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799A -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799A
KR20220135799A KR1020210041952A KR20210041952A KR20220135799A KR 20220135799 A KR20220135799 A KR 20220135799A KR 1020210041952 A KR1020210041952 A KR 1020210041952A KR 20210041952 A KR20210041952 A KR 20210041952A KR 20220135799 A KR20220135799 A KR 20220135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ish
mode
vehicle
value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1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799A/ko
Publication of KR2022013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9/00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 B24B39/06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2370/1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40/00Monitoring, detecting wheel/tire behaviour; counterac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차량을 주행하면서 버니쉬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display) 및/또는 클러스터(cluster)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보조하는 버니쉬 보조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한 버니쉬 모드를 기초로 정상 버니쉬 제동 여부와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주행 환경에 따라 버니쉬 가공이 수행되도록 하는 버니쉬 보조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Asisting Burnish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버니쉬 가공(burnishing)은 브레이크 패드(brake pad)의 표면에 열을 가하는 공정이다. 버니쉬 가공을 거치면 브레이크 패드의 표면에 버니쉬 층(burnish layer)이 형성되어 브레이크 팩터(brake factor)가 향상된다. 버니쉬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브레이크 패드는 버니쉬 가공이 이루어진 브레이크 패드 대비 70 % 내지 80 % 정도의 마찰계수(friction coefficient)를 가진다.
버니쉬 가공은 운전자가 직접 적절한 RPM(Revolutions Per Minute)으로 주행 및 제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운전자의 버니쉬 가공 절차를 보조하고자, 차량에는 'CBS(Conventional Brake System) 길들이기' 등과 같은 차량 길들이기(vehicle break-in process)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현재의 길들이기 모드에는 구체적인 가이드가 없고, 운전자의 주행 방식을 고려하지 않아 운전자를 보조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예컨대, 운전자는 버니쉬 층이 형성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제동 방식과 이러한 제동의 횟수를 알기 어려워, 버니쉬 가공이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차량이 적절한 횟수 대비 적거나 많게 제동하게 된다. 너무 적은 횟수로 제동하는 경우 버니쉬 층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너무 잦은 횟수로 제동하는 경우 브레이크 패드가 과열되어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주행 방식을 고려하여 버니쉬 가공이 수행되도록 하는 버니쉬 보조 방안의 고안이 필요하다.
독일 등록특허공보 제10-2009-037382호 (2016.06.09)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아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압력 값 및 기준 가속도 값에 있어, 모니터링된 압력값 및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을 기준 압력값 및 기준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카운터 값을 기준 횟수와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입력부 및/또는 클러스터부를 이용하여 버니쉬 가공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고 쿨링을 요청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차량의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신호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모니터링된 압력 값 및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을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압력 값 및 기준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카운터 값을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횟수와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된 온도 값과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온도 값을 비교하여 쿨링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 값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차량의 온도 센서를 더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것이고, 상기 쿨링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입력부에 쿨링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부에 쿨링 요청 등(light)을 점등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술한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 과정 이후에,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부가 버니쉬 모드 등을 점등하는 과정; 및 상기 버니쉬 가공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버니쉬 모드 등을 점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차량의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기준 압력 값, 기준 가속도 값 및 기준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신호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모니터링된 압력 값 및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을 상기 기준 압력 값 및 상기 기준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카운터 값을 상기 기준 횟수와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아 모니터링된 압력 값 및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을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압력 값 및 기준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정상 제동 횟수를 기준 횟수와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버니쉬 모드별로 최적의 버니쉬 가공이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정상 버니쉬 제동 판단 기준과 버니쉬 가공의 종료 기준을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버니쉬 모드에 적합한 버니쉬 가공이 수행되고, 브레이크 패드별로 최적의 제동력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입력부 및/또는 클러스터부를 이용하여 버니쉬 가공의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림으로써 사용자에게 버니쉬 가공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브레이크 패드의 온도 값을 기준 온도 값과 비교하여 쿨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에게 쿨링을 요청함에 따라, 브레이크 페이드(brake fade)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차량이 드라이브 환경별로 최적의 제동력을 발휘하게 하고 사용자가 겪는 초기 차량 밀림(vehicle roll-back)을 개선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의 쿨링 요청 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열람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2, 제1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버니쉬 가공(burnishing)은 버니쉬 가공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차량을 주행하면서 진행하는 경우에 더 효율적으로 수행된다. 차량을 주행하며 버니쉬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 타력 주행(coasting)을 하면서 CBS(Conventional Brake System)를 공랭할 수 있어 버니쉬 가공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대비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의 쿨링이 용이하다. 이로써 차량을 주행하면서 버니쉬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 버니쉬 가공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잦은 제동이 가능해져 차량 길들이기(vehicle break-in process) 속도가 빨라진다.
이에 따라,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을 주행하면서 버니쉬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display) 및/또는 클러스터(cluster)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보조하는 버니쉬 보조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은 사용자의 드라이브 모드에 대응하도록 버니쉬 모드를 분류하여 사용자의 주행 환경에 따라 버니쉬 가공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니쉬 보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니쉬 보조 시스템(10)은 프로세서(processor, 100),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110),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112),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114), 입력부(input unit, 120) 및 클러스터부(cluster unit, 14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버니쉬 보조 시스템(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모든 구성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다른 실시예에서 버니쉬 보조 시스템은 온도 센서가 생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버니쉬 보조 시스템은 브레이크 패드(brake pad)를 냉각시키는 브레이크 냉각장치(brake cool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각 장치(102 내지 108)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연산 장치이다. 프로세서100)는 하나 이상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입력부(120)는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버니쉬 모드를 프로세서(100)에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은, 차량에 탑재된 장치에 입력된 입력(예: 터치입력, 음성입력, 버튼입력, 텍스트 입력 등)이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때, 프로세서(100)는 버니쉬 가공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센서(110, 112)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신호가 온(on) 상태일 때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및/또는 차량의 가속도를 계측한다.
버니쉬 모드는, 사용자가 주행하려는 유형 또는 주행 환경에 따라 노멀(normal) 모드, 스포츠(sports) 모드 및 패스트(fast)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버니쉬 모드에는 에코(echo) 모드 또는 스노우(snow) 모드 등 드라이브 모드 셀렉터(drive mode selector)가 제공하는 드라이브 모드의 전부 또는 일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거나, 프로세서(100)로부터 버니쉬 시작 신호를 받아 버니쉬 시작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컨대, 입력부(120)는 버니쉬 시작 메시지로서 "버니쉬를 시작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로 음성송출 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버니쉬 종료 신호를 받아 버니쉬 종료 메시지를 출력한다. 예컨대, 입력부(120)는 버니쉬 종료 메시지로서 "버니쉬를 종료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120)의 버니쉬 등(light)을 참조하여 버니쉬 가공 절차의 완료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버니쉬 가공이 시작된 경우, 입력부(120)는 입력된 버니쉬 모드에 대응하는 버니쉬 가이드(burnish guide)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쿨링 요청 메시지를 받으면 입력부에 쿨링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직접 브레이크 페달의 쿨링 기능을 조작하도록 한다.
클러스터부(14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버니쉬 시작 신호를 받아 버니쉬 등을 점등하고, 버니쉬 종료 신호를 받아 버니쉬 등을 점멸한다. 버니쉬 종료 신호는 점멸은 프로세서(100)가 버니쉬 가공 절차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클러스터부(140)에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버니쉬 가공 절차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할 필요 없이 클러스터부(140)의 버니쉬 등을 참조하여 버니쉬 가공 절차의 완료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00)는 모니터링부(monitoring unit, 102), 정상 제동 판단부(normal brake determination unit, 104), 버니쉬상태 판단부(burnish state determination unit, 106) 및 온도관리부(temperature management unit, 108)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모니터링부(102)는 압력 센서(110), 가속도 센서(112) 및 온도 센서(114)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니터링이란, 각 센서(110 내지 114)의 계측값을 수신하여 관리 또는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모니터링부(102)는 브레이크 신호가 온 상태일 때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차량의 가속도 및/또는 브레이크 페달의 온도를 계측할 수 있다.
정상 제동 판단부(104)는 모니터링부(102)가 모니터링된 압력 값 및/또는 가속도 값을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압력 값 및/또는 기준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 여부를 판단한다. 버니쉬 층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차량 제동 시 브레이크 페달의 압력과 차량 가속도가 각각 일정한 값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상 버니쉬 제동의 판단은 모니터링된 압력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압력 값을 초과하고,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가속도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기준 압력 값과 기준 가속도 값은 표 1에서와 같이, 입력된 버니쉬 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이 용인해야 하는 압력은 드라이브 모드가 스포츠 모드, 노멀 모드, 패스트 모드인 순서로 높아지게 되므로, 기준 압력 값의 수치 또한 버니쉬 모드가 스포츠 모드, 노멀 모드, 패스트 모드인 순으로 커지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용인해야 하는 차량의 가속도는 드라이브 모드가 노멀 모드나 스포츠 모드인 경우 대비 패스트 모드인 경우에 더 커지게 되므로, 기준 가속도 값의 수치는 버니쉬 모드가 노멀 모드 및 스포츠 모드인 경우 대비 패스트 모드인 경우에 더 크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normal sports fast
기준 가속도 값 0.3 g 0.3 g 0.4 g
기준 압력값 45 bar 30 bar 50 bar
기준 횟수 100 150 80
버니쉬상태 판단부(106)는 사용자가 버니쉬 모드를 입력하면, 버니쉬 가공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각 장치(100 내지 140)의 전부 또는 일부에 버니쉬 시작 신호를 보낸다. 버니쉬상태 판단부(106)는 버니쉬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시작 상태'로 설정하여, 각 장치(100 내지 140)로 하여금 해당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버니쉬 가공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버니쉬상태 판단부(106)는 정상 제동 판단부(104)의 판단에 의해 카운트되는 카운터 값을 기준 횟수와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버니쉬상태 판단부(106)는 카운터 값이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버니쉬 층 형성에 충분한 횟수로 정상 제동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여 버니쉬 가공을 종료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카운터 값은 해당 버니쉬 모드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횟수의 정상 제동이 이루어졌는지를 카운트하기 위한 값이다.
기준 횟수는 표 1에서와 같이, 입력된 버니쉬 모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패스트 모드에서는 빠른 주행을 위하여 노멀 모드나 패스트 모드 대비 수행되어야 하는 정상 제동 횟수를 낮추어 브레이크 팩터(brake factor)가 낮아지도록 조절한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높은 RPM(Revolutions Per Minute)을 이용하게 되므로 순간 가속력이 높고, 급회전이 잦을 수 있어 패스트 모드나 노멀 모드 대비 수행되어야 하는 정상 제동 횟수를 높여 브레이크 팩터가 높아지도록 한다. 여기서 브레이크 팩터란, 브레이크 패드 마찰계수와, 브레이크 패드를 구속하는 캘리퍼(caliper)의 피스톤 면적과, 휠 중심으로부터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에 접촉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인 유효반경을 곱하여 산출되는 상수값으로, 유압 1 bar 당 발생하는 제동 토크(brake torque)이다.
온도관리부(108)는 모니터링부(102)가 모니터링한 온도 값을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온도 값과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으로 가열된 브레이크 페달에 쿨링(cooling)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온도관리부(108)는 쿨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쿨링 요청 메시지를 제공한다.
온도관리부(108)는 쿨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입력부(120) 및/또는 클러스터부(140)에 쿨링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 신호를 전달받은 입력부(120)는 쿨링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거나, 스피커 등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신호를 전달받은 클러스터부(140)는 쿨링 요청 등(light)을 점등할 수 있다. 쿨링 요청 메시지는 예컨대, "CBS 쿨링을 실시하십시오. 최대한 타력 주행으로 유지하세요."라는 메시지일 수 있다. 온도관리부(108)는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의 모니터링된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입력부(120)에 쿨링 요청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기준 온도 값은 표 2에서와 같이, 입력된 버니쉬 모드에 따라 달라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이 용인해야 하는 온도는 드라이브 모드가 노멀 모드, 스포츠 모드, 패스트 모드인 순서로 높아지게 되므로, 기준 온도 값의 수치 또한 버니쉬 모드가 노멀 모드, 스포츠 모드, 패스트 모드인 순으로 커지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normal sports fast
기준 온도값 100 °C 110 °C 130 °C
쿨링이 수행되거나 브레이크 페달의 온도가 기준 온도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온도관리부(108)의 신호를 받아 입력부(120)는 쿨링 요청 메시지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고, 클러스터부(140)는 쿨링 요청 등을 점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다(S200). 프로세서(100)는 입력된 버니쉬 모드를 기초로, S210 단계 및 S220 단계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 압력 값, 기준 가속도 값 및 기준 횟수를 설정한다.
프로세서(100)는 버니쉬 가공 상태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한다(S202).
프로세서(100)는 차량의 브레이크 신호가 ON 상태일 때의 압력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한다(S204).
프로세서(100)는 모니터링하여 획득한 각 센서의 계측값을 기초로 정상 버니쉬 모드 제동 여부를 판단한다(S210).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프로세서(100)는 카운터 값을 증가시킨다(S212).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00)는 각 센서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여 S212 단계가 수행된 이후, 프로세서(100)는 카운터 값이 기준 카운터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기준 카운터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충분한 횟수의 정상 제동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프로세서(100)는 버니쉬 가공 상태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S222).
기준 카운터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프로세서(100)는 S204 단계로 돌아가 압력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다(S300). 입력된 버니쉬 모드는 프로세서(100)로 전달된다.
프로세서(100)는 버니쉬 가공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여, S310 단계 및 S320 단계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 압력 값, 기준 가속도 값 및 기준 횟수를 설정한다(S302).
클러스터부(140) 및/또는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버니쉬 가공 절차를 보조하기 위하여, 버니쉬 등을 점등하거나 버니쉬 시작 메시지를 출력한다(S304).
프로세서(100)는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한다(S306).
프로세서(100)는 모니터링된 압력 값이 기준 압력 값을 초과하고,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이 기준 가속도 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 여부를 판단한다(S310).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프로세서(100)는 카운터 값을 1 증가시킨다(S312).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지 않는 경우, S306 단계로 돌아가 프로세서(100)는 각 센서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여 S312 단계가 수행된 이후, 프로세서(100)는 카운터 값이 기준 카운터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기준 카운터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충분한 횟수의 정상 제동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프로세서(100)는 버니쉬 가공 상태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클러스터부 및/또는 입력부는 사용자의 버니쉬 가공 절차를 보조하도록 클러스터부의 버니쉬 등을 점멸하거나 입력부에 버니쉬 종료 메시지를 출력한다(S322).
기준 카운터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306 단계로 돌아가 압력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버니쉬 보조 방법의 쿨링 요청 방식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다(S400). 입력된 버니쉬 모드는 프로세서(100)로 전달된다.
프로세서(100)는 버니쉬 가공이 시작된 것으로 판단하여, S410 단계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 온도 값을 설정한다(S302).
클러스터부(140) 및/또는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버니쉬 가공 절차를 보조하기 위하여, 버니쉬 등을 점등하거나 버니쉬 시작 메시지를 출력한다(S404).
프로세서(100)는 온도 센서를 모니터링한다(S430). 버니쉬 보조 시스템(10)은 모니터링된 온도 값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브레이크 패드의 쿨링을 요청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개시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10)은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차량 길들이기를 수행하게 한다.
프로세서(100)는 모니터링된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기준 온도 값을 초과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클러스터부 및/또는 입력부는 클러스터부의 쿨링 요청 등을 점등하거나 입력부에 CBS 쿨링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를 보조한다(S412).
기준 온도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S406 단계로 돌아가 온도 센서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이러한 온도 센서의 모니터링은 버니쉬 가공이 종료되는 경우 함께 종료되므로, S412 단계 이후 프로세서(100)는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350).
버니쉬 가공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버니쉬 가공 보조 과정이 종료하고,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프로세서(100)는 S406 단계로 돌아가 온도 센서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과정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2 내지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 내지 도 4의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장치, 부(unit), 과정, 단계 등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 가능 시스템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을 전송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 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 또는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톱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톱,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버니쉬 보조 시스템
100: 프로세서
102: 모니터링부
104: 정상 제동 판단부
106: 종료판단부
108: 온도관리부
110: 압력 센서
112: 가속도 센서
114: 온도 센서
120: 입력부
140: 클러스터부

Claims (14)

  1.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차량의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과정;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신호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모니터링된 압력 값 및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을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압력 값 및 기준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카운터 값을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횟수와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모니터링된 온도 값과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온도 값을 비교하여 쿨링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된 온도 값은, 상기 모니터링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온도 센서를 더 모니터링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입력부에 쿨링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부에 쿨링 요청 등(light)을 점등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차량의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터치입력, 음성입력, 버튼입력, 텍스트입력 중 어느 하나를 입력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 과정 이후에,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부가 버니쉬 모드 등을 점등하는 과정; 및
    상기 버니쉬 가공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버니쉬 모드 등을 점멸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니쉬 모드는, 노멀(normal) 모드, 스포츠(sports) 모드 및 패스트(fast)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압력 값의 수치는 상기 버니쉬 모드가 상기 노멀 모드, 상기 스포츠 모드, 상기 패스트 모드인 순서에 따라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횟수는 상기 버니쉬 모드가 상기 패스트 모드, 상기 노멀 모드, 상기 스포츠 모드인 순서에 따라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9. 차량에 탑재되어 상기 차량의 버니쉬 모드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차량의 압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기준 압력 값, 기준 가속도 값 및 기준 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 신호가 온(on) 상태인 경우에 모니터링된 압력 값 및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을 상기 기준 압력 값 및 상기 기준 가속도 값과 비교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의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카운터 값을 상기 기준 횟수와 비교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력 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된 압력 값이 상기 기준 압력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및 상기 모니터링된 가속도 값이 상기 기준 가속도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버니쉬 제동여부를 판단하는 정상 제동 판단부; 및
    상기 정상 버니쉬 제동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카운터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카운터 값이 상기 기준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버니쉬 가공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버니쉬상태 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차량의 온도 센서를 더 모니터링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모니터링된 온도 값이 상기 버니쉬 모드에 따라 설정되는 기준 온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 및/또는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부에 쿨링 요청 신호를 전달하는 온도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쿨링 요청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상에 쿨링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클러스터부는,
    상기 쿨링 요청 신호를 전달받아 쿨링 요청 등(light)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버니쉬 시작 신호를 수신하여 버니쉬 등을 점등하고, 버니쉬 종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버니쉬 등을 점멸하는 클러스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니쉬 모드는, 노멀(normal) 모드, 스포츠(sports) 모드 및 패스트(fast)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압력 값의 수치는 상기 버니쉬 모드가 상기 노멀, 상기 스포츠, 상기 패스트인 순서에 따라 커지고,
    상기 기준 횟수는 상기 버니쉬 모드가 상기 패스트 모드, 상기 노멀 모드, 상기 스포츠 모드인 순서에 따라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버니쉬 보조 시스템.
KR1020210041952A 2021-03-31 2021-03-31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KR20220135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952A KR20220135799A (ko) 2021-03-31 2021-03-31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952A KR20220135799A (ko) 2021-03-31 2021-03-31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799A true KR20220135799A (ko) 2022-10-07

Family

ID=8359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952A KR20220135799A (ko) 2021-03-31 2021-03-31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7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7382B4 (de) 2009-08-13 2016-06-09 Volkswagen Ag Verfahren und System zum Einschleifen einer Feststellbremse eines Kraftfahrzeug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7382B4 (de) 2009-08-13 2016-06-09 Volkswagen Ag Verfahren und System zum Einschleifen einer Feststellbremse eines Kraftfahrzeu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4489A1 (en) Evidence colle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chain evidence storage
US2023021646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olume adjustment
KR10164611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7983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rding data based on plurality of blockchain networks
EP3813001B1 (en) Data reading method based on a plurality of block chain networks and system
EP37345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uthenticity of evidence of both parties based on blockchain evidence preservation
CN110539737A (zh) 车辆驻车方法、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及车辆
US115008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rding data based on plurality of blockchain networks
WO2020034136A1 (zh) 一种车辆载重的测量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WO201914780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non-contact brake pad wear determination
WO2021008527A1 (zh) 电机控制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155646B (zh) 一种限制外部应用程序调用服务的方法及装置
CN110901639B (zh) 车辆的减速度控制方法和装置
WO2018070235A1 (ja) 制御システム、サー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U2017219065B2 (en) Image distribution device, image distribution system, and image distribution method
KR20220135799A (ko) 차량의 버니쉬 보조방법 및 시스템
CN114576284B (zh) 离合器起步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介质及拖拉机
JP644799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513130A (zh) 一种emb车型的车轮制动力控制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5417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a vehicle stall
US1108684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ading data based on plurality of blockchain networks
JP4008699B2 (ja) 動作中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レベル推定のための方法
CN115951856A (zh) 一种音效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462481B2 (ja) スキル評価装置、スキル評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4694682A (zh) 刹车系统异常检测的方法、系统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