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542A -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542A
KR20220135542A KR1020210041345A KR20210041345A KR20220135542A KR 20220135542 A KR20220135542 A KR 20220135542A KR 1020210041345 A KR1020210041345 A KR 1020210041345A KR 20210041345 A KR20210041345 A KR 20210041345A KR 20220135542 A KR20220135542 A KR 20220135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einforcing
spacer
fram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3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2491B1 (en
Inventor
홍미경
Original Assignee
홍미경
주식회사 안전공학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미경, 주식회사 안전공학기술 filed Critical 홍미경
Priority to KR102021004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491B1/en
Publication of KR20220135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5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1Profiled members, e.g. beams,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6Rods, e.g. connecting rods, rails, st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comprises: a frame in which lattice-shaped reinforcing grooves are formed on one surface; a spacer seated in the reinforcing grooves; and one core material module seated on the spacer, and in which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made of polymer are bond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보강재 제조장치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보강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프레임 내부에 철근을 효과적으로 내설하여 보강재 제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by effectively laying reinforcing bars inside a concrete frame.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는 경제적이며 내구성이 우수한 구조재료이다. 지금까지 철근콘크리트는 특별한 유지관리 없이 대략 반세기 정도의 사용 수명을 갖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다.In general, reinforced concrete, which is most widely used in buildings and civil structures, is an economical and durable structural material. Until now, it was generally recognized that reinforced concrete has a service life of about half a century without special maintenance.

실제로,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조합된 철근콘크리트는 기계적인 강도의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내구성 측면에서도 최적의 기능을 가지는 복합재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실시된 여러 연구결과와 현장조사에 따르면 철근의 부식으로 인해 철근콘크리트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구조물 전반에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In fact, reinforced concrete combined with concrete and reinforcing bars is known as a composite material having optimal functions in terms of long-term durability as well as in terms of mechanical strength.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everal recent studies and field surveys, it is investigated that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deteriorates due to corrosion of the reinforcement, causing serious problems throughout the structure.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은 매립철근의 부식이며, 이러한 매립철근의 부식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는 염소이온과 이산화탄소의 침투를 들 수 있다. 일단 매립철근이 부식되면, 매립철근의 표면에 부식생성물이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균열과 박리를 일으키고, 이러한 균열과 박리는 외부 유해 인자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철근의 부식을 가속화시킨다.The biggest factor that degrades the durability of such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is corrosion of buried reinforcing bars, and the main causes of corrosion of buried reinforcing bars are infiltration of chloride ions and carbon dioxide. Once the buried reinforcing bars are corroded, corrosion product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uried reinforcing bars, causing cracks and peeling of concrete.

이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고, 심한 경우 구조물이 붕괴에 이를 수도 있다. 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이미 손상된 경우, 이를 보수 및 보강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제한적이며, 경제적으로도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greatly reduced, and in severe cases, the structure may collapse. In addition, if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already damaged, repair and reinforcement work is very difficult and limi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cost is consumed economically.

또한, 철근은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있어, 철근의 연속성을 위하여 철근 간에 연결이 필요할 경우 철근의 주변을 주변을 감싸는 연결구가 필요한데, 연결구는 철근의 외측면만을 감쌀 수 있어, 철근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bars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when connection between rebars is required for continuity of rebars, a connector that wraps around the perimeter of the reinforcing bars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with increasing weight.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레임을 현장에서 제작할 때, 양측 단부로 돌출되는 철근이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해 비틀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프레임의 연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ame is manufactured on site by pouring concrete, the reinforcing bar protruding to both ends is twisted due to the shrinkage of the concret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nect the frame.

또한, 철근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보강재는 매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레임 등을 만들 때, 현장에서 제조해야 하는데 보강재를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굳혀야 하여서 시간과 비용의 소요가 증가하여 콘크리트 프레임 등의 제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used in reinforced concrete must be manufactured on site when concrete is poured to make a frame, etc., but after assemb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the concrete must be poured and hardened, which increases the time and cost required to manufacture a concrete frame, etc. I have this difficult problem.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7-0001982 호(발명의 명칭: 콘크리트 타설용 섬유보강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철근 자체의 내구성이 강화될 뿐, 콘크리트 자체의 강화는 어렵고, 외피 내부에 탄서소섬유의 철근을 인입함으로써, 제작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01982 (title of the invention: fiber reinforcement for pouring concrete) is disclosed, but this only strengthens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bar itself, and it is difficult to reinforce the concrete itself, and By drawing in the reinforcing bar of carbon fi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재의 부식 저항성을 향상시켜 순간적인 파손을 방지하고, 보강재의 무게와 부피를 절감할 수 있어서, 현장에서 이미 제작된 보강재를 결합시킬 수 있고, 프레임 등을 제작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보강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instantaneous damage by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o reduce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already manufactured in the field can be combined, the cost of manufacturing a frame, etc.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ing material that can save ti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에 격자 형상의 보강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보강홈에 안착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상부에 안착되고, 폴리머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심재가 서로 접착되어 하나의 심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having a grid-shaped reinforc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a spacer seated in the reinforcing groove, and a spacer seated on the spacer, and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made of a polymer ar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one may include a core module of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스페이서와 수직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페이서보다 높게 설치되는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acer may include a first spacer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spacer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pacer and installed higher than the first spacer.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착제가 상기 보강홈 내측으로 주입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심재모듈을 일체화시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심재모듈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함께 분리되도록 굳히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adhesive layer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pacer is injected into the reinforcing groove to integrate the spacer and the core module so that the spacer and the core module are separated from the frame.

또한, 상기 심재는, 중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캡톤(Kepton) 소재가 포함되는 재1 심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material may include a first core material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including a Kepton material at both ends.

또한, 상기 심재는, 상기 제1 관통홀 내측에 삽입되고, 중심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 소재의 제2 심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 material may include a second core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가이드부재가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include a guide portion in which a guide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and a guide member protrudes from the other surfac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강홈 내측에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may have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protruding inwardly inside the reinforcing groove.

또한, 상기 접착제는 내부에 보강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y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therein.

또한, 상기 심재모듈은, 상기 심재의 외측면에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허니컴 구조의 강화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강화부재가 서로 접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re module, the reinforcing member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 of the honeycomb structure into which the core is inserted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심재가 결합되는 심재모듈, 상기 심재모듈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및 상기 심재모듈과 상기 스페이서를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주입되어 상기 심재모듈과 상기 스페이서를 일체화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re module to which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are coupled, a spacer for separating the core module from the floor, and an adhesive for bonding the core module and the spacer are injected into the core module and the An adhesive layer for integrating the spacer may be included.

본 발명은, 인장력을 갖는 탄소섬유 등일 수 있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심재모듈을 결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재의 순간적인 파손을 방지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보강재를 제작함으로써, 현장에서 이미 제작된 보강재를 결합시킬 수 있어, 프레임 등을 제작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는 보강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urability can be improved by combining a core module containing a polymer, which may be a carbon fiber having a tensile force, or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tantaneous damag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to manufacture a detachable reinforcing material,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already produced in the field can be combined,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of manufacturing a frame, etc. it is 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프레임에 보강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를 타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가 굳혀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심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심재에 제2 심재가 결합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파손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부재가 결합된 보강재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부재가 보강재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reinforcement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frame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one sid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5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a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ardened.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r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re is coupled to a first 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breakage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a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ing material to which a reinforcing member is coupl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inforcing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 same,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techniqu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프레임보강재가 분리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reinforcement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1)는 보강재(3)를 제조하여 탈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 the apparatus 1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100 so that the reinforcement material 3 can be manufactured and detached.

프레임(1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일체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보강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addition, the frame 10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formed of concrete or the like. Also, the frame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a reinforcing groove 1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

보강홈(110)은 격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홈(110)은 프레임(10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홈(111)과 수직홈(111)의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평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groove 110 may be formed in a lattice structure. For example, the reinforcing groove 110 may include a vertical groove 111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and a horizontal groove 113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groove 111 . can

수직홈(111)은 프레임(100)의 전방 단부에서부터 형성되어 후방 단부가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홈(111)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The vertical groove 111 may be formed from the front end of the frame 100 to the rear end.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grooves 111 may be formed.

또한, 수평홈(113)은 좌측 단부에서부터 형성되어 우측 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홈(113)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groove 113 may be formed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end.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grooves 113 may be formed.

또한, 수직홈(111)과 수평홈(113)은 서로 연결될 수 있어, 수직홈(111)과 수평홈(113)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홈(110)은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홈(110)에는 스페이서(200)와 심재모듈(300)이 내부에 고정되는 접착층(500)이 형성됨으로써, 보강재(3)가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grooves 111 and the horizontal grooves 1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reinforcement grooves 110 including the vertical grooves 111 and the horizontal grooves 113 may be formed in a grid shape. In this case, by forming the adhesive layer 500 to which the spacer 200 and the core module 300 are fixed therein, the reinforcement 3 may be manufactured in the reinforcement groove 11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를 타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가 굳혀진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sid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example is hardened.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격자로 이루어지는 보강홈(110)의 내측에는 보강재(3)일 수 있는 스페이서(200), 심재모듈(300) 및 접착층(500)이 주입되어 보강재(3)가 제작될 수 있다.3 to 5 , the spacer 200 , the core module 300 and the adhesive layer 500 , which may be a reinforcement 3 , are injected inside the reinforcement groove 110 made of a grid to form the reinforcement 3 . can be manufactured.

스페이서(200)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200)는 접착층(500)을 이루는 접착제(5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pacer 200 may have a trapezoidal cross-section. In addition, the spacer 20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dhesive 510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500 .

또한, 스페이서(200)는 접착층(500)이 심재모듈(300)이 안착된 스페이서(200)의 주변으로 주입되어 굳어지면, 접착층(500)과 함께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홈(111)에 안착되는 제1 스페이서(210) 및 수평홈(113)에 안착되는 제2 스페이서(23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hesive layer 500 is injected into the periphery of the spacer 200 on which the core module 300 is seated and hardens, the spacer 200 may be detached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500 . In addition, a first spacer 210 seated in the vertical groove 111 and a second spacer 230 seated in the horizontal groove 113 may be included.

제1 스페이서(210)는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수직홈(111)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홈(111)이 형성된 프레임(10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spacer 210 may be seated in the vertical groove 111 formed in the frame 100 . For example, it may be separ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in which the vertical groove 111 is formed.

또한, 제1 스페이서(21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페이서(21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페이서(210)가 하단면에서 상단부로 향하는 제1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first spacers 210 may be formed as a pair. Also, a plurality of first spacers 210 may be formed. Also, the first spacer 210 may be formed at a first height h1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이를 통해, 제1 스페이서(210)의 상부에는 심재모듈(300)이 프레임(100)의 상면에 제1 높이(h1)로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페이서(2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심재모듈(300)의 상부에 수평홈(113)에 설치되는 심재모듈(300)이 지나갈 수 있어, 서로 겹치는 부분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re module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by a first height h1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r 210 . In addition, since the core module 30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groove 113 on the upper part of the core module 300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pacer 210 may pass, overlapping portions may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

또한, 심재모듈(300)의 하부에도 접착제가 유입될 수 있어, 심재모듈(300)의 주변으로 접착제(510)가 주입될 수 있어, 심재모듈(300)이 접착제(510)에 의해 완전 밀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re module 300 , so that the adhesive 510 may be injected around the core module 300 , so that the core module 300 is completely sealed by the adhesive 510 . can

제2 스페이서(230)는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수평홈(113)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홈(113)이 형성된 프레임(10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The second spacer 230 may be seated in the horizontal groove 113 formed in the frame 100 . For example, it may be separably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in which the horizontal groove 113 is formed.

또한, 제2 스페이서(230)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페이서(2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페이서(230)가 하단면에서 상단부로 향하는 제2 높이(h2)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높이(h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second spacers 230 may be formed as a pair. Also, a plurality of second spacers 230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spacer 230 may be formed at a second height h2 from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top. That is, it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h1.

이를 통해, 제2 스페이서(230)의 상부에는 심재모듈(300)이 프레임(100)의 상면에 제2 높이(h2)로 이격되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페이서(2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심재모듈(300)의 하부에 수직홈(111)에 설치되는 심재모듈(300)이 지나갈 수 있어, 서로 겹치는 부분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re module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by a second height h2 and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r 230 . In addition, since the core module 300 installed in the vertical groove 111 under the core module 300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pacer 230 may pa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lapping parts from interfering. .

또한, 심재모듈(300)의 하부에도 접착제(510)가 유입될 수 있어, 심재모듈(300)의 주변으로 접착제(510)가 주입될 수 있어, 심재모듈(300)이 접착제(510)에 의해 완전 밀폐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5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re module 300 , so that the adhesive 510 may be injected around the core module 300 , so that the core module 30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510 by the adhesive 510 . It can be completely sealed.

즉, 스페이서(200)의 상부에 심재모듈(300)이 안착되고, 보강홈(110)의 내측으로 접착제(510)를 주입하여 굳힘으로써 접착층(500)이 형성되면 보강재(3)가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보강재(3)는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보강재(3)의 이송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보강재(3)의 내부에는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심재모듈(300)이 설치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re module 30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r 200 , and the adhesive layer 500 is formed by injecting and hardening the adhesive 510 into the reinforcement groove 110 , the reinforcement 3 can be manufactured. have. In addition, the manufactured reinforcing material 3 may be separated from the frame 100 ,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3 may be easily transported. At this time, the core module 3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inforcing material 3 to improve durabilit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심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심재에 제2 심재가 결합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core is coupled to the first c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심재모듈(300)은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심재(310, 330)가 저로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심재모듈(300)은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작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제1 심재(310) 및 제2 심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module 300 may be formed by bonding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re materials 310 and 330 to the bottom. In addition, the core module 300 may include the first core 310 and the second core 330 to improve durability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제1 심재(310)는 인장력이 형성되면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제1 관체(311) 및 돌출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re 310 may include a first tubular body 311 and a protruding member 313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while forming a tensile force.

제1 관체(311)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어 내부에 제1 관통홀(311a)이 형성될 수 있고, 탄소섬유 등일 수 있는 폴리머로 제작될 수 있어, 인장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작 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The first tube body 311 may be formed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so that the first through-hole 311a may be formed therein, and may be made of a polymer that may be carbon fiber, etc., so that the tensile force is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t the same time can be

이때, 제1 심재(310)의 제1 관통홀(311a)에는 보강홈(110)에 접착제(510)를 주입하면 내부에 접착제(510)가 인입될 수 있어, 보강재(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adhesive 510 is injected into the reinforcing groove 110 in the first through hole 311a of the first core 310 , the adhesive 510 can be introduced therei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 . can do it

또한, 제1 관체(311)의 양측 단부는 비행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캡톤(kepton) 소재가 포함될 수 있다. 캡톤(kepton)은 내구성이 강하고, 열에 의해 기존의 모습으로 되돌아 가는 성질이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등의 내측에 제1 심재(310)가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굳힘 작업 등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여 제1 심재(310)의 양측 단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tube body 311 may include a Kepton (kepton)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an airplane. Kepton is durable and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by heat. For example, the first core material 3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oncrete, etc.,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hardening of the concrete, etc.,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core material 3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제1 심재(310)의 노출된 부분을 따라 콘크리트 벽체 등을 연장하기 위해, 제1 심재(310)의 양측 단부에 열을 가하여 제1 심재(310)가 원래의 수평 상태로 복귀되어 유지함으로써, 제1 심재(310) 간의 연결이 편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extend the concrete wall or the like alo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re 310, heat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re 310 so that the first core 31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horizontal state and maintained. By doing 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re members 310 may be convenient.

또한, 제1 관체(311)의 외측면에는 제1 관체(311)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재(313)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otrusion member 3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tube body 3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ube body 311 .

돌출부재(313)는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등일 수 있는 폴리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313)가 나선형으로 제1 심재(310)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형성됨으로써, 제1 심재(310)가 파손될 때, 추가적으로 인장력이 생길 수 있어, 제1 심재(310)의 급격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313 may be formed of a polymer such as carbon fiber or glass fiber. In addition, since the protruding member 313 is formed while spirally enclo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re 310 , when the first core 310 is damaged, additional tensile force may be generated. damage can be prevented.

또한, 돌출부재(313)가 나선형으로 돌출됨으로써, 섬유, 접착제 등이 제1 심재(310)의 외측면에 코팅 및 접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313)가 형성된 심재(310)의 외측면에는 섬유일 수 있는 유리섬유가 코팅되어 인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ding member 313 protrudes in a spiral manner, coating and adhesion of fibers, adhesives, etc.,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re member 310 may be facilitated.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310 on which the protruding member 313 is formed is coated with glass fiber, which may be a fiber, to improve the tensile force.

이를 통해, 금속 재질의 제1 심재(310)와 제1 심재(310)보다 인장력을 갖는 탄소섬유 등일 수 있는 폴리머인 돌출부재(313)의 외측면에 유리섬유인 섬유(320)를 코팅함으로써, 서로 다른 인장력과 내구성을 갖는 재질이 복합적으로 혼합되어 내구성이 강하면서 제1 심재(310)의 급격한 파손을 막을 수 있다.Through this, by coating the fiber 320, which is a glass fi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re 310 made of a metallic material and the protruding member 313, which is a polymer, which may be carbon fiber having a tensile force than that of the first core 310, Materials having different tensile strength and durability are mixed in a complex manner to prevent sudden breakage of the first core material 310 while having strong durability.

또한, 제1 심재(310)가 파손되더라도 인장력에 의해 제1 심재(310)가 늘어나면서, 프레임(1100)의 붕괴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어, 급격한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irst core 310 is damaged, the first core 310 is stretched by the tensile force, so that the collapse time of the frame 1100 can be extended, thereby preventing rapid collapse.

이때, 제1 심재(310)의 인장력 및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311a)의 내측에는 제2 심재(330)가 삽입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core 330 may be inserted inside the first through hole 311a to enhance the tensile force and durability of the first core 310 .

제2 심재(330)는 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어 내부에 제2 관통홀(33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심재(33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심재모듈(3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second core material 330 may have a ring-shaped cross-section, so that a second through hole 331a may be formed therein.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re 33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durability of the core module 300 may be improved.

이때, 제2 심재(330)의 제2 관통홀(331a)에는 보강홈(110)에 접착제(510)를 주입하면 내부에 접착제(510)가 인입될 수 있어, 보강재(3)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adhesive 510 is injected into the reinforcing groove 110 in the second through hole 331a of the second core 330 , the adhesive 510 can be introduced therein,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 . can do it

또한, 제2 관체(331)의 양측 단부는 비행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캡톤(kepton) 소재가 포함될 수 있다. 캡톤(kepton)은 내구성이 강하고, 열에 의해 기존의 모습으로 되돌아 가는 성질이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등의 내측에 제2 심재(330)가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굳힘 작업 등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여 제2 심재(330)의 양측 단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econd tube body 331 may include a Kepton (kepton)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an airplane. Kepton is durable and has a property of returning to its original shape by heat. For example, the second core material 33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crete, etc., pressure is generated by the hardening of the concrete, etc., so that both ends of the second core material 3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제2 심재(330)의 노출된 부분을 따라 콘크리트 벽체 등을 연장하기 위해, 제2 심재(330)의 양측 단부에 열을 가하여 제2 심재(330)가 원래의 수평 상태로 복귀되어 유지함으로써, 제2 심재(330) 간의 연결이 편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extend the concrete wall or the like alo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second core member 330 , heat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re member 330 so that the second core member 33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horizontal state and maintained. By doing so,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ore members 330 may be convenient.

접착층(50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500)dms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접착제(510) 및 보강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50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500 may include an adhesive 510 and a reinforcing member 530 to alleviate the impact and have durability.

접착제(510)는 보강홈(110)의 내부에 스페이서(200)와 심재모듈(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51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는 액체 상태로 보강홈(110)에 주입되어 스페이서(200)와 심재모듈(300)을 접착시킴과 동시에 보강홈(110) 내부에 비어있을 수 있는 공간을 채울 수 있다.The adhesive 510 may be inj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spacer 200 and the core module 300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groove 110 . Also, the adhesive 5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the adhesive may be injected into the reinforcing groove 110 in a liquid state to bond the spacer 200 and the core module 300 and fill an empty space inside the reinforcing groove 110 at the same time.

예를 들어, 심재모듈(300)의 외측면과 프레임(100) 사이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심재모듈(3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311a) 또는 제2 관통홀(331a) 내측을 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페이서(200)와 심재모듈(300)을 접착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고, 스페이서(200)와 심재모듈(300)이 접착층(500)에 의해 접착되어 보강재(3)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t may be injec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odule 300 and the frame 100 .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first through hole 311a or the second through hole 331a formed in the core module 300 may be filled. Through this, the spacer 200 and the core module 300 may be bond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ted, and the spacer 200 and the core module 300 may be bonded by the adhesive layer 500 to form the reinforcing material 3 .

즉, 접착층(500)은 심재모듈(300)의 내측, 제1 및 제2 심재(310, 330)와 프레임(100) 사이를 서로 결합시키면서 프레임(1100) 내측으로 인입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내구성을 보강재 제조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layer 500 can alleviate the impact introduced into the frame 1100 while bonding the inner side of the core module 300, the first and second core materials 310 and 330, and the frame 100 with each other.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1).

보강부재(530)는 접착제(510))의 내부에 복수 개가 혼합되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530)는 중심이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단부가 원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중심의 바보다 단면적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제(510)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일부 접착제(510)일 수 있는 미세 파편이 외부로 떨어져나가면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reinforcing members 530 may be mixed and embedded in the adhesive 510). 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530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enter bar so that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member 53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both end portions protrude in a circular shape. Through this, even if a part of the adhesive 510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ne fragments that may be part of the adhesive 510 from scattering while falling to the outside.

예를 들면, 보강부재(530)로 연결된 접착제(510)의 일단에 형성된 콘크리트가 충격 등에 의해 균열이 생기면, 보강부재(530)의 타단은 접착제(510) 내부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미세한 플라시틱 재질일 수 있는 접착제(510)가 파편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crete formed at one end of the adhesive 510 connected to the reinforcement member 530 is cracked due to impact or the like, the other end of the reinforcement member 530 maintains a state embedded in the adhesive 510 inside the concrete. It is possible to primarily prevent from falling off,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510, which may be made of a fine plastic material, from scattering into fragment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파손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the degree of breakage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2 심재(330)가 내장되고, 제2 심재(330)의 외측면에 탄소섬유 등일 수 있는 폴리머인 제1 심재(310)가 형성되며, 제1 심재(310)의 외측면에 돌출부재(313)가 돌출 형성되고, 보강부재(530)가 포함된 접착제(510)를 주입하여 굳힐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 second core material 330 formed of a metal material is embedded, and a first core material 310 which is a polymer that may be carbon fiber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re material 330 , and the first core material A protruding member 31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310 , and an adhesive 510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530 may be injected and hardened.

이를 통해, 심재모듈(300)이 서로 다른 인장력과 내구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심재모듈(300)의 내구성이 뛰어나면서, 짧은 시간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강재 제조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core module 300 is formed of materials having different tensile strength and durability, so that the core module 300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in a short time,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1 can do it

즉, 금속 재질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에폭시일 수 있는 폴리머를 추가하여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심재모듈(300)이 파손되기 전에 늘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심재모듈(300)의 급격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adding a polymer that may be carbon fiber, glass fiber, or epoxy to the metal material, the core module 300 located inside the innermost material module 300 can be stretched before being damaged, thereby preventing the sudden damage of the core material module 300.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재(3)로 충격이나 다른 외부 요인들로 인해 진동 등이 전달되면 일정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심재모듈(300)이 인장력을 갖을 수 있어, 보강재(3)가 순간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순간적인 파손보다 인장력이 형성될 수 있어, 붕괴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재(3)가 사용되는 구조에 순간적 붕괴를 방지할 수 있어, 사고에 대비할 시간을 갖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vibration or the like is transmitted to the reinforcing material 3 due to an impact or other external factors, it is possible to absorb a certain shock. In addition, since the core module 300 may have a tensile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material 3 from collapsing in an instant. That is, a tensile force can be formed rather than an instantaneous breakage, thereby prolonging the collapse tim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stantaneous collapse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3 is u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time to prepare for an accident.

예를 들어, 그래프의 X축은 인장변화율을 나타낼 수 있고, Y축은 인장응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CFRP는 2000의 인장응력에서 0.015의 인장변화율에서 파손되어 끊어질 수 있다. 이때, CFRP의 응력에 따른 변화율은 1500 내지 2000의 범위에서 변동될 수 있다. 또한, 1500 내지 2000의 변화에 따라 인장변화율은 0.013 내지 0.015의 범위 내로 변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X-axis of the graph may represent the tensile change rate, and the Y-axis may represent the tensile stress. In addition, CFRP can break and break at a tensile change rate of 0.015 at a tensile stress of 2000. At this time, the rate of change according to the stress of the CFRP may be varied in the range of 1500 to 200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1500 to 2000, the tensile change rate may be changed within the range of 0.013 to 0.015.

또한, 철봉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300 내지 500의 인장응력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이때, 철봉은 늘어지는 성질이 있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ron bar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can change according to a tensile stress of 300 to 500. At this time, the iron bar has a sagging property, so that the length can be extended.

또한, CFRP와 철관을 혼합하게 되면, CFRP의 특징과 철관의 특징을 혼합할 수 있어, 인장력과 내구성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순간적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CFRP는 1500의 인장응력에서 0.025에서 파손될 수 있다. 이때, CFRP와 철관으로 혼합된 관은 1000 내지 1500의 인장응력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1000 내지 1500의 변화에 따라 인장 변화율은 0.02 내지 0.025의 범위 내로 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FRP and iron pipe are mixed, the characteristics of CFRP and iron pipe can be mixed, and tensile force and durability can be used in combination, thereby preventing instantaneous breakage. At this time, CFRP can be broken at 0.025 at a tensile stress of 1500. At this time, the pipe mixed with CFRP and iron pip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tensile stress of 1000 to 1500.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1000 to 1500, the tensile change rate may be changed within the range of 0.02 to 0.025.

즉, 파손되는 변화에 인장력이 추가되어 파손이 서서히 일어나게 할 수 있어, 붕괴 조심을 미리 알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at is, the tensile force is added to the change to be broken, so that the breakage can occur gradually, so that the precaution of collapse can be known in advance, and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가 설치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at the frame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기로 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bove, and only configurations with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프레임(1100)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0) 간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110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In addition, a guide unit 1110 may be included to guide the coupling between the frames 1100 .

가이드부(1110)는 서로 인접한 프레임(1100) 간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프레임(11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part 11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1100 to facilitate coupling between the adjacent frames 1100 .

가이드부(1110)는 보강홈(110)이 형성된 외측면과 수직한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1110)는 서로 인접한 프레임(1100) 간의 결합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1111) 및 가이드부재(1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1110 may be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groove 110 is formed. In addition, the guide unit 1110 may include a guide groove 1111 and a guide member 1113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adjacent frames 1100 can be made at an accurate position.

가이드홈(1111)은 프레임(1100)의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111)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1111)은 프레임(1100)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111)의 내측으로는 가이드홈(1111)과 인접한 프레임(1100)의 가이드부재(1113)가 인입되어 인접한 프레임(1100) 간의 결합이 정확한 위치에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groove 1111 may b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ame 1100 .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11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guide groove 1111 may be formed in a state of being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1100 . At this time, the guide groove 1111 and the guide member 1113 of the adjacent frame 1100 are drawn into the guide groove 1111,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adjacent frames 1100 can be made at an accurate position.

가이드부재(1113)는 프레임(1100)의 가이드홈(1111)이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113)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113)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0)을 연결할 때, 가장 왼쪽 단부에 위치하는 프레임(1100)의 가이드부재(1113)는 절삭 기계 등으로 절삭하여 가이드부재(1113)가 형성된 면을 평평하게 유지할 수 있다.The guide member 1113 may be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guide groove 1111 of the frame 1100 is formed.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1113 may protrude outward. In addition, the guide member 111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when the frame 1100 is connected, the guide member 1113 of the frame 1100 located at the leftmost end may be cut by a cutting machine, etc. to keep the surface on which the guide member 1113 is formed flat.

예를 들어, 프레임(1100)에 형성된 보강홈(110)과 수직하는 일면에는 가이드홈(1111)이 형성될 수 있고, 타면에는 가이드부재(1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00) 간에 결합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For example, a guide groove 1111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reinforcing groove 110 formed in the frame 1100 , and a guide member 1113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uide the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rames 1100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ment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보강재 제조장치(1)의 프레임(1100) 일면에는 프레임(1100)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보강홈(110)에 내장되어, 프레임(1100)의 내부로 인입되는 충격을 완화하고, 프레임(1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보강재(3) 자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강화부(1300) 및 접촉돌기(1130)를 포함할 수 있다.11 and 12, one surface of the frame 1100 of the reinforc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1 is embedded in a reinforcement groove 110 formed to be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1100, and is drawn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1100. The reinforcing part 1300 and the contact protrusion 1130 may be included to alleviate the impact,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rame 1100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3 itself.

강화부(1300)는 보강홈(110)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강화부(1300)는 바 형상으로 프레임(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part 1300 may be install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inforcement groove 110 . In addition, the reinforcement part 130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100 in a bar shape.

또한, 강화부(1300)는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게 적층되면서 허니컴 구조를 갖을 수 있도록 육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art 1300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cross-section so that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1300 may have a honeycomb structure while being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강화부(1300)의 중심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강화부(1300)의 중심에 형성된 홀에 제1 및 제2 심재(310, 330)가 삽입될 수 있다.Also,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part 1300 .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re members 310 and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part 1300 .

이를 통해, 허니컴 구조를 갖는 강화부(1300)가 충격을 심재(31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어, 제1 및 제2 심재(310, 33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심재(3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심재(310, 3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reinforcing unit 1300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can attenuat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ore material 310 by the impact, thereby reducing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re materials 310 and 330, The durability of the core member 310 may be improved, and the lifespan of the first and second core members 310 and 330 may be extended.

즉, 복수 개가 서로 밀착 또는 적층되어 단면이 허니컴 구조를 갖는 강화부(1300)가 설치됨으로써, 프레임(1100)의 진동이 심재모듈(300)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고, 프레임(1100)의 단열성을 높일 수 있으며, 프레임(1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parts 1300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r stacked in cross-section,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vibration of the frame 11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ore module 300, and Insulation may be improved, and durability of the frame 1100 may be improved.

이때, 허니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강화부(1300)와 프레임(1100)이 밀착되는 부위에 강화부(1300)를 향하여 접촉돌기(11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act protrusion 1130 may protrude toward the reinforcing part 1300 at a portion where the reinforcing part 1300 and the frame 1100, which may be formed in a honeycomb structure,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접촉돌기(113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113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1130)는 보강재(3)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어, 보강재(3)가 보강홈(1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The contact protrusion 113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Also,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130 may be formed. In addition, the contact protrusion 1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inforcing material 3 is installed, so that the reinforcing material 3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groove 110 .

또한, 접촉돌기(1130)을 보강재(3)에 삽입되는 접착제(5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면, 접촉돌기(1130)는 보강재(3)와 함꼐 분리될 수 있어, 충격을 완화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act protrusion 113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adhesive 510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3, the contact protrusion 1130 can be separated together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3, which will be more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impact. can

접촉돌기(1130)와 강화부(1300)의 일면은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접촉돌기(1130)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일부가 압착될 수 있다. 또한, 접촉돌기(1130)가 보강재(3)와 밀착되면 밀착되는 부위의 접촉돌기(1130)는 압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레임(1100)에서 심재(310) 및 강화부(13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이 접촉돌기에서 1차적으로 완화된 상태로 전달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contact protrusion 1130 and the reinforcing part 1300 may be in close contact. At this time, since the contact protrusion 1130 has an elastic force, a part may be compressed.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protrusion 11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material 3 , the contact protrusion 1130 in the area to be in close contact may be compressed. Through this, vibrations or shocks transmitted from the frame 1100 to the core 310 and the reinforcing unit 1300 may be transm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protrusion is primarily relieved.

또한, 보강홈(1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돌기(1130)는 탄성력을 갖는 상태로 보강홈(11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촉돌기(1130)는 접착층(500)이 주입되면 접착층(500)과 밀착되어 굳어짐으로써, 접착층(5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층(500)이 굳어지면서 고체화되면서 외부 충격에 의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rotrusion 1130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groove 11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groove 110 while having an elastic force. At this time, when the adhesive layer 500 is injected, the contact protrusion 113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500 and hardened, thereby mitigating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adhesive layer 500 .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layer 500 from being broken by an external impact while being solidified while being hardened.

즉, 접착층(500)은 제1 및 제2 심재(310, 330) 내측, 제1 및 제2 심재(310, 330)와 강화부(1300) 사이, 강화부(1300)와 프레임(1100) 사이에 주입될 수 있어, 심재(310)와 강화부(1300) 및 프레임(1100)을 서로 결합시키면서 프레임(1100) 내측으로 인입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내구성을 보강재 제조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adhesive layer 500 is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core materials 310 and 330 ,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re materials 310 and 330 and the reinforcement part 1300 , and between the reinforcement part 1300 and the frame 1100 . can be injected into the core material 310, the reinforcing part 1300, and the frame 1100, while coupling the frame 1100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shock entering the inside of the frame 1100, durability of the reinforc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1 can improve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100)에로 충격이나 다른 외부 요인들로 인해 프레임(1100)로 진동 등이 전달되면 콘크리트에서 일정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후, 콘크리트는 파손되더라도 심재(310)가 파손되면 건물의 붕괴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100)에서 심재(3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접촉돌기(1130)에서 먼저 완화시킬 수 있고, 이후,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접착층(500)에서 완화시키며, 허니컴 구조를 갖는 강화부(1300)에서 다시 한번 완화됨으로써, 심재(31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vibration or the like is transmitted to the frame 1100 due to an impact to the frame 1100 or other external factors, a certain impact may be absorbed by the concrete. Thereafter, even if the concrete is damaged, if the core material 310 is damaged, the risk of collapse of the building may increase. Thereafter, it is relieved in the adhesive layer 500 that can be used as a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is relieved once again in the reinforcing part 1300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thereby minimizing the impac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re material 310. .

이를 통해, 심재(310)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수명이 연장됨으로써, 보강재 제조장치(1)의 순간적이 붕괴를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the durability of the core material 310 is improved and the lifespan is extended, thereby preventing the instantaneous collapse of the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1 and enhancing the durability.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part of (s) may optionally be combine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보강재 제조장치
100: 프레임 110: 보강홈
111: 수직홈 113: 수평홈
200: 스페이서 210: 제1 스페이서
230: 제2 스페이서 300: 심재모듈
310: 제1 심재 311: 제1 관체
311a: 제1 관통홀 313: 돌출부재
330: 제2 심재 331: 제2 관체
331a: 제2 관통홀 500: 접착층
510: 접착제 530: 보강부재
h1: 제1 높기 h2: 제2 높이
1100: 프레임 1110: 가이드부
1111: 가이드홈 1113: 가이드부재
1130: 접촉돌기 1300: 강화부
1: Reinforcement manufacturing device
100: frame 110: reinforcement groove
111: vertical groove 113: horizontal groove
200: spacer 210: first spacer
230: second spacer 300: core module
310: first core 311: first tube body
311a: first through hole 313: protruding member
330: second core 331: second tube body
331a: second through hole 500: adhesive layer
510: adhesive 530: reinforcing member
h1: first height h2: second height
1100: frame 1110: guide unit
1111: guide groove 1113: guide member
1130: contact protrusion 1300: reinforced part

Claims (10)

일면에 격자 형상의 보강홈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보강홈에 안착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상부에 안착되고, 폴리머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심재가 서로 접착되어 하나의 심재모듈을 포함하는 보강재 제조장치.
A frame in which a grid-shaped reinforcement groove is formed on one surface;
a spacer seated in the reinforcing groove; and
and a core material module seated on the spacer, wherein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made of polymer are adhered to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스페이서와 수직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페이서보다 높게 설치되는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보강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r is
a first spacer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nd a second spacer instal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spacer and installed higher than the first spac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접착제가 상기 보강홈 내측으로 주입되어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심재모듈을 일체화시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심재모듈이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함께 분리되도록 굳히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보강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dhesive layer in which an adhesiv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pacer is injected into the reinforcing groove to integrate the spacer and the core module so that the spacer and the core module are separated together from the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중심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단부에 캡톤(Kepton) 소재가 포함되는 재1 심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re is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ore material having a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including a Kepton material at both end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상기 제1 관통홀 내측에 삽입되고, 중심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된 금속 소재의 제2 심재를 포함하는 보강재 제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re is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second core material of a metal material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hole, the second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면에 가이드부재가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보강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comprising a guide part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and a guide member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보강홈 내측에 내측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보강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rame is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protrude inwardly inside the reinforcing groov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내부에 보강부재가 포함되는 보강재 제조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dhesive is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therei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모듈은,
상기 심재의 외측면에 상기 심재가 삽입되는 허니컴 구조의 강화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강화부재가 서로 접착되는 보강재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re module,
A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the reinforcing members having a honeycomb structure into which the core material is inserted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aterial and the reinforcing members are adhered to each other.
복수 개의 심재가 결합되는 심재모듈
상기 심재모듈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및
상기 심재모듈과 상기 스페이서를 접착시키는 접착제가 주입되어 상기 심재모듈과 상기 스페이서를 일체화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강재.
A core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are combined
a spacer separating the core module from the floor; and
and an adhesive layer in which an adhesive bonding the core module and the spacer is injected to integrate the core module and the spacer.
KR1020210041345A 2021-03-30 2021-03-30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KR102482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345A KR102482491B1 (en) 2021-03-30 2021-03-30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345A KR102482491B1 (en) 2021-03-30 2021-03-30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542A true KR20220135542A (en) 2022-10-07
KR102482491B1 KR102482491B1 (en) 2022-12-29

Family

ID=8359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345A KR102482491B1 (en) 2021-03-30 2021-03-30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4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76B1 (en) * 2001-08-20 2008-08-01 아사히가라스마텍스가부시끼가이샤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KR20190029166A (en) * 2017-09-12 2019-03-20 백연진 Stiffener for asphalt construction
JP2020124918A (en) * 2020-03-25 2020-08-20 帝人株式会社 Concrete reinforcement material, concrete structure having concrete reinforcemen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76B1 (en) * 2001-08-20 2008-08-01 아사히가라스마텍스가부시끼가이샤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KR20190029166A (en) * 2017-09-12 2019-03-20 백연진 Stiffener for asphalt construction
JP2020124918A (en) * 2020-03-25 2020-08-20 帝人株式会社 Concrete reinforcement material, concrete structure having concrete reinforcement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491B1 (en) 2022-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708B1 (en) Seismic reinforcement steel structure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KR101113204B1 (en) Noise-proof panel
KR102219654B1 (en) Reinforcing Method for Column using FRP and CRC board
KR102218286B1 (en) Reinforcing Method for Column using FRP and CRC board
KR100736202B1 (en) The drill machine of steel piles jointed hinges and the contract method
KR100804783B1 (en) Assembly manhole
KR20220135542A (en)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KR101986644B1 (en) Composite panel for cross-section restoration, positive/negative moment, and seismic reinforcing of concrete structures in air, wet and under water and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concrete structures using the panel
KR101428510B1 (en) Arch type construction using high strength concrete
JP2007170166A (en)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excellent sound insulating performance
JP4595840B2 (en) FRP freestanding sound barrier
KR102577890B1 (en) Construction panels comprising carbon fiber and aramid fiber
JP2010090630A (en) Reinforcing member joint structure
KR101054450B1 (en) Precasting structure
JP5570737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earthquake-resistant concrete blocks and earthquake-resistant walls with built-in light-transmissive members with high compressive strength
KR101818145B1 (en) Concrete structure for protective and blast resista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29621B1 (en) Regeneration valve chamb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399631Y1 (en) Storey structure of floor for building
JP5613383B2 (en) Structure
KR102053112B1 (en) Method of structure aseismic reinforcement using reinforcing Fibers
KR100743163B1 (en) Earthquake-block, Earthquake-proof wall useing Earthquake-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KR20210010357A (en) Method for structure aseismic reinforcement and load capacity reinforcement using fiber wrapping
KR20210080174A (en) A sidewalk bridge with shock absorbing and reducing vibration funtion
KR100836728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nstruction parking place pillar
KR102251018B1 (en)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of the Elevator Roo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