거나 조류 등에 휩쓸려 방류 직후부터 생존율이 매우 낮아진다. 또한 선상방류의 경우 수산종자의 방류 범위가 광범위하고 조류에 의해 타지역으로 이동해버리는 등 특정 지역에 잔류할 확률이 낮아서 투입 종자 또는 치어 대비 수득되는 수산자원의 양이 현저히 적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별로 어업권역이 정해져 있는데 선상에서 어패류의 종자 또는 치어를 방류 또는 씨뿌림하는 경우 어패류가 나의 권역이 아닌 타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어업권역으로 이동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여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패류 종자가 부착된 패각을 끈에 연속되게 꿰어서 해수 속에 투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이 경우도 파도나 조류에 의하여 패류 종자가 쉽게 탈리되어 유실당하는 폐단이 많이 있었다. 공개특허 2013-0095007에서는 선상의 컨테이너에서 연장관을 이용하여 수산종자를 바다에 방류하는 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이 역시 단시간 내에 수산종자가 흩어져서 일정 영역에 씨뿌림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해삼양식 기술은 세계 최고 생산기술을 지닌 중국의 경우 인공종자 대량생산과 축제식 종자 중간육성 및 양식, 바다 씨뿌림 양식, 축제식 양식 산업화 등 육상수조식 양식을 제외한 거의 모든 양식기술이 정착되었고, 일본은 중국의 해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공종자 생산과 자원회복을 위한 씨뿌림 방류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해삼을 전략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양식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는 인공종자 생산기술 개발 초기단계에 있으며, 양식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공종자 생산기술 및 씨뿌림 양식기술이 개발 단계에 있고, 축제식 양식기술은 산업적으로 개발이 이미 완료되어 있다. 그러나 양식산업화에 필수적인 종자의 중간육성 기술과 축제식에 의한 가격이 저렴한 종자의 대량생산 기술개발이 미흡한 상황이며, 특히 종자를 바다에 안전하게 방류하는 기술이 정착되지 않아 방류 이후의 생존율이 매우 낮은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495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95007호
본 발명은 선상에서 방류되는 수산생물의 종자가 포식자나 해수 조건 등으로부터 받게 되는 위험요인을 감소시켜 서식지에 안전하게 도달하도록 하며 또한 필요시 일정기간 안전하게 머물 수 있도록 하여 방류된 수산종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수산종자 방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업인 소득창출품종 자원조성을 목적으로 해삼, 주꾸미, 낙지, 전복 등 정착성 수산생물의 종자를 생산해 연안 해역에 방류 또는 씨뿌림함에 있어서 방류 또는 씨뿌림되는 수산생물이 일정 지역 내에서 효율적으로 씨뿌림되고, 필요시 서식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안 해역에 방류 또는 씨뿌림된 수산생물 종자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면서도 인공 물질에 의한 바다의 오염은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산생물 종자를 바다에 방류하기 위한 장치로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바닥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측면과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본체 상부를 감싸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말단부 및 그물 구조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말단부에 연결된 로프; 및
상기 본체 내부 바닥에 놓인 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산생물 종자를 바다에 방류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바닥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측면과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본체 상부를 감싸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말단부 및 그물 구조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말단부에 연결된 로프; 및
상기 본체 내부 바닥에 놓인 침자를 포함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본체에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단계,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덮는 단계,
배 위에서 뚜껑에 연결된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생물 종자가 담지된 장치를 해저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뚜껑에 연결된 로프를 담겨서 뚜껑을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생물 종자의 바다 방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는 수산생물의 종자를 바다에 방류함에 있어서, 방류된 수산생물의 종자가 포식자나 조류 등 해수 조건 등으로부터 받게 되는 위험요인을 감소시켜 원하는 서식지에 안전하게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방류된 수산생물 종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는 정착성 수산생물이 일정 권역에 씨뿌림되게 하여 해당 지역의 수산자원을 풍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는 방류된 수산생물의 종자가 외부 자연환경으로 보호되어 충분히 성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1시간 이내에 수산생물 종자를 10만마리 이상 방류할 수 있고, 수산생물 종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종자의 투입에 따른 잠수 인력의 투입이 필요 없어서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삼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 장치의 본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 장치의 본체에 뚜껑이 결합한 장치의 계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를 바다에 설치한 후 해삼 종자가 방류장치 밖으로 탈출하여 서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는 육상에서 키운 수산생물 종자를 배를 이용하여 바다로 나아가 바다에 방류 또는 씨뿌림하고 필요 시 일정시간 자생하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렇게 방류 또는 씨뿌림된 수산생물은 성체가 되었을 때 채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로 방류되는 수산생물은 바람직하게는 정착성 수산생물이다. 정착성 수산생물이란 유영능력이 없이 일정한 장소의 영역에서 생활하는 수산동식물이다. 본 발명의 방류장치로 방류되는 수산생물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해삼, 주꾸미, 낙지, 문어, 전복, 성게, 소라류, 가리비, 개불, 오분자기 등을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삼을 들 수 있다.
해삼은 피부의 채색에 따라 청해삼과 홍해삼, 흑해삼으로 구분되며, 이들 3색의 해삼을 포함한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는 상부에 로프를 이용하여 선상에서 해저면에 안착시킬 수 있어서, 잠수부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에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의 일 예의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는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바닥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20)을 포함한다. 상기 뚜껑(20)은 본체 상부를 감싸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말단부(21) 및 그물 구조의 중심부(22)를 포함한다. 뚜껑(20)은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말단부(21)를 통하여 본체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가 방류장치를 해저에 안치한 이후 제거된다. 뚜껑(20)의 중심부(22)의 그물눈은 담지된 수산생물 종자의 초기 이탈을 잠시 지연시키기 위하여 10-20mm일 수 있다.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수산생물 종자가 담지 된다. 상기 담지 되는 수산생물의 종자 1마리는 체장 2-10cm, 체중 1-50g, 바람직하게는 1-10g이다. 담지되어 방류되는 종자가 상기 기준보다 작을 경우 바다에 방류했을 때 생존율이 낮아지는 반면, 상기 기준보다 크면 방류할 수 있는 개체수가 줄고 종자를 크게 키워 방류하는데 비용이 증가하는 등 경제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본체(10)는 그 형상에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사각기둥형일 수 있고, 정사각기둥형 또는 직사각기둥형일 수 있고, 상부면적보다 하부면적이 넓은 사각뿔대 형상일 수 있고, 원반형일 수 있다. 컨테이너가 사각뿔대 형상이면 선상에서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투하하였을 때보다 안정적으로 투하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가로 30-100cm, 세로 30-100cm 및 높이 20-70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로 30-60cm, 세로 30-60cm, 높이 20-50cm일 수 있고 이 경우 1,000-10,000마리, 바람직하게는 3,000-5,000마리의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수산생물의 종자를 방류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나무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서 방류장치가 바다에 투척된 이후 일정 기간은 그 형상을 유지하여 필요 시 방류된 수산생물 종자의 서식처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수산생물 종자가 머물 경우 종자가 포식자나 해수 조건 등으로부터 받게 되는 위험요인을 감소시켜 준다. 한편, 수산생물 종자는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서 자유로운 먹이활동을 하며 성장할 수 있다. 상기 나무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자연 분해되어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수산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고 그 결과 수산생물은 주변 자연환경에서 자유롭게 성장하게 된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태양광에 의해서 분해되는 광분해성 플라스틱, 첨가제인 분해물질을 범용 플라스틱에 첨가하여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 및 이들의 특성을 혼합한 생/광분해성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락티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들은 바다에서 분해시간이 3~5년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수산생물의 어린 종자의 보호 및 이후 수산생물의 자연에서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체(10)의 측면 또는 측면과 바닥에는 관통구(11)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11)는 직경 1-7cm, 바람직하게 1-5cm, 더욱 바람직하게는 1-3cm일 수 있고 간격은 1-5cm일 수 있다. 관통구(11)의 크기가 상기와 같은 경우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를 해저에 안치할 때 물의 저항이 적게 되어 안치가 용이할 수 있고, 방류장치가 해저에 안치된 이후에는 내부에 수용된 수산생물 종자의 탈출구가 되어 종자가 관통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나감으로써 자유로운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다.
본체(10)에 형성된 관통구(11)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 사각기둥 형상의 컨테이너에서 하단부의 구멍의 크기가 상단부의 구멍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고, 상단부부터 하단부로 방향으로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부의 큰 구멍은 상기 장치를 바다에 투하할 때 물의 저항을 줄여주는 한편, 하단부의 작은 구멍은 방류장치 안치 초기 해삼 종자의 이탈을 잠시 지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뚜껑(20)을 개방하여 수산생물 종자를 본체(10)에 담지한 이후 닫고 방류장치 내의 수산생물 종자가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본체(10) 내부 바닥부에는 침자(30)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침자(30)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가 바다에 안치될 때 무게 중심을 잡아주어 방류장치가 안치되기 용이하게 하거나 조류에 유실되지 않게 하며, 정착성 수산생물의 종자의 성장에서 서식처 역할을 하고 수산생물의 종자가 성장한 이후 바다의 어초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침자(30) 위에 해조류가 성장하고 상기 성장된 해조류는 바다 생물의 먹이가 되고 또한 해조류 성장 공간은 바다 생물의 은신처가 될 수 있다. 상기 침자(30)는 바람직하게는 천연석, 다공성 시멘트 블록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연 친화적인 굴패각 시멘트, 천연석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침자(30)는 중량 3-10kg으로 바닥에 4-5cm 두께로 놓일 수 있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추가로 생분해성 그물주머니를 포함하여 수산생물 종자가 상기 생분해성 그물주머니 내부에 담지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그물주머니는 바다에 투하된 이후 일정 시간 이후 생분해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본체에 사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그물주머니의 그물눈은 내부 종자의 초기 이탈을 막기 위하여 10-30mm일 수 있다. 수산생물 종자를 생분해성 그물주머니에 담지하는 경우 방류장치를 바다에 내릴 때 수산생물 종자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는 상기 장치를 배 위에서 해저에 안치하기 위한 로프(40)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40)는 길이가 15-50m로 본 발명의 장치를 간조 시 수심 5-40m, 바람직하게는 5-30m의 해저에 안치시킬 수 있다. 상기 로프(40)는 뚜껑(20), 바람직하게는 뚜껑의 말단부(21)에 부착되어 있어서, 방류장치를 해저에 안치한 이후 로프(40)를 당김으로써 방류장치의 뚜껑(20)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산생물 종자를 바다에 방류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바닥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측면과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본체 상부를 감싸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말단부 및 그물 구조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말단부에 연결된 로프; 및
상기 본체 내부 바닥에 놓인 침자를 포함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본체에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단계,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덮는 단계,
배 위에서 뚜껑에 연결된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생물 종자가 담지된 장치를 해저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뚜껑에 연결된 로프를 담겨서 뚜껑을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상생물 종자의 바다 방류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수산생물 종자를 바다에 방류하는 방법은 배 위에서 별도의 장치 없이 종자를 방류하는 선상 방류방식이었다.
선상 방류방식은 조류에 의한 해수의 흐름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종자가 목표지점의 바닥에 닿기 전에 다른 곳으로 이동해버리며, 종자의 낙하속도에 따라서는 조류의 영향으로 종자를 넣지 않은 이웃 어촌계 어장으로 이동해버릴 수 있어 어촌계 간의 소유권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시험결과 선상 방류시 해삼의 경우 체중 2g, 어장 수심 5m를 기준으로 조류에 의한 해삼의 이동 거리는 유속이 10cm/sec일 때 15.63m를 이동하며, 유속이 20cm/sec일 때 31.27m, 유속이 30cm/sec일 때 46.90m, 유속이 40cm/sec일 때 62.54m를 이동해 버린다.
또한 기존 선상 방류는 종자가 낙하과정에서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바닥에 안착하기 전에 어류 등 해적생물에 노출되어 손실을 입거나 스트레스에 의해 생존율이 낮아져 방류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방법은 배 위에서 로프를 이용하여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어장의 목표지점에 정확히 내리고 뚜껑을 개방하면 24시간 이내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스스로 97% 이상의 수산생물 종자가 상자에서 안전하게 탈출하며, 방류 2일 후 대부분 자연 서식지로 이동 서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산생물 종자를 본체 내부에 들어가는 생분해성 그물주머니에 담지하여 방류할 수 있다. 수산생물 종자를 생분해성 그물주머니에 담지하는 경우 방류장치를 바다에 내릴 때 수산생물 종자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산생물 종자가 든 방류방치를 목표지점에 정확히 안착시키기 때문에, 타 어촌계 어장으로 종자가 흘러 들어갈 염려가 없으며, 바다에서의 생존율이 높아 계획적인 상품 수확이 가능하여 어촌계의 소득을 안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잠수부 또는 스쿠버가 물속에 들어가지 않고 로프를 이용하여 방류장치를 배 위에서 바다의 바닥에 안치시킴으로써 잠수부의 잠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의 본체로 금속 등의 재질이 아닌 나무 또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사용하고 본체를 덮는 뚜껑은 회수함으로써 수산생물 종자의 방류에 따른 바다의 오염이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최소한의 장비를 사용하여 수산생물 종자를 원하는 바다의 해저에 방류하면서 장비에 의한 바다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류방법은 방류장치를 바닥에 안착시킨 후 배를 이동시키고 추가로 방류장치를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1헥타 면적에 16-20여개의 방류장치를 안착시킴으로 인하여 약 10만 마리의 수산생물 종자를 단시간 내에 방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류장치의 본체 내부에 수산생물과 함께 굴 껍데기 은신처를 넣어 어린 수산생물 종자를 일정기간 동안 성장시킨 후 스스로 상자를 탈출하게 하여 생존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육상 수조에서의 해삼 종자 방류시험
종자 방류 장치(가로x세로x높이 35x35x25cm, 재질 나무, 구멍 크기 2cm)에 개체중량 1-3g의 해삼 5,000마리를 담지하고 방류장치를 육상수조에 안착시켰다.
안착 이후 시간에 따른 해삼 탈출 개체를 조사하고 그 경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해저에서의 해삼 종자 방류시험
종자 방류 장치(가로x세로x높이 35x35x25cm, 재질 나무, 구멍 크기 2cm)에 개체중량 1-3g의 해삼 5,000마리를 담지하고 방류장치를 해저에 안착시켰다.
안착 이후 시간에 따른 해삼 탈출 개체를 조사하고 그 경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탈출 경과시간 비고
30분 3시간 5시간 10시간 15시간 20시간 24시간 48시간
육상수조 시험 1회 시험 탈출개체 (마리) 38 184 680 967 1,236 938 460 384 4,887
누적비율 (%) 0.76 4.44 18.04 37.38 62.10 80.86 90.06 97.74
2회 시험 탈출개체 (마리) 51 227 714 954 1,302 970 364 204 4,786
누적비율 (%) 1.02 5.56 19.84 38.92 64.96 84.36 91.64 95.72
평균 탈출개체 (마리) 44.5 205.5 697 960.5 1,269 954 412 294 4,836.5
누적비율 (%) 0.89 5.0 18.94 38.15 63.53 82.61 90.85 96.73
해면시험 1회 시험 탈출개체 (마리) 66 280 760 1,040 1,530 930 260 88 4,954
누적비율 (%) 1.32 6.92 22.0 42.92 73.52 92.12 97.32 99.08
상기 표 1에 의하면 육상수조에서 2회에 걸쳐 해삼 종자(체중 1-3g)의 상자 탈출 속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입식 48시간 경과 후 해삼의 96.73%가 탈출한 반면, 실제 해저에서는 48시간 경과 후 99.1%가 상자를 탈출하여 매우 양호하게 바다 서식처에 정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저에서 해삼 종자가 방류장치 밖으로 탈출하는 시간대별 모습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a)는 해삼 종자를 방류장치에 담지한 사진이다. 도 4(b)는 방류장치를 해저에 안치한 직후 해삼 종자들이 구멍쪽으로 이동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c)는 방류장치의 안치 1시간 후 해삼 종자가 방류장치를 탈출한 사진이다. 도 4(d)는 해삼 종자 방류 18일 후 해삼 종자가 안정적으로 은신하여 생육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즉, 본 발명의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이용하면 자연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수산생물 종자를 경제적으로 특정 바다에 방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0 : 본체
11 : 관통구
20 : 뚜껑
21 : 말단부
22 : 중심부
30 : 침자
40 : 로프

Claims (9)

  1. 수산생물 종자를 바다에 방류하기 위한 장치로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바닥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측면과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본체 상부를 감싸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말단부 및 그물 구조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말단부에 연결된 로프; 및
    상기 본체 내부 바닥에 놓인 침자를 포함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11)는 직경 1-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생분해성 그물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락티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침자는 시멘트 블록 또는 천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
  6. 수산생물 종자를 바다에 방류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바닥과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측면과 바닥에 형성된 관통구: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으로 본체 상부를 감싸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진 말단부 및 그물 구조의 중심부를 포함하는 뚜껑;
    상기 뚜껑의 말단부에 연결된 로프; 및
    상기 본체 내부 바닥에 놓인 침자를 포함하는 수산생물 종자 방류장치를 이용하며
    상기 본체에 수산생물 종자를 담지하는 단계,
    본체의 상부에 뚜껑을 덮는 단계,
    배 위에서 뚜껑에 연결된 로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산생물 종자가 담지된 장치를 해저에 안착시키는 단계 및
    뚜껑에 연결된 로프를 담겨서 뚜껑을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산생물 종자의 바다 방류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락티드, 폴리카프로락톤 및 폴리히드록시부티르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류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침자는 시멘트 블록 또는 천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류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수산생물 종자를 본체 내부 들어가는 생분해성 그물주머니에 담지하여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류방법
KR1020220041182A 2021-04-05 2022-04-01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KR20220138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892 2021-04-05
KR20210043892 2021-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817A true KR20220138817A (ko) 2022-10-13

Family

ID=8359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182A KR20220138817A (ko) 2021-04-05 2022-04-01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8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7722A (zh) * 2023-01-31 2023-06-23 江苏海洋大学 一种简易的贝类苗种均匀播种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59Y1 (ko) 2000-05-22 2000-12-01 김청호 쉘타가 부착된 인공어초
KR20130095007A (ko) 2012-02-17 2013-08-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산종묘 방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59Y1 (ko) 2000-05-22 2000-12-01 김청호 쉘타가 부착된 인공어초
KR20130095007A (ko) 2012-02-17 2013-08-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수산종묘 방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7722A (zh) * 2023-01-31 2023-06-23 江苏海洋大学 一种简易的贝类苗种均匀播种装置
CN116267722B (zh) * 2023-01-31 2024-02-27 江苏海洋大学 一种简易的贝类苗种均匀播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meson Early life history of the giant clams Tridacna crocea Lamarck, Tridacna maxima (Roding), and Hippopus hippopus (Linnaeus)
CN100577002C (zh) 松江鲈鱼夏花苗种的生产方法
CN107897068B (zh) 一种提高人工繁育砗磲幼贝增殖放流成活率的方法
CN107771718B (zh) 一种小规格砗磲幼贝底播增殖方法
CN102318576B (zh) 松江鲈鱼全程海水繁育方法
JP2010148521A (ja) 付着性海生動物の培養
CA1319574C (en) Scallop aquaculture
JPH05176653A (ja) 海上における水産生物の養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20138817A (ko) 수산생물의 종자 방류장치 및 방류 방법
EP1834523A1 (en) Method of aquaculturing a scampi lobster and device for aquaculturing a scampi lobster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401225A (zh) 一种文蛤育苗越冬及中间育成方法
Mercier et al. Life history and feeding biology of the deep-sea pycnogonid Nymphon hirtipes
CN106912418B (zh) 一种于热带浅海蛇目白尼参底播增殖方法
KR101978417B1 (ko) 갯지렁이의 부화방법
KR102487938B1 (ko) 해조류 어초 이식용 고정장치
KR101957022B1 (ko) 모자반류 접합자를 자연석인 현무암에 부착 및 생장시켜 바다숲을 조성하는 신규 바다숲 조성방법
KR100647843B1 (ko) 해조류의 인공종묘의 인공어초 이식을 통한 해중림조성방법
KR101812733B1 (ko) 점토와 한지를 활용한 조하대의 잘피 이식방법
KR20200124420A (ko) 실내에서 수행되는 갯게의 인공종자 생산방법
Al-Rashdi et al. Abalone, Haliotis mariae (Wood, 1828), hatchery and seed production trials in Oman
JP3814670B2 (ja) 無毒化したフグ
CN112970642A (zh) 一种有机虾种虾的培育方法
CN112772495A (zh) 一种无公害对虾种虾的培育方法
JP3535499B2 (ja) フグの養殖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フグの無毒化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