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428A -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35428A KR20220135428A KR1020210041081A KR20210041081A KR20220135428A KR 20220135428 A KR20220135428 A KR 20220135428A KR 1020210041081 A KR1020210041081 A KR 1020210041081A KR 20210041081 A KR20210041081 A KR 20210041081A KR 20220135428 A KR20220135428 A KR 202201354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concrete
- steel plate
- concrete solid
- ph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72 high-strength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0—Piles comprising both precast concrete portions and concrete portion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2—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corrug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69—Weld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PHC말뚝과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복합말뚝 연결부를 제공하여, 건축구조물등의 기둥구조물 및 말뚝구조물 시공에 적용할 수 있는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복합말뚝 연결부는 PHC말뚝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 및 외부밴드;와 내부밴드;를 포함하는 이중 원형튜브형태의 이중 내측밴드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PHC말뚝과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복합말뚝 연결부를 제공하여, 건축구조물등의 기둥구조물 및 말뚝구조물 시공에 적용할 수 있는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PHC말뚝(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과 PHC말뚝의 연결부 예시도이다.
상기 PHC말뚝은 중공부 형성된 튜브 형태의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서 콘크리트 몸통부에는 철근조립체(미도시)와 PC강재(11)가 매립되어 있고, 상기 PC강재(11)는 PHC말뚝(10)의 단부면에 매립된 슬리브 형태의 정착구(12)에 정착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PHC말뚝은 공장에서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도록 제작하기 때문에, 현장등에서 양 PHC말뚝의 연결단부를 서로 연결시켜 소정의 말뚝깊이에 따른 연장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1a에 의하면 상,하로 연결되는 PHC말뚝(10a,10b) 연결단부에는 각각 슬리브 형태의 정착구(12)를 매립 형성시키고, 정착구(12)에는 PC강재(11)가 미리 정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에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는 정착구(12) 사이에 별도의 연결브라켓(30)을 설치하고, 상기 연결브라켓(30)으로부터 정착구(12)로 체결되는 연결볼트(13)를 설치함으로서 양 PHC말뚝(10)를 연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PHC말뚝 연결단부는 연결브라켓(30)에 설치되는 연결볼트(13)의 설치개수에 의하여 작용하는 응력을 모두 저항하도록 하고 있어 연결성능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게 되며, 연결브라켓(30)을 별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1b는 종래 RC말뚝(20)과 RC말뚝(20)의 연결부 예시도이다.
상기 RC말뚝(20)은 PHC말뚝과 달리 PC강재(11)를 사용하지 않는 말뚝으로서 고강도 콘크리트가 상용화됨에 따라 PHC말뚝 보다는 제작 설비가 간단하다는 장점을 이용하여 철근조립체(15)에 의하여 제작된 철근콘크리트 말뚝이다.
이에 철근콘크리트 말뚝인 RC말뚝(2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결강판(23)을 서로 용접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을 이용함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RC말뚝(20)은 콘크리트 몸통부(21)에 철근조립체(22)가 매립되어 있는데, 철근조립체(22)를 연결강판(23)에 형성된 커플러(24)에 의하여 일체화시킨 후에 상기 연결강판(23)을 서로 용접만에 의하여 별도 일체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상기 RC말뚝(20)의 연결부 보강을 위하여 연결강판(23)에 연결보강판(25)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연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커플러(24)에 더하여 스터드(26)도 연결강판(16)에 일체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 몸통부(21)와 연결강판(23)을 서로 일체화시키기 위함이다.
결국, 종래 PHC말뚝(10) 또는 RC말뚝(20)은 별도의 연결브라켓(30)을 이용하여 연결볼트(13)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거나, 연결단부에 일체화시킨 연결강판(23)을 용접만에 의하여 일체화시켜 연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결수단들은 PHC말뚝(10), RC말뚝(20)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복합말뚝과 같이 서로 다른 PHC말뚝(10)과 RC말뚝(20)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은 아니고, 외부 용접이나 연결볼트 만으로는 연결단부 성능 확보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말뚝구조물, 기둥구조물에 함께 적용한다기 보다는 말뚝의 연결구성에 제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복합말뚝인 PHC말뚝과 이중 내측밴드가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를 서로 용접만에 의하여 간단하게 일체화시켜도 연결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말뚝 연결부를 이용하여 일체화된 PHC말뚝과 크리트 중실말뚝을 지중에 시공되는 말뚝구조물, 기초판과 슬래브,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시공되는 기둥구조물로도 확장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PHC말뚝과 콘크리트말뚝의 장점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경제적인 구조물 시공이 가능한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은 PHC말뚝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강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 내부에 형성된 외부밴드;와 상기 외부밴드의 중앙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강판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 내부에 형성된 내부밴드;를 포함하는 이중 원형튜브형태의 이중 내측밴드;를 포함하여, 중실콘크리트(C)가 내측의 중실콘크리트(C)가 외부밴드와 내부밴드 사이에 위치하여 구속됨으로서 작용하중에 의하여 PHC말뚝과 콘크리트 중실말뚝이 서로 분리되는 것에 저항하여 용접만에 의하여 PHC말뚝와 콘크리트 중실말뚝을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PHC말뚝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를 복합말뚝 연결부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두부보강수단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를 복합말뚝 연결부로 연결시킨 말뚝구조물인 복합말뚝 연결부를 이한 말뚝구조물과, PHC말뚝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를 복합말뚝 연결부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를 복합말뚝 연결부로 연결시키고, 상기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하부를 기초판에 연결시키고,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는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과 상층 PHC말뚝을 복합말뚝 연결부로 연결시켜 기초판과 상층 슬래브에 설치되는 기둥구조물인 복합말뚝 연결부를 이용한 기둥구조물과 그 시공방법을 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PHC말뚝과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연결단부에 있어서 작용하중에 의하여 연결강판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강판을 용접시키는 작업만으로도, 콘크리트 중실말뚝 연결단부 내부에 설치된 이중 내측밴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중실말뚝이 PHC말뚝으로부터 분리되어 인발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연결작업은 종래 용접에 의한 연결수단만을 이용할 수 있어 시공성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연결성능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복합말뚝을 지중에 시공되는 말뚝구조물 또는 건축구조물에서 기초판, 슬래브에 시공되는 기둥구조물에 응용하여 적용함으로서 프리캐스트 복합말뚝의 사용성 확대가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PHC말뚝과 PHC말뚝의 연결부 예시도
도 1b는 종래 RC말뚝과 RC말뚝의 연결부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이중 내측밴드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종래 RC말뚝과 RC말뚝의 연결부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중실말뚝의 이중 내측밴드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100)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이중 내측밴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합말뚝 연결부(100)은 PHC말뚝(600, PHC파일이라고도 한다.)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서로 연결하는 부위를 의미하며,
연결수단으로서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각각 연결강판(110)을 형성시키고, 연결강판(110)을 외부에서 용접만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시켜 기본적인 연결성능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은 튜브(중공관) 형태가 아니라 봉부재와 같이 중실(속이 채워진 형태) 단면 형태로서 내부에는 철근조립체(72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립된 철근콘크리트 말뚝이다.
이에 연결단부면에는 연결강판(110)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강판(110)에 이중 내측밴드(120)가 이중 원형튜브형태로 일면이 일체화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PHC말뚝(600)과 연결강판(110)들에 의하여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연결되어 있고,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철근조립체(720)는 연결강판(110)에 고정커플러에 연결되어 있어, 작용하중의 명확한 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이중 내측밴드(120)는 콘크리트몸통부(710) 내측에 고정커플러(730)에 체결된 철근조립체(720)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부의 콘크리트몸통부(710)가 일체화됨에 따라, 콘크리트몸통부(710)와 철근조립체(720)가 인발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복합말뚝 연결부(100)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에 설치되는 양 연결강판(110), 이중 내측밴드(12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PHC말뚝(6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중공부 형성된 튜브 형태의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서 내부중공부(S)가 형성된 콘크리트몸통부(610)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과 연결접면에 용접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역시 연결단부면에 연결강판(11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PHC말뚝(600)의 연결단부면에는 연결강판(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강판(110)에는 콘크리트몸통부(610)에 매립되는 PC강재(630)가 긴장 후 정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결강판(110)의 외주면은 연결보강판(640)에 의하여 감싸져 있어 연결강판(110)이 설치된 부위를 외부에서 연결보강판(640)이 감싸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보강판(640)은 파형판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강판(110)은 예컨대 일정한 두께의 원형강판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에 상기 PC강재(630)는 콘크리트몸통부(610)에 매설되어 단부가 연결강판(110)을 관통하여 연결강판(110)의 노출면에 형성된 노치부(650)에 의하여 정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PHC말뚝(600)은 미도시된 철근조립체를 포함하며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현장에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과 양 연결강판(110)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봉부재와 같이 중실(속이 채워진 형태) 단면 형태로서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는 철근조립체(72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립된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서 PHC말뚝(600)과 용접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연결단부면에 연결강판(110)이 역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과 PHC말뚝(600)의 연결강판(110)이 서로 용접만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에서 복합말뚝은 콘크리트 중실말뚝(700)과 PHC말뚝(600)이 서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은 중실단면의 콘크리트몸통부(710)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강판(110)이 콘크리트몸통부(710) 연결단부면에 일체화되어 있고, 전면은 외부로 노출되고 배면에는 이중 내측밴드(12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이중 내측밴드(120)가 연결강판(110) 배면에 일체화되어 있고, 이중 내측밴드(120)는 콘크리트몸통부(710)에 내부에 연결강판 배면쪽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작용하중(휨모멘트등)에 의하여 PHC말뚝(600)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인발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속기능을 가지게 된다.
이에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 배면에 이중 내측밴드(120)의 일측면이 용접만에 의하여 고정되어 일체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 내측밴드(120)의 내측에는 철근조립체(720)가 고정커플러(7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역시 이러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도 미리 공장에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되며 현장에서 PHC말뚝(600)과 연결되며, 상기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매립되어 배근된 철근조립체(720)는 콘크리트몸통부(710) 연장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어 연장된 주근이 스트럽철근에 의하여 구속되도록 하되, 상기 주근의 단부가 연결강판(110)에 고정커플러(730)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은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현장에서 양 연결강판(110)을 서로 용접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연결되도록 하면서도,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이중 내측밴드(120)과 철근조립체(720)를 연결강판(110) 배면에 고정시켜 작용하중에 의하여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서로 분리되도록 것에 저항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강판(11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서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용접작업의 대상이되는 강판이다.
이에 상기 연결강판(110)은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각각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단면형태에 대응하여 원형강판등을 이용하면 된다.
이러한 연결강판(110)의 용접은 연결강판(110)이 서로 접하는 외곽을 따라 용접홈이 자연스럽게 예컨대 V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용접홈에 용접봉을 이용하여 연결강판(110)이 서로 완전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강판(110)들이 연결만으로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서로 연결시켜 주고, 필요한 연결성능을 이중 내측밴드(120)로 추가 확보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중 내측밴드(12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형성된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일면이 용접등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PHC말뚝(600) 말뚝으로부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인발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저항하는 역할을 하는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로 이루어진 이중 튜브 형태의 밴드이다.
즉, 외부밴드(121)는 연결강판(110)의 외측면을 따라 원형과 같은 폐합 밴드로 콘크리트몸통부(710) 연결단부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밴드(122)는 외부밴드(121)로부터 연결강판(110)의 중앙쪽으로 이격된 원형과 같은 폐합 밴드로 역시 콘크리트몸통부(710) 연결단부면 내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중 내측밴드(120)로 형성시킨 이유는 내측으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철근조립체(720)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내측의 중실콘크리트(C)가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 위치하여 구속됨으로서 작용하중(휨모멘트등)에 의하여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에 저항이 가능하고, 구속된 중실콘크리트를 감싸 보강할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중 내측밴드(120)는 현장에서 달리 작업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이를 전제로 연결강판(110)의 용접 연결만으로 본 발명의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 연결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이중 내측밴드(120)는 절곡판 형태로 형성시켜 중실콘크리트(C)와의 일체성 확보, 작용하중에 대한 강성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2a 및 도 2b의 경우 절곡판 형태의 외부밴드 및 내부밴드(121,122)에 의한 이중 내측밴드(120)는 연결강판(110) 강판의 배면에 용접등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고정커플러(730)가 역시 연결강판(110) 배면에 일체화되어 있고,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이 상기 고정커플러(730)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결국 PHC말뚝(600)의 연결강판(11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이 용접만에 의하여 연결만 하더라도,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이중 내측밴드(120)와 고정커플러(730)에 의한 철근조립체(720)가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과 기본적으로 일체화되고,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은 PHC말뚝(600)의 연결강판(110)과 일체화되어 있어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PHC말뚝(600)로부터 분리되려는 인발에 추가로 저항할 수 있어, PHC말뚝(600)에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성능을 추가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도 2a 및 도 2b의 경우에는 이중 내측밴드(140)를 절곡판을 이용하고 있으나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그 변형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이중 내측밴드(140)를 도시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형성된 연결강판(110)과 이중 내측밴드(120)의 설치형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먼저 도 3a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이중 내측밴드(120)는 도 2와 대비하여 이중 내측밴드 이기는 하지만 절곡판으로 형성되지 않고,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의 내측면에 수평절편(123)이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역시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는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커플러(730)가 형성되어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이 상기 고정커플러(730)에 체결 고정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수평절편(123)은 걸곡판의 절곡부 역할을 하게 되며 수평절편(123)을 외부밴드(121) 내측면에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의 경우에는 도 3a와 대비하여 고정커플러(730)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라 할 수 있으며, 이에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이중 내측밴드(120)를 형성시키되, 절곡판으로 형성되지 않고,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의 내측면에 수평절편(123)이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한 것은 도 3a와 동일하다.
단지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의 연결강판(110)을 관통하는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이 연결강판(110)의 전면에 정착홈(111)에 확장머리부에 의하여 정착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주근의 단부는 확장머리부로 형성되어 정착홈(111)에 삽입 지지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역시 상기 수평절편(123)은 걸곡판의 절곡부 역할을 하게 되며 수평절편(123)을 외부밴드(121) 내측면에 용접등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200,300)과 시공방법 ]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복합말뚝 연결부(100)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200,300)과 시공방법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4a의 경우에는,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를 역시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킨 말뚝구조물(200)로 기초판(400)에 하부에 시공되도록 적용하고,
반면 도 4b의 경우에는,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기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의 하부를 기초판(400)에 연결시키고,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는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과 상층 PHC말뚝(600a)을 역시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킨 기둥구조물(300)로 기초판(400)과 상층 슬래브(500)에 적용하는 것이다.
즉,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하여 지중에 시공되는 말뚝구조물(200)과 기초판(400)과 슬래브(500) 사이에 시공되는 기둥구조물(300)로 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말뚝구조물(200)과 시공방법]
도 4a를 기준으로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하여 지중에 시공되는 말뚝구조물(200)과 그 시공방법을 함께 살펴본다.
상기 말뚝구조물(200)은 지중에 천공홀(H)을 형성시킨 후, 천공홀(H)에 상기 말뚝구조물(200)을 삽입하여 선단 지지되도록 하면서, 천공홀(H) 내주면과의 마찰력으로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말뚝구조물(200)은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를 역시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켜 제작하고, 기초판(400)에 두부보강수단(740)을 이용하여 말뚝구조물(200)의 두부를 일체화시켜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을 이용하게 되면 PHC말뚝(600) 하부를 천공홀 선단저면에 직접 지지되도록 하는 것과 대비하여 선단이 확장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고, 자중이 커질 수 밖에 없는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장길이를 최소화시킬 경우 프리캐스트 방식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을 이용하게 되면 PHC말뚝(600) 두부를 직접 기초판(400)에 일체화시키는 것과 대비하여 두부보강수단(740)으로서 간단하게 철근조립체를 그대로 설치할 수 있고, 역시 자중이 커질 수 밖에 없는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의 연장길이를 최소화시킬 경우 프리캐스트 방식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4a를 기준으로 PHC말뚝(60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공장 제작된 것을 이용하면 되고, 상면과 저면에 각각 연결강판(110)이 노출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a를 기준으로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은 상부에 연결강판(1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PHC말뚝(600)의 연결강판(110)과 용접만에 의하여 간단하게 연결시키게 되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도 봉부재와 같이 중실(속이 채워진 형태) 단면 형태로서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는 철근조립체(72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립된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서 특히 선단부분이 단면 확장되어 선단지지력 확보에 유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의 연결단부면에는 이중 내측밴드(120)가 이중 원형튜브형태로 일면이 연결강판(110)에 일체화 고정되도록 하게 되며, 특히 상기 이중 내측밴드(120) 내측으로 연결강판(110)에는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이 고정커플러(730)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도 3b와 같이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는 연결강판(110)을 관통하는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이 연결강판의 전면에 연결강판의 정착홈(111)에 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를 기준으로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은 하부에 연결강판(110)이 역시 형성되어 있어 상기 PHC말뚝(600)의 상부에 위치한 연결강판(110)과 용접만에 의하여 간단하게 연결시키게 되고, 상부에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다.
이러한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은 콘크리트몸통부(710)와 철근조립체(720)로 형성된 것이고 역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에 철근조립체(720)의 주근 하단은 고정커플러(730)에 의하여 연결강판(110)에 연결되도록 하고, 주근 상단은 두부보강수단(740)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로서, PHC말뚝(600)의 상부에 위치한 연결강판(110)과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하부에 위치한 연결강판(110)은 용접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하부에 위치한 연결강판(110)에는 역시 이중 내측밴드(120)가 이중 원형튜브형태로 일면이 상기 연결강판(110)에 일체화 고정되도록 하게 되며, 역시 상기 이중 내측밴드(120) 내측으로 연결강판(110)에는 철근조립체(720)의 주근 하단이 고정커플러(730)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도 3b와 같이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는 연결강판(110)을 관통하는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이 연결강판의 전면에 정착홈(111)에 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부보강수단(740)은 종래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것이 이용되었는데 본발명은 말뚝구조물(200)의 두부가 매립슬리브(741)와 두부보강철근(742)인 두부보강수단(740)만 이용할 수 있어 시공성이 획기적으로 증진될 수 있따.
즉,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의 상면에 매립슬리브(741)를 미리 매립시켜 놓고, 항타등에 의하여 파손된 부분을 커팅한 후, 노출된 매립슬리브(741)의 하단은 철근조립체의 상단이 관통 노출되어 있으므로 역시 미리 설치된 두부철근용 커플러(743)를 이용하여 두부보강철근(742)을 상기 철근조립체의 상단과 연결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말뚝구조물(200)을 기초판(400)과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고무캡(744)을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매립슬리브(741)의 상단은 마감시키게 된다.
기초판(400)은 도 4a와 같이, 상기 두부보강철근(742)을 매립슬리브(741)에 두부철근용 커플러(743)를 이용하여 설치한 후, 기초판 철근을 배근하고, 기초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게 되며, 이로서 말뚝구조물(200)인 기초판(400)과 일체화 시키게 되며, 천공홀(H) 내주면과 말뚝구조물(200) 사이와 선단부위는 콘크리트 충전등을 통해 마감해도 되지만,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를 이용하게 되면 콘크리트 충전을 하지 않아도 선단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도 4b를 기준으로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하여 기초판(400)과 슬래브(500) 사이에 시공되는 기둥구조물(300)과 그 시공방법을 함께 살펴본다.
상기 기둥구조물(300) 역시 앞서 살펴본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를 서로 연결강판(110)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기초판(400)과 슬래브(500) 사이에 설치하도록 하되 상층의 기둥구조물(300)과도 상,하로 연결되도록 시공한 것이다.
즉,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기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의 하부를 기초판(400)에 연결시키고,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는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과 상층 PHC말뚝(600a)을 역시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킨 기둥구조물(300)을 기초판(400)과 상층 슬래브(500)에 설치하게 된다.
이에 도 4b와 같이 먼저 기초판(400)이 시공되어 있으며, 기초판 상면으로는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이 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에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을 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은 하부에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이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철근슬리브(750)가 매립되어 저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앞서 살펴본 이중 내측밴드(120)와 연결강판(110)에 의한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하여 PHC말뚝(600)에 연결된다.
이에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과 PHC말뚝(600)은 연결강판(110)의 용접만에 의하여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PHC말뚝(600)은 상부와 하부에 역시 연결강판(110)이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상부의 연결강판(110)은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의 연결강판(110)과의 용접만에 의하여 역시 간단하게 연결된다.
이에 상기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는 하부에 이중 내측밴드(120)와 연결강판(110)에 의한 복합말뚝 연결부(1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슬래브용 데크 지지등을 위해 상부확장부(760)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확장부(760) 내부로부터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에 의하여 상층의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도 하부에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이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철근슬리브(750)가 매립되어 저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앞서 살펴본 이중 내측밴드(120)와 연결강판(110)에 의한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하여 상층 PHC말뚝(600a)에 연결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슬래브(500)를 기준으로 상층과 기초판(400) 사이에 본 발명의 기둥구조물(300)이 상,하 일체로 연결되도록 시공되고, 슬래브철근이 매립되도록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500) 시공이 완성되어 건축구조물 시공이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복합말뚝 연결부
110: 연결강판 111: 정착홈
120: 이중 내측밴드
121: 외부밴드 122: 내부밴드
123: 수평절편
200: 말뚝구조물 300: 기둥구조물
400; 기초판
410: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
500: 상층슬래브
600: PHC말뚝 600a: 상층 PHC말뚝
610: 콘크리트몸통부 630: PC강재
640: 연결보강판 650: 노치부
700: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a: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b: 두부보강수단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c: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d: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e: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
710: 콘크리트몸통부 720: 철근조립체
730: 고정커플러
740: 두부보강수단
741: 매립슬리브 742: 두부보강철근
743: 두부철근용 커플러 744: 고무캡
750: 철근슬리브 760: 상부확장부
S: 내부중공부
C: 중실콘크리트 H: 천공홀
110: 연결강판 111: 정착홈
120: 이중 내측밴드
121: 외부밴드 122: 내부밴드
123: 수평절편
200: 말뚝구조물 300: 기둥구조물
400; 기초판
410: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
500: 상층슬래브
600: PHC말뚝 600a: 상층 PHC말뚝
610: 콘크리트몸통부 630: PC강재
640: 연결보강판 650: 노치부
700: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a: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b: 두부보강수단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c: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d: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
700e: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
710: 콘크리트몸통부 720: 철근조립체
730: 고정커플러
740: 두부보강수단
741: 매립슬리브 742: 두부보강철근
743: 두부철근용 커플러 744: 고무캡
750: 철근슬리브 760: 상부확장부
S: 내부중공부
C: 중실콘크리트 H: 천공홀
Claims (10)
- PHC말뚝(6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외부밴드(121);와 상기 외부밴드(121)의 중앙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내부밴드(122);를 포함하는 이중 원형튜브형태의 이중 내측밴드(120);를 포함하여,
중실콘크리트(C)가 내측의 중실콘크리트(C)가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 위치하여 구속됨으로서 작용하중에 의하여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에 저항하여 용접만에 의하여 PHC말뚝(600)와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일체화되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C말뚝(600)은,
내부중공부(S)가 형성된 콘크리트몸통부(610);
콘크리트몸통부(610)에 매립되어 연결강판(110)의 노출면에 형성된 노치부(650)에 정착되는 PC강재(630); 및
연결강판(110)이 설치된 부위를 외부에서 감싸는 파형판 형태의 연결보강판(640);을 포함하는 복합말뚝 연결부. - 제1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은,
속이채워진 봉부재 단면 형태의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철근조립체(72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립된 철근콘크리트 말뚝으로서,
콘크리트몸통부(710)의 연결단부면에 연결강판(110)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며, 연결강판(110) 배면에 이중 원형튜브형태의 이중 내측밴드(120) 일면이 일체화 고정되도록 하며,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은 연결강판(110) 배면에 형성된 고정커플러(730)에 체결되도록 하거나, 철근조립체(720)의 주근은 연결강판(110)을 관통하여 연결강판(110)의 전면에 형성된 정착홈(111)에 확장머리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는 절곡판 형태로 형성시켜 중실콘크리트(C)와의 일체성 확보, 작용하중에 대한 강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상기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는 절곡판으로 형성되지 않고,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의 내측면에 수평절편(123)이 다수 이격 형성되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 -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킨 말뚝구조물(200)인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로서,
상기 복합말뚝 연결부(100)는 PHC말뚝(6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외부밴드(121);와 상기 외부밴드(121)의 중앙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내부밴드(122);를 포함하는 이중 원형튜브형태의 이중 내측밴드(120);를 포함하며, 중실콘크리트(C)가 내측의 중실콘크리트(C)가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 위치하여 구속됨으로서 작용하중에 의하여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에 저항하여 용접만에 의하여 PHC말뚝(600)와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일체화되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는
상부의 연결강판(110)이 상기 PHC말뚝(600)의 연결강판(110)과 용접만에 의하여 간단하게 연결시키게 되고, 속이 채워진 단면 형태로서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는 철근조립체(72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매립되며, 선단부분이 단면 확장되어 선단지지력을 확보하고,
상기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은 하부의 연결강판(110)이 상기 PHC말뚝(600)의 상부에 위치한 연결강판(110)과 용접만에 의하여 간단하게 연결시키게 되고, 상기 두부보강수단(740)은,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 상면에 매립슬리브(741)를 미리 매립시켜 놓고, 항타등에 의하여 파손된 부분을 커팅한 후, 노출된 매립슬리브(741)의 하단은 두부철근용 커플러(743)를 이용하여 두부보강철근(742)을 상기 철근조립체의 상단과 연결시키는 작업만으로 말뚝구조물(200)을 기초판(400)과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 -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기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의 하부를 기초판(400)에 연결시키고,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는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과 상층 PHC말뚝(600a)을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켜 기초판(400)과 상층 슬래브(500)에 설치되는 기둥구조물(300)인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로서,
상기 복합말뚝 연결부(100)는 PHC말뚝(6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외부밴드(121);와 상기 외부밴드(121)의 중앙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내부밴드(122);를 포함하는 이중 원형튜브형태의 이중 내측밴드(120);를 포함하며, 중실콘크리트(C)가 내측의 중실콘크리트(C)가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 위치하여 구속됨으로서 작용하중에 의하여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에 저항하여 용접만에 의하여 PHC말뚝(600)와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일체화되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은 하부에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이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철근슬리브(750)가 매립되어 저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부는 복합말뚝 연결부(100)의 연결강판(110)에 의하여 PHC말뚝(600)에 연결되어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과 PHC말뚝(600)은 연결강판(110)의 용접만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은 하부는 복합말뚝 연결부(100)의 연결강판(110)에 PHC말뚝(600)의 연결강판(110)과 용접만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부는 상부확장부(760)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확장부(760) 내부로부터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에 의하여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이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은 하부에 기둥구조물용 연결철근(410)이 삽입되어 일체화되는 철근슬리브(750)가 매립되어 저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상부에는 복합말뚝 연결부(100)의 연결강판(110)를 이용하여 상층 PHC말뚝(600a)에 연결되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 - (a) PHC말뚝(6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에 노출 형성된 연결강판(110)을 서로 용접만으로 연결하는 단계;
(b) 상기 용접만에 의하여 연결된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지반의 천공홀(H)에 삽입되는 말뚝구조물(200) 또는 기초판(400) 상면에 설치되는 기둥구조물(300)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외부밴드(121);와 상기 외부밴드(121)의 중앙쪽으로 이격되어 상기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강판(11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의 연결단부면 콘크리트몸통부(710) 내부에 형성된 내부밴드(122);를 포함하는 이중 원형튜브형태의 이중 내측밴드(120);를 포함하여, 중실콘크리트(C)가 내측의 중실콘크리트(C)가 외부밴드(121)와 내부밴드(122) 사이에 위치하여 구속됨으로서 작용하중에 의하여 PHC말뚝(600)과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이 서로 분리되는 것에 저항하여 용접만에 의하여 PHC말뚝(600)와 콘크리트 중실말뚝(700)을 일체화되도록 하는 복합말뚝 연결부 시공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말뚝구조물(200)은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선단확장 콘크리트 중실말뚝(700a)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두부보강수단(740)이 형성된 콘크리트 중실말뚝(700b)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킨 말뚝구조물(200)인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이며,
상기 (b) 단계의 기둥구조물(300)은
PHC말뚝(600)을 기준으로 하부로는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부로는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를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키고, 상기 기초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c)의 하부를 기초판(400)에 연결시키고, 슬래브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d)는 상층용 콘크리트 중실말뚝(700e)과 상층 PHC말뚝(600a)을 복합말뚝 연결부(100)로 연결시켜 기초판(400)과 상층 슬래브(500)에 설치되는 기둥구조물(300)인 복합말뚝 연결부(100)를 이용한 구조물인 복합말뚝 연결부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081A KR102483445B1 (ko) | 2021-03-30 | 2021-03-30 |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1081A KR102483445B1 (ko) | 2021-03-30 | 2021-03-30 |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5428A true KR20220135428A (ko) | 2022-10-07 |
KR102483445B1 KR102483445B1 (ko) | 2023-01-02 |
Family
ID=8359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1081A KR102483445B1 (ko) | 2021-03-30 | 2021-03-30 |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3445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57431A (ja) * | 2010-09-13 | 2012-03-22 |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 杭と鉄骨柱との接合構造 |
KR20120050582A (ko) * | 2010-11-11 | 2012-05-21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하이브리드 파일 |
KR20140146016A (ko) * | 2014-08-22 | 2014-12-24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좌판 생략 구성과 콘크리트 기초와의 일체 결합구성을 가지는 phc 말뚝과 강관말뚝의 일체 결합형 복합말뚝 |
KR20150025698A (ko) | 2013-08-30 | 2015-03-11 |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
KR20170011387A (ko) * | 2015-07-22 | 2017-02-02 | 고영식 |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
JP2018040179A (ja) * | 2016-09-08 | 2018-03-15 | 鹿島建設株式会社 | 杭 |
KR102104599B1 (ko) | 2018-04-18 | 2020-04-24 | 한국도로공사 | 고성능 프리캐스트 rc말뚝 및 이의 생산방법 |
KR102136949B1 (ko) | 2019-02-27 | 2020-08-1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
-
2021
- 2021-03-30 KR KR1020210041081A patent/KR1024834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57431A (ja) * | 2010-09-13 | 2012-03-22 | Sumitomo Mitsui Construction Co Ltd | 杭と鉄骨柱との接合構造 |
KR20120050582A (ko) * | 2010-11-11 | 2012-05-21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하이브리드 파일 |
KR20150025698A (ko) | 2013-08-30 | 2015-03-11 | 대성정밀공업 주식회사 |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
KR20140146016A (ko) * | 2014-08-22 | 2014-12-24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좌판 생략 구성과 콘크리트 기초와의 일체 결합구성을 가지는 phc 말뚝과 강관말뚝의 일체 결합형 복합말뚝 |
KR20170011387A (ko) * | 2015-07-22 | 2017-02-02 | 고영식 | 피에이치씨 파일의 결합구조 |
JP2018040179A (ja) * | 2016-09-08 | 2018-03-15 | 鹿島建設株式会社 | 杭 |
KR102104599B1 (ko) | 2018-04-18 | 2020-04-24 | 한국도로공사 | 고성능 프리캐스트 rc말뚝 및 이의 생산방법 |
KR102136949B1 (ko) | 2019-02-27 | 2020-08-13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3445B1 (ko) | 2023-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92552A (ko) |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 |
KR101056027B1 (ko) | 긴장재를 구비한 변단면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복합말뚝과 확대기초의 결합구조 | |
KR102290747B1 (ko) | Phc말뚝의 두부보강 결합구, 이를 이용한 phc말뚝과 기초의 두부보강 결합구조, 및 두부보강 결합시공방법 | |
KR101001107B1 (ko) | 이중강관 접합식 단면확대형 강관말뚝 머리 보강장치 | |
KR101665361B1 (ko) | 다단계로 보강된 두부보강 일체식 복합 phc 말뚝 및 그 제작방법 | |
JP4532435B2 (ja) |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 |
KR20190077888A (ko) |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 |
WO2015102032A1 (ja) | 防護柵の支柱構造体 | |
JP6635657B2 (ja) | 接続構造 | |
KR102319143B1 (ko) |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 |
KR20220135428A (ko) | 복합말뚝 연결부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과 시공방법 | |
KR102351779B1 (ko) |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 |
JP5008683B2 (ja) | 杭頭補強部材とそれを用いた杭頭補強構造 | |
JP4833949B2 (ja) | コンクリート一体型構真柱 | |
JPH1018424A (ja) | 鉄骨柱等の柱脚部の根巻き型補強構造 | |
JP2002256571A (ja) | 建物の建て替え方法および既存杭の利用方法ならびに建物 | |
KR101561592B1 (ko) | Phc 파일의 두부 보강 기구 및 두부 보강 방법 | |
KR100922121B1 (ko) | 변단면 콘크리트 말뚝으로 이루어진 복합말뚝과 확대기초의 결합구조 | |
KR102060511B1 (ko) | 흙막이 벽체용 고강도 phc 파일 | |
JP3160664B2 (ja) | 複合杭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2171787B1 (ko) | 고강도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 |
JP4451699B2 (ja) | 杭頭接合構造 | |
JP2002317454A (ja) | 杭とフーチングの接合構造 | |
KR101663174B1 (ko) | 기초선단장치를 구비하는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90143420A (ko) | 보강조립체의 중공 설치에 의한 phc 말뚝의 보강구조 및 이를 구비한 phc 말뚝과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