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079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079A
KR20220134079A KR1020210039251A KR20210039251A KR20220134079A KR 20220134079 A KR20220134079 A KR 20220134079A KR 1020210039251 A KR1020210039251 A KR 1020210039251A KR 20210039251 A KR20210039251 A KR 20210039251A KR 20220134079 A KR20220134079 A KR 2022013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trusion
holder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시영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4079A/ko
Priority to CN202210307345.6A priority patent/CN115126362A/zh
Priority to US17/705,055 priority patent/US20220307698A1/en
Publication of KR2022013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04Additional locks added to existing lock arrangements
    • E05B63/0008Mounted on the hinged side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래치기구에 의해 본체에 고정된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래치기구와 다른 위치에서 도어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로킹기구를 구비하고, 도어에 설치되는 이 로킹기구는 로킹기구에 대한 누름 조작의 반복에 따라 도어와 본체 간의 고정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챔버, 즉 조리실이 본체의 내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 중 전자레인지는, 전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생성시켜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침투시켜, 내부에서 분자운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하여 조리 대상물을 가열하는 조리장치이다.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의 고주파를 조리물에 조사시켜 그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가열하는 주방용 기구로서, 열효율이 높아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고, 조리물의 조리나 해동 및 데우기 과정에서 영양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물을 용기에 저장한 채로 직접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통상 본체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를 구비한다. 전자레인지에 구비되는 도어로서, 그 개폐 형태에 따라 좌우 개폐식 도어, 상하 개폐식 도어, 슬라이딩 도어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의 도어는 좌우 개폐식 도어이다.
또한 본체와 도어 사이에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가 구비될 수 있다. 래치는, 걸이로서의 작용으로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도어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 개방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래치에 의해서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될 수 없게 고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에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별도의 다른 조작 없이도 래치에 의한 도어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따라 도어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하며 조리실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의 개폐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도어를 잡아 당기면 도어가 쉽게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실수 또는 어린이의 장난 등으로 인해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일이 종종 발생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의 동작 중에 의도치 않게 조리실이 개방되는 경우, 음식물을 조리 중인 조리실 내부의 열기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있다. 또한 조리 중이 아니라도 아이들이 빈번하게 도어를 개폐시키게 되면, 래치의 마모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마모된 래치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래치기구에 의해 본체에 고정된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래치기구와 다른 위치에서 도어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로킹기구를 구비하고, 도어에 설치되는 이 로킹기구는 로킹기구에 대한 누름 조작의 반복에 따라 도어와 본체 간의 고정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로킹기구에 대한 누름 조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에 설치되는 로킹기구에서, 누름 조작의 반복에 따라 고정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샤프트가 마련되고, 고정위치에 위치한 샤프트는 도어를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부재와 간섭되며 힌지부재를 상대로 한 도어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힌지부재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상기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측방향 타측에서 상기 본체와 맞물리며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상기 래치기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래치기구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로킹기구는, 누름 조작의 반복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와 결합되는 고정위치 또는 상기 힌지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홀더와; 상기 고정위치 또는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홀더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 돌기와 맞물리는 맞물림돌기부와; 상기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푸시버튼; 및 상기 맞물림돌기부와 상기 걸림돌기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맞물림돌기부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샤프트가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맞물림돌기부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해제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도어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힌지부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나머지 일부분과 상기 푸시버튼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맞물림돌기부가 마련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맞물림돌기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게 상기 제2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부; 및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2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고정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돌기부와 상기 제2고정돌기부가 상기 제2홀더의 둘레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돌기부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린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걸림돌기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의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에는 상기 제2홀더와 마주보는 상기 푸시버튼의 외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2홀더에는 상기 제2고정돌기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홀더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홈에 맞물린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정돌기부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간섭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상하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푸시버튼의 하단과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이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걸림돌기의 상하방향 위치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의 상면에는 상기 제1홀더가 삽입되는 설치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로킹기구와 상기 도어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으로의 상기 로킹기구와 상기 도어의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로킹기구가 상기 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홀을 둘러싸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도어의 상면과 상기 힌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턱이 상기 설치홀을 향해 노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홀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홀더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돌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홀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힌지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도어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도어 간의 결합 지점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힌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샤프트와 마주보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의 회전이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어를 본체에 고정시킬 수 있게 구비된 로킹기구에 의해 도어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동작 중에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킹기구에 대한 누름 조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샤프트의 위치가 고정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변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로킹기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에서 샤프트가 해제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로킹기구에서 맞불림돌기부와 걸림돌기 간의 맞물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로킹기구에서 푸시버튼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킹기구에서 샤프트가 고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및 도 15는 로킹기구의 도어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캐비티(11) 및 캐비닛(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는, 본체(10)의 내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은, 캐비티(11)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캐비닛(13)은, 캐비티(11)의 외측에서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13)은, 캐비티(11)를 상부 및 측부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의 전방에 전면 플레이트(12)가 배치되고, 캐비티(11)의 후방에 후면 플레이트(14)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전면 플레이트(12)는, 캐비티(11)의 전방에서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 플레이트(12)는 중공이 형성된 금속판 형태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캐비티(11)와,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3)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본체(10)의 좌우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하는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하측에 배치되어 본체(10)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12)와, 프레임(11)의 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플레이트(13), 및 프레임(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14)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20)는, 그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와 도어 사이에는, 힌지부재(30)가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재(30)는 본체(1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재(30)는,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을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전면에서 힌지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부재(3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 내 가열을 위한 조리실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 열원은 한 가지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고, 두 가지 이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조리실 열원은 조리실 내부에 고주파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마그네트론(Magnetron)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마그네트론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되, 조리실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본체(10) 내 조리실의 상부 또는 측부에 위치되는 전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마그네트론, 고압트랜스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어(20)는, 도어(20)의 골격을 형성하는 도어패널(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패널(21)은, 본체(10)의 전면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패널(21)의 내측에는 조리실(15)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개방창(22)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패널(21)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도어패널(21)의 외측에는, 도어프레임(25)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25)은 도어(20)의 전면과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하며,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25)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패널(21)이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패널(21)의 측방향 일측에는, 도어패널(21)을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재(30)는, 도어패널(21)의 측방향 일측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어패널(21)은, 힌지부재(30)에 의해 본체(10)에 결합된 측방향 일측을 중심으로 측방향 타측이 좌우로 회동하는 사이드 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조리실(15)을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조리기기는, 래치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래치기구(40)는 도어(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도어(20)에 설치되는 래치기구(40)는, 도어(20)가 조리실을 차폐할 때, 본체(10)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래치슬롯을 관통하여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내부로 삽입된 래치기구(4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걸림레버와 맞물려서 결합됨으로써 도어(20)를 본체(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래치기구(40)의 작용에 의해 본체(10)에 대한 도어(20)의 회동이 제한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조리실이 도어(20)에 의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기구(40)와 걸림레버 간의 맞물림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을 통해 도어(20)의 닫힘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지 않도록 조리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20)에는 로킹기구(100)가 설치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래치기구(40)와 별도로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는, 조리실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 래치기구(4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되, 래치기구(40)와 다른 위치에서 래치기구(40)와는 별도로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래치기구(40)가 도어(20)의 측방향 타측에 배치된다면, 로킹기구(100)는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래치기구(40)는 도어(20)의 측방향 타측에서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로킹기구(100)는 도어(20)의 측방향 일측에서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로킹부재의 전반적인 구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로킹기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로킹기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로킹기구(100)는 홀더(110)와 샤프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110)는, 도어(20)에 설치되며, 샤프트(1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지지할 수 있다. 홀더(110)의 내부에는, 샤프트(12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110)는, 샤프트(1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홀더(110)는, 제1홀더(111)와 제2홀더(115)를 포함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홀더(110)는, 제1홀더(111)와 제2홀더(115)가 상하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홀더(111)는, 홀더(110)의 하부를 형성하며, 제2홀더(11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홀더(111)는, 샤프트(120)의 일부분, 예컨대 샤프트(120)의 하측 일부분을 수용하며 도어(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홀더(111)의 하부는, 힌지부재(3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홀더(111)의 내부에는 샤프트(120)의 하측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홀더(111)의 하부는 제1홀더(111) 내부의 공간이 힌지부재(30)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홀더(115)는, 홀더(110)의 상부를 형성하며, 제1홀더(1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홀더(115)는, 제1홀더(111)의 상부에서 제1홀더(111)와 결합되며, 샤프트(120)의 나머지 일부분, 예컨대 샤프트(120)의 하측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2홀더(115)는, 샤프트(120) 외에도, 후술할 푸시버튼(150)의 적어도 일부분도 함께 수용할 수 있다.
샤프트(120)는, 홀더(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푸시버튼(150)을 통해 이루어지는 누름 조작의 반복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이처럼 승강하는 샤프트(120)의 위치는, 고정위치(Pa) 또는 해제위치(Pb)로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위치(Pa)는, 힌지부재(30)와 결합되는 샤프트(120)의 위치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해제위치(Pb)는, 힌지부재(30)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샤프트(120)의 위치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샤프트(120)는 푸시버튼(150)을 통해 이루어지는 누름 조작의 반복에 따라 승강할 수 있고, 이처럼 승강하는 샤프트(120)의 위치는 힌지부재(30)와 샤프트(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위치(Pa) 또는 힌지부재(30)와 샤프트(120) 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해제위치(Pb)로 반복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걸림돌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30)는, 홀더(110)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샤프트(120)의 외주면으로부터 홀더(110)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30)는, 샤프트(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걸림돌기(130)가 샤프트(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걸림돌기(130)들 간의 간격은, 후술할 맞물림돌기부(140)의 제1고정돌기부(141)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30)와 걸림돌기(130) 사이에는, 연결돌기(135)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돌기(135)는, 인접한 한 쌍의 걸림돌기(130) 사이를 연결하며 걸림돌기(130)를 측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돌기(135)는, 샤프트(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걸림돌기(130)보다는 원심방향 및 상부방향으로 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킹기구(100)는, 맞물림돌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맞물림돌기부(140)는, 홀더(110)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에서 걸림돌기(130)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제1위치(P1)는, 걸림돌기(130)와 맞물림돌기부(140)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위치로서, 샤프트(120)가 고정위치(Pa)에 고정될 수 있게 걸림돌기(130)와 맞물림돌기부(140)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위치(P2)는, 맞물림돌기부(140)와 푸시버튼(150) 및 걸림돌기(130)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위치로서, 샤프트(120)가 해제위치(Pb)에 고정될 수 있게 걸 맞물림돌기부(140)와 푸시버튼(150) 및 걸림돌기(130)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맞물림돌기부(140)는, 홀더(110)의 내주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홀더(115)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돌기부(140)는, 제1고정돌기부(141)와 제2고정돌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돌기부(141)는, 제1위치(P1)에서 걸림돌기(130)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게 제2홀더(115)의 내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돌기부(142)는, 제2위치(P2)에서 걸림돌기(130)가 고정될 수 있게 제2홀더(115)의 내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돌기부(141)와 제2고정돌기부(142)는, 제2홀더(115)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돌기부(141)와 제2고정돌기부(142)는, 제2홀더(115)의 둘레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킹기구(100)는, 푸시버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버튼(150)은, 홀더(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푸시버튼(150)은 제2홀더(115)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시버튼(150)은,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하여 샤프트(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150)에는 가이드돌기(153)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2홀더(115)에는 가이드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53)는, 제2홀더(115)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푸시버튼(15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153)가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가이드홈(116)은, 제2홀더(115)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홈(116)에는 가이드돌기(153)가 맞물릴 수 있다.
가이드홈(116)은, 가이드돌기(153)와 맞물리며 가이드돌기(15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16)은 가이드돌기(153)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가이드돌기(153)와 맞물릴 수 있다.
가이드홈(116)은, 제1고정돌기부(141)와 제1고정돌기부(141) 사이에 배치되며, 제2고정돌기부(14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고정돌기부(141)와 가이드홈(116)은 제2홀더(115)의 둘레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고정돌기부(152)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가이드홈(116)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홀더(115)의 둘레방향에 따른 가이드홈(116)의 길이와 가이드돌기(153)의 길이가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고, 가이드홈(116)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가이드돌기(153)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고정돌기부(142)에는, 푸시버튼(1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가이드돌기(153)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즉 제2고정돌기부(142)의 하단과 가이드돌기(153)의 상단이 맞대어지는 형태로 제2고정돌기부(142)와 가이드돌기(153)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고정돌기부(142)와 가이드돌기(153)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푸시버튼(150)의 상하방향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30)가 푸시버튼(150)의 하단,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제1톱니부(151)의 톱니와 맞물리면, 걸림돌기(130)가 제2위치(P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예컨대, 제1고정돌기부(141)의 하단면과 걸림돌기(130)의 상단면이 상하방향으로 맞닿으며 제1고정돌기부(141)와 걸림돌기(130)의 맞물림이 이루어지고 푸시버튼(150)의 하단면과 걸림돌기(130)의 상단면이 상하방향으로 맞닿으며 푸시버튼(150)과 걸림돌기(130)의 맞물림이 이루어진다고 할 때, 제1고정돌기부(141)의 하단면의 상하방향 위치와 제2고정돌기부(142)과 가이드돌기(153) 간의 맞물림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푸시버튼(150)의 하단면의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고정돌기부(141)의 하단면이 제2고정돌기부(142)의 하단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제1고정돌기부(141)와 제2고정돌기부(142) 사이에는, 중간돌기부(143)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돌기부(143)는, 제1고정돌기부(141) 및 제2고정돌기부(142)와 마찬가지로, 제2홀더(115)의 내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중간돌기부(143)는 그 하단면이 제1고정돌기부(141) 및 제2고정돌기부(142)의 하단면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간돌기부(143)는, 제1고정돌기부(141)와 제2고정돌기부(142) 사이에서 제1고정돌기부(141) 및 제2고정돌기부(142)보다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돌기부(141)와 맞물린 상태인 걸림돌기(130)가 제2고정돌기부(142)를 향해 이동하기 위해서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중간돌기부(143)를 뛰어 넘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즉 제1고정돌기부(141)와 걸림돌기(130)가 맞물린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제1고정돌기부(141)와 걸림돌기(130) 간의 맞물림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푸시버튼(150)은, 누름 조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돌기(130)가 제1위치(P1) 또는 제2위치(P2)로 이동될 수 있게 샤프트(1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푸시버튼(150)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1위치(P1)에서 제1고정돌기부(141)와 맞물려 있던 걸림돌기(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간돌기부(143)를 뛰어 넘어 제2고정돌기부(14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고정돌기부(142) 측으로 이동한 걸림돌기(130)는, 제2고정돌기부(142)와 제2위치(P2)에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푸시버튼(150)에 대한 누름 조작이 재차 이루어지면, 제2위치(P2)에서 제2고정돌기부(142)와 맞물려 있던 걸림돌기(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고정돌기부(14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고정돌기부(141) 측으로 이동한 걸림돌기(130)는, 제1고정돌기부(141)와 제1위치(P1)에서 맞물릴 수 있다.
한편 푸시버튼(150)과 걸림돌기(130)의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는, 각각 톱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푸시버튼(150)의 하단에는 제1톱니부(151)가 마련될 수 있고, 걸림돌기(130)의 상단에는 제2톱니부(13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톱니부(151)에는,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톱니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톱니는, 하부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톱니부(131)에는, 걸림돌기(130)의 상단으로부터 상부방향을 향해 돌출된 톱니가 마련될 수 있다.
제2톱니부(131)의 톱니는 제1톱니부(151)의 톱니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으며, 푸시버튼(150)이 걸림돌기(130) 및 샤프트(120)를 밀어 내리는 과정에서 제1톱니부(151)의 톱니가 제2톱니부(131)의 빗면을 타고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의 맞물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가 서로 멀어지면서 그들의 맞물림도 함께 해제되며, 샤프트(120)가 상부방향으로 다시 이동하면,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 간의 맞물림이 다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푸시버튼(150)에 대한 누름 조작이 반복되면,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 간의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의 교번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푸시버튼(150) 및 이에 구비된 제1톱니부(151)는, 상하방향으로의 이동, 즉 직선방향으로의 이동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의 맞물림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1톱니부(151)의 톱니가 제2톱니부(131)를 하부방향으로 누르면서 제2톱니부(131)를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제1톱니부(151)의 톱니가 제2톱니부(131)를 하부방향으로 눌러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톱니부(131)는 제1톱니부(151)의 톱니의 빗면을 따라 이동하되,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돌기부(141) 측에 위치해 있던 걸림돌기(130)는 제2고정돌기부(142) 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고정돌기부(142) 측에 위치해 있던 걸림돌기(130)는 제1고정돌기부(14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푸시버튼(150)에 대한 누름 조작이 반복되면,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 간의 맞물림과 맞물림 해제가 반복되면서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으로의 걸림돌기(130)의 이동이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130)의 이동에 의해, 걸림돌기(130)와의 맞물림 대상이 제1고정돌기부(141)에서 제2고정돌기부(142)로, 제2고정돌기부(142)에서 제1고정돌기부(141)로 원활하게 변화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로킹기구(100)는, 탄성부재(160; 도 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맞물림돌기부(140)와 걸림돌기(130)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샤프트(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탄성부재(160)는 홀더(110)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60)는, 그 하단이 제1홀더(111)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고 그 상단이 걸림돌기(130)와 맞물리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탄성부재(160)는, 걸림돌기(130)의 상단면이 맞물림돌기부(140)의 하단면과 맞물릴 수 있게 샤프트(120)를 상부방향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로킹기구(100)에 따르면, 제1위치(P1)에서 걸림돌기(130)와 맞물림돌기부(140)가 서로 맞물릴 때 샤프트(120)가 고정위치(Pa)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돌기(130)는 제1위치(P1)에서 제1고정돌기부(141)와 맞물릴 수 있으며, 이 때 샤프트(120)는 고정위치(Pa)에 고정되어 힌지부재(3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로킹기구(100)에 따르면, 맞물림돌기부(140)와 맞물린 푸시버튼(150)과 걸림돌기(130)가 제2위치(P2)에서 서로 맞물릴 때 샤프트(120)가 해제위치(Pb)에 고정될 수 있다. 걸림돌기(130)는 제2위치(P2)에서 푸시버튼(150)과 맞물릴 수 있으며, 이 때 샤프트(120)는 해제위치(Pb)에 고정되어 힌지부재(30)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로킹부재의 설치 구조]
도 8은 도 3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어(20)의 상면에는, 설치홀(26)이 마련될 수 있다. 설치홀(26)은, 도어(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프레임(25)의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홀(26)에는, 로킹기구(100)의 홀더(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홀더(111)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홀더(111)가 설치홀(26)에 삽입되며 도어(2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로킹기구(100)와 도어(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기구(100)는 도어(2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와 도어(20) 간의 결합에 의해, 도어(20)의 회전방향으로의 로킹기구(100)와 도어(20)의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어(20)의 내주면에는 걸림턱(27)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턱(27)이 도어프레임(25)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설치홀(26)을 둘러싸는 도어(20)의 내주면에 걸림턱(27)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27)은, 도어(20)의 상면과 힌지부재(30) 사이에 배치되며, 설치홀(26)을 향해 노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홀더(110)는, 제1돌기(112) 및 제2돌기(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112) 및 제2돌기(113)는, 제1홀더(1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112)와 제2돌기(113)는, 서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의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턱(27)이 제1돌기(112)와 제2돌기(113) 사이에 끼워지며 도어(20)와 제1홀더(111)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어(20)와 제1홀더(111)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홀더(111)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될 수 있다.
제1돌기(112)는, 제2돌기(113)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홀더(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기(112)의 하단이 걸림턱(27)의 상면과 간섭되며 제1돌기(112)가 걸림턱(27)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돌기(113)는, 제1돌기(112)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돌기(113)는, 설치홀(26)을 통해 도어(20)의 내부에 삽입되되, 걸림턱(27)의 상부로부터 걸림턱(27)을 통과하여 걸림턱(27)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돌기(113)의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돌기(113)가 경사면을 통해 걸림턱(27)을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돌기(113)가 걸림턱(27)을 통과하여 걸림턱(27)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돌기(112)가 걸림턱(27)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턱(27)이 제1돌기(112)와 제2돌기(113)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도어(20)와 제1홀더(111)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홀더(11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며 로킹기구(100)가 도어(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114는 도어(120)의 테두리 사이의 틈을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연결부재로서, 제1홀더(111)의 외측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킹부재의 도어 고정 구조]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로킹기구(100)에서, 샤프트(120)는 홀더(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20)는,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위치(Pa)에서 홀더(110) 외측으로 돌출되어 힌지부재(3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위치(Pa)가 해제위치(Pb)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샤프트(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고정위치(Pa)에서 홀더 하부로 돌출되어 힌지부재(30)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재(30)는 고정부(31) 및 힌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1)는, 힌지부재(30) 중에서 본체(10)의 전면에 고정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고정부(31)는, 전면 플레이트(12)와 나란한 평면을 포함하는 금속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31)는, 전면 플레이트(12)의 전방에서 전면 플레이트(12)와 결합됨으로써, 본체(1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힌지부(33)는, 힌지부재(30) 중에서 도어(20)와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힌지부(33)는 고정부(31)로부터 도어(20) 측, 즉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도어(20)의 상면과 나란한 평면을 포함하는 금속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부(33)는 도어(20)의 회전 중심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포함하는 금속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33)에는, 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재(30)는, 관통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32)는, 힌지부(33)와 도어(20) 간의 결합 지점과 고정부(31) 사이에 마련되며, 힌지부재(3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32)는, 샤프트(120)가 힌지부재(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기 위한 통로를 힌지부재(3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고정위치(Pa)에 위치한 샤프트(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관통부(32)를 통해 힌지부재(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위치(Pa)에 위치한 샤프트(1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샤프트(120)와 마주보는 힌지부(33)의 측면과 간섭되면서 샤프트(120)와 힌지부재(30) 간의 걸림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도어(20)의 회전방향에 따른 샤프트(12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처럼 샤프트(120)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로킹기구(100)가 설치된 도어(2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기구에서 샤프트가 해제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로킹기구에서 맞불림돌기부와 걸림돌기 간의 맞물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로킹기구에서 푸시버튼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킹기구에서 샤프트가 고정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및 도 15는 로킹기구의 도어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로킹부재의 도어 고정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 내지 도 13에서는 제2홀더의 도시가 생략되었음을 밝혀둔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로킹기구(100)에서 샤프트(120)가 해제위치(Pb)에 있을 때에는, 샤프트(120)의 최하단이 도어(20) 및 힌지부재(30)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도어(20)는 자유롭게 회전하며 조리실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이때 푸시버튼(150)의 가이드돌기(153)는, 가이드홈(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고정돌기부(142)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150)의 상하방향 위치가 고정되며, 샤프트(12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있는 걸림돌기(130)는 제2위치(P2)에서 푸시버튼(150)의 하단, 즉 제1톱니부(151)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20)는, 해제위치(Pb)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150)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면, 샤프트(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의 맞물림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의 맞물림이 이루어질 때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톱니부(151)의 톱니가 제2톱니부(131)를 하부방향으로 누르면서 제2톱니부(131) 및 이를 구비하는 걸림돌기(130)를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130)의 이동에 의해, 걸림돌기(130)는 제2고정돌기부(142)와 맞물린 상태에서 벗어나 제1고정돌기부(14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걸림돌기(130)가 제1고정돌기부(141)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푸시버튼(150)을 누르던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120) 및 걸림돌기(1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걸림돌기(130)는, 제1고정돌기부(141)의 빗면을 따라 이동하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고정돌기부(141)와 맞물릴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130)는, 제1위치(P1)에서 제1고정돌기부(141)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20)는, 고정위치(Pa)에 고정되며 도어(20)의 회전방향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20)의 회전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로킹기구(10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20)가 조리실을 개방할 수 없게, 또는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며 조리실을 개방할 수 없게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20)를 본체(10)에 고정시키는 로킹기구(100)에 의해, 조리실을 폐쇄 중인 도어(20)의 고정이 신뢰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도어(20)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로킹기구(1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 동작 중에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로킹기구(100)에 의해 도어(20)가 본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푸시버튼(150)에 대한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면, 샤프트(12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걸림돌기(130)는, 제1위치(P1)에서 제1고정돌기부(141)와 맞물린 상태에서 벗어나 샤프트(120)와 함께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의 맞물림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톱니부(151)와 제2톱니부(131)의 맞물림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1톱니부(151)의 톱니가 제2톱니부(131)를 하부방향으로 누르면서 제2톱니부(131) 및 이를 구비하는 걸림돌기(130)를 푸시버튼(15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걸림돌기(130)가 중간돌기부(143)보다 더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돌기(130)는 중간돌기부(143)를 넘어 제2고정돌기부(14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걸림돌기(130)가 제2고정돌기부(142) 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푸시버튼(150)을 누르던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120)와 걸림돌기(130) 및 푸시버튼(15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상부방향으로 이동한 푸시버튼(150)의 가이드돌기(153)는, 가이드홈(116)에 의해 안내되는 경로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한 후, 제2고정돌기부(142)와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130)는, 제2위치(P2)에서 제1톱니부(151)의 톱니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120)는 해제위치(Pb)에 고정되며, 도어(20)는 로킹기구(100)에 의해 영향 받지 않고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킹기구(100)에 대한 누름 조작을 반복하는 것만으로, 샤프트(120)의 위치가 고정위치(Pa) 또는 해제위치(Pb)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의도치 않은 조리실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20)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로킹기구(100)는, 도어(20)의 고정 및 그 고정 해제가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20)의 불필요한 개폐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로킹기구(1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마모된 래치기구로 인해 도어(20)의 개폐 동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3 : 캐비닛
20 : 도어
21 : 도어패널
22 : 개방창
25 : 도어프레임
26 : 설치홀
27 : 걸림턱
30 : 힌지부재
31 : 고정부
32 : 관통부
33 : 힌지부
40 : 래치기구
100 : 로킹기구
110 : 홀더
111 : 제1홀더
112 : 제1돌기
113 : 제2돌기
115 : 제2홀더
116 : 가이드홈
120 : 샤프트
130 : 걸림돌기
131 : 제2톱니부
135 : 연결돌기
140 : 맞물림돌기부
141 : 제1고정돌기부
142 : 제2고정돌기부
143 : 중간돌기부
150 : 푸시버튼
151 : 제1톱니부
153 : 가이드돌기
160 : 탄성부재

Claims (12)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힌지부재;
    상기 본체의 전면에서 상기 힌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측방향 타측에서 상기 본체와 맞물리며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래치기구; 및
    상기 래치기구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래치기구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로킹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로킹기구는, 누름 조작의 반복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와 결합되는 고정위치 또는 상기 힌지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로 위치가 변화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기구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홀더;
    상기 고정위치 또는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홀더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샤프트;
    상기 홀더의 내주면과 마주보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홀더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마련되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 돌기와 맞물리는 맞물림돌기부;
    상기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누름 조작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푸시버튼; 및
    상기 맞물림돌기부와 상기 걸림돌기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맞물림돌기부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샤프트가 상기 고정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맞물림돌기부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해제위치에 고정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샤프트의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도어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힌지부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의 나머지 일부분과 상기 푸시버튼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맞물림돌기부가 마련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돌기부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게 상기 제2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고정돌기부; 및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2홀더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고정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돌기부와 상기 제2고정돌기부가 상기 제2홀더의 둘레방향으로 교번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고정돌기부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린 상기 푸시버튼이 상기 걸림돌기와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의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다른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에는, 상기 제2홀더와 마주보는 상기 푸시버튼의 외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2홀더에는, 상기 제2고정돌기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홀더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홈에 맞물린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고정돌기부와 상기 가이드돌기가 간섭되어 상기 푸시버튼의 상하방향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푸시버튼의 하단과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이 상하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걸림돌기의 상하방향 위치가 상기 제2위치에 고정되는 조리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면에는, 상기 제1홀더가 삽입되는 설치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홀더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로킹기구와 상기 도어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의 회전방향으로의 상기 로킹기구와 상기 도어의 이동이 일체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로킹기구가 상기 도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홀을 둘러싸는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도어의 상면과 상기 힌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턱이 상기 설치홀을 향해 노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홀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턱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1홀더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돌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고정위치에서 상기 홀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힌지부재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도어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상기 도어 간의 결합 지점과 상기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힌지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위치에 위치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샤프트와 마주보는 상기 힌지부의 측면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의 회전이 구속되는 조리기기.
KR1020210039251A 2021-03-26 2021-03-26 조리기기 KR20220134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51A KR20220134079A (ko) 2021-03-26 2021-03-26 조리기기
CN202210307345.6A CN115126362A (zh) 2021-03-26 2022-03-25 烹饪设备
US17/705,055 US20220307698A1 (en) 2021-03-26 2022-03-25 Door assembly and a cooking appliance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251A KR20220134079A (ko) 2021-03-26 2021-03-26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079A true KR20220134079A (ko) 2022-10-05

Family

ID=8336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251A KR20220134079A (ko) 2021-03-26 2021-03-2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07698A1 (ko)
KR (1) KR20220134079A (ko)
CN (1) CN115126362A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071A (ja) * 2003-04-18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
KR101960820B1 (ko) * 2012-10-08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N104676668B (zh) * 2014-01-24 2017-02-0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微波炉
KR101587031B1 (ko) * 2014-07-31 2016-01-20 주식회사 미영 푸쉬 잠금 장치
KR101873686B1 (ko) * 2017-07-28 2018-07-02 전경국 필름 수납 케이스의 회전식 푸쉬 잠금 장치
CN111035235B (zh) * 2019-12-31 2022-07-01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厨具门体、控制盒、烹饪厨具本体和烹饪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26362A (zh) 2022-09-30
US20220307698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085B1 (ko) 조리 기기
US9713204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hood
CA3030194C (en) Push-to-open / signal-to-open appliance door latching system with an integrated locking device
US9307582B2 (en) Microwave oven having hood
US7034269B2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KR20220134079A (ko) 조리기기
US20220087473A1 (en) Cooking appliance
KR102464262B1 (ko) 도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도어 키를 구비한 가전기기
KR20230047046A (ko) 조리기기
KR20230046852A (ko) 조리기기
KR20230139273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6A (ko) 조리기기
KR20230088288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5A (ko) 조리기기
KR20230088240A (ko) 조리기기
KR20230106837A (ko) 조리기기
KR20230139272A (ko) 조리기기
KR20230139745A (ko) 조리기기
KR20230105247A (ko) 조리기기
KR20230139746A (ko) 조리기기
KR102364208B1 (ko) 조리기기
KR20230155750A (ko)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105248A (ko) 조리기기
KR1005166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KR20230105249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