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7618A - 탈모 방지 및/또는 발모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및/또는 발모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7618A
KR20220137618A KR1020227019384A KR20227019384A KR20220137618A KR 20220137618 A KR20220137618 A KR 20220137618A KR 1020227019384 A KR1020227019384 A KR 1020227019384A KR 20227019384 A KR20227019384 A KR 20227019384A KR 20220137618 A KR20220137618 A KR 2022013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promoting
hair loss
hair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호
김재윤
신재영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2013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의 신규 성장 또는 성장 촉진을 유도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은 모발의 성장 주기 중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되는 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퇴행기로의 전환을 늦추어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본 발명은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모발의 신규 성장 또는 성장 촉진을 유도하는 성분을 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을 위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가는 과정에 모발은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모발은 피부 표면에서 생산된 가늘고 각질화된 구조다. 이것은 외부충격에 대한 쿠션 역할과 더불어 직사광선, 한냉, 마찰, 위험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신체에 유해한 비소, 수은, 아연 등의 중금속이 체외로 배출되는 기능을 하며 현대에 와서는 장식의 미용 측면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식생활 변화나 내외적 스트레스 증가를 비롯하여 여러 원인에 의해 탈모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탈모는 유전적 요인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환경오염, 잦은 파마와 염색 또는 잘못된 두피관리 등도 탈모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사람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성장 주기를 가진다. 모발 성장 주기는 3단계로 구성되는데, 모발이 가장 활발하게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stage), 모발의 퇴화가 시작되는 퇴화기(catagen stage) 및 모발의 성장이 멈추거나 휴식에 접어드는 휴지기(telogen stage)로 분류된다.
이러한 모발의 성장 주기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모낭을 구성하는 모유두 세포 및 모낭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외모근초 세포(outer root sheath cell)의 활성과, 이들 세포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성장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DKK-1(Dickkopf-1)은 모낭성장 저해와 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J Invest. Dermatol,2008:128(2)). 한편, 주기적인 모발 성장을 위해서 모낭의 재생 및 줄기세포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Wnt/베타-카테닌의 생성 및 활성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ature 2007:447(7142)).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정상인 사람은 성장기 상태의 모발이 많은 데 비해, 탈모증(Alopecia)인 사람은 휴지기 상태의 모발이 많아 눈으로 보이는 탈모 현상이 나타내게 된다. 탈모증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특징은 모발의 소형화에 있다. 탈모가 진행될수록 성장기의 기간이 짧아지고 퇴행기 및 휴지기로의 이행이 촉진되며, 이후 모유두의 부피가 작아져 모낭은 점점 소형화된다. 따라서 탈모의 치료를 위해서는 휴지기 상태의 모낭을 성장기로 빨리 되돌릴 수 있도록 하고, 짧아진 성장기를 늘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많은 탈모 환자가 속하고 있는 탈모증인 남성형 탈모증은 '안드로겐성 탈모증'으로도 불린다. 남성형 탈모증은 평균적으로 젊은 20∼30대의 남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는 안드로겐성 탈모증이 유전적 영향뿐만 아니라 남성 호르몬의 작용, 나이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이다. 남성형 탈모증의 탈모 발생 주요원인은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탈모반의 형태와 진행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테스토스테론으로 인한 남성형 탈모증은 남성호르몬과 활성효소인 5α-리덕타아제(5α-reductase)의 결합으로 발생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Dihydro-testosterone)이 모낭에 작용하여 세포분열을 억제시키고 모발의 성장을 저해하는 데에서 발생된다.
활성 효소인 5α-리덕타아제가 두피 상에 분포하는 양상에 따라 탈모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 활성 효소가 많이 분포하는 정수리 부위는 DHT의 영향으로 세포분열이 둔화되고 모발의 모주기가 짧아져 모발의 연모화와 탈모현상이 나타난다. 반면, 측두부나 후두부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활성 효소의 활성도가 약하고 또한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탈모가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현재의 남성형 탈모의 관리법으로 모발 이식술 또는 약물요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 분비 과잉설, 혈액순환 불량설, 과산화물, 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 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논의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탈모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처럼 다양하고 복잡한 탈모 원인에 대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 방지 제품에는 유효성분으로 혈행 촉진, 모근 기능 강화, 두피 보습 효과, 비듬 방지 효과, 항산화 효과, 모발성장기 연장 효과, 또는 남성호르몬 작용 억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뚜렷한 효과를 갖는 것은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며 부작용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현재까지 개발된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제제로는 혈행 촉진, 모근 기능 강화, 두피보습 및 남성호르몬 억제를 위한 여성호르몬을 주성분으로 한 제제나 미녹시딜(minoxidil), 피나스트라이드(Finasteride), 트리코사 카라이드(trichosaccharide)를 함유한 제제 등이 있다. 대표적인 도포용 탈모치료제인 미녹시딜(2,4-diamino-6-piperidinopyrimidine-3-oxide)은 두피로 가는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경구용 탈모치료제인 피나스테라이드는 5α-reduct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활성형 남성호르몬인 DHT의 생성을 줄이는 기능을 한다. 그렇지만 상기 제제들은, 부작용 또는 사용상의 주의사항으로 인하여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한편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Gypsogenin 3-O-β-D-glucuronopyranoside)은 숙근안개초(Gypsophila paniculata Linn.)로부터 유래된 성분으로, 지방분해효소(pancreatic lipase)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Vol 55, 2007, Issue 7).
또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Deapioplatycodin D, Deapi-platycodin D)은 도라지(길경, Platycodon grandiflorum(Jacq.)A.DC.)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으로,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증식 억제 효과(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항염 효과(Natural Product Sciences, 2008, 14(4):274-80.) 및 기도 점액 분비 촉진을 통한 기관지 보호 효과(Phytomedicine. 2014 Mar 15;21(4))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콩무노시드 X(Congmunoside X, Congmuyanoside X, Araloside X)는 두릅나무속 중국두릅 (Aralia chinensis L.)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으로,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iomedicine & Pharmacotherapy, Vol 97, 2018 Jan, 152-161).
또한, 치쿠세츄사포닌 IVa(Chikusetsusaponin IVa)은 죽절삼(Panax japonicas C.A.Mey.)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으로, 지방세포(adipocyte) 분화 조절을 통한 비만억제 효과(Nutrients 2018, 10 (9), 1221), 항염 효과(Int J of Immunopathology and Pharmacology 2015, Vol 28(3)) 308-317) 및 심장세포보호 효과(고혈당에 의해 유발된 myocardial injury 로부터 보호)(Scientific Reports volume5, Article number, 2015, 18123)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또는 치쿠세츄사포닌 IVa의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과 관련된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한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탈모 치료제의 부작용 및 사용상의 주의사항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탈모 방지/양모제의 발모 촉진 효과가 미약한 등의 단점 없이, 인체에 대해 안전하면서도 모발 성장 및 발모 촉진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Gypsogenin 3-O-β-D-glucuronopyranoside),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Deapioplatycodin D), 콩무노시드 X(Congmunoside X) 또는 치쿠세츄사포닌 IVa(Chikusetsusaponin IV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에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각각의 유효성분들이 남성호르몬 활성을 저해시키고, 모낭 퇴행기 인자인 Dkk-1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각각의 유효성분들이 남성 호르몬 활성을 저해시키고 모낭 퇴행기 인자의 발현을 저해시킴을 통해, 모발의 생리주기를 퇴행기에서 활성기로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인비트로(in-vitro)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탈모 치료용 조성물을 탈모증 환자에게 처리할 때, 모발의 굵기, 밀집 정도 및 탄력성을 개선하는데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시판되는 제품인 미녹시딜과 비교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상기 유효성분들을 포함하는 탈모 치료용 조성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효과가 미녹시딜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Gypsogenin 3-O-β-D-glucuronopyranoside),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Deapioplatycodin D), 콩무노시드 X(Congmunoside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Chikusetsusaponin IV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4종의 유효성분은 식물 유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Gypsogenin 3-O-β-D-glucuronopyranoside)은 숙근안개초(Gypsophila paniculata Linn.)로부터 유래된 성분이며, 상기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Deapioplatycodin D)은 도라지(길경, Platycodon grandiflorum(Jacq.)A.DC.)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이며, 상기 콩무노시드 X(Congmunoside X)는 두릅나무속 중국두릅 (Aralia chinensis L.)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이며, 상기 치쿠세츄사포닌 IVa(Chikusetsusaponin IVa)은 죽절삼(Panax japonicas C.A.Mey.)으로부터 유래된 성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콩무노시드 X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쿠세츄사포닌 IVa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각각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 0.001 내지 10 중량%일 경우, 인비트로(in-vitro) 실험에서 또는 임상적으로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 성장 유도 촉진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의약외품용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제형화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피부 외용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은 상기 조성물 또는 제형에 탈모 방지제 또는 모발 성장 촉진제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액상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알코올 중 1종 이상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C2-C4 모노알코올이다. 특히 에탄올과 이소프로판올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이소프로판올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스프레이 제형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 등과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 외에 피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알코올, 킬레이트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색소 및 향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은 발모제, 두피클리닉제, 두피스케일링제, 두피마사지제, 두피케어제, 세정제, 샴푸, 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젤, 팩, 크림, 에센스, 파우더, 스프레이, 오일, 비누, 연고, 헤어스타일링제, 염모제 및 펌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은 헤어토닉 또는 헤어로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Gypsogenin 3-O-β-D-glucuronopyranoside),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Deapioplatycodin D), 콩무노시드 X(Congmunoside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Chikusetsusaponin IV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환자(subject)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피 또는 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경피 투여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국소 도포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횟수는 처방, 필요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통상 1일 1회 내지 수회 적당량을 두피에 도포시켜 1주일 내지 수개월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탈모 치료용 조성물 1을 1주에 7회씩 6개월 동안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 우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에탄올을 포함시킨 제형에서 좀 더 높은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효과를 확인하였다(실험예 3). 제형에 포함된 에탄올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된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 의 경피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 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이 탈모치료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상기 헤어토닉 또는 헤어로션과 같은 제형예는 본 발명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의 예시일 뿐, 본 발명 조성물의 범위가 이들 제형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은 모발의 성장 주기 중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되는 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퇴행기로의 전환을 늦추어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의 남성 호르몬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의 남성 호르몬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콩무노시드 X의 남성 호르몬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의 남성 호르몬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항남성호르몬 활성 평가
본 실험에서는 안드로겐 수용체 양성인 22Rv1 인간 전립선암 세포주에, 두개의 안드로겐 반응인자와 반딧불 발광효소 리포터 유전자(firefly luciferase)를 포함하고 있는 pGL4.36-MMTV-Luc 벡터를 영구히 형질 주입을 하여 구축한 안정화세포주(stable cell line)을 사용하였다. 본 안정화 세포주는 RPMI1640 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BRL, Gaithersburg, MD, USA)을 사용하여 계대배양을 하며 유지하였다. 전사활성시험법을 위해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웰 당 2만5천개의 세포를 파종할 때, 5% 샤콜-스트립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페놀-레드 프리 RPMI1640으로 배양액을 교환해준다. 그리고 48시간 동안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뒤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또는 치쿠세츄사포닌 IVa을 1 nM DHT와 함께 처리하고, 다시 24시간을 배양한 뒤 루시퍼라제 분석 시스템(Luciferase assay system) (Promega)을 사용하여 DHT에 의해 증가된 루시퍼라제 활성이 억제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값은 1M DHT 처리에 의해 증가된 발광효소 활성도(Luminescence) 값을 100%로 하고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또는 치쿠세츄사포닌 IVa에 의해 저해된 값을 표현하였다. 항안드로겐 양성대조군으로는 비칼루타미드(bicalutamide) (casodex)를 사용하였고, 물질 처리에 의한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CCK-8 분석을 병행으로 진행하였다. CCK-8 시약을 배양액에 1:10으로 처리하여 2시간동안 인큐베이션 하였다. 2시간 후, 각 웰의 흡광도(absorbance)를 450nm으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들은 3번씩 반복되었으며 흡광도 값의 평균을 계산하여 1nM DHT 처리군의 값을 100%로 하고 그에 비한 처리군의 값을 구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를 표 1, 표 2 및 도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남성호르몬 활성
처리군 처리농도 남성호르몬 활성 (% of 1nM DHT)
무처리군 - 0
DHT 1 nM 100.0
1 nM DHT 비칼루타미드 20 μM 29.8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0.2 ppm 98.1
2 ppm 79.1
20 ppm -9.8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0.2 ppm 89.1
2 ppm 72.2
20 ppm 34.9
콩무노시드 X 2 ppm 104.4
20 ppm 85.9
200 ppm 14.9
치쿠세츄사포닌 IVa 0.2 ppm 84.7
2 ppm 79
20 ppm 77.5
세포 활성도(Cell viability) 평가
처리군 처리농도 세포 활성도 (% of 1nM DHT)
무처리군 - 96.2
DHT 1 nM 100.0
1 nM DHT 비칼루타미드 20 μM 101.6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0.2 ppm 109.4
2 ppm 107.6
20 ppm 104.8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0.2 ppm 102.2
2 ppm 99.4
20 ppm 81.6
콩무노시드 X 2 ppm 97.1
20 ppm 95.9
200 ppm 89.9
치쿠세츄사포닌 IVa 0.2 ppm 102.0
2 ppm 105.2
20 ppm 99.4
실험예 2: 모낭 퇴행기 인자 발현 저해 평가
본 실험에서는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를 이용하여 모낭 퇴행기 마커인 Dkk-1의 발현 저해를 확인하였다.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는 프로모셀(PromoCell)사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hDPCs을 배양액 첨가제(Supplement Mix; PromoCell, Heidelberg, Germany), 페니실린 100 unit/mL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 ㎍/mL이 포함된 hDPCs 전용 배양액(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um; PromoCell, Heidelberg, Germany)에서 37℃ 및 5% CO2 조건하에 계대배양하였다. 배양한 hDPCs를 100 mm cell culture dish에 100만개씩 파종한 뒤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뒤,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또는 치쿠세츄사포닌 IVa를 각각 2 ppm 또는 20 ppm으로 처리하였고, 24시간 동안 처리한 뒤 세포배양액을 수득하여 Dkk-1 ELISA 분석(R&D systems, USA)을 수행하였다. 각 실험군의 단백질량은 BCA 분석을 수행하여 확인하였으며, Dkk-1 ELISA 결과값에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분석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Dkk-1 발현
처리군 처리농도 (ppm) Dkk-1 상대발현량 (% of 무처리군)
무처리군 - 100.0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2 96.5
20 77.5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2 86.4
20 76.7
콩무노시드 X 2 90.8
20 81.2
치쿠세츄사포닌 IVa 2 85.2
20 70.9
실험예 3: 발모용 조성물 1(헤어토닉)의 발모효과 확인 시험
탈모 치료용 조성물 1(헤어토닉)의 제조
하기 표 4에 개시된 처방에 따라,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또는 치쿠세츄사포닌 IVa을 포함하는 헤어토닉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2로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01
탈모 치료용 조성물 2(헤어로션)의 제조
하기 표 5에 개시된 처방에 따라,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또는 치쿠세츄사포닌 IVa을 포함하는 헤어로션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비(%)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
염화스테아릴트리에틸암모늄 2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0.5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 콩무노시드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 중 1종 이상 0.01
향료 및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총 100)
본 발명의 탈모 치료용 조성물 1(헤어토닉)을 모발의 수가 정상에 비해 현저히 적거나, 탈모증상이 보이며 모발이 약한 남녀 총 110명을 대상으로 11명씩 10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4-2를 1주에 7회씩 6개월 동안 모발 및 두피에 사용하였다. 사용 후, 모발의 굵기, 밀집 정도, 탄력성 및 전체적 평가 항목에 대하여 개선 정도(매우 좋아짐;+3, 좋아짐;+2, 조금 좋아짐;+1, 변화 없음;0, 조금 나빠짐;-1, 나빠짐;-2, 매우 나빠짐;-3)를 6개월 경과 후 사용자 문진하여 평균값으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 모발의 굵기 밀집 정도 탄력성 전체 평가
비교예 1 0.2±0.3 0.1±0.2 0.3±0.4 0.2±0.3
비교예 2 2.2±0.2 2.3±0.4 2.1±0.2 2.2±0.3
실시예 1 3.6±0.2 3.0±0.2 3.3±0.2 3.3±0.2
실시예 1-2 2.6±0.1 2.5±0.3 3.0±0.2 2.7±0.2
실시예 2 3.1±0.3 3.4±0.1 3.1±0.2 3.2±0.1
실시예 2-2 2.8±0.3 2.8±0.2 2.5±0.4 2.7±0.3
실시예 3 2.9±0.1 3.0±0.2 2.7±0.4 2.9±0.2
실시예 3-2 2.5±0.4 2.8±0.3 2.5±0.2 2.6±0.3
실시예 4 2.9±0.1 2.7±0.3 2.8±0.2 2.8±0.2
실시예 4-2 2.2±0.4 2.3±0.3 2.4±0.2 2.3±0.3

Claims (9)

  1. 깁소게닌 3-O-β-D-글루쿠로노피라노시드(Gypsogenin 3-O-β-D-glucuronopyranoside), 데아피오플라티코딘 D(Deapioplatycodin D), 콩무노시드 X(Congmunoside X) 및 치쿠세츄사포닌 IVa(Chikusetsusaponin IV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시키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낭 퇴행기 인자인 Dkk-1의 발현을 저해시키는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6. 제1항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용 조성물.
  7. 제1항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따른 탈모 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발모제, 두피클리닉제, 두피스케일링제, 두피 마사지제, 두피케어제, 세정제, 샴푸, 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로션, 젤, 팩, 크림, 에센스, 파우더, 스프레이, 오일, 비누, 연고, 헤어스타일링제, 염모제 및 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어 또는 두피용 제품.
KR1020227019384A 2020-02-05 2020-02-05 탈모 방지 및/또는 발모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20220137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1637 WO2021157753A1 (ko) 2020-02-05 2020-02-05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618A true KR20220137618A (ko) 2022-10-12

Family

ID=7720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9384A KR20220137618A (ko) 2020-02-05 2020-02-05 탈모 방지 및/또는 발모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23847A1 (ko)
JP (1) JP2023521275A (ko)
KR (1) KR20220137618A (ko)
CN (1) CN114929239A (ko)
WO (1) WO202115775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0945A (ja) * 1999-07-02 2001-01-16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101063147B1 (ko) * 2007-03-15 2011-09-0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진세노사이드 Ro(ginsenoside Ro)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0974289B1 (ko) * 2008-02-11 2010-08-06 (주)내츄럴엔도텍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CN107362104A (zh) * 2017-09-04 2017-11-21 上海张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止脱发、生发的洗发乳
CN110680819A (zh) * 2018-07-06 2020-01-14 云南民族大学 一种三萜皂苷类化合物的应用
CN110693773A (zh) * 2018-07-09 2020-01-17 株式会社Lg生活健康 防脱发或毛发生长促进用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29239A (zh) 2022-08-19
JP2023521275A (ja) 2023-05-24
US20230023847A1 (en) 2023-01-26
WO2021157753A1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26317A (ja) 毛髪保護作用と毛髪減損の予防性並びにアンドロゲン性脱毛症の外因作用とその結果もたらされる毛髪減損の低下性において、改善された性質を有するヘアロ―ション
KR102063697B1 (ko) 에스신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TW202005636A (zh) 防脫髮或毛髮生長促進用組合物
KR20220008790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13571A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255264B1 (ko) 당근의 지상부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WO2021157753A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30037B1 (ko) 타베르소닌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050077310A (ko) 인디고 추출물을 이용한 모발, 눈썹 및 속눈썹 성장촉진제
WO2020111047A1 (ja) 頭皮頭髪用組成物
KR20220130708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162555A (ko) 숙근안개초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537521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10082071A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74314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20033071A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509285B1 (ko) 알리솔 b 23-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134104A (ko) 헤데라게닌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15713B1 (ko) 탈모 방지 및/또는 발모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JP2024520679A (ja) 宿根かすみ草を含む脱毛防止及び発毛促進用の組成物
KR102611504B1 (ko) 키레놀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US2023033012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regrowth
CN117503748A (zh) 对甲氧基肉桂酸乙酯的生发、防脱用途
JP2024069595A (ja) 脱毛防止または毛髪成長促進用の組成物
KR20230094216A (ko) 겐콰닌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