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811A - 모듈러 유닛 - Google Patents
모듈러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5811A KR20220135811A KR1020210041977A KR20210041977A KR20220135811A KR 20220135811 A KR20220135811 A KR 20220135811A KR 1020210041977 A KR1020210041977 A KR 1020210041977A KR 20210041977 A KR20210041977 A KR 20210041977A KR 20220135811 A KR20220135811 A KR 202201358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modular unit
- beam member
- connector body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63—Screw connections with axis at an angle, e.g. perpendicular, to the main axis of the str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부재를 하중을 지지하는 보 부재와 수직부재 접합을 위한 수평연결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생산성 및 정밀도 향상은 물론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고 용접 공정이 불필요한 모듈러 유닛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모듈러 유닛은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와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에서, 상기 수평부재는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 부재와 상기 보 부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수직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수평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모듈러 유닛은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와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에서, 상기 수평부재는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 부재와 상기 보 부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수직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수평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평부재를 하중을 지지하는 보 부재와 수직부재 접합을 위한 수평연결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생산성 및 정밀도 향상은 물론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고 용접 공정이 불필요한 모듈러 유닛에 대한 것이다.
공동주택에서 각 세대층은 평면이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갱폼과 같은 대형 거푸집에 의해 각 층마다 반복 시공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달리, 옥탑층은 하부 세대와 평면 형상이 달라 대형 거푸집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하고, 타워크레인 해체 후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 주로 재래식 거푸집에 의한 RC 공법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식 공법은 품질 확보가 어렵고, 옥탑층은 골조 공사 마무리 시점에 시공되는 특성상 현장 인력 수급이나 타워크레인 등 장비 활용에 제한이 있어 시공이 어려우며, 공기 지연의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옥탑 구조물 시공을 위한 모듈러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모듈러 시스템은 현장에서 골조의 시공이 이루어지는 기존 건축물과 달리 공장에서 박스형으로 사전 제작된 모듈러 유닛을 현장에서 상하좌우로 적층 조립하여 구조물을 완성하는 건축 시스템이다.
이러한 모듈러 시스템은 골조뿐 아니라 각종 내장재, 기계 설비, 전기 배선 등의 공정이 대부분 공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우수한 품질 확보가 가능하고,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듈러 시스템을 이루는 모듈러 유닛은 통상 육면체로 이루어져 각 모서리에 수직부재가 구비되고,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부수평부재와 하부 수평부재로 연결된다.
종래 모듈러 유닛은 공장 제작시 주로 용접에 의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접합하였다(등록특허 제10-1031299호 등).
그러나 이 경우 열 변형에 의한 품질 저하 우려가 있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자동화 생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용접 접합 및 해체시 각 부재를 절단해야 하므로 해체 작업이 번거롭고, 자재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단일의 수평부재를 수직부재 사이에 직접 결합하므로, 부재 절단시 길이 오차가 발생하면 수정이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부재를 하중을 지지하는 보 부재와 수직부재 접합을 위한 수평연결구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모듈러 유닛 제작시 생산성을 높이고,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모듈러 유닛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와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에서, 상기 수평부재는 이웃하는 수직부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 부재와 상기 보 부재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수직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수평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평연결구는 일측면이 수직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구 본체 및 상기 연결구 본체의 타측면에 돌출되어 보 부재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브래킷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보 부재는 내측이 개방된 ㄷ형강이고, 상기 결합브래킷은 보 부재의 상부플랜지 하면과 하부플랜지 상면에 상하면이 각각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 본체는 보 부재 측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브래킷은 연결구 본체의 상하부판 및 외측 측판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브래킷의 상하면 및 외측면은 연결구 본체의 상하면 및 외측면과 각각 단차지게 형성되어 보 부재의 상하면 및 외측면이 연결구 본체의 상하면 및 외측면과 각각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 본체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걸침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연결구 본체의 일측에는 연결부와 확대부가 평면상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T형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와 하부 각 측면에는 평면상 T자 형상의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T형 결합부의 확대부가 걸림홈부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중을 지지하는 보 부재와 수직부재와의 접합을 위한 수평연결구로 분리 구성된 수평부재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성 형강재와 주조에 의해 부재를 생산할 수 있으므로, 부재 자동화 생산으로 인한 생산성 및 정밀도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보 부재가 수평연결구에 의해 수직부재에 결합되므로, 보 부재의 길이 오차를 접합부에서 쉽게 흡수할 수 있다.
둘째, 수평연결구를 수직부재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구 본체와 보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브래킷으로 구성하는 경우, 보 부재와 결합브래킷을 결합볼트로 고정하여 무용접 결합 가능하다.
셋째, 연결구 본체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T형 결합부를 수직부재의 상하부 각 측면에 형성된 T자 형상의 걸림홈부에 삽입 결합하는 경우, 용접 공정 없이 신속하게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모듈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보 부재와 수평연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하부 수평부재 내측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상부 캡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하부 캡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수평유닛연결구에 의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보 부재와 수평연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하부 수평부재 내측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상부 캡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하부 캡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수평유닛연결구에 의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모듈러 유닛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접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모듈러 유닛은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2)와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재(3)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1)에서, 상기 수평부재(3)는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 부재(4)와 상기 보 부재(4)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수직부재(2)의 측면에 결합되는 수평연결구(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평부재(3)를 하중을 지지하는 보 부재(4)와 수직부재(2)와의 접합을 위한 수평연결구(5)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모듈러 유닛(1) 제작시 용접 공정 생략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며, 모듈러 유닛(1)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모듈러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모듈러 유닛(1)은 생활주택, 학교 시설, 각종 숙박시설, 오피스텔, 임시 재난 시설 등 다양한 건물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모듈러 유닛(1)은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2)와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재(3)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수평부재(3)는 보 부재(4)와 보 부재(4)의 양단에 구비되는 수평연결구(5)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연결구(5)는 보 부재(4)를 수직부재(2)의 측면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상기 보 부재(4)는 수직부재(2)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별도로 제작되는 수평연결구(5)에 의해 수직부재(2)에 결합된다. 따라서 보 부재(4)의 길이 오차를 보 부재(4)와 수평연결구(5)의 접합부에서 흡수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다.
상기 보 부재(4)는 기성의 형강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연결구(5)는 주조에 의해 제작 가능하다. 따라서 자재의 자동화 생산이 가능하고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2)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연결구(5)는 동일 규격으로 제작시 자재 생산 및 관리가 간소화된다.
상기 보 부재(4)는 모듈러 유닛(1)의 규모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 부재(4)의 단부에 수평연결구(5)를 결합하여 수평연결구(5)를 수직부재(2) 측면에 무용접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구(5)는 수직부재(2)의 측면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수직부재(2)의 상단과 하단에 별도의 접합구(20)를 설치하여 접합구(20)에 수평연결구(5)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보 부재와 수평연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구(5)는 일측면이 수직부재(2)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구 본체(50) 및 상기 연결구 본체(50)의 타측면에 돌출되어 보 부재(4)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브래킷(5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구(5)는 보 부재(4)와 수직부재(2)를 연결하는 부재로, 연결구 본체(50)와 결합브래킷(51)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연결구 본체(50)는 일측면이 수직부재(2)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 본체(50)의 타측에는 보 부재(4)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브래킷(5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 부재(4)는 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결합브래킷(51)이 삽입 결합된다.
상기 보 부재(4)와 결합브래킷(51)은 결합볼트(6)에 의해 상호 고정함으로써 무용접 결합 가능하다.
상기 결합볼트(6)의 체결을 위해 결합브래킷(51)에 형성되는 볼트홀(H)은 수평부재(3)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보 부재(4)의 길이 오차를 흡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볼트홀(H) 주변에는 결합볼트(6)의 헤드와 와셔가 수용되는 홈부(G)를 형성하여, 결합볼트(6)의 헤드가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하고 폭 방향 유동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 부재(4)는 내측이 개방된 ㄷ형강이고, 상기 결합브래킷(51)은 보 부재(4)의 상부플랜지(41) 하면과 하부플랜지(42) 상면에 상하면이 각각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볼트(6)에 의해 보 부재(4)와 결합브래킷(51)을 결합할 때, 결합볼트(6)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 부재(4)와 결합브래킷(51)은 내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등 거푸집을 보 부재(4)의 플랜지에 거치하기 용이하다.
상기 보 부재(4)로 기성 ㄷ형강을 이용하는 경우, 상부플랜지(41)의 하면과 하부플랜지(42)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부플랜지(41, 42)와 웨브(43)의 접합부 내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결합브래킷(51)은 외면을 보 부재(4)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브래킷(51)과 보 부재(4)가 상호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구(5)는 주조에 의해 제작 가능하므로, 외면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연결구(5)는 보 부재(4)의 내면에 밀착되게 형성하기 용이하다.
마감재 사전 부착시 상기 결합볼트(6)가 간섭되지 않도록 결합볼트(6)는 일측에서 체결 가능한 원웨이 볼트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볼트(6)의 결합을 위해 보 부재(4)에 형성되는 볼트홀(H)에는 결합볼트(6)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6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너트(61)가 볼트홀(H) 내에 수용되므로, 보 부재(4)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마감재 선부착이 가능하다.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부 수평부재(3)의 경우, ㄷ형강인 보 부재(4)의 내부에 바닥슬래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공장 제작시 미리 채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 부재(4)가 개방 단면인 경우에는 비틀림 강성이 취약할 수 있다. 이에 바닥슬래브를 하부 수평부재(3)와 동일 레벨로 형성하여 슬래브 콘크리트(C)가 보 부재(4)의 내부를 채우도록 구성하면, 보 부재(4)의 비틀림 강성뿐 아니라 휨 강성을 증대하여 보 부재(4)의 단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도 5).
아울러 상기 보 부재(4)의 내측에 슬래브가 시공되어 보 부재(4)와 바닥슬래브가 상호 일체화되므로, 수평부재(3)와 바닥슬래브를 일체화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50)는 보 부재(4) 측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브래킷(51)은 연결구 본체(50)의 상하부판 및 외측 측판이 연장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 부재(4)의 내부에 채워지는 바닥슬래브 콘크리트(C)가 연결구 본체(50)의 내부까지 채워질 수 있도록 연결구 본체(50)는 보 부재(4) 측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브래킷(51)은 연결구 본체(50)의 상하부판 및 외측 측판을 보 부재(4) 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구(5)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상하 접합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단일 규격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브래킷(51)의 상하면 및 외측면은 연결구 본체(50)의 상하면 및 외측면과 각각 단차지게 형성되어 보 부재(4)의 상하면 및 외측면이 연결구 본체(50)의 상하면 및 외측면과 각각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브래킷(51)을 보 부재(4)의 단부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경우, 이들 부재의 접합부에서 단차가 발생하여 마감재 부착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 부재(4)뿐 아니라 수평연결구(5)까지 수평부재(3)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감재를 연속하여 사전 부착함과 아울러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과의 접합시 간섭이 없도록 하기 위해, 결합브래킷(51)의 외면은 보 부재(4)의 단면 두께만큼 연결구 본체(50)의 외면과 단차지게 형성하여 연결구 본체(50)와 보 부재(4)가 단차 없이 동일면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하부 수평부재 내측에 바닥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50)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걸침턱(52)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닥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등의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구 본체(50)의 내측면 하부에는 걸침턱(52)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걸침턱(52)의 상부에 거푸집을 거치 가능하다.
상기 연결구 본체(50)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거푸집 거치가 가능하도록 연결구 본체(50)는 내측면 상부에도 걸침턱(52)을 형성하여 상하 대칭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수직부재(2)에 직각 방향으로 이웃하는 수평연결구(5)의 걸침턱(52)끼리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걸침턱(52)은 수직부재(2) 측 단부를 절취하여 구성할 수 있다(도 5).
도 6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부 캡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하부 캡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수평유닛연결구에 의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50)의 일측에는 연결부(531)와 확대부(532)가 평면상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T형 결합부(5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2)의 상부와 하부 각 측면에는 평면상 T자 형상의 걸림홈부(21)가 형성되어 상기 T형 결합부(53)의 확대부(532)가 걸림홈부(21)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연결구(5)를 수직부재(2) 또는 수직부재(2)의 상하 단부에 구비된 접합구(20)에 결합하기 위해 수평연결구(5)의 단부에는 T형 결합부(53)가 돌출 형성되고, 수직부재(2)의 상하부 또는 접합구(20)의 각 면에는 상기 T형 결합부(53)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T형 결합부(53)는 수평부재(3)의 단부에 구비된 수평연결구(5)의 전방에 돌출 형성된 연결부(531)와 상기 연결부(531)의 외측에 직교하도록 일체 형성된 확대부(532)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2) 또는 접합구(20)의 각 면 내부에는 상기 T형 결합부(53)와 대응되는 형상인 T자 형상의 걸림홈부(21)가 형성되어, T형 결합부(53)와 걸림홈부(21)가 장부식 맞춤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2) 상부의 걸림홈부(21)는 수직부재(2)의 상단에서 하부로 절개 형성되어 T형 결합부(53)가 하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재(2) 하부의 걸림홈부(21)는 수직부재(2)의 하단에서 상부로 절개 형성되어 T형 결합부(53)가 상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T형 결합부(53)와 걸림홈부(21)를 결합한 후에는 T형 결합부(53)의 확대부(53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8)를 수직부재(2) 단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단부판에 고정하여 수평부재(3)를 수직부재(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2)의 상하 단부에 접합구(2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접합구(20)는 상하 대칭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규격으로 제작 가능하다. 즉, 동일한 형상의 접합구(20)를 상부 접합구와 하부 접합구로 사용 가능하여, 자재 생산 및 관리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이, T형 결합부(53)에 의해 수직부재(2)와 수평부재(3)를 결합하는 경우, 용접 공정이 필요 없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없으므로, 마감재 부착 및 내화 시공이 용이하다.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의 상단과 하단은 T형 결합부(53)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직부재(2)의 단부를 폐쇄하는 캡부재(7)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2)의 각 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부(21) 중 T형 결합부(53)가 결합되지 않는 걸림홈부(21)에는 연결부(221)와 확대부(222)로만 형성된 T형 채움구(22)를 삽입하여 틈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7)가 구비되는 경우, T형 결합부(53)의 확대부(53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8)는 캡부재(7)도 관통하여 체결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을 서로 고정하기 위해, 연결부(91)의 양단에 각각 확대부(92)가 형성되어 평면상 H자 형상을 갖는 수평유닛연결구(9)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유닛연결구(9)는 연결부(91)와 상기 연결부(9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확대부(92)로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측방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모듈러 유닛(1)에서 수직부재(2) 또는 접합구(20)의 서로 맞닿은 면 내측에 절개 형성된 걸림홈부(21)에 상기 수평유닛연결구(9)를 삽입하여 확대부(92)가 각 모듈러 유닛(1)의 걸림홈부(21)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즉, 모듈러 유닛(1)에서 수직부재(2)와 수평연결구(5)가 접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의 수직부재(2)를 상호 접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유닛연결구(9)는 걸림홈부(2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유닛연결구(9)를 결합한 후에는 수평유닛연결구(9)의 확대부(92)를 관통하는 고정볼트(8)를 수직부재(2) 또는 접합구(20)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단부판에 고정하여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1)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1: 모듈러 유닛
2: 수직부재
20: 접합구 21: 걸림홈부
22: T형 채움구 221: 연결부
222: 확대부 3: 수평부재
4: 보 부재 41: 상부플랜지
42: 하부플랜지 43: 웨브
5: 수평연결구 50: 연결구 본체
51: 결합브래킷 52: 걸침턱
53: T형 결합부 531: 연결부
532: 확대부 6: 결합볼트
61: 고정너트 7: 캡부재
8: 고정볼트 9: 수평유닛연결구
91: 연결부 92: 확대부
C: 콘크리트 G: 홈부
H: 볼트홀
20: 접합구 21: 걸림홈부
22: T형 채움구 221: 연결부
222: 확대부 3: 수평부재
4: 보 부재 41: 상부플랜지
42: 하부플랜지 43: 웨브
5: 수평연결구 50: 연결구 본체
51: 결합브래킷 52: 걸침턱
53: T형 결합부 531: 연결부
532: 확대부 6: 결합볼트
61: 고정너트 7: 캡부재
8: 고정볼트 9: 수평유닛연결구
91: 연결부 92: 확대부
C: 콘크리트 G: 홈부
H: 볼트홀
Claims (7)
- 네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수직부재(2)와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부재(3)로 구성되는 모듈러 유닛(1)에서,
상기 수평부재(3)는 이웃하는 수직부재(2)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 부재(4)와 상기 보 부재(4)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수직부재(2)의 측면에 결합되는 수평연결구(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 제1항에서,
상기 수평연결구(5)는 일측면이 수직부재(2)의 측면에 결합되는 연결구 본체(50) 및 상기 연결구 본체(50)의 타측면에 돌출되어 보 부재(4)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브래킷(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 제2항에서,
상기 보 부재(4)는 내측이 개방된 ㄷ형강이고, 상기 결합브래킷(51)은 보 부재(4)의 상부플랜지(41) 하면과 하부플랜지(42) 상면에 상하면이 각각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 제3항에서,
상기 연결구 본체(50)는 보 부재(4) 측이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브래킷(51)은 연결구 본체(50)의 상하부판 및 외측 측판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 제4항에서,
상기 결합브래킷(51)의 상하면 및 외측면은 연결구 본체(50)의 상하면 및 외측면과 각각 단차지게 형성되어 보 부재(4)의 상하면 및 외측면이 연결구 본체(50)의 상하면 및 외측면과 각각 동일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 제2항에서,
상기 연결구 본체(50)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걸침턱(5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 제2항에서,
상기 연결구 본체(50)의 일측에는 연결부(531)와 확대부(532)가 평면상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T형 결합부(5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재(2)의 상부와 하부 각 측면에는 평면상 T자 형상의 걸림홈부(21)가 형성되어 상기 T형 결합부(53)의 확대부(532)가 걸림홈부(21)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걸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977A KR102485294B1 (ko) | 2021-03-31 | 2021-03-31 | 모듈러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977A KR102485294B1 (ko) | 2021-03-31 | 2021-03-31 | 모듈러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5811A true KR20220135811A (ko) | 2022-10-07 |
KR102485294B1 KR102485294B1 (ko) | 2023-01-04 |
Family
ID=8359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1977A KR102485294B1 (ko) | 2021-03-31 | 2021-03-31 | 모듈러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529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40986A (ja) * | 1991-11-19 | 1993-06-08 | Sekisui Chem Co Ltd | 柱と梁との接合構造 |
JPH09256473A (ja) * | 1996-03-21 | 1997-09-30 | Misawa Homes Co Ltd |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建築方法 |
KR100260626B1 (ko) * | 1991-01-09 | 2000-07-01 | 미사와 치요지 | 건물 유닛에 있어서의 접합부재 및 그 제조방법 |
JP2012067557A (ja) * | 2010-09-27 | 2012-04-05 | Seiji Hosokawa |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及び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の連結構造 |
KR20160148659A (ko) * | 2014-04-30 | 2016-12-26 | 줄리안 보우런 | 구조적 모듈 빌딩 커넥터 |
-
2021
- 2021-03-31 KR KR1020210041977A patent/KR10248529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0626B1 (ko) * | 1991-01-09 | 2000-07-01 | 미사와 치요지 | 건물 유닛에 있어서의 접합부재 및 그 제조방법 |
JPH05140986A (ja) * | 1991-11-19 | 1993-06-08 | Sekisui Chem Co Ltd | 柱と梁との接合構造 |
JPH09256473A (ja) * | 1996-03-21 | 1997-09-30 | Misawa Homes Co Ltd |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建築方法 |
JP2012067557A (ja) * | 2010-09-27 | 2012-04-05 | Seiji Hosokawa | 木造建築用の接合金具及び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の連結構造 |
KR20160148659A (ko) * | 2014-04-30 | 2016-12-26 | 줄리안 보우런 | 구조적 모듈 빌딩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5294B1 (ko) | 2023-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7326B1 (ko) | 바닥판이 구비된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 |
KR101208207B1 (ko) | 유자형 합성보를 이용한 층고절감형 철골골조 | |
SK1195A3 (en) | Frame work of building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 |
RU2548627C2 (ru) | Стальная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образной составной балки | |
KR102307325B1 (ko) |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 |
KR102172323B1 (ko) | 하이브리드 다이어프램이 구비된 기둥-보 접합부 | |
KR102307324B1 (ko) | 내부 결합형 모듈러 유닛의 접합 구조 | |
WO2012149910A1 (zh) | 一种檐连接件、建筑框架结构及安装方法 | |
KR20130024101A (ko) |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 |
KR102485294B1 (ko) | 모듈러 유닛 | |
LT3480B (en) | Method for erecting buildings and structural assembly for carrying out the method | |
KR102559032B1 (ko) | 수평부재 연결형 모듈러 구조물 | |
KR101675045B1 (ko) |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 |
SK161099A3 (en) | Building framework | |
KR102426681B1 (ko) | 무용접 모듈러 유닛 | |
EA022716B1 (ru) | Блоч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и перекрытие,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ован указанный блоч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 |
KR10222479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 |
KR20220051906A (ko) | 박스형 pc모듈러 구조물 | |
KR200437154Y1 (ko) | 유로폼형 거푸집 | |
KR102722516B1 (ko) | Pc 모듈러간 건식 결합방식을 적용한 건축물 건축방법 | |
US3694987A (en) | Surface supporting assembly with a supporting network | |
KR102612044B1 (ko) | 모듈러 유닛용 hpc 접합구 | |
KR102700652B1 (ko) | 일체형 바닥부가 형성된 역 u형 pc모듈러 구조물 | |
KR102709990B1 (ko) | 전단연결핀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의 내화 접합 구조 | |
KR102621721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의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러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