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0319A -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0319A
KR20220130319A KR1020210035016A KR20210035016A KR20220130319A KR 20220130319 A KR20220130319 A KR 20220130319A KR 1020210035016 A KR1020210035016 A KR 1020210035016A KR 20210035016 A KR20210035016 A KR 20210035016A KR 20220130319 A KR20220130319 A KR 2022013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rculosis
ala
group
latent
ar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742B1 (ko
Inventor
이성경
정재인
정현지
임나라
김성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질병관리청장)
Priority to KR102021003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7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Mycobacteriaceae (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01N33/56933Mycoplasm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13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 G01N2030/8831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biological materials involving peptides or prote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 G01N2333/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Mycobacteriaceae (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6Infectious diseases, e.g. generalised sep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Vir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항원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한국형 결핵 균주(M. tuberculosis K strain)으로부터 선별된 K3 항원으로 잠복 결핵군 환자에서 분리한 말초혈액단핵세포를 자극하였을 때,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결핵 감염군(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잠복 결핵군에서 활동성 결핵군에 비해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여 결핵을 진단하기 위한 용도 뿐만 아니라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분하여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Recombinant antigen protein for diagnosing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이 하기도에 감염되어 만성감염을 일으키는 호흡기 질환이다. 우리나라는 국가적 차원의 결핵 관리로 결핵 발생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새로운 환자의 발생은 28,000명까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OECD 가입국에서 가장 높은 발병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Global Tuberculosis Report 2017, WHO; Kim et al., 2015).
결핵균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최초 감염 시, 면역계에 의해 사멸하거나, 증식 후 발병(primary tuberculosis)되거나, 육아종 내에서 잠복(latent tuberculosis) 상태로 머물러 있다가 위험인자에 의해 재활성화(reactivated tuberculosis)되는 생리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결핵균이 감염된 사람 중 5% 정도는 2년 내 발병하고 5 내지 10%는 장기 잠복상태를 유지하다가 위험 인자 등에 의해 결핵균이 증식하면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잠복 결핵(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은 배균이 되지 않아 전파가 되지 않지만 균이 어떤 이유로 인해 재활성화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결핵 발병 고위험군이 될 수 있다. 잠복 결핵은 임상증상이 없고 흉부 X-선 음성이며, 도말검사, PCR 검사 등 결핵실험실 진단법으로 확인할 수 없다.
결핵균은 세포 내 감염 박테리아(intracellular bacterium)로서 세포 매개 면역(T-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및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γ, IFN-γ)와 관련성이 높다. 따라서, 결핵균 항원을 감지한 T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인터페론 감마와 같은 면역 물질 검출을 이용한 면역 진단법이 잠복 결핵 진단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잠복결핵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Tuberculin skin test(TST, 투베르쿨린 항원을 이용한 지연형 피부과민반응검사) 또는 체외진단법인 결핵균 유래 항원 자극 인터페론 분비능 검사(IFN-γ releasing assay, IGRA)이다. IGRA법은 채혈 후 전혈 혹은 말초혈액단핵구를 결핵균 특이 항원인 ESAT-6 및 CFP-10 (혹은 TB7.7까지 포함)으로 자극하여 반응하는 효과기 기억 T-세포(effector memory T-cell)가 분비하는 인터페론 감마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결핵감염력을 판단하는 방법이다.
TST는 잠복결핵감염을 탐지할 수 있지만 BCG 예방주사를 접종한 경우나 NTM (nontuberculous mycobacteria) 질병을 구별하지 못하며, 잠복결핵감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검사, 객담, 배양검사와 같은 추가적 검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현재는 5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IGRA법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IGRA 검사 역시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을 구별하여 진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의 구분 진단이 어려우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잠복결핵 양성자는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전연령에서 3개월 이상의 항결핵약제의 복용을 권고하고 있어 약물치료에 대한 부담이 매우 높다.
결핵균 잠복감염의 메커니즘은 복잡하고 불분명하여 단일 요소로는 정의할 수 없어, IGRA법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결핵균 특이 항원인 ESAT-6, CFP-10 외에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항원과 인터페론 감마 외에 잠복 결핵 진단의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면역분비물질의 탐색이 필요하다.
잠복 결핵을 진단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잠복 결핵감염 및 활동성 결핵감염의 진단을 위한 항원 펩타이드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65849 및 인터페론 감마 방출 분석과 함께 사용되는 활동성 결핵과 잠복성 결핵을 구별하는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에 관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39894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원발명의 항원 단백질을 이용한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을 구분 진단하기 위한 방법은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한국형 결핵균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K (Mycobacterium tuberculosis K strain)의 막 단백질인 AIB48604를 이용하여 정상 대조군, 잠복 결핵 환자군, 활동성 결핵 환자군의 말초혈액단핵구를 신규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로 자극하였을 때, 잠복 결핵 환자군에서 IFN-γ 및 G-CSF, GM-CSF,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MIP-1α, TGF-α, TNF-β의 발현이 정상 대조군 및 활동성 결핵 환자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 및 정상 대조군과 구분하여 진단하기 위한 신규한 항원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을 피검자의 분리된 시료 또는 정상 대조군의 분리된 시료와 접촉하는 단계;
2) 상기 피검자의 분리된 시료에서 사이토카인 분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측정 결과 피검자의 시료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 수준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우 결핵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핵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결핵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항원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한국형 결핵 균주(M. tuberculosis K strain)으로부터 선별된 K3 항원으로 잠복 결핵군 환자에서 분리한 말초혈액단핵세포를 자극하였을 때,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결핵 감염군(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잠복 결핵군에서 활동성 결핵군에 비해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여 결핵을 진단하기 위한 용도 뿐만 아니라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분하여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37℃에서 0.1mM IPTG를 넣고 4시간 동안 유도 과정을 통해 K3, K6, K12 재조합 단백질의 발현이 유도된 것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양성 대조군(PHA) 및 비교 항원(PPD)으로 정상 대조군(Healthy Control, HC), 잠복 결핵군(LTBI) 및 활동성 결핵군(active Tuberculosis, aTB)에서 채취한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를 자극하였을 때,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을 ELISA로 측정한 것으로, 기존 결핵 진단을 위한 항원인 PPD는 정상 대조군과 잠복 결핵군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분하여 진단할 수 없음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비교 항원(PPD) 및 6종의 후보 항원(K3, K6, K12, K4, K10, K11)으로 잠복 결핵군(LTBI)에서 채취한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를 자극하였을 때, 잠복 결핵군(LTBI)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을 ELISA로 측정한 도이다.
도 4는 비교 항원(PPD) 및 6종의 후보 항원(K3, K6, K12, K4, K10, K11)으로 활동성 결핵군(active Tuberculosis, aTB)에서 채취한 말초혈액단핵세포(PBMC)를 자극하였을 때, 활동성 결핵군(aTB)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을 ELISA로 측정한 도이다.
도 5는 PBMC를 자극하지 않은 경우(Blank) 및 양성 대조군인 PHA로 PBMC를 자극한 경우(PHA)에서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수의 비율(spot forming cell, SFC)을 측정한 것으로, ELISPOT법으로 비자극 세포의 인터페론 감마의 기저 분비 수준 및 PHA 자극 후 인터페론 감마 분비를 측정하여 활성여부를 확인한 도이다.
도 6은 K3 및 K13의 재조합 단백질 항원 및 펩타이드의 PBMC 자극에 대하여 잠복 결핵군(LTBI)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한 도이다.
도 7은 기존의 결핵 진단 항원인 ESAT-6 및 CFP-10로 PBMC를 자극한 경우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수의 비율(spot forming cell, SFC)을 측정한 것으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결핵을 진단할 수 있으나, 잠복 결핵군과 활동성 결핵군 간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는 없음을 확인한 도이다.
도 8은 K3 항원으로 PBMC를 자극한 경우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수의 비율(spot forming cell, SFC)을 측정한 것으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결핵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복 결핵군과 활동성 결핵군 간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어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한 도이다.
도 9는 K13 항원 및 K13 펩타이드로 PBMC를 자극한 경우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수의 비율(spot forming cell, SFC)을 측정한 것으로,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아, 결핵을 진단할 수 없음을 확인한 도이다.
도 10은 K3 재조합 항원 및 비교 항원인 ESAT-6 및 CFP-10에서 항원에 의해 비자극된 PBMC 세포 수에 대한 항원에 의해 자극되어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수를 산출한 값인 stimulation index(SI) 값을 측정한 것으로, K3은 활동성 결핵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에서 SI 값이 높아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한 도이다.
도 11은 정상 대조군(Healthy control, HC), 잠복 결핵군(Latent TB infection, LTBI) 및 활동성 결핵군(Active TB, aTB)에서 추출한 PBMC를 시험 항원 또는 비교 항원으로 자극하고, G-CSF, GM-CSF, IFN-γ, IL-1α, IL-1β, IL-1RA 사이토카인의 분비 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잠복 결핵군과 활동성 결핵군 간 유의미한 분비 수준 차이를 보여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2는 정상 대조군(Healthy control, HC), 잠복 결핵군(Latent TB infection, LTBI) 및 활동성 결핵군(Active TB, aTB)에서 추출한 PBMC를 시험 항원 또는 비교 항원으로 자극하고, IL-6, IL-8, MIP-1α, TGF-α, TNF-β 사이토카인의 분비 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잠복 결핵군과 활동성 결핵군 간 유의미한 분비 수준 차이를 보여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한 도이다.
도 13은 정상 대조군(Healthy control, HC), 잠복 결핵군(Latent TB infection, LTBI) 및 활동성 결핵군(Active TB, aTB)에서 추출한 PBMC를 시험 항원 또는 비교 항원으로 자극하고, 분비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분석한 표로, 11종의 사이토카인(G-CSF, GM-CSF,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MIP-1α, TGF-α, TNF-β)이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결핵은 잠복 결핵(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또는 활동성 결핵(active tuberculosis, aTB) 이다.
잠복 결핵(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은 결핵균에 감염은 되었으나 임상적으로 결핵 증상이 없는 감염자로, 결핵 세균학적, 방사선 검사 등의 결핵검사에서 음성이며 타인에게 전파를 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활동성 결핵은 결핵을 유발할 수 있는 결핵균이 잠복기가 아닌 활발한 증식을 일으키는 상태로, 객담검사(도말검사, 배양검사, 핵산증폭검사(PCR))등에서 양성이 나올 수 있거나, 영상의학 검사(흉부엑스선검사 또는 CT 등) 상 활동성 병변이 관찰된 결핵을 의미하며 재발성 결핵을 포함한다.
재발성 결핵은 이전에 결핵을 앓았던 사람이 치료 후 다시 결핵에 걸리는 경우를 의미하며 약제내성으로 인해 재발하는 경우와 환자가 임의대로 투약을 중단하여 재발하는 경우 모두를 포함한다. 즉, 현재 결핵 진단을 받았지만 이전에 한번 이상 결핵 발병력이 있는 결핵환자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분리되는 결핵균주의 77%는 베이징 패밀리(Beijing family)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Park YK, et al. J. Microbiol. Methods 63:165-172, 2005), 중고등학교에서 집단으로 발생하는 결핵균들의 제한효소 절편 다형(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프로파일을 조사한 결과 약 18.4%에서 독특한 균주 집단이 발견되어 이를 K-균주로 명명하고 유사한 균주들을 K-패밀리로 명명하였다(Kim SJ, et al. Int. J. Tuberc. Lung Dis.5:824-830, 2001). 국립마산결핵병원에 입원한 다제내성 재발환자에서 분리한 결핵 균주는 약 46%가 K-패밀리에 속하는 균주들이다.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한국형 결핵균주(K-strain) 유래이다.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결핵균의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로 항원성을 가진다.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IFN-γ) 분비를 자극할 수 있고, 특히 잠복 결핵 환자에서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IFN-γ) 분비를 유의하게 자극할 수 있다.
인터페론 감마(IFN-γ)는 인터페론 분자종의 하나로서 인터페론α 또는 β와는 상동성이 없어 Ⅱ형 인터페론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T 림프구의 분열촉진제 혹은 특이항원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사이토카인 반응 즉,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IL-1α, IL-1β, IL-1RA, IL-6, IL-8,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α), TGF-α 및 TNF-β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도하여 잠복 결핵 또는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다.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는 콜로니 자극 인자 3으로 불리고, 골수를 자극하여 과립구와 줄기 세포를 생성하여 혈류로 방출하는 당 단백질로서, 사이토카인 및 호르몬으로 기능한다.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는 백혈구의 성장인자로 기능하고, 줄기세포가 과립구(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과 단핵구를 생산하도록 자극하며 대식세포의 수를 급격히 늘려 감염반응과 대항할 수 있도록 하므로 면역/감염반응에서 나타나는 사이토카인의 일종이다.
IL-1α(Interleukin-1α)는 헤마토포이에틴 1로도 알려져 있고 인간에서 IL1α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인터루킨 1 패밀리의 사이토카인이다. 일반적으로, IL-1α는 염증 및 발열 및 패혈증의 촉진을 담당한다.
IL-1β(Interleukin-1β)는 인간에서 IL1β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인터루킨 1 패밀리의 사이토카인이다.
IL-1RA(Interleukin-1receptor antagonist)은 인터루킨 1 (IL-1)에 결합하는 동일한 수용체인 세포 표면 인터루킨-1 수용체 (IL-1R)에 결합하여 IL-1이 해당 세포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제이다.
IL-6(Interleukin-6)은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동시에 항 염증성 마이오카인이다.
IL-8(Interleukin-8)은 대식세포 및 상피 세포, 기도 평활근 세포 및 내피 세포와 같은 세포 유형에 의해 생산된 케모카인이다.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α)은 화학주성 사이토카인 패밀리에 속하는 케모카인이다.
TGF-α는 표피 성장 인자 패밀리의 구성원으로서, 유사 분열성 폴리펩티드이다. 세포 신호 전달을 위한 단백질 키나제 활성이 있는 수용체에 결합할 때 활성화된다.
TNF-α(tumor necrosis factor-alpha)는 염증반응에 포함되고 급성기 반응(acute-phase protein)의 구성원인 사이토카인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을 피검자의 분리된 시료 또는 정상 대조군의 분리된 시료와 접촉하는 단계;
2) 상기 피검자의 분리된 시료에서 사이토카인 분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측정 결과 피검자의 시료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 수준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우 결핵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결핵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시료는 전혈, 혈청, 혈장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정상 대조군은 임상적으로 결핵증상이 없고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활동성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IGRA (QuantiFERON-TB Gold In-Tube; QFT-IT) 검사에서 음성을 보인 사람 또는 그 유래의 시료이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에 따른 마커 IFN-γ, G-CSF, GM-CSF,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MIP-1α, TGF-α, TNF-β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을 항원으로 하는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 또는 면역반응에 기초한 방법이 사용되며,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방사상 면역확산 (Radial Immunodiffusion), 면역전기영동 또는 역전류 전기영동을 포함하는 면역 침전분석, RIA (Radioimmunoassay), FACS 또는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보 제공 방법에는 ELISA 방법이 사용되며, 이 경우 상기 사이토카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캡처항체 및/또는 검출항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마커의 검출에 사용되는 캡처 항체는 상기 사이토카인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로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각적 또는 다양한 이미지 검출 장비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는 물질로 표지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본원에 기재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검출 항체는 인간 IgG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검출항체는 시각적 또는 다양한 이미지 검출 장비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는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표지물질로서 호스라디쉬 퍼옥시다아제(horseradish peroxidase)와 같은 퍼옥시다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alkaline phosphatase), 글루코오스 옥시다아제(glucose oxidase), 베타-갈락토시다아제(beta-galactosidase), 유레아제(urease), 카탈라아제(catalase), 아스파르기나아제(asparginase), 리보뉴클레아제(ribonuclease), 말레이트 디하이드로지나아제(malate dehydrogenase), 스타필로코칼 뉴클레아제(staphylococcal nuclease), 트리오스 포스페이트 이소머라아제(triose phospate isomerase), 글루코오스-6-포스페이트 데하이드로지나아제(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 그리고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아제(acetylcholine esterase)와 같이 특정 기질(substrate)의 존재하에서 화학반응을 촉매하여 검출가능한 발색반응 또는 광을 방출할 수 있는 효소로 표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표지물질은 광의 조사에 의해 조사된 광과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바이로루미네슨스, 케미루미네슨스, 일렉트로루미네슨스, 일렉트로케미루미네슨스 및 포토루미네슨에 사용되는 발색단. 예를 들면 단백질로서 그린형광단백질; 유기화합물로서 플루오르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fluorescein isothiocyanate), 로다민(rhodamine), 파이코에리쓰린(phycoerythrin), 파이코시아닌(phycocyanin), 알로파이코시아닌(allophycocyanin), 그리고 플루오르카민(fluorecamine)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따른 검출항체 및/또는 캡처항체는 예를 들면 발색단;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바이오틴, 베타-갈락토시다제 또는 퍼옥시다제를 포함하는 효소; 방사선물질; 또는 콜로이드성 금입자 또는 착색 라텍스입자 등과 같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물질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결핵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ELISA 또는 FACS 분석용이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IL-1α, IL-1β, IL-1RA, IL-6, IL-8,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α), TGF-α 및 TNF-β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도하여 잠복 결핵 또는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다.
상기 키트에서 캡처항체는 96 마이크로웰 플레이트와 같은 마이크로 웰플레이트, 콜로이드성 금입자 또는 착색 라텍스 입자를 포함하는 비드 또는 입자 또는 셀룰로스, 나이트로셀룰로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비닐리딘, 플루오라이드, 나일론, 하전나일론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과 같은 멤브레인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또는 코팅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본원 실시예에 기재된 것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ELISA (Enzyme Linked Immuno Sorbent Assay), RIA (Radio Immuno Assay) 등과 같은 샌드위치 방식의 면역분석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고상의 기질 예를 들면 글라스, 플라스틱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사카라이드, 나일론 또는 나이트로셀룰로스로 제작된 비드, 멤브레인, 슬라이드 또는 마이크로웰플레이트에 결합된 캡처항체에 시료 예를 들면 본원에 따른 항원과 접촉된 시료를 추가한 후, 직접 또는 간접 검출이 가능한 표지물질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3H 또는 125I와 같은 방사성 물질, 형광물질, 화학발광물질, 햅텐, 바이오틴, 디그옥시제닌 등으로 표지되거나 또는 기질과의 작용을 통해 발색 또는 발광이 가능한 호스래디쉬 퍼옥시다제,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말레이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와 같은 효소와 컨쥬게이션된 항체와의 결합을 통해 정성 또는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면역분석방법은 Enzyme Immunoassay, E T Maggio, ed,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1980; Gaastra, W,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n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Vol 1, Walker, JM ed, Humana Press, NJ, 1984 등에 기재되어 있다. ELISA 키트는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발색단(chromophores), 효소(예: 항체와 컨주게이트됨) 등과 같은 상술한 물질로 표지된 2차 검출항체 및 검출에 사용되는 기질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 또는 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를 포함하는 어레이 또는 칩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유리 또는 나이트로셀룰로스와 같은 지지체의 표면에 캡처항체가 부착될 수 있으며, 어레이 제조 기술은 예를 들면 Schena et al, 1996, Proc Natl Acad Sci USA 93(20):10614-9; Schena et al, 1995, Science 270(5235):467-70; 및 US Pat Nos 5,599,695, 5,556,752 또는 5,631,734를 참조할 수 있다. 형광 광도는 스캐닝 콘포칼 현미경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ffymetrix, Inc 또는 Agilent Technologies, Inc 등에서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 또는 키트는 분석양태에 따라 딥스틱 래피드 (dip stick rapid kit) 형태로 사용된다.
딥스틱의 경우, POCT (Point of Care Treatment)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기술로, 본원에 따른 사이토카인에 결합하는 캡처항체가 나이트로셀룰로스와 같은 기질에 결합되어 있고, 이를 예를 들면 본원에 따른 항원과 접촉된 시료와 담그면 시료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기질을 이동하여, 기질 중의 항체와 결합시 발색하는 방식으로,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키트는 분석양태에 따라 측방유동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측방유동 분석(lateral flow assay)은 검체에 포함된 특정 물질, 예를 들면 특정 핵산 또는 단백질을 정량 또는 정성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면 캡처항체가 특정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나이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전개용 매질)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예를 들면 본원에 따른 항원과 접촉된 시료를 이동시켜 항원 항체 반응을 통해 시료 중의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키트는 본원에 따른 마커의 사용법에 관한 안내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조군에 특이적인 항체 또는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결핵균 국내 대표 결핵 균주인 M. tuberculosis K strain의 단백질 서열을 분석하고, 인터페론 감마 분비 촉진 물질을 선별하여 총 14종의 후보 항원군을 선별하였다(표 1 참조).
항원으로 예측된 단백질 중 유전자 분석을 통해 검증된 단백질 K3, K4, K6, K12와 결핵균의 잠복기에서 발현되는 단백질 항원 K10, K11 및 immunoproteomics 분석을 통해 결핵환자에 항원성을 가지는 K13를 평가 항원으로 선정하고, 상기 평가 항원군을 정상 대조군, 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 환자로부터 분리한 말초혈액단핵세포 검체에 자극하여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을 확인한 결과, K3 항원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증가하고, 활동성 결핵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에서 분비가 증가하여 잠복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3, 도 4, 도 6 및 도 8 참조).
또한, K3 항원은 항원에 의해 비자극된 PBMC 세포 수에 대한 항원에 의해 자극되어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수를 산출한 값인 stimulation index(SI) 값도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증가하고, 활동성 결핵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에서 분비가 증가하여 잠복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0 참조).
아울러, G-CSF, GM-CSF,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MIP-1α, TGF-α, TNF-β 11종의 사이토카인은 잠복 결핵군과 활동성 결핵군 간 유의미한 분비 수준 차이를 보여,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1, 도 12 및 도 1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잠복 결핵을 활동성 결핵과 구별하여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잠복 결핵을 진단할 수 있는 결핵균 특이 항원의 선별 과정
결핵균 항원 단백질에 의해 인터페론 감마 분비를 특징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항원 후보군을 하기와 같이 선별하였다.
<1-1> 한국형 결핵 균주 특이적 항원 단백질 선별
결핵균 국내 대표 결핵 균주인 M. tuberculosis K strain의 단백질 서열을 BLAST 또는 FASTA 분석을 수행하여 항원 후보군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MtbVeb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보한 M. tuberculosis K의 단백질 서열을 여러 가지 Mycobacteria 균주들과 비교하여 K strain 특이적인 단백질 128개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128개의 모든 단백질 서열은 SignalP, TargetP, PSORTb 중에서 최소 2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분비단백질'로 예측하거나, SecretomeP 또는 TatP의 결과가 '분비단백질'인 경우, 해당 단백질은 분비단백질의 자격이 있다고 간주하였다. 이와 더불어 TMHMM에서 TM값이 1이하이면 해당 단백질은 분비되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TM값이 2이상이면 표면단백질로 판정하였다. 그외 TargetP, PSORTb, Phobius 중에서 2개 이상의 예측값이 세포내 단백질인 경우, 해당 단백질이 세포내 단백질이라고 판정하였다. 만약 분비단백질로 간주된 상황에서 'Membrane'으로 예측된 경우는 결과값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분비단백질'로 인정하였다. 이상의 기준으로 결핵균 국내 표준주 특이 단백질 130개 중에서 분비단백질 37개와 표면단백질 2개를 발굴하였다.
<1-2> 인터페론 감마 분비 촉진 물질 선별
분비 단백질 또는 표면 단백질로 예측된 결핵균 M. tuberculosis K의 단백질 39개(분비단백질 37개와 표면단백질 2개) 중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를 촉진하는 항원 단백질 또는 항원 작용기를 분석하였다.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를 유도하는 물질을 예측하기 위하여 IEDB 정보 추출 및 2가지 인터페론 항원결정기 분석 방법(BLAST 및 FASTA를 이용한 방법 및 Support Vector Machine (SV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T-세포 항원 결정기(epitope) 부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IFN-γ 분비를 자극할 것으로 예측되는 물질로서 항원 단백질 후보 12개 및 항원 작용기 후보 68개(IEDB 유래 항원작용기 34개, IFNepitope로 예측된 항원작용기 34개)가 선택되었다. 이 중 AIB46610, AIB48134, AIB48604의 경우, 비록 IEDB 항원단백질과 유사한 것은 없었지만 IEDB 항원작용기 분석과 IFNepitope 항원작용기 분석에서 모두 항원작용기가 예측되었으므로 항원물질로서 가장 적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들 12종의 항원과 T-cell epitope부위는 NCBI에 등록된 M. tuberculosis 단백질 서열들과 교차성이 있어 공통항원으로 가능성이 예측되며, 5종의 BCG strain과는 교차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면역학적 진단 시, BCG strain에 대한 비특이적 반응 없이 결핵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12종 항원 단백질에 더하여 M. tuberculosis H37Rv 유래 2종 항원 단백질(K13, K14)를 후보 항원 단백질 군으로 추가하였다.
ID 단백질 ID 기능 설명 아미노산 길이
(a.a)
인터페론 감마 분비 분자
IEDB_항원 IFNepitope
(ea)
IEDB_epitope
(ea)
K1 AIB46610 Hypothetical protein 47 No match 8 1
K12 AIB48069 Hypothetical protein 1,239 No match 0 5
K2 AIB48134 Membrane protein 599 No match 2 2
K3 AIB48604 Membrane protein 125 No match 1 4
K4 AIB48608 PE family protein 42 No match 0 3
K5 AIB48657 Hypothetical protein 68 No match 8 No match
K6 AIB49348 PhiRv2 phage protein 107 Ag_P9WJ13 1 No match
K7 AIB49767 Hypothetical protein 46 No match 5 No match
K8 AIB50254 Hypothetical protein 132 No match 2 No match
K9 AIB50255 RNA-directed RNA polymerase 561 No match 1 No match
K10 Rv3037 Membrane potential protein 210 Ag_P9WLS9 0 12
K11 Rv2029c Glycolysis-related protein 339 Ag_P9WID3 6 7
K13 Rv0475 Heparin binding hemagglutinin 199 - - -
K14 Rv3037c S-adenosylmethione-dependent methyltransferase 358 - - -
<1-3> 최종 평가 항원 단백질의 선정
항원으로 예측된 단백질 중 유전자 분석을 통해 검증된 단백질 K3, K4, K6, K12와 결핵균의 잠복기에서 발현되는 단백질 항원 K10, K11 및 immunoproteomics 분석을 통해 결핵환자에 항원성을 가지는 K13를 평가 항원으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2> 재조합 항원 단백질의 합성 및 정제
하기 표 2에 기재된 항원 중 K3, K6, K12 단백질은 E. coli BL21(DR3) 균주 발현 시스템을 사용하여 재조합 단백질 생산용 클론을 확보하였다. 단백질 발현 최적 조건을 확인하여 37℃에서 0.1mM IPTG를 넣고 4시간 동안 유도 과정을 통해 도 1과 같이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Ni-NTA를 통해 정제하고, 투석 과정을 통해 버퍼를 변화시켰으며, K3, K12는 봉입체가 생성되지 않는 최소 농도 3M 우레아 버퍼로 정제하였다. 또한, K6는 50mM Tris, 200 mM KCl 버퍼로 정제하였다. K3, K6 및 K12 단백질은 개시 코돈이 발린(Valine, Val)으로 E. coli 시스템에서 원활한 발현유도를 위하여 삽입 유전자 증폭 시, 메티오닌(Methionine, Met)으로 치환하였다.
K4의 경우 크기 제한(4 kDa)으로 인해 His-tag 혹은 GST-tag을 표지하는 발현벡터 pET 혹은 pGEX 및 BL21 E. coli 발현 시스템에서 soluble 및 insoluble 형태로 모두 발현되지 않았고, E. coli의 번역시스템을 기반한 무세포발현을 시도하였으나 발현되지 않았다. K10, K11은 E.coli 시스템에서 발현되지 않았으며 High G-C repeat과 아미노산 변이가 문제가 되어 E. coli codon usage를 고려한 코돈 최적화된 유전자를 합성하였고, E. coli 무세포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합성을 시도하였으나 발현되지는 않았다.
재조합단백질 제작이 어려운 단백질 K4, K10, K11에 대해서는 분석대상 단백질에 대해 10 mer-overlapped 펩타이드 20 mer를 디자인하여 합성하였다. 연구에 사용될 펩타이드는 합성 후 HPLC 정제하여 순도 ~80%의 5mg 펩타이드를 확보하였으며 endotoxin-free 3차 증류수 혹은 DMSO에 용해시켜 1 mg/mL 혹은 5 mg/mL로 제조하였다.
항원
이름
NCBI product 크기 (aa) 기원 서열번호
K3 막 단백질 125 Mtb K 서열번호 1
K4 PE 패밀리 단백질 42 Mtb K 서열번호 2
K6 PhiRv2 파지 단백질 107 Mtb K 서열번호 3
K10 Rv1733c
Possible transmembrane
210 Mtb H37Rv 서열번호 4
K11 Rv2029c
Probable phospho-
fructokinase
339 Mtb H37Rv 서열번호 5
K12 PE 패밀리 단백질 304 Mtb K 서열번호 6
K13 Rv0475
헤파린-결합 헤마글루티닌(HBHA)
199 Mtb H37Rv 서열번호 7
<실험예 1> 임상 검체의 수집 및 시료의 준비
<1-1> 임상 검체의 수집
하기 표 3의 정의를 가진 정상 대조군 (Healthy control, HC), 잠복 결핵군(Latent TB infection, LTBI), 활동성 결핵군 (Active TB, aTB) 각 그룹 당 35명의 전혈(whole blood)을 전남대학교병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수집하였다. 일부는 기본 검사 및 잠복 결핵 검사에 사용하였고 잔여 혈액은 피콜 밀도 구배 분리법(ficoll-density gradient)으로 원심분리하여 말초혈액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를 추출하여 1×106 세포/바이알이 되도록 분주 후 -180℃의 LN2 및 질소 고압 가스 탱크에 보관하였다.
구분 정의 임상정보
정상 대조군
(Healthy control, HC)
ㆍ결핵환자와 알려진 접촉력이 없음
ㆍ결핵 증상과 징후가 없음
ㆍ흉부 엑스선에서 과거 결핵병변이 없음
ㆍ검체수집 시에 IGRA 검사 음성
ㆍ기저질환이 없음 (자가면역질환, 감염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만성신장질환, 종양, 만성간질환, 면역억제제 치료)
ㆍ≥ 18 y (임신부 제외)
ㆍ기본검사, IGRA검사, 결핵검사 정보
ㆍ연령 및 성별
ㆍBCG 접종력
ㆍ결핵약 복용 2주 이내
잠복 결핵군
(Latent TB infection, LTBI)
ㆍ활동성 결핵환자와 접촉한 과거력이 있음
ㆍ활동성 결핵의 임상적, 방사선적 증거가 없음
ㆍIGRA 검사(혹은 TST)에 양성
활동성 결핵군
(Active TB, aTB)
ㆍConfirmed TB: Xpert MTB/RIF 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ㆍHighly probable TB: 임상적으로 확인된 결핵으로 상기 배양 검사와 Xpert MTB/RIF 검사에서 음성이지만 임상적 양상과 영상소견이 활동성 결핵에 합당하고 항결핵제 치료에 반응이 있는 경우 (비결핵 항산균 감염으로 확진된 경우는 제외)
<1-2> 시료의 준비
상기 실험예 1의 -180℃에 보관하여 동결 보존된 말초 혈액 단핵 세포(cryopreserved PBMC, cPBMC) 중에서 세포 생존능 및 활성을 고려하여 보관된지 3개월 내지 1년 이내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cPBMC의 처리는 1회 당 2개 이상을 넘지 않고, 1일 총 실험 수는 10개를 초과하지 않았다. cPBMC는 해동 후, CTL-항 응집 워시 1㎖을 냉동바이알(cryovial)에 서서히 넣고 시료를 취하여 CTL-항 응집 워시 배양액 8㎖이 담겨있는 튜브에 옮긴 후 330×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척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tapping으로 세포 펠렛을 풀어준 후 CTL-시험 배양액 10㎖ 넣고 항원 자극 전, 세포의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18시간 동안 resting 시켰다. 18시간 후, 330×g로 10분 동안 원심분리기로 세포를 침전시키고 상층액을 제거하였다. 다시 세포 펠렛을 tapping으로 풀어주고 0.5 내지 1㎖ CTL-시험 배양액을 넣은 후 트립토판 블루 염색법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계수하였다.
<실험예 2> ELISA를 이용한 항원의 1차 스크리닝
상기 표 1의 K3, K4, K6, K10, K11, K12, K13 총 7종의 잠복 결핵 진단 후보 항원을 대상으로 ELISA를 실시하여 잠복 결핵군 또는 활동성 결핵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이 증가하는 항원을 1차 스크리닝하였다.
<2-1> PPD(tuberculin purified protein derivative) 시험 항원 및 파이토헤마글루티닌(phytohemaglutinin, PHA) 양성 대조군의 처리에 따른 인터페론 감마 분비량 측정
상기 실험예 1-2의 cPBMC를 96 웰 플레이트에 1×105 내지 5×105 세포/100㎕/웰이 되도록 분주하고 2시간 배양한 후 양성 대조군으로 phytohemagglutinin(PHA) 10㎍/㎖, 비교 항원으로 purified protein derivatives(tuberculin, PPD) 5㎍/㎖(Staten Serum Institute, Denmark), 음성 대조군은 CTL-시험 배양액을 처리하였다.
시험 항원(PPD) 또는 양성 대조군(PHA)은 10㎍/㎖ 씩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자극시키고 배양 상층액 100㎕를 취하여 ELISA법으로 인터페론 감마(IFN-γ)를 정량 측정하였다. ELISA는 Human IFN-γ DuoSet ELISA kit(R&D system)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450nm 측정값에서 540nm 측정값을 제하고, 블랭크 값을 제한 뒤 나온 결과 값과 duplicated standard 농도 값을 바탕으로 IFN-γ를 정량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잔여 세포는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원으로 자극하지 않았을 때, PBMC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은 정상 대조군(HC), 잠복 결핵군(LTBI), 활동성 결핵군(aTB) 각각 130.7±256.8 pg/㎖, 168.5±370.6 pg/㎖, 302.3±1104.6 pg/㎖로 활동성 결핵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이 높았다. PHA 자극에 대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은 정상 대조군(HC), 잠복 결핵군(LTBI), 활동성 결핵군(aTB) 각각 628.7±396.1 pg/㎖, 590.8±362.6 pg/㎖, 2629±3403.4 pg/㎖이었다. PPD 자극에 대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은 정상 대조군(HC), 잠복 결핵군(LTBI), 활동성 결핵군(aTB) 각각 331.4.7±387.0 pg/㎖, 362.2.±368.9 pg/㎖, 762.2±1010.5 pg/㎖로 일부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된 검체에서 PPD 자극에 대한 분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기존 결핵 진단을 위한 항원인 PPD는 정상 대조군과 잠복 결핵군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잠복 결핵을 진단할 수 없음을 제시한다.
pg/㎖ 정상 대조군(HC) 잠복 결핵군(LTBI) 활동성 결핵군(TB)
항원 비자극 130.7±256.8 168.5±370.6 302.3±1104.6
PHA 628.7±396.1 590.8±362.6 2629±3403.4
PPD 331.4.7±387.0 362.2.±368.9 762.2±1010.5
<2-2> 후보 항원의 처리에 따른 인터페론 감마 분비량 측정
상기 표 1의 7종의 후보 항원(재조합 단백질(K3, K6, K12, K13) 혹은 펩타이드 혼합물(K4, K10, K11))은 10㎍/㎖ 씩 처리한 후 재조합 단백질은 48시간, 펩타이드 혼합물은 24시간 동안 자극시키고 배양 상층액 100㎕를 취하여 ELISA법으로 인터페론 감마(IFN-γ)를 정량 측정하였다. ELISA는 Human IFN-γ DuoSet ELISA kit(R&D system)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450nm 측정값에서 540nm 측정값을 제하고, 블랭크 값을 제한 뒤 나온 결과 값과 duplicated standard 농도 값을 바탕으로 IFN-γ를 정량하였다. 상층액을 제거한 후 잔여 세포는 MTT assay를 실시하여 세포 생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PD에 대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는 잠복 결핵군(357.3±374.1 pg/㎖)에 비하여 활동성 결핵(612.2±1256.4 pg/㎖)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재조합 단백질 K3 항원에 대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는 잠복 결핵군(81.1±394.9pg/㎖)에 비하여 활동성 결핵(-165.4±1149.7 pg/㎖)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K12 항원에 대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는 잠복 결핵군에서는 인터페론 감마 분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고, 활동성 결핵군(-235.4±1115.5 pg/㎖)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펩타이드 K4에 대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는 활동성 결핵군(54.7±285.9 pg/㎖)에서 저농도로 측정되었고, 펩타이드 혼합물 K4, K10, K11에 대해서는 말초혈액단핵세포 자극에 의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PPD와 K3 항원으로 자극된 말초혈액단핵세포(PBMC)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농도의 cut-off 값을 설정하여 반응성을 퍼센트(%)로 분석하였다. 저농도 cut-off를 20 pg/㎖로 (약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 weak IFN-γ response), 고농도 cut-off를 100 pg/㎖로 (강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 strong IFN-γ response) 설정하여 반응성을 확인한 결과, PPD에 대해서는 잠복 결핵군에서 20% (7개 시료/35개 시료)가 약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 62.9%(22개 시료/35개 시료)가 강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을, 활동성 결핵군에서는 92.9% (26개 시료/28개 시료)가 강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을 보였다. K3에 대해서는 잠복 결핵군에서 45.7% (16개 시료/35개 시료)가 약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 40% (14개 시료/35개 시료)가 강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을, 활동성 결핵군에서는 57.1% (16개 시료/28개 시료)가 약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을, 35.7% (10개 시료/28개 시료)가 강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을 보였다.
즉, K3 항원의 자극에 대해 활동성 결핵군에서 보다 잠복 결핵군에서 더 높은 인터페론 감마 분비능을 보였다.
<실험예 3> ELISpot(Enzyme-Linked ImmunoSpot)을 이용한 항원의 2차 스크리닝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의 진단 검사로 공인 받은 T-SPOT.TB 방법(Oxford Immunotec) 및 Human IFN-γ ELISpot assay 방법(R&D systems사)을 참고하여 수행하였다. 결핵 진단을 위한 비교 항원으로 ESAT-6 및 CFP-10 펩타이드 항원 및 상기 표 1의 K3 및 K13 항원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 항원으로 ESAT-6 및 CFP-10 펩타이드 항원 50㎕를, 양성 대조항원으로 phytohemagglutinin (PHA)을 사용하였다. 96 웰 ELISpot 플레이트에 양성 대조군(PHA) 및 재조합 단백질 혹은 항원별 peptide pools 10㎍/㎖을 처리하였다. 레스팅이 완료된 PBMC를 항원이 처리된 96 웰 플레이트에 2 ×105 세포/100㎕/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항원 자극 24시간 후, 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스팟을 확인하였다. 스팟의 수는 ImmunoSpot S6 Univeral-V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K13의 경우, M. smegmatis에서 발현시켜, native form에 가까운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Native K13은 전사 후 메틸화되며, E. coli 시스템을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과 비교하여 결핵환자에서 인터페론 감마 반응성이 더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Am J Respir Crit Care Med. 182:848-854.). 항원 평가 시험 전, ELISPOT 법으로 비자극 세포의 인터페론 감마의 기저 분비 수준 및 PHA 자극 후 인터페론 감마 분비를 측정하여 활성 여부를 확인하였다(spot forming cell, SFC). 항원 평가 시, 모든 측정값은 blank(비자극 세포의 SFC)로 보정하였다(시험값 - blank 값).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PHA로 PBMC를 자극한 경우, 정상 대조군, 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 모두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실험 대상군에서 채취한 PBMC가 모두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K3 및 K13의 재조합 단백질 항원 및 펩타이드의 PBMC 자극에 대하여 잠복 결핵군(LTBI)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ESAT-6에 대한 SFC(×105 세포)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잠복 결핵군+활동성 결핵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정상 대조군=0.3±0.5, 결핵 감염군=19.5±19.1[p=< 0.0001]). 정상 대조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정상 대조군=0.3±0.5, 잠복 결핵군=17.9±16.6 [p=< 0.0001]; 정상 대조군=0.3±0.5, 활동성 결핵군=21.9±22.7 [p=0.0016]; 잠복 결핵군=17.9±16.6, 활동성 결핵군=21.9±22.7 [p=0.9208]).
또한, CFP-10에 대한 SFC (×105 세포)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정상 대조군=0.1±0.3, 결핵 감염군=22.3±29.1[p=< 0.0001]; 정상 대조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정상 대조군=0.1±0.3, 잠복 결핵군=17.1±23.1[p=< 0.0001]; 정상 대조군=0.3±0.5; 활동성 결핵군=29.8±35.7[p=0.0007]; 잠복 결핵군=17.1±23.1, 활동성 결핵군=29.8±35.7[p=0.3774]).
또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조합 단백질 K3에 대한 SFC (×105 세포)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정상 대조군=4.6±6.2, 결핵 감염군=21.4±24.5[p=0.0312]), 정상 대조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정상 대조군=4.6±6.2, 잠복 결핵군=25.3±24.1[p=0.0138]; 정상 대조군=4.6±6.2, 활동성 결핵군=15.6±24.7[p=0.2055]; 잠복 결핵군=25.3±24.1, 활동성 결핵군=15.6±24.7[p=0.1090]).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조합 단백질 K13에 대한 SFC (×105 세포)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정상 대조군=8.4±13.6, 결핵 감염군=28.8±37.4[p=0.0971]), 정상 대조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 및 활동성 결핵군에서 증가하였다(정상 대조군=8.4±13.6, 잠복 결핵군=29.7±32.0[p=0.0779]; 정상 대조군=8.4±13.6, 활동성 결핵군=27.5±45.4[p=0.2555]; 잠복 결핵군=29.7±32.0, 활동성 결핵군=27.5±45.4[p=0.5033]).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기존의 결핵 진단 항원인 ESAT-6 및 CFP-10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핵 감염군에서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결핵을 진단할 수 있으나, 잠복 결핵군과 활동성 결핵군 간의 인터페론 감마 분비 수준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K3 항원은 잠복 결핵군에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가 증가하여 활동성 결핵과 잠복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비자극 세포 수에 대한 자극 세포 수를 산출한 stimulation index (SI) 값 측정
K3 재조합 항원 및 비교 항원인 ESAT-6 및 CFP-10에서 항원에 의해 비자극된 PBMC 세포 수에 대한 항원에 의해 자극되어 인터페론 감마를 분비하는 세포의 수를 산출한 값인 stimulation index(SI) 값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값은 blank(비자극 세포의 SFC로 나눈 값)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K3은 활동성 결핵군에 비해 잠복 결핵군에서 SI 값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는 K3 항원은 결핵을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실험예 5> 항원 자극 후 분비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분석
정상 대조군(Healthy control, HC), 잠복 결핵군(Latent TB infection, LTBI) 및 활동성 결핵군(Active TB, aTB)에서 추출한 PBMC를 시험 항원 또는 비교 항원으로 자극하고, 분비된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대조군(Healthy control, HC), 잠복 결핵군(Latent TB infection, LTBI) 및 활동성 결핵군(Active TB, aTB)에서 채취한 PBMC 1×106/㎖를 96 웰 플레이트에 16시간 배양 후, 시험 항원 또는 비교 항원으로 ESAT-6+CFP-10 혼합물을 첨가하여 24시간 자극한 후 수거한 상층액 25㎕를 취하여 Milliplex MAP Human Cytokine/Chemokine 37-plex kit를 사용하여 37가지 (Merk Millipore)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을 luminex 분석기로 동시 측정하였다. 37종류의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은 다음과 같다: EGF, Eotaxin/CCL11, FGF-2/FGF-basic, Fractalkine/CX3CL1, G-CSF, GM-CSF, IFN-α2, IFN-γ, IL-1 α/IL-1F1, IL-1 beta/IL-1F2, IL-1 ra/IL-1F3, IL-2, IL-3, IL-4, IL-5, IL-6, IL-7, IL-8/CXCL8, IL-9, IL-10, IL-12 (p40), IL-12(p70), IL-13, IL-15, IP-10/CXCL10/CRG-2, MCP-1/CCL2, MCP-3/CCL7, MDC/CCL22, MIP-1 α/CCL3, MIP-1β/CCL4, sCD40L, TGF-α, TNF-β/LTA, VEGF, Fit-3 Ligand, GRO. 실험은 2회 반복으로 실시하였고, 시험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바이오마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K3 항원 자극에 대해 정상 대조군과 잠복 결핵군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사이토카인은 Eotaxin, FGF-2, Fit-3L, Fractalkine, G-CSF, GM-CSF, GRO, IFN-α2, IFN-γ, IL-12p70, IL-13, IL-1α, IL-1β, IL-1RA, IL-3, IL-4, IL-6, IL-7, IL-8, MIP-1α, MIP-1β, TGF-α, TNF-α, TNF-β, VEGF 25종이었고 (p < 0.05), 잠복 결핵군과 활동성 결핵군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사이토카인과 G-CSF, GM-CSF,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MIP-1α, TGF-α, TNF-β 11종임을 확인하였다(p < 0.01)(도 11, 도 12 및 도 13).
상기 결과는 11종의 사이토카인(G-CSF, GM-CSF,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MIP-1α, TGF-α, TNF-β)이 잠복 결핵과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임을 제시한다.
<110>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120> Antigen for diagnosing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nd use thereof <130> 2020P-12-034 <160> 7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3 <400> 1 Met Gln Arg Gln Ser Leu Met Pro Gln Gln Thr Leu Ala Ala Gly Val 1 5 10 15 Phe Val Gly Ala Leu Leu Cys Gly Val Val Thr Ala Ala Val Pro Pro 20 25 30 His Ala Arg Ala Asp Val Val Ala Tyr Leu Val Asn Val Thr Val Arg 35 40 45 Pro Gly Tyr Asn Phe Ala Asn Ala Asp Ala Ala Leu Ser Tyr Gly His 50 55 60 Gly Leu Cys Glu Lys Val Ser Arg Gly Arg Pro Tyr Ala Gln Ile Ile 65 70 75 80 Ala Asp Val Lys Ala Asp Phe Asp Thr Arg Asp Gln Tyr Gln Ala Ser 85 90 95 Tyr Leu Leu Ser Gln Ala Val Asn Glu Leu Cys Pro Ala Leu Ile Trp 100 105 110 Gln Leu Arg Asn Ser Ala Val Asp Asn Arg Arg Ser Gly 115 120 125 <210> 2 <211> 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4 <400> 2 Met Gly Ala Gly Thr Pro Ala Gly Gly Ser Ser Lys Ala Gly Leu Val 1 5 10 15 Ser Ala Thr Gly Pro Ala Asp Glu Asp Asp Lys Asp Pro Glu Asp Arg 20 25 30 Arg Asp Gln Pro Ser Gly Glu Arg Leu Ala 35 40 <210> 3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6 <400> 3 Met Thr His Lys Arg Thr Lys Arg Gln Pro Ala Ile Ala Ala Gly Leu 1 5 10 15 Asn Ala Pro Arg Arg Asn Arg Val Gly Arg Gln His Gly Trp Pro Ala 20 25 30 Asp Val Pro Ser Ala Glu Gln Arg Arg Ala Gln Arg Gln Arg Asp Leu 35 40 45 Glu Ala Ile Arg Arg Ala Tyr Ala Glu Met Val Ala Thr Ser His Glu 50 55 60 Ile Asp Asp Asp Thr Ala Glu Leu Ala Leu Leu Ser Met His Leu Asp 65 70 75 80 Asp Glu Gln Arg Arg Leu Glu Ala Gly Met Lys Leu Gly Trp His Pro 85 90 95 Tyr His Phe Pro Asp Glu Pro Asp Ser Lys Gln 100 105 <210> 4 <211> 2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10 <400> 4 Met Ile Ala Thr Thr Arg Asp Arg Glu Gly Ala Thr Met Ile Thr Phe 1 5 10 15 Arg Leu Arg Leu Pro Cys Arg Thr Ile Leu Arg Val Phe Ser Arg Asn 20 25 30 Pro Leu Val Arg Gly Thr Asp Arg Leu Glu Ala Val Val Met Leu Leu 35 40 45 Ala Val Thr Val Ser Leu Leu Thr Ile Pro Phe Ala Ala Ala Ala Gly 50 55 60 Thr Ala Val Gln Asp Ser Arg Ser His Val Tyr Ala His Gln Ala Gln 65 70 75 80 Thr Arg His Pro Ala Thr Ala Thr Val Ile Asp His Glu Gly Val Ile 85 90 95 Asp Ser Asn Thr Thr Ala Thr Ser Ala Pro Pro Arg Thr Lys Ile Thr 100 105 110 Val Pro Ala Arg Trp Val Val Asn Gly Ile Glu Arg Ser Gly Glu Val 115 120 125 Asn Ala Lys Pro Gly Thr Lys Ser Gly Asp Arg Val Gly Ile Trp Val 130 135 140 Asp Ser Ala Gly Gln Leu Val Asp Glu Pro Ala Pro Pro Ala Arg Ala 145 150 155 160 Ile Ala Asp Ala Ala Leu Ala Ala Leu Gly Leu Trp Leu Ser Val Ala 165 170 175 Ala Val Ala Gly Ala Leu Leu Ala Leu Thr Arg Ala Ile Leu Ile Arg 180 185 190 Val Arg Asn Ala Ser Trp Gln His Asp Ile Asp Ser Leu Phe Cys Thr 195 200 205 Gln Arg 210 <210> 5 <211> 3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11 <400> 5 Met Thr Glu Pro Ala Ala Trp Asp Glu Gly Lys Pro Arg Ile Ile Thr 1 5 10 15 Leu Thr Met Asn Pro Ala Leu Asp Ile Thr Thr Ser Val Asp Val Val 20 25 30 Arg Pro Thr Glu Lys Met Arg Cys Gly Ala Pro Arg Tyr Asp Pro Gly 35 40 45 Gly Gly Gly Ile Asn Val Ala Arg Ile Val His Val Leu Gly Gly Cys 50 55 60 Ser Thr Ala Leu Phe Pro Ala Gly Gly Ser Thr Gly Ser Leu Leu Met 65 70 75 80 Ala Leu Leu Gly Asp Ala Gly Val Pro Phe Arg Val Ile Pro Ile Ala 85 90 95 Ala Ser Thr Arg Glu Ser Phe Thr Val Asn Glu Ser Arg Thr Ala Lys 100 105 110 Gln Tyr Arg Phe Val Leu Pro Gly Pro Ser Leu Thr Val Ala Glu Gln 115 120 125 Glu Gln Cys Leu Asp Glu Leu Arg Gly Ala Ala Ala Ser Ala Ala Phe 130 135 140 Val Val Ala Ser Gly Ser Leu Pro Pro Gly Val Ala Ala Asp Tyr Tyr 145 150 155 160 Gln Arg Val Ala Asp Ile Cys Arg Arg Ser Ser Thr Pro Leu Ile Leu 165 170 175 Asp Thr Ser Gly Gly Gly Leu Gln His Ile Ser Ser Gly Val Phe Leu 180 185 190 Leu Lys Ala Ser Val Arg Glu Leu Arg Glu Cys Val Gly Ser Glu Leu 195 200 205 Leu Thr Glu Pro Glu Gln Leu Ala Ala Ala His Glu Leu Ile Asp Arg 210 215 220 Gly Arg Ala Glu Val Val Val Val Ser Leu Gly Ser Gln Gly Ala Leu 225 230 235 240 Leu Ala Thr Arg His Ala Ser His Arg Phe Ser Ser Ile Pro Met Thr 245 250 255 Ala Val Ser Gly Val Gly Ala Gly Asp Ala Met Val Ala Ala Ile Thr 260 265 270 Val Gly Leu Ser Arg Gly Trp Ser Leu Ile Lys Ser Val Arg Leu Gly 275 280 285 Asn Ala Ala Gly Ala Ala Met Leu Leu Thr Pro Gly Thr Ala Ala Cys 290 295 300 Asn Arg Asp Asp Val Glu Arg Phe Phe Glu Leu Ala Ala Glu Pro Thr 305 310 315 320 Glu Val Gly Gln Asp Gln Tyr Val Trp His Pro Ile Val Asn Pro Glu 325 330 335 Ala Ser Pro <210> 6 <211> 30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12 <400> 6 Met Lys Val Leu Gln Ile Ala Ile Tyr Ser Gly Arg Ser His Asp Cys 1 5 10 15 Phe Gly Val Cys Gln Thr Glu Leu Arg Gly Ala Thr Asp Arg Phe Val 20 25 30 Arg Cys Val Arg Ser His Gly Gln Ala Asp Arg Val Pro Gln Cys Asp 35 40 45 Leu Arg Asn Arg Ser Thr Leu Ala Ala Gly Cys Ile Thr Phe Glu Gln 50 55 60 Arg Trp Phe Arg Pro Ser His Arg Ala Ile Arg Arg Lys Val Arg Trp 65 70 75 80 Leu Gln Thr Tyr Phe Cys Gly Phe Ala Gly Leu Leu Thr Arg Ser Gly 85 90 95 Ser Arg Ile Val Leu Leu Ser Gly Ala Ala Gly Pro Gly Phe Ala Ala 100 105 110 Val Val Ala Pro Ala Phe Arg Gly Asp Cys Tyr Gly Gly Val Thr Ser 115 120 125 Val Arg Val Arg Ala Gln Thr His Arg Ser Asn Asn Gln Met Asp Ser 130 135 140 Leu Ser His Asp Pro Ala Ala Gly Asp Ile Gly Ser Gln Leu Val Glu 145 150 155 160 Ile Gly Ser Arg Gly Leu Ala Ala Gly Asn Ala Ala Thr Met Pro Thr 165 170 175 Met Thr Gly Leu Val Pro Ala Gly Gly Glu Glu Val Ser Ala Gln Ala 180 185 190 Val Met Ala Phe Ala Thr Glu Ala Ala Ser Met Ile Ala Ser Asn Thr 195 200 205 Ala Ala Gln Glu Glu Leu Met Arg Ala Gly Thr Ala Leu Thr Asp Ile 210 215 220 Ala Arg Met Tyr Gly Asp Thr Asp Asp Asn Ala Ala Gly Ala Leu Thr 225 230 235 240 Ile Gly Ala Gly Leu Thr Ser Arg His Pro Leu Ala Gly Gly Ser Gly 245 250 255 Ala Ser Ala Gly Ala Gly Leu Met Arg Ala Gly Ser Leu Pro Gly Glu 260 265 270 Ala Gly Ser Ala Ala Arg Thr Pro Leu Met Ala Gln Leu Leu Glu Gly 275 280 285 His Pro Arg Arg Trp His Arg Pro Pro Leu Thr Pro Asp Arg Arg Arg 290 295 300 <210> 7 <211> 19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13 <400> 7 Met Ala Glu Asn Ser Asn Ile Asp Asp Ile Lys Ala Pro Leu Leu Ala 1 5 10 15 Ala Leu Gly Ala Ala Asp Leu Ala Leu Ala Thr Val Asn Glu Leu Ile 20 25 30 Thr Asn Leu Arg Glu Arg Ala Glu Glu Thr Arg Thr Asp Thr Arg Ser 35 40 45 Arg Val Glu Glu Ser Arg Ala Arg Leu Thr Lys Leu Gln Glu Asp Leu 50 55 60 Pro Glu Gln Leu Thr Glu Leu Arg Glu Lys Phe Thr Ala Glu Glu Leu 65 70 75 80 Arg Lys Ala Ala Glu Gly Tyr Leu Glu Ala Ala Thr Ser Arg Tyr Asn 85 90 95 Glu Leu Val Glu Arg Gly Glu Ala Ala Leu Glu Arg Leu Arg Ser Gln 100 105 110 Gln Ser Phe Glu Glu Val Ser Ala Arg Ala Glu Gly Tyr Val Asp Gln 115 120 125 Ala Val Glu Leu Thr Gln Glu Ala Leu Gly Thr Val Ala Ser Gln Thr 130 135 140 Arg Ala Val Gly Glu Arg Ala Ala Lys Leu Val Gly Ile Glu Leu Pro 145 150 155 160 Lys Lys Ala Ala Pro Ala Lys Lys Ala Ala Pro Ala Lys Lys Ala Ala 165 170 175 Pro Ala Lys Lys Ala Ala Ala Lys Lys Ala Pro Ala Lys Lys Ala Ala 180 185 190 Ala Lys Lys Val Thr Gln Lys 195

Claims (15)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을 포함하는 결핵 진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핵은 잠복 결핵(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또는 활동성 결핵(active tuberculosis, aTB)인 것인, 결핵 진단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것인, 결핵 진단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핵은 한국형 결핵균주(Mycobacterium tuberculosis K strain) 감염에 의한 결핵인 것인, 결핵 진단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결핵균의 막 단백질(membrane protein)인 것인, 결핵 진단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IFN-γ) 분비를 자극하는 것인, 결핵 진단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잠복 결핵 환자에서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IFN-γ) 분비를 자극하는 것인, 결핵 진단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IL-1α, IL-1β, IL-1RA, IL-6, IL-8,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α), TGF-α 및 TNF-β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유도하는 것인, 결핵 진단용 조성물.
  9.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은 피검자의 분리된 시료 또는 정상 대조군의 분리된 시료와 접촉하는 단계;
    2) 상기 피검자의 분리된 시료에서 사이토카인 분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측정 결과 피검자의 시료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 수준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은 경우 결핵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핵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것인, 결핵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은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α), TGF-α 및 TNF-β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결핵 진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12.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결핵 진단용 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잠복 결핵 및 활동성 결핵을 구분하여 검출할 수 있는 것인, 결핵 진단용 키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ELISA 또는 FACS 분석용인, 결핵 진단용 키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토카인은 과립구 집락 자극 인자(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 gamma, IFN-γ), IL-1α, IL-1β, IL-1RA, IL-6, IL-8, 대식세포 염증 단백질(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1α), TGF-α 및 TNF-β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결핵 진단용 키트.

KR1020210035016A 2021-03-18 2021-03-18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 KR102660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16A KR102660742B1 (ko) 2021-03-18 2021-03-18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016A KR102660742B1 (ko) 2021-03-18 2021-03-18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0319A true KR20220130319A (ko) 2022-09-27
KR102660742B1 KR102660742B1 (ko) 2024-04-29

Family

ID=8345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016A KR102660742B1 (ko) 2021-03-18 2021-03-18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66084A (zh) * 2023-06-15 2023-07-21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用于检测结核感染状态的试剂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007A (ko) * 2015-05-22 2016-1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 결핵균주 항원 특이적 면역반응을 이용한 결핵진단 방법 및 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7007A (ko) * 2015-05-22 2016-11-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 결핵균주 항원 특이적 면역반응을 이용한 결핵진단 방법 및 키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CBI Reference Sequence: WP_003899111.1(2019.05.01.)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66084A (zh) * 2023-06-15 2023-07-21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用于检测结核感染状态的试剂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742B1 (ko)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7456B1 (en) Diagnostic mycobacterium tuberculosis test
JP4633931B2 (ja) 結核診断試験
EP1735623B1 (en)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diagnostic test
Delhaes et al. Serum markers for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in cystic fibrosis: State of the art and further challenges
CN107076744B (zh) 用于诊断潜伏性感染的结核分枝杆菌的组合物
US8865422B2 (en) Method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KR101805250B1 (ko) 한국 결핵균주 항원 특이적 면역반응을 이용한 결핵진단 방법 및 키트
CN109991417B (zh) 一种结核病的免疫标志物及应用
US20050272104A1 (en) Method for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tigens in biological fluids
KR101733864B1 (ko) 인터페론감마방출분석과 함께 사용되는 활동성 결핵과 잠복성 결핵을 구별하는 바이오마커 및 그 용도
KR102660742B1 (ko) 잠복 결핵 진단을 위한 재조합 항원 단백질 및 그 용도
DK2872896T3 (en) Status of a tuberculosis infection in an individual
CN116609530A (zh) 一种诊断结核感染的标志物及其应用
CN114152747B (zh) 生物标志物在区分活动性与潜伏性结核感染中的用途
KR102132964B1 (ko) 쯔쯔가무시균 유래 엑소좀을 이용한 쯔쯔가무시병의 진단방법
Ota et al. Upregulation of plasma CCL8 in mouse model of graft-vs-host disease
EP16748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tigens in biological fluids
CN110004220A (zh) 一种银屑病血清标志物及其应用
EP2711706A1 (en) Mycobacterial thiolperoxidase and its use
US20220214332A1 (en) Methods for Detecting A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CN107022028B (zh) 特异性抗CitH3单克隆抗体及其酶联免疫吸附试验试剂盒在脓毒症诊断中的应用
US20130210038A1 (en) Novel Method for Diagnosing Q-fever Using a Cellular Immunological Test
CN114152746A (zh) Rv1860蛋白、RV3881c蛋白、Rv2031c蛋白和Rv3803c蛋白在诊断活动性肺结核感染中的用途
Martins et al. 3.3 New Biomarkers with Relevance to Leprosy Diagnosis Applicable in Areas Hyperendemic for Leprosy
TWI606060B (zh) 用於檢測神經性乙醯膽鹼受器阿爾法七次單位抗體之多肽分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