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409A -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409A
KR20220136409A KR1020227030483A KR20227030483A KR20220136409A KR 20220136409 A KR20220136409 A KR 20220136409A KR 1020227030483 A KR1020227030483 A KR 1020227030483A KR 20227030483 A KR20227030483 A KR 20227030483A KR 20220136409 A KR20220136409 A KR 20220136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articles
measuring path
gripp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론네 미리오란사
Original Assignee
쉬넬 에스.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넬 에스.페.아. filed Critical 쉬넬 에스.페.아.
Publication of KR2022013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5Devices for handling elongated articles, e.g. bars, tube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06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for obtaining pieces of a predetermined length, e.g.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64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cces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16Special arrangements of articles in storage sp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17Elon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Manipulator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물품들(2)의 공급부(5), 절단기(3) 및 측정경로(4)를 공급 길이방향(Y)을 따라 연속으로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품(2)을 위한 경로(4)로서, 측정경로(4)는 절단기(3)로 절단된 절단물품들(2a)을 각각의 수납면(4a)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방법은 또한 절단물품(2a)을 수용하기 위해 측정경로(4)의 하류에 다수의 구획(7)으로 분할된 저장고(6)를 배열한다.

Description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조작장치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그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기에 맞게 절단된 바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원료 공급라인, 전단형 절단기 및 측정라인이 연속으로 배치되고, 원료는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구간에서 시작하는 크기로 위치한다. 그후 원료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언로드되어 크기에 맞게 절단된 동일한 다발이나 서로다른 다발을 형성한다.
예컨대, 특허 EP 0188850 A2는 절단기 상류에 위치한 바 공급 장치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이 장치는 예를들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건물의 보강재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바를 크기에 맞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처리 단계를 수행하고 납품을 위해 바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고 다발로 질서 있게 그룹화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단순한 낙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획들을 이루는 격실수단들이 전술한 측정라인에 나란히 구비되고, 후속 절단사이클에서도 전술한 다발들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구획은 포켓, 롤러 웨이, "통" 또는 "랙"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쨌든, 이런 구획은 본질적으로 절단된 바들을 모아 다발로 그룹화하고 다발 완성을 대기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전술한 구획들은 크기에 맞게 절단된 바 다발의 절단 및 구성 작업들을 최적화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사실, 바의 절단은 최적화 문제를 갖는데, 즉 원료의 낭비나 스크랩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위 "네스팅"을 수행하여 다양한 크기의 절단 작업들을 조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경험이 있지만 정신적으로 제한된 수의 조합들을 관리할 수 있는 작업자가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절단 길이들을 조합하려는 시도는 아주 복잡한 작업이다.
현재 특수 컴퓨터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출현과 현대 컴퓨터의 컴퓨팅 능력 덕분에 아무리 많은 조합도 더이상 최적화에 제약이 되지 않지만, 측정라인 하류에 배치될 수 있는 최적화 구획들의 수가 제한되어 실제로는 시스템이 제한된다.
사실, 공지의 유형의 최적화 구획들은 현재 다발의 수, 따라서 컴퓨터 절단 시스템이 관리할 수 있는 "로트"의 수보다 훨씬 적다.
예를들어, 절단사이클이 12미터 길이의 원료에서 시작하여 3미터, 4미터 및 5미터와 같이 여러 다른 길이들의 조합에 관련되고, 이 조합이 여러번 반복될 경우, 필요한 경우 각 다발이 완료될 때까지 서로 다른 유형의 물품들을 개별적으로 언로딩하기 위해 절단사이클마다 최소 3개의 최적화 구획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시퀀스" 유형 저장고를 갖춘 방식은 전술한 최적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데, 첫번째 이후의 절단사이클에서는 아직 오픈된 다발들을 완성하는데 이미 사용된 저장고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지의 최적화 구획에는 절단 바들에 대한 중력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있다. 이후, 형성된 다발들을 개별 저장 구획에서 언로드할 수 있다.
바에 접근하기 위해, 공지의 구획들은 "높이 손실" 원리로 작동하는바: 절단된 바들이 측정경로 옆에 낮은 높이로 배치된 각각의 최적화 구획 안으로 중력으로 방출된다.
이와 관련해, 같은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BO94A000108은 예를들어 절단라인의 하류에서 사용되는 저장장치를 예시한다.
측정경로 옆에 위치하고 중력에 의해 접근할 수 있는 기존의 최적화 구획은 가능한 "높이손실"이 제한되어 그 수가 제한적이며 구획에 선택적으로 접근하는데 사용되는 전술한 장치로 인해 매우 비싸다.
따라서 어떤 부문은 최적화 수준이 제한적이라고 불평한다. 제한된 수의 최적화 구획을 허용하려면, 전체 절단시스템이 작업완료를 위해 측정경로 높이와 그 하류의 작동기계의 높이 사이에서 더 크게 도약하도록 상승되어야 한다. 그러나, 절단 공장의 증축은 비용 증가와 함께 유지 보수 기계의 접근성 악화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직원에 더 위협적이다.
또, 전류슈트는 작업 환경에서 상당한 소음을 일으킨다. 이런 상황은 높은 수준의 음압에 노출되는 플랜트의 모든 작업자에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다발이 완성되어 "클로스"되자마자, 최적화 구획들이 비워져, 후속 절단사이클에서 절단 바들을 받을 수 있다.
절단사이클을 최적화하는 문제 외에도, 기존 절단 시스템에는 다른 문제가 있다. 실제로 제한된 수의 최적화 구획도 예를들어 벤딩공정과 같은 절단 라인의 하류의 공정 순서에도 영향을 미친다. 절단라인을 멈추지 않기 위해 최적화 구획들을 가능한 빨리 비워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절단라인, 특히 절단 바의 다발의 "클로징"으로 부과된 순서로 하류 장치들이 작동하도록 하여, 생산 조건들에 맞는 제한된 논리만 따르도록 한다. 한편, 생산논리를 더 잘 따르기 위해 "클로스" 다발들을 주차구역으로 옮겨 조작할 수 있지만, 조작에 소요되는 공간, 시간, 위험 및 에너지 측면에서 추가 비용이 생긴다.
또는, "클로스" 팩들을 운송하고 뒤집어서 가급적이면 지상에 있는 주차창고, 즉 "그라운드 버퍼"에 보관하고, 필요할 때 이 팩들을 픽업해 후처리 장소로 옮긴다. 주차창고에서, "클로스" 다발은 개별 주차공간이나 요람에 언로딩된다.
주차 저장고는 추가 처리를 위해 절단기의 주기를 기계의 주기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전체 크기면에서 고가인데, 이는 고가의 장비를 갖춘 절단시스템의 하류에 길이방향으로 많은 수의 요람들을 배치하여, "클로스" 다발들은 취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공지의 방식들로는 이론적으로 정보 기술을 통해 현재 허용되는 수준에서 생산사이클의 최적화를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공간 및 생산 효율을 최적화하는 기다란 물품의 조작장치 및 절단 최적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용도를 갖춘, 단순한 구조와 기능적 개념을 갖는 기다란 물품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에 따른 절단 최적화 방법, 청구항 13에 따른 이 방법을 구현하는 조작장치, 청구항 24에 따른 장치, 및 청구항 32의 플랜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품들(2)의 공급부(5), 절단기(3) 및 측정경로(4)를 공급 길이방향(Y)을 따라 연속으로 배열하되, 상기 측정경로(4)의 각각의 수납면(4a)에서 절단기(3)에 의한 절단물품(2a)을 받는 단계; 상기 측정경로(4)에 측방향으로 다수의 구획(7)으로 분할된 저장고(6)를 배열하되, 이들 구획은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수용하고, 절단물품들은 추가 절단사이클 후 절단물품 다발로 그룹화되며, 이들 다발은 절단물품들을 필요량 가졌을 때 "클로스"로, 절단물품들이 아직 필요량에 미달할 때 "오픈"으로 정의되는 단계; 상기 절단물품(2a)을 그립하고 측정경로(4) 옆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11)로서, 상기 그리퍼(11)가 수집방향(Z)으로의 수집동작, 언로딩 방향(Z)으로의 언로딩 동작 및 측정경로(4)에 대한 이송 동작으로 움직이는 그리퍼(11)를 포함한 조작장치(10,10")를 배열하는 단계; 적절한 위상 관계로 상기 측정경로(4)를 따라 임의의 수의 물품들(2)을 공급하고 절단사이클에서 상기 절단기(3)를 작동하여, 공급된 물품들(2)을 1회 이상 연속으로 절단하고 수납면(4a)을 따라 크기가 같거나 다른 일련의 절단물품들(2a)을 수납면(4a)을 따라 연속적으로 받는 단계; 상기 그리퍼(11)를 수집 방향(Z)의 수집운동으로 작동시켜, 절단사이클에서 절단물품들(2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을 홀딩하는 단계; 상기 그리퍼(11)를 이송동작으로 작동시키고, 그리퍼(11)에 의해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을 그립하는 단계; 상기 저장고(6)의 선택된 구획(7)에 그리퍼(11)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선택된 구획(7)에 방출하도록 언로딩 방향(Z)의 언로딩 동작으로 그리퍼(11)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의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절단물품들(2a)이 수납면(4a)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이 상기 절단사이클에서 수납면(4a)으로부터 절단물품들(2a)을 받는 하나 이상의 예비저장 구획(8)을 상기 측정경로(4)의 측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예비저장 구획(8)에 임시로 방출하여 "오픈" 다발(2b)이나 "클로스" 다발(2c)을 형성하거나, 예비저장 구획(8)에 이미 있는 "오픈" 다발(2b)을 하나로 통합하거나 예비저장 구획(8)에 이미 있는 "오픈" 다발(2b)을 "클로스" 다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측정경로(4) 옆에 예비저장 구획(8)을 다수 배치하고,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임시로 방출하는 상기 단계가 절단물품들(2a)을 예비저장 구획들(8)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예비저장 구획(8)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환부재(80)를 작동시켜 일어날 수도 있다.
또,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예비저장 구획(8)에 임시로 방출하는 상기 단계가 하나 이상의 틸팅부재(9)의 작동, 병진이동 및/또는 중력에 의한 낙하에 의해 절단물품들(2a)을 상기 수납면에서 이동시켜 일어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이 선택된 구획(7)에서 예비저장 구획(8)이나 수납면(4a)으로의 복귀행정에 의한 이송운동으로 조작장치(10;10")를 작동시켜,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하고 언로딩하는 추가 사이클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이 그리퍼(11)가 여전히 쥐고있는 절단물품들(2a)의 나머지를 언로딩 행정 이후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획(7)에 방출하기 위해 앞의 단계들을 반복하고, 상기 그리퍼(11)는 길이방향(Y)으로 정렬된 다수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에서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절단물품(2a)을 상기 선택된 구획(7)과 상기 추가 구획(7) 각각에 언로드할 수도 있다.
또, 추가 그리퍼(11)가 상기 그리퍼(11)에 나란히 놓여, 그리핑, 이송 및/또는 언로딩 사이클들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 이송 동작이 측정경로(4)에 대해 횡방향(X)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 언로딩 동작이 저장고(6)의 구획(7)에 대한 절단물품들(2a)의 방출과 동시에 수직 방향(Z)으로 일어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절단기(3)로 절단된 절단물품들(2a)을 각각의 수납면(4a)에 받기위해,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하류에 배치된, 측정경로(4)와 관련된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조작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이때 상기 조작장치(10;10")는 상기 측정경로(4)와 저장고(6) 사이로 측정경로에 대해 측방으로 동작하고, 상기 저장고는 측정경로(4) 한쪽에 배치된 절단물품들(2a)에 사용되고 다수의 구획들(7)로 분할되며, 상기 조작장치가 하나 이상의 그리퍼(11)를 포함하고, 이 그리퍼는 수집방향(Z)으로 측정경로(4)에 대해 상기 저장고(6)로 움직여 절단물품들의 일부를 수집하며, 저장고의 선택된 구획(7)까지 절단물품들(2a)을 이송하고, 언로딩방향(Z)으로 언로딩동작하여 수집된 절단물품들이나 그 일부를 상기 선택된 구획(7)에 방출한다.
이 경우, 그리퍼(11)가 그리핑부재들(11a,11a')을 다수 포함하고, 이들 그리핑부재들은 상기 길이방향(Y)으로 정렬되고 인접한 그리핑부재들(11a,11a')의 그룹들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절단기(3)로 절단된 절단물품들(2a)을 각각의 수납면(4a)에 받기위해,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하류에 배치된, 측정경로(4)와 관련되고 측정경로 옆에 배치된 저장고(6)와도 관련된,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10;10")가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11)를 갖고, 이 그리퍼는 절단물품들(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할 수집방향(Z)의 수집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을 저장고(6)로 이송할 이송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이나 그 일부를 저장고(6)에 방출할 언로딩방향(Z)의 언로딩 동작으로 측정경로(4)에 대해 저장고(6)까지 움직일 수 있으며, 그리퍼(11)에 다수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있고, 이들 그리핑부재들은 그룹별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각각의 그룹은 길이방향(Y)으로 정렬된 다수의 인접한 그리핑부재들(11a)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수집, 이송, 언로딩 동작으로 그리퍼를 제어하는 플랜트 제어시스템과 결합되는 조작장치도 제공한다.
이 조작장치가 지지구조(12)를 더 포함하고, 그리퍼(11)가 지지구조(1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 그리핑부재(11a,11a')는 길이방향(Y)을 따라 가변 길이 및/또는 위치로 절단물품들(2a)을 조작하도록 그 갯수가 가변적으로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 각각의 상기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상기 수집 동작 및/또는 언로딩 동작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또, 다수의 그리퍼들(11)이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이송 동작이 횡방향(X)으로 일어날 수도 있다.
또, 수집 및/또는 언로딩 방향(Z)이 지면에 수직일 수 있다.
또,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집게나 조일 수 있다.
또, 그리핑부재들(11a,11a')이 프레임(11b)과, 기구적 체인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에 관절연결된 하나 이상의 그리핑 포크(111,112)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핑 포크는 절단물품들(2a)을 감싸 홀딩하는 클로스 상태와 오픈 상태 사이를 움직일 수도 있다.
또, 이런 기구학적 체인이 로드 기구와 크랭크-슬롯 링크로 구성되어, 오픈 상태에서 그리핑부재(11a')의 크기를 줄일 수도 있다.
또, 그리퍼(11)의 그리핑부재(11a,11a')가 길이방향(Y)으로의 추가 이송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며은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의 하류에 배치되어, 절단기로 절단된 절단물품들(2a)을 수납면(4a)에 받아들이기 위한 측정경로(4)를 포함한,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을 조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경로(4) 측방향으로 저장고(6)가 배치되고, 저장고에 다수의 구획(7)이 있으며, 이들 구획은 절단물품들(2a)을 수용하고, 절단물품들은 다른 절단사이클들 이후 다발로 그룹화되며, 이들 다발은 절단물품들을 필요량 가졌을 때 "클로스"로, 절단물품들이 아직 필요량에 미달할 때 "오픈"으로 정의되고, 상기 측정경로(4)의 적어도 한쪽에 하나 이상의 그리퍼(11)를 갖춘 조작장치(10;10")가 있고, 그리퍼는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할 수집방향(Z)의 수집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을 저장고(6)로 이송할 이송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을 저장고(6)에 방출할 언로딩방향(Z)의 언로딩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장치도 제공한다.
이 경우, 조작장치(10;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장치가 측정경로(4)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면(4a)으로부터 절단물품들(2a)을 적어도 임시로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예비저장 구획(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10)가 예비저장 구획(8)으로부터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측정경로(4)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예비저장 구획들(8)이 다수 있고, 이들 예비저장 구획들 중의 하나에 절단물품들(2a)을 선택적으로 방출하도록 하나의 전환부재(80)가 예비저장 구획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측정경로(4)는 절단물품들(2a)을 수납면(4a)에서 예비저장 구획(8)까지 측방으로 옮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틸팅부재 (9), 컨베이어 또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절단물품(2a)을 중력으로 받기 위해 예비저장 구획(8)이 측정경로(4)보다 낮은 높이에 배열될 수도 있다.
또, 이런 구획들(7)이 측정경로(4) 옆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또, 저장고(6)가 지면에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을 절단하기 위한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물품들(2)을 소정 크기로 절단할 절단기(3);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상류에 배치된, 절단할 물품들(2)의 공급부(5), 및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하류에 배치된, 전술한 장치를 포함하는 플랜트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장치를 갖춘 기다란 물품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바를 절단할 플랜트의 사시도;
도 1a는 도 1에 파단선으로 그려진 원의 확대도;
도 2 내지 8은 추가 작동 단계들 동안 같은 장치들을 보여주는 플랜트의 일부의 정면도;
도 9 내지 16은 제2 실시예의 플랜트의 일부의 정면도;
도 17 내지 22는 제3 실시예의 플랜트의 일부의 정면도;
도 23은 도 9 내지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을 갖춘, 플랜트의 사시도;
도 23a는 도 23의 파단선 원의 확대도;
도 24는 다른 실시예의 플랜트의 사시도;
도 24a는 도 24의 파단선 원의 확대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장치의 일부의 정면도;
도 26~27은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상세 정면도.
철근콘크리트로 보강할 바와 같은 기다란 물품(2)을 절단하기 위한 플랜트(1)의 절단기(3)는 기다란 물품(2)을 절단물품(2a)으로 절단하고, 이런 절단물품들은 후처리에서 사용된다.
플랜트(1)의 조작장치(100)는 절단기(3)와 협력하는 절단물품(2a)의 조작장치(10)와, 측정경로(4)를 포함한다.
절단기(3)는 공급부(5)와 측정경로(4) 사이에 위치해, 길이방향(Y)으로 연속으로 배열된다.
공급부(5)는 물품(2)을 길이방향(Y)으로 공급하는 롤러로 이루어지거나(도 1 참조), 예컨대 견인에 의해 물품들(2)을 측정경로(4)의 길이방향(Y)을 따라 배열할 수 있는 구역이라 할 수 있다.
측정경로(4)는 수납면(4a) 각각에 절단물품(2a)을 받는다. 절단물품(2a)은 절단 후 길이방향(Y)으로 운반되어, 측정경로(4)상에 다른 절단물품(2a)을 위한 공간을 남겨둔다. 이 경우 절단물품(2a)은 길이방향으로 움직인 다음 제어된 위치에서 후술하는 것처럼 픽업된다. 실제로, 물품(2)의 길이가 12m이면, 같은 사이클의 추가 절단작업으로 예를들어 3m, 4m, 5m 길이의 절단물품들(2a)로 생산되어, 수납면(4a)에 연속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바와 같은 절단할 물품(2) 다수개가 길이방향(Y)으로 공급부(5)에 미리 공급되었다가, 절단기(3)를 지나 측정경로(4)로 옮겨진 다음, 전단기의 절단면에 대해 프로그램된 절단 길이 크기로 전진한다.
절단사이클마다 물품(2)을 하나 또는 여러개 절단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하 편의상 여러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예상대로, 각 물품(2)을 더 짧은 길이의 여러 절단물품(2a), 심지어는 각각 다른 길이로도 절단할 수 있다.
길이가 다른 절단물품들(2a)을 생산할 경우, 절단할 물품들(2)을 같은 절단사이클에 공급해 에서 공급되어 동시에 다른 "오픈형"을 구성할 수 있다. 절단물품들(2a)의 서로다른 "오픈" 다발들(2b)을 동시에 구성할 수도 있다.
형성중인 각각의 "오픈" 다발(2b)에 특별 주문내용의 일부인 절단물품들(2a)이 포함되고, 이를 특정 부문에서 "항목"이나 "라벨"로 정의한다. 주문마다 절단물품(2a) 수가 다르거나, 길이는 같되 타입이 다를 수 있고, 각각의 "오픈" 다발(2b)내의 절단물품들(2a)이 현재의 네스팅 프로그램에 따라 각각 다른 절단사이클에서 기인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오픈" 다발(2b)마다 절단물품(2a)의 양이나 타입이 달라, 절단기(3)로 절단사이클을 여러번 한 뒤에야 다발이 완성될 수 있다.
요컨대, 이들 다발(2b)은 절단물품(2a)이 원하는 양에 도달하기 전의 불완전 상태로 "오픈"되지만, 완전 상태로 되었을 때 "클로스" 다발(2c)로 되고, 이때 각각의 다발의 양이 필요한 양에 이르게 된다.
물품(동일하게 물품(2)의 양이나 길이를 절단사이클마다 다르게 하여 절단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측정경로(4) 하류에 저장고(6)가 있는데, 측정경로의 한쪽이나 양쪽으로 지면에 놓인다.
저장고(6)에 다수의 구획(7)이 있고, 이 구획은 절단할 절단물품(2a)을 최적으로 저장한다.
이런 구획들(7)은 측정경로(4)의 한쪽이나 양쪽에 길이방향(Y)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그 안의 절단물품들(2a)이 조작장치(10)에 의해 순서대로 배열되고, 절단사이클마다 절단기(3)에 의해 다른 길이로 절단된다.
실제로, 플랜트(1)에서 사용되는 최적화 프로그램은 더 좋은 절단사이클 조합에 의한 생산최적화를 위해 "오픈" 다발들(2b)을 여러 절단사이클로 나누는 경우가 많다.
조작장치(10)에 의해, 불연속적인 절단사이클들에서 구한 절단물품들(2a)이 저장고(6)의 이중기능 구획(7) 각각에 수납되었다가, 각각의 "오픈" 다발(2b)을 "클로싱"할 때까지 기다린다.
따라서, 구획들(7)은 절단물품(2a)을 하나의 "오픈" 다발(2b)로 모으는 첫번째 기능과, 다음 공정라인에 필요할 때까지 "클로스" 다발(2c)을 저장하는 두번째 기능을 할 수 있다.
구획들(7)은 지상에 만들어져 저렴하게 많은 수로 쉽게 배치될 수 있어, "오픈" 다발들(2b) 형태로 많은 주문들을 동시에 조합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은 효과적인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여 낭비를 줄인다.
이 구획(7)은 절단물품(2a)을 취급할 전용 작동수단이나 메커니즘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오픈" 다발(2b)이 "클로스"되었을 때에도 절단물품이 단일 구획 내부에 있을 수 있어 경제적이다.
구획(7)마다 분리부재들(7a)로 형성되고, 분리부재들 사이에 절단물품(2a)용 구획공간이 요람 형태로 형성된다(도 1a 참조).
조작장치(10)는 저장고(6)의 구획(7)을 채우고 비울 수 있다.
조작장치(10)의 하나 이상의 그리퍼(11)는 수집동작, 이송동작 및 언로딩동작으로 움직이면서 절단사이클마다 절단물품(2a)의 수집, 이송 및 배출을 하되, 구체적으로는 측정경로(4)의 수납면(4a)에서 저장고(6)의 각 구획(7)까지 물품들(2a)의 여러 "오픈" 다발(2b)이나 "클로스" 다발을 크기에 맞게 설정한다.
장치(100)의 그리퍼(11)는 도 1~8과 같이 하나이거나 여러개, 예컨대 후술하는 것처럼 한쌍일 수도 있다.
각각의 그리퍼(11)에 있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그리핑부재(11a)는 조작장치(10)의 지지구조(1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도 1~2 참조).
각 그리핑부재(11a)는 절단물품(2a)을 수집, 홀딩 및 언로딩하도록 집게나 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핑부재(11a)는 프레임(110), 제1 포크(111) 및 제2 포크(112)를 갖고, 이들 포크는 같은 프레임(110)에 관절구조로 연결된다(도 26 참조). 제1 포크(111)와 제2 포크(112)는 유압식 액추에이터 부재(113)에 의해 도 26의 오픈상태와 클로스 상태 사이를 움직이는데, 오픈상태에서는 제1 포크와 제2 포크가 서로 벌어져 있고 클로스 상태에서는 서로 나란히 있으면서 절단물품(2a)을 고정한다.
한편, 도 27과 같이 제1 포크(111)와 제2 포크(112)가 2단체인과 같은 기구학적 체인(114에 의해 프레임(1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런 기구학적 체인(114)은 크랭크와 슬롯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포크(111)와 제2 포크(112) 둘다나 하나의 관절구조로 인해 오픈 상태에서 그리핑부재(11a')의 전체 크기가 줄어들어, 구획(7)의 분리부재(7a)의 폭을 줄여, 절단물품(2a)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공간의 이득을 누릴 수 있다.
같은 그리퍼(11)의 같은 뱅크의 그리핑부재들(11a,11a')는 길이방향(Y)을 따라 정렬되며, 때로는 오픈 상태와 클로스 상태 사이, 그리고 수직의 수집방향과 언로딩 방향인 z 방향으로 상승 상태와 하강 상태 사이에서 교대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퍼(11)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은 바람직하게는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집 방향(Z) 및 언로딩 방향(Z)을 따라 상기 수집운동 및 상기 언로딩운동으로 교대로 움직일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수납면(4a)d에서부터 각각의 구획(7) 안으로 간 다음 횡방향인 운송방향(X)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절단물품(2a)을 내려놓을 때 생기는 소음이 매우 감소된다.
같은 그리퍼(11)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인접한 것들끼리 그룹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이런 그룹화는 길이방향(Y)을 신축성있게 하되, 수집, 홀딩 및 언로딩할 절단물품들(2a)의 길이와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리핑부재들의 상기 그룹화는 현재 사이클에 맞게 수집, 홀딩 및 언로딩 능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예를들어 절단사이클이 측정경로(4)를 따라 3가지 길이의 절단물품들(2a)을 연속으로 생산하기로 결정할 경우, 그리핑부재들(11a,11a')의 뱅크를 3 그룹으로 그룹화하여, 측정경로(4)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리핑부재들을 수집, 홀딩 및 언로딩 그룹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어서, 그리퍼(11)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을 선택적으로 그룹화하여, 저장고(6)의 구획(7)에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을 선택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절단물품(2a)을 선택적으로 수집할 수도 있다.
또, 그리핑부재들(11a,11a')는 수납면(4a)에서 길이방향(Y)을 따른 변위운동과 함께 측정경로(4)를 따라 적절히 움직이면서 같은 절단사이클의 절단물품들이나 다른 절단사이클들의 절단물품들(2a)을 그립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다른 절단사이클내 절단물품들(2a)이 바람직하게는 측정경로(4)로부터 동시에 수집될 수 있다. 횡방향(X)을 따라 조작장치(10)의 이송운동으로 움직인 동일한 절단물품들(2a)이 다른 언로딩 사이클에서 언로드할 수 있어, 예를들어 길이가 다른 절단물품들(2a)이 다른 구획들(7)에 저장될 수 있다. 이는 그리핑부재들(11a)의 그룹화인 적절한 선택을 동시에 하여 가능한데, 이런 그룹화는 각각의 언로딩 사이클에서 언로드할 절단물품들(2a)의 길이방향 연장에만 관련된다.
같은 식으로, 그리퍼(11)가 추가 수집과 언로딩 동작을 하여 구획들(7)로부터 절단물품들(2a)의 "클로스" 다발들을 수집하고 후속 작업 스테이션으로 언로등할 수 있는데, 이런 동작은 횡방향(X)으로 더 움직인 뒤 하게된다.
이 경우에도, 그리퍼(11)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의 선택적 동작, 즉 조작할 절단물품들(2a)의 종방향 연장과 위치의 영향을 받는 각각의 수집 및/또는 언로딩 사이클의 그리핑부재들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조작장치(10)가 횡방향(X)으로 움직이면서 절단물품들(2a)을 수납면(4a)에서 임의의 구획(7)까지, 심지어는 저장고(6)에서 상당히 떨어진 구획까지도 이송할 수 있다.
조작장치(10)는 측정경로(4) 위에 매달려 있어, 한쪽에서 다른쪽까지 횡단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길이방향 치수가 줄어든다.
특히, 지지구조(12)가 측정경로(4)보다 돌출해 주행로(13),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Y)을 따라 이격된 한쌍의 주행로(13)에 의해 활주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주행로(13)는 직립부(14)에 지지되는 것이 좋다.
지지구조(12)는 횡방향(X)으로의 횡운동을 위해 주행로(13)로 형성된 각각의 가이드를 따라 미끄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조작장치(10)와 지지구조(12)가 공지의 유형의 스탠드 구조로 지지될 수도 있다.
예시를 위한 도 1~8에서는, 조작장치(10)의 그리퍼(11)가 하나이고, 다수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은 길이방향(Y)으로 정렬되어 있다.
조작장치(10)의 움직임 횟수를 줄여 절단물품들(2a)을 더 많이 조작하기 위해, 그리퍼(11)를 여러대 배치할 수도 있는데, 후술하는 것처럼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그리퍼들(11)이 길이방향(Y)으로 움직여 절단물품들(2a)도 이 방향으로 마음대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획(7)내 절단물품들(2a)의 포지셔닝의 제약을 없앨 수 있다.
이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초기 단계에서 절단물품(2a)이 절단기(3) 하류의 측정경로(4)에 있다(도 2 참조).
이어서, 조작장치(10)의 그리퍼(11)가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하도록 측정경로(4)에 위치한다(도 3 참조).
다음, 그리퍼(11)가 수집방향(Z)의 수집운동을 하여 절단물품들(2a)을 취한다(도 4 참조). 필요한 경우, 측정경로(4)와 협력하는 리프팅 수단이 이 작업을 보조하여 절단물품(2a)을 그리퍼(11) 가까이 움직일 수도 있다.
조작장치(10)의 그리퍼(11)는 이어서 횡방향(X)으로 이송운동을 하여 선택된 구획(7)에 위치한다(도 6 참조).
다음, 그리퍼(11)는 절단물품들(2a)이나 그 일부를 업로드하는 업로드운동을 하는데, 생산소음을 최소화하도록 전술한 구획(7)에서 그리핑부재들(11a,11a')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도 7 참조).
이런 식으로 각 구획(7)에서 "오픈" 다발(2b)이 형성, 통합, 완성되거나(도 8 참조), 직접 "클로스" 다발이 구획에 이송될 수 있다.
다음, 조작장치(10)는 전술한 이송동작으로 다시 동작하여, 그리퍼(11)를 다른 구획(7)에 위치시키고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의 언로딩 단계를 계속하거나 완료할 수 있다.
조작장치(10)는 이어서 전술한 것처럼 절단물품들(2a)의 추가 수집, 이송, 언로딩 사이클들을 반복해, "클로스" 다발들을 운반하거나 구획(7)에서 각각의 "오픈" 다발을 형성, 통합 또는 완성할 수 있다.
도 9~16, 23~23a에 도시된 조작장치(10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임시 예비저장 구획(8) 옆에 측정경로(4)를 두고, 측정경로(4)를 따라 절단물품들(2a)을 일시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구조적으로나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부분에는 같은 번호를 붙여 설명한다.
예비저장 구획(8)은 예를들어 측정경로(4) 옆에 고정된 인접 격납구조일 수 있다.
물품들(2a)을 절단하고 수납면(4a)에서 받을 수 있지마자 중력에 의해 신속히 받아 측정경로(4a)를 비워 절단기(3)의 다음 작업을 위한 공간을 남겨두고자 예비저장 구획(8)을 측정경로(4)보다 낮게 만드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측정경로(4)에 틸팅부재(9)를 두어, 절단물품(2a)을 수납면(4a)에서 인접 예비저장 구획(8)으로 옮길 수 있다.
틸팅부재(9)는 예비저장 구획(8)마다 여러개의 레버로 이루어지고 수납면(4a)보다 낮은 비활성부와 수납면 상단에서 기울어진 활성부 사이를 움직이면서, 절단물품(2a)을 수납면(4a)에서 올리고 예비저장 구획(8)을 향해 기울일 수 있다.
예비저장 구획(8)은 조작장치(10)가 절단물품들(2a)을 처리하는 동안 측정경로(4)를 벗어나 실제로 저장고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예비저장 구획(8)의 존재는 장치(100')를 훨씬 더 효율적으로 만든다. 특히, 조작장치(10)는 "오픈" 다발(2b)을 예비저장 구획(8)에서 저장고(6)로 신속하게 이송해 더 적은 이송 횟수로도 같은 다발들을 완성할 수 있다.
그외의 장치(100')의 작동은 제1 실시예와 아주 비슷하다.
적어도 하나의 예비저장 구획(8)이 있는 경우 절단사이클에 따라 수납면(4a)에 만들어진 절단물품들(2a)이 틸팅부재(9)의 동작으로 예비저장 공간(8)으로 이동한다.
그후, 조작장치(10)는 수집동작으로 움직이는 그리퍼(11)로 그 동안 보관된 절단물품들(2a)을예 비저장 구획(8)에서 수집한다.
이어서, 그리퍼(11)가 이송동작을 한 다음, 언로딩 동작에서 그리핑부재들(11a,11a')을 선택적으로 작동해 절단물품들(2a)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구획(7)에 저장한다.
도 17~22에 장치(100")의 제3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의 그리퍼들(11)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특히 한쌍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그리퍼(11)가 측정경로(4) 양쪽의 예비저장 구획(8) 각각에 배치되어, 같은 그리핑 동작으로도 임시 예비저장 구획(8)에서 더 많은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하여 측정경로(4)에서 저장고(6)의 구획(7)까지의 이동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 경우, 조작장치(10")는 언로딩동작도 동일하게 배가할 수 있다.
한편, 그리퍼(11)나 예비저장 구획(8)의 갯수가 다르거나 하나일 수도 있다.
이 장치(100")의 동작도 전술한 것과 매우 유사하다.
도 24~25의 다른 실시예의 장치(100"')에서는 예비저장 구획(8)이 측정경로(4)의 양쪽에 인접해 2개 내지 4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예비저장 구획(8)은 바람직하게 활성 구성과 비활성 구성 사이를 교대로 움직이는 전환부재(80)에 공지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각 예비저장 구획(8)에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측정경로(4)의 측면에서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다수의 예비저장 구획(8) 덕분에, 여러 절단사이클 후의 절단물품들(2a)을 임시로 저장했다가, 절단 작업을 위해 같은 경로를 즉시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조작장치(10)는 저장고(6)까지의 이동을 최대화하여, 예비저장 구획(8)으로부터 더 빈번한 "클로스" 다발들의 이동을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예비저장 구획(8)은 공지의 방식으로 낮은 높이로 만들어져, 측정경로(4)로부터 중력에 의한 신속 운송을 할 수 있다(도 24 참조).
본 실시예의 동작은 전술한 것과 아주 비슷하고, 위의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실시예에서는, 사용된 재료, 형태 및 치수가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Claims (32)

  1.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물품들(2)의 공급부(5), 절단기(3) 및 측정경로(4)를 공급 길이방향(Y)을 따라 연속으로 배열하되, 상기 측정경로(4)의 각각의 수납면(4a)에서 절단기(3)에 의한 절단물품(2a)을 받는 단계;
    b) 상기 측정경로(4)에 측방향으로 다수의 구획(7)으로 분할된 저장고(6)를 배열하되, 이들 구획은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수용하고, 절단물품들은 추가 절단사이클 후 절단물품 다발로 그룹화되며, 이들 다발은 절단물품들을 필요량 가졌을 때 "클로스"로, 절단물품들이 아직 필요량에 미달할 때 "오픈"으로 정의되는 단계;
    c) 상기 절단물품(2a)을 그립하고 측정경로(4) 옆에서 작동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11)로서, 상기 그리퍼(11)가 수집방향(Z)으로의 수집동작, 언로딩 방향(Z)으로의 언로딩 동작 및 측정경로(4)에 대한 이송 동작으로 움직이는 그리퍼(11)를 포함한 조작장치(10,10")를 배열하는 단계;
    d) 적절한 위상 관계로 상기 측정경로(4)를 따라 임의의 수의 물품들(2)을 공급하고 절단사이클에서 상기 절단기(3)를 작동하여, 공급된 물품들(2)을 1회 이상 연속으로 절단하고 수납면(4a)을 따라 크기가 같거나 다른 일련의 절단물품들(2a)을 수납면(4a)을 따라 연속적으로 받는 단계;
    e) 상기 그리퍼(11)를 수집 방향(Z)의 수집운동으로 작동시켜, 절단사이클에서 절단물품들(2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을 홀딩하는 단계;
    f) 상기 그리퍼(11)를 이송동작으로 작동시키고, 그리퍼(11)에 의해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을 그립하는 단계;
    g) 상기 저장고(6)의 선택된 구획(7)에 그리퍼(11)를 위치시키는 단계;
    f) 상기 수집된 절단물품들(2a)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선택된 구획(7)에 방출하도록 언로딩 방향(Z)의 언로딩 동작으로 그리퍼(11)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절단물품들(2a)이 수납면(4a)으로부터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a') 상기 절단사이클에서 수납면(4a)으로부터 절단물품들(2a)을 받는 하나 이상의 예비저장 구획(8)을 상기 측정경로(4)의 측면에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예비저장 구획(8)에 임시로 방출하여 "오픈" 다발(2b)이나 "클로스" 다발(2c)을 형성하거나, 예비저장 구획(8)에 이미 있는 "오픈" 다발(2b)을 하나로 통합하거나 예비저장 구획(8)에 이미 있는 "오픈" 다발(2b)을 "클로스" 다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경로(4) 옆에 예비저장 구획(8)을 다수 배치하고,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임시로 방출하는 상기 단계 d')가 절단물품들(2a)을 예비저장 구획들(8)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예비저장 구획(8)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전환부재(80)를 작동시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물품들(2a)을 예비저장 구획(8)에 임시로 방출하는 상기 단계 d')가 하나 이상의 틸팅부재(9)의 작동, 병진이동 및/또는 중력에 의한 낙하에 의해 절단물품들(2a)을 상기 수납면에서 이동시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구획(7)에서 제3항에 따른 예비저장 구획(8)이나 수납면(4a)으로의 복귀행정에 의한 이송운동으로 조작장치(10;10")를 작동시켜,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하고 언로딩하는 추가 사이클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11)가 여전히 쥐고있는 절단물품들(2a)의 나머지를 언로딩 행정 이후 적어도 하나의 추가 구획(7)에 방출하기 위해 단계 f) 내지 h)를 반복하고, 상기 그리퍼(11)는 길이방향(Y)으로 정렬된 다수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을 포함하며, 상기 f) 내지 h) 단계에서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절단물품(2a)을 상기 선택된 구획(7)과 상기 추가 구획(7) 각각에 언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그리퍼(11)가 상기 그리퍼(11)에 나란히 놓여, 그리핑, 이송 및/또는 언로딩 사이클들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동작이 측정경로(4)에 대해 횡방향(X)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동작이 저장고(6)의 구획(7)에 대한 절단물품들(2a)의 방출과 동시에 수직 방향(Z)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절단기(3)로 절단된 절단물품들(2a)을 각각의 수납면(4a)에 받기위해,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하류에 배치된, 측정경로(4)와 관련된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조작장치의 용도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10;10")는 상기 측정경로(4)와 저장고(6) 사이로 측정경로에 대해 측방으로 동작하고, 상기 저장고는 측정경로(4) 한쪽에 배치된 절단물품들(2a)에 사용되고 다수의 구획들(7)로 분할되며, 상기 조작장치가 하나 이상의 그리퍼(11)를 포함하고, 이 그리퍼는 수집방향(Z)으로 측정경로(4)에 대해 상기 저장고(6)로 움직여 절단물품들의 일부를 수집하며, 저장고의 선택된 구획(7)까지 절단물품들(2a)을 이송하고, 언로딩방향(Z)으로 언로딩동작하여 수집된 절단물품들이나 그 일부를 상기 선택된 구획(7)에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11)가 그리핑부재들(11a,11a')을 다수 포함하고, 이들 그리핑부재들은 상기 길이방향(Y)으로 정렬되고 인접한 그리핑부재들(11a,11a')의 그룹들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3. 절단기(3)로 절단된 절단물품들(2a)을 각각의 수납면(4a)에 받기위해,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하류에 배치된, 측정경로(4)와 관련되고 측정경로 옆에 배치된 저장고(6)와도 관련된,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10;10")가 적어도 하나의 그리퍼(11)를 갖고, 이 그리퍼는 절단물품들(2a)의 적어도 일부를 수집할 수집방향(Z)의 수집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을 저장고(6)로 이송할 이송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이나 그 일부를 저장고(6)에 방출할 언로딩방향(Z)의 언로딩 동작으로 측정경로(4)에 대해 저장고(6)까지 움직일 수 있으며, 그리퍼(11)에 다수의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있고, 이들 그리핑부재들은 그룹별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며, 각각의 그룹은 길이방향(Y)으로 정렬된 다수의 인접한 그리핑부재들(11a)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수집, 이송, 언로딩 동작으로 그리퍼를 제어하는 플랜트 제어시스템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지지구조(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11)가 상기 지지구조(1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부재(11a,11a')는 길이방향(Y)을 따라 가변 길이 및/또는 위치로 절단물품들(2a)을 조작하도록 그 갯수가 가변적으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상기 수집 동작 및/또는 언로딩 동작으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그리퍼들(11)이 횡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동작이 횡방향(X)으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및/또는 언로딩 방향(Z)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부재들(11a,11a')이 집게나 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핑부재들(11a,11a')이 프레임(11b)과, 기구적 체인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에 관절연결된 하나 이상의 그리핑 포크(111,112)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핑 포크는 절단물품들(2a)을 감싸 홀딩하는 클로스 상태와 오픈 상태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학적 체인이 로드 기구와 크랭크-슬롯 링크로 구성되어, 오픈 상태에서 그리핑부재(11a')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11)의 그리핑부재(11a,11a')가 길이방향(Y)으로의 추가 이송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
  24.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의 하류에 배치되어, 절단기로 절단된 절단물품들(2a)을 수납면(4a)에 받아들이기 위한 측정경로(4)를 포함한,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을 조작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경로(4) 측방향으로 저장고(6)가 배치되고, 저장고에 다수의 구획(7)이 있으며, 이들 구획은 절단물품들(2a)을 수용하고, 절단물품들은 다른 절단사이클들 이후 다발로 그룹화되며, 이들 다발은 절단물품들을 필요량 가졌을 때 "클로스"로, 절단물품들이 아직 필요량에 미달할 때 "오픈"으로 정의되고, 상기 측정경로(4)의 적어도 한쪽에 하나 이상의 그리퍼(11)를 갖춘 조작장치(10;10")가 있고, 그리퍼는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할 수집방향(Z)의 수집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을 저장고(6)로 이송할 이송동작과, 수집된 절단물품들을 저장고(6)에 방출할 언로딩방향(Z)의 언로딩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장치(10;10")가 제13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경로(4)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면(4a)으로부터 절단물품들(2a)을 적어도 임시로 받아들이는 적어도 하나의 예비저장 구획(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10)가 예비저장 구획(8)으로부터 절단물품들(2a)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경로(4)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예비저장 구획들(8)이 다수 있고, 이들 예비저장 구획들 중의 하나에 절단물품들(2a)을 선택적으로 방출하도록 하나의 전환부재(80)가 예비저장 구획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경로(4)는 절단물품들(2a)을 수납면(4a)에서 예비저장 구획(8)까지 측방으로 옮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틸팅부재 (9), 컨베이어 또는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물품(2a)을 중력으로 받기 위해 상기 예비저장 구획(8)이 측정경로(4)보다 낮은 높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들(7)이 측정경로(4) 옆에 나란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6)가 지면에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철근콘크리트용 바와 금속 프로파일을 포함한 기다란 물품을 절단하기 위한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물품들(2)을 소정 크기로 절단할 절단기(3);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상류에 배치된, 절단할 물품들(2)의 공급부(5), 및
    길이방향(Y)으로 절단기(3) 하류에 배치된, 제24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트.
KR1020227030483A 2020-02-06 2021-02-08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조작장치 KR20220136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20000002365A IT202000002365A1 (it) 2020-02-06 2020-02-06 Metodo per l’ottimizzazione del taglio e gruppo manipolatore di prodotti di foggia allungata
IT102020000002365 2020-02-06
PCT/IT2021/050028 WO2021156899A1 (en) 2020-02-06 2021-02-08 Method for optimising the cutting and handling unit for elongated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409A true KR20220136409A (ko) 2022-10-07

Family

ID=7048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0483A KR20220136409A (ko) 2020-02-06 2021-02-08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조작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65499A1 (ko)
EP (2) EP4219040A1 (ko)
JP (1) JP2023517444A (ko)
KR (1) KR20220136409A (ko)
AU (1) AU2021216729A1 (ko)
CA (1) CA3166238A1 (ko)
IL (1) IL294634A (ko)
IT (1) IT202000002365A1 (ko)
WO (1) WO2021156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4533A1 (en) * 2022-10-21 2024-04-25 Schnell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orderly unloading elongated products
WO2024105710A1 (en) * 2022-11-14 2024-05-23 Schnell S.P.A. Method for optimizing cutting and assembly for handling elongated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87529B (it) * 1985-01-21 1987-12-23 E Soc Automatismi Elettronici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barre
IT201700006249A1 (it) * 2017-01-20 2018-07-20 Oscam S R L Procedimento e impianto per rifornire barre metalliche in numero controllato ad una macchina operat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65499A1 (en) 2023-03-02
EP4100185A1 (en) 2022-12-14
JP2023517444A (ja) 2023-04-26
AU2021216729A1 (en) 2022-07-21
WO2021156899A1 (en) 2021-08-12
CA3166238A1 (en) 2021-08-12
EP4219040A1 (en) 2023-08-02
IT202000002365A1 (it) 2021-08-06
IL294634A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5310B2 (ja) 物品の保管、取り扱い、及び回収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20136409A (ko) 기다란 물품의 절단을 최적화하는 방법과 조작장치
US6808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metal profiles in bar form in systems for machining said profiles
JP2010189061A (ja) ケース及び他の種類の積み重ね可能な複数の製品を寄せ集めるための方法及び設備
EP2374553B1 (en) Plant for bending metal bars with automatic loading of the bars, and loading method used in said plant
EP1375022A2 (en) Installation for processing metal bars with improved means for transferring the bars, and method provided thereby
EP19340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feeding of metal section bars
KR102607509B1 (ko) 바를 공급하는 장치 및 방법
RU27595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прутками
CN113811497A (zh) 包括链斗式升降输送机的订单拣选系统和使用该系统的方法
WO2016066327A1 (en) An order picking assembly
CN202427655U (zh) 带有弹性承载输送装置的自动高速分拣装置
DE102022002690A1 (de) Auslagern von Lagergütern aus einem Hängetaschenlager mittels einer Expressstrecke
CN102164823A (zh) 用于分选物体的装置
ITBO20120507A1 (it) Metodo e apparecchiatura per il carico di profilati metallici in barre
WO2024105710A1 (en) Method for optimizing cutting and assembly for handling elongated products
RU27779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ачи прутков
EP38838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elongated products
EP2382061A1 (en) Device including quick feeder for rods and / or bars
CN110861795A (zh) 一种装包机
EP4371905A1 (en) A storage and order collection apparatus
CN211167520U (zh) 一种装包机
CN113680690B (zh) 一种定制板件自动分拣打包方法
SU1242323A1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и упор доченной укладки изделий в пакет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EP0421545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pasta" of nest-shaped type into packaging contai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