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427A -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427A
KR20220134427A KR1020220005028A KR20220005028A KR20220134427A KR 20220134427 A KR20220134427 A KR 20220134427A KR 1020220005028 A KR1020220005028 A KR 1020220005028A KR 20220005028 A KR20220005028 A KR 20220005028A KR 20220134427 A KR20220134427 A KR 20220134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receipt
payment
receipt information
unit
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노치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34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3Inventor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5/00Receipt-giv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결제 처리를 행하였을 때, 결제의 결과를 나타내는 전자 영수증의 취득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POS 단말기(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행하는 등록 처리부와, 손님이 소지하는 스마트폰(휴대 단말기)으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가 판독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처리부가 등록한 상품에 관한 결제 처리를 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스마트폰이,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전자 영수증을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판정부)와, 스마트폰이 전자 영수증을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생성부)와,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스마트폰에 전자 영수증을 송신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송신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PRODUCT SALE DATA PROCESSING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PROGRAM}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상품을 구입하였을 때 전자 결제(캐시리스 결제)를 행하는 결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자동 요금 징수 장치에 있어서는, 자동 판매기에서 물건을 산 손님은, 자신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자동 판매기의 카드 판독부에 대어 전자 결제를 행한다. 그리고, 그 후, 인터넷을 통해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로부터, 결제 내용을 나타내는 전자 영수증을 수취하였다. 따라서, 손님은, 전자 결제를 행한 후에, 전자 영수증을 수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전자 영수증의 수신을 행할 필요가 있어, 수속이 번잡하였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0-2149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결제 처리를 행하였을 때, 결제의 결과를 나타내는 전자 영수증의 취득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는, 등록 처리부와, 결제 처리부와, 판정부와, 생성부와, 송신부를 구비한다. 등록 처리부는,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행한다. 결제 처리부는, 손님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가 판독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처리부에 의해 등록된 상품에 관한 결제 처리를 행한다. 판정부는, 휴대 단말기가,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생성부는, 휴대 단말기가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부는,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기는, 결제 지시부와, 수신부와,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결제 지시부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와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비접촉 통신을 행함으로써, 당해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에 결제 방법 및 결제의 실행을 지시한다. 수신부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비접촉 통신에 의해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한다. 표시 제어부는, 수신부가 수신한 전자 영수증을 표시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결제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POS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스마트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결제 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의 결제 시스템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POS 단말기가 스마트폰에 대하여,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결제 시스템(10)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
먼저, 도 1을 사용하여, 결제 시스템(1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결제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결제 시스템(10)은, POS 단말기(20)와, 스마트폰(50)과,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와, 결제 관리 서버(100)를 구비한다.
POS 단말기(20)는, 점포에 구비되어,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와, 등록된 상품에 관한 결제를 행하는 결제 처리를 행한다. 또한, POS 단말기(20)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례이다.
스마트폰(50)은, 고객에 소지되어, POS 단말기(20)에 대하여, 결제의 실행 및 결제 방법을 지시한다. 또한, 스마트폰(50)은, POS 단말기(20)로부터,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스마트폰(50)은, 수신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스마트폰(50)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의 일례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폰(50) 이외의 단말 장치, 예를 들어 태블릿 단말기 등이어도 된다.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는, POS 단말기(20)에서 생성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여 기억한다. 또한,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의 요구를 받아, 요구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스마트폰(50)에 송신한다.
결제 관리 서버(100)는, POS 단말기(20)가 결제를 행하였을 때, 고객 정보와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기억한다. 또한, 결제 관리 서버(100)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문의를 행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결제 이력 등을 송신한다. 또한, 결제 관리 서버(100)는, 결제 방법에 따라서, 다른 서버가 구비된다.
(POS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
도 2를 사용하여, POS 단말기(2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POS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POS 단말기(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2), ROM(Read OnlyMemory)(23), RAM(Random Access Memory)(24), 기억부(25) 등을 구비하고 있다.
CPU(22)는 제어 주체가 된다. ROM(23)은 각종 고정 데이터나 각종 테이블 등을 기억한다. RAM(24)은, CPU(22)가 각종 처리를 행할 때,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하여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기억부(25)는, CPU(2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Pa를 기억한다. CPU(22), ROM(23), RAM(24), 기억부(25)는, 서로 내부 버스(27)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CPU(22)와 ROM(23)과 RAM(24)은, 제어부(21)를 구성한다. 즉, 제어부(21)는, CPU(22)가, 기억부(25)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a 및 ROM(2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RAM(24)에 전개하여, 동작시킴으로써,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25)는, 전원을 꺼도 기억 정보가 유지되는 HDD(Hard Disc Drive)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기억부(25)는, 상기한 제어 프로그램 Pa 외에, 상품 마스터 M과 매상 파일 R을 기억한다.
상품 마스터 M은, 점포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의 JAN 코드(상품 코드)와, 그 상품의 「상품명」이나 「상품 단가」 등의 상품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한 테이블이다.
매상 파일 R은, POS 단말기(20)에서 결제 처리된 결제 정보를 기억한 파일이다.
또한, 제어부(21)는, 내부 버스(27) 및 주변 기기 컨트롤러(26)를 통해, 주변 기기인 표시 디바이스(28)와, 조작 디바이스(29)와, 리더라이터 장치(30)와, 스캐너(31)와, 영수증 프린터(32)와, 통신 인터페이스(33)와 접속하고 있다. 주변 기기 컨트롤러(26)는,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이들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디바이스(28)는, POS 단말기(20)가 출력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이다. 표시 디바이스(28)는,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나 유기 EL 모니터 등이다.
조작 디바이스(29)는, POS 단말기(20)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는 디바이스이다. 조작 디바이스(29)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나 키보드 등이다.
리더라이터 장치(30)는, 손님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50)과의 사이에서, NFC(Ne ar Field communication), Felica, Bluetooth(등록 상표) 등에 의한 비접촉 통신(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리더라이터 장치(30)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캐시리스 결제에 관한 정보(캐시 결제의 방법, 손님의 식별 정보 등)를 수신한다. 또한, 리더라이터 장치(30)는, 스마트폰(50)이 전자 영수증을 수신 가능한 경우에, 당해 스마트폰(50)에 대하여 전자 영수증을 송신한다.
스캐너(31)는,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에 첩부된 바코드나 2차원 코드 등의 코드 정보를 판독하는 디바이스이다. 스캐너(31)는, 판독한 코드 정보를 POS 단말기(20)의 제어부(21)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수신한 코드 정보를, 기억부(25)에 기억된 상품 마스터 M과 대조함으로써,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특정한다.
영수증 프린터(32)는, 손님의 스마트폰(50)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결제 내용을 나타내는 영수증을 인자하여 발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33)는, 통신 회선을 통해, POS 단말기(20)와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 및 결제 관리 서버(100)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을 사용하여, 스마트폰(5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스마트폰(50)은, CPU(52), ROM(53), RAM(54), 기억부(55) 등을 구비하고 있다. CPU(52)는 제어 주체가 된다. ROM(53)은 각종 고정 데이터나 각종 테이블 등을 기억한다. RAM(54)은, CPU(52)가 각종 처리를 행할 때,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하여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기억부(55)는, CPU(5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Pb를 기억한다. CPU(52), ROM(53), RAM(54), 기억부(55)는, 서로 내부 버스(57)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CPU(52)와 ROM(53)과 RAM(54)은, 제어부(51)를 구성한다. 즉, 제어부(51)는, CPU(52)가, 기억부(55)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b 및 ROM(5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RAM(54)에 전개하여, 동작시킴으로써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55)는, 전원을 꺼도 기억 정보가 유지되는 HDD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기억부(55)는, 상기한 제어 프로그램 Pb 외에,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와, 전자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d와, 전자 영수증 정보 파일 Ea를 기억한다.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는, POS 단말기(20) 또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로부터,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및 열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스마트폰(50)의 유저는, 사전에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를 전용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50)에 인스톨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는, 전자 영수증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점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스마트폰(50)에는, 복수의 종류의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가 인스톨되어 있다.
전자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d는, 전자 결제(캐시리스 결제)를 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스마트폰(50)의 유저는, 사전에 전자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d를 전용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50)에 인스톨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전자 결제에는, 크게 나누어 프리페이드형, 포스트 페이형의 방법이 있다. 또한, 동일한 지불 형태라도, 전자 결제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에 따라서 다른 시스템이 제공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스마트폰(50)에는, 복수의 종류의 전자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d가 인스톨되어 있다.
전자 영수증 정보 파일 Ea는, POS 단말기(20) 또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로부터 수신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제어부(51)는, 내부 버스(57) 및 주변 기기 컨트롤러(56)를 통해, 주변 기기인 표시 디바이스(58)와, 조작 디바이스(59)와, 통신 인터페이스(60)와 접속하고 있다. 주변 기기 컨트롤러(56)는, 제어부(51)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이들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디바이스(58)는, 스마트폰(50)이 출력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이다. 표시 디바이스(58)는,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나 유기 EL 모니터 등이다.
조작 디바이스(59)는, 스마트폰(50)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는 디바이스이다. 조작 디바이스(59)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나 키보드 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60)는, 통신 회선을 통해, 스마트폰(50)과,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 및 결제 관리 서버(100)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60)는, 스마트폰(50)과 리더라이터 장치(30)를, 비접촉 통신(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접속한다.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
도 4를 사용하여,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는, CPU(82), ROM(83), RAM(84), 기억부(85) 등을 구비하고 있다. CPU(82)는 제어 주체가 된다. ROM(83)은 각종 고정 데이터나 각종 테이블 등을 기억한다. RAM(84)는, CPU(82)가 각종 처리를 행할 때,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하여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기억부(85)는, CPU(82)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 Pe를 기억한다. CPU(82), ROM(83), RAM(84), 기억부(85)는, 서로 내부 버스(87)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CPU(82)와 ROM(83)과 RAM(84)은, 제어부(81)를 구성한다. 즉, 제어부(81)는, CPU(82)가, 기억부(85)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e 및 ROM(83)에 기억된 각종 데이터를 RAM(84)에 전개하여, 동작시킴으로써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85)는, 전원을 꺼도 기억 정보가 유지되는 HDD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된다. 기억부(85)는, 상기한 제어 프로그램 Pe 외에, 고객 정보 C와, 전자 영수증 정보 파일 Eb를 기억한다.
고객 정보 C는,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의 이용 등록을 행한 고객의 속성을 저장한 데이터 파일이다. 고객의 속성은, 예를 들어 성명, 성별, 연령, 전자 영수증 정보의 송신 어드레스 등을 포함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파일 Eb는, 과거에 발행된 전자 영수증 정보를, 고객과 관련지어 축적한 데이터 파일이다.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는,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과거에 발행된 전자 영수증 정보를, 당해 고객의 스마트폰(5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고객은, 과거에 발행된 전자 영수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1)는, 내부 버스(87) 및 주변 기기 컨트롤러(86)를 통해, 주변 기기인 표시 디바이스(88)와, 조작 디바이스(89)와, 통신 인터페이스(90)와 접속하고 있다. 주변 기기 컨트롤러(86)는, 제어부(81)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이들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디바이스(88)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가 출력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이다. 표시 디바이스(88)는, 예를 들어 액정 모니터나 유기 EL 모니터 등이다.
조작 디바이스(89)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에 대한 조작 지시를 입력하는 디바이스이다. 조작 디바이스(89)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이나 키보드 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90)는, 통신 회선을 통해,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와 POS 단말기(20) 및 스마트폰(50)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또한, 결제 관리 서버(100)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와 거의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한다. 결제 관리 서버(100)는,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가 기억부(85)에 기억하는 제어 프로그램 Pe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 프로그램 Pf를 기억한다.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파일 Eb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결제 정보 파일 Ec를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 Pf는, 결제 관리 서버(10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파일이다.
결제 정보 파일 Ec는, 과거의 결제 이력을, 고객과 관련지어 축적한 데이터 파일이다. 결제 관리 서버(100)는, 고객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과거의 결제 이력을, 당해 고객의 스마트폰(5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고객은, 과거의 결제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POS 단말기의 기능 구성)
도 5를 사용하여, POS 단말기(2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POS 단말기(20)의 제어부(21)는, 제어 프로그램 Pa를 RAM(24)에 전개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등록 처리부(35)와, 결제 처리 실행 요구 취득부(36)와, 결제 가부 판정부(37)와, 결제 처리부(38)와,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와,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40)와, 영수증 정보 생성부(41)와,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와, 결제 정보 송신부(43)와, 영수증 인자부(44)와, 표시 제어부(45)와, 조작 제어부(46)와, 통신 제어부(47)를 기능부로서 실현한다.
등록 처리부(35)는,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행한다.
결제 처리 실행 요구 취득부(36)는, 손님이 소지하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결제의 실행 지시를 취득한다.
결제 가부 판정부(37)는, 결제 처리의 실행이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결제 가부 판정부(37)은, 결제 금액이, 전자 화폐의 잔고보다도 적은 경우에 결제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결제 처리부(38)는, 손님이 소지하는 스마트폰(50)(휴대 단말기)으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30)가 판독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 또는 현금 결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처리부(35)에 의해 등록된 상품에 관한 결제 처리를 행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스마트폰(50)이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판정부의 일례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40)가 생성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의 종류를 일의로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에 송신하고,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스마트폰(50)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40)는, 스마트폰(50)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40)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생성부의 일례이다.
영수증 정보 생성부(41)는,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영수증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영수증 정보 생성부(41)는, 손님이 현금 결제를 요구한 경우와,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가, 손님의 스마트폰(50)은,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 영수증 정보를 생성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는,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송신부의 일례이다.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는, 생성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에 송신한다.
결제 정보 송신부(43)는, 결제 처리에 의해 생성한 결제 정보를, 결제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
영수증 인자부(44)는, 영수증 정보 생성부(41)가 생성한 영수증 정보를, 영수증 프린터(32)로 인자하여 발행한다.
표시 제어부(45)는, POS 단말기(20)가 행하는 각종 처리에 따른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 디바이스(28)에 표시시킨다.
조작 제어부(46)는, POS 단말기(20)에서 이루어진 각종 조작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21)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47)는, 스마트폰(5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와 결제 관리 서버(100)의 무선 통신의 상태를 제어한다.
(스마트폰의 기능 구성)
도 6을 사용하여, 스마트폰(5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스마트폰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스마트폰(50)의 제어부(51)는, 제어 프로그램 Pb를 RAM(54)에 전개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한 결제 방법 지시부(61)와,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와, 전자 영수증 식별 정보 수신부(63)와,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 가부 송신부(64)와,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65)와, 표시 제어부(66)와, 조작 제어부(67)와, 통신 제어부(68)를 기능부로서 실현한다.
결제 방법 지시부(61)는, POS 단말기(20)(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와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비접촉 통신을 행함으로써, 손님이 스마트폰(50)에 대하여 지시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를, POS 단말기(20)에 지시한다. 또한, 결제 방법 지시부(61)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결제 방법 선택부의 일례이다.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는, POS 단말기(20)와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비접촉 통신을 행함으로써, POS 단말기(20)에 결제의 실행을 지시한다. 또한,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는, POS 단말기(20)로부터, 결제 처리 가능한지 여부의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결제 지시부의 일례이다.
전자 영수증 식별 정보 수신부(63)는, POS 단말기(20)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당해 POS 단말기(20)가 발행하는 전자 영수증의 종류를 일의로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 가부 송신부(64)는,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가 인스톨되어 있고, 또한, 당해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가, POS 단말기(20)가 발행하는 전자 영수증을 수신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POS 단말기(20)에 송신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65)는, POS 단말기(20)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비접촉 통신에 의해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65)는, 본 개시에 있어서의 수신부의 일례이다.
표시 제어부(66)는,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65)가 수신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표시 디바이스(58)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66)는, 스마트폰(50)이 행하는 각종 처리에 따른 화면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 디바이스(58)에 표시시킨다.
조작 제어부(67)는, 스마트폰(50)으로 이루어진 각종 조작 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51)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68)는, POS 단말기(2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와 결제 관리 서버(100)의 무선 통신의 상태를 제어한다.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
도 7을 사용하여,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의 제어부(81)는, 제어 프로그램 Pe를 RAM(84)에 전개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도 7에 도시한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91)와, 전자 영수증 정보 기억부(92)와,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요구 취득부(93)와,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94)와, 통신 제어부(95)를 기능부로서 실현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91)는, POS 단말기(20)로부터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기억부(92)는, POS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기억부(85)에 기억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요구 취득부(93)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전자 영수증 정보의 송신 요구를 취득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94)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요구 취득부(93)가 취득한 전자 영수증 정보의 송신 요구를 받아, 당해 송신 요구를 발신한 스마트폰(50)에 대하여, 요구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95)는, POS 단말기(20) 및 스마트폰(50)의 무선 통신의 상태를 제어한다.
(결제 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
도 8을 사용하여, 결제 관리 서버(100)의 기능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결제 관리 서버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결제 관리 서버(100)의 제어부(81)는, 제어 프로그램 Pf를 RAM(84)에 전개하여 동작시킴으로써, 도 8에 도시한 결제 정보 수신부(101)와, 결제 정보 기억부(102)와, 결제 정보 문의 취득부(103)와, 결제 정보 송신부(104)와, 통신 제어부(105)를 기능부로서 실현한다.
결제 정보 수신부(101)는, POS 단말기(2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
결제 정보 기억부(102)는, POS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결제 정보를, 기억부(85)에 기억한다.
결제 정보 문의 취득부(103)는, 스마트폰(50)으로부터, 결제 이력 등의 문의를 취득한다.
결제 정보 송신부(104)는, 결제 정보 문의 취득부(103)가 취득한 문의에 관한 정보를, 문의처인 스마트폰(50)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105)는, 스마트폰(50)과의 무선 통신의 상태를 제어한다.
(결제 시스템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
도 9, 도 10 사용하여, 결제 시스템(10)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의 결제 시스템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POS 단말기가 스마트폰에 대하여,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POS 단말기(20)가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등록 처리부(35)는,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행한다(스텝 S11).
등록 처리부(35)는, 등록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2). 등록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 S12: "예")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한편, 등록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정되지 않으면(스텝 S12: "아니오") 스텝 S11로 되돌아가, 등록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등록 처리를 완료한 것은, 예를 들어 마무리 키가 조작된 것에 의해 판정하면 된다.
스텝 S12에 있어서, 등록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정되면, 결제 처리 실행 요구 취득부(36)는,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으로부터 결제 지시를 취득하였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13). 결제 지시를 취득하였다고 판정되면(스텝 S13: "예") 스텝 S14로 진행한다. 한편, 결제 지시를 취득하였다고 판정되지 않으면(스텝 S13: "아니오") 스텝 S13의 판정을 반복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결제 지시를 취득하였다고 판정하면, 결제 가부 판정부(37)는, 결제가 가능한지를 판정한다(스텝 S14). 결제가 가능하다고 판정되면(스텝 S14: "예") 스텝 S15로 진행한다. 한편, 결제가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스텝 S14: "아니오") 스텝 S28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결제가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결제 처리부(38)는, 스마트폰(50)에 대하여, 결제가 가능하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15).
계속해서, 결제 처리부(38)는 결제 처리를 행한다(스텝 S16).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결제 처리부(38)가 행한 결제 처리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스마트폰(50)에 송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 처리를 행한다(스텝 S18).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 처리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 처리의 결과를 받아, 전자 영수증 정보를 스마트폰(50)에 송신 가능한지를 판정한다(스텝 S19). 전자 영수증 정보를 스마트폰(50)에 송신 가능하다고 판정되면(스텝 S19: "예") 스텝 S20으로 진행한다. 한편, 전자 영수증 정보를 스마트폰(50)에 송신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스텝 S19: "아니오") 스텝 S24로 진행한다.
스텝 S19에 있어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스마트폰(50)에 송신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는,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 가능하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20).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40)는,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21).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는,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22).
또한,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는, 생성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에 송신한다(스텝 S23). 그 후, POS 단말기(20)는,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9에 있어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스마트폰(50)에 송신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는,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할 수 없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24).
표시 제어부(45)는, POS 단말기(20)의 표시 디바이스(28)에,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할 수 없다는 취지를 통보한다(스텝 S25).
영수증 정보 생성부(41)는,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영수증 정보를 생성한다(스텝 S26).
영수증 인자부(44)는, 영수증 정보 생성부(41)가 생성한 영수증 정보를, 영수증 프린터(32)로 인자하여 발행한다(스텝 S27). 그 후, POS 단말기(20)는,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4로 되돌아가, 당해 스텝 S14에 있어서 결제가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 결제 처리부(38)는, 스마트폰(50)에 대하여, 결제가 가능하지 않다는 취지를 통지한다(스텝 S28).
계속해서, 표시 제어부(45)는, POS 단말기(20)의 표시 디바이스(28)에, 결제할 수 없다는 취지를 통보한다(스텝 S29). 그 후, POS 단말기(20)는,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결제 처리를 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점원은 손님에 대하여, 전자 화폐 등의 다른 결제 방법으로 결제를 행하게 하거나, 현금 결제를 행하게 한다.
다음에, 스마트폰(50)이 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결제 방법 지시부(61)는, 손님이 선택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스텝 S31).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는, 손님이 선택한 결제 방법을 실행하는 전자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d를 실행한다(스텝 S32).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는,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POS 단말기(20)에 대하여 결제의 실행을 요구한다(스텝 S33).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는, POS 단말기(20)로부터 취득한 통지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 가능한지를 판정한다(스텝 S34). 결제 처리 가능하다고 판정되면(스텝 S34: "예") 스텝 S35로 진행한다. 한편, 결제 처리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스텝 S34: "아니오"), 스텝 S38로 진행한다.
스텝 S34에 있어서, 결제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전자 영수증 식별 정보 수신부(63)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한다(스텝 S35).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면(스텝 S35: "예")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한편,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스텝 S35: "아니오") 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 있어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전자 영수증 식별 정보 수신부(63)는,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를 실행한다(스텝 S36).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65)는, POS 단말기(20)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한다(스텝 S37).
표시 제어부(66)는, 스마트폰(50)의 표시 디바이스(58)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표시한다(스텝 S38). 그 후, 스마트폰(50)은,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34에 있어서, 결제 처리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스텝 S35에 있어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66)는, 스마트폰(50)의 표시 디바이스(58)에, 결제할 수 없다는 취지, 또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는 취지를 통보한다(스텝 S39). 그 후, 스마트폰(50)은, 도 9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10을 사용하여, 도 9의 스텝 S18에 있어서, POS 단말기(20)의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가 행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스마트폰(50)에,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POS 단말기(20)가 송신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일의로 특정하는 전자 영수증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41).
다음에,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스마트폰(50)의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 가부 송신부(64)가 송신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폰(50)은 POS 단말기(20)가 송신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한다(스텝 S42).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면(스텝 S42: "예") 스텝 S43으로 진행한다. 한편,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스텝 S42: "아니오") 스텝 S44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 있어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면,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 가능하다고 판정한다(스텝 S43). 그 후, 도 9의 스텝 S19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42에 있어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되지 않으면,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는,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할 수 없다고 판정한다(스텝 S44). 그 후, 도 9의 스텝 S19로 이행한다.
또한, 도 9, 도 10의 흐름도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손님이 현금 결제를 요구한 경우, POS 단말기(20)는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영수증을 인자하여 발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0)(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행하는 등록 처리부(35)와, 손님이 소지하는 스마트폰(50)(휴대 단말기)으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30)가 판독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 처리부(35)에 의해 등록된 상품에 관한 결제 처리를 행하는 결제 처리부(38)와, 스마트폰(50)이,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판정부)와, 스마트폰(50)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40)(생성부)와,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에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42)(송신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결제 처리를 행하였을 때, 결제의 결과를 나타내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간편하게 취득할 수 있다. 그때, 손님은,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c를 기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의 수고를 저감시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0)(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리더라이터 장치(30)는, 스마트폰(50)(휴대 단말기)과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따라서, 전자 영수증 정보를, 무선 LAN 등의 공중 회선을 사용하여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80)로부터 취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큐리티의 불안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0)(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39)(판정부)는,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40)(생성부)가 생성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의 종류를 일의로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스마트폰(50)(휴대 단말기)에 송신하고, 스마트폰(50)으로부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스마트폰(50)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한다. 따라서, POS 단말기(20)로부터 스마트폰(50)에 대하여,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 가능한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스마트폰(50)(휴대 단말기)은, POS 단말기(20)(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와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비접촉 통신을 행함으로써, POS 단말기(20)에 결제의 실행을 지시하는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62)(결제 지시부)와, POS 단말기(20)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30)를 통해, 비접촉 통신에 의해 결제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65)(수신부)와,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65)가 수신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66)를 구비한다. 따라서, 스마트폰(50)을 소지하고 있는 손님은, 결제 처리를 행하였을 때, 결제의 결과를 나타내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간편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스마트폰(50)(휴대 단말기)은, POS 단말기(20)(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에 행하게 할 결제 방법을 선택하는 결제 방법 지시부(61)(결제 방법 선택부)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스마트폰(50)을 소지하고 있는 손님은, 당해 스마트폰(50)에 인스톨되어 있는 전자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d의 범위 내에서, 결제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시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결제 시스템
20: POS 단말기(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21, 51, 81: 제어부
30: 리더라이터 장치
35: 등록 처리부
36: 결제 처리 실행 요구 취득부
37: 결제 가부 판정부
38: 결제 처리부
39: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 가부 판정부(판정부)
40: 전자 영수증 정보 생성부(생성부)
41: 영수증 정보 생성부
42: 전자 영수증 정보 송신부(송신부)
43: 결제 정보 송신부
44: 영수증 인자부
50: 스마트폰(휴대 단말기)
61: 결제 방법 지시부(결제 방법 선택부)
62: 결제 처리 실행 요구부(결제 지시부)
63: 전자 영수증 식별 정보 수신부
64: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 가부 송신부
65: 전자 영수증 정보 수신부(수신부)
66: 표시 제어부
80: 전자 영수증 관리 서버
100: 결제 관리 서버
Pa, Pb, Pe: 제어 프로그램
Pc: 전자 영수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Pd: 전자 결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Claims (6)

  1.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행하는 등록 처리부와,
    상기 손님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가 판독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 처리부에 의해 등록된 상품에 관한 결제 처리를 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라이터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생성부가 생성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의 종류를 일의로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상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4.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와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비접촉 통신을 행함으로써, 당해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에 결제의 실행을 지시하는 결제 지시부와,
    상기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비접촉 통신에 의해 상기 결제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에 행하게 할 결제 방법을 선택하는 결제 방법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6. 컴퓨터를,
    손님이 구입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등록 처리를 행하는 등록 처리부와,
    상기 손님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리더라이터 장치가 판독한 결제 방법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 처리부에 의해 등록된 상품에 관한 결제 처리를 행하는 결제 처리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한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전자 영수증 정보를 수신 가능하다고 판정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결제 처리의 결과에 관한 전자 영수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리더라이터 장치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상기 전자 영수증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20005028A 2021-03-26 2022-01-13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20220134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3506 2021-03-26
JP2021053506A JP2022150759A (ja) 2021-03-26 2021-03-26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427A true KR20220134427A (ko) 2022-10-05

Family

ID=8022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028A KR20220134427A (ko) 2021-03-26 2022-01-13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09482A1 (ko)
EP (1) EP4064160A1 (ko)
JP (1) JP2022150759A (ko)
KR (1) KR20220134427A (ko)
CN (1) CN1151319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4196A (en) * 2022-11-09 2024-05-15 Zargari Farshid Data-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action records
JP7477705B1 (ja) 2023-11-17 2024-05-01 玲愛 酒井 情報処理端末及びコード決済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1499A (ja) 2019-09-18 2020-02-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自動料金徴収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72725A (zh) * 2009-05-11 2009-11-04 卓望数码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向移动终端推送数据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US8831981B2 (en) * 2011-01-18 2014-09-09 Proximiant, Inc.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KR101295556B1 (ko) * 2011-12-29 2013-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택적 데이터 송신 서버 및 방법
JP2015158898A (ja) * 2014-01-21 2015-09-0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49560B2 (ja) * 2014-06-09 2019-01-09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155239B2 (ja) * 2014-06-09 2017-06-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電子レシート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243609B (zh) * 2014-09-29 2019-08-0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信息业务推送方法和装置
JP2019067231A (ja) * 2017-10-03 2019-04-2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取引管理システムおよび取引管理方法
CN110035125B (zh) * 2019-04-15 2021-03-30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基于物联网的工业企业用水量异常监测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1499A (ja) 2019-09-18 2020-02-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自動料金徴収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31927A (zh) 2022-09-30
EP4064160A1 (en) 2022-09-28
US20220309482A1 (en) 2022-09-29
JP2022150759A (ja)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2448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a plurality of transaction systems
US8831981B2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US841891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heckout
US20120185306A1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US11640594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a plurality of transaction systems
US201401363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on and reliable expiration of valuable electronic promotions
US201802257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nd tracking effectiveness of purchase recommendations
KR20220134427A (ko) 상품 판매 데이터 처리 장치, 휴대 단말기 및 프로그램
US20160171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ember customers of a retail enterprise membership service at enterprise point-of-sale systems
JPWO2014083792A1 (ja) レシート発行システム、プリンター、及びレシート発行方法
EP2870574A1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US20200364687A1 (en) Settlement system including user management server
JP6201420B2 (ja) レシート情報管理システム
EP3667590B1 (en) Payment system, management server, payment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ayment terminal
US20190180263A1 (en) Car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by the same
US20210056528A1 (en) Checkout system and checkout method
EP3392821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method
TWI811797B (zh) 使用移動終端發送收據資訊的系統和方法
JP7133072B2 (ja) 決済処理方法
KR20140029696A (ko) 전자 영수증 조회와 이용에 관한 장치 및 방법
CN111526264B (zh) 图像形成系统
US20190259016A1 (en) Receipt print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21117836A (ja) サーバ装置、登録装置、及び決済システム
JP2022124820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AU2012207602A1 (en) Electronic transaction record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