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202A - 체결용 가압 장치 - Google Patents

체결용 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202A
KR20220134202A KR1020210039557A KR20210039557A KR20220134202A KR 20220134202 A KR20220134202 A KR 20220134202A KR 1020210039557 A KR1020210039557 A KR 1020210039557A KR 20210039557 A KR20210039557 A KR 20210039557A KR 20220134202 A KR20220134202 A KR 20220134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eating groove
pressing
elastic member
fasten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667B1 (ko
Inventor
박재완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21003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6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6Connecting tubes to tube-like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4Reducing;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B21D51/0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fold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체결대상물의 일 측면이 안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체결대상물의 타 측면이 안착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결용 가압 장치{Pressing apparatus for connecting}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용 가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배관들이 배관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되는 배관 체결 공정에 있어서, 기존의 배관 체결 장치는 배관 체결구에 의해 배관들이 1차로 삽입되어 연결된 체결대상물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 방향으로 체결대상물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배관 체결 작업을 수행하였다.
다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 체결대상물이 체결 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과정에서, 체결대상물의 위치가 변경되어 체결구가 아닌, 배관 부분이 가압됨으로써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체결대상물의 상하방향으로의 가압을 위해, 체결 장치의 부피가 커짐으로써, 작업 과정에서 공간상 제약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체결 작업 전후 및 체결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파이프 등의 체결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그 작동 반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결용 가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체결대상물의 일 측면이 안착되는 제1 바디와,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체결대상물의 타 측면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체결대상물의 일 측면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체결대상물의 타 측면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 내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회동 시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회동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일단에,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일단에,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회동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는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이용하여, 체결대상물을 체결시킴으로써, 제1 바디와 제2 바디가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기존의 장치에 비해, 체결 작업 동안 체결대상물의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 바디 및 제2 바디의 운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적 측면에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하나의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구동력만으로, 제1 바디 및 제2 바디를 구동시킬 수 있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결용 가압 장치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용 가압 장치의 일부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체결용 가압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에 체결대상물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에 체결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에 안착된 체결대상물을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의 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체결용 가압 장치의 다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용 가압 장치의 일부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체결용 가압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체결용 가압 장치(10)는 복수개의 부품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체결대상물(O)의 체결 부분[이하, 체결부(W)]을 가압하여 견고히 결합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체결대상물(O)은 예를 들어, 에어컨용 파이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에어컨용 파이프는 복수개의 배관들이 체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대상물(O)인 에어컨용 파이프를 구성하는 배관들 및 체결구의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체결대상물(O)이 제1 배관(P1)의 일부 및 제2 배관(P2)의 일부가 체결부(W)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용 가압 장치(10)는 베이스부(100)와,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용 가압 장치(10)는 가이드부(400)와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체결용 가압 장치(10)의 본체일 수 있다. 베이스부(100)에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와 가이드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베이스부(100)는 한쌍의 베이스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베이스판은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칭 배치된 한쌍의 베이스판들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에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와 가이드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체결대상물(O)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200)는 베이스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200)는 중심축(C1)을 중심으로, 베이스부(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바디(200)는 베이스부(100)를 구성하는 한쌍의 베이스판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한쌍의 베이스판들과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200)는 상기한 이격공간에 배치된 상태로,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바디(200)는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 바디(300)와 함께 베이스부(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바디(200)는 체결대상물(O)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제1 안착홈(210)과, 제1 돌출부(220)와, 제1 탄성부재(230)와 질량부(M)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200)는 제1-1 보조탄성부재(240)와, 제1 연결부(250)와, 제1-2 보조탄성부재(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안착홈(210)은 체결대상물(O)의 일 측면이 안착될 수 있다. 제1 안착홈(210)은 제1 바디(200)의 일 표면(이하, 내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홈(210)은 제1 바다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제1 바디(200)의 내측을 향해(예를 들어, 도 1에서 -Z축 방향)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안착홈(210)은 제1 바디(200)의 일 측단으로부터, 제1 안착홈(210)의 폭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제1 바디(200)이 타 측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디(200)의 타 측단은, 제1 바디(200)의 일 측단과 대향하는 단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안착홈(210)은 제1 바디(200)의 상기한 일 측단으로부터, 상기한 타 측단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210)은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홈(210)의 단면 형상은 체결대상물(O)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체결대상물(O)이 얇은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제1 안착홈(210)은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체결대상물(O)이 사각기둥 형상의 파이프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제1 안착홈(210)은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안착홈(210)이 반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안착홈(210)은 제1 가압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압부(211)는 체결대상물(O)이 제1 안착홈(210)에 안착되어 가압될 때 체결대상물(O)을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압부(211)는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안착홈(21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압부(211)는 여러 종류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가압부(211)는 제1-1 돌기부(211a)와, 제1-2 돌기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돌기부(211a)는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 안착홈(210) 내측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돌기부(211a)는 제1 안착홈(2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휜 형태의 얇고 긴 돌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제1-2 돌기부(211b)는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1 안착홈(210)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돌기부(211b)는 제1-1 돌기부(211a)와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1 돌기부(211a)와 제1-2 돌기부(211b)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에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1-1 돌기부(211a)와, 이와 수직한 하나의 제1-2 돌기부(211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들에 의해, 체결대상물(O)의 체결부(W)에 대해 다양한 방향 및 위치로 힘을 가할 수 있어, 체결대상물(O)을 보다 견고히 체결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20)는 체결대상물(O)의 체결부(W) 외의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20)는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제1 돌출부(220) 중 어느 하나는 제1 바디(200)의 제1 외측면으로부터, 제1 바디(200)의 폭방향과 평행한 일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제1 바디(2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1 돌출부(220) 중 다른 하나는 제2 외측면으로부터, 상기한 일 방향의 반대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제1 바디(2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외측면 및 제2 외측면은 제1 바디(200)의 외측면들 중, 제1 바디(200)의 폭 방향(Y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외측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1 돌출부(220)는 제1 바디(20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돌출부(220)는, 체결용 가압 장치(10)에 의해 체결대상물(O)을 체결할 때, 제1 안착홈(210)에 의해 지지되는 체결대상물(O)의 체결부(W) 외에, 체결부(W)와 인접한 체결대상물(O)의 다른 부분을 추가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 작업 동안, 체결대상물(O)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가압부(211)가 체결대상물(O)을 가압할 때, 제1 가압부(21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바디(200)는 제1 탄성부재(230)가 수용되는 제1 관통홀(h1)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20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이러한 제1 바디(200)의 내부공간에는 질량부(M)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질량부(M)는 제1 바디(200)의 내부공간 내에서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질량부(M)는 체결대상물(O)의 체결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한 유격에 의해, 제1 바디(200)의 내부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질량부(M)는 예를 들어, 금속과 같은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관통홀(h1)은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바디(200)의 내부공간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h1) 내부에는 제1 탄성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관통홀(h1)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가해진 힘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를 일 예로, 스프링일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가압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관통홀(h1)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제1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제1 가압부(211)와 연결되고, 제1 탄성부재(230)의 타단은 제1 바디(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질량부(M)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압부(211)가 체결대상물(O)을 가압하게 되면, 그에 따른 반작용으로 제1 가압부(211)와 연결된 제1 탄성부재(230)에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탄성부재(230)는 제1 관통홀(h1)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가 수축함에 따라, 체결대상물(O)의 체결 시 제1 가압부(211) 및 제1 바디(200)로 가해지는 힘이 완충됨으로써, 제1 가압부(211) 및 제1 바디(200)에 가해지는 충격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230)과 연결된 질량부(M)가 제1 탄성부재(230)에 의해 전달 및/또는 가해진 힘에 의해, 상기한 유격 범위 내에서 가해진 힘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탄성부재(230)의 수축 및 질량부(M)의 이동에 의해 체결대상물(O)의 체결 시 가해지는 힘을 완충시키는 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체결대상물(O)의 체결이 완료된 후 제1 바디(200)가 제2 바디(300)로부터 멀어지도록 회동하면, 제1 가압부(211)를 통해 제1 탄성부재(230)로 가해진 힘이 제거됨으로써, 제1 탄성부재(23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질량부(M)에 가해지는 힘도 제거되어, 질량부(M)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23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탄성부재(23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제1 탄성부재(23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200)는 복수개의 제1 탄성부재(230)에 대응되도록 제1 관통홀(h1)을 복수개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은 각각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1 바디(200)의 내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은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은 제1 안착홈(210)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서도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복수개의 제1 관통홀(h1) 각각의 내부에는, 제1 탄성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탄성부재(230) 각각의 일단은 제1 가압부(211)에 연결되고, 복수개의 제1 탄성부재(230) 각각의 타단은 제1 바디(200)의 내부에 구비된 질량부(M)에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제1 탄성부재(230)가 구비되어 제1 가압부(211)에 연결됨으로써, 체결대상물(O)의 체결 시 제1 가압부(211) 및 제1 바디(200)에 가해지는 힘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탄성부재(230)에 의한 완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1 보조탄성부재(240)는 질량부(M)에 힘을 가하거나, 질량부(M)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제1-1 보조탄성부재(240)는 제1 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200)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바디(200)의 하측 단부에는 제2 관통홀(h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관통홀(h2)은 제1 바디(2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보조탄성부재(240)는 제2 관통홀(h2)의 내부에 배치되고, 이러한 제1-1 보조탄성부재(240)의 일단은 질량부(M)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대상물(O)의 체결하는 동안 제1 가압부(211) 및 제1 탄성부재(230)를 통해 질량부(M)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질량부(M)와 연결된 제1-1 보조탄성부재(240)가 수축할 수 있다. 이때, 제1-1 보조탄성부재(240)가 수축하는 반발력에 의해, 질량부(M)가 가해진 힘의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후, 체결대상물(O)의 체결이 완료되어 질량부(M)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된 경우에는, 제1-1 보조탄성부재(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질량부(M)가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50)는 제1 바디(200)의 회전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250)는 제1 바디(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50)는 제1 바디(200)의 돌출단부(200e) 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50)는 다중 링크 구조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연결부(250)는 두 개의 회전 링크부와 한개의 직선 링크부(이하, 제1 직선 링크부)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회전 링크부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회전 링크부 중 어느 하나(이하, 제1 회전 링크부)는 제1 보조 회전축(C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회전 링크부 중 나머지 하나(이하, 제2 회전 링크부)는 제1 직선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직선 링크부의 단부들 중 제2 회전 링크부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는, 제1 바디(200)의 질량부(M)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상물(O)의 체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1 바디(200)가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1 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 링크부는 제1 보조 회전축(C3)을 중심으로 제2 방향(r2)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회전 링크부는 제1 회전 링크부와 반대 방향(r1)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회전 링크부와 제2 회전 링크부 사이의 각도가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 링크부와 연결된 제1 직선 링크부는 제1 바디(200)의 돌출단부(200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직선 회전부의 일단이 질량부(M)와 인접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선 회전부가 질량부(M)를 가압하여, 질량부(M)가 제1 바디(200)의 내부공간 내에서, 체결 작업이 수행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상물(O)의 체결 작업이 완료된 이후, 제1 바디(200)가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2 방향(r2)으로 회전하는 경우, 질량부(M)가 제1 바디(200)의 돌출단부(200e)를 향하는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제1 직선 링크부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직선 링크부와 연결된 제2 회전 링크부가 동일한 방향(r2)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회전 링크부와 연결된 제1 회전 링크부는 반대 방향(r1)으로 회전 운동하게 됨으로써, 제1 회전 링크부와 제2 회전 링크부 사이의 각도가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링크부를 통해 베이스부(100)와 연결된 제1 바디(200)는 제1 보조 회전축(C3)을 중심으로 제2 방향(r2)을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연결부(250)의 구조 및 작동 방식에 의해, 제1 바디(200)가 베이스부(100)에 연결된 상태로,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1 방향(r1) 또는 제2 방향(r2)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제1 보조 회전축(C3)을 중심으로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바디(200)는 회전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100)와의 연결 부분을 늘릴 수 있어, 베이스부(100)에 의한 제1 바디(200)의 지지 안정성을 높이고, 결과적으로 제1 바디(200)의 회전 운동의 안정성을 높을 수 있다.
제1-2 보조탄성부재(260)는 제1 연결부(250)의 구동을 보조할 수 있다. 제1-2 보조탄성부재(260)는 제1 연결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200)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제1 바디(200)의 하측 단부에는 제3 관통홀(h3)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관통홀(h3)은 제1 바디(200)의 돌출단부(200e)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1 바디(200)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관통홀(h3)의 내부에는 제1-2 보조탄성부재(26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2 보조탄성부재(260)의 일단은, 제1 연결부(250)의 제1 회전 링크부와 제2 회전 링크부가 연결되는 부분(이하, 회전 링크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바디(200)가 회전 운동하는 동안, 제1-2 보조탄성부재(260)는 상기한 회전 링크 연결부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바디(200)가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1 방향(r1)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링크 연결부는 제1-2 보조탄성부재(260)를 향하는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보조탄성부재(260)가 제3 관통홀(h3)의 길이방향(-Z축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 보조탄성부재(260)의 수축의 반작용에 의해, 제1 연결부(250)의 회전 반경이 제한되어, 과도한 회전에 의해 제1 연결부(2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2 보조탄성부재(260)가 제1 연결부(25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제1 연결부(250)의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바디(200)가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제2 방향(r2)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2 보조탄성부재(260)는 회전 링크 연결부에, 제1 회전 링크부와 제2 회전 링크부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는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대상물(O)을 체결하는 동안 수축했던 제1-2 보조탄성부재(260)는, 체결 작업이 완료된 이후 제1 바디(200)가 제1 방향(r1)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축되지 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제1-2 보조탄성부재(2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연결부(250)를 향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회전 링크 연결부가 가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보조탄성부재(260)가 제1 연결부(250)의 회전 운동을 보조하여, 제1 연결부(250)가 체결 작업 시작 전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체결대상물(O)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바디(300)는, 체결대상물(O)이 제1 바디(200)에 안착된 후 체결 작업이 수행될 때, 제1 바디(200)에 의해 지지되는 체결대상물(O)의 일 측면과 대향하는 체결대상물(O)의 타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와 함께,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와는 별도로, 중심축(C1)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제2 보조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200)도 역시, 제2 바디(300)와는 별도로 중심축(C1) 및 제1 보조 회전축(C2)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2 보조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가 함께 베이스부(100)의 일 부분에 결합되면서, 동시에 제1 바디(200)만이 베이스부(100)의 다른 부분에 결합되고, 제2 바디(300)만이 베이스부(100)의 또 다른 부분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베이스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300)는, 제1 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2 안착홈(310)과, 제2 돌출부(320)와, 질량부(M)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300)는 제2-1 보조탄성부재(340)와, 제2 연결부(350)와, 제2-2 보조탄성부재(3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안착홈(310)은 제2 가압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압부(311)는 제2 안착홈(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제2 안착홈(31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압부(311)는 제2-1 돌기부(311a)와 제2-2 돌기부(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1 돌기부(311a)와 제2-2 돌기부(311b)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제1-1 돌기부(211a)와 제1-2 돌기부(211b)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2 바디(300)의 구성요소들은, 제1 바디(200)의 구성요소들과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안착홈(310)은 제1 안착홈(210)과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착홈(310)은 제1 안착홈(2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가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는 제1 방향(r1)으로 회전하여, 제1 바디(200)의 내측 표면과, 제2 바디(300)의 내측 표면이 접하는 경우, 제1 안착홈(210)과 제2 안착홈(310)이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안착홈(310)은 제1 안착홈(210)과 함께, 체결대상물(O)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획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공간은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는 체결대상물(O)의 경우, 체결대상물(O)의 일 측면은 제1 안착홈(210)에 안착되고, 체결대상물의 타 측면은 제2 안착홈(3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안착홈(210)에 구비된 제1 가압부(211)는, 제2 안착홈(310)에 구비된 제2 가압부(311)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300)의 제2 돌출부(320), 제2 탄성부재(330), 질량부(M), 제2-1 보조탄성부재(340), 제2 연결부(350) 및 제2-2 보조탄성부재(360)는 각각, 제1 바디(200)의 제1 돌출부(220), 질량부(M), 제1-1 보조탄성부재(240), 제1 연결부(250) 및 제1-2 보조탄성부재(260)와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300)에는, 전술한 제1 바디(200)의 제1 관통홀(h1), 제2 관통홀(h2) 및 제3 관통홀(h3)과 대칭되는 위치에, 제1 관통홀(h1)과, 제2 관통홀(h2)과 제3 관통홀(h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재(330)가 제1 관통홀(h1) 내부에, 제2-1 보조탄성부재(340)는 제2 관통홀(h2)의 내부에, 그리고 제2-2 보조탄성부재(360)는 제3 관통홀(h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350)는 제2 바디(300)의 회전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부(350)는 제2 바디(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350)는 제2 바디(300)의 돌출단부(300e) 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50)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두 개의 회전 링크부와, 한 개의 직선 링크부(이하, 제2 직선 링크부)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회전 링크부 중 어느 하나(이하, 제3 회전 링크부)는 제2 보조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회전 링크부 중 나머지 하나(이하, 제4 회전 링크부)는 제2 직선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직선 링크부의 단부들 중 제4 회전 링크부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는, 제2 바디(300)의 질량부(M)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특징들을 제외한 제2 바디(300) 및 제2 바디(3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특징 및 구동 방식은, 제1 바디(200) 및 제1 바디(2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부(400)는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의 회동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00)는 제1 바디(200)의 돌출단부(200e)와, 제2 바디의 돌출단부(300e)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L)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L)은 제1 바디(200)의 내측 표면과 제2 바디(300)의 내측 표면이 접한 상태에서, 제1 바디(200) 또는 제2 바디(300)의 길이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가 제2 방향(r2)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400)는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로부터 멀어지도록,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L)과 평행한 제1 이동방향(B1)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가 제1 방향(r1)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400)는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와 가까워지도록,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L)과 평행한 제2 이동방향(B2)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제1 바디(200)의 돌출단부(200e) 및 제2 바디(300)의 돌출단부(300e)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바디(200)의 돌출단부(200e)는 제1 바디(200)의 높이방향의 반대방향(-Z축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300)의 돌출단부(300e)는 제2 바디(300)의 높이방향(Z축 방향)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00)는 그 일부가,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에 인접한 단부로부터, 가이드부(400)의 길이방향(L)으로 따라,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와 멀어질수록, 두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00)의 상기한 일부는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와 인접한 단부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400)의 형상에 의해,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가 회동 운동이, 가이드부(400)에 의해 방해 또는 간섭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체결용 가압 장치(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구동부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고, 이러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이러한 유압 실린더 방식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구동부는 베이스부(100)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부는 베이스부(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부는 구동력 전달부(미도시)를 통해 베이스부(100)와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에 체결대상물이 안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에 체결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에 안착된 체결대상물을 가압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체결용 가압 장치(10)를 이용하여, 체결대상물(O)을 체결 및 결합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용 가압 장치(10)는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소정의 각도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결용 가압 장치(10)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바디(200)가 제2 바디(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 사이의 각도는, 체결대상물(O)이 제1 안착홈(210)로 삽입되기에 충분한 각도일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대상물(O)이 체결용 가압 장치(10)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대상물(O)은 체결부(W)가 제1 안착홈(210)에 안착된 상태로, 제1 바디(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W)에 의해 연결된 제1 배관(P1)의 일부 및/또는 제2 배관(P2)의 일부가, 체결부(W)와 함께 제1 안착홈(210)에 안착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제1 가압부(211)는 제1 안착홈(210)의 내측면 중 체결부(W)만을 가압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가압부(211)는 제1 안착홈(210)의 중앙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용 가압 장치(10)는 제1 바디(200)에 안착된 체결대상물(O)을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제1 방향(r1)을 따라 회동함으로써, 체결대상물(O)은 제1 안착홈(210) 및 제2 안착홈(31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바디(200)는 정지한 상태로, 제2 바디(300)만이 제1 방향(r1)으로 회전함으로써, 체결부(W)를 가압하여, 체결부(W) 및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을 체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체결대상물(O)의 체결부(W)는, 그 둘레 표면이 제1 가압부(211) 및 제2 가압부(311)에 접한 상태로, 제1 안착홈(210) 및 제2 안착홈(3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가압부(311)는 상술한 제1 가압부(211)와 마찬가지로, 제2 안착홈(310)의 내측면 중 체결부(W)만을 가압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가압부(311)는 제2 안착홈(310)의 중앙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제1 방향(r1)을 따라 서로를 향해 더 가까워지도록 회동 운동함으로써, 제1 가압부(211) 및 제2 가압부(311)는 체결부(W)를 가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부(211)는 체결부(W)의 일 측면을 가압하고, 제2 가압부(311)는 체결부(W)의 타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부(W)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가압부(211) 및 제2 가압부(311)가 돌출된 형상에 대응되도록, 체결부(W)의 내측을 향해 구부러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W)의 내부에 삽입된 제1 배관(P1)의 일부와, 제2 배관(P2)의 일부가 체결부(W)와 유격이 없는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체결대상물(O)의 체결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더 가까워지도록 추가로 회동 운동시킴으로써, 체결대상물(O)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체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체결용 가압 장치(10)는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를 이용하여, 체결대상물(O)을 체결시킴으로써,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30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기존의 장치에 비해, 체결 작업 동안 체결대상물(O)의 지지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의 운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간적 측면에서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하나의 구동부에서 생성되는 구동력만으로,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300)를 구동시킬 수 있어,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체결용 가압 장치 300: 제2 바디
100: 베이스부 310: 제2 안착홈
200: 제1 바디 311: 제2 가압부
210: 제1 안착홈 320: 제2 돌출부
211: 제1 가압부 330: 제2 탄성부재
220: 제1 돌출부 340: 제2-1 보조탄성부재
230: 제1 탄성부재 350: 제2 연결부
240: 제1-1 보조탄성부재 360: 제2-2 보조탄성부재
250: 제1 연결부 400: 가이드부
260: 제1-2 보조탄성부재

Claims (10)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체결대상물의 일 측면이 안착되는 제1 바디;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 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체결대상물의 타 측면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체결대상물의 일 측면이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체결대상물의 타 측면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용 가압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체결대상물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체결용 가압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안착홈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 내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회동 시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회동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일단에,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일단에, 상기 베이스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용 가압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바디 또는 상기 제2 바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형 운동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가 회동 운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체결용 가압 장치.
KR1020210039557A 2021-03-26 2021-03-26 체결용 가압 장치 KR10257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57A KR102570667B1 (ko) 2021-03-26 2021-03-26 체결용 가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57A KR102570667B1 (ko) 2021-03-26 2021-03-26 체결용 가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202A true KR20220134202A (ko) 2022-10-05
KR102570667B1 KR102570667B1 (ko) 2023-08-25

Family

ID=8359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557A KR102570667B1 (ko) 2021-03-26 2021-03-26 체결용 가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6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53B1 (ko) * 2009-12-14 2010-06-24 (주) 대진유압기계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20120032723A (ko) * 2010-09-29 2012-04-06 배승범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20120113824A (ko) * 2011-04-04 2012-10-16 배승범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의 인서트구조
KR101586405B1 (ko) * 2012-06-28 2016-01-19 피이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치크 플레이트, 비착탈식 파이프 조인트를 제조하는 방법, 피팅, 및 치크 플레이트와 피팅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KR102187677B1 (ko) * 2019-11-15 2020-12-08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호스 양단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53B1 (ko) * 2009-12-14 2010-06-24 (주) 대진유압기계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20120032723A (ko) * 2010-09-29 2012-04-06 배승범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
KR20120113824A (ko) * 2011-04-04 2012-10-16 배승범 파이프 이음용 압착기의 인서트구조
KR101586405B1 (ko) * 2012-06-28 2016-01-19 피이가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치크 플레이트, 비착탈식 파이프 조인트를 제조하는 방법, 피팅, 및 치크 플레이트와 피팅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KR102187677B1 (ko) * 2019-11-15 2020-12-08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무호스 양단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667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1000B1 (en) Mass damper
KR101907397B1 (ko) 서보 실린더
KR102571971B1 (ko) 선형 전기 기계
US20090170656A1 (en) Friction drive device and transmission using the friction drive device
EP0611887A4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RESSURE LIQUID.
KR20010082750A (ko) 선형 액츄에이터
CN1842663A (zh) 夹紧和/或制动装置
CN111356599A (zh) 伸缩连杆和悬架
US20100254641A1 (en) Rotary-slide bearing with a convex and an elastically yielding sliding surface
KR20080018914A (ko) 동력 전달 체인 및 동력 전달 장치
KR20220134202A (ko) 체결용 가압 장치
CN101678553A (zh) 柔软致动器以及使用了该柔软致动器的关节驱动单元
JPH11300545A (ja) フローティング支持装置
KR102214202B1 (ko) 중력보상장치가 구비된 로봇 암의 링크 구조
JP3656312B2 (ja) 冷凍機用サスペンションばねユニット
CN108413006B (zh) 一种振动波发生器的谐波传动器
JP2022521129A (ja) リニア電気機械
US20110209570A1 (en) Motion conversion device, flexible actuator using the same, and joint driving unit
CN113492621A (zh) 轮子、驱动单元以及移动装置
CN205029575U (zh) 惯性粘滑平台
US6003850A (en) Electric power operated clamp
CN113601208A (zh) 一种用于转向节的夹具
CN102395788A (zh) 具有凸轮驱动装置的活塞泵、尤其是燃料泵
US20220014119A1 (en) Vibration-type actuator including member that restrains movement of vibrating body with respect to supporting member, and apparatus that uses the same
JP2017013173A (ja) 動力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