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352A -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352A
KR20220135352A KR1020210040888A KR20210040888A KR20220135352A KR 20220135352 A KR20220135352 A KR 20220135352A KR 1020210040888 A KR1020210040888 A KR 1020210040888A KR 20210040888 A KR20210040888 A KR 20210040888A KR 20220135352 A KR20220135352 A KR 20220135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bicycle
mobile device
user
loc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희
이정우
조일연
정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4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352A/ko
Publication of KR2022013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Abstract

이용자 모바일 기기와 공유 자전거 서버를 포함하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공유 자전거 서버의 동작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이용자 모바일 기기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이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가상 대여소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와 GPS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이미지와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를 상기 이용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HARED BICYCLE NAVIGATION SYSTEM AND OPERATING THEREOF}
본 기재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 및 환경 등의 이유로 인해, 많은 지방자치 단체들이 공유 자전거를 도입하고 있다. 공유 자전거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임의의 장소에서 대여 및 반납이 가능한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자전거 관리적인 측면에서는 임의의 장소에서 대여 및 반납하는 것은 많은 재배치 비용이 들며 도보로 이동하는 시민들에게는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가상의 대여소 존을 설정하여 공유 자전거를 대여 및 반납하는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종시 뉴어울링(2018년에 도입된 세종시 공유 자전거)의 경우, 가상의 대여소 존을 설정하여, 가상 대여소에만 대여 및 반납이 가능하다. 가상으로 대여소를 지정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원하면 편하게 대여소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다. 하지만, 가상 대여소의 경우, 이용자들이 정확한 가상의 대여소에 대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데, GPS 오류 및 여러 문제로 인해 이용자들이 정확한 위치 파악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대여 및 반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대여소로 손쉽게 자전거를 대여하고 반납할 수 있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민원 발생한 위치를 안내하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 모바일 기기와 공유 자전거 서버를 포함하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공유 자전거 서버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이용자 모바일 기기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이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가상 대여소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와 GPS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이미지와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를 상기 이용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GPS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유 자전거 이용자에게 정확한 가상 대여소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거 고장 등의 민원 발생 시에도 이미지 공유를 통해, 관리자가 민원 발생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모바일 기기가 공유 자전거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모바일 기기의 전방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이용자 위치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민원 발생지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유 자전거나 킥보드와 같은 개인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는 기술적으로는 임의의 지점에서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지만, 많은 경우 관리의 효율을 위해 가상 대여소를 두어 대여 및 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가상 대여소 없이 임의 지점에서 대역 및 반납이 가능하다면, 공유 자전거를 아무데나 주차할 수 있으므로 이를 재배치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그리고 도보를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종시와 같은 지자체에서는 가상 대여소 개념을 두어 공유 자전거를 정해진 가상 대여소에만 대여와 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유 자전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가상 대여소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GPS 정보가 주로 이용되는데, GPS의 특성상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건물 등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GPS 신호가 약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시스템 상에서 대여와 반납이 제대로 되지 않아 공유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여소의 위치가 가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복잡한 건물 주변에 대여소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용자들이 가상 대여소를 찾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이용자가 목표 지점인 가상 대여소를 설정하면 네이게이션처럼 길을 안내하고 가상 대여소 주변에서는 이미지 데이터와 GPS 데이터를 동시 활용하여 정확하게 가상 대여소를 안내해줄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미지 데이터와 G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전거 고장 등 민원 발생 위치를 관리자에게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1000)은 공유 자전거 서버(100),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 그리고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공유 자전거 서버(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도 공유 자전거 서버(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기기이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내비게이션부(210), 영상 촬영부(220), 그리고 영상 이미지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10)는 GPS 기능을 탑재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1000)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에 내비게이션 앱을 설치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앱이 내비게이션부(2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앱은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1000)의 이용자를 위해 미리 개발된 전용 앱일 수 있다.
영상 촬영부(220)는 공유 자전거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주변을 촬영한다. 영상 촬영부(220)는 모바일 기기의 후방 카메라일 수 있다. 영상 이미지 전송부(230)는 영상 촬영부(220)가 촬영한 영상 미지를 공유 자전거 서버(100)로 전송한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가 공유 자전거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공유 자전거의 고정 장치(4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후방 카메라는 주변 환경을 촬영할 수 있고,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화면(디스플레이)은 길(예를 들면, 가상 대여소로 가는 길)을 안내할 수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전방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화면(240)(전방 화면, 디스플레이)은 일반 내비게이션과 비슷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이용자는 목적지를 지정할 수도 있으며, 단순히 내비게이션만을 켜놓을 수 있다.
한편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즉, 내비게이션부(210))는 목적지(예를 들면, 가상 대여소 중에 하나) 근처에 도달하거나 주변에 가상 대여소가 있는 경우, 일반적인 내비게이션 시스템과는 다르게 동작한다. 일반적인(기존)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데이터만을 가지고 이용자의 현재의 위치를 파악하나, 이에 반해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1000)은 GPS 데이터와 주변 이미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정확한 현재의 위치와 가상 대여소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정확히 파악한 가상 대여소의 위치를 증강 현실 기술을 통해 네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한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보통의 내비게이션과 유사하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목적지(예를 들면, 가상 대여소 중에 하나의 장소) 근처에 도달하는 경우, 증강 현실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해당 증강 화면 화면에 가상 대여소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기기이다.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는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도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부(310)와 영상 촬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310)는 GPS 기능을 탑재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1000)을 관리하는 관리자는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에 내비게이션 앱을 설치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앱이 내비게이션부(3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앱은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1000)의 관리자를 위해 미리 개발된 전용 앱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위치 추정부(110)와 데이터 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GPS 신호의 경우, 건물과 장애물이 있는 경우 신호가 약해지므로,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가 GPS 신호를 인식 못하거나 인식하더라도 오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한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가상 대여소 주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이하, '주변 이미지 데이터'라 함)를 GPS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120)에 미리 저장하고 있다. 즉, 공유 자전거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20)는 가상 대여소의 GPS 데이터와 가상 대여소의 주변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120)의 저장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유 자전거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120)는 가상 대여소의 GPS 데이터, 그리고 가상 대여소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 및 해당 이미지의 GPS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가상 대여소 별로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가상 대여소 수는 그리 많지 않으므로, 데이터 베이스(120)에 저장되는 주변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도 작은 편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이용자 위치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이용자(즉, 이용자의 모바일 기기)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체크한다(S510). 즉,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GPS(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서, 이용자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현재의 GPS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가상 대여소의 GPS 데이터를 비교한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S510 단계에서 이용자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후방 카메라를 켠다(S520). 즉,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이용자(즉, 이용자 모바일 기기)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현재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영상 촬영부(220)를 동작시켜 전방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S520 단계에서 켠 후방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GPS 데이터를 공유 자전거 서버(100)로 전송한다(S530). 즉,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영상 이미지 전송부(230)는 가상 대여소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GPS 데이터를 공유 자전거 서버(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GPS 데이터는 촬영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S530 단계에서 수신한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 후보 위치 영역을 선정한다(S540). 즉,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현재 위치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 위치 영역을 계산한다.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S540 단계에서 선정한 후보 위치 영역에 대응하는 주변 이미지를 추출한다(S550). 즉,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후보 위치 영역과 겹치는 GPS 데이터를 통해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120)를 검색함으로써, 주변 이미지를 추출한다.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S550 단계에서 추출한 주변 이미지와 S530 단계에서 전송 받은 촬영한 주변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사 이미지를 검색한다(S560).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S560 단계에서 검색한 유사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최종적으로 추정한다(S570). 공유 자전거 서버(100)의 위치 추정부(110)는 S560 단계에서 검색한 유사 이미지에 대응되는 GPS 데이터를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120)에서 읽어와 이용자의 현재 위치를 최종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S570 단계에서 추정한 현재 위치를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로 전송한다(S580). 즉,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S570 단계에서 추정한 이용자의 최종 현재 위치(즉, 최종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데이터)를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로 전송한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S580 단계에서 수신한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가상 대여소를 최종적으로 이용자에게 안내한다(S590).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최종적으로 추정한 현재 위치(즉, 현재 위치의 GPS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내비게이션부(210)를 통해 가상 대요소의 정확한 위치를 안내한다. 여기서,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정확히 파악한 가상 대여소의 위치를 증강 현실 기술을 통해 네비게이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GPS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유 자전거 이용자에게 정확한 가상 대여소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1000)은 가상 대여소 안내뿐만 아니라 민원 발생지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공유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자전거를 이용하다가 중간에 자전거가 고장 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민원이 발생한 경우 민원 발생지를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아래의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민원 발생지 추정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민원 발생 시에 주변을 촬영한다(S610). 즉, 공유자전가 고장 나는 경우,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영상 촬영부(220)를 통해 주변을 촬영한다.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는 S610 단계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현재의 위치에 대한 GPS 데이터를 공유 자전거 서버(100)로 전송한다(S620). 즉,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의 영상 이미지 전송부(230)는 민원이 발생한 위치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와 함께 GPS 데이터를 공유 자전거 서버(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GPS 데이터는 촬영한 이미지의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S620 단계에서 수신한 촬영한 이미지와 GPS 데이터를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한다(S630). 여기서, 공유 자전거 서버(100)는 민원이 발생했다는 안내 메시지도 함께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는 S630 단계에서 수신한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민원 발생지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대략적인 위치를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의 내비게이션부(310)를 통해 안내한다(S640).
그리고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는 S630 단계에서 수신한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민원 발생 위치를 최종적으로 추정한다(S650). 상기 S640 단계에서의 안내는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는 S630 단계에서 전송 받은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민원 발생 위치를 최종적으로 추정한다.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는 내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또는 운전 차량의 블랙 박스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와 상기 S640 단계에서 전송 받은 촬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정확한 민원 발생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관리자가 S640 단계에서 안내하는 대략적인 위치를 통해 민원 발생지 주변에 도착한 경우, 주변이 복잡한 경우 관리자는 정확한 민원 발생지의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는 영상 촬영부(320)을 통해 직접 촬영한 이미지와 S640 단계에서 수신한 촬영 이미지에 대해서 이미지 비교를 통해, 정확한 민원 발생지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실시예에 따른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자전거 고장 등의 민원 발생 시에도 이미지 공유를 통해, 관리자가 민원 발생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7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700)은 버스(720)를 통해 통신하는 프로세서(710), 메모리(7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7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750), 그리고 저장 장치(7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시스템(700)은 다른 장치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7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공유 자전거 서버(100), 이용자 모바일 기기(200), 그리고 관리자 모바일 기기(300) 각각은 도 7의 컴퓨팅 시스템(700)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또는 메모리(730) 또는 저장 장치(760)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동작, 기능, 그리고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프로세서(710)는 내비게이션 기능과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 및 저장 장치(7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30)는 ROM(read only memory)(731) 및 RAM(random access memory)(7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모리(730)는 프로세서(7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메모리(730)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7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

  1. 이용자 모바일 기기와 공유 자전거 서버를 포함하는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공유 자전거 서버의 동작 방법으로서,
    이용자 모바일 기기가 가상 대여소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이용자 모바일 기기로부터 가상 대여소의 주변을 촬영한 이미지와 GPS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이미지와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 모바일 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를 상기 이용자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KR1020210040888A 2021-03-30 2021-03-30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35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88A KR20220135352A (ko) 2021-03-30 2021-03-30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88A KR20220135352A (ko) 2021-03-30 2021-03-30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52A true KR20220135352A (ko) 2022-10-07

Family

ID=8359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888A KR20220135352A (ko) 2021-03-30 2021-03-30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3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9790B (zh) 一种路况信息获取方法
US10269246B2 (en) Vehicle locator and guide
US20090285445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lating Road Signs
KR20170081920A (ko)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186426A1 (en) Searching information using smart glasses
KR102154610B1 (ko) 이벤트 발생 위치 계산이 가능한 영상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220076469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US20190147743A1 (en) Vehicle guidance based on location spatial model
US20220043164A1 (en) Position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4729480A (zh) 高架道路识别方法及其系统
US116459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data fusion and filtering
CN107705576A (zh) 车辆套牌检测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528934B1 (ko) Cctv 영상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2449674A (zh) 记录有路径引导程序的存储介质、路径引导装置以及路径引导系统
KR20120067479A (ko) 촬영 영상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11107487B (zh) 位置显示控制方法及相关装置
KR20190113393A (ko) 차량 인식 프로그램 내장형 촬상 장치,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35352A (ko) 공유 자전거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939096B1 (ko) 궤적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160128967A (ko) 촬영 영상을 이용한 길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11105641A (zh) 基于bim模型的寻车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17096635A (ja) 目的地設定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47439A (ko) 정보 수집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2360B1 (ko) 핫코드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17985A (ko) 녹화 영상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