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719A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719A
KR20220138719A KR1020210044762A KR20210044762A KR20220138719A KR 20220138719 A KR20220138719 A KR 20220138719A KR 1020210044762 A KR1020210044762 A KR 1020210044762A KR 20210044762 A KR20210044762 A KR 20210044762A KR 20220138719 A KR20220138719 A KR 2022013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inlet
bongsu
extend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Original Assignee
두리화학 주식회사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리화학 주식회사, 최백규, 하재식, 김홍채 filed Critical 두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719A/ko
Publication of KR2022013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이 개구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결합되고, 오수 및 생활 하수가 모이는 봉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봉수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혼합 방지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수받이{Drain sewage}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생활 하수 또는 오수를 받아서 일정량을 저장하여 악취를 차단하는 트랩 역할을 하고,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오수받이는 설치 장소와 사용 목적에 따라 오수 처리 용량과 크기를 결정하고, 그에 적합한 규격으로 제작 및 설치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되고 등록된 종래의 오수받이(아래 선행 기술 참조)는, 별도의 봉수 트랩을 몸체부 내부에 장착하거나 몸체부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기 대문에, 오수받이의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오수받이의 경우, 제 1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와 제 2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생활 하수가 하우징 내부의 봉수부에서 혼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오수와 생활하수가 하나의 공간에 모여서 섞이는 오수받이의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상세히, 화장실 변기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물이 항상 고여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오수받이의 봉수부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화장실 변기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
한편, 싱크대 또는 화장실 세면대 및 화장실 바닥의 배수구와 상기 오수받이를 연결하는 유로의 일부분이 뉘어진 S자 형태로 만곡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트랩이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장기간 외출로 집을 비우는 경우, 상기 트랩에 고여있는 물이 증발하여 악취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임계 수위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오수받이 내부에서 오수와 생활하수가 혼합되면서 발생하는 악취가 역류하여 부엌이나 화장실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선행 기술 : 한국등록특허 제10-2139343호(2020년07월2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화장실 변기를 통해서 유입되는 오수와 세면대 또는 싱크대를 통해서 유입되는 생활 하수가 봉수부에서 만나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이 개구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결합되고, 오수 및 생활 하수가 모이는 봉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의 양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제 2 측면부 및 제 3 측면부, 상기 제 1 측면부의 맞은편에서 상기 제 2 측면부와 제 3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 4 측면부, 및 악취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상면부에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악취 배출구가 위치하는 입상관 연결부; 및 상기 제 1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 1 유입구와, 상기 제 2 및 제 3 측면부 각각에 제공되는 제 2 유입구 및 제 3 유입구, 및 상기 제 4 측면부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를 포함하는 오수받이이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봉수부로 유입되는 오수 및 생활 하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상기 봉수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혼합 방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혼합 방지벽은 상기 제 1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 4 측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는, 상기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오수받이가 가지는 기술적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더 있다.
구체적으로, 오수가 모이는 영역과 생활 하수가 모이는 영역이 혼합 방지벽에 의하여 구획되므로, 오수와 생활 하수가 서로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화장실 변기에서 유입된 오물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화장실 바닥이나 싱크대 배수구를 통하여 실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오수와 생활 하수의 혼합을 방지하는 혼합 방지벽이 봉수턱보다 높게 연장되므로, 봉수부 내부에서 오수 포집 영역과 생활하수 포집 영역 간 유체의 혼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혼합 방지벽이 베이스 커버의 상면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커버를 하우징 저며에 결합하기만 하면 되므로, 제품의 조립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상기 오수받이의 평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오수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오수받이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횡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오수받이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6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오수받이의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오수받이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오수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되는 오수받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30)는, 바닥이 개구된 다각통 형상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된 바닥에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2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0)은,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유입구 및 배수구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구와 배수구들을 배관 연결부로 통칭하여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는, 개구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는, 제 1 측면부(111)와, 상기 제 1 측면부(111)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제 4 측면부(114)와, 상기 제 1 측면부(111)의 일 측단부에서 상기 제 4 측면부(114)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측면부(112), 및 상기 제 1 측면부(111)의 타 측단부에서 상기 제 4 측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3 측면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측면부(112)의 단부가 상기 제 4 측면부(114)의 일 측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측면부(112)의 단부가 상기 제 4 측면부(114)의 타 측단부에 연결어,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측면부(112)의 단부와 상기 제 4 측면부(114)의 일 측단부가 제 5 측면부(115)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 3 측면부(113)의 단부와 상기 제 4 측면부(114)의 타 측단부가 제 6 측면부(1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육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측면부(111)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 1 유입구(14)가 연장되고, 상기 제 2 측면부(112)와 제 3 측면부(113) 각각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제 2 유입구(15)가 연장되며, 상기 제 4 측면부(113)에는 배수구(16)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측면부(112)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제 3 측면부(113)에 형성되는 유입구 중 어느 하나는 제 2 유입구로, 다른 하나는 제 3 유입구로 정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 1 유입구(14)를 통해서 오수가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유입구(15)를 통해서 생활 하수가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오수와 생활 하수는 상기 배수구(16)를 통해서 오수 받이(3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 유입구(14)를 통해서 생활 하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 2 유입구(15)를 통해서 오수가 유입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유입구(14)의 연장 방향과 상기 제 2 유입구(15)의 연장 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구(14)의 연장 방향과 상기 배수구(16)의 연장 방향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5 측면부(115) 및 제 6 측면부(116)는 상기 제 4 측면부(114) 쪽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5 측면부(115) 및 제 6 측면부(116)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횡단면적이 상기 배수구(16) 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보인 오수 및 생활 하수가 상기 배수구(16)를 통과하면서 유속이 빨라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모인 오수 및 생활 하수가 신속하게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부에는 입상관이 연결되는 입상관 연결부(13)가 원통 슬리브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입상관 연결부(13)의 내측에는 악취 배출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부(117)에는 입상관 연결부(13)가 원통 슬리브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상관 연결부(13)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상면부(117)에는 악취 배출구(1171)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오수받이(30)는 지하에 매립되고, 악취 배출을 위한 관이 상기 입상관 연결부(13)에 연결되고, 상기 악취 배출을 위한 관의 상단은 지상으로 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다.
한편, 도 3의 분해 사시도에 보이는 베이스 커버와 도 4의 종단면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받이(30)를 구성하는 상기 베이스 커버(20)는, 상기 몸체부(11)의 내부 측면에 밀착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는 커버 바디(21)와, 상기 커버 바디(21)의 하단에서 수평 및 수직하게 연장되는 체결 플랜지(22)와, 상기 커버 바디(21)의 상단을 연결하여 상기 오수 받이(30)의 바닥을 정의하는 오수받이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플랜지(22)는, 상기 커버 바디(2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후 수직하게 연장되어, 내측에 체결홈(2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221)에는 상기 하우징(20)의 몸체부(11)를 구성하는 측면부들(111 내지 116)의 하단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바디(21)의 외면은 상기 측면부들(111 내지 116)의 내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오수받이 바닥부는, 상기 제 1 측면부(111)의 내면에 밀착되는 커버 바디(21) 부분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유입면(23)과, 상기 유입면(23)의 하단에서 상기 제 4 측면부(114)를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닥면(24)과, 상기 바닥면(24)의 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유출면(25)과, 상기 유출면(25)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배수면(2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커버(20)는, 상기 제 2 측면부(112) 및 제 3 측면부(113)의 내면에 밀착되는 커버 바디 부분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24)에 연결되는 제 2 유입면(27 : 도 8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유입면(27)은, 좌측 제 2 유입면(271)과 우측 제 2 유입면(2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제 2 유입면(271)과 우측 제 2 유입면(272) 중 어느 하나는 제 2 유입면으로, 다른 하나는 제 3 유입면으로 정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제 2 유입면(271,272)은 하단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입면(23), 제 2 유입면(27), 바닥면(24), 및 유출면(2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오수 및 하수가 임시 저장되는 봉수부(water sealing portion)(28) 또는 봉수홈(water sealing recess)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면(25)과 상기 배수면(26)의 경계 부분은 봉수턱(29)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봉수턱(29)은 상기 봉수부(28)에 모인 오수 및 하수가 상기 배수면(26)을 타고 흘러넘치는 임계 높이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입면(23)과 상기 유출면(25)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유입면(23)과 상기 유출면(25) 중 어느 하나의 기울기가 다른 하나의 기울기보다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면(23)과 상기 제 1 유입면(23)의 상단을 지나는 수평면이 이루는 각, 즉 상기 제 1 유입면(23)의 경사각은 40° ~ 5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46°일 수 있다.
상기 유출면(25)과 상기 유출면(25)의 상단을 지나는 수평면이 이루는 각, 즉 상기 유출면(25)의 경사각은 적어도 상기 제 1 유입면(23)의 경사각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면(26)의 상단, 즉 상기 봉수턱(29)을 지나는 수평면과 상기 배수면(26)이 이루는 각, 즉 상기 배수면(26)의 경사각은, 상기 제 1 유입면(23)의 경사각 또는 상기 유출면(25)의 경사각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15°~ 35°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28°일 수 있다.
상기 배수면(26)은 일 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오수 및 하수가 상기 배수구(16)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봉수부(28)로 유입되는 오수와 생활 하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커버(20)에는 한 쌍의 혼합 방지벽(201)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혼합 방지벽(201)은 상기 베이스 커버(20)를 구성하는 오수받이 바닥부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제 1 유입면(23)이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 커버(20)의 후단에서 상기 봉수턱(29)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혼합 방지벽(201)은 상기 베이스 커버(20)의 제 1 유입면(23)과 상기 유출면(25)을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혼합 방지벽(201)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혼합 방지벽과 제 2 혼합 방지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혼합 방지벽(201) 각각은, 상기 베이스 커버(20)의 모서리,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유입면(23)과 상기 제 2 유입면(27)이 만나는 모서리에서 상기 베이스 커버(20)의 중심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2011)와, 상기 구획부(2011)의 단부에서 상기 봉수턱(29)까지 연장되는 안내부(20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혼합 방지벽(201)에 의하여, 상기 봉수부(28)는 3 개의 공간(후술함)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 방지벽(201)은 상기 봉수턱(29)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H) 더 연장된다. 그 결과, 상기 세 개의 공간에 포집되는 오수 또는 생활 하수가 상기 혼합 방지벽(201)을 타고 넘어 서로 섞이는 현상이 방지된다. 왜냐하면, 상기 봉수부(28)에 모이는 오수 및 생활 하수의 최대 수위는 상기 봉수턱(29)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횡단면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5-5를 따라 절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수 받이(30)를 구성하는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유입구 별로 구획벽(12)이 각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구획벽(12)은, 제 1 유입구(14)가 형성되는 제 1 측면부(111)의 내면에 제공되는 제 1 구획벽(121)과, 상기 제 2 측면부(112)의 내면에 제공되는 제 2 구획벽과, 상기 제 3 측면부(113)의 내면에 제공되는 제 3 구획벽(1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구획벽들 사이에는 삽입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커버(2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면, 상기 혼합 방지벽(201)의 구획부(2011)가 상기 삽입홈(124)에 삽입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획벽(121 ~ 123) 각각은, 해당 구획벽이 형성되는 측면부에 제공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입구의 토출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12)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부(117)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되, 상기 복수턱(29)보다 더 낮은 지점까지 연장된다.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구획벽(12)의 하단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봉수턱(29)을 지나는 수평선 간의 거리를 봉수 깊이(D)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봉수 깊이는 2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구획벽(12)에 의하여 상기 봉수부(28)는 세 개의 공간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세 개의 영역은 하나의 오수 포집 공간(A1)과 두 개의 생활 하수 포집 공간(A2,A3), 또는 하나의 생활 하수 포집 공간(A1)과 두 개의 오수 포집 공간(A2,A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벽(12)은 상기 세 개의 공간에 각각 하나씩 제공되며, 상기 몸체부(11)를 이루는 측면부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획벽(121,122,123) 각각에 의하여 정의되는 다수의 공간은, 오수 트랩 공간과 생활 하수 트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오수 포집 공간(A1) 내에 제공되는 오수 트랩 공간(S1)과, 상기 생활 하수 포집 공간(A2,A3) 내에 각각 제공되는 생활 하수 트랩 공간(S2,S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활 하수 트랩 공간(S2,S3)은 제 1 생활 하수 트랩 공간(S2)과 제 2 생활 하수 트랩 공간(S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구(14)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수는 상기 제 1 구획벽(121)에 부딪힌 후 상기 오수 트랩 공간(S1)으로 낙하하여 상기 오수 포집 공간(A1) 전체에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입구(15,16)를 통하여 배출되는 생활 하수는 상기 제 구획벽(122)과 제 3 구획벽(123)에 각각 부딪혀서 상기 제 1 및 제 2 생활 하수 트랩 공간(S2,S3)으로 낙하하여 상기 생활 하수 포집 공간(A2,A3)에 각각 채워진다.
한편,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획벽(121,122,123)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부(117)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입상관 연결부(13)의 내측 공간 중 상기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공간이 악취 배출구(1171)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방지벽(201)을 구성하는 한 쌍의 안내부(2012)는 상기 한 쌍의 구획부(2011)로부터 상기 봉수턱(29)을 향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안내부(2012) 사이에 정의되는 오수 포집 공간(A1)의 횡단면 면적이 상기 복수턱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오수 포집 공간(A1)에 채워진 오수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상기 봉수턱(29)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오수의 배출 성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커버 바디(21)와 상기 안내부(2012) 간의 폭이 상기 봉수턱(29)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오수 포집 공간(A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체적이 작은 상기 생활 하수 포집 공간(A2,A3)에 채워진 생활 하수가 상기 봉수턱(29) 쪽으로 흐를 때 발생하는 유동 저항이 감소하여, 생활 하수의 배출 성능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도 6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오수받이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오수받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커버(20)에 형성되는 상기 봉수턱(29)은, 상기 한 쌍의 혼합 방지벽(201)의 단부들 사이에 해당하는 중앙부(291)와, 상기 중앙부(291)의 좌측과 우측 부분으로 정의되는 좌측부(292)와 우측부(29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봉수턱(29)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좌측부(292), 중앙부(291), 및 우측부(293)의 높이가 일정하게 설계될 수 있고, 상기 중앙부(291)의 높이가 상기 좌측부(292)와 우측부(293)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중앙부(291)의 높이가 상기 좌측부(292)와 우측부(293)의 높이보다 낮게 설계되면, 상기 배수면(26)을 타고 배출되던 생활 하수와 오수의 혼합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때, 상기 생활 하수 포집 공간(A2,A3)으로 역류하는 혼합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커버(20)가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봉수턱(29)을 지나는 수평선(L)을 기준으로 상기 혼합 방지벽(201)은 상기 수평선(L1)보다 높은 지점까지 연장되고, 상기 구획벽(12)의 하단부는 상기 수평선(L1)보다 낮은 지점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세 개의 구획벽들(121,122,123) 및 상기 혼합 방지벽(201)에 의하여, 세 공간(A1,A2,A3 또는 S1,S2,S3)에 유입된 유체가 서로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3)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이 개구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결합되고, 오수 및 생활 하수가 모이는 봉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 1 측면부와, 상기 제 1 측면부의 양 단부에서 절곡 연장되는 제 2 측면부 및 제 3 측면부, 상기 제 1 측면부의 맞은편에서 상기 제 2 측면부와 제 3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 4 측면부, 및 악취 배출구가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상면부에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악취 배출구가 위치하는 입상관 연결부; 및
    상기 제 1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 1 유입구와, 상기 제 2 및 제 3 측면부 각각에 제공되는 제 2 유입구 및 제 3 유입구, 및 상기 제 4 측면부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를 포함하는 오수받이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봉수부로 유입되는 오수 및 생활 하수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상기 봉수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혼합 방지벽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혼합 방지벽은 상기 제 1 측면부로부터 상기 제 4 측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측면부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는 커버 바디와,
    상기 커버 바디의 하단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 플랜지와,
    상기 커버 바디의 상단을 연결하는 오수받이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수받이 바닥부는,
    상기 제 1 측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커버 바디 부분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유입면과,
    상기 제 1 유입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바닥면과,
    상기 제 2 측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커버 바디 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유입면과,
    상기 제 3 측면부의 내면에 밀착되는 커버 바디 부분의 상단에서 상기 바닥면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3 유입면과,
    상기 바닥면의 단부에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유입면을 연결하는 유출면, 및
    상기 유출면의 상단에서 상기 배수구까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배수면을 포함하고,
    상기 봉수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유입면과, 상기 바닥면, 및 상기 유출면에 의하여 정의되고,
    상기 유출면의 상단은 봉수턱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혼합 방지벽은,
    상기 오수받이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 연장되고,
    상기 제 1 유입면과 상기 제 2 유입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봉수턱까지 연장되는 제 1 혼합 방지벽과, 상기 제 1 유입면과 상기 제 3 유입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봉수턱까지 각각 연장되는 제 2 혼합 방지벽을 포함하는 오수받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혼합 방지벽 각각은,
    두 개의 유입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봉수턱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의 단부에서 상기 봉수턱까지 연장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오수받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 방지벽의 구획부와 상기 제 2 혼합 방지벽의 구획부는 상기 봉수턱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혼합 방지벽의 안내부와 상기 제 2 혼합 방지벽의 안내부도 상기 봉수턱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혼합 방지벽에 의하여, 상기 봉수부는,
    상기 제 1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오수 포집 공간과,
    상기 제 2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생활 하수가 저장되는 제 1 생활 하수 포집 공간과,
    상기 제 3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생활 하수가 저장되는 제 2 생활 하수 포집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측면부의 내면에서 상기 제 1 유입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2 측면부의 내면에서 상기 제 2 유입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2 구획벽과,
    상기 제 3 측면부의 내면에서 상기 제 3 유입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 또는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 3 구획벽을 포함하는 오수받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획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부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획벽의 상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부에 의하여 차폐되며,
    상기 악취 배출구는, 상기 입상관 연결부의 내측 공간 중,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획벽의 상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구획벽의 하단은 상기 봉수턱보다 낮은 지점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10. 제 8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구획벽들 사이에는 상기 혼합 방지벽의 구획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이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제 1 측면부에 의하여 오수 트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구획벽과 상기 제 2 측면부에 의하여 제 1 생활 하수 트랩 공간이 형성되,
    상기 제 3 구획벽과 상기 제 3 측면부에 의하여 제 2 생활 하수 트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오수 트랩 공간은 상기 오수 포집 공간 내에 정의되어 서로 연통하고,
    상기 제 1 생활 하수 트랩 공간은 상기 제 1 생활 하수 포집 공간 내에 정의되어 서로 연통하며,
    상기 제 2 생활 하수 트랩 공간은 상기 제 2 생활 하수 포집 공간 내에 정의되어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방지벽은 상기 봉수턱보다 높은 지점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턱은,
    상기 한 쌍의 안내부 사이에 해당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좌측에 해당하는 좌측부, 및
    상기 중앙부의 우측에 해당하는 우측부로 나뉘어지고,
    상기 중앙부의 높이는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와 높이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상기 좌측부 및 우측부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KR1020210044762A 2021-04-06 2021-04-06 오수받이 KR20220138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762A KR20220138719A (ko) 2021-04-06 2021-04-06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762A KR20220138719A (ko) 2021-04-06 2021-04-06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719A true KR20220138719A (ko) 2022-10-13

Family

ID=8359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762A KR20220138719A (ko) 2021-04-06 2021-04-06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7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343B1 (ko) 2020-03-19 2020-07-29 두리화학 주식회사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343B1 (ko) 2020-03-19 2020-07-29 두리화학 주식회사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690C2 (ru)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EP1886612B1 (en) Upward discharge waste device for a shower tray
US8646117B2 (en) Anti-siphon trap with snorkel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CN109162338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220138719A (ko) 오수받이
KR102139343B1 (ko) 오수받이
CN109235609A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预埋管件
KR101119526B1 (ko)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KR100923133B1 (ko) 내장형 봉수트랩을 구비한 오수받이
KR20060121796A (ko) 인버트와 트랩이 일체로 형성된 오수받이의 본체구조
CN209308138U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20210131203A (ko) 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관 조립체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447783Y1 (ko)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EP1464768A2 (en) Floor drain
CN215715789U (zh) 一种增强排水速度的排水组件
CN209429234U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预埋管件
JP4332603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87223Y1 (ko) 악취 차단용 트랩 구조를 갖는 트렌치
KR101607430B1 (ko) 트랜치가 구비된 배수트랩
KR102727185B1 (ko) 층상배관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