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2720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2720A
KR20220132720A KR1020210037476A KR20210037476A KR20220132720A KR 20220132720 A KR20220132720 A KR 20220132720A KR 1020210037476 A KR1020210037476 A KR 1020210037476A KR 20210037476 A KR20210037476 A KR 20210037476A KR 20220132720 A KR20220132720 A KR 20220132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ective film
base layer
display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욱
김경태
김보아
박상일
안성국
정시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2720A/ko
Priority to US17/565,298 priority patent/US20220310971A1/en
Priority to CN202210290951.1A priority patent/CN115116327A/zh
Publication of KR20220132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7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8Coatings for keeping optical surfaces clean, e.g. hydrophobic or photo-catalytic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01L27/3225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은 위상차가 100nm 이하인 베이스층,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 및 하드 코팅 물질을 포함하고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표면 코팅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장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액티브 영역을 포함한다. 전자장치는 표시면을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를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윈도우를 더 포함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표시면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면의 이미지는 윈도우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윈도우의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인성 및 내투습성이 향상된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은, 위상차가 100nm 이하인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 및 하드 코팅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표면 코팅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 폴리 카보네이트,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 및 폴리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무기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습률은 180g/mday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층은 Si, Al, Nb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딩축은 1개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1nm 이상 40n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 코팅층은 지문 방지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 코팅층은 상기 무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은, 위상차가 100nm 이하인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 및 하드 코팅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층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 폴리 카보네이트,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 및 폴리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필름의 투습률은 180g/mday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및 입력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시인성 및 내투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표시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a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이미지이다.
도 12b는 비교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이미지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제1 방향(DR1)에 나란한 단변 및 제2 방향(DR2)에 나란한 장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표시장치(DD)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폴더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축(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하, 폴딩축(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를 폴딩 상태로 정의하고,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비폴딩 상태로 정의한다. 폴딩축(FX1, FX2)은 표시장치(DD)가 폴딩될 때 발생하는 회전축일 수 있다.
폴딩축(FX1, FX2)은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폴딩축(FX1, FX2)은 1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폴딩축(FX1) 및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제2 폴딩축(FX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장치(DD)는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 중 어느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1에는 표시장치(DD)가 스마트폰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장치를 비롯하여,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면(IS)은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표시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 영역(D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영역으로, 영상(IM)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표시장치(DD)의 베젤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TC)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은 전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표시장치(DD)는 표시장치(DD)의 구조에 따라 표시장치(D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장치(DD)는 표시면(IS)을 활성화시켜 영상(IM)을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되거나, 표시면(IS)의 모든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가 제1 폴딩축(FX1)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DD)가 제1 폴딩축(FX1)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폴더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1)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1)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정의된다.
폴딩 영역(FA1)은 제1 폴딩축(FX1)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제1 폴딩축(FX1)은 제2 방향(DR2), 즉 표시장치(DD)의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1)은 제1 폴딩축(FX1)을 따라 폴딩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1)의 일측과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1)의 타측과 인접하다.
표시장치(DD)는 인-폴딩(In-Folding) 또는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인-폴딩이라 정의하고,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아웃-폴딩이라 정의한다.
여기서, 인-폴딩은 표시면(IS)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하고, 아웃-폴딩은 표시장치(DD)의 후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한다.
도 2a에 도시된 표시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IS)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1 폴딩축(FX1)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표시장치(DD)가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렬되도록 표시장치(DD)를 인-폴딩시키기 위해서, 제1 폴딩축(FX1)은 제1 방향(DR1)에 따른 표시장치(DD)의 중심에 정의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외부에 노출될 때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폴딩 영역(FA1)의 표시면도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1)은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들을 각각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인-폴딩 상태 및 아웃-폴딩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거나 인-폴딩과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될 수 있다. 제2 폴딩축(FX2)은 제1 방향(DR1), 즉 표시장치(DD)의 단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표시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2)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3, NFA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2)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3, NFA4) 사이에 정의된다.
폴딩 영역(FA2)은 제2 폴딩축(FX2)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폴딩 영역(FA2)은 제2 폴딩축(FX2)을 따라 폴딩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된다.
일 예로, 비폴딩 영역들(NFA3, NFA3)은 제3 비폴딩 영역(NFA3) 및 제4 비폴딩 영역(NF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비폴딩 영역(NFA3)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2)의 일측과 인접하고, 제4 비폴딩 영역(NFA4)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2)의 타측과 인접하다.
도 2a, 2b, 3a, 및 3b에서는 표시장치(DD)에 2개의 폴딩 영역(FA1, FA2)이 정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장치(DD)에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 표시장치(DD)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DD)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모듈(DM), 표시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 및 윈도우(WM) 상에 배치된 보호필름(P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장치(DD, 도 1에 도시됨)의 일 부분을 구성하며, 특히 표시모듈(DM)에 의해 영상이 생성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표시패널(DP) 및 입력감지센서(IS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DP)은 발광형 표시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유기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한다.
표시패널(DP)은 플렉서블한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DP)은 전체적으로 말리거나 제2 폴딩축(FX2)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입력감지센서(ISP)는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입력감지센서(ISP)는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감지센서(ISP)는 연속공정에 의해 표시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입력감지센서(ISP)와 표시패널(DP)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력감지센서(ISP)와 표시패널(DP) 사이에 접착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감지센서(ISP)는 표시패널(DP)과 연속 공정에 의해 제조되지 않으며, 표시패널(DP)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접착필름에 의해 표시패널(DP)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영상을 생성하고, 입력감지센서(ISP)는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대한 좌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모듈(D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외부로부터 표시모듈(DM)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모듈(DM)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모듈(DM)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표시모듈(DM)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표시모듈(DM)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WM)는 유리 및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유리, 폴리이미드(polyimide, Pl),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박막 글라스이거나, 또는 합성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윈도우(WM)의 두께는 80㎛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일 수 있으나, 윈도우(WM)의 두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윈도우(WM)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거나, 또는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WM)는 제2 폴딩축(FX2)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즉, 윈도우(WM)는 표시모듈(DM)의 형상 변형시 함께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윈도우(WM) 상에는 보호필름(PL)이 배치된다. 보호필름(PL)은 외부의 충격이나 수분 등으로부터 윈도우(WM)를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PL)은 낮은 위상차를 가짐으로써 표시장치(DD)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필름(PL)은 내투습성이 향상된 것일 수 있다. 뒤에서 보호필름(PL)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표시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기능층은 외광 반사를 차단하는 반사방지층(RPL)일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표시장치(DD)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표시모듈(DM)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λ/2 위상지연자 및/또는 λ/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층은 반사방지층(RPL)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입력감지센서(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방지층(RPL)은 입력감지센서(ISP)와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 및 윈도우(WM)는 접착필름(ADL)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력감지센서(ISP)와 반사방지층(RPL) 사이에는 접착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접착필름(ADL)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필름(ADL)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필름(ADL)은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모듈(DM)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표시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NA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모듈(DM)의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모듈(DM)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모듈(DM)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SP)를 더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SP)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의 강도는 표시모듈(DM)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비폴딩 영역들(NFA3, NFA4)에 대응하는 개수의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지지 플레이트(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비폴딩 영역(NFA3, NFA4)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표시모듈(DM)의 제3 비폴딩 영역(NFA3)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표시모듈(DM)의 제4 비폴딩 영역(NFA4)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표시모듈(DM)이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경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폴딩 영역(FA2)에 대응하여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폴딩 영역(FA2)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즉, 제2 방향(DR2) 상에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이격 거리는 폴딩 영역(FA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모듈은 힌지 모듈 또는 다관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가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폴딩축(FX2)의 개수가 증가하면, 지지 플레이트(SP)는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지지 플레이트(SP)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로 분리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3, NFA4) 및 폴딩 영역(FA2)에 대응하여 배치된 하나의 통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SP)는 폴딩 영역(FA2) 내에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SP)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모듈(DM)과 지지 플레이트(SP) 사이에는 완충 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완충 필름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필름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완충 필름은 접착필름을 통해 표시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PL)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PL-1)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PL)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PL-2)의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보호필름(PL)은 베이스층(BS), 베이스층(BS)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IOL1, IOL2), 및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된 표면 코팅층(SCL)을 포함한다. 보호필름(PL)은 베이스층(BS) 하부에 배치된 점착제층(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제층(AL)에 의해서 보호필름(PL)은 윈도우(WM, 도 4 참조)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점착제층(AL)의 두께는 10㎛ 이상 50㎛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5㎛ 이상 3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제층(AL)은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점착제층(AL) 광학투명접착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층(BS)은 위상차(Phase-difference)가 100nm 이하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의 위상차는 50nm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0nm 이하일 수 있다.
베이스층(BS)은 저위상차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Tri Acetyl Cellulose, 이하 TAC),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이하 P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이하 COP), 및 폴리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 Acrylate, 이하 PMM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이 TAC을 포함할 경우, 베이스층(BS)의 위상차는 10nm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도 3a, 3b, 및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가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됨에 따라, 표시장치(DD)에 포함된 일 실시예의 보호필름(PL)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층(BS)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은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될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두께는 10㎛ 이상 6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S)의 두께는 23㎛ 이상 50㎛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0㎛일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두께가 60㎛를 초과할 경우, 베이스층(BS)의 폴딩 특성이 저하된 표시장치(DD)의 폴딩 동작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층(BS)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보호필름(PL)의 표면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
무기층(IOL1, IOL2)은 베이스층(BS)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층(IOL1, IOL2)은 베이스층(BS)의 일면에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층(IOL1, IOL2)은 베이스층(BS)의 일면에 무기물이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기층(IOL1, IOL2)은 규소(Si), 알루미늄(Al), 및 니오븀(N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IOL1, IOL2)은 베이스층(BS)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배치되거나, 또는 베이스층(BS)의 상부에만 배치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무기층(IOL1, IOL2)은 베이스층(BS)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무기층(IOL1) 및 베이스층(BS)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무기층(IO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은 표면 코팅층(SCL) 및 베이스층(BS)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무기층(IOL2)은 베이스층(BS) 및 점착제층(A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보호필름(PL-1)은 베이스층(BS)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무기층(IOL1)을 포함하고, 베이스층(BS)의 하부에는 무기층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PL)은 무기층(IOL1, IOL2)을 포함하여 내투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필름(PL)은 투습률이 180g/mday 이하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필름(PL)의 투습률이 180g/mday을 초과할 경우, 보호필름 내에서 구성 간 박리 현상(De-lamin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면, 무기층(IOL1, IOL2)의 두께는 1nm 이상 40nm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nm 이상 30nm 이하일 수 있다. 제1 무기층(IOL1) 및 제2 무기층(IOL2)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무기층(IOL1)의 두께는 7nm이고, 제2 무기층(IOL2)의 두께는 15nm일 수 있다.
무기층(IOL1, IOL2)의 두께가 40nm를 초과할 경우, 표시장치(DD)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두께가 1nm 미만 이하일 경우, 보호필름(PL)의 내투습성이 저하될 수 있다.
표면 코팅층(SCL)은 하드 코팅 물질을 포함하고,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표면 코팅층(SCL)은 베이스층(BS) 상에 배치된 제1 무기층(IOL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면 코팅층(SCL)은 하드 코팅 물질(HC) 외에 지문 방지 물질(A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코팅층(SCL)은 단층 또는 복수의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코팅층(SCL)은 하드 코팅 물질(HC) 및 지문 방지 물질(AF)을 포함하는 하나의 층일 수 있다. 표면 코팅층(SCL)이 일체의 층 형상을 가짐으로써, 보호필름(PL)의 외관 불량(예를 들어, 지문 방지층이 박리되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다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표면 코팅층(SCL)은 하드 코팅 물질(HC)을 포함하는 층과 및 지문 방지 물질(AF)을 포함하는 층을 별개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하드 코팅 물질(HC)은 연필 경도 F 이상의 고강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드 코팅 물질(HC)은 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실론산 수지는 실세스퀴옥산, 실록산 화합물, 및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사다리형(ladder type) 실세스퀴옥산일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하드 코팅 물질(HC)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wt% 이상 60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이 30wt% 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일 실시예의 표면 코팅층(SCL)의 유연성이 개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세스퀴옥산이 60wt% 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일 실시예의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실록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록산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기를 말단기로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록산 화합물은 말단기로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실록산 고분자 또는 실록산 올리고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록산 화합물은 실세스퀴옥산과 일체로 형성된 중합체로 제공될 수 있다.
실록산 화합물은 하드 코팅 물질(HC)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wt% 이상 40wt%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실록산 화합물의 함량이 10wt% 미만인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와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실록산 화합물의 함량이 40wt%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취성(brittleness)이 커져 유연성이 저하되고 벤딩시 크랙 발생이 늘어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하드 코팅 물질(HC)은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는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는 10nm 이상 50nm 이하일 수 있다.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는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은 10nm 이상 30n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가 50nm 초과할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광학적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가 10nm 미만일 경우에는 표면 코팅층(SCL)에서 표면 경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무기 입자는 SiO2, TiO2, Al2O3, ZrO2, ZnO, AlN, Si3N4, 또는 이들의 조합일수 있다. 즉, 무기 입자는 SiO2, TiO2, Al2O3, ZrO2, ZnO, AlN 및 Si3N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하드 코팅 물질(HC)은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SiO2,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TiO2,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Al2O3,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ZrO2,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ZnO,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AlN, 또는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Si3N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하드 코팅 물질(HC)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를 10wt% 이상 30wt%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입자의 함량이 10wt% 미만인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와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무기 입자의 함량이 30wt%를 초과하는 경우 무기 입자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에폭시기, 옥세탄기,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기 및 에틸렌옥사이드(EO) 부가형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이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치환식 에폭시 수지 및 옥세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수소 첨가물,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 카르도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치환식 에폭시 수지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2,8,9-디에폭시리모넨, ε-카프로락톤 올리고머의 양단에 각각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탄올과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것 및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옥세탄계 수지는 하이드록시 구조를 가지는 옥세탄 수지 및 메톡시 메틸 벤젠 구조를 가지는 옥세탄 수지일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기 및 에틸렌옥사이드(EO), 부가형 아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이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는 비스페놀-A 에틸렌옥사이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톡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폴리에톡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S 디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S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지문 방지 물질(AF)은 발수성 물질 또는 발유성 물질을 포함하여, 표면 코팅층(SCL)의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지문 방지 물질(AF)은 불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입자일 수 있다. 불소계 물질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 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비결정질불소(Teflon AF, Cytop)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방지 물질(AF)에 의해 표면 코팅층(SCL)의 접촉각은 110도 이상일 수 있다. 표면 코팅층(SCL)에 대한 지문 방지 물질(AF)의 중량비에 따라 표면 접촉각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지문 방지 물질(AF)은 표면 코팅층(SCL)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wt%보다 크고, 10 wt%이하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지문 방지 물질(AF)이 10 wt%보다 큰 중량비를 갖는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표면 코팅층(SCL)은 3㎛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표면 코팅층(SCL)은 4㎛ 내지 6㎛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5㎛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면 코팅층(SCL)의 두께가 10㎛보다 클 경우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표면 코팅층(SCL)의 두께가 3㎛보다 작을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보호필름(PL-2)은 자외선 차단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층(BS-1)은 기재 물질(BL) 및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을 포함할 수 있다. 기재 물질(BL)은 전술한 저위상차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물질(BL)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Tri Acetyl Cellulose, 이하 TAC),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이하 P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이하 COP), 및 폴리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 Acrylate, 이하 PMM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은 징크 옥사이드(ZnO) 또는 티타늄 디옥사이드(TiO2) 등의 무기 화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은 자외선을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층(BS-1)에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이 포함됨으로써, 보호필름(PL-2)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보호필름(PL-2)은 38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20% 미만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특히, 윈도우(WM)가 박막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윈도우의 자외선 차단 기능이 취약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물질이 베이스층(BS-1)에 포함됨으로써, 보호필름(PL-2)을 통해 자외선 차단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보호필름(PL)은 4.0Gpa 내지 5.5 Gpa의 탄성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보호필름(PL)은 광축이 제어된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여기서, 보호필름(PL)의 제1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와 제2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의 차이는 2Gpa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1Gpa 이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보호필름(PL)의 제1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와 제2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의 차이가 2Gpa보다 클 경우, 보호필름(PL)의 수축 변형 정도가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PL)의 전체 광 투과율은 90% 이상일 수 있으며, 황색도(YI)는 2% 이하일 수 있고, 헤이즈값은 0.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여, 보호필름(PL)의 광 투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필름(PL)의 표면 저항은 1011Ω/m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여, 보호필름(PL)의 내정전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전자장치(EA)가 언폴딩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전자장치(EA)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전자장치(EA)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EA)는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wearble)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에서는 전자장치(EA)가 휴대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전자장치(EA)는 표시 영역(DA)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비표시 영역(NDA)에 에워싸일 수 있다. 전자장치(EA)가 언폴딩된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폴딩 영역(FA),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질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 사이에 배치된다.
전자장치(EA)가 폴딩되면,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1, NFA2)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표시 영역(DA)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인-폴딩(in-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전자장치(EA)의 동작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자장치(EA)가 폴딩되면, 표시 영역(DA)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아웃-폴딩(out-fold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이 예를 들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과 비폴딩 영역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EA)는 2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 및 서로 인접한 비폴딩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폴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폴딩축(FX)이 전자장치(EA)의 단축과 나란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딩축(FX)은 전자장치(EA)의 장축, 예를 들어,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전자장치(EA)에는 복수의 센싱 영역들(SA1, SA2, SA3)이 정의될 수 있다. 도 9a에서는 3 개의 센싱 영역들(SA1, SA2, SA3)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복수의 센싱 영역들(SA1, SA2, SA3)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센싱 영역들(SA1, SA2, SA3)은 제1 센싱 영역(SA1), 제2 센싱 영역(SA2), 및 제3 센싱 영역(S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센싱 영역(SA1~SA3)은 전자 모듈들과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 영역(SA1)은 카메라 모듈과 중첩할 수 있고, 제2 센싱 영역(SA2) 및 제3 센싱 영역(SA3)은 근접 조도 센서와 중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모듈들 각각은 제1 센싱 영역(SA1), 제2 센싱 영역(SA2), 또는 제3 센싱 영역(SA3)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입력을 수신하거나, 제1 센싱 영역(SA1), 제2 센싱 영역(SA2), 또는 제3 센싱 영역(SA3)을 통해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센싱 영역(SA1)은 표시 영역(DA)에 의해 에워싸일 수 있고, 제2 센싱 영역(SA2) 및 제3 센싱 영역(SA3)은 표시 영역(DA)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제2 센싱 영역(SA2) 및 제3 센싱 영역(SA3)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1 센싱 영역(SA1), 제2 센싱 영역(SA2) 및 제3 센싱 영역(SA3) 각각의 광 투과율은 표시 영역(DA)의 광 투과율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 영역(SA1)의 광 투과율은 제2 센싱 영역(SA2)의 광 투과율, 및 제3 센싱 영역(SA3)의 광 투과율 각각 높을 수 있다.
도 10은 도 9a의 II-II'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A)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100)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장치(EA)는 표시패널(100), 상부 모듈, 및 하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00)은 영상을 생성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100)은 표시층(110) 및 입력감지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의 두께는 30㎛일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층(110)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층(110)은 발광형 표시층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층(110)은 유기발광 표시층, 퀀텀닷 표시층,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층일 수 있다.
표시층(110)은 베이스층(111), 회로층(112), 발광 소자층(113), 및 봉지층(11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1)은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수지층은 열 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111)은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층(111)은 합성수지층, 접착층, 및 합성수지층의 3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합성수지층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층일 수 있고, 그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수지층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베이스층(111)은 유리 기판, 또는 유/무기 복합재료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112)은 베이스층(111)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층(112)은 절연층,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증착 등의 방식으로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베이스층(111) 위에 형성되고, 이후, 복수 회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절연층, 반도체층, 및 도전층이 선택적으로 패터닝될 수 있다. 이 후, 회로층(112)에 포함된 반도체 패턴, 도전 패턴, 및 신호 라인 이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13)은 회로층(11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13)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층(113)은 유기 발광 물질, 퀀텀닷, 퀀텀 로드, 또는 마이크로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114)은 발광 소자층(11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층(114)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무기층, 유기층, 및 무기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봉지층(114)을 구성하는 층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층들은 수분 및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층(113)을 보호하고,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층(113)을 보호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시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력감지센서(120)는 표시층(11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감지센서(12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센서(120)는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층(11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감지센서(120)는 표시층(11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모듈은 표시패널(1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모듈은 반사 방지층(200) 및 상부 기능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방지층(20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사 방지층(200)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200)은 폴리비닐알콜필름(PVA 필름)에 요오드 화합물을 염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사 방지층(200)은 구성하는 물질이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방지층(200)의 두께는 31㎛일 수 있으며, 반사 방지층(20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방지층(200)은 제1 접착층(1010)을 통해 표시패널(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착층(1010)은 감압접착필름, 광학투명접착필름 또는 광학투명접착수지와 같은 투명한 접착층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접착층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010)의 두께는 25㎛일 수 있으며, 제1 접착층(101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착층(1010)은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반사 방지층(200)은 표시패널(100)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사 방지층(200)과 표시패널(100)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기능층(300)은 반사 방지층(20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기능층(300)은 보호필름(310), 윈도우(320), 상부 접착층(330), 차광층(340), 충격 흡수층(350) 및 하드 코팅층(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기능층(300)이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보호필름(310)은 도 6a 내지 도 8에 도시된 보호필름(PL, PL-1, P-2)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보호필름(3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윈도우(320)는 보호필름(3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32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20)는 유리 및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320)가 박막 글라스인 경우, 윈도우(320)의 두께는 80㎛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일 수 있으나, 윈도우(32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접착층(330)은 윈도우(32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접착층(330)에 의해 윈도우(320)와 충격 흡수층(35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접착층(330)의 두께는 35㎛일 수 있으나, 상부 접착층(33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320)의 측면인 제1 측면(320S)과 상부 접착층(330)의 측면인 제2 측면(330S)은 다른 층들의 측면, 예를 들어, 표시패널(100)의 측면인 제3 측면(100S) 및 보호필름(310)의 측면인 제4 측면(310S)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다른 비교 대상보다 표시 영역(DA)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장치(EA)의 폴딩 동작에 의해서, 각 층들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측면(320S)이 제3 측면(100S) 및 제4 측면(310S)보다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자장치(EA) 폴딩 시 제1 측면(320S)이 제4 측면(310S)보다 돌출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면(320S)에 외부 충격이 전달될 가능성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윈도우(320)의 손상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320)와 상부 접착층(330)은 라미네이션 공정을 통해, 충격 흡수층(350)에 접착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공정 공차를 고려하여 윈도우(320) 및 상부 접착층(330)의 면적이 충격 흡수층(35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접착층(330)의 면적은 윈도우(320)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320)를 부착하는 공정에서 상부 접착층(330)에는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부 접착층(330)은 압력을 받아 제1 및 제2 방향(DR1, DR2)으로 늘어날 수 있다. 이 때, 상부 접착층(330)이 윈도우(32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 접착층(330)의 면적이 윈도우(320)의 면적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차광층(340)은 충격 흡수층(350)과 상부 접착층(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층(340)은 충격 흡수층(350)의 상면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다. 차광층(340)은 주변 영역(1000NA)과 중첩할 수 있다. 차광층(340)은 유색의 층으로써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340)은 유색의 유기물 또는 불투명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광층(340)을 구성하는 물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서는 차광층(340)이 충격 흡수층(350)의 상면에 배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차광층(34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차광층(340)은 보호필름(310)의 상면, 보호필름(310)의 하면, 윈도우(320)의 상면, 또는 윈도우(320)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광층(340)은 복수의 층들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부는 충격 흡수층(350)의 상면, 다른 일부는 보호필름(310)의 상면, 보호필름(310)의 하면, 윈도우(320)의 상면, 또는 윈도우(320)의 하면에 제공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100)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층일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0)은 상온에서 1GPa 이상의 탄성계수를 갖는 필름 중에 선택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0)은 광학 기능을 포함하는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층(350)은 광축이 제어된 필름(Optical axis control film)일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0)의 두께는 41㎛일 수 있으나, 충격 흡수층(35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충격 흡수층(3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하드 코팅층(360)은 충격 흡수층(350)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0)은 굴곡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층(350)의 상면은 상부 접착층(330)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층(350)의 상면의 굴곡은 상부 접착층(330)에 의해 메워질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층(350)의 상면에서 광학적 이슈는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기능층(300)은 제2 접착층(1020)을 통해 반사 방지층(2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접착층(1020)은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020)의 두께는 25㎛일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02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모듈은 표시패널(1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모듈은 하부 보호필름(400), 쿠션 기능층(500), 및 지지 플레이트(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구성 요소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이 추가될 수도 있다.
하부 보호필름(400)은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제3 접착층(103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보호필름(400)은 표시패널(100) 제조 공정 중에 표시패널(100)의 배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보호필름(400)은 유색의 폴리이미드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보호필름(400)은 불투명한 황색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 보호필름(400)의 두께는 40㎛일 수 있고, 제3 접착층(1030)의 두께는 18㎛일 수 있다. 다만, 하부 보호필름(400)의 두께 및 제3 접착층(1030)의 두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쿠션 기능층(500)은 하부 보호필름(4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 기능층(500)은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쿠션 기능층(500)에 의해 전자장치(1000)의 내충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600)는 쿠션 기능층(50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600)는 상온에서의 탄성계수가 60GPa 이상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600)는 SUS304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플레이트(600)에 의해 전자장치(DD2)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600)의 일부분에는 개구부(610)가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610)는 폴딩 영역(FA)과 중첩하는 영역에 정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예를 들어, 제3 방향(DR3)에서 보았을 때, 개구부(610)는 폴딩 영역(FA)과 중첩할 수 있다. 개구부(61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600)의 일부분의 형상이 보다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600)의 두께는 150㎛일 수 있으나, 지지 플레이트(600)의 두께가 상술된 수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보호필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평가 1- 무지개 얼룩 평가)
선편광 조건에서, 표시장치에 무지개 얼룩(Rainbow Mura)이 시인되는지 유무를 평가하였다.
도 12a는 실시예 1의 표시장치의 이미지이다. 도 12b는 비교예 1의 표시장치의 이미지이다.
실시예 1의 표시장치는 보호필름의 베이스층이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Tri Acetyl Cellulose, 이하, TAC)를 포함한다. TAC의 위상차는 10nm 이하이다.
비교예 1의 표시장치는 보호필름의 베이스층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를 포함한다. PET의 위상차는 300nm 이상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표시장치에서는 무지개 얼룩이 시인되지 않으나, 비교예 1의 표시장치에서는 무지개 얼룩이 시인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필름은 위상차가 100nm 이하인 베이스층을 포함하여, 선편광 하에서 무지개 얼룩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선편광 하에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평가 2- 투습력 평가)
하기 표 1에서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보호필름의 투습률을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 2의 보호필름은 베이스층 및 무기층을 포함한다. 베이스층은 TAC을 포함하고, 무기층은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에 코팅되었다.
비교예 2의 보호필름은 TAC을 포함하는 베이스층을 포함한다.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에 무기층은 코팅되지 않았다.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2
투습률(g/mday) 180 이하 1000 이상
표 1을 참조하면, TAC을 포함하는 베이스층에 무기층을 코팅할 경우, 투습률이 180g/mday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평가 1 및 평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필름은 TAC 등의 저위상차 물질을 베이스층에 포함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보호필름은 저위상차 특성을 가지는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에 무기층을 포함하여, 투습률이 180g/mday 이하로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시인성이 향상되고, 내투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M: 표시모듈 WM: 윈도우
PL: 보호필름 SCL: 표면 코팅층
BS: 베이스층 IOL1, IOL2: 제1 및 제2 무기층
HC: 하드 코팅 물질 AF: 지문 방지 물질
BL: 기재 물질 UVCL: 자외선 차단

Claims (20)

  1. 위상차가 100nm 이하인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 및
    하드 코팅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 폴리 카보네이트,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 및 폴리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된 보호필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무기층 및 상기 베이스층의 하부에 배치된 제2 무기층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5. 제1 항에 있어서,
    투습률은 180g/mday 이하인 보호필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Si, Al, Nb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호필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은 상기 베이스층의 일면에 접촉하는 보호필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되는 보호필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축은 1개 이상인 보호필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의 두께는 10㎛ 이상 60㎛ 이하인 보호필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층의 두께는 1nm 이상 40nm 이하인 보호필름.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층은 지문 방지 물질을 더 포함하는 보호필름.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하는 보호필름.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층은 상기 무기층 상에 배치되는 보호필름.
  15.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은,
    위상차가 100nm 이하인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무기층; 및
    하드 코팅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되는 표시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트리 아세틸 셀룰로오스, 폴리 카보네이트,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 및 폴리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의 투습률은 180g/mday 이하인 표시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베이스층 하부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표시패널 및 입력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210037476A 2021-03-23 2021-03-23 표시장치 KR20220132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76A KR20220132720A (ko) 2021-03-23 2021-03-23 표시장치
US17/565,298 US20220310971A1 (en) 2021-03-23 2021-12-29 Display device
CN202210290951.1A CN115116327A (zh) 2021-03-23 2022-03-23 保护膜和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76A KR20220132720A (ko) 2021-03-23 2021-03-23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720A true KR20220132720A (ko) 2022-10-04

Family

ID=83325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476A KR20220132720A (ko) 2021-03-23 2021-03-23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10971A1 (ko)
KR (1) KR20220132720A (ko)
CN (1) CN1151163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6917A (ko) * 2020-06-18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14626A (ko) * 2020-07-29 2022-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116327A (zh) 2022-09-27
US20220310971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9022B2 (ja) フォルダブル表示装置
KR10224254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049061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ptica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unit
US11659653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indow and electronic module disposed under and spaced apart from window
KR20220132720A (ko) 표시장치
CN113903253A (zh) 显示设备
US11915626B2 (en) Electronic device
US20230152845A1 (en) Electronic device
US20210257582A1 (en) Display device
KR20210153495A (ko) 전자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58185A (ko) 표시 장치
KR20210104514A (ko) 표시장치
KR20220068304A (ko) 전자 장치
CN221127830U (zh) 显示装置
KR20240040017A (ko) 표시 장치
US20240099100A1 (en) Display device
KR20200098751A (ko) 표시장치
US11490514B2 (en) Electronic device
US2023012791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US20230389399A1 (en) Mother glass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20210323287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40080380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20158162A (ko) 표시 장치
CN114170894A (zh) 显示模块及具有显示模块的电子设备
KR20220125879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