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1197A - 조직 공학용 자발 호흡성 바이오소재 - Google Patents

조직 공학용 자발 호흡성 바이오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1197A
KR20220131197A KR1020220034080A KR20220034080A KR20220131197A KR 20220131197 A KR20220131197 A KR 20220131197A KR 1020220034080 A KR1020220034080 A KR 1020220034080A KR 20220034080 A KR20220034080 A KR 20220034080A KR 20220131197 A KR20220131197 A KR 20220131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plast
alginate
ctp
oxygen
hydro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윤
장선미
유채림
김지윤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31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57Photodynamic therapy with a photosensitizer, i.e. agent able to produce reactive oxygen species upon exposure to light or radiation, e.g. UV or visible light; photocleavage of nucleic acids with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22Artificial gland structures using biore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39Pancreas; Islets of Langerh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27Other specific proteins or polypeptides not covered by A61L27/222, A61L27/225 or A61L27/2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3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other than human or animal, e.g. plant extracts, 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61L27/38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characterised by specific cells or progenitors thereof, e.g. fibroblasts, connective tissue cells, kidney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67Means for introducing or releas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ir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엽록체,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알기네이트 및 췌장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서,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 공급, 이산화탄소 제어 및 당뇨병 등의 질환에 대한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장기 이식 분야 등의 조직 공학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직 공학용 자발 호흡성 바이오소재 {Spontaneous respiration bio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본 발명은 조직 공학에 사용하기 위한 자발적 호흡가능한 바이오소재에 관한 것이다.
산소전달을 하는 혈액은 체중의 7~8% 정도 차지하고 1/5 이상을 잃게 되면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다. 동맥경화, 뇌경색, 심근경색 등 여러 질환 또는 혈관 소상 등을 통해 혈액을 잃으면 생명이 위험해지는 이유는 바로 산소 전달력의 상실로 인한 산소 부족에 기인한다. 또한, 장기이식(organ transplantation)을 위해 적출한 장기(organ)도 저산소증(hypoxia) 및 허혈/재관류(I/R) 손상 등으로 장기손상이 발생하고, 또한 체내 주입하는 세포치료제(cell therapy)들이 주입된 부위의 산소부족으로 급격한 생존율 감소되게 됨으로 다량의 세포치료제를 체내에 주입해야 한다(marginal cell mass의 급격한 증가). 또한, 세포 호흡(respiration)의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는 세포 내외의 pH 변화 및 산소에 대한 친화력에 빠르게 영향을 미치므로, 세포주위 미세환경의 이산화탄소 제어도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까지 산소전달을 위해 개발된 소재로 크게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첫째는 무기화학물 기반 산소방출소재(ORB; oxygen-releasing biomaterials)이고, 둘째는 산소생성소재(OGB; oxygen-generating biomaterials)이다. 하지만 (1) 초기 다량의 산소방출로 활성산소종 생성에 의한 세포손상 (2) 제한된 산소공급 지속 시간 (3) 이산화탄소 제어가 불가능 (4) 생체적합성 문제 등의 이슈로 임상적용에 한계가 존재한다.
세포 기반 장치의 이식은 일반적으로 이식 후 혈관 신생의 불가피한 지연으로, 부적절한 산소전달로 인해 방해를 받는다. 이식된 세포에 산소 공급이 불충분하면 이식편의 일부에서 세포 괴사와 세포 사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혐기성 대사 및 에너지 보존으로의 전환을 초래할 수 있다.
췌도를 포함하는 세포와 같이 대사 활성이 높은 세포를 포함하는 이식체에 충분한 산소 전달을 제공하는 것은 특히 어려운데, 이는 췌도의 산소 소비율은 다른 많은 세포 유형에 비해 높을 뿐만 아니라 적당한 산소 장력에서도 기능 장애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기 생착 기간 동안 조직공학 이식체 내에서 산소 가용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개발은 저산소증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사멸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situ 산소 생성은 여러 번의 수술이 필요하지 않고 이식 즉시 보충 산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접근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들은 세포 생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In situ 산소 생성의 잠재력을 강조하지만, 대부분은 이식 장치의 크기를 키우거나 독성 부산물을 도입하여 이식을 어렵게 만든다.
결론적으로, 제어된 반응성과 세포에 독성이 있는 최종 생성물을 제거하여 과산화수소 중간체 또는 hydroxyl radical과 같은 부반응을 생성하는 민감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산소 생성 생체물질의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할 점이다.
따라서, 상기 한계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산소공급 및 이산화탄소 제어와 활성산소 제어를 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자발적호흡(spontaneous respiration)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유럽특허공개 EP 2389958 A
일 양상은 엽록체 (chloroplast) 및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를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엽록체 (chloroplast),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 및 알기네이트 (alginate)를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엽록체 (chloroplast),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 알기네이트 (alginate) 및 췌장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세캡슐 (Microcapsule)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알기네이트 (Alginate) 및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알기네이트-CTP 합성물을 개체로부터 분리된 엽록체와 혼합하여 겔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광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의 한계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산소공급 및 이산화탄소 제어와 활성산소 제어를 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자발적호흡(spontaneous respiration) 소재를 개발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엽록체 (chloroplast) 및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를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레스퍼레이토이드 (Respiratoid)"란 본 발명의 지속가능한 생체 소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호흡시키다’를 뜻하는 ‘Respirate’와 인공(artificiality)을 뜻하는 접미사 ‘~oid’를 조합하여 만든 신조어이다. 상기 레스퍼레이토이드는 세포/장기들이 세포 호흡을 통해 생산되는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다시 산소로 재생산할 수 있으며 이의 생산속도는 특정 파장을 노출 시에 더 빠르게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일시적 저산소증(hypoxia) 상태의 경우에는, 세포 또는 조직에서 발생되는 활성산소(superoxide anion, hydrogen peroxide 등)를 다시 산소로 재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스퍼레이토이드는 생체적합성이 매우 우수하여 독성이 거의 없다.
레스퍼레이토이드는 기존 산소방출소재(ORB) 및 산소생성소재(OGB)와 비교하여 아래의 표에 요약된 바와 같은 '우수성/차별성'을 갖는다.
분류 Oxygen-releasing biomaterials (ORB) Oxygen-generating biomaterials (OGB) Respiratoid
- Sodium percarbonate
- Calcium peroxide
- Magnesium peroxide
Perfluorooctance Respiratoid
(본 제안서)
외부 자극
(pH, 빛, 열)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 필요
부산물 활성산소 없음 없음
O2 공급 수 시간 수 시간~수 일 무한대
CO2 제거 없음 없음 무한대
세포 독성 있음 있음 없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엽록체 및 CTP를 포함하는 조직공학용 자발적호흡(spontaneous respiration) 소재 레스피라토이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세포/장기들이 세포 호흡을 통해 생산되는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다시 산소로 재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식물잎에 있는 엽록체(chloroplast)를 이용하고, 겔화를 위해 사용되는 알기네이트(alginate)는 미역잎 등의 식물체에서 얻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엽록체 자체를 변형(modification reaction) 보다는 지방산으로 구성된 엽록체의 2중층 중 외부막(outer membrane)에 선택성이 높은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를 이용하므로, 생체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엽록체의 광반응 및 캘빈회로 반응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산소공급 및 이산화탄소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혈세포치료제 및 장기 이식 분야 등 조직공학 분야에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으로, 원천성 및 범용성이 매우 높고 (1) 인공혈액 개발 분야 (2) 장기 적출 및 보존제 분야 (3) 미생물/세포의 고효율의 대용량 배양 분야 및 (4) (줄기)세포치료제 및 조직공학 분야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생체 내에서 세포-세포 상호 작용을 생체 모사 환경에서 연구가 가능하여, 생리학적 측면에서 세포의 새로운 기능 규명이 가능하며,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 분야에 새로운 기술로써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제어하는 식물잎의 엽록체(chloroplast)에 존재하는 틸라코이드(thylakoid) 및 스트로마의 캘빈회로(calvin cycle)를 이용하며, 이를 위해서 엽록체에 결합 또는 접합할 수 있는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CTP는 엽록체 외막 (chloroplast outer membrane)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은 화학적 결합 및 물리적 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CTP가 엽록체 외막에 물리적으로 접합되거나 삽입되는 것일 수 있으며, CTP가 공유결합을 통해서 엽록체 외막에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TP는 엽록체 막 단백질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TP는 엽록체 막 단백질의 일부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엽록체 외막 단백질의 일부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TP는 엽록체의 외막 단백질 34 ((Outer envelope protein 34, OEP34) (혹은 Translocon at the outer envelope membrane of chloroplasts 34 (TOC34, Arabidopsis thaliana속)) 또는 외막 단백질 ((Outer envelope protein 64, OEP64) (혹은 Translocon at the outer envelope membrane of chloroplasts 64 (TOC64, Arabidopsis thaliana속))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CTP는 OEP34/TOC34 또는 OEP64/TOC64에서 유래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TP는 엽록체 외막 단백질 34 또는 외막 단백질 64의 막관통부위(transmembrane domain) 서열 중 일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CTP는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막관통부위(transmembrane domain)의 아미노산 서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서열 중 일부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TP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TP는 MFAFQYLLVM (서열번호 1)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이는 엽록체 외막 단백질인 OEP34 (혹은 TOC34)의 막관통부위 예상 서열인 LI PLMFAFQYLL VMKPLV (서열번호 3)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서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TP는 VILGLGLAGI (서열번호 2)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일 수 있으며, 이는 엽록체 외막 단백질인 OEP64 (혹은 TOC64)의 막관통부위 예상 서열인 SPSSQ IWVILGLGLA GIYVL (서열번호 4)에 서 유래한 펩타이드 서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CTP는 엽록체의 산소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알기네이트 (alginate)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CTP 말단과 알기네이트 말단이 결합되어 겔화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CTP의 primary amine과 알기네이트의 carboxyl group이 접합 (conjugation) 또는 결합되어 겔화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서, 알기네이트는 칼슘 용액과 혼합되어, 교차 결합 (cross-linking)을 통해 겔화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췌장 세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췌장 세포는 엽록체-CTP-알기네이트 하이드로겔 (chloroplast-CTP-alginate hydrogel) 내부에 봉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부에 췌장 세포가 봉입된 엽록체-CTP-알기네이트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자가호흡에 따른 우수한 세포의 생존능력 및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이를 이용하여 하이드로겔 기반의 조직공학용 이식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광조사시 산소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산소 농도가 101/ml 내지 1010/ml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산소 농도가 102/ml 내지 108/ml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조사는 23℃ 내지 38℃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정 시간동안 빛에 노출시키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비 지속적이고 교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10분 내지 50분 동안 지속적으로 빛에 노출시키고, 이후 10분 내지 50분 동안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1 주기로 하여, 1회 내지 5회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20분 내지 40분 동안 지속적으로 빛에 노출시키고, 이후 20분 내지 40분 동안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1 주기로 하여, 2회 내지 4회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산소 생성 속도는 특정 파장 노출 시에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파장은 620nm 내지 700nm, 640nm 내지 680nm 또는 650nm 내지 670nm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주변 세포 또는 조직이 일시적 저산소증(hypoxia) 상태인 경우에 발생되는 활성 산소를 산소로 재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엽록체를 101/ml 내지 1010/ml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엽록체를 103/ml 내지 1010/ml, 106/ml 내지 1010/ml, 107/ml 내지 109/ml 또는 103/ml 내지 109/ml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상기 췌장 세포가 분비한 인슐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췌장 세포는 하이드로겔 내부에 봉입된 상태로 존재하여, 인슐린을 안정적으로 분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산소 전달은 세포 호흡을 통해 생산되는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다시 산소로 재생산하거나, 또한 일시적 저산소증(hypoxia) 상태의 경우에 세포 또는 조직에서 발생되는 활성 산소를 다시 산소로 재생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의한 산소 전달에 의해 세포 사멸을 완화할 수 있으며, 산소 발생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세캡슐 (Microcapsule)을 제공한다. 상기 미세캡슐은 세포치료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캡슐은 광조사시 산소 생성용 미세캡슐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캡슐은 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미세캡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일 양상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개체의 질환을 억제 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일 양상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질환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유효성분" 또는 "약제학적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에 충분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대사 질환은 1형 당뇨, 2형 당뇨, 내당능장애, 공복시 혈당장애, 이상지질혈증, 지질 대사 장애, 비만,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및 당 내성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대사 질환은 당뇨병일 수 있으며, 1형 당뇨 또는 2형 당뇨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는 당업계에 알려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예를 들면, 식염수 및 멸균수),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링거액, 완충제,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덱스트란, 알부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또는 보존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용매 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 있고,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성 용매는 생리식염수 또는 PB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 형태의 경우, 통상적으로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을 제조하고, 용액의 pH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맥내 투여의 경우 제제에 등장성이 부여되도록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유효량)은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가능한 투여 경로에는 비경구 (예를 들어, 피하,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경막내, 또는 정맥내), 국소 (경피 포함), 및 주사, 또는 이식성 장치 또는 물질의 삽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치료의 대상 동물로서는, 인간 및 그 밖의 목적으로 하는 포유동물을 예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 원숭이, 마우스, 래트, 토끼, 양, 소, 개, 말, 돼지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 대사 질환 및 예방은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개선"은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개체의 대사 질환을 억제 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2008년 개정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새롭게 정의된 인체에 대한 기능성 및 안전성이 충분하게 확립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청 고시 제2008-72호에 규정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에 관한 규정에 수재된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기능식품에 포함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는 유효 성분을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로서 제조될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 g의 비율로 함유할 수도 있고, 음료 전체가 천연물 성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껌, 차, 젤리,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음료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로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목적 또는 기호에 따라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과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기네이트 (Alginate) 및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알기네이트-CTP 합성물을 개체로부터 분리된 엽록체와 혼합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겔화된 하이드로겔 내부에 췌장 세포를 봉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광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산소 농도가 101/ml 내지 1010/ml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광조사는 산소 농도가 102/ml 내지 108/ml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23℃ 내지 38℃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정 시간동안 빛에 노출시키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비지속적이고 교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10분 내지 50분 동안 지속적으로 빛에 노출시키고, 이후 10분 내지 50분 동안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1 주기로 하여, 1회 내지 5회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20분 내지 40분 동안 지속적으로 빛에 노출시키고, 이후 20분 내지 40분 동안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1 주기로 하여, 2회 내지 4회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에 따른 산소 생성 속도는 특정 파장 노출 시에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파장은 620nm 내지 700nm, 640nm 내지 680nm 또는 650nm 내지 670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개체에 광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엽록체 (chloroplast),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 및 알기네이트 (alginate)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엽록체 (chloroplast),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 알기네이트 (alginate) 및 췌장 세포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세포 및 개체에 무해하며, 당뇨병 등의 질환에 대한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세포/장기에서 지속가능한 자가호흡 소재의 작용에 관한 도면이다. 본 자가호흡 소재를 통해, 세포에서 세포호흡을 통해 생성된 이산화탄소는 자가호흡 소재의 chloroplast의 광반응에 의해 산소로 다시 재생산될 수 있으며, 특정 파장(660nm)에서 산소 생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시적 저산소증(hypoxia) 상태에서 발생되는 활성산소는 catalase (CAT) 또는 Superoxide dismutase (SOD) 효소에 의한 효소반응을 통해 다시 산소로 재생산될 수 있다.
도 2는 Alginate-CTP가 chloroplast의 outer membrane에 anchoring 되는 작용에 관한 도면이다. CTP 서열은 Met-Phe-Ala-Phe-Gln-Tyr-Leu-Leu-Val-Met (1.26kDa)로, 엽록체 outer membrane에 anchoring 되어 Alginate-CTP-chloroplast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a는 Chloroplast-transit-peptide (CTP) 서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b는 MS(mass spectrometry)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hloroplast outer membrane에 삽입될 수 있는 Chloroplast-transit-peptide (CTP) 펩타이드 서열을 설정하였고, 97%의 purity를 가진 1.26 kDa의 MFAFQYLLVM (서열번호 1) 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
도 4는 EDC/NHS방법을 이용한 Alginate의 COOH와 펩타이드의 N-termius부분의 화학결합 반응식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CTP-alginate의 합성을 위해서, pH6의 0.1M MES buffer 10ml에 20mM의 sodium alginate를 녹인 후, 2mM의 EDC 및 5mM의 NHS를 넣고 상온 15분간 반응시켰다. pH 6으로 맞춘 후 1%의 DMSO에 녹인 peptide를 몰 비율로 첨가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dialysis 진행 후 동결 건조 시켜 합성물을 얻었다. carbodiimide coupling reaction을 이용하였으며, Alginate의 carboxylate group와 CTP의 primary amine으로 amide bond를 형성하여 접합체를 만들었다. carbodiimide coupling reaction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EDC/NHS를 이용하였다.
도 5는 Alginate-CTP 합성물 1H-NMR 결과에 관한 모식도이다. 1H-NMR결과, CTP-alginate 합성물에서는 alginate:CTP 결합 몰비율이 1:1부터 1:600까지의 9가지 그룹들 모두 약 4ppm 부근에서 alginate의 peak, 2.7ppm에서 펩타이드의 amine bond peak, 2.9ppm 및 1.2ppm 부근에서 펩타이드의 n-acylurea peak를 확인하였다.
도 6은 Alginate-CTP 합성 후 BCA assay를 통해 단백질을 정량하여 기존에 합성을 진행한 몰비율(1:1, 1:5, 1:10, 1:25, 1:50)과 실제로 합성된 몰비율 결과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a 및 7b는 Alginate-CTP 합성물의 gelation 및 rheometer를 통해 gel의 강도를 확인(100mM CaCl2) 한 결과이다. CTP-alginate 접합체를 CaCl₂용액을 이용하여 캡슐젤(gel) 형성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몰농도별 CaCl₂용액 400ul를 넣고, NaCl 0.9%에 여러 비율로 합성한 CTP-alginate를 8mg/ml의 농도로 제조한 alginate 용액 200ul를 넣어 30분간 gelation 시켜 캡슐젤 형성을 확인하였다.
도 8a는 chloroplast 분리 (isolation) 공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8b는 분리된 chloroplast를 광학현미경 200x 배율로 확인한 도이다. 도 8a의 모식도와 같은 공정으로 시금치 잎 35g 기준, 2*1010 total chloroplast 분리 후, 동그란 모양의 테두리가 빛나는 온전한 chloroplast를 얻는 최적화된 chloroplast 분리 조건을 확립하였다.
도 9a 및 9b는 chloroplast에서 DMSO의 독성을 평가한 결과를 그래프(%) 및 표로 나타낸 도이다. Chloroplast에 대한 DMSO를 처리 후, 시간별로 확인한 독성을 평가하고 (%, n=5), 시간별 chloroplast의 양을 확인하였다.
도 10a 및 10b는 Chloroplast에 CTP-FITC 처리 후 이 둘의 결합능을 confocal 및 TEM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TP 펩타이드와 chloroplast와의 결합(anchoring)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108/ml의 chloroplast와 0.6mg/ml의 CTP-FITC를 처리하여 시간별(1, 5, 10, 30, 60min)로 confocal microscope과 TEM으로 분석하였다.
도 11은 여러 몰비율로 합성한 Alginate-CTP와 chloroplast를 처리하여 결합체를 제조한 후, CaCl2 용액으로 형성시킨 hydrogel과 hydrogel을 형성한 후 잔량의 chloroplast를 확인한 사진과 Alginate-CTP 합성 몰비에 따른 chlorophyll 봉입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실험을 진행하기 전, 선행 실험으로 Alginate-CTP와 chloroplast를 anchoring 시킬 때 CIB를 이용해도 gelation에 영향이 없을지 확인하는 gelation test를 진행하였고, CIB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buffer인 PBS와 동일하게 gelation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11a는 제조한 캡슐젤의 여러 몰비율로 합성한 Alginate-CTP와 chloroplast를 처리하여 결합체를 제조한 후 CaCl2 용액으로 캡슐젤을 형성한 사진 (좌) 및 캡슐젤을 형성한 후 잔량의 chloroplast를 확인한 결과이다 (우). 1:1에서 1:50 합성 몰비 (feed molar ratio)를 갖는 Alginate-CTP 접합체에 1*108/ml의 chloroplast를 처리하여 5분간 반응시킨 용액 200μl를 준비 후, 100 mM CaCl₂용액 400μl를 넣고, NaCl 0.9%에 여러 비율로 합성한 Alginate-CTP를 8mg/ml의 농도로 제조한 Alginate 용액 200μl를 넣어 30분간 gelation 시켜 hydrogel을 형성하였다. 도 11b는 Total chlorophyll 농도를 측정하여 hydrogel 안에 결합된 chloroplast 양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2a는 HEK293 cell에 chloroplast 농도별 처리 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12b는 cell viability assay (CCK-8 assay)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 n=5)이다. (N.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0.05, **P0.01, ***P 0.001, n=5, Results are shown as mean ± S.E.M)
도 13a는 chloroplast의 광합성 효율을 높여주는 빛(660nm)을 지면과의 거리 5cm를 두고 chloroplast 용액에 노출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13b는 정상산소 상태에서의 빛의 유무에 따른 chloroplast 농도에 따른 산소 생성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chloroplast 농도에 따른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ACC) 사진 (14a) 및 정상산소 상태에서 빛의 유무에 따른 ACC 내의 chloroplast 농도에 따른 산소 생성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14b). 도 14a와 같이 약 0.5cm의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hydrogel이 만들어졌고, 그 형태를 잘 유지하며 chloroplast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색의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5a는 Chloroplast 농도별로 제조한 Alginate-CTP-Chloroplast (ACC) 및 Alginate-Chloroplast hydrogel (AC)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b는 CTP 유무에 따른 Alginate- CTP-Chloroplast hydrogel의 장기간의 강도를 확인하기 위해 rheology test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0일차에는 그룹 간 차이가 없었지만 7일차에 CTP가 있는 hydrogel에서 더욱 높은 storage modulus 값이 측정되었다. 30일 차에는 모든 그룹의 storage modulus 값이 0에 가깝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아직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CTP가 있는 hydrogel이 더 좋은 물리적 강도(물성)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6은 정산 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 따른 chloroplast농도별 Alginate- 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의 free chloroplast, Alginate-chloroplast (AC) hydrogel, Alginate-CTP-Chloroplast (ACC) hydrogel의 산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a는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의 free chloroplast 산소 생성량 그래프 (μM/L-좌, %-우, n=5)이다. 도 17b는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의 AC 산소 생성량 그래프 (μM/L-좌, %-우, n=5)이다. 도 17c는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의 ACC 산소 생성량 그래프 (μM/L-좌, %-우, n=5)이다.
도 18은 고농도의 chloroplast 그룹에서 산소 생성량이 감소하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ABTS assay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A는 Free chloroplast의 과산화수소 생성량 그래프 (n=5)이다. 도 18B는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과산화수소 생성량 그래프 (n=5)이다.
도 19는 INS-1 세포 (단일 세포)에 대한 Alginate-CTP solution의 농도별 세포 viability assay (CCK-8 assay) 결과 그래프 및 Live & Dead assay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a는 Alginate-CTP 용액 농도에 따른 INS-1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 n=5)이다. 도 19b는 Alginate-CTP 용액 농도에 따른 INS-1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정성적으로 나타낸 형광현미경 사진 (200X, green 형광- 살아있는 세포, red 형광- 죽은 세포)을 통해, Live & Dead assay를 확인한 도이다. (N.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0.05, **P0.01, ***P 0.001, n=5, Results are shown as mean ± S.E.M)
도 20은 췌장 세포 (세포 집단)에 대한 Alginate-CTP hydrogel의 농도별 세포 viability assay (CCK-8 assay) 결과 그래프 및 Live & Dead assay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a는 Chloroplast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광학 현미경 사진 (40X)이다. 도 20b는 Alginate-CTP hydrogel 농도에 따른 췌장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 n=5)이다. 도 20c는 Alginate-CTP hydrogel 농도에 따른 췌장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정성적으로 나타낸 형광 현미경 사진 (200X, green 형광- 살아있는 세포, red 형광- 죽은 세포)이다. (N.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0.05, **P0.01, ***P 0.001, n=5, Results are shown as mean ± S.E.M)
도 21은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세포 viability assay (CCK-8 assay) 결과 그래프 및 Live & Dead assay 결과 사진이다. 도 21a는 Chloroplast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광학 현미경 사진 (40X)이다. 도 21b는 Chloroplast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 (%, n=5)이다. 도 21c는 Chloroplast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정성적으로 나타낸 형광 현미경 사진 (200X, green 형광- 살아있는 세포, red 형광- 죽은 세포)이다. (N.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0.05, **P0.01, ***P 0.001, n=5, Results are shown as mean ± S.E.M)
도 22는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 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농도를 30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2a는 췌장 세포를 봉입한 chloroplast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 측정 그래프 (μM/L, n=5)이다. 도 22b는 췌장 세포를 봉입한 chloroplast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을 측정한 그래프 (24시간 기준)이다. (N.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0.05, **P0.01, ***P 0.001, n=5, Results are shown as mean ± S.E.M)
도 23은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 능력을 평가 (GSIS assay)한 결과 그래프와 이를 바탕으로 나타낸 췌장 세포의 포도당 반응 지수(stimulation index)를 표시한 그래프이다 (Insulin ng/ DNA ng, n=5).
도 24는 정확한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한 저산소 환경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Hypoxia Chamber안에 Oxygen Plate Reader(SDR SensorDish® Reader, PreSens)를 넣어 실시간으로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Oven에서 온도 조건(37℃)과 빛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 (660nm, 2000lux, distance: 15cm from sample)을 구현하였으며, 외부의 산소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Hypoxia Chamber sealed parafilm을 이용하여 유입을 차단하였다. 주변 환경 조건이 구현된 Hypoxia Chamber에 Mixed gas (1% O2 + 5% CO2 + 94% N2)를 40L/min의 속도로 주입하여 1% O2의 저산소 환경을 구현하였다.
도 25는 빛(660nm) 조건 유무에 따른 chloroplast(106개/ml, 107개/ml, 108개/ml)의 산소 생성량 측정 결과 그래프이다. 상기 도 24에서 구현된 Hypoxia Chamber을 이용한 저산소 환경을 유도한 후, Media(RPMI +1% PS, 10% FBS)에 희석시킨 Fresh isolated chloroplast를 106개/ml, 107개/ml, 108개/ml 농도별로 준비하여, Chloroplast solution을 저산소 환경 (60mmHg이하)로 만들어 준 후 Hypoxia chamber 내에 Oxygen Plate Reader기를 넣어서 20시간동안 Chloroplast Solution의 산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빛(660nm)의 유무에 따른 산소 생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Light에 20시간동안 노출한 chloroplast(Light)와 노출시키지 않은 Chloroplast(No Light)으로 그룹을 나누어 실험하였다. 도 25a는 빛(660nm) 조건 유무에 따른 농도별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 측정 결과이다 (mmHg, n=6). 도 25b (mmHg, n=6) 및 25c (%, n=6)는 빛(660nm) 조건 유무에 따른 농도별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 측정 결과이다.
도 26은 상기 도 24의 Hypoxia Chamber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산소 환경을 유도할 수 있는 온도 조절형 Desiccator의 모식도이다. 도 26a는 온도 조절형 Desiccator를 이용한 저산소 환경 유도 장치 도면도이다. 도 26b는 온도 조절형 Desiccator를 이용한 저산소 환경 유도 장치와 저산소 환경 상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온도 조절형 Desiccator안에 Oxygen Plate Reader (SDR SensorDish® Reader, PreSens)를 넣어 실시간으로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온도 조건(37℃)과 빛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 (660nm, 2000lux, distance: 15cm from sample)을 구현하였다. 주변 환경 조건이 구현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에 Mixed gas(1% O2 + 5% CO2 + 94% N2)를 40L/min의 속도로 주입하여 1% O2의 저산소 환경을 구현하였으며, Oxygen Detector을 이용하여 그 환경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24와 도 26를 비교한 결과 Desiccator를 이용했을 때, 외부 공기 유입 차단 능력이 우수함 확인하였다.
도 27은 chloroplast를 저산소 환경(Desiccator)에서 장시간(20시간) 배양했을 때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와 AUC(Area under the ROC Curve.)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상기 도 26에서 구현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을 이용하여 저산소 환경을 유도한 후, Media(RPMI +1% PS, 10% FBS)에 희석시킨 Fresh isolated chloroplast를 108개/ml 농도별로 준비하여, Chloroplast solution을 저산소 상태 (1% O2)로 만들어 준 후 Oxygen 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20시간동안 Chloroplast Solution의 산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도 27a는 chloroplast를 저산소 환경(Desiccator)에서 장시간(20시간) 배양했을 때의 산소 농도 측정한 결과이다 (torr-좌, %-우, n=24). 도 27b는 chloroplast를 저산소 환경(Desiccator)에서 장시간(20시간) 배양했을 때의 산소 농도 측정 AUC 결과이다 (min*torr, n=24).
도 28은 Hypoxia Chamber(A)와 Desiccator(B) 비교 모식도이다. 도 28(A)의 Hypoxia Chamber sealed parafilm을 이용하여 외부의 산소 유입을 방지한다면, 20시간 동안 저산소 환경 수준의 산소 농도(40mmHg)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저산소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40L의 Mixed gas(1% O2 + 5% CO2 + 94% N2)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는 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 그리고 두 개 이상의 Oxygen Plate Reader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 그리고 Oxygen Detector를 삽입하지 못해, Hypoxia Chamber 내의 환경이 아닌 Solution의 산소 농도로 저산소 환경을 판단해야 한다는 점이 단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8(B)의 온도 조절형 Desiccator는 자체적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온도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할 수 있으며, 84L의 크기를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Hypoxia Chamber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있어 Light, 두개 이상의 Oxygen Plate Reader와 Oxygen Detector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Desiccator의 특성 상 완벽히 밀폐되는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Desiccator 내부의 산소 농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위의 두 가지를 고려해볼 때, Hypoxia Chamber를 이용하는 것보다, 온도 조절형 Desiccator을 이용하는 점이 저산소 환경을 유도한 후 실험을 진행하는 것에 있어서 유리하다고 판단되므로 추후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Desiccator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29는 온도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결과 그래프이다. 상기 도 26에서 구현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을 이용하여 저산소 환경을 유도한 후, Media(RPMI +1% PS, 10% FBS)에 희석시킨 Fresh isolated chloroplast를 108개/ml을 준비하여, Chloroplast solution을 저산소 환경 (1% O2)로 만들어 준 후 Oxygen 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20시간동안 Chloroplast Solution의 산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이 때, 온도에 다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 미리 heating 한 25℃와 37℃의 Media(RPMI +1% PS, 10% FBS)에 chloroplast를 희석시킨다. 또한 주변 환경을 25℃와 37℃로 맞춰 주기 위하여 온도 조절형 Desiccator을 이용한다. 도 29a는 온도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좌) 및 AUC(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torr-좌, time*torr-우, n=24). 도 29b는 온도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 n=24).
도 30은 빛(660nm)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 결과이다. 각각 빛(660nm)의 세기(도 30a), 빛에 노출되는 시간(도 30b 및 30c), 빛에 노출되는 시간의 지속성(도 30d 및 30e)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도 26에서 구현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을 이용하여 저산소 환경을 유도한 후, Media(RPMI +1% PS, 10% FBS)에 희석시킨 37℃ Fresh isolated chloroplast를 108개/ml을 준비하여, Chloroplast을 저산소 환경 (1% O2)로 만들어 준 후 Oxygen 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20시간동안 빛 조건을 다르게 설정하여, Chloroplast Solution의 산소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도 30a는 빛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이다 (torr-좌, torr-우, n=24). 도 30b는 빛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이다 (torr-좌, torr-우, n=24). 도 30c는 빛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이다 (torr-좌, torr-우, n=24). 도 30d는 빛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이다 (torr, n=24). 도 30e는 빛 조건에 따른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농도 측정 그래프이다 (torr-좌, torr-우, n=24).
도 31은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31a는 각 그룹을 분류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31b는 췌장 세포를 봉입한 Chloroplast-CTP(MFAFQYLLVM)-Alginate hydrogel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40X, 400X). 각각의 농도에 맞게 Media(RPMI +10%FBS)에 희석시킨 chloroplast를 준비한 후, 증류수에 희석시킨 Alginate-CTP용액과 실험 동물(Rat)에서 추출한 췌장 세포와 20IEQ씩 (*IEQ = 췌장 세포 단위) 추가하여 100mM의 CaCl₂용액 500μl에 넣어 반응시켜 Chloroplast-CTP-Alginate hydrogel을 제조한 후 각 그룹에 췌장 세포가 잘 봉입 되었는지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든 그룹에서 hydrogel안에 췌장 세포가 잘 봉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1c는 저산소 환경에 배양한 췌장 세포를 봉입한 Chloroplast-CTP(MFAFQYLLVM)-Alginate hydrogel를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한 도이다 (40X, 400X). 위의 실험 후, 온도 조절형 Desiccator을 이용하여 저산소 환경 (1% O2)로 만들어준 후 24시간을 배양한 후 각 그룹에서의 췌장 세포의 분해도(degradation)의 확인하기 위하여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에서 췌장 세포의 형태가 잘 유지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2는 저산소 환경에서의 Chloroplast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 n=5). 상기 도 31의 실험 후, 각 그룹에 대하여, CCK 용액(10%)를 20μl씩 분주한 뒤 2시간 후 흡광도(OD450nm)를 측정하였으며, 그 후 Quant-iT™ PicoGreen™ dsDNA Assay Kits를 이용하여 각 실험 군에 대하여 DNA양을 통하여 흡광도 값을 보정한 결과, 저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에서 장시간 저산소 환경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생존율(Cell Viability)가 췌장 세포의 생존율이 IH 그룹을 제외하고는 IN 그룹과 대비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H 그룹은 24시간동안 저산소 환경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생존율 약 18%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췌장 세포가 배양되기에 저산소 환경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4, 6그룹)는 IN 그룹보다 세포 생존율이 감소했지만 이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확인되었으며,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은 chloroplast의 농도에 관계없이 Alginate-CTP-Chloroplast 소재가 췌장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가지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저산소 환경에서 0, 4, 6그룹이 IH 그룹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이는 Alginate- 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저산소 환경에서 배양되기에 적절한 조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N.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0.05, **P0.01, ***P 0.001, n=24. Results are shown as mean ± S.E.M.)
도 33은 저산소 환경에서의 Chloroplast 농도 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 능력 평가 (Static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 Assay)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Insulin ng/DNA ng, n=5). 상기 도 33에서 진행된 실험 후, 각 그룹에 대하여, Low glucose solution (2.8mM) 용액을 분주한 뒤 2시간, High glucose solution (20.2mM) 용액을 분주한 뒤 2시간 후 Rat Insulin ELISA assay kit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insulin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후 Quant-iT™ PicoGreen™ dsDNA Assay Kits를 이용하여 각 실험 군에 대하여 DNA양을 통하여 흡광도 값을 보정한 결과이다.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이 IH 그룹을 제외하고는 IN 그룹과 대비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H 그룹은 저산소 환경에 24시간 동안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된다. Alginate-CTP-Chloroplast group은 IN그룹과 유사한 췌장 세포의 포도당 반응 지수(Stimulation index, SI)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는 Alginate-CTP- Chloroplast group (4, 6그룹)이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저산소 환경에서 0, 4, 6그룹이 IH 그룹에 비하여 인슐린 분비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아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저산소 환경에서 배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하지 않았으며, 저산소 환경에서 배양되기에 적절한 조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4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Microcapsule)의 물성 평가 결과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Encapsulator를 이용한 Alginate-CTP-Chloroplast 접합체로 형성하는 미세캡슐(Microcapsule)의 형성 조건을 최적화 시켰다. 각 그룹 1)Alginate, 2)Alginate- Chloroplast 3) Alginate-CTP-Chloroplast의 미세캡슐의 겔화(gelation) 능력을 확인하였으며, 최종 농도가 1.5% w/v alginate가 되도록 만든 Alginate 용액과 CIB에 희석시킨 Chloroplast(2.5x109개/ml)을 1:1로 섞어 Encapsulator를 이용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한 후, 100mM의 CaCl₂용액 300μl를 넣어 반응시킨 후 각 그룹의 겔화(gelation) 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그룹에서 미세캡슐이 잘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5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Microcapsule)의 분해도(degradation)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6은 각 그룹별 미세캡슐의 기계강도(mechanical strength) 평가를 위해 Rheometer를 이용한 Rheology test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kPa, n=2).
도 37은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Microcapsule)의 산소 제어 능력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μmol/L, n=6). 미세캡슐에서 각각 Media(RPMI +10%FBS, 1%PS) 와 CIB에 희석시킨 Chloroplast와 CTP의 산소 생성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각각 1) Free Chloroplast (106, 107, 108개/ml) 2) Alginate-Chloroplast (106, 107, 108개/ml) 3) Alginate-CTP-Chloroplast (106, 107, 108개/ml)으로 나누어 그룹별 48시간 동안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Alginate = 1.5%(w/v)).
도 38은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Microcapsule)에 봉입된 각 그룹별 췌장 세포의 광학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4X, 10X, n=5).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의 독성을 평가하고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Encapsulator을 이용하여 실험 동물(Rat)에서 추출한 췌장 세포(Islet)를 미세 캡슐에 봉입하였다. 각각 0) Intact Islet(Normoxia) (*Normoxia: 정상산소 환경) 1) Intact Islet(Hypoxia) (*Hypoxia: 저산소 환경) 2) Alginate + Islet 3) Alginate-Chloroplast + Islet 4) Alginate- CTP -Chloroplast + Islet의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 진행하였으며, 최종 농도가 1.5% alginate가 되도록 만든 Alginate 용액과 CIB에 희석시킨 Chloroplast(2.5x109개/ml)을 1:1로 섞어 용액을 제조한 후 각 그룹별로 추출한 췌장 세포를 500IEQ씩 (*IEQ = 췌장 세포 단위) 추가하여 Encapsulator를 이용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하였다.
도 39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Microcapsule)에 봉입된 각 그룹별 췌장 세포의 생존 가능성과 세포 괴사(necrosis) 평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CCK-8 Assay를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 n=5). 위의 실험의 각 그룹에 대하여, CCK 용액(10%)를 1ml씩 분주한 뒤 2시간 후 흡광도(OD450nm)를 측정. 그 후 Quant-iT™ PicoGreen™ dsDNA Assay Kits를 이용하여 각 실험 군에 대하여 DNA양을 통하여 흡광도 값을 보정한 결과이다. 저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에서 장시간 저산소 환경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생존율(Cell Viability)이 정상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에 비하여 약 2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는 저산소 환경은 췌장 세포가 생존하기 적절한 환경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정산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보다 약 10% 감소하였으며,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소재가 췌장 세포의 생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hloroplast 미세캡슐을 Alginate 미세캡슐과 비교하였을 때, Alginate- Chloroplast 미세캡슐의 chloroplast가 세포를 생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과 Alginate-Chloroplast 미세캡슐을 비교하였을 때,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서 낮은 세포 생존율의 감소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chloroplast가 산소를 생산하는 것에 있어서 CTP의 효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CTP로 안정화된 chloroplast가 보다 더 기능적인 측면에 있어서 유리한 점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그룹별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세포 생존율이 정상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보다 낮지만,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내에 존재하는 췌장 세포의 metabolites(대사체) 혹은 ROS (활성산소)의 영향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이후 실험에서 이와 같은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catalase(CAT) 또는 superoxide dismutase(SOD)효소를 합성하여 실험하였다.
도 40은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봉입 후 저산소 환경 (1% O2)에 24시간동안 노출시킨 후 각 그룹별 췌장 세포의 생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Live & Dead assay을 진행한 결과를 나타낸 형광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4X 10X, n=5, green 형광- 살아있는 세포, red 형광- 죽은 세포). 위의 실험의 각 그룹의 저산소 환경과 미세캡슐 환경에 대한 세포 독성(cellular toxicity)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한 후 (0그룹: Intact Islet (Normoxia) 제외), 빛의 영향에 따른 Chloroplast의 효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초기 150분 동안 30분씩 시간 간격을 두고 빛(660nm, 1000lux)에 2번 노출시킨 후, Live&Dead Assay를 수행하였다. 각 그룹에 대하여 Calcein 5μl, EthD 20μl을 PBS에 섞은 용액을 1ml씩 분주한 뒤 40분 후,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저산소 환경의 다른 그룹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Alginate-CTP- Chloroplast 미세캡슐 그룹에서 Green signal이 강하게 나타나며, Green과 Red를 합친 결과 Yellow signal이 가장 약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도 39의 CCK-8 Assay 결과와 동일하게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이 췌장 세포가 생존하기에 적절한 환경임을 의미한다.
도 41은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봉입 결과 각 그룹의 미세캡슐 안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력을 통한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 Assay를 진행한 결과 그래프이다 (Insulin ng/DNA ng, n=5).
도 42는 추가적으로 설정한 Chloroplast outer membrane에 삽입될 수 있는 Chloroplast-transit-peptide (CTP, VILGLGLAGI, 이하 CTP(V-)) 펩타이드 서열을 나타낸 도이다 (VILGLGLAGI, 0.924kDa). VILGLGLAGI 펩타이드를 합성하여 95%의 순도를 가진 펩타이드를 합성하였으며, 이는 0.924kDa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VILGLGLAGI 펩타이드는 MFAFQYLLVM 펩타이드와 달리 Hydrophilicity가 0%로 확인되었다.
도 43(A)는 Chloroplast (red 형광) 표면에 결합한 CTP(V-)-FITC(green 형광)의 결합에 대한 Confocal microscope과 광학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43(B)는 chloroplast 표면에 물리적 결합되는 FITC-VILGLGLAGI 펩타이드 존재를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한 이미지이다. CTP(V-)와 chloroplast와의 CTP(V-)-FITC를 처리하여 시간별(1, 5, 10, 30, 60min)로 Confocal microscope과 광학현미경으로 분석하였다.
도 44는 EDC/NHS방법을 이용한 Alginate의 COOH와 CTP(V-)의 N-terminus 부분의 화학결합 반응식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Carbodiimide coupling reaction을 이용하였으며, Alginate의 carboxylate(-COOH) 그룹과 CTP(V-)의 primary amine으로 amide bond를 형성하여 접합체를 만들었다. carbodiimide coupling reaction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EDC/NHS를 이용하였다.
도 45는 Alginate-Chloroplast-transit-peptide(CTP(V-)) 접합체의 가장 최적의 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로 진행한 접합체 합성 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CTP(V-)-alginate의 합성을 위해서, pH6의 0.1M MES buffer 10ml에 각 농도별로 sodium alginate(0.1mg/ml, 0.5mg/ml, 1mg/ml)를 녹인 후, 2mM의 EDC 및 5mM의 NHS를 넣고 상온 15분간 반응시켰다. pH7로 적정한 후 1%의 DMSO에 녹인 10mg/ml peptide를 첨가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Dialysis 진행 후 동결 건조 시켜 합성물을 얻었다.
도 46은 Alginate-Chloroplast-transit-peptide (CTP(V-), LDY004) 접합체의 농도에 따른 합성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FT-I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7은 Alginate-Chloroplast-transit-peptide (CTP(V-)) 접합체의 농도에 따른 합성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¹H-NMR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Alginate-CTP 접합 (conjugation)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OOH)와 CTP(-NH2)를 접합하여 합성물을 얻었다.
0.1M MES buffer (+0.5M NaCl) 10ml 제조 후, pH를 6으로 맞추었다. 상기 제조된 MES buffer 10ml에 0.2mM의 sodium alginate(228mg/10ml)를 녹였다. 이 때, 잘 풀어지도록 뭉치지 않게 넣어주었다. solution이 충분히 녹으면 2mM에 해당하는 4mg/10ml의 EDC(191.7MW)를 녹였다. 이후, 6mg/10ml의 NHS(5mM)를 넣고 RT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PBS나 sodium bicarbonate(NaHCO3, 탄산수소나트륨)를 이용하여 pH를 7까지 올렸다. 1%의 DMSO에 녹인 peptide(10mg/ml, peptide는 peptide 합성 업체인 peptron에 의뢰하여 합성)를 molar ratio(1:1, 1:5, 1:10, 1:25, 1:50)에 해당하는 양만큼 solution에 넣어주었다. 그 후, RT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6,000 내지 8,000 MWCO(molecular weight cut-off) dialysis membrane을 이용하여 3일간 dialysis를 진행하였다. Deep freezer에 얼린 후, 동결 건조하여 powder 형태의 Alginate-CTP 합성물을 얻었다 (도 4 참조).
실시예 2. BCA assay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 합성물에서 CTP(단백질)의 양을 정량 하였다.
BCA assay kit를 이용하여 control A 내지 I를 만들었다. 얼음 위에 호일을 깔고 96 well plate를 둔 후 control을 24μl씩 loading하였다. Control을 loading한 line 밑에 sample을 loading하였다. (n=5, 농도 2mg/ml (RIPA solution)) 그 후, 시료를 loading 한 것 위에 well 당 A+B solution 200μl loading하였다. 이때 A, B solution은 반드시 상온에서 진행하여야 한다 (A=196μl, B=4μl, A:B = 50:1). Control은 저 농도부터 넣어주었다. 30분 incubation 후, 기기를 이용하여 56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6 참조).
그 결과, 순서대로 1:19, 1:31, 1:36, 1:79, 1:62의 moral ratio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molar ratio 값이 적을수록 (1:1, 1:5, ...) 높은 비율로 합성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Alginate-CTP gelation과 rheology test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 합성물의 molar ratio별로 형성된 hydrogel의 강도를 확인하였다.
- 그룹 (n=5)
(1) Alginate (control)
(2) Alginate-CTP (1:1)
(3) Alginate-CTP (1:5)
(4) Alginate-CTP (1:10)
(5) Alginate-CTP (1:25)
(6) Alginate-CTP (1:50)
Alginate 혹은 Alginate-CTP 용액 (0.07mM)을 만들기 위해 0.9% NaCl,
1.5% alginate 혹은 alginate-CTP를 넣어 3차 증류수로 희석시켰다 (3차 증류수 500μl + NaCl 4.5mg + alginate 혹은 alginate-CTP 4mg). 이 때, Alginate powder를 넣을 때에는, 천천히 넣어주고 충분히 희석시켰다. CaCl2 용액 (100mM)을 만들기 위해 1L 3차 증류수에 11g CaCl2 (110.98g/mol)과 2.6g HEPES를 넣었다. 만들어진 CaCl2 용액은 filtering 하여 냉장 보관하였다. 이후, 48 well plate에 과정 1의 용액 200μl와 100mM CaCl2 용액 500μl를 30분간 반응시켜 gelation시켰다. Rheometer를 통해 rheology를 측정하여 hydrogel의 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Alginate-CTP 합성 몰비 1:280 이상에서는 캡슐젤 형성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7a 참조). 이는 너무 많은 peptide에 의해서는 칼슘에 의해 젤 형성을 못하게 함을 의미한다. 모든 그룹은 칼슘용액의 몰농도가 높을수록 젤(gel)이 잘 형성되었고, 단단한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제조한 캡슐젤의 Rheology test 결과, 100mM CaCl₂ 기준, alginate에서는 6kPa(G')을 보이고, 합성 몰비가 증가할수록 값이 점점 작아졌으며 1:18 몰비 5.3kPa(G'), 1:62 몰비 1.7kPa(G') 값을 얻었고, 모든 그룹의 G'(storage modulus)값은 G'‘(loss modulus) 값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b 참조). 따라서, 캡슐젤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더 높은 1:128 몰비부터는 1kPa(G') 미만으로 캡슐젤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엽록체 분리 (Chloroplast isolation)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금치로부터 엽록체 (chloroplast)를 분리하였다 (도 8 참조).
재료는 시금치 잎 35g, 가위, blender, 거즈, conical tube, cooling centrifuge, 1x chloroplast isolation buffer(CIB) without BSA (0.33M sorbitol, 0.1M tris-cl pH 7.8, 5mM MgCl2, 10mM NaCl, 2mM EDTA), 1x chloroplast isolation buffer with BSA (0.1% W/V), 40% percoll (4ml percoll and 6ml 1x CIB buffer with BSA) 및 80% percoll (8ml percoll and 2ml 1x CIB buffer with BSA)를 이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cold room or cold condition에서 신속하게 수행하였다. 잎맥 부분을 제외한 시금치 잎 35g을 획득하고, 시금치 잎을 에탄올로 소독한 가위를 이용하여 1cm 너비의 작은 조각으로 잘랐다. BSA가 들어있는 CIB buffer 120ml를 차가운 blender에 넣고 시금치 잎과 함께 2초간 10번 blending하였다. 위 용액을 ice 안에 있는 여러 겹의 거즈를 씌운 비커에 부어 filtration하였다. 걸러진 용액을 conical tube에 넣고 4℃ 2500RPM에서 70초간 centrifugation하였다. 상층액을 새로운 conical tube에 옮긴 후, 4℃ 2500RPM에서 7분간 centrifugation하였다. 상층액을 버리고 green pellet을 finger tapping으로 부드럽게 풀어주었다. Pellet을 2ml의 1x CIB buffer with BSA로 resuspend 해주고 pipetting하였다. 40%, 80% percoll 용액을 준비하여 3ml 80% percoll, 3ml 40% percoll, 6ml chloroplast suspension을 순서대로 조심스럽게 15ml conical tube에 넣어주었다. 4000RPM에서 10분간 centrifugation하였다. Intact chloroplast를 함유하는 80%/40% percoll층 사이의 용액만을 조심스럽게 따서 다른 conical tube로 옮겨주었다. 그 후, 얻어진 Pellet을 1x CIB buffer without BSA 10ml과 섞은 후, 호일로 감싸 냉장 보관하였다.
실시예 5. Chloroplast에 대한 DMSO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Peptide를 녹일 때 이용하는 DMSO(10mg/ml)가 chloroplast(1*10개/ml)에 시간별로 독성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0%와 1%의 DMSO를 준비하고, 1*10개/ml chloroplast in CIB 용액 1ml에 희석하여 0, 5, 10, 30, 60분간 처리하였다. 각 시간대 별로 용액을 10μl 따서 hemocytometer를 이용해 chloroplast의 수를 counting 하였다.
그 결과, DMSO를 처리하지 않은 control group과 1% DMSO를 처리한 group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어 1%의 DMSO는 chloroplast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도 9 참조).
실시예 6. Chloroplast의 chlorophyll 측정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Chloroplast를 정량하기 위해 chlorophyll를 측정하였다.
CIB를 이용하여 2*10개/ml chloroplast를 0% 내지 100%까지 총 14구간으로 희석하였다. 각각 희석한 용액 250μl에 80% acetone (+5mg/ml pH7 EDTA) 250μl를 넣어주었다. 80% acetone(+5mg/ml pH7 EDTA)은 chloroplast를 깨서 chlorophyll 얻기 위하여 실시하여, 최종 농도가 1*10/ml인 용액을 얻었다 (100% 기준). Nanodrop을 이용하여 UV-VIS 645nm. 663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하기 Arnon’s equation에 측정값을 대입하여 total chlorophyll의 μg/ml 값을 구했다.
<Arnon’s equation>
*Chlorophyll a (μg/ml) = 12.7 (A663) - 2.69 (A645)
*Chlorophyll b (μg/ml) = 22.9 (A645) - 4.68 (A663)
*Total chlorophyll (μg/ml) = 20.2 (A645) + 8.02 (A663)
실시예 7. chloroplast 외막과 CTP-FITC 결합 확인
7.1. 형광 이미지를 이용한 chloroplast 외막과 CTP-FITC 결합 확인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Peptide-FITC가 chloroplast의 외막에 anchoring 될 수 있는지 형광으로 확인하였다 (도 10a 참조).
실험 과정 동안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1*10개/ml chloroplast (control) 500μl, 1*10/ml chloroplast+CTP-FITC 500μl 준비하였다. 이 때, CTP-FITC는 합성 업체인 에니젠에 합성 의뢰하여 얻었다. 1*10개/ml chloroplast+CTP-FITC에서 CTP-FITC는 0.6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 때, 1*10개/ml chloroplast/ml (in CIB)에서 500μl를 취하고, CTP 10mg/ml (in DMSO)에서 30μl를 취해서 넣으면 최종 농도가 0.6mg/ml이 된다. 이 후, 1, 5, 10, 30, 60분마다 100μl씩 따서 고정하고, 시간별로 반응시킨 용액을 13500RPM에서 1분간 centrifugation하였다. Pellet을 얻어 2.5% glutaraldehyde (0.05M SCB) 고정액에 고정하고 (500μl, 15분), 미 반응의 CTP-FITC를 제거하기 위해 PBS로 2번 wash 진행하였다. 이후, CIB buffer로 500μl를 채운 뒤, 슬라이드 글래스/커버글래스를 이용하여 mounting하였다. Confocal microscope를 이용하여 형광사진을 촬영하고, 두께는 1μm 정도로 section하였다 (green 형광 (FITC) = 488nm, red 형광 (chloroplast auto 형광) = 580nm).
7.2. TEM을 이용한 chloroplast 외막과 CTP-FITC 결합 확인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Peptide-FITC가 chloroplast의 외막에 anchoring 될 수 있는지 TEM으로 확인하였다 (도 10b 참조).
상기 7.1의 방법과 동일한 시간(1, 5, 10, 30, 60분)으로 반응시킨 1*10/ml chloroplast (control) 500μl, 1*10/ml chloroplast + CTP-FITC 500μl를 2% glutaraldehyde + 2% paraformaldehyde in 0.05M sodium cacodylate buffer 고정액 1ml에 15분간 고정시켰다. 고정 후, 미반응의 CTP-FITC를 제거하기 위해서, PBS wash를 2번 반복하고 pellet을 얻었다. 얻어진 pellet에 2% glutaraldehyde + 2% paraformaldehyde in 0.05M sodium cacodylate buffer 1ml을 넣고 4℃에서 overnight 진행하였다. TEM 전처리 과정(chloroplast 고정 후 resin으로 block 제작) 진행 후, ultramicrotome을 이용하여 미세 박편을 제작하고 TEM을 찍어 확인하였으며, TEM 전처리과정부터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대학 공동기기원에서 진행하였다.
7.3. 소결
상기 실험 결과, 5분 이상의 반응시간부터 CTP가 chloroplast의 외막에 anchoring되어 충분히 코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후 CTP와 chloroplast의 반응 시간을 5분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8. hydrogel의 gelation과 rheology test
8.1. Alginate-CTP hydrogel의 gelation과 rheology test (CIB)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CIB에서 Alginate-CTP와 CaCl₂용액의 gelation 정도를 확인하여 Alginate-CTP와 chloroplast를 anchoring 시킬 때 CIB를 이용해도 영향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이 때, gelation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 그룹 (n=5)
(1) Alginate (control)
(2) Alginate-CTP (1:50)
Alginate (control), Alginate-CTP (1:50) 준비하고, 기존의 gelation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positive control인 100mM CaCl₂용액과 negative control인 Ca2+, Mg2+-free PBS, gelation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예상하는 실험군인 CIB를 준비하였다. Alginate 혹은 Alginate-CTP 4mg, NaCl 4.5mg, 3차 증류수 500μl를 잘 섞었다. 48 well plate에 과정 3의 용액 250μl를 CIB와 30분간 반응시켰다. Rheometer를 통해 rheology를 측정하여 gel의 강도(gel의 특성을 지니는지)를 확인하였다.
8.2.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gelation과 rheology test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 합성물과 chloroplast를 반응시켜 gelation이 일어나는지, 이에 따라 만들어진 hydrogel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그룹 (n=5)
(1) Alginate (control)
(2) Alginate-CTP (1:1)
(3) Alginate-CTP (1:5)
(4) Alginate-CTP (1:10)
(5) Alginate-CTP (1:25)
(6) Alginate-CTP (1:50)
Alginate (control), Alginate-CTP (1:1, 1:5, 1:10, 1:25, 1:50 molar ratio) 준비하고, Alginate 혹은 Alginate-CTP 4mg, NaCl 4.5mg, 3차 증류수 500μl를 잘 섞었다. 시금치로부터 당일 분리한 chloroplast를 1*108개/ml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48 well plate에 과정 2의 용액 250μl와 과정 3의 용액 250μl를 잘 섞어준 후, 100mM CaCl2와 30분간 반응시켰다. Rheometer를 통해 rheology를 측정하여 hydrogel의 강도 (hydrogel의 특성을 지니는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9. chloroplast 정량
9.1.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잔여 용액을 이용한 chloroplast 정량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을 제거 후 잔여 용액을 이용하여 hydrogel 내의 chloroplast를 정량 하였다.
상기 9.2의 방법과 같이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을 만들고, hydrogel을 제외한 용액을 모두 회수하여 13,500RPM에서 1분간 centrifugation하였다. Pellet을 80% acetone 250μl에 suspension (vortexing & stay 3회 반복) 후 용해시켜주었다. Nanodrop을 이용하여 663nm, 645nm에서 흡광도 측정 후, 측정 값을 하기 Arnon’s equation에 따라 total chlorophyll (μg/ml) 양을 계산하였다.
<Arnon’s equation>
*Chlorophyll a (μg/ml) = 12.7 (A663) - 2.69 (A645)
*Chlorophyll b (μg/ml) = 22.9 (A645) - 4.68 (A663)
*Total chlorophyll (μg/ml) = 20.2 (A645) + 8.02 (A663))
9.2.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내 존재하는 chloroplast 정량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내에 들어있는 chloroplast를 정량 하였다.
PBS에 5mg/ml로 EDTA를 넣고, pH를 7로 올려주었다. Alginate lyase를 EDTA solution에 넣고, Vortexing & stay를 3회 반복하였다. Hydrogel이 풀어지면 13500RPM에서 1분간 centrifugation하고, Pellet을 80% acetone 250μl에 suspension하였다. 이 후, Vortexing & stay를 3회 반복하여 dissolution시키고, Nanodrop drop을 이용하여 663nm, 64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된 흡광도를 하기 Arnon’s equation에 대입하여 total chlorophyll (μg/ml) 양을 계산하였다.
<Arnon’s equation>
* Chlorophyll a (μg/ml) = 12.7 (A663) - 2.69 (A645)
* Chlorophyll b (μg/ml) = 22.9 (A645) - 4.68 (A663)
* Total chlorophyll (μg/ml) = 20.2 (A645) + 8.02 (A663)
9.3. 소결
상기 실험 결과, 약 99%의 봉입률을 보여 1:1 및 1:5 합성 몰비를 갖는 Alginate-CTP의 hydrogel 효율이 매우 좋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합성 몰비 1:1과 1:5 Alginate-CTP의 경우 거의 모든 chloroplast와 효과적으로 결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도 11 참조).
실시예 10. 시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gelation 확인 방법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간에 따라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이 풀어지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9의 방법에 따라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을 만들었다. 이 후, 4주 동안 hydrogel이 풀어지는지 rheometer를 통해 rheology test를 수행하여 hydrogel의 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HEK 293 T 세포에 대한 Chloroplast의 독성 평가 (CCK-8 assay)
Chloroplast가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일반적인 세포 line인 HEK 293 세포를 이용하여 CCK-8 assay를 진행하여 결과를 확인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하였다.)
(1) Control (HEK 293 T 세포 + DMEM media)
(2) Chloroplast 1 * 102개/ml
(3) Chloroplast 1 * 104개/ml
(4) Chloroplast 1 * 106개/ml
(5) Chloroplast 1 * 108개/ml
(6) CIB
96 well plate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HEK 293 T 세포(3.5*10⁴개/well)을 준비하였다 (n=5). 준비된 각 그룹에 농도별로 준비한 chloroplast 용액을 100μl씩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incubation 후, chloroplast 용액을 suction하였다. PBS로 2번 wash하고 media(DMEM) 100μl + CCK solution 10μl를 처리하였다. 2시간 동안 호일에 감싸 incubation 후,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chloroplast 흡광도 영향 줄이기 위해 상층액만 50μl 따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 chloroplast의 농도가 높아지더라도 세포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도 12 참조). 108/ml 농도 chloroplast의 경우, chloroplast에 의해 흡광도가 높게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2.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 측정
12.1. 빛의 유무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빛의 유무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시켰다.)
(1) Control (CIB)
(2) Chloroplast 1 * 102개/ml
(3) Chloroplast 1 * 104개/ml
(4) Chloroplast 1 * 106개/ml
(5) Chloroplast 1 * 108개/ml
96 well plate에 CIB를 이용하여 그룹에 맞게 chloroplast를 희석 후 300μl를 넣어 준비하였다. 빛 (660nm) 유무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산소 센서는 OxyLite (Oxford Optronix, U.K.)를 이용하였다.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로 설정하였다.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0, 30, 60, 120min 단위로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reading time: 3min).
그 결과, 빛(660nm)에 노출시키지 않은 그룹(No Light)에서는 최대 6.5% 더 높은 산소 생성 수준을 보였지만, 빛(660nm) 조건 하에서는 control 그룹은 가시광선과 동일한 수준의 산소 생성량을 보인 반면, chloroplast가 삽입된 그룹의 경우 최대 9.3% 더 높은 산소 생성량을 보였다. 고농도의 chloroplast 농도에서는 오히려 산소 생성이 대조군보다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13 참조).
12.2. 빛의 유무에 따른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빛의 유무에 따른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시켰으며, 합성 비율은 alginate: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CIB)
(2) Chloroplast 1 * 102개/ml
(3) Chloroplast 1 * 104개/ml
(4) Chloroplast 1 * 106개/ml
(5) Chloroplast 1 * 108개/ml
96 well plate에 그룹에 맞게 chloroplast를 넣어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을 만들었다. 빛 (660nm) 유무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산소 센서는 OxyLite (Oxford Optronix, U.K.)를 이용하였다.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로 설정하였다.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0, 30, 60, 120min 단위로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reading time: 3min).
그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산소 분압 생성량이 약 105%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빛(660nm) 조건 하에서는 더 많은 산소 생성량을 확인했다. 반면, 빛(660nm)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 산소 생성량이 초반에는 증가는 양상을 보이지만, 120분 후에는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Chloroplast가 108/ml 들어있는 hydrogel의 경우 빛(660nm) 조건 하에서는 약 95%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4b 참조).
이는 hydrogel이 아닌 chloroplast 자체의 산소 농도를 측정했던 조건과 비교하였을 때(약 55%)에 비하여 증가된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3.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의 산소 생성량 측정
13.1.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의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에 따른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시켰으며, 합성 비율은 alginate: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CIB)
(2) Chloroplast 1 * 102개/ml
(3) Chloroplast 1 * 104개/ml
(4) Chloroplast 1 * 106개/ml
(5) Chloroplast 1 * 108개/ml
96 well plate에 그룹에 맞게 chloroplast를 넣어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을 만들었다. 상기 96 well plate를 하기와 같은 조건으로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정상산소 상태: 일반적인 21% 산소 환경 구현
- 저산소 상태: 저산소 챔버 (hypoxia chamber) 실험 기구에 혼합 가스 (94% N2 + 5% CO2 + 1% O2)를 주입해 1% 산소 환경 구현
이 후,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산소 센서는 OxyLite (Oxford Optronix, U.K.)를 이용하였다.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로 설정하고, 상기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0, 30, 60, 120min 단위로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reading time: 3min).
그 결과, Chloroplast가 삽입된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수준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고 (약 8% 증가), 정상산소 상태보다 저산소 상태에서 산소 생성 수준이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고농도의 Chloroplast 그룹에서는 산소 생성량이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 모두에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16 참조).
13.2.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 따른 각 그룹별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에 따른 실험 군별 (free chloroplast, Alginate-Chloroplast hydrogel,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실험군
(1) Free chloroplast
(2) Alginate-Chloroplast hydrogel
(3)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 각 그룹별 농도 (n=5, CIB를 이용해 희석하였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CIB)
(2) Chloroplast 1 * 102개/ml
(3) Chloroplast 1 * 104개/ml
(4) Chloroplast 1 * 106개/ml
(5) Chloroplast 1 * 108개/ml
96 well plate에 농도에 맞게 chloroplast를 넣어 free chloroplast, Alginate-Chloroplast hydrogel,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을 만들었다. 각 실험 군별 만들어진 96 well plate를 하기와 같이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정상산소 상태: 일반적인 21% 산소 환경 구현
- 저산소 상태: 저산소 챔버 (hypoxia chamber) 실험 기구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환경 구현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빛 노출 시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산소 센서는 OxyLite (Oxford Optronix, U.K.)를 이용하였다.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로 설정하고,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6일 간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24시간 간격). 측정 5일차에는 정상산소 환경으로 바꾸어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ree chloroplast 그룹은 5일 동안 심각한 저산소혈증 수치인 40㎜Hg (69.5μM/L)보다 높은 산소 농도를 유지했다. 또한, 측정 5일차에 정상산소 농도에 24시간 동안 노출된 결과, free chloroplast 그룹 대부분이 초기 산소 농도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전의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대조군과 고농도(108/ml)에서는 낮은 수준의 산소 농도가 측정되었다. 특히 고농도 그룹은 측정 5일차에 정상산소 상태에서 산소 농도를 회복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도 17a 참조). AC 그룹에서 모든 농도 그룹의 산소 농도는 48시간 이내에 0 μM/L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AC는 저산소 상태에서 chloroplast에 의한 산소를 생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7b 참조). 또한, ACC 그룹은 free chloroplast와 유사한 산소 생성 패턴을 보였다. 대조군과 고농도(108/ml)를 제외하고 ACC 그룹은 심각한 저산소혈증 수치인 40 mmHg(69.5 μM/L) 이상의 산소 농도를 유지하였다. 종합적으로 저산소 조건에서 ACC 그룹은 free chloroplast와 유사한 산소 생성 패턴을 보였으며, 특히 농도 102/ml, 104/ml, 106/ml에서 산소를 보다 더 잘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7c 참조).
실시예 14. 과산화수소 농도 측정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농도의 chloroplast 그룹에서 산소 생성량이 감소하는 이유를 확인하였다.
재료는 (1) ABTS (548.68g/mol), (2) HRP (peroxidase, 250units/ml), (3) H202 solution (standard curve용, 8.943M(9M/L)) 및 (4) Chloroplast (0-3X108개/ml)를 이용하였다.
- 그룹
(1) Free chloroplast
(2)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 각 그룹별 농도 (n=5)
※ 시료를 넣게 되면 농도가 3배 희석되기 때문에 희석했을 때의 농도를 고려하였다.
(1) Control (CIB)
(2) Chloroplast 3 * 102개/ml
(3) Chloroplast 3 * 104개/ml
(4) Chloroplast 3 * 106개/ml
(5) Chloroplast 3 * 108개/ml
96 well plate에 농도에 맞게 chloroplast를 넣어 free chloroplast, Alginate-CTP- Chloroplast hydrogel을 만들었다.
이후, 하기와 같이 ABTS assay에 필요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 ABTS 1.2mM 준비: 65.8mg/100ml -> 0.4mM (3차 증류수로 희석)
- HRP 3unit/ml 준비: 1.2mg/100ml -> 1unit/ml (3차 증류수로 희석)
- H2O2 solution 농도별 준비: 3mM에서 3차 증류수로 serial dilution을 이용하여 1, 0.5, 0.25, 0.125mM으로 만들었다.
Standard curve를 만들기 위해 HRP 1ml, 농도별 H2O2 1ml를 넣은 후, ABTS 1ml 넣었다. HRP:H2O2:ABTS = 1:1:1 반응시키고, ABTS를 마지막에 넣었다. 상기 용액 200μl를 따서 96 well plate에 옮긴 후, 5분 반응시키고, Plate reader기에 넣어 405nm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다. Chloroplast에서 생성된 H2O2를 확인하기 위해 갈색 epen tube에 chloroplast를 농도별로 1ml, HRP 1ml를 넣은 후, ABTS 1ml 넣었다. 이 때, Chloroplast는 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갈색 tube를 사용하였다. 3분간 반응시킨 후, 13500RPM에서 2분간 centrifugation 하였다. 이후, 상층액 200μl 따서 96 well plate에 옮긴 후, plate reader기에 넣어 405nm에서 흡광도를 확인하였다. Chloroplast 자체의 색으로 인해 흡광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상층액만을 획득하였다.
상기 방법에 의해 과산화 수소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Free chloroplast와 ACC 그룹 모두 고농도의 chloroplast 농도에서 유의한 수준의 높은 hydrogen peroxide 생성량을 보였다. 따라서 고농도의 chloroplast를 처리할 경우, 과산화수소가 과다하게 생성되어 오히려 산소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18 참조). (N.S.: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P0.05, **P0.01, ***P 0.001, n=5, Results are shown as mean ± S.E.M)
실시예 15. INS-1 세포에 대한 Alginate-CTP의 독성 평가
15.1. CCK-8 assay를 통한 INS-1 세포에 대한 Alginate-CTP의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 용액이 INS-1 세포에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용해시켰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INS-1 세포 + RPMI media)
(2) Alginate-CTP 2mg/ml
(3) Alginate-CTP 4mg/ml
(4) Alginate-CTP 6mg/ml
(5) Alginate-CTP 8mg/ml
(6) Alginate-CTP 10mg/ml
(7) Alginate-CTP 12mg/ml
(8) Alginate-CTP 14mg/ml
(9) Alginate-CTP 20mg/ml
96 well plate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INS-1 세포 (3*104개/well)을 준비하였다 (n=5). 각 그룹에 농도별로 준비한 Alginate-CTP 용액을 100μl씩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incubation 후, Alginate-CTP 용액을 suction하였다. PBS로 2번 wash하고 media(RPMI) 100μl + CCK solution 10μl를 처리하고, 2시간 동안 호일에 감싸 incubation 후,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농도인 8 mg/ml은 대조군의 생존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 19a 참조).
15.2. Live & Dead assay를 통한 INS-1 세포에 대한 Alginate-CTP의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 용액이 INS-1 세포 line에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용해시켰으며,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INS-1 세포 + RPMI media)
(2) Alginate-CTP 2mg/ml
(3) Alginate-CTP 4mg/ml
(4) Alginate-CTP 6mg/ml
(5) Alginate-CTP 8mg/ml
(6) Alginate-CTP 10mg/ml
(7) Alginate-CTP 12mg/ml
(8) Alginate-CTP 14mg/ml
(9) Alginate-CTP 20mg/ml
96 well plate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INS-1 세포 (3*104개/well)을 준비하였다 (n=5). 각 그룹에 농도별로 준비한 Alginate-CTP 용액을 100μl씩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incubation 후, Alginate-CTP 용액을 suction하였다. 이후, PBS로 2번 wash하고, 1μM Calcein-AM와 1μM Ethidium homodimer-1 (EthD-1)로 만든 시약을 각 well에 100μl씩 처리하고, 10분 동안 incubation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green 형광)와 죽은 세포(red 형광)를 확인한 후,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유사한 수준의 green signal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농도는 단일 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도 19b 참조).
실시예 16.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제조
16.1. Rat로부터 췌장 세포를 분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Rat의 췌장으로부터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세포를 분리하였다.
재료는 (1) SD 계통의 Rat (6-7주령, male), (2) 수술 도구 (mirco-scissors, forceps 등), (3) Collagenase 1mg/ml (pH 7.8 HBSS buffer로 희석) 및 (4) 10ml 주사기를 이용하였다.
Rat에 5-10분간 100% CO2 가스를 주입하여 안락사시키고, 호흡이 멈췄거나, 심장 박동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 부위의 외피와 내피를 제거하고, 간을 들어 올려 췌장을 찾고, 췌장을 집게로 펼치면서 간과 연결된 부분인 duct (혈관)를 찾았다. Duct를 팽팽하게 당긴 후, 끊어지지 않을 만큼 살짝 가위로 흠집을 내어 세포외 기질(ECM)을 제거할 수 있는 collagenase를 duct를 통해 주사기로 1마리당 10ml씩 넣었다. 수술 도구를 이용해 장과 간, 위, 비장으로부터 부풀어 오른 췌장을 분리하였다. 췌장을 물리적 및 화학적 정제를 통하여 순도 높은 췌장 세포를 얻고, 광학 현미경을 통해 췌장 세포 외에 여러 debris 혹은 불순물 등을 제거하였다. 췌장 세포의 회복 및 안정화를 위해 24시간 동안 incubation을 진행하였다.
16.2.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제조
16.2.1. Alginate-CTP 합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제조
다음과 같이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상기 분리된 췌장 세포를 봉입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용해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Alginate-CTP 8mg/ml
(3) Alginate-CTP 16mg/ml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상기 분리된 췌장 세포를 media(RPMI)로 wash 2회 진행하였다. 시금치로부터 당일 분리한 chloroplast 용액을 4*106개/ml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chloroplast를 희석시킬 때 media (RPMI +10% FBS) 사용하였다. 20개의 췌장 세포 (20IEQ)를 상기 준비된 용액 250μl와 잘 섞어주었다.
0, 8, 16mg/ml의 농도로 만든 Alginate-CTP 합성물을 준비하고, 상기 용액을 섞어 100mM CaCl2 용액에 넣어 30분간 반응시켰다. 만들어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1개씩 96 well plate의 각 well (RPMI +10% FBS+1% PS, 200μl)에 넣어서 24시간 동안 incubation 시켰다.
16.2.2.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제조
다음과 같이,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췌장 세포를 봉입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Chloroplast 4 * 104개/ml
(3) Chloroplast 4 * 106개/ml
24시간 동안 안정화시킨 췌장 세포를 media (RPMI)로 wash 2회 진행하였다. 시금치로부터 당일 분리한 chloroplast를 4*106개/ml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chloroplast를 희석시킬 때 media (RPMI +10% FBS) 사용하였다. 20개의 췌장 세포 (20IEQ)를 상기 분리된 chloroplast 용액 250μl와 잘 섞어주었다. 8mg/ml의 농도로 만든 Alginate-CTP 합성물을 준비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Alginate-CTP를 용해시킬 때 media (RPMI +10% FBS) 사용하였다. 상기의 용액과 Alginate-CTP 합성물을 섞어 100mM CaCl2 용액에 넣어 30분간 반응시켰다. 만들어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1개씩 96 well plate의 각 well (RPMI +10% FBS +1% PS, 200μl)에 넣어서 24시간 동안 incubation 시켰다.
16.2.3. 저산소 환경에서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제조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췌장 세포를 봉입하였다.
- 그룹 (n=6)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CTP hydrogel: 저산소 환경
(6) Alginate-CTP-Chloroplast (1 * 104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1 * 106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실험 동물(Rat)로부터 분리한 췌장 세포를 media (RPMI)로 wash 2회 진행하였다. 시금치로부터 당일 분리한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chloroplast를 희석시킬 때 media (RPMI +10% FBS) 사용하였다. 20개의 췌장 세포 (20IEQ)를 과정 2의 용액 250μl와 잘 섞어주었다. 8mg/ml의 농도로 만든 Alginate-CTP 합성물을 준비하였다. 세포 실험을 위해, Alginate-CTP를 용해시킬 때 media (RPMI +10% FBS) 사용하였다. 상기 용액들을 섞어 100mM CaCl2 용액에 넣어 30분간 반응시켰다. 만들어진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 1개씩 6 well plate의 각 well (RPMI +10% FBS +1% PS, 1ml)에 넣었다. 상기 그룹 (1), (2), (3), (4) 또한 6 well plate의 각 well (RPMI +10% FBS +1% PS, 200μl)에 넣고, 상기 6 well plate를 하기와 같은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고, 24시간 동안 incubation 시켰다.
- 정상산소 상태: 일반적인 21% 산소 환경 구현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 실험 기구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구현
실시예 17.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독성 평가
17.1. Alginate-CTP 합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독성 평가
17.1.1. CCK-8 assay를 통한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 합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용해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Alginate-CTP 8mg/ml
(3) Alginate-CTP 16mg/ml
24시간 동안 96 well plate에서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Alginate-CTP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준비하였다. 모든 hydrogel을 PBS로 2번 wash하고 media(RPMI) 100μl + CCK solution 10μl를 처리하였다. 2시간 동안 호일에 감싸 incubation 후,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농도인 8mg/ml은 대조군의 생존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 20a 및 20b 참조).
17.1.2. Live & Dead assay를 통한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CTP 합성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용해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Alginate-CTP 8mg/ml
(3) Alginate-CTP 16mg/ml
24시간 동안 96 well plate에서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Alginate-CTP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준비하였다. 모든 hydrogel을 PBS로 2번하고, 1μM Calcein-AM와 1μM Ethidium homodimer-1 (EthD-1)로 만든 시약을 각 well에 100μl씩 처리하고, 30분 동안 incubation을 진행하였다.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green 형광)와 죽은 세포(red 형광)를 확인한 후,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Live & Dead assay를 통해서도 유사한 수준의 green signal을 확인하였다 (도 20c 참조). 따라서 본 농도는 단일 세포 뿐만 아니라 세포 집단에도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17.2.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독성 평가
17.2.1. CCK-8 assay를 통한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이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Chloroplast 1 * 104개/ml
(3) Chloroplast 1 * 106개/ml
24시간 동안 96 well plate에서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준비하였다. 모든 hydrogel을 PBS로 2번 wash하고 media(RPMI) 100μl + CCK solution 10μl를 처리하였다. 2시간 동안 호일에 감싸 incubation 후,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chloroplast의 농도와 관계없이 모든 농도 그룹의 생존율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도 21a 및 21b 참조).
17.2.2. Live & Dead assay를 통한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이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Chloroplast 1 * 104개/ml
(3) Chloroplast 1 * 106개/ml
24시간 동안 96 well plate에서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준비하였다. 모든 hydrogel을 PBS로 2번 wash하고, 1μM Calcein-AM와 1μM Ethidium homodimer-1 (EthD-1)로 만든 시약을 각 well에 100μl씩 처리하였다. 30분 동안 incubation을 진행하고,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green 형광)와 죽은 세포(red 형광)를 확인한 후,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Live & Dead assay를 통해 강한 green signal을 확인하였다 (도 21c 참조). 따라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은 chloroplast 농도에 관계없이 췌장 세포에 독성이 없는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17.3. 저산소 환경에서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독성 평가 (CCK-8 assay)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의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그룹 (n=6)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CTP hydrogel: 저산소 환경
(6) Alginate-CTP-Chloroplast (1 * 104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1 * 106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정상산소 및 저산소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 및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각 그룹별로 준비하였다. 모든 그룹을 PBS로 2번 wash하고 media(RPMI) 100μl + CCK solution 10μl를 처리하고, 2시간 동안 호일에 감싸 incubation 후,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후 Quant-iT™ PicoGreen™ dsDNA Assay Kits를 이용하여 각 실험 군에 대하여 DNA양을 통하여 흡광도 값을 보정하였다.
그 결과, 저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에서 장시간 저산소 환경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생존율(Cell Viability)가 췌장 세포의 생존율이 IH 그룹을 제외하고는 IN 그룹과 대비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H 그룹은 24시간동안 저산소 환경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생존율 약 18%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췌장 세포가 배양되기에 저산소 환경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4, 6그룹)는 IN 그룹보다 세포 생존율이 감소했지만 이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로 확인되었으며,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은 chloroplast의 농도에 관계없이 Alginate-CTP-Chloroplast 소재가 췌장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가지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저산소 환경에서 0, 4, 6그룹이 IH 그룹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이는 Alginate- 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저산소 환경에서 배양되기에 적절한 조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2 참조).
실시예 18.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이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Chloroplast 1 * 104개/ml
(3) Chloroplast 1 * 106개/ml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준비하였다.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의 각 well에 과정 1의 hydrogel을 1개씩 넣고 30시간 동안 incubation을 진행하면서 0, 6, 12, 18, 24, 30시간을 단위로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고,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는 SDR SensorDish 전용 well plate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소 생성량이 꾸준히 증가하였고, chloroplast가 없는 대조군보다 chloroplast가 삽입된 그룹에서 더 높은 수준의 산소 생성량을 보였다 (도 22a 참조). 또한, 24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한 결과, chloroplast가 104개/ml의 농도로 삽입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서 chloroplast가 없는 대조군보다 매우 유의하게 높은 산소 생성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도 22b 참조).
실시예 19.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기능성 확인
19.1.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기능성 확인
19.1.1.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 assay를 통한 확인
다음과 같이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 기능을 확인하였다.
재료는 (1) Low glucose (2.8mM, Krebs Ringer buffered HEPES (pH 7.4)로 희석) 및 (2) High glucose (20.2mM, Krebs Ringer buffered HEPES (pH 7.4)로 희석)를 이용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Chloroplast 1 * 104개/ml
(3) Chloroplast 1 * 106개/ml
24시간 동안 96 well plate에서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준비하였다. 모든 hydrogel을 PBS로 2번 wash하고 low glucose (2.8mM)를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30분 incubation하였다. Low glucose (2.8mM)를 다시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2시간 incubation하고, 존재하는 low glucose 용액을 회수하였다. 그리고 High glucose (20.2mM)를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2시간 incubation하고, 존재하는 high glucose 용액을 회수하였다. Insulin enzyme-linked immunosorbent (ELISA) assay를 이용해 회수한 low glucose, high glucose 용액을 바탕으로 인슐린 분비 양을 측정 및 계산하였다.
그 결과,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chloroplast의 농도에 관계없이 대조군(intact islet)과 유사한 수준의 인슐린 분비량을 보였다 (도 23 참조). 상기 결과는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은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 능력을 잘 유지시켜주며 세포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나타낸다.
19.1.2. dsDNA assay를 통한 확인
다음과 같이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에서 분비된 인슐린 양을 췌장 세포의 크기로 보정해주기 위해 실시하였다.
- 그룹 (n=5,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췌장 세포 + RPMI media)
(2) Chloroplast 1 * 104개/ml
(3) Chloroplast 1 * 106개/ml
24시간 동안 96 well plate에서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준비하였다. 모든 hydrogel을 PBS로 2번 wash하고, 0.1M EDTA (pH7.8) 용액을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충분한 pipetting을 통하여 hydrogel을 부쉈다. 이 때, hydrogel 내에 존재하는 췌장 세포를 꺼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용액을 각각 1.5ml tube에 회수하여 1800RPM에서 2분간 centrifugation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하고 pellet(췌장 세포)에 RIPA buffer 1ml씩 처리하였다. dsDNA assay를 통하여 각 well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존재했던 췌장 세포가 분비해낸 인슐린의 양을 보정해주었다.
19.2. 저산소 환경에서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기능성 확인
19.2.1.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 assay를 통한 확인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 기능을 확인하였다.
- 재료
(1) Low glucose (2.8mM, Krebs Ringer buffered HEPES (pH 7.4)로 희석)
(2) High glucose (20.2mM, Krebs Ringer buffered HEPES (pH 7.4)로 희석)
- 그룹 (n=6)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CTP hydrogel: 저산소 환경
(6) Alginate-CTP-Chloroplast (1 * 104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1 * 106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정상산소 및 저산소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 및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각 그룹별로 준비하였다. 모든 그룹을 PBS로 2번 wash하고 low glucose (2.8mM)를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30분 incubation하였다. Low glucose (2.8mM)를 다시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2시간 incubation하고, 존재하는 low glucose 용액을 회수하였다. High glucose (20.2mM)를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2시간 incubation하고, 존재하는 high glucose 용액을 회수하였다. Insulin enzyme-linked immunosorbent (ELISA) assay를 이용해 회수한 low glucose, high glucose 용액을 바탕으로 인슐린 양을 측정 및 계산하였다.
그 결과,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이 IH 그룹을 제외하고는 IN 그룹과 대비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H 그룹은 저산소 환경에 24시간 동안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된다. Alginate-CTP-Chloroplast group은 IN그룹과 유사한 췌장 세포의 포도당 반응 지수(Stimulation index, SI)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는 Alginate-CTP- Chloroplast group (4, 6그룹)이 저산소 환경에 노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저산소 환경에서 0, 4, 6그룹이 IH 그룹에 비하여 인슐린 분비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아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저산소 환경에서 배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하지 않았으며, 저산소 환경에서 배양되기에 적절한 조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2.2. dsDNA assay를 통한 확인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에 봉입된 췌장 세포에서 분비된 인슐린 양을 췌장 세포의 크기로 보정하였다.
- 그룹 (n=6)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5 molar ratio로 고정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CTP hydrogel: 저산소 환경
(6) Alginate-CTP-Chloroplast (1 * 104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1 * 106개/ml) hydrogel: 저산소 환경
정상산소 및 저산소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incubation 시킨 췌장 세포 및 췌장 세포를 봉입하고 chloroplast를 농도별로 처리한 Alginate-CTP-Chloroplast hydrogel를 각 그룹별로 준비하였다. 모든 그룹을 PBS로 2번 wash하고, 0.1M EDTA (pH7.8) 용액을 각 well에 200μl씩 분주하고 충분한 pipetting을 통하여 세포 및 hydrogel을 부수었다. (hydrogel 내에 존재하는 췌장 세포를 꺼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용액을 각각 1.5ml tube에 회수하여 1800RPM에서 2분간 centrifugation하고, 상층액을 제거하고 pellet(췌장 세포)에 RIPA buffer 1ml씩 처리하였다. dsDNA assay를 통하여 각 well (Alginate-CTP-Chloroplast)에 존재했던 췌장 세포가 분비해낸 인슐린의 양을 보정하였다.
실시예 20. 빛(660nm) 조건 하의 농도별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 측정
20.1. Hypoxia Chamber를 이용한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의 빛(660nm)의 유무에 따른 농도별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1) 빛(660nm) 노출 그룹
(2) 빛(660nm) 미 노출 그룹
- 각 그룹별 농도 (n=6)
* 1) 내지 4)는 CIB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1) Control (CIB)
2) Chloroplast 1 * 106개/ml
3) Chloroplast 1 * 107개/ml
4) Chloroplast 1 * 108개/ml
* 5) 내지 6)은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켰다.
5) Control (Media)
6) Chloroplast 1 * 106개/ml
7) Chloroplast 1 * 107개/ml
8) Chloroplast 1 * 108개/ml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에 각 그룹에 맞는 농도별 chloroplast를 1ml씩 분주하고, 상기 plate를 하기와 같은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저산소 상태: 저산소 챔버 (hypoxia chamber) 실험 기구 (도 24 참조)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환경 구현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로 설정하였다. 빛 노출 그룹에만 해당하며, 빛 미 노출 그룹은 빛 없이 진행하였다. 이 후, 빛 유무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eading time : 30min). 이 때,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각 그룹에 대하여 Chloroplast농도에 따라 저산소 환경이 구현된 상태의 Chloroplast의 초기 산소 농도가 다르다는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Chloroplast의 농도에 생성되는 산소량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6a 참조). 또한, 빛(660nm)에 의한 영향은 108개/ml의 Chloroplast에서 Light에 노출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Light에 20시간동안 노출시킨 그룹이 유의미하게 산소 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5b 및 25c 참조).
20.2. 온도 조절형 Desiccator를 이용한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의 빛(660nm)의 유무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1) 빛(660nm) 노출 그룹 (Light)
(2) 빛(660nm) 미 노출 그룹 (No Light)
- 각 그룹별 농도 (n=24,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켰다.)
(1) Control (Media)
(2) Chloroplast 1 * 108개/ml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에 각 그룹에 맞는 농도별 chloroplast를 1ml씩 분주하였다. 상기 plate를 하기와 같은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 (도 26 참조)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구현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로 설정하였다. 이 때, 빛 노출 그룹에만 해당하며, 빛 미 노출 그룹은 빛 없이 진행하였다. 빛 유무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20시간 동안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eading time : 30min) 이 때,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Media(RPMI +1% PS, 10% FBS)에 대비하여 chloroplast(108개/ml)에서 산소 농도가 유의하게 높은 산소 농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7a 참조). 또한, 20시간 동안의 전체 산소 농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AUC), Chloroplast그룹에서 대조군 대비 약 48%더 높은 산소 농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27b 참조), 이를 1분당 산소 생성량으로 환산한다면 (전체 산소 생성량/1200min), 37℃에서 108개/ml chloroplast는 평균적으로 1분당 14.8mmHg에 해당하는 산소를 대조군에 비하여 더 많이 생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는 이는 대조군에 비하여 chloroplast가 산소를 생성시키는 효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1. chloroplast의 저산소 환경에서의 산소 생성량 측정
21.1. 온도 조건에 따른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의 온도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24)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Chloroplast의 농도는 1 * 108개/ml로 고정한다.
(1) 25℃
(2) 37℃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에 그룹에 맞게 온도를 미리 맞추어 준비한 chloroplast를 1ml씩 분주하였다. 상기 plate를 하기와 같은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환경 구현
온도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25℃ chloroplast가 시간에 따른 산소 농도 변화량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37℃ chloroplast에 비해 동일한 농도까지 도달하는 데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9a 참조). 또한, 20시간동안의 전체 산소 생성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AUC를 비교했을 때, 25℃ chloroplast가 37℃ chloroplast에 비하여 약 25% 정도 더 산소를 많이 생성하지만 이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이다.
또한, 각 그룹에서 초기 산소 농도에 비해 각 시간 별로(0, 5, 10, 20 시간) 산소 농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그래프로 비교하였을 때, 37℃ chloroplast 보다 25℃ chloroplast에서 감소한 정도가 더 낮을 것을 확인하였다 (도 29b 참조). 이는 25℃ 환경이 37℃ 환경보다 chloroplast의 photosynthetic activity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여, 이를 통해 더 결과적으로 산소를 더 많이 생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로 확인하였을 때, 주변 환경이 25℃로 주어졌을 때, Chloroplast가 최대로 산소를 생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islet in vitro: the effect of incubation temperature ; A Ilieva , S Yuan]을 참고하였을 때, 24℃에서 배양 된 췌장 세포는 12일간 배양했을 때, 그 형태를 잃어버렸으며, 약 40%의 정도의 세포가 사멸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4℃에서 인슐린 면역 활성은 점점 더 분포의 균질성이 감소했으며, 12일째에는 인슐린 면역 활성 영역이 췌장 세포 전체의 19±9%로 현저하게 감소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의해, 추후 실험에 사용되는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이 감소할 것을 고려하여, 이 후 실험은 37℃의 환경에서 진행하였다.
21.2. 빛 조건에 따른 산소 생성량 측정
21.2.1. 빛(660nm)의 세기(lux)에 따른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의 빛(660nm)의 세기(lux)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24)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Chloroplast의 농도는 1 * 108개/ml로 고정한다.
* 온도는 37℃로 고정한다.
(1) Light 1500lux
(2) Light 1000lux
(3) Light 500lux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에 1*108개/ml 농도의 chloroplast를 1ml씩 분주하였다. 상기 plate를 하기와 같은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구현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 10cm, 15cm로 설정하고, 빛의 세기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5cm, 10cm, 15cm에 따라 물질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는 1500lux, 1000lux, 500lux로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빛의 세기가 작을수록 초기 산소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20h 동안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0a 참조). 또한, 빛의 효과로 추정되는 1시간 동안 산소 농도가 20mmHg가 증가하는 것은 공통적인 양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빛의 세기에 따른 빛의 효과 즉,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에 차이가 생기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후 실험에서 빛의 세기가 아닌 빛의 노출 시간을 조정하여 실험하였다.
21.2.2. 빛(660nm)의 노출 시간에 따른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의 빛(660nm) 노출 시간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24)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Chloroplast의 농도는 1 * 108개/ml로 고정한다.
* 온도는 37℃로 고정한다.
* 빛의 세기(lux)는 500lux로 고정한다.
(1) 20시간
(2) 2시간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에 1*108개/ml 농도의 chloroplast를 1ml씩 분주하였다. 상기 plate를 하기와 같은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구현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15cm로 설정하고, 물질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를 500lux로 설정하였다. 빛의 노출 시간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수록 산소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 두 그룹의 차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도 30b 참조), 2시간 후 빛에 노출시키지 않는 그룹에서 20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노출시킨 그룹에 비해 최대 산소 농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0c 참조). 빛의 세기를 500lux로 고정하였을 때, 빛에 2시간 노출시킨 그룹에서 최대 산소 농도 80mmHg에서 약 100분 동안 지속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동일한 조건의 빛에 노출시키지 않은 그룹과 비교했을 때(도 30c), 2시간동안 빛에 노출시켰을 때, 빛에 노출시키지 않은 그룹 대비 최대 47%의 산소 생성량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Photoinhibition에 의한 결과로 추정되며, 지속적으로 chloroplast가 강한 빛에 노출되었을 때, 광합성이 일어나는 Photosystem II (광계 II)에서 활성 산소(ROS)를 생성하게 되면서 chloroplast의 산소 생성 능력이 감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반대로 chloroplast가 빛에 노출되었다가 노출되지 않았을 때, Reversible Photoinhibition이 일어나면서 산소 생성량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후 실험에서 chloroplast를 빛에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노출시켰을 때의 산소 생성량을 비교해 보았다.
21.2.3. 빛(660nm)의 노출 시간 간격에 따른 산소 생성량 측정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의 빛(660nm) 노출 시간 간격에 따른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24)
* Media (RPMI +10% FBS)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Chloroplast의 농도는 1 * 108개/ml로 고정한다.
* 온도는 37℃로 고정한다.
* 빛의 세기(lux)는 500lux로 고정한다.
(1) 30분 노출 * 3번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에 1*108개/ml 농도의 chloroplast를 1ml씩 분주하였다. 상기 plate를 하기와 같은 저산소 상태로 구현하였다.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구현
물질과 빛 사이의 거리는 15cm로 설정하고, 물질에 도달하는 빛의 세기는 500lux로 설정하였다. 이 후, 빛을 30분씩 3번 노출시키고, Chloroplast의 산소 생성량을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다.
chloroplast를 빛에 30분의 시간 간격을 두고 3번 노출시킨 후 20시간 동안 산소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빛에 노출시키지 않은 그룹보다 약 70-80mmHg로 높은 산소 농도에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도 30d 및 30e 참조). 빛에 노출시켰을 때 보다,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빛에 30분간 노출시킨 후)에서 약 76.8%로 산소 증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빛에 노출되는 상태에서는 chloroplast의 reversible photoinhibition으로 인하여 산소 증가 효과가 나타나지 않다가, 빛의 노출을 제거했을 때(dark condition) chloroplast의 손상이 회복되면서 빛의 자극에 의한 산소 생성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지속적으로 빛에 2시간 노출시켰을 때 보다 시간 간격을 두고 30분간 3번씩(총 90분)을 빛에 노출시켰을 때, chloroplast의 산소 생성이 최대 79.5%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빛에 노출시키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최대 47%의 산소 증가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이후 실험에서는 1000lux의 빛에 세기에 시간 간격을 두고 30분간 2번, 총 60분 동안 빛에 노출시켜 빛의 자극의 최대화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2.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제조
다음과 같이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을 제조하였다.
- 그룹 (n=5)
* CIB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
(1) Alginate 미세캡슐
(2) Alginate-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3) Alginate-CTP-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CIB에 희석시킨 chloroplast를 농도 (2.5* 109개/ml)로 준비하고, 1.5% Alginate 및 Alginate-CTP solution을 준비하였다. 3% Alginate solution과 3차 증류수를 1:1로 섞고, 1.75ml chloroplast 와 1.75ml 3%(w/v) Alginate solution을 넣고 섞은 후, 1.75ml chloroplast 와 1.75ml 3%(w/v) Alginate-CTP solution을 넣고 섞었다. 이후, Encapsulator을 이용하여 각 그룹별 미세캡슐을 제조하였다 (Nozzle size : 450μm, Frequency: 800Hz, Electrode : 500V, Flow rate : 15ml/min). 15분 동안 100mM CaCl2가 30ml이 들어 있는 gelation bath에 넣어 미세캡슐을 stirring하여 가교하였다 (stirring 속도 : 20rpm). 이 후, CaCl2 용액을 제거하고, media(RPMI + 10% FBS +1% PS) 10ml로 미세캡슐을 wash 하였다. 각 그룹별 500μl의 미세캡슐을 (약 500개)와 500μl media를 24 well plate의 1well에 담았다.
그 결과, 모든 그룹에서 미세캡슐이 잘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3.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의 분해도(degradation) 및 기계강도 (mechanical strength) 평가
다음과 같이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의 분해도(degradation) 및 기계강도 (mechanical strength)를 평가하였다.
- 그룹 (n=5)
* CIB를 이용해 희석시킨다.
*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
(1) Alginate 미세캡슐
(2) Alginate-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3) Alginate-CTP-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120시간 동안 24 well plate에서 incubation 시킨 각 그룹별 미세캡슐을 준비하였다. 육안으로 전체적인 미세캡슐의 모양 및 크기를 살펴보아 분해도를 확인하고, Rheometer를 통해 rheology를 측정하여 그룹별 미세캡슐의 강도를 확인하였다.
각 그룹별 분해도를 평가한 결과, 모든 그룹에서 120시간 지난 후에도 미세캡슐이 잘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미세 캡슐이 최소 5일까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5 참조).
또한, 각 그룹별 기계강도를 평가한 결과, Alginate-Chloroplast 그룹에서는 탄성 계수(Storage modulus, G’)은 6.40kPa, Alginate-CTP-Chloroplast 그룹에서는 9.80kPa로 확인되었다 (도 36 참조). CTP를 합성한 그룹에서 탄성 계수의 값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Alginate-CTP-Chloroplast 그룹에서 변형이 덜 발생하며, 단단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24.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의 산소 제어 능력 평가
다음과 같이,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의 산소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 그룹 (n=6, CIB를 이용해 희석시켰다.)
(1) Control (CIB)
(2) Chloroplast 1 * 106개/ml
(3) Chloroplast 1 * 107개/ml
(4) Chloroplast 1 * 108개/ml
(5) Control (Alginate 미세캡슐)
(6) Alginate-Chloroplast 1 * 106개/ml 미세캡슐
(7) Alginate-Chloroplast 1 * 107개/ml 미세캡슐
(8) Alginate-Chloroplast 1 * 108개/ml 미세캡슐
* (9) 내지 (11)의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9) Control (Alginate-CTP 미세캡슐)
(10) Alginate-CTP-Chloroplast 1 * 106개/ml 미세캡슐
(11) Alginate-CTP-Chloroplast 1 * 107개/ml 미세캡슐
(12) Alginate-CTP-Chloroplast 1 * 108개/ml 미세캡슐
각 그룹에 해당하는 농도별 chloroplast 용액, Alginate-Chloroplast 미세캡슐, Alginate-CTP-Chloroplast를 준비하였다. Oxygen plate reader well plate(24well)에 아래에 맞게 각 그룹을 넣어주고, 24 well plate를 48시간 동안 incubation을 진행하면서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산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이 때, 산소 센서는 SDR SensorDish (PreSens, Germany)를 이용하였다.
* 그룹 (1), (2), (3), (4): 농도별 chloroplast 용액 500μl+ media(RPMI) 500μl
* 그룹 (5), (6), (7), (8): 농도별 Alginate-Chloroplast 미세캡슐 500μl+ media(RPMI) 500μl
* 그룹 (9), (10), (11), (12): 농도별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500μl+ media(RPMI) 500μl
그 결과, 각 그룹 모두에서 Chloroplast의 농도가 높은 108개/ml 그룹에서 가장 높은 산소 생성률 확인하였으며, CTP가 합성된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산소 생성량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CTP가 산소 생성에 도움이 되는 효능을 가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7 참조). 또한 CIB에 희석시킨 chloroplast보다 Media(RPMI +10%FBS, 1%PS)에 희석시킨 Chloroplast에서 산소 생성량이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Encapsulator을 이용한 실험의 특성 상 Media(RPMI +10%FBS, 1%PS)를 사용하여 chloroplast를 희석시킬 경우 미세캡슐의 모양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이 후 실험에서는 CIB를 이용하여 chloroplast를 희석시켜 미세 캡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췌장 세포를 봉입한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제조
다음과 같이,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췌장 세포를 봉입하였다.
- 그룹 (n=6, CIB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Alginate 미세캡슐
(2) Alginate-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3) Alginate-CTP-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실험 동물(Rat)로부터 분리한 췌장 세포를 media (RPMI)로 wash 2회 진행하였다. CIB에 희석시킨 chloroplast를 2.5*109개/ml의 농도로 준비하고, 1.5% Alginate 및 Alginate-CTP solution을 준비하였다. 이 후, 3% Alginate solution과 3차 증류수를 1:1로 섞고, 1.75ml chloroplast 와 1.75ml 3%(w/v) Alginate solution을 넣고 섞은 다음, 1.75ml chloroplast 와 1.75ml 3%(w/v) Alginate-CTP solution을 넣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용액에 추출한 췌장 세포를 500IEQ씩 넣고 잘 섞어주었다. 이 후, Encapsulator을 이용하여 각 그룹별 미세캡슐을 제조하였다 (* Nozzle size : 450μm, * Frequency: 800Hz, Electrode : 500V, Flow rate : 15ml/min). 15분 동안 100mM CaCl2가 30ml이 들어 있는 gelation bath에 넣어 미세캡슐을 stirring하여 가교하였다 (stirring 속도 : 20rpm). 이 후, CaCl2 용액을 제거하고, media(RPMI +10% FBS +1% PS) 10ml로 미세캡슐을 wash하였다. 각 그룹별 500μl의 미세캡슐을 (약 500개)와 500μl media를 24 well plate의 1 well에 담았다.
그 후, 100mM의 CaCl₂용액 300μl에 넣어 반응시킨 후 각 그룹에 췌장 세포가 잘 봉입 되었는지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38 참조). 그 결과, 모든 그룹에서 미세캡슐에 봉입되지 않는 그룹을 제외한 그룹에서 미세캡슐 안에 췌장 세포가 잘 봉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6. 저산소 환경에서의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독성 평가
26.1. CCK-8 assay를 통한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6) Alginate-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24시간 동안 24 well plate에서 아래와 같이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incubation 시킨 그룹별 췌장 세포 및 췌장 세포를 봉입한 미세캡슐들을 준비하였다.
- 정상산소 상태: 일반적인 21% 산소 환경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 실험 기구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모든 췌장 세포 및 미세캡슐을 PBS로 2번 wash하고, media(RPMI) 1ml + CCK solution 100μl를 처리하고, 2시간 동안 호일에 감싸 incubation 후,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저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에서 장시간 저산소 환경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췌장 세포의 생존율(Cell Viability)이 정상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에 비하여 약 22%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39 참조). 이는 저산소 환경은 췌장 세포가 생존하기 적절한 환경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정산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보다 약 10% 감소하였으며,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소재가 췌장 세포의 생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hloroplast 미세캡슐을 Alginate 미세캡슐과 비교하였을 때, Alginate- Chloroplast 미세캡슐의 chloroplast가 세포를 생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산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과 Alginate-Chloroplast 미세캡슐을 비교하였을 때,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서 낮은 세포 생존율의 감소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chloroplast가 산소를 생산하는 것에 있어서 CTP의 효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CTP로 안정화된 chloroplast가 보다 더 기능적인 측면에 있어서 유리한 점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그룹별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세포 생존율이 정상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보다 낮지만,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내에 존재하는 췌장 세포의 metabolites(대사체) 혹은 ROS (활성산소)의 영향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이후 실험에서 이와 같은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catalase(CAT) 또는 superoxide dismutase(SOD)효소를 합성하여 실험하였다.
26.2. Live & Dead assay를 통한 독성 평가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6) Alginate-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24시간 동안 24 well plate에서 하기와 같은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incubation 시킨 그룹별 췌장 세포 및 췌장 세포를 봉입한 미세캡슐들을 준비하였다.
- 정상산소 상태: 일반적인 21% 산소 환경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 실험 기구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모든 췌장 세포 및 미세캡슐을 PBS로 2번 wash하고, 5μM Calcein-AM와 20μM Ethidium homodimer-1 (EthD-1)로 만든 시약을 각 well에 1ml씩 처리하고, 40분 동안 incubation을 진행하였다. 이 때, 그룹 (3), (4)는 15분간 진행하였다. 이 후,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green 형광)와 죽은 세포(red 형광)를 확인한 후,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결과, 저산소 환경의 다른 그룹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Alginate-CTP- Chloroplast 미세캡슐 그룹에서 Green signal이 강하게 나타나며, Green과 Red를 합친 결과 Yellow signal이 가장 약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0 참조). 이는 상기 CCK-8 Assay 결과와 동일하게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이 췌장 세포가 생존하기에 적절한 환경임을 의미한다.
실시예 27. 저산소 환경에서의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기능성 확인
27.1.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GSIS) assay를 통한 기능성 확인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 기능을 확인하였다.
재료는 (1) Low glucose (2.8mM, Krebs Ringer buffered HEPES (pH 7.4)로 희석) 및 (2) High glucose (20.2mM, Krebs Ringer buffered HEPES (pH 7.4)로 희석)를 이용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6) Alginate-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24시간 동안 24 well plate에서 아래와 같은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incubation 시킨 그룹별 췌장 세포 및 췌장 세포를 봉입한 미세캡슐들을 준비하였다.
- 정상산소 상태: 일반적인 21% 산소 환경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 실험 기구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모든 췌장 세포 및 미세캡슐을 PBS로 2번 wash하고, low glucose (2.8mM)를 각 well에 1ml씩 분주하고 30분 incubation하였다. Low glucose (2.8mM)를 다시 각 well에 1ml씩 분주하고 2시간 incubation하고, 존재하는 low glucose 용액을 회수하였다. 이후, High glucose (20.2mM)를 각 well에 1ml씩 분주하고 2시간 incubation하고, 존재하는 high glucose 용액을 회수하였다. Insulin enzyme-linked immunosorbent (ELISA) assay를 이용해 회수한 low glucose, high glucose 용액을 바탕으로 인슐린 양을 측정 및 계산하였다.
그 결과, 정상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와 저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를 비교한 결과 주변 환경으로 인해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이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저산소 환경은 췌장 세포가 생존하기 적절한 환경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저포도당 및 고포도당 농도에서 모두 정상산소의 췌장 세포와 유사한 수준의 인슐린을 분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소재는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 능력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저산소 환경 실험 군 중에서 가장 정상산소의 췌장 세포와 비슷한 수준의 인슐린 분비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소재가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능을 가장 잘 유지시켜 줄 수 있음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Alginate-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에 비해 glycemic control function이 유의하게 높으며,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는 Alginate- 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에 비해 glycemic control function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가 저산소 환경의 각 그룹 중에서 인슐린 분비 능력이 가장 높으며,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소재가 저산소 환경으로부터 췌장 세포의 생존율 증진 가능성과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의 인슐린 분비량이 정상산소 환경의 췌장 세포보다 낮지만, 이는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 내에 존재하는 췌장 세포의 metabolites(대사체) 혹은 ROS (활성산소)의 영향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이후 실험에서 이와 같은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catalase(CAT) 또는 superoxide dismutase(SOD)효소를 합성하여 실험하였다.
27.2. dsDNA assay를 통한 기능성 확인
다음과 같이 저산소 환경에서 Alginate-CTP-Chloroplast 미세캡슐에 봉입된 췌장 세포에서 분비된 인슐린 양을 췌장 세포의 크기로 보정하였다.
- 그룹 (n=5, CIB를 이용해 희석시키고, 합성 비율은 alginate : peptide = 1: 1 molar ratio로 고정하였다.)
(1) Control 1 (RPMI media): 정상산소 환경
(2) Control 2 (RPMI media): 저산소 환경
(3) 췌장 세포: 정상산소 환경
(4) 췌장 세포: 저산소 환경
(5) Alginate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6) Alginate-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7) Alginate-CTP-Chloroplast (2.5* 109개/ml) 미세캡슐: 저산소 환경
24시간 동안 24 well plate에서 아래와 같은 정상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incubation 시킨 그룹별 췌장 세포 및 췌장 세포를 봉입한 미세캡슐들을 준비하였다.
- 정상산소 상태: 일반적인 21% 산소 환경
- 저산소 상태: 온도 조절형 Desiccator 실험 기구에 혼합 가스 (94% N2+5% CO2+ 1% O2)를 주입해 1% 산소, 37℃ 환경
모든 췌장 세포 및 미세캡슐을 PBS로 2번 wash하고, 0.1M EDTA (pH7.8) 용액을 각 well에 1ml씩 분주하고 충분한 pipetting을 통하여 췌장 세포 및 미세캡슐을 부수었다 (미세캡슐 내에 존재하는 췌장 세포를 꺼내기 위하여 실시). 상기 부숴진 췌장 세포 및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용액을 각각 1.5ml tube에 회수하여 1800RPM에서 2분간 centrifugation하고, 상층액을 제거하고 pellet(췌장 세포)에 RIPA buffer 1ml씩 처리하였다. dsDNA assay를 통하여 각 well (Alginate-CTP-Chloroplast)에 존재했던 췌장 세포가 분비해낸 인슐린의 양을 보정하였다.
실시예 28. 형광 이미지를 이용한 chloroplast 외막과 CTP(VILGLGLAGI)-FITC 결합 확인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CTP(MFAFQYLLVM) 외에도 CTP(VILGLGLAGI)-FITC도 chloroplast의 외막에 anchoring 될 수 있는지 형광으로 확인하였다. 실험 과정 동안 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1*10개/ml chloroplast (control) 500μl, 1*10/ml chloroplast+CTP-FITC 500μl 준비하였다 (CTP-FITC는 합성 업체인 Peptron에 합성 의뢰하여 얻었다). 1*10개/ml chloroplast+CTP-FITC에서 CTP-FITC는 0.6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10개/ml chloroplast/ml (in CIB)에서 500μl를 취하고, CTP 10mg/ml (in DMSO)에서 30μl를 취해서 넣으면 최종 농도를 0.6mg/ml이 만들었다. 이 후, 1, 5, 10, 30, 60분마다 100μl씩 따서 고정하고, 시간별로 반응시킨 용액을 13500RPM에서 1분간 centrifugation하였다. Pellet을 얻어 2.5% glutaraldehyde (0.05M SCB) 고정액에 고정하고 (500μl, 15분), 미 반응의 CTP-FITC를 제거하기 위해 PBS로 2번 wash 진행하였다. 이후, CIB buffer로 500μl를 채운 뒤, 슬라이드 글래스/커버글래스를 이용하여 mounting하였다. Confocal microscope를 이용하여 형광사진을 촬영하고, 두께는 1μm 정도로 section하였 (green 형광 (FITC) = 488nm, red 형광 (chloroplast auto 형광) = 580nm).
그 결과, 5분 이상의 반응시간부터 CTP(V-)가 chloroplast의 outer membrane에 anchoring 되어 충분히 코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뿐만 아니라 inner membrane까지 anchoring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TP(V-)가 Chloroplast를 안정적으로 감싸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3 참조).
실시예 29. Alginate-CTP(VILGLGLAGI) conjugation
29.1. Alginate-CTP(VILGLGLAGI) 합성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Alginate의 carboxylate(-COOH) 그룹과 CTP(V-)의 Primary amine(-NH2)을 합성시켰다. 이 때, CTP(MFAFQYLLVM)가 아닌 CTP(VILGLGLAGI)를 이용하였다. Carbodiimide coupling reaction을 이용하였으며, Alginate의 carboxylate(-COOH) 그룹과 CTP(V-)의 primary amine으로 amide bond를 형성하여 접합체를 만들었다. carbodiimide coupling reaction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EDC/NHS를 이용하였다 (도 44 참조).
0.1M MES buffer (+0.5M NaCl) 10ml 제조 후, pH를 6으로 맞추었다. 제조된 MES buffer 10ml에 0.088mM의 sodium alginate(10mg/ml)를 녹였다. 이 때, 잘 풀어지도록 뭉치지 않게 넣어주었다. 상기 Solution이 충분히 녹으면 2mM에 해당하는 4mg/10ml의 EDC(191.7 M.W)를 녹였다. 이후, 6mg/10ml의 NHS(5mM)를 넣고 RT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PBS나 sodium bicarbonate (NaHCO3, 탄산수소나트륨)를 이용하여 pH7로 적정하였다. 1%의 DMSO에 녹인 peptide(10mg/ml, peptide는 합성 업체인 peptron에 의뢰하여 합성)를 molar ratio(1:1.9, 1:3.8, 1:19)에 해당하는 양만큼 상기 용액에 넣고, RT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6,000 내지 8,000 MWCO(molecular weight cut-off) dialysis membrane을 이용하여 3일간 dialysis를 진행하였다. 이 후, Deep freezer에 얼리고, 동결 건조하여 powder형태의 Alginate- CTP(VILGLGLAGI) 합성물을 얻었다 (도 45 참조). Sodium alginate는 1M에 carboxylate 그룹(-COOH)이 648M이 존재하는 고분자이다. 1분자의 alginate에 존재하는 carboxylate 그룹(-COOH)이 많기 때문에 기존 Chloroplast-transit-peptide(CTP(V-))을 합성할 ‹š 적용했던 비율에 비해 Sodium alginate 농도를 줄이고, Peptide 농도는 동일 10mg/ml로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29.2. Alginate-CTP(VILGLGLAGI) conjugation 확인
29.2.1. FT-IR을 통한 확인
Alginate와 Peptide의 비율이 1:19의 비율을 가지고 있는 접합체는 alginate (0.1mg/ml)가 가장 적게 들어갔기 때문에 peptide의 특성이 잘 나타났다 (도 46 참조). Alginate와 Peptide가 합성되면, 새로운 EDC/NHS반응에 의하여 새로운 Amide 결합이 생성되었다. Amine그룹은 여러 peak를 가지게 되는데, 그 중 peptide에도 Amide A, B 결합(NH stretch)을 가지는 primary amine peak를 가지기 때문에, 합성물의 새로운 Amide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서 Amide II (C-N)결합의 peak(1480-1575cm-1) 이 존재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1:19와 peptide에서 Amide II (C-N)결합이 나타났으며, Peptide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잘 보이는 것일 수 있으나, 해당 구역에서 peak의 세기를 비교해보았을 때 1:19 접합체에서 더 강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9.2.2. 1 H-NMR 을 통한 확인
Alginate와 Peptide의 비율이 1:19의 비율을 가지고 있는 접합체는 alginate (0.1mg/ml)가 가장 적게 들어갔기 때문에 peptide의 특성이 잘 나타난다. Alginate와 Peptide가 합성되면, 새로운 EDC/NHS반응에 의하여 새로운 Amide 결합이 생성되어야 한다. 2.2ppm은 Peptide에서 주로 나타나는 peak로, Primary amine (N-terminal)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peak이다. 상대적으로 결합 비율에 의해서 peptide 양이 늘어날수록 peak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도 47 참조). 즉, 2.2ppm에서의 peak가 늘어갈 수록 상대적으로 Peptide의 특성이 잘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Amide 결합으로 인하여 Peptide에 본래 존재하던 Primary amine으로 인하여 peak가 강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2ppm은 Alginate, Peptide 모두 나타나지 않는 peak로, Peptide 농도가 높아질 수록 peak가 강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TIR 결과와 비교했을 때, amide bond II (C-N)가 3.2ppm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Peptide의 primary amine에 alginate carboxylate 그룹(-COOH)이 결합하면서 secondary amine으로 변화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120> Spontaneous respiration biomaterials for tissue engineering <130> PD21-074-P1 <150> KR 10-2021-0035982 <151> 2021-03-19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s derived from OEP34/TOC34 outer membrane protein <400> 1 Met Phe Ala Phe Gln Tyr Leu Leu Val Met 1 5 10 <210> 2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s derived from OEP64/TOC64 outer membrane protein <400> 2 Val Ile Leu Gly Leu Gly Leu Ala Gly Ile 1 5 10 <210> 3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EP34 protein transmembrane domain <400> 3 Leu Ile Pro Leu Met Phe Ala Phe Gln Tyr Leu Leu Val Met Lys Pro 1 5 10 15 Leu Val <210> 4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EP64 protein transmembrane domain <400> 4 Ala Ser Pro Ser Ser Gln Ile Trp Val Ile Leu Gly Leu Gly Leu Ala 1 5 10 15 Gly Ile Tyr Val Leu 20

Claims (25)

  1. 엽록체 (chloroplast) 및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를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TP는 엽록체 외막에 결합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TP는 엽록체 외막 단백질에서 유래된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엽록체 외막 단백질은 외막 단백질 34 (Outer envelope protein 34, OEP34) 또는 외막 단백질 (Outer envelope protein 64, OEP64)인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TP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TP는 엽록체의 산소 발생을 증가시키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알기네이트 (alginate)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CTP 말단과 알기네이트 말단이 결합되어 겔화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췌장 세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광조사시 산소를 생성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는 산소 농도가 101/ml 내지 1010/ml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는 10분 내지 50분의 간격을 두고, 10분 내지 50분 동안 1 내지 5회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엽록체를 101/ml 내지 1010/ml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상기 췌장 세포가 분비한 인슐린을 포함하는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기 위한 것인, 하이드로겔 조성물.
  17.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세캡슐 (Microcapsule).
  18.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9.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20. 알기네이트 (Alginate) 및 엽록체 전달 펩타이드 (Chloroplast Transit Peptide, CTP)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합된 알기네이트-CTP 합성물을 개체로부터 분리된 엽록체와 혼합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겔화된 하이드로겔 내부에 췌장 세포를 봉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제조 방법.
  22.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광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산소 농도가 101/ml 내지 1010/ml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20℃ 내지 4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광조사하는 단계는 10분 내지 50분의 간격을 두고, 10분 내지 50분 동안 1 내지 5회에 걸쳐 이루어지는 것인, 세포 또는 조직에 산소를 전달하는 방법.
KR1020220034080A 2021-03-19 2022-03-18 조직 공학용 자발 호흡성 바이오소재 KR20220131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982 2021-03-19
KR20210035982 2021-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197A true KR20220131197A (ko) 2022-09-27

Family

ID=8332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080A KR20220131197A (ko) 2021-03-19 2022-03-18 조직 공학용 자발 호흡성 바이오소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48871A1 (ko)
KR (1) KR20220131197A (ko)
WO (1) WO2022197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85530B (zh) * 2023-05-05 2024-02-02 暨南大学 一种高效产氧的叶绿体复合水凝胶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9958A1 (en) 2010-03-22 2011-11-30 Technische Universität Klinikum Rechts der Isar Use of photosynthetic scaffolds in tissue engineer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339B1 (ko) * 2017-05-08 2019-01-1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알기네이트 미세캡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리 활성물질의 운반용 조성물
KR102066777B1 (ko) * 2017-12-19 2020-01-1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주입형 산소 방출 하이드로젤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생의학적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9958A1 (en) 2010-03-22 2011-11-30 Technische Universität Klinikum Rechts der Isar Use of photosynthetic scaffolds in tissue engine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48871A1 (en) 2024-05-09
WO2022197154A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ramura et al. Islet-encapsulation in ultra-thin layer-by-layer membranes of poly (vinyl alcohol) anchored to poly (ethylene glycol)–lipids in the cell membrane
AU2019200810B2 (en) Modified alginates for anti-fibrotic materials and applications
Su et al. Anti-inflammatory peptide-functionalized hydrogels for insulin-secreting cell encapsulation
Lai et al. Doxorubicin delivery by polyamidoamine dendrimer conjugation and photochemical internalization for cancer therapy
ES2353116T3 (es) Composiciones para disoluciones de quitosano citocompatibles, inyectables, autogelificantes para encapsular y administrar células vivas o factores biológicamente activos.
US9446142B2 (en) Polymer chelator conjugates
Yavvari et al. Emerging biomedical applications of polyaspartic acid-derived biodegradable polyelectrolytes and polyelectrolyte complexes
CN107753421A (zh) 一种抗生物粘附聚电解质水凝胶及制备方法及应用
US9561254B2 (en) Co-encapsulation of live cells with oxygen-generating particles
JP2013544248A (ja) 生体機能化刺激応答性可溶性pegハイドロゲル
US20200277449A1 (en) Injectable hybrid alginate hydrogels and uses thereof
CN113599504B (zh) 一种无载体蛋白质胞内递送前药及其制备方法与应用
Tia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lactosylated alginate–chitosan oligomer microcapsule for hepatocytes microencapsulation
KR20220131197A (ko) 조직 공학용 자발 호흡성 바이오소재
KR102279429B1 (ko) 멀티 암 표적 항암 콘쥬게이트
CN114767655A (zh) 一种两性离子功能化的生物可降解口服纳米载药系统及应用
CN112312897B (zh) 用于细胞包膜的藻酸盐微胶囊及其制备方法
US8841408B2 (en) Macromonomers and hydrogel systems using native chemical ligation, and their methods of preparation
KR100675459B1 (ko) 다관능 생체적합 친수성 젤 및 그 제조방법
Chae et al. Effect of cross-linked hemoglobin on functionality and viability of microencapsulated pancreatic islets
JP2023541403A (ja) ビオチンをミトコンドリアに送達するための方法及び組成物
KR101761092B1 (ko) 췌도 세포 이식용 조성물
WO2022206451A1 (zh) 靶向-共装载亲/疏水药物的铁蛋白笼纳米载体及其应用
Yang et al. Bioempowerment of Therapeutic Living Cells by Single‐Cell Surface Engineering
US20200138711A1 (en) Injectable hydrogels and uses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