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650A -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 Google Patents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650A
KR20220135650A KR1020210041623A KR20210041623A KR20220135650A KR 20220135650 A KR20220135650 A KR 20220135650A KR 1020210041623 A KR1020210041623 A KR 1020210041623A KR 20210041623 A KR20210041623 A KR 20210041623A KR 20220135650 A KR20220135650 A KR 2022013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trusion
tool
tool uni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캠핑고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캠핑고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캠핑고래
Priority to KR102021004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650A/ko
Publication of KR2022013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4Hand implements for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or liquids from liquids
    • A47J43/285Skimmers; Skimming ladles

Abstract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구부가 마련된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구부가 마련된 제1 분리도구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3 도구부가 마련된 제2 분리도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개별적인 도구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 제1 분리도구 유닛 및 제2 분리도구 유닛을 서로 결합하여 컴팩트하게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multi cookware assembly}
본 발명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도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필요시 서로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도구는 가정 및 식당이나 캠핑시 요리를 할 때 많이 사용되며, 기능에 따라 뒤집개, 국자, 포크, 가위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개의 조리도구는 각각 개별적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호간에는 결합이 힘든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특히 야외 캠핑시 어수선한 조리환경에서 분실의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보관해야 할 수 밖에 없는바, 일정 이상의 보관 및 수납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물론, 냄비 본체와 손잡이를 서로 착탈할 수 있는 구조의 조리도구가 개발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이는 각각 개별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도구 간 결합 및 분리 구조가 아니라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도구에 있어 구성간 결합, 분리 구조이므로 본 출원인은 개별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조리도구들이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제안하는 바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119768호(2019. 10. 23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기능을 갖고 있는 도구들을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한 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는 서로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분리된 한 쌍의 도구를 서로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의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도구부가 마련된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구부가 마련된 제1 분리도구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3 도구부가 마련된 제2 분리도구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은 상호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호간에 결합되어 제4 도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은 각각,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연결봉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사이공간 내에 중첩된 상태이거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단부에 마련되는 도구 플레이트를 갖는 도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상기 회전바가 외측으로 정방향 회전하여 일정이상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중첩되도록 상기 회전바의 역방향 회전을 제한 가능한 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사이공간에 마련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가 일정이상 인출되도록 회전을 완료한 상태시 탄성복원되어 상기 회전바의 단부에 걸림 가능한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는 외부에서 상기 판 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바의 역방향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판 스프링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절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의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일면 상에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회전 브래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분리도구의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가능하도록 걸림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 및 제2 분리도구 유닛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걸림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돌출단부에 제1 돌기부보다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은, 외측에서 상기 제2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일정 이상의 홀 단면적을 갖는 제1 걸림홀과,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제1 걸림홀에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 돌기부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걸림홀에 연통되며 상기 제1 걸림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단면적을 갖는 제2 걸림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홀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에는 각각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에 의하면, 각각 개별적인 도구부를 갖는 베이스 유닛, 제1 분리도구 유닛 및 제2 분리도구 유닛을 서로 결합하여 컴팩트하게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으로 도구 기능을 제공하는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을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한 후 서로 결합함으로써, 분리도구 유닛들이 개별적으로 제공하지 못한 새로운 도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회전제한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및 제2 플레이트 외측으로 회전한 회전바가 사용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다시 제1 및 제2 플레이트 내측으로 역방향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의 제1 분리도구 유닛을 나타내되 제2 도구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제2 도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의 제2 분리도구 유닛을 나타내되 제3 도구부가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제3 도구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에서 제1 및 제2 분리도구 유닛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에서 베이스 유닛에 대해 제1 및 제2 분리도구 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는 각각의 기능을 갖고 있는 도구들을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한 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에는 서로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분리된 한 쌍의 도구를 서로 결합하여 새로운 기능의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는 캠핑, 일반 가정에서의 조리 도구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베이스 유닛(100), 제1 분리도구 유닛(200) 및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을 포함한다.
먼저, 베이스 유닛(100)은 서로 이격되게 연결된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도구부(130)가 마련된다.
여기서, 제1 도구부(130)는 나이프, 코르크 마개 제거용 스크루핀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이러한 제1 도구부는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의 결합체에 대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외측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는 별도의 연결봉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되고 나이프(knife)의 경우 보관시에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사이 영역 내에 개재되도록 접혀진 상태를 가질 수 있고 사용시에는 외측으로 힌지회전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10), 제2 플레이트(120)에는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 유지를 위해 걸림홀(140), 삽입홈(160)이 마련되며,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은 베이스 유닛(10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구부(21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은 베이스 유닛(100)의 제1 플레이트(110) 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1 플레이트(110)와 제1 플레이트(110) 측 방향에 형성된 걸림홀(140)과 삽입홈(160)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또는 걸림결합된다.
관련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도구부(210)는 일 예로 포크 등으로 적용 가능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조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적용 가능하다.
다음,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은 베이스 유닛(100)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3 도구부(41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은 베이스 유닛(100)의 제2 플레이트(120) 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 플레이트(120)와 제2 플레이트(120) 측 방향에 형성된 걸림홀(140)과 삽입홈(160)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또는 걸림결합된다.
관련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도구부(410)는 일 예로 전 등을 뒤집을 수 있는 뒤짚개 등으로 적용 가능하고, 이외에도 다양한 조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적용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도구부(130), 제2 도구부(210) 및 제3 도구부(410)를 조리도구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즉 보관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을 베이스 유닛(100)에 결합하여 컴팩트한 형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각각의 도구부를 조리도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호 분리하여 개별적인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은 상호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호간에 결합되어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제4 도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분리된 후 서로 결합된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은 제4 도구기능으로서 집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 기능 제공을 위한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 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은 각각,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연결봉(미도시)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회전바(211)와 도구 플레이트(212)를 갖는 도구부, 회전제한부(240)를 포함한다.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의 도구부는 상기 제2 도구부(210)이고,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도구부는 상기 제3 도구부(410)이다.
여기서, 회전바(211)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의 사이공간 내에 중첩된 상태 또는 외측에 배치되도록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예를 들어 힌지핀을 통해 회전 가능하다.
도구 플레이트(212)는 회전바(211)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실질적인 도구 기능을 제공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의 도구 플레이트(212)는 일 예로 포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도구 플레이트(212)는 일 예로 뒤짚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의 사이 공간에 중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회전바(211)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제1 및 제2 플레이트 외측으로 인출한 후,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을 각각 개별적인 조리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바(211)를 외측으로 정방향 회전시켜 각각을 개별도구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외측으로 회전된 회전바(211)가 자유롭게(사용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내측으로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만약, 이러한 역방향 회전을 제한하지 못한다면 사용자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회전바(211)를 손으로 잡고 원하는 도구로서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사이에 배치된 회전바(211)가 외측으로 정방향 회전하여 일정이상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사이에 중첩되도록 회전바(211)의 역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회전제한부(240)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제한부(240)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의 사이공간에 마련되도록 제1 플레이트(220) 또는 제2 플레이트(23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제한부(240)는 회전바(211)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외측으로 일정이상 인출되도록 회전을 완료한 상태시 탄성복원되어 회전바(211)의 단부에 걸림 가능한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제한부(240)는 리벳 등을 통해 제1 플레이트(220) 또는 제2 플레이트(230)에 결합 가능하다.
부연하자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바(211)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의 사이 공간에 중첩된 상태로 개재되는 경우 회전제한부(240)의 판 스프링 부위는 회전바(211)에 의해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된 상태를 갖는다.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바(211)가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일정이상 회전한 경우 회전제한부(240)의 판 스프링 부위는 회전바(211)의 가압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형상 복원된다. 예를 들면, 회전제한부(240)가 제1 플레이트(220)에 리벳 고정되는 경우 회전제한부(240)의 판 스프링 부위는 제2 플레이트(230) 측으로 탄성 복원된다.
이 경우, 회전제한부(240)의 판 스프링 부위는 회전바(211)의 회전단부에 접촉 가능하고, 회전바(21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할 경우 그 단부가 판 스프링 부위에 걸림되어 역방향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회전바(211)가 사용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역방향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불편없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구 사용을 완료하고 보관하고자 할 경우 회전바(211)를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내측에 중첩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220) 또는 제2 플레이트(230)에는 외부에서 회전제한부(240)의 판 스프링을 가압하여 회전바(211)의 역방향 회전을 허용하도록 판 스프링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절개홈(250)이 마련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개홈(250)을 통해 회전제한부(240)의 판 스프링을 인위적으로 가압하여 회전제한부(240)의 판 스프링 부위와 회전바(211)의 회전단부 사이의 접촉 상태를 해제한 후, 회전바(211)를 손으로 잡고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및 제2 플레이트(220,230) 내측에 중첩되게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의 제1 플레이트(220)에는 토션 스프링(261)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일면 상에 걸림돌기(262)가 마련되는 회전 브래킷(260)이 마련되고,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제1 플레이트(220)에는 걸림돌기(262)가 삽입되어 걸림 가능하도록 걸림홀(420)이 마련된다. 이와 반대로, 회전 브래킷(260)은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의 제2 플레이트(230)에 마련될 수 있고, 제1 걸림홀(421)은 마찬가지로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제2 플레이트(230)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前者)의 경우를 기준으로 도시 및 설명한다.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은 걸림돌기(262)와 걸림홀(420) 구조를 통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262)는 일단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의 회전 브래킷(260) 일면에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태로 돌출되는 제1 돌기부(263)와, 제1 돌기부(263)의 돌출단부에 제1 돌기부(263)보다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돌기부(264)를 포함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홀(420)은 제1 걸림홀(421)과 제2 걸림홀(422)을 포함한다.
제1 걸림홀(421)은 외측에서 제2 돌기부(264)가 삽입되도록 일정 이상의 홀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제2 돌기부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홀 단면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걸림홀(422)은 제2 돌기부(264)가 제1 걸림홀(421)에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시 제1 돌기부(263)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1 걸림홀(421)에 연통되며 제1 걸림홀(4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작은 홀 단면적'이라 함은 제1 걸림홀(421)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제1 직선과 제2 걸림홀(422)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제1 직선과 평행한 가상의 제2 직선을 설정하고, 상기 제1 직선과 제1 걸림홀(421)의 내벽의 상호 연결 포인트 사이의 홀 직경과 상기 제2 직선과 제2 걸림홀(422)의 내벽의 상호 연결 포인트 사이의 홀 직경을 서로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의미한다.
제1 걸림홀(421)은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걸림홀(422)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제2 돌기부(264)을 제1 걸림홀(421)에 삽입한 후 제2 돌기부(264)를 제2 걸림홀(422)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제1 돌기부(263)가 제2 걸림홀(422) 내측에 위치하면서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제1 플레이트(220)가 제2 돌기부(264)와 회전 브래킷(260)의 일면 사이에 견고하게 개재됨으로써,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전술한 결합 동작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브래킷(260)은 토션 스프링(261)에 의해 제1 분리도구 유닛(200)의 제1 플레이트(220)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됨에 따라,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추가 도구 기능으로서 집게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부위가 토션 스프링(261)에 의해 힌지축으로서 기능하게 되고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단부가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집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베이스 유닛(100)에 대한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결합 분리 구조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 및 제2 분리도구 유닛(40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440)가 마련되고, 베이스 유닛(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440)가 삽입되어 걸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걸림홀(14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440)는 일단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 및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각각의 제1 플레이트(220) 일면에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상태로 돌출되는 제3 돌기부(441)와, 제3 돌기부(441)의 돌출단부에 제3 돌기부(441)보다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4 돌기부(442)를 포함한다.
또한, 걸림홀(140)은 제3 걸림홀(141)과 제4 걸림홀(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걸림홀(141)과 제4 걸림홀(142)은 베이스 유닛(100)의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각각 마련된다.
제3 걸림홀(141)은 외측에서 제4 돌기부(442)가 삽입되도록 일정 이상의 홀 단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제4 돌기부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홀 단면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걸림홀(142)은 제4 돌기부(442)가 제3 걸림홀(141)에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시 제3 돌기부(441)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3 걸림홀(141)에 연통되며 제3 걸림홀(14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작은 홀 단면적'이라 함은 전술하였으므로 이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3 걸림홀(141)은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4 걸림홀(142)은 장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먼저 제4 돌기부(442)을 제3 걸림홀(141)에 삽입한 후 제4 돌기부(442)를 제4 걸림홀(142) 측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제3 돌기부(441)가 제4 걸림홀(142) 내측에 위치하면서 베이스 유닛(100)의 제1 플레이트(110)와 제2 플레이트(120)가 제4 돌기부(442)와 제1 분리도구 유닛(200) 및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제1 플레이트(220)의 일면 사이에 견고하게 개재됨으로써, 베이스 유닛(100)에 대한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전술한 결합 동작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100)에 대한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을 결합하기 위한 제3 및 제4 돌기부(441,442)와 제3 및 제4 걸림홀(141,142) 구조외에 추가적인 구조를 제시한다.
한편, 제1 분리도구 유닛(200) 및 제2 분리도구 유닛(400)에 각각 하나의 걸림돌기(440)가 마련되고 베이스 유닛(100)에는 하나의 걸림돌기(440)가 삽입되어 걸림 가능하도록 하나의 걸림홀(140)이 마련되는 경우, 제1 분리도구 유닛(200) 및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이 베이스 유닛(100)에 걸림돌기(440)와 걸림홀(140)을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베이스 유닛(100)에 대한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도 2, 도 3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에는 각각 돌출부(460)가 마련되고 베이스 유닛(100)에는 돌출부(460)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160)이 마련된다.
여기서, 돌출부(460)는 걸림돌기(440)에 대해 일정 이상 이격된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의 일단에 마련되고, 삽입홈(160)은 돌출부(460)가 삽입 가능하도록 베이스 유닛(100)의 일측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460)는 걸림돌기(440)에 대해 가장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 분리도구 유닛(200)과 제2 분리도구 유닛(400)은 걸림돌기(440) 및 걸림홀(140) 구조, 돌출부(460) 및 삽입홈(160) 구조를 통해 베이스 유닛(100)에 회전이 불가하도록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베이스 유닛 110: 제1 플레이트
120: 제2 플레이트 130: 제1 도구부
140: 걸림홀 141: 제3 걸림홀
142: 제4 걸림홀 160: 삽입홈
200: 제1 분리도구 유닛 210: 제2 도구부
211: 회전바 212: 도구 플레이트
220: 제1 플레이트 230: 제2 플레이트
240: 회전제한부 250: 절개홈
260: 회전 브래킷 261: 토션 스프링
262: 걸림돌기 263: 제1 돌기부
264: 제2 돌기부 400: 제2 분리도구 유닛
410: 제3 도구부 420: 걸림홀
421: 제1 걸림홀 422: 제2 걸림홀
440: 걸림돌기 441: 제3 돌기부
442: 제4 돌기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제1 도구부가 마련된 베이스 유닛;
    상기 베이스 유닛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도구부가 마련된 제1 분리도구 유닛; 및
    상기 베이스 유닛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3 도구부가 마련된 제2 분리도구 유닛을 포함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은 상호간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상호간에 결합되어 제4 도구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은 각각,
    서로 이격되며 복수의 연결봉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사이공간 내에 중첩된 상태이거나 외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단부에 마련되는 도구 플레이트를 갖는 도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상기 회전바가 외측으로 정방향 회전하여 일정이상 인출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중첩되도록 상기 회전바의 역방향 회전을 제한 가능한 회전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사이공간에 마련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가 일정이상 인출되도록 회전을 완료한 상태시 탄성복원되어 상기 회전바의 단부에 걸림 가능한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는 외부에서 상기 판 스프링을 가압하여 상기 회전바의 역방향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판 스프링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절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의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는 토션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일면 상에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회전 브래킷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분리도구 유닛의 제1 플레이트 또는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가능하도록 걸림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 및 제2 분리도구 유닛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걸림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의 돌출단부에 제1 돌기부보다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마련되는 제2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은, 외측에서 상기 제2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일정 이상의 홀 단면적을 갖는 제1 걸림홀과, 상기 제2 돌기부가 상기 제1 걸림홀에 삽입된 후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1 돌기부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걸림홀에 연통되며 상기 제1 걸림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홀 단면적을 갖는 제2 걸림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돌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홀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유닛에 대한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분리도구 유닛과 제2 분리도구 유닛에는 각각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유닛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KR1020210041623A 2021-03-31 2021-03-31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KR20220135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23A KR20220135650A (ko) 2021-03-31 2021-03-31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623A KR20220135650A (ko) 2021-03-31 2021-03-31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650A true KR20220135650A (ko) 2022-10-07

Family

ID=8359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623A KR20220135650A (ko) 2021-03-31 2021-03-31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6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68A (ko) 2018-04-13 2019-10-23 윤현성 탈 부착형 다기능 조리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768A (ko) 2018-04-13 2019-10-23 윤현성 탈 부착형 다기능 조리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2755B2 (ja) デュアルブレードロック機構
US7654004B2 (en) Hand tool having fixed and rotatable implements and an associated locking mechanism
TWM413581U (en) Foldable knife capable of releasing locking function at two-stage
US20080201861A1 (en) Enhanced multi-function hand tool
KR102287175B1 (ko) 하나 이상의 회전가능한 공구 부재를 갖는 공구
EP2949248A1 (en) Folding style handle structure for cookware
JPH11207659A (ja) 多目的ハンドツール用のハンドル及び多目的ツール
JP2008515546A (ja) ルームサービス用テーブル
CN110432651A (zh) 一种折叠桌
KR20220135650A (ko) 멀티 조리도구 조립체
TW200844319A (en) Rotation control device
KR200389937Y1 (ko) 주방용 조리기구
CN106868841B (zh) 支撑折叠装置及具有其的挂烫机
CN220832811U (zh) 一种容器盖及烹饪容器
JP3548861B2 (ja) 節度感を持たせた手動利器
KR200479615Y1 (ko) 원터치 접이식 테이블
CN215127129U (zh) 一种手柄及容器
KR200356071Y1 (ko) 칼 겸용 가위
KR20160080982A (ko) 다용도 식기구
GB2398754A (en) Improvements to an artistic knife
TWM481804U (zh) 摺收式披薩刀
FR2805721A1 (fr) Meubles en particulier chaises et tables pliantes
JP2003312181A (ja) 綴じ具
JP2009095430A (ja) 組立式テーブル、並びに、該組立式テーブル及び椅子セット
JP2011030641A (ja) 折り畳み式の道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