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876B1 -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 Google Patents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876B1
KR100849876B1 KR1020020048794A KR20020048794A KR100849876B1 KR 100849876 B1 KR100849876 B1 KR 100849876B1 KR 1020020048794 A KR1020020048794 A KR 1020020048794A KR 20020048794 A KR20020048794 A KR 20020048794A KR 100849876 B1 KR100849876 B1 KR 10084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unit
fiber bundle
lattice
lami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16177A (en
Inventor
하야시고시로
Original Assignee
아사히가라스마텍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가라스마텍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가라스마텍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으로, 이 공정은 수지재료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섬유를 묶어 섬유다발을 형성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을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에 교차시켜 격자를 형성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상기 격자의 교차위치에서 적층되는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 상기 형성된 단위 라미네이트 상에 격리판을 올리고 추가로 이 격리판 상에 제2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단위 라미네이트의 사이에 삽입된 격리판을 가지는 다층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 이 다층 라미네이트를 가압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상기 격자의 교차위치에서 접촉-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this process bundles a plurality of fiber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ith resin material to form a fiber bundle, and crosses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to form a grid. Forming a unit laminate in which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are lamin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attice; Raising the separator on the formed unit laminate and further forming a second unit laminate on the separator, and performing this operation repeatedly to form a multilayer laminate having separators interposed between the unit laminates; Pressing the multilayer laminate such that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are contact-bon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attice.

강화요소, 라미네이트, 다층 라미네이트, 격리판, 접촉-결합Reinforcing Elements, Laminates, Multilayer Laminates, Separator, Contact-Binding

Description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Manufacturing process of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도 1은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도 2는 교차위치에서의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부분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at the intersection.

도 3은 필라멘트 와인딩 포메이션에 사용된 장치의 평면도이다. 3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used in the filament winding formation.

도 4는 도 2의 2a, 2b 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s 2a and 2b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다층 라미네이트의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laminate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각 라미네이트가 얇기 때문에 스페이서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의 다층 라미네이트의 종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laminate when no spacer is used because each laminate is thin.

도 7은 교차위치를 가압하기 위해 복수의 추(weight)를 사용하는 가압방법을 설명하는, 다층 라미네이트의 종단면도이다.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laminate illustrating a press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weights to press the crossing position. FIG.

도 8은 교차위치를 가압하기 위해 턴버클(turnbuckle)방법을 사용한, 다층 라미네이트의 종단면도이다.FIG. 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laminate, using a turnbuckle method to press the cross posi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부분에 들어가는 강화요소를 제조하는 공정 및 이 공정에 의해 생성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reinforcing element entering a portion of a concrete structure and to a product produced by the process.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부분에 들어가는 강화요소로서, JP-A-62-15344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강화요소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지는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섬유가 묶여져 섬유다발을 형성하고, 이 섬유다발은 서로 교차되어져 격자형상이 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격자의 교차위치에서 3층 이상으로 적층되는 방법이 사용된다. 도 1은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요소는 서로 교차하여 격자를 형성하는 섬유다발로 이루어진다. 도 2는 교차위치에서의 강화요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수지재료(4)로 결합된 복수의 섬유(2) 로 이루어진 섬유다발(2a, 2b)들은 교대로 적층된다.As a reinforcing element entering a part of a concrete structure, a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as disclosed in JP-A-62-153449, is obtained in the following way, where a plurality of fiber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bundled to form a fiber bundle. The fiber bundles cross each other to form a lattice shape, and a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fiber bundl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are laminated in three or more layers at the intersection positions of the lattice.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As shown in Fig. 1, the reinforcing elements consist of fiber bundles that cross each other to form a lattice. 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inforcing element at the crossing position. As shown in Fig. 2, the fiber bundles 2a and 2b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bers 2 bonded to the resin material 4 are alternately stacked.

종전에는, 이러한 콘크리트 강화요소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왔는데, 이는, 필라멘트 와인딩 포메이션(filament winding formation)으로 섬유다발을 격자형상으로 서로 교차하여 라미네이트를 얻고, 이 라미네이트를 교차위치의 가압중에 가열하거나, 교차위치의 가압 후에 가열하여, 한번에 하나의 몰드로부터 하나의 생성 제품을 얻는 것이다.Previously, these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s have been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which is a filament winding formation in which fiber bundles cross each other in a lattice form to obtain laminates, and the laminates are heated during pressurization at the crossover position. Or by heating after pressurization at the cross position, to obtain one product from one mold at a time.

이러한 공정에 따르면, 강화요소에 요구되는 물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적절한 치수와 형상을 가진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예컨대 몰드 수의 제한과 같은 측면에서, 생산성이 낮고,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According to this process,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the reinforcing element can be properly maintained, and a product having appropriate dimensions and shapes can be obtained. However, in terms of limiting the number of molds, for example, productivity tends to be low and production costs tend to rise.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향상된 생산성으로 콘크리트 강화요소를 제조하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목적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with improved productivity.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을 제공하며, 이 공정은, 수지재료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섬유를 묶어 섬유다발을 형성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을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에 교차시켜 격자를 형성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상기 격자의 교차위치에서 적층되는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 상기 형성된 단위 라미네이트 상에 격리판을 올리고 추가로 이 격리판 상에 제2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단위 라미네이트의 사이에 삽입된 격리판을 가지는 다층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 이 다층 라미네이트를 가압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상기 격자의 교차위치에서 접촉-결합(contact-bonded)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which is a bundle of a plurality of fiber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resin material to form a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To cross a bundle of fiber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to form a lattice, and repeating this operation is a unit laminate in which the bundle of fiber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bundle of fibers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are lamin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attice. Forming; Raising the separator on the formed unit laminate and further forming a second unit laminate on the separator, and performing this operation repeatedly to form a multilayer laminate having separators interposed between the unit laminates; Pressing the multilayer laminate such that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are contact-bon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attice.

본 발명의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섬유다발의 평면의 직각 방향에서 다층 라미네이트를 가압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섬유다발이 접촉-결합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 bundles are preferably contact-bonded by pressing the multilayer laminat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ber bundles crossing each other.

본 발명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에서는, 단위 라미네이트의 두께를 한정하도록, 스페이서 (spacer)가 라미네이트의 격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spacers are arranged in the lattice of the laminate so as to limit the thickness of the unit laminate.

본 발명의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에서는, 단위 라미네이트의 치수를 한정하도록, 안내판(guide plate)이 라미네이트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plate is disposed at the periphery of the laminate so as to limit the dimensions of the unit laminate.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생성된 다층 라미네이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ultilayer laminate produced by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을 제공하는데, 이 공정은, 본 발명의 다층 라미네이트의, 상호 교차하는 섬유다발의 평면 상의 4 측면의 에지를 절단하여, 상기 다층 라미네이트를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로 분리하여 단위 라미네이트들을 얻는 것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which cuts the edges of the four sides on the plane of the intersecting fiber bundles of the multi-lay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converting the multi-layer laminate into a plurality of unit laminates. Separating to obtain unit laminates.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하게 본 발명을 기술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의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은,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가 격리판을 수단으로 적층되어 다층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unit laminates are laminated by means of a separator to form a multilayer laminate.

단위 라미네이트의 제조Preparation of Unit Laminates

단위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다음의 방법이 거론될 수 있으나, 그 방법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통해 단위 라미네이트가 제조될 수 도 있다.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unit laminate, the following method may be mentioned, but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nit laminate may be produced through other methods.

본 발명의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공정에서, 필라멘트 와인딩 포메이션이 섬유다발을 교차하여 격자형상으로 만들고, 서로 교차하는 섬유다발을 적층하는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참조로 구체적인 공정을 설명한다. 도 3의 장치는 테이블(platen)(10), 테이블(10)의 주변부에 배치된 안내 프레임(11), 및 테이블(10)의 외부 표면 상에 나란이 배치되고 각각 강화요소의 가로 또는 세로 요 소에 대응하는 핀(12)을 포함한다.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연속섬유는 수지재료에 함침되어 섬유다발이 얻어지고, 이 섬유다발들은 한번의 찌르기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의 대응 핀(12) 으로 순차적으로 고정되며, 섬유다발들은 상호 교차되어 격자를 형성하고, 세로 방향의 섬유와 가로 방향의 섬유는 예컨대 3층 이상으로 적층된다. 도 4는 교차위치에서 섬유다발 2a 및 2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다발(2a, 2b)의 교차위치에서, 복수의 섬유(2)를 결합함으로써 얻어진 각각의 섬유다발(2a, 2b)은 상호 교차되고 서로 적층된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ament winding formation is used to cross the fiber bundles into a lattice shape and to stack the fiber bundles that cross each other. A detailed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pparatus shown in FIG. The apparatus of FIG. 3 comprises a table 10, a guide frame 11 arranged at the periphery of the table 10, and side by sid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able 10, each of which has a horizontal or vertical yaw of the reinforcement element. And a pin 12 corresponding to the saw. A plurality of continuous fiber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impregnated with a resin material to obtain a fiber bundle, the fiber bundles are sequentially fixed with the corresponding pins 12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with a single stab, the fiber bundles are mutually They cross to form a lattice, and the fi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ber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stacked in three or more layers, for example.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iber bundles 2a and 2b at the intersection position. As shown in Fig. 4, at the intersections of the fiber bundles 2a and 2b, the respective fiber bundles 2a and 2b obtained by joining the plurality of fibers 2 cross each other and are stacked on each other.

다층 라미네이트의 제조Preparation of Multilayer Laminates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얻은 단위 라미네이트 상에, 격리판이 올려지고, 이 격리판 상에 상술한 작업이 동일하게 행해져, 추가로 제2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작업이 반복되어 행해져 단위 라미네이트의 사이에 삽입시킨 격리판으로 단위 라미네이트가 서로 적층된 다층 라미네이트가 얻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 얻어진 다층 라미네이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서,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도면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은 도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항은 이하의 도 6 및 도 7에도 적용된다. 단위 라미네이트(섬유다발)(50)는 그들 사이에 삽입된 격리판(51)을 수단으로 다층 라미네이트로 적층되어 있음을 도 5로부터 확인된다. 참조번호 52는 이후 언급되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를 가리키고, 참조번호 54는 섬유다발이 고정되는 핀을 가리킨다.In this invention, a separator is mounted on the unit laminate obtained as mentioned above, and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 work is performed similarly on this separator, and further forms a 2nd unit laminate. This operation is repeated to obtain a multilayer laminate in which the unit laminates are laminated with each other by a separator inserted between the unit laminates.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layer laminate obtained by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for easier understanding, a fiber bundle extending transverse to the figure is not shown. This also applies to FIGS. 6 and 7 below. It is confirmed from FIG. 5 that the unit laminates (fiber bundles) 50 are laminated in a multilayer laminate by means of the separator 51 inserted therebetween. Reference numeral 52 designates a spacer, as will be mentioned later, and reference numeral 54 designates a pin to which the fiber bundle is fixed.

본 발명의 공정에서,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 라 미네이트의 사이에 삽입되는 격리판을 수단으로 적층되며, 그리고 나서, 가압되어 단위 라미네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다발의 교차위치가 접촉-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단위 라미네이트의 두께가 균일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unit laminates are laminated by means of separators inserted between the unit laminates, as described above, and then contacted by the intersecting positions of the fiber bundles that are pressed to constitute the unit laminate. -To be combined. By this operation, the thickness of the unit laminate becomes uniform.

여기서, 수지재료의 열경화(heat curing) 또는 광-세팅(photo-setting)이 가압시에 또는 가압 후에 행해진다.Here, heat curing or photo-setting of the resin material is performed at the time of pressurization or after pressurization.

격리판은, 섬유다발의 교차위치가 적절하게 접촉-결합되는 동안 다른 단위 라미네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다발의 접촉결합을 막고, 다층 라미네이트가 형성된 후, 각 단위 라미네이트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한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격리판은, 예컨대, 셀로판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배출(release)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과 같은 플루오르 수지로 만들어진 시트와 같이 배출용으로 사용된 시트재, 또는 금속판 또는 예컨대 스테아르산 형태, 실리콘(silicone) 형태, 왁스 형태 또는 폴리비닐 알콜 (PVA) 형태로 수지 필름 상에 도포되는 배출 작용제를 가지는 수지 필름일 수도 있다.The separator prevents contact bonding of the fiber bundles constituting the other unit laminate while the cross bundle positions of the fiber bundles are properly contact-bonded, and nothing is so long as each unit laminate can be easily separated after the multilayer laminate is formed. Can be. The separator is, for example, a release film such as a cellophane or a polyester film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sheet material used for discharge, such as a sheet made of a fluorine resin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or It may be a metal plate or a resin film having a discharging agent applied on the resin film in the form of stearic acid, silicone, wax or polyvinyl alcohol (PVA), for example.

또한, 엠보싱된 격리판이 사용될 때, 함몰과 돌출이 라미네이트의 표면에 주어지고, 그리하여 콘크리트에 대한 접착 특성을 증가시킨다.In addition, when embossed separators are used, depressions and protrusions are given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e,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properties to the concrete.

본 발명의 공정에서는, 필요한 경우, 원하는 두께로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도록, 원하는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서를 미리 격자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 에서, 스페이서(52)들은 섬유다발(50) 사이, 즉 격자에 배치되고, 이로써, 단위 라미네이트의 원하는 높이가 유지될 수 있다. 도 5에서, 참조번호 51은 격리판을 가리킨다. 모든 스퀘어(square)에 스페이서를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가압시에 격자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해지도록, 필요한 수의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spacers having a desired height can be arranged in advance in the lattice so as to form a unit laminate with a desired thickness, if necessary. In FIG. 5, the spacers 52 are disposed between the fiber bundles 50, ie in the lattice, whereby the desired height of the unit laminate can be maintained. In Fig. 5, reference numeral 51 designates a separator.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the spacers in every square, and the required number of spacers may be arranged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attice at the time of pressurization is constant.

스페이서의 높이는, 생성되는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두께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단위 라미네이트용으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스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이로써, 다른 두께를 가지는 단위 라미네이트가 동시에 얻어질 수 있다.The height of the spacer can be chosen arbitraril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to be produced. Also, spaces with different heights can be used for individual unit laminates, whereby unit laminat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can be obtained simultaneously.

또한, 이하 설명되는 안내판이 스페이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late described below can be used with the spacer.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것이 원하는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강화요소를 얻는데 바람직하지만, 격자형상에서 최종 단위 라미네이트의 두께가 약 1mm 내지 약 3mm 와 같은 얇은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경우, 어떤 경우에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스페이서를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안내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각 단위 라미네이트가 얇고 스페이서가 사용되지 않는 다층 라미네이트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참조번호 60은 섬유다발을 가리키고, 참조번호 61은 격리필름을 가리킨다. 안내판(63)은 격자형상에서, 핀(65) 안쪽의, 라미테이트의 주변부에 배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면에 수직인 방향의 주변부에도 또한 안내판(63)이 배치된다.As mentioned above, it is preferable to use spacers to obtain a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having a desired thickness, but in the case of lattice form when forming a thin unit laminate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final unit laminate is from about 1 mm to about 3 mm, in some cases the structure In terms of spacers it may be difficult to use spacer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use a guide plate. 6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laminate in which each unit laminate is thin and no spacers are used. In Fig. 6, reference numeral 60 denotes a fiber bundle, and reference numeral 61 denotes a separator film. The guide plate 63 is disposed in the lattice shape, on the periphery of the laminator inside the pin 65. Although not shown, the guide plate 63 is also disposed at the peripher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awing.

안내판(63)은 구멍 또는 홈을 가지는 판 형상인데, 이 구멍 또는 홈을 통해 핀(62)을 향해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통과하여, 가압시에 단위 라미네이트의 치수 및 형상을 유지한다. 안내판(63)은 격리필름으로 덮이거나, 배출 작용제로 도포되어, 가압시에 섬유다발의 접촉결합을 막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 이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안내판(6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판(63)의 높이 및 위치는, 단위 라미네이트의 크기 및 다층 라미네이트의 높이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The guide plate 63 is a plate shape having a hole or a groove, through which a bundle of fibers extending toward the pin 62 passes to maintain the dimensions and shape of the unit laminate upon pressing. The guide plate 63 is covered with a separator film or applied with a discharging agent to prevent contact bonding of the fiber bundles upon pressuriz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guide plate 63 even when the spacer is used as shown in FIG.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guide plate 63 may be arbitrarily select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nit laminate and the height of the multilayer laminate.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스페이서 또는 안내판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행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using a spacer or a guide plate.

다층 라미네이트의 가압방법으로는, 단위 라미네이트의 섬유다발의 교차위치가 일정하게 가압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도 가능하나, 서로 교차하는 섬유다발 평면의 직각 방향에서 다층 라미네이트가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수단으로서는,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덩어리 또는 모래나 금속 입자를 가지는 백 등의, 복수의 추(73)가 다층 라미네이트(70)의 상부에 놓여져, 섬유다발의 교차위치에서의 하중이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참조번호 71은 핀을 가리키고, 참조번호 72는 안내판을 가리킨다. 도면에 대해 길이방향의 섬유다발과 격리판은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으면, 다층 라미네이트의 모든 길이방향 또는 라미네이트의 전 상부 표면을, 덮는 막대 또는 추가 가압을 위해 다층 라미네이트의 상부에 놓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라미네이트(80)는 박스 프레임(82)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 나사(feed screw)(83)로 프레임으로부터 저항력(counterforce)이 가해질 수 있어, 라미네이트(80)는 턴버클 방식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강화요소의 구획형상에 따라, 격자 면적당 100∼200 kg/m2 의 하중을 가함으로써, 섬유다발의 교차위치가 적절하게 접촉-결합될 수 있다. 도 8에서, 참조번호 81은 핀을 가리킨다.As the pressing method of the multilayer laminate, any method can be used as long as the crossing positions of the fiber bundles of the unit laminate can be uniformly press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ultilayer laminate is press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ber bundle crossing each other. As the pressurizing mea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weights 73, such as a metal mass or a bag having sand or metal particles, are placed on the multilayer laminate 70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ber bundles. The load of can be made constant. Reference numeral 71 designates a pin and reference numeral 72 designates a guide plate. The longitudinal fiber bundles and separators are not show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Otherwise, all longitudinal or entire top surfaces of the laminate would have to be placed on top of the multilayer laminate for covering or additional pressuriza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multilayer laminate 80 may be formed of a box frame 82, and a counterforce may be applied from the frame with a feed screw 83, thereby providing a laminate ( 80 may be pressurized in a turnbuckle manner. In this way, depending on the partition shape of the reinforcing element, by applying a load of 100 to 200 kg / m 2 per grid area, the intersecting positions of the fiber bundles can be appropriately contact-coupled. In Fig. 8, reference numeral 81 denotes a pin.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치로, 섬유다발이 상호 적층된 경우에, 격자 밖의 핀(12) 상에 고정된 섬유다발은, 가압 및 수지재료의 경화 후에 절단되어, 다층 라미네이트는 테이블로부터 꺼내지고, 따라서 격자에서 돌출되어 자락으로 존재하는 섬유다발은 제품 제조시에 잘려나감으로써, 재료가 낭비된다. 핀(12)이 움직일 수 있고 격자로부터 뽑아질 수 있을 때, 다층 라미네이트는 그대로 테이블로부터 꺼내질 수 있고, 격리판을 제거함으로써, 각 단위 라미네이트가 분리될 수 있어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를 얻는다. 따라서, 자락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 모든 섬유다발이 격자를 구성하여, 재료의 수율이 향상된다.With the apparatus as shown in Fig. 3, in the case where the fiber bundles are laminated to each other, the fiber bundles fixed on the pins 12 outside the lattice are cut after pressing and curing of the resin material, so that the multilayer laminate is taken out from the table and Therefore, the fiber bundles protruding from the lattice and present as hem are cut off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product, resulting in waste of material. When the pin 12 is movable and can be pulled out of the grating, the multilayer laminate can be taken out of the table as it is, and by removing the separator, each unit laminate can be separated to obtain a plurality of unit laminates. Thus, no hem will occur and all the fiber bundles make up the lattice, thus improving the yield of the material.

본 발명의 다층 라미네이트는,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가 이들 사이에 삽입된 격리판을 수단으로 서로 적층되고, 가동 핀을 사용한 상기의 방법과 테이블로부터 다층 라미네이트를 꺼냄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층 라미네이트이다.The multilay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ayer laminate that can be obtain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laminates with each other by means of separators inserted therebetween, and taking the multilayer laminate out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using a movable pin and a table.

단위 라미네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다발이 안내판 상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기 때문에, 다층 라미네이트는 안내판에 고정되고, 따라서 다층 라미네이크가 테이블로부터 꺼내질 때도, 단위 라미네이트는 분리되지 않고 다층의 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다층의 상태로 라미네이트를 운반할 수 있고, 사용시에, 격자 상의 네 측면의 에지를 절단함으로써, 즉 서로 교차하는 섬유다발의 네 측면의 에지를 절단함으로써, 다층 라미네이트는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로 분리될 수 있다.Since the fiber bundles constituting the unit laminate pass through the holes formed on the guide plate, the multilayer laminate is fixed to the guide plate, so that even when the multilayer laminate is taken out from the table, the unit laminate is not separated but remains in a multilayered shape. . Thus, the laminate can be transported in a multi-layered state, and in use, by cutting the edges of the four sides on the lattice, ie by cutting the edges of the four sides of the fiber bundle that cross each other, the multilayer laminate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unit laminates. Can be.

단위 라미네이트를 구성하는 섬유다발의 교차는 직사각형 교차에 한정되지 않고, 편향된 교차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체 격자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사방형(rhombus)일 수 있다. 또한, 개별 단위 라미네이트의 형상은 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터널의 벽과 같이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만곡된 형상의 라미네이트는 평평한 테이블 대신에 만곡된 테이블을 사용하고 만곡된 가압 추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section of the fiber bundles constituting the unit laminate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intersection but may be a biased intersection.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entire lattice is not limited to a rectangle, but may be a rhombu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dividual unit laminate is not limited to a plane, but may be a curved shape such as a wall of a tunnel. Such curved shaped laminates can be formed by using curved tables instead of flat tables and by using curved pressure weights.

본 발명에서, 단위 라미네이트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라미네이트의 수요와 제조에 사용된 안내판의 높이에 따라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unit laminat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rbitrarily selected depending on the demand of the laminate and the height of the guide plate used in the manufacture.

본 발명에서, 섬유다발을 구성하는 섬유는 섬유강화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어떠한 섬유라도 될 수 있고, 주로 유리 섬유와 탄소 섬유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섬유, 알루미나 섬유, 탄화실리콘 섬유, 질화실리콘과 같은 세라믹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또는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와 같은 합성수지 섬유 등 다른 섬유들도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s constituting the fiber bundle may be any fibers used in the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mainly include glass fibers and carbon fibers. However, other fibers may also be used, such as metal fibers, alumina fibers, silicon carbide fibers, ceramic fibers such as silicon nitride, or synthetic fibers such as aramid fibers, polyethylene fibers or polyarylates.

본 발명에서, 섬유가 함침되는 수지재료는,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제조에 사용되는 어떠한 수지재료도 될 수 있고, 예컨대, 비닐 에스테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페놀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되는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material impregnated with the fiber may be any resin material used for the production of fiber-reinforced plastics, for example,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vinyl ester resi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epoxy resin or phenol resin is used. It may also be desirable.

이하, 실시예를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기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결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by no means limited to this particular embodiment.

도 3의 장치를 이용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판 필름(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스페이서(높이 : 4mm)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강화재 D6 에 상당하는 5개 층의 탄소 형태 콘크리트 강화요소 CR6 (평면 격자, 두께 ×너비 : 4 ×4.4mm, 격자공간 : 50mm)를 가지는 다층 라미네이트가, 탄소섬유(단일 필라멘트 직경 : 8 ㎛) 및 비닐 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의 추정된 면적의 m2 당 100 kg 의 추가 라미네이트의 상부에 올려져, 라미네이트에 가해진 하중은 일정하게 되고, 이 상태의 라미네이트가 경화 오븐에 놓여지며, 2시간 동안 60℃ 에 유지하여 비닐 에스테르 수지를 경화한다. 그 결과, 단위 라미네이트의 교차위치가 적절하게 접촉-결합되고 경화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한번에 하나의 몰드로부터 하나의 제품을 형성하는 종래의 공정과 비교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장치의 수는 통상 필요로 하는 장치 수의 1/4 내지 1/5 로 감소되어졌고,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단위시간당 생산량은 3배 내지 4배로 증가한 반면,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강도 등 특성은 만족할만 하다.When using the apparatus of FIG. 3, as shown in FIG. 5, in a manner using a separator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nd a spacer (height: 4 mm), five layers of carbon-type concrete equivalent to reinforcement D6 A multilayer laminate with reinforcing element CR6 (planar lattice, thickness x width: 4 x 4.4 mm, lattice space: 50 mm) is formed using carbon fiber (single filament diameter: 8 mu m) and vinyl ester resin. As shown in FIG. 7, on top of 100 kg of additional laminates per m 2 of the estimated area of the laminates, the load applied to the laminates becomes constant and the laminates in this state are placed in the curing oven and 2 hours The temperature is kept at 60 ° C. to cure the vinyl ester resi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cross position of the unit laminate was properly contact-bonded and cured.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cess of forming one product from one mold at a time, as shown in FIG. 3, the number of devices required is typically reduced to 1/4 to 1/5 of the number of devices required. While the output per unit time of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increased by three to four times, the properties such as strength of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are satisfactory.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면, 복수의 콘크리트 강화요소가 동시에 제조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면, 예컨대 다른 치수를 가지는 콘크리트 강화요소가 하나의 제조공정에서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can b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concrete reinforcing elemen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s having different dimensions can be produced simultaneously in on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의 다층 라미네이트는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하나의 다층 구조로 운반될 수 있다. 사용시에, 서로 교차하는 섬유다발 평면의 네 측면의 에지를 절단함으로써, 다층 라미네이트는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로 분리되고, 이로써 단위 라미네이트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단위 라미네이트는, 철도용 통신 케이블의 트로프(trough), 바닥 덮개, 또는 방수 터널 및 지하 터널용 실드머신용 수직 샤프트와 같은, 건축 또는 토목공학용의 콘크리트재의 강화요소로서 유용하다.The multilayer lamin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veyed in one multilayer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laminates. In use, by cutting the edges of the four sides of the fiber bundle plane that cross each other, the multilayer laminate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unit laminates, thereby obtaining a unit laminate. The unit laminate thus obtained is useful as a reinforcing element of concrete for construction or civil engineering, such as troughs, floor coverings of railway communication cables, or vertical shafts for shielding machines for waterproof tunnels and underground tunnels.

Claims (6)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방법으로, 이 방법은,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s, 수지재료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섬유를 묶어 섬유다발을 형성하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을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에 교차시켜 격자를 형성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상기 격자의 교차위치에서 적층되는 단위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고; A plurality of fiber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resin material are bundled to form a fiber bundle, and a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is intersected with a fiber bundle extending in another direction to form a lattice. A bundle of fibers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bundle of fibers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form a unit laminate lamin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attice; 이 형성된 단위 라미네이트 상에 격리판을 올려 이 격리판 상에 제2 단위 라미네이트를 추가로 형성하며,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단위 라미네이트의 사이에 삽입된 격리판을 가지는 다층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며; Placing a separator on the formed unit laminate to further form a second unit laminate on the separator; this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to form a multilayer laminate having separators interposed between the unit laminates; 이 다층 라미네이트를 가압하여,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섬유다발이 상기 격자의 교차위치에서 접촉-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방법.Pressing the multilayer laminate so that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the fiber bundle extending in the other direction are contact-bon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latt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라미네이트가 서로 교차하는 섬유다발의 평면의 직각 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ultilayer laminate is pressed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fiber bundles crossing each oth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라미네이트의 두께를 한정하는 스페이서가 상기 라미네이트의 격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spacer defining a thickness of said unit laminate is disposed in the lattice of said lamina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라미네이트의 치수를 한정하는 안내판이 상기 라미네이트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guide plate defining a dimension of the unit laminate is disposed at the periphery of the laminate. 삭제delete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방법으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 라미네이트의, 상호 교차하는 섬유다발의 평면 상의 4 측면의 에지를 절단하여, 상기 다층 라미네이트를 복수의 단위 라미네이트로 분리하여 단위 라미네이트들을 얻는 것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강화요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element, wherein the multilayer laminate produc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cut off at four side edges on the plane of mutually intersecting fiber bundles, thereby forming the multilayer laminate in plural unit laminates. Method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ement element comprising obtaining unit laminates by separating.
KR1020020048794A 2001-08-20 2002-08-19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KR10084987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8670A JP4666840B2 (en) 2001-08-20 2001-08-20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reinforcing member
JPJP-P-2001-00248670 2001-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177A KR20030016177A (en) 2003-02-26
KR100849876B1 true KR100849876B1 (en) 2008-08-01

Family

ID=1907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794A KR100849876B1 (en) 2001-08-20 2002-08-19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66840B2 (en)
KR (1) KR100849876B1 (en)
CN (1) CN1406727A (en)
TW (1) TW542867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542A (en) * 2021-03-30 2022-10-07 홍미경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0452C (en) * 2006-06-23 2008-08-13 天津市永定河管理处 Hydrotechnics gate made from concrete of fibre tendon, and preparation method
KR101540243B1 (en) * 2015-01-15 2015-07-30 주식회사 디앤시스 Hybrid fiber composite sheet for concrete structure and strengthen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thing
CN105780738A (en) * 2016-05-13 2016-07-20 天津江河弘元环境技术研究有限公司 Fiber reinforced concrete hydraulic g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449A (en) * 1985-12-26 1987-07-08 清水建設株式会社 Concrete reinforcing member
JPH01178649A (en) * 1988-01-06 1989-07-14 Shimizu Corp Concrete reinforcing member
JPH01203551A (en) * 1988-02-08 1989-08-16 Shimizu Corp Concrete reinforcing member
JPH10102792A (en) * 1996-10-03 1998-04-21 Toray Ind Inc Carbon fiber textile and concrete structure
KR19980051334A (en) * 1996-12-23 1998-09-15 김준웅 Partially toughened reinforced fiber shee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449A (en) * 1985-12-26 1987-07-08 清水建設株式会社 Concrete reinforcing member
JPH01178649A (en) * 1988-01-06 1989-07-14 Shimizu Corp Concrete reinforcing member
JPH01203551A (en) * 1988-02-08 1989-08-16 Shimizu Corp Concrete reinforcing member
JPH10102792A (en) * 1996-10-03 1998-04-21 Toray Ind Inc Carbon fiber textile and concrete structure
KR19980051334A (en) * 1996-12-23 1998-09-15 김준웅 Partially toughened reinforced fiber she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542A (en) * 2021-03-30 2022-10-07 홍미경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KR102482491B1 (en) 2021-03-30 2022-12-29 홍미경 Reinforcing material manufactu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2867B (en) 2003-07-21
JP4666840B2 (en) 2011-04-06
KR20030016177A (en) 2003-02-26
CN1406727A (en) 2003-04-02
JP2003056120A (en)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4082A (en) Reinforced foam core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tion
KR101303973B1 (en) Dry-Forming Three-Dimensional Wood Fiber Webs
US803426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composite fairing bar
SE521525C2 (en) Panels utilizing a pre-cured reinforced co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366579C2 (en) Method forming laminar material with filleted joint
US5900304A (en) Molded wood fiber web and structural panels made utilizing the fiber web
GB2246740A (en) Continuous process for formi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honeycomb structures
EP0266457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corrugated wafer board panel
US10167583B2 (en) Honeycomb structure made of a non-woven made of recycled carbon fibers
JPH05269873A (en) Production of lattice like structure
KR100849876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ncrete reinforcing component
EP2186627B1 (en) Method for continuously forming composite material shape member having varied cross-sectional shape
US20140120317A1 (en) Composite load-bearing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200031506A (en) Preform forming method and composite shaping method
KR0132259B1 (en) Laminated molded article and its production method
JPH02303836A (en) Compon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W584594B (en) Process for continuously producing a lattice body made of a fiber-reinforced synthetic resin
RU2634016C2 (en) Method to produce multilayer article of polymer composite material
JP649636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composite board
US2003020931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abricated OSB studs
CN11326375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entral caisson made of composite Material for an aircraft wing
CN216006211U (en) Carbon fiber template and manufacturing system thereof
JPH08144511A (en) Concrete form and manufacture of its concrete form
KR10215398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d Board
US672552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single or multi-layer, fiber-reinforced flat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