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811A - 휠베어링 - Google Patents

휠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811A
KR20220136811A KR1020210042960A KR20210042960A KR20220136811A KR 20220136811 A KR20220136811 A KR 20220136811A KR 1020210042960 A KR1020210042960 A KR 1020210042960A KR 20210042960 A KR20210042960 A KR 20210042960A KR 20220136811 A KR20220136811 A KR 20220136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recess
wheel
rotating element
chassis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04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6811A/ko
Publication of KR2022013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811A/ko
Priority to KR1020240027464A priority patent/KR20240029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21Hubs for driven wheels characterised by torque transmission means from drive axle
    • B60B27/0026Hubs for driven wheels characterised by torque transmission means from drive axle of the radial type, e.g. splined ke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Hubs with roller-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8Hubs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21Resist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11Rigidity or 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휠을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은 차량의 휠이 장착되어 휠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요소와; 차량의 샤시 부재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와; 회전요소와 비회전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요소를 비회전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전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에는 샤시 부재에 결합되는 장착 플랜지가 구비되고, 장착 플랜지에는 샤시 부재의 장착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부와; 인접한 장착부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가 구비되고, 장착 플랜지의 차체측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리세스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휠베어링{WHEEL BEARING}
본 발명은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너클 등의 샤시 부재에 결합되는 차체측 장착 플랜지의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휠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장치에서 회전요소를 비회전요소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부품으로, 휠베어링은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데 이용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알려진 차량용 휠베어링(10)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베어링(10)은 휠이 장착되는 회전요소(20)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30)에 전동체(40)를 통해 연결되어 차량의 휠을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휠은 휠베어링(10)의 회전요소(20)에 구비된 휠장착 플랜지(22)를 통해 휠베어링(10)에 결합되고, 휠베어링(10)의 비회전요소(30)는 장착 플랜지(32)를 통해 너클 등의 샤시 부재(5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너클 등의 샤시 부재(50)는 현가암(suspension arm) 등의 차량 부품을 조립할 때 발생하는 체결력에 의해 장착면(52)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샤시 부재(50)의 장착면(52)에 발생된 변형은 샤시 부재(50)에 결합되는 휠베어링(10)의 비회전요소(30)로 전달되어 휠베어링(10)의 전동체 궤도면 등에 변형을 야기하면서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브리넬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너클 등의 샤시 부재에 결합되는 차체측 장착 플랜지의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휠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휠을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은 차량의 휠이 장착되어 휠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요소와; 차량의 샤시 부재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비회전요소와; 회전요소와 비회전요소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요소를 비회전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전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에는 샤시 부재에 결합되는 장착 플랜지가 구비되고, 장착 플랜지에는 샤시 부재의 장착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부와; 인접한 장착부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가 구비되고, 장착 플랜지의 차체측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리세스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는 장착 플랜지의 연결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는 장착 플랜지에 구비되는 모든 연결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는 외주면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의 외주면은 장착부의 최대 직경부에 비해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단차부와 단차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의 비회전요소는 장착 플랜지로부터 차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차체측 연장부가 샤시 부재의 결합홀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장착 플랜지의 외주면은 샤시 부재의 장착면과 결합홀 사이의 모서리부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에 구비되는 단차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는 샤시 부재의 모서리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의 체결홀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는 장착부의 체결홀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 이하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의 체결홀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는 장착부의 체결홀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의 체결홀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장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있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고, 장착부의 체결홀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장착부를 향하는 방향에 있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의 체결홀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는 2mm 이상 10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휠베어링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은 비회전요소의 장착 플랜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부를 구비해 장착부를 통해 너클 등의 샤시 부재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장착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연결부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리세스가 구비되어 샤시 부재와의 접촉을 피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휠베어링의 비회전요소와 샤시 부재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샤시 부재의 장착면에 발생된 변형에 의해 휠베어링에 변형이 야기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에 알려진 차량용 휠베어링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이 차량의 샤시 부재(예컨대, 차량용 너클)와 결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의 전체적인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의 단면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의 비회전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의 비회전요소와 차량의 샤시 부재 사이의 결합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의 (a)는 장착 플랜지의 장착부 부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장착 플랜지의 연결부 부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함]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의 비회전요소에서 차량의 샤시 부재에 결합되는 장착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지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축방향”은 휠베어링의 회전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반경방향”은 이러한 “축방향”에 수직하게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회전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원주방향”은 전술한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위치되어" 있다거나 "형성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일측에 직접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중간에 개재한 상태로 위치하거나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통해 지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설명에서 특정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 있더라도, 이는 그러한 구성요소가 해당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 및 이러한 휠베어링이 차량의 샤시 부재(예컨대, 차량용 너클)에 결합된 모습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100)은 통상의 차량용 휠베어링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100)은 통상의 차량용 휠베어링과 유사하게 휠이 장착되는 회전요소(200)가 차체측에 연결되는 비회전요소(300)에 대해 복수의 전동체(400)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요소(200)는 휠이 장착되는 휠허브(210)와 휠허브(2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비회전요소(300)는 차량의 샤시 부재에 결합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외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100)은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휠베어링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구조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요소(200)를 구성하는 휠허브(210)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휠허브(210)의 휠측 단부 부근에는 휠장착 플랜지(220; 허브 플랜지)가 구비되어 휠장착 플랜지(220)에 형성된 체결홀(222)에 휠장착 볼트(예컨대, 허브 볼트)를 결합해 차량의 휠을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휠허브(210)의 차체측 단부에는 내륜(230)이 결합되는 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휠허브(210)의 외주면 일부에는 전동체의 궤도면(내측 궤도면)이 형성되어 전동체(400)를 반경방향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륜(230)은 휠허브(210)의 일측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륜(230)은 휠허브(210)의 차체측 단부에 형성된 안착부에 압입된 상태에서 휠허브(210)의 단부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성변형시키거나 휠허브(210)의 차체측 단부에 너트 등을 체결해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륜(230)의 외주면에는 전동체(400)가 접촉하는 궤도면(내측 궤도면)이 구비되어 전동체를 반경방향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휠허브의 외주면에 전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일측 궤도면이 직접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은 이와 달리 휠허브에 2개의 내륜을 장착해 2개의 내륜을 통해 전동체를 위한 내측 궤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등 다른 임의의 구조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300)를 구성하는 외륜은 외주면에 휠베어링(100)을 차량의 샤시 부재(600; 예컨대, 차량용 너클)에 결합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310)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전동체(400)가 접촉하는 궤도면(외측 궤도면)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회전요소(외륜)의 내주면에 형성된 궤도면은 회전요소(휠허브 및/또는 내륜)에 형성된 궤도면과 협력해 궤도면 사이에 구름요소인 전동체(400)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동체(400)는 회전요소(200)와 비회전요소(3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요소(200)에 장착된 휠을 비회전요소(300)가 결합되는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씰링부재(500)가 구비되어 전동체(400)가 배치되는 베어링 공간부 내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베어링 공간부 내에 충진된 윤활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에 구비되는 장착 플랜지(3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장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장착 플랜지(310)에 4개의 장착부(32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320)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또는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4개의 장착부(320)가 서로 다른 2개의 간격(상대적으로 짧은 간격 및 상대적으로 긴 간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장착 플랜지(3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300)의 장착 플랜지(310)에 구비되는 장착부(320)에는 체결홀(322)이 형성되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를 차량의 샤시 부재(600)에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체결부재(예컨대, 체결 볼트)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300)의 장착 플랜지(310)는 인접한 장착부(320)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4개의 장착부(320) 사이에 각각 연결부(330)가 형성되어 4개의 연결부(330)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장착 플랜지(3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플랜지(310)에 구비되는 연결부(330)는 경량화를 위해 외주면이 장착부(320)에 비해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330)의 외주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20)의 최대 외경부 보다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플랜지(310)의 차체측 단면[예컨대, 장착 플랜지(310)가 결합되는 샤시 부재(600)를 향하는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리세스(3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340)는 장착 플랜지(310)의 연결부(330)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340)는 장착 플랜지(310)에 구비되는 각각의 연결부(330)에 모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340)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부(330)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340)는 일측 장착부(320)로부터 이에 인접한 타측 장착부(320)까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세스(3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랜지(310)의 외주면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는 장착 플랜지(310)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는 장착 플랜지(310)로부터 휠측을 향해 연장하는 휠측 연장부(350)와 차체측을 향해 연장하는 차체측 연장부(3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300)의 휠측 연장부(350)는 회전요소(200)의 휠장착 플랜지(220)를 향해 연장되어 단부가 휠장착 플랜지(220)와 대향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비회전요소(300)의 차체측 연장부(360)는 샤시 부재(600)의 결합홀(620)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는 장착 플랜지(310)의 장착부(320)가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에 대면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예컨대, 장착 플랜지(310)의 장착부(320)가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에 직접 접촉하여 결합되거나, 부싱 부재(미도시) 등을 개재한 상태로 부싱 부재에 면접촉되어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 장착 플랜지(310)의 연결부(330)는 리세스(34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으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도록[바람직하게는, 연결부(330)가 전체적으로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으로부터 이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100)은 비회전요소(300)의 장착 플랜지(310)에서 체결홀(322)이 구비되는 장착부(320) 부분만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과 면접촉 상태로 결합되고[본 명세서에서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에 면접촉되어 결합된다는 것은 장착부(320)가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에 직접 접촉되어 결합되는 구조 뿐만 아니라, 부싱 부재 등을 개재한 상태로 부싱 부재에 면접촉하여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에 결합되는 구조도 포함함], 장착 플랜지(310)의 장착부(320) 사이에서 연장하는 연결부(330)는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장착 플랜지(310)와 샤시 부재(600) 사이의 결합 면적이 감소되어 샤시 부재(600)에 발생된 변형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동체 궤도면 변형으로 인한 작동 소음이나 브리넬 손상이 발생할 위험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플랜지(310)에 구비되는 리세스(340)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단차부(342)와 단차부(342)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코너부(3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차부(34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달리 축방향에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 코너부(34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는 라운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달리 경사면을 찾는 챔퍼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300)의 장착 플랜지(310)는 외주연이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과 결합홀(620)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630)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회전요소(300)의 장착 플랜지(310)에 구비되는 리세스(340)는 단차부(342)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예컨대, 단차부(342)와 코너부(344)의 교점(346)]이 샤시 부재(600)의 모서리부(630; 라운딩부, 챔퍼부 등)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632)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회전요소(300)의 장착 플랜지(310)에 리세스(340)를 형성하더라도, 리세스(340)에 의해 형성되는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와 샤시 부재(600) 사이의 간극을 통해 휠베어링 및/또는 샤시 부재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는 장착 플랜지(310)와 차체측 연장부(360) 사이의 모서리에 함몰부(370)를 구비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를 샤시 부재(600)에 결합할 때 모서리 부분에서 간섭이 발생되어 결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2) 이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는 휠베어링(100)의 중심축과 체결홀(322)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체결홀(322)의 끝단[체결홀(322)의 끝단은 장착부(320)의 축방향 단면에서의 끝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322)의 단부에 챔퍼부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챔퍼부의 끝단을 의미함(도 7에 도시된 D 부분 참조)]으로부터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2)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장착부(320)가 비대칭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장착부(320)를 향하는 방향에 있는 리세스(340; 즉, 상대적으로 긴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 연결부에 구비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B1)를 의미하고,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2)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장착부(320)를 향하는 방향에 있는 리세스(340; 즉, 상대적으로 짧은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 연결부에 구비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B2)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으로 위치하는 리세스(340; 즉, 상대적으로 긴 원주방향 길이를 갖는 연결부에 구비되는 리세스)까지의 최단 거리(B1)는 2.0mm 내지 10.0mm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최단 거리(B1)가 너무 짧게 형성되면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장착부(320)에 충분한 접촉 면적이 확보되지 못해 체결부재의 결합을 위한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최단 거리(B1)가 너무 크게 형성되면 장착부(320)가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샤시 부재(600)에 발생된 변형이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로 쉽게 전달될 우려가 있으므로,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전술한 범위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휠베어링
200: 회전요소
210: 휠허브
220: 휠장착 플랜지
230: 내륜
300: 비회전요소
310: 장착 플랜지
320: 장착부
330: 연결부
340: 리세스
342: 단차부
344: 코너부
346: 단차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 (예컨대, 단차부와 코너부 사이의 교점)
350: 휠측 연장부
360: 차체측 연장부
370: 함몰부
400: 전동체
500: 씰링부재
600: 샤시 부재 (예컨대, 차량용 너클)
610: 장착면
620: 결합홀
630: 모서리부
632: 모서리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

Claims (12)

  1. 차량의 휠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100)이며,
    차량의 휠이 장착되어 휠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요소(200)와;
    차량의 샤시 부재(60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비회전요소(300)와;
    상기 회전요소(200)와 상기 비회전요소(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요소(200)를 상기 비회전요소(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전동체(400)를 포함하고,
    상기 비회전요소(300)에는 상기 샤시 부재(600)에 결합되는 장착 플랜지(31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 플랜지(310)에는 상기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부(320)와; 인접한 장착부(320) 사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33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 플랜지(310)의 차체측 단면에는 축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리세스(340)가 구비되는,
    휠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40)는 상기 장착 플랜지(310)의 연결부(330)에 형성되는,
    휠베어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40)는 상기 장착 플랜지(310)에 구비되는 모든 연결부(330)에 각각 구비되는,
    휠베어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40)는 외주면까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휠베어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30)의 외주면은 상기 장착부(320)의 최대 직경부에 비해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40)는 축방향으로 함몰된 단차부(342)와 상기 단차부(342)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코너부(344)를 포함하는,
    휠베어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휠베어링(100)의 비회전요소(300)는 상기 장착 플랜지(310)로부터 차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차체측 연장부(360)가 상기 샤시 부재(600)의 결합홀(620)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착 플랜지(310)의 외주면은 상기 샤시 부재(600)의 장착면(610)과 결합홀(620) 사이의 모서리부(630)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40)에 구비되는 단차부(342)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346)는 상기 샤시 부재(600)의 모서리부(63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632)에 비해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휠베어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상기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2)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휠베어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상기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2) 보다 작게 형성되는,
    휠베어링.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하는 장착부(320)를 향하는 방향에 있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고,
    상기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타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2)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장착부(320)를 향하는 방향에 있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하는,
    휠베어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320)의 체결홀(322)로부터 일측 원주방향에 위치하는 리세스(340)까지의 최단 거리(B1)는 2mm 이상 10mm 이하로 형성되는,
    휠베어링.
KR1020210042960A 2021-04-01 2021-04-01 휠베어링 KR20220136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60A KR20220136811A (ko) 2021-04-01 2021-04-01 휠베어링
KR1020240027464A KR20240029019A (ko) 2021-04-01 2024-02-26 휠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960A KR20220136811A (ko) 2021-04-01 2021-04-01 휠베어링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464A Division KR20240029019A (ko) 2021-04-01 2024-02-26 휠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811A true KR20220136811A (ko) 2022-10-11

Family

ID=835988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960A KR20220136811A (ko) 2021-04-01 2021-04-01 휠베어링
KR1020240027464A KR20240029019A (ko) 2021-04-01 2024-02-26 휠베어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464A KR20240029019A (ko) 2021-04-01 2024-02-26 휠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3681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019A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5349B2 (en) Wheel rotation supporting apparatus
US20070086687A1 (en) Asymmetric hub assembly
CN101268291A (zh) 用于车轮的轴承装置
US9493035B2 (en) Flanged hub-bearing unit
US20150191044A1 (en) Bearing module
KR20200139575A (ko) 휠베어링 조립체
US8746985B2 (en) Rolling bearing device for wheel
US11536313B2 (en) Wheel bearing assembly
KR20220136811A (ko) 휠베어링
JP5087901B2 (ja)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KR20220136808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2556455B1 (ko) 휠베어링 조립체
JP2009156450A (ja) 車輪用軸受装置
JPH10181304A (ja) 車輪用ハブユニット軸受
EP2042345B1 (en) Rolling bearing unit for wheel
US20110097027A1 (en) Outer ring for wheel bearing
JP2008089131A (ja) 車輪軸受装置
JP2023090468A (ja)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US20240110596A1 (en) Wheel bearing device
KR102667606B1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200120564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2551832B1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200117334A (ko) 개선된 차륜 장착 플랜지 구조를 갖는 휠베어링
KR20240026800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20110045287A (ko) 휠 베어링용 외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