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171A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171A
KR20220138171A KR1020210043973A KR20210043973A KR20220138171A KR 20220138171 A KR20220138171 A KR 20220138171A KR 1020210043973 A KR1020210043973 A KR 1020210043973A KR 20210043973 A KR20210043973 A KR 20210043973A KR 20220138171 A KR20220138171 A KR 20220138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ilm
lactobacillus rhamnosus
composition
collagen hydrolyzate
inhi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439B1 (ko
Inventor
유성철
김선화
김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솔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솔,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솔
Priority to KR1020210043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439B1/ko
Priority to EP22784891.8A priority patent/EP4321166A1/en
Priority to PCT/KR2022/004809 priority patent/WO2022215981A1/ko
Priority to CN202280040082.5A priority patent/CN117835996A/zh
Priority to AU2022253717A priority patent/AU2022253717A1/en
Priority to CA3214749A priority patent/CA3214749A1/en
Publication of KR2022013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23K20/147Polymeric derivatives, e.g.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5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od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4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Immu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단일로도 상기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그 억제능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산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므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바이오필름, 특히 구강에 발생하는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과 상기 바이오필름에 의해 야기되는 구강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Biofilm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collagen hydrolysate)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바이오필름(Biofilm)이란, 미생물이 감염되거나 부착된 부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서, 폴리머 기질로 감싸이며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미생물 복합체를 이루는 막으로 생물막 또는 균막이라고도 불린다. 미생물의 경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기 위하여 미생물 군집체인 바이오필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바이오필름은 미생물에게 보호막의 역할을 해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균체들이 만나서 대사(metabolism)를 공유하기도 하고, 유전자 치환(gene transfer)을 통하여 유익한 성질들을 획득하기도 하기 때문에 미생물의 생존에 중요하다. 즉, 바이오필름은 각종 균들의 집합체임과 동시에, 균 집단의 보호막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균으로 인한 각종 질병의 직적접 또는 간접적인 원인이 된다.
특히, 구강 질환은 바이오필름 생성으로 인한 질병 가운데 하나이며, 이는 크게 충치와 그 외 구강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충치는 감염성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감염성 질환 중의 하나로, 치아에 생성되는 바이오필름인 플라그에서 자라는 세균의 작용에 의해 차츰 치아가 탈회되는 병이다. 일반적으로 세균이 당을 분해하여 산을 분비하고, 이 산에 의해 치아표면의 에나멜질에 탈회가 일어나 충치가 된다. 그 밖에, 치은염, 치주염 등도 역시 세균감염에 의한 질병이며, 구강내 세균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강 내에는 약 1000여종의 세균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초기 충치유발세균은 스트렙토코쿠스 종(Streptococcus spp)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가 치아표면에 부착하면서 충치발생의 원인이 되는 바이오필름(세균막)의 생성이 시작되며, 일반적으로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가 초기 바이오필름 생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치아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취 등과 같은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항균제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는 구강 병원균 뿐만 아니라, 구강내 유익한 균까지 모두 제거하여 구강내 면역력을 약화시킨다. 또한, 항균제는 구강 병원균의 유전적 변이에 의한 내성을 증가시켜, 구강 병원균으로 인해 야기되는 구강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가 생성하는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가 생성하는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특정 균주와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동시 처리할 시 바이오필름 생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며, 균주에 의한 산 생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가 생성하는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동시 처리에 따른 상승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단일로도 상기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그 억제능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산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므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바이오필름, 특히 구강에 발생하는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과 상기 바이오필름에 의해 야기되는 구강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DSM 33156(Lactobacillus rhamnosus GG DSM 33156, LGG)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의 생장곡선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LGG를 포함하는 타액이 코팅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디스크(hyroxyapatite disc, sHA)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3은 상기 sHA에서 LGG 및 S.mutans를 단일(single) 또는 공동(Dual)으로 42시간 동안 배양한 것으로, 도 3 중 (A)는 각 실험군의 생균수(colony-forming unit, CFU)를 나타낸 도이고, 도 3 중 (B)는 각 실험군의 생성된 바이오필름(biofilm)의 건조중량(dry weight)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LGG 접종량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각 균주의 생균수, 건조중량 및 pH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도 5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S. mutans 및 LGG의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pH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농도 의존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그람-양성(Gram-positive) 균이며 충치균인 S.mutans(SM)과 이의 공생균인 스트렙토코쿠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 S.oralis(SO)) 및 LGG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LGG와 S. mutans S. oralis)의 경쟁관계 여부를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다종(Multi-species) 바이오필름 모델 생성을 위한 실험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상기 다종 바이오필름 모델에서 LGG 접종량에 따른 S. mutans S.oralis 개체군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11은 상기 다종 바이오필름 모델에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첨가 유무가 LGG 접종량을 변화시켰을 때 바이오필름내 균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도 12는 단일-(single-) 및 이종(dual-)간 바이오필름 모델 생성을 위한 실험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상기 단일 및 이종간 바이오필름 모델에서 LGG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동시 처리가 S.mutans에 의한 바이오필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가 생성하는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동시에 처리할 시 상기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주로 요거트 및 영아용 조제분유를 포함하는 기타 유제품에서 발견되며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균이다.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과학적 분류는 다음과 같다: 계: 세균, 문: 퍼미큐테스, 강: 바실리(Bacilli), 목: 락토바실랄레스(Lactobacillales), 과: 락토바실라세아에(Lactobacillaceae), 속: 락토바실러스, 종: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DSM 3315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1.0×105 내지 1.0×1012 CFU(colony-forming unit)/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107 내지 1.0×1012 CFU/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8 CFU/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액"은 상기 균주를 적합한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여과액, 원심분리한 상등액, 상기 여액을 농축한 농축액, 배양액을 초음파 처리하거나 상기 배양액에 라이소자임(Lysozyme)을 처리하여 수득한 세포 파쇄액, 상기 균주를 배양한 다음 수득한 산물 등이 제한 없이 포함된다. 상기 배양액의 조성은 통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에 필요한 성분뿐 아니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의 생장에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조성은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무세포 상등액(Cell Free Supernatant)"은 균주를 배양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세포를 제거한 순수 액체를 지칭한다. 상기 무세포 상등액은 균주를 배양한 후 이를 원심분리하고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액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균주의 배양액, 균주의 무세포 상등액, 이의 농축물, 이의 추출물 또는 이를 건조한 것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방법으로는 통풍건조, 자연건조, 분무건조 및 동결건조가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콜라겐"은 결합 조직의 세포밖 공간을 채우는 조직 형성 단백질의 일종으로 교원질 또는 아교질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돼지(porcine), 소(bovine), 가금류 및 어패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개체로부터 수득된 콜라겐을 가수분해하여 수득한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개체의 조직을 효소로 분리하여 수득한 것으로서, 5000 Da 크기 이하의 펩타이드로 분해하여 수득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효소는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는 공지된 효소라면 어떤 것이든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pH 5.0 내지 6.5, 평균 분자량 약 3000Da의 돈피 유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사용하였다.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G-X-Y 구조가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G는 글리신을 의미하고, X 및 Y는 기타 아미노산을 의미하는데 주로 프롤린(proline)이나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이 위치하지만 다른 아미노산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G-X-Y 구조의 트리-펩타이드(tri-peptide)일 수 있고, 상기 트리-펩타이드가 효소처리되는 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단편화된 펩타이드 구조인, G-X 구조의 다이-펩타이드(di-peptid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Gly-Pro, Gly-Pro-Ala, Gly-Phe-Ala, Pro-Gly-Gly, Gly-Pro-Val 외에 Gly-Hyp, Gly-Pro-Hyp, Pro-Hyp, Pro-Hyp-Gly, Ala-Hyp, Ala-Hyp-Gly, Ser-Hyp-Gly, Ile-Hyp, Leu-Hyp, Phe-Hyp 등 Gly 및 Hyp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Gly: 글리신(Glycine), Pro: 프롤린(proline), Ala: 알라닌(Alanine), Val: 발린(Valine), Hyp: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Ser: 세린(Serine), Ile: 이소류신(Isoleucine), Leu: 류신(Leucine), Ph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본 발명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신(Glycine)을 30 내지 40%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1 내지 10000 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농도는 제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액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1 내지 20 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분말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100 내지 2000 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 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mg/ml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각각의 최적 농도로 포함되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주의 산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동시 처리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의해 생성되는 바이오필름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단독 처리보다 더욱 현저히 억제할 수 있었으므로, 동시 처리에 의하여 바이오필름 억제능이 상승된 효과를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 동시 처리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살균을 수반하지 않으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1.0×107 CFU/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시 스트렙토코쿠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 S.oralis)의 바이오필름내 생육을 촉진하는 효과를 보였다.
상기 스트렙토코쿠스 오랄리스(이전에 에스. 산구이스(S. sanguis) 타입 II로서 공지됨)는 치주 균총을 포함하는 미생물의 정상적인 건강한 규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Socransky et al., Oral Microbiol. Immuno;. 3:1-7 (1988); Hillman and Shivers, Arch.Oral. Biol, 33:395-401 (1988); Hillman et al., Arch. Oral. Biol., 30:791-795 (1985) 참조.).
상기 S. oralis는 치태에서 발견될 수 있고, 특히 아그레가티벡터 악티노마이세텀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포르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펩토스트렙토코쿠스 미크로스(Peptostreptococcus micros) 및 캄필로박터 렉투스(Campylobacter rectus)와 같은 치주 병원균의 콜로니 형성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여 치주 건강에 기여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동시 처리는 S. mutans에 의한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와 더불어 S.oralis의 생육 촉진을 통해 구강 건강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 동시 처리의 S. mutans에 의한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능을 기반으로, 충치 억제, 구내염 예방 효과 등 구강 건강 유지 및 개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의 위생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 및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의 예로서, 치약, 양치액, 껌,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젤, 구강 연고제 및 구강용 패치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강용 조성물은 칫솔, 치실, 치간칫솔, 혀클리너, 구강용 티슈 등의 구강위생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치약류인 경우, 유효성분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연마제, 점결제, 보습제, 발포제, 감미료, 미백제 또는 향미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로는 수산화알루미늄,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제2인산칼슘 2 수산화물 및 무수물, 제3인산칼슘, 탄산칼슘, 피로인산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제3인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등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통상 20 중량% 내지 90 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함량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강위생 조성물이 페이스트상 조성물일 경우에는 상기 점결제는 가라기닌, 각종 점증용 셀룰로오스 유도체, 잔탄검, 트라가칸트 검(tragacanth gum) 등의 검류, 폴리비닐 알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말레인산 공중합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의 합성 고분자 유도체 등의 유기계 점결제와 실리카, 라포나이트 등의 무기계 점결제 등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결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통상 0.3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으나, 상기 함량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강용 조성물에는 그 제조시 보습제로 솔비톨,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테르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용 조성물에는 향료 또는 감미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수크로즈, 락토오즈, 말토오즈, 솔비톨, 크실리톨, 나트륨시클라메이트, 글리세린,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아스파탐 등일 수 있고, 상기 향료는 페퍼민트, 멘톨, 아네톨, 오이게놀, 리모넨, 시트로네놀, 알파터피네올, 살리실메틸, 시네올, 리나롤, 에틸리나롤, 바닐린, 티몰, 스피아민트유, 세지유, 로즈마리유, 계피유 등일 수 있으며, 상기 감미제 또는 향료는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는 발포성분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나 추가 효능성분이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성분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치약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치약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양치용액인 경우에는 통상적인 용액제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혼합하고 양치용액으로 제형화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하루 2 내지 10회 구강을 세척함으로써 구강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구강 세척제(세정제)인 경우에는, 치약 담체, 보다 상세하게는 비독성 알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5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5 내지 1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강 질환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가 생성하는 바이오필름에 의해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치아 우식증, 치주염, 구내염, 잇몸 퇴축, 잇몸 비대 및 치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구강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한 접근법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를 감지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거나를 불문하고, 또한 부분적이든 전체적이든 상관없이 증상의 완화, 질환 정도의 감소, 질환의 안정화된(즉, 더 나빠지지 않는) 상태, 질환 진행의 지연 또는 속도감소, 질환 상태의 개선 또는 일시적 완화 및 경감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치료는 치료법적 치료 및 예방적인 차원의 것들 모두를 가리키며, 치료할 필요가 있는 것들은 이미 질환을 가지고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질환이 예방되어야 할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구강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구강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 혼합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10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경구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로는 치약, 구강세정제, 국소 투여제(크림, 연고, 드레싱 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국소 투여제의 제형의 일 예로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 또는 패치에 고정하여 치아 및 주변부위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제형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구강 질환의 치료 효과 상승을 위하여 이미 안전성이 검증되고 구강 질환 치료 효과를 갖는 것으로 공지된 임의의 화합물이나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구강 질환의 외과적 치료와 더불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건강기능식품(health functional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 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서, 질병의 예방 또는 건강의 회복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 혼합 자체를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하거나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 혼합을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 효과 또는 구강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멀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 혼합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중 상기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 혼합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80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란, 동물이 먹는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구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료로 제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농후 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사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첨가용 조성물”은 “사료첨가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동물에 있어 질병 증상의 완화, 영양소 보충 및 체중감소 예방, 사료 내 섬유소의 소화 이용성 증진, 유질개선, 번식장애 예방 및 수태율 향상,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 예방 등 다양한 효과를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용 조성물은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하며, 탄산수소나트륨, 벤토나이트(bentonite), 산화마그네슘, 복합광물질 등의 광물질제제, 아연, 구리, 코발트, 셀레늄 등의 미량 광물질인 미네랄제제, 케로틴, 비타민 A D, E, 니코틴산, 비타민 B 복합체 등의 비타민제, 메티오닌, 라이신 등의 보호아미노산제, 지방산 칼슘염 등의 보호지방산제, 생균제(유산균제), 효모배양물, 곰팡이 발효물 등의 생균, 효모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중 농후사료로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체,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인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신선한 액상물(液狀物)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肉粉),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사료 중 조사료로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 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수사료에는 굴껍데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식이보조제가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료첨가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사료 제조방법에 따라 적절한 유효 농도 범위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혼합을 첨가하여 제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의한 바이오필름의 생성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개체라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원숭이, 개, 고양이, 토끼, 모르모트, 랫트, 마우스, 소, 양, 돼지, 염소 등과 같은 비인간 동물, 조류 및 어류 등 어느 개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내용은 상호 모순되지 않는 한, 서로 동일하게 적용되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한 변경을 가해 실시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 준비
1-1. 균주 분리 및 생장곡선 확인
LGG 균주 혼합 원료(Probio-Tec LGG Blend-30, 제조원:Chr. Hansen A/S, 원산지:덴마크)에서 균주를 직접 분리한 후, 종-특이성 프라이머(species-specific primer)를 이용하여 분리한 균주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DSM 33156(Lactobacillus rhamnosus GG DSM 33156, 이하 LGG로 기재)임을 확인하였다.
배양배지에서 분리한 균주는 콜로니 PCR(colony PCR)을 수행하여 LGG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멸균된 팁(tip)으로 콜로니를 채취하여 PCR 혼합물(mixture(DW, 10XBuffer, MgCl2, dNTP, 프라이머(Primer))이 함유된 PCR 튜브에 옮긴 다음 95℃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상기 프라이머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정방향(Forward): 5′-CGCCCTTAACAGCAGTCTTC-3′, 역방향(Reverse): 5′- GCCCTCCGTATGCTTAAACC-3′. 그런 후 Taq 효소(Taq enyzme)와 DW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PCR 사이클(cycles)을 수행하였다. PCR 사이클은 95℃에서 5분, 94℃에서 15초, 50℃에서 30초, 72℃에서 11초간 ×35 cycles로 러닝(running)하였다. 그런 후 아가로즈 겔(agarose gel)을 이용하여 PCR 증폭 결과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배양을 통한 실험실내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울트라필터 (또는 한외여과) (10-kDa 분자 질량 차단 막; Millipore, MA, USA)한 트립톤-효모추출물(ultrafiltered (10-kDa cutoff) tryptone-yeast) 배지 및 1% 글루코스(glucose)를 이용하여 LGG 및 충치 병원균인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S. mutans)의 생장곡선을 확인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균주의 생장곡선을 확인하기 위해 한천배지에서 활성화시킨 S. mutans 및 LGG를 2-3 콜로니씩 채취하여 울트라필터한 트립톤-효모추출물 배지(2.5% 트립톤 및 1.5 % 효모추출물/1 % (wt/vol) 포도당 포함; pH 7.0)에서 37℃ 및 5% CO2 의 조건으로 18시간 정도 배양하였다. 이 배양물의 일정 부분을 새로운 트립톤-효모추출물 배지에 재접종하여 한 시간마다 광학밀도(optical density at 600 nm (OD600)를 Spectronic 200 (Therm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LGG의 경우 충치 병원균인 S. mutans에 비해 생장이 다소 느렸으며, 비슷한 OD600 0.8에서 CFU가 1-log정도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울트라필터한 트립톤-효모추출물 배지 및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배양한 상기 두 균주의 생장곡선을 확인해본 바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배양 실험을 위해서는 특정 배지에서 두 균주를 분리확인 가능해야 함으로 BHI-기반의 혈액 한천 배지(BHI-base의 blood agar)를 그 선택배지로 선정하였다.
1-2. 콜라겐 가수분해물 준비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돈피 유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사용하였다(PB Liner (미국) 구입, 제품명: SOLUGEL® Prima PP).
실시예 2. LGG 및 S.mutans 의 부착성 비교
타액(saliva)이 코팅된, 도 2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 디스크(disc)(이하 sHA로 기재)를 이용하여, LGG(inoculum size 105 CFU/ml)의 부착성을 S. mutans (inoculum size 105 CFU/ml)와 비교 검증하였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타액으로 코팅된 sHA 디스크 모델을 사용하여 바이오필름을 배양하였다. sHA 디스크는 자체 제작된 디스크 홀더를 사용하여 24 well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위치시켰고, 이를 약 105 (CFU/ml)의 S. mutans (단배양) 또는 105(CFU/ml)의 LGG를 접종한 2.8 ml/well의 한외여과 트립톤-효모추출물 배지 (UFTYE (pH 7.0)/1 % (wt/vol) sucrose를 함유)에서 37℃ 및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이종간 바이오필름의 경우, S. mutans(105 CFU/ml) 및 LGG(105 CFU/ml)를 동시접종하여 배양하였다.
상기와 같이 sHA 모델상에서 각 균주의 생균수(colony-forming unit, CFU) 및 건조중량(dry weight) 확인을 통한 바이오필름의 이화학적/미생물학적 변화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각 균주의 생균수 확인을 위하여, 각 실험군의 바이오필름을 멸균된 0.89 %(w/v) NaCl 용액에서 sHA 디스크에서 제거하고 프로브 초음파 처리(15 % 진폭에서 30 초 펄스(pulse), 출력 7W에 해당)를 통해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현탁액은 적절하게 희석하여 혈액 한천 배지에서 37℃에서 5 % CO2의 조건으로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종간 바이오필름의 경우 콜로니 형태 관찰을 통해 두 종을 구별하고 계수하였다.
건조중량 확인을 위해, 균질화된 현탁액을 원심분리(10000xg, 4℃에서 10분)하여 상층액과 펠렛을 구분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DW로 펠렛을 세척 및 원심분리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한 다음, 획득한 펠렛을 동결건조하여 건조된 시료를 획득하였다. 최종적으로 동결건조된 시료의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2시간동안 배양한 바이오필름에서 LGG는 108 CFU/biofilm를 보인 바, S. mutans 109 CFU/biofilm에 비해 1-log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지만 sHA 표면으로의 부착능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배양상에서 각 균주의 생균수는 단배양의 생균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바이오매스(Total biomass)의 경우 생체외 다당류를 잘 생성하는 S. mutans의 건조중량이 2.6 mg 정도였다면, 공배양상에는 2.1 mg정도로 저하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LGG와 S.mutans를 공배양하면 바이오필름 생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LGG 접종량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미치는 영향 확인
LGG의 접종량을 105, 106 및 107(CFU/ml)로 조절한 가운데, 5mg/ml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처리하여 바이오필름 억제능을 검증하였다. 상기 바이오필름 억제능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균수 및 건조중량 확인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S. mutans의 경우 LGG의 생균수 접종량/콜라겐 가수분해물(CP)의 유무에 상관없이 비슷한 CFU 값을 나타내었다. LGG 생균수 경우,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유무에 상관없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많은 생균수의 접종(107)의 경우 LGG가 다른 실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CFU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초기 부착력에 영향이 없는 상태에서 바이오필름의 후기 바이오필름내 LGG의 생장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불어 건조중량의 경우, LGG 107와 더불어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실험군이 상대적으로 낮은 바이오매스(biomass)를 나타내었다. 또한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처리는 LGG 생균수 접종량의 증가와 더불어 배양배지내 pH값이 상승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유의적으로 당분해에 의한 산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S. mutans 및 LGG의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S. mutans 및 LGG의 산 생성과 내산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기술에 기재된 당분해 pH 강하 분석(glycolytic pH drop assay)을 통해 확인하였다(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Science. 2011;3(2):98-106 참고). 상기 분석에 있어서 최초 pH는 6.8 내지 7.0으로 설정하고 초기 30분까지는 매 5분마다 측정(산 생성 속도 확인)하였고, 30분 이후에는 30분 단위로 90분(최종시간의 내산성을 간접적으로 확인)까지 측정하였다. 단일 균주 S. mutans 또는 LGG와 더불어 상기 균주 혼합물에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처리 또는 미처리를 구분하여 산 생성과 내산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S. mutans (S. m) 단일과 S.m+LGG는 가파른 pH 드롭을 보여주었다. LGG의 경우, 초기 15분간은 완만하였으나 그 후 30분내에 비슷한 수준의 pH를 나타내었다. 흥미롭게도 콜라겐 가수분해물(CP)의 처리는 S.m 또는 LGG 배양물과 이의 혼합물의 pH 드롭을 조절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해당과정 경로(glycolysis pathway)를 조절하거나 F-ATPase에 영향을 미쳐, 산 생성을 조절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이라 판단되었다.
초기 30분까지의 완만한 곡선의 경우 해당과정 경로의 조절을 통해 산 생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최종 90분에 나타난 미처리군보다 높은 pH값은 F-ATPase에 영향을 미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농도에 따른 효과 확인
더불어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농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였다. 콜라겐 가수분해물과 대조군인 글리신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pH를 측정하였다(콜라겐 가수분해물(CP): 0(대조군), 2.5, 5, 또는 10 mg/ml, 글리신(Gly): 0(대조군), 20 또는 40 mM의 농도로 처리).
그 결과 도 6과 같이,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확연한 농도의존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콜라겐 가수분해물이 균주 생육에 미치는 영향 확인
더불어 콜라겐 가수분해물에 포함되어 있는 글리신이 그람-음성(Gram-negative) 박테리아의 생육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는 바, 콜라겐 가수분해물(CP)이 그람-양성(Gram-positive) 균이며 충치균인 S.mutans(SM)과 이의 공생균인 S.oralis(SO) 및 LGG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SM, LGG 및 SO을 적정 생균수(CFU)만큼 배양(1×108 CFU/ml)하고, 0.89% NaCl에서 10-5배까지 희석(107, 106, 105, 104, 103)하였다. 그런 후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0, 0.625, 1.25, 2.5, 5 또는 10 mg/ml(최종농도)로 함유한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10-5배까지 희석된 세균들을 5 μl씩 접종(spotting)한 뒤, 37℃에서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무첨가 한천배지상에 형성된 스팟(spot)을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함유한 한천배지상에 형성된 스팟과 비교하여 대조군에 비해 그 생육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대조군과 대비하여 높은 희석배율의 스팟이 한천배지에서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글리신을 높은 조성비로 포함하는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그람-양성균인 SM, SO 및 LGG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콜라겐 가수분해물 처리에 따른 각 균주의 경쟁관계 검증
병원균과 공생균 사이의 경쟁관계가 충치유발성 바이오필름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 LGG가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유무에 따라 병원균인 S. mutans와 공생균인 S. oralis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경쟁적 분석(competition assay)을 통해 확인하였다.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각 농도별(0-10 mg/ml 최종농도)로 함유한 한천배지상에서 LGG의 접종량의 변화 105-7 (CFU/ml)에 따른 S. mutans 105 (CFU/ml) 또는 S. oralis 105 (CFU/ml) 사이의 경쟁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S. mutans 105 (CFU/ml) 또는 S. oralis 105 (CFU/ml)를 한천배지에 5 μl씩 접종하고, 동시에 그 옆에 LGG 105-7 (CFU/ml)을 접종한 후 37℃ 및 5 % CO2의 조건으로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그러 후 특정 세균의 스팟이 억제되는 것을 경쟁관계로 판단하였다(Journal of Bacteriology. 2005; 187(21): 7193-7203 참고).
그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0 내지 10 mg/ml로 사용한 결과, S. mutans (105) vs. LGG (105-7) 또는 S. oralis (105) vs. LGG (105-7)의 경쟁관계는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LGG 접종량 또는 콜라겐 가수분해물 첨가 유무에 따른 S. mutans S.oralis 개체군(population) 변화 확인
더불어 도 9에 나타낸 과정을 통해 도출한 다종(Multi-species) 바이오필름 모델을 활용하여 LGG 접종량에 따른 S. mutans S.oralis 개체군 변화를 확인하였다.
상기 다종 바이오필름 모델은 생태학적 개념(Ecological concept)을 이용하였다. S.mutans(S.mutans UA159), S.oralis(S.oralis KCTC 13048) 및 LGG를 혼합하여, 초기 부착단계에서 0.1% 수크로스(sucrose)를 함유한 배지에서 콜라겐 가수분해물(CP)를 첨가 또는 비첨가하여 배양하였고, 초기 부착 후 18시간에 1% 수크로스를 공급함으로써 우식성 조건(cariogenic condition)으로 전환시켰다.
그 결과 도 10과 같이, 다종 바이오필름 모델상에서 LGG 접종량의 변화는 S. mutans와 LGG 간의 개체군 시프트(population shift)에 큰 변화를 미치지는 않았다. 그러나 LGG의 접종량(107)이 많을 경우, 성숙단계로 접어든 바이오필름에서 S. oralis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0 중 붉은 화살표 참고).
다음으로 콜라겐 가수분해물(CP)의 첨가 유무가 LGG 접종량의 변화에서 바이오필름내 균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여 도 11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LGG의 높은 접종량과 콜라겐 가수분해물 첨가가 S. mutans와 LGG의 생육에 큰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S. oralis의 생육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도 11 중 붉은 화살표 참고).
실시예 9. LGG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병용 처리가 바이오필름 생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콜라겐 가수분해물(5 mg/ml)의 처리에 따른 S. mutans 바이오필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LGG (107 CFU/ml)와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병용처리가 S. mutans의 바이오필름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도 12와 같이 sHA 디스크 모델을 사용하여 도출한 단일-(single-) 및 이종-(dual) 간 바이오필름 모델로 검증하였다. 42시간동안 바이오필름을 배양 후 S. mutans와 LGG의 생균수와 바이오필름 건조중량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최초 접종시와 18시간 및 28시간의 배양배지 교환시에 첨가하였다. LGG의 경우 S. mutans의 접종시 동시 접종하여 배양하였다.
그 결과 도 13과 같이, S. mutans 단일 실험군에서 콜라겐 가수분해물(CP)의 첨가는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바이오필름 생성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이중 실험군에서 LGG(107)을 첨가하였을 경우,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바이오필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배양 후 배지의 pH를 측정한 결과, 다른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pH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LGG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의 동시 처리는 충치유발성 바이오필름의 생성을 유의미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 동시 처리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에 의한 바이오필름 생성을 우수하게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단일로도 상기 바이오필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지만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그 억제능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의 산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으므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및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상기 바이오필름 억제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 또는 상기 바이오필름으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Collagen hydrolysate)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DSM 3315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1.0×105 내지 1.0×1012 CFU(colony-forming unit)/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5000 Da 이하의 분자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 가수분해물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또는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주의 산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름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의해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은 바이오필름 내에서 스트렙토코쿠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의 생육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8.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
  9.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질환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가 생성하는 바이오필름에 의해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질환은 치아 우식증, 치주염, 구내염, 잇몸 퇴축, 잇몸 비대 및 치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로 인한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식품 조성물.
  1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이의 배양액, 이의 추출물 및 이의 무세포 상등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과 콜라겐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생성 억제를 위한 사료 첨가용 조성물.
KR1020210043973A 2021-04-05 2021-04-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KR10253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73A KR102534439B1 (ko) 2021-04-05 2021-04-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EP22784891.8A EP4321166A1 (en) 2021-04-05 2022-04-04 Composition for inhibiting biofilm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as active ingredient
PCT/KR2022/004809 WO2022215981A1 (ko) 2021-04-05 2022-04-04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CN202280040082.5A CN117835996A (zh) 2021-04-05 2022-04-04 包含鼠李糖乳杆菌作为有效成分的生物膜抑制用组合物
AU2022253717A AU2022253717A1 (en) 2021-04-05 2022-04-04 Composition for inhibiting biofilm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as active ingredient
CA3214749A CA3214749A1 (en) 2021-04-05 2022-04-04 Composition for inhibiting biofilm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73A KR102534439B1 (ko) 2021-04-05 2021-04-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71A true KR20220138171A (ko) 2022-10-12
KR102534439B1 KR102534439B1 (ko) 2023-05-18

Family

ID=8354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973A KR102534439B1 (ko) 2021-04-05 2021-04-0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21166A1 (ko)
KR (1) KR102534439B1 (ko)
CN (1) CN117835996A (ko)
AU (1) AU2022253717A1 (ko)
CA (1) CA3214749A1 (ko)
WO (1) WO202221598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1268A (ja) * 2017-06-29 2019-01-24 ジェクス株式会社 口腔常在菌調整剤を含む口腔用組成物、口腔ケア製品及び食品
JP2020103286A (ja) * 2018-12-26 2020-07-0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抗菌性向上剤および抗菌性向上方法
US20210030818A1 (en) * 2018-03-09 2021-02-04 Biohm Health Llc Compositions for use in balancing microbio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72B1 (ko) * 2017-07-11 2019-04-09 주식회사 다케어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s 132(kctc 11452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구강병원균 억제조성물
KR102217525B1 (ko) * 2020-08-18 2021-02-19 주식회사 메디오젠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유산균 및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1268A (ja) * 2017-06-29 2019-01-24 ジェクス株式会社 口腔常在菌調整剤を含む口腔用組成物、口腔ケア製品及び食品
US20210030818A1 (en) * 2018-03-09 2021-02-04 Biohm Health Llc Compositions for use in balancing microbiome
JP2020103286A (ja) * 2018-12-26 2020-07-0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抗菌性向上剤および抗菌性向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14749A1 (en) 2022-10-13
AU2022253717A1 (en) 2023-11-23
AU2022253717A9 (en) 2023-11-30
KR102534439B1 (ko) 2023-05-18
EP4321166A1 (en) 2024-02-14
WO2022215981A1 (ko) 2022-10-13
CN117835996A (zh)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230B2 (ja) 口腔衛生を向上させる組成物
KR101729913B1 (ko)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브로콜리의 이용
CN101056972B (zh) 用于预防和/或治疗龋齿的手段和方法
JP5017697B2 (ja) 抗菌剤
CN104277998B (zh) 用于预防和/或治疗口腔恶臭的用途和方法
KR100871629B1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CN101563447A (zh) 用于预防和/或治疗变形链球菌群引起的龋的用途和方法
KR101801764B1 (ko) 양모 촉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wikim55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TW201124090A (en) Powdery malted rice extract composition
KR100887854B1 (ko) 관절염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
KR100873180B1 (ko) 갈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88905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871627B1 (ko) 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516116A (ja) ヘリコバクターピロリ連関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キムチ
EP437484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superoxide dismutase and/or bacillus strain spores, and use thereof for improving oral health
KR102534439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억제용 조성물
KR102546196B1 (ko) 치주염 치료 효과를 가진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90839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스타필로코커스 유래 항균물질 혼합제 및 이의 용도
KR20140041251A (ko) 네로올리돌을 포함하는 강진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RU2795199C2 (ru)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лучшени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KR101466769B1 (ko) 큰비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71628B1 (ko) 비틀대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230018335A (ko) 식나무 추출물과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및/또는 바실러스 균주 포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한 병용 사용
AU2012210738A1 (en) Oral health improving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