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896A -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896A
KR20220129896A KR1020210034789A KR20210034789A KR20220129896A KR 20220129896 A KR20220129896 A KR 20220129896A KR 1020210034789 A KR1020210034789 A KR 1020210034789A KR 20210034789 A KR20210034789 A KR 20210034789A KR 20220129896 A KR20220129896 A KR 20220129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ibacterial
weight
active ingredient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259B1 (ko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21003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2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풀잎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목향 추출물, 무화과나무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천연 추출물 3중량%, 보습제 4.5 중량%, 에탄올 15 내지 20중량%, 증류수 72.5 내지 77.5 중량%를 포함하는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항균성 성분이 갖는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균에 매우 우수한 항균력을 포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ntibacterial and antivir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병풀잎추출물(Centella Asiatica leaves Extract), 황금추출물, 목향 추출물, 무화과나무추출물(Ficus Carica (Fig) stem Extra ct), 오미자추출물(Schisandra Chinensis Fruit Extract), 오배자 추출물,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항균성 성분이 갖는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균에 매우 우수한 항균력을 활용하기 위한 항균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항균성을 가지는 보습제인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 부틸렌글라이콜 (Butylene Glycol), 판테놀(Panthenol)과 저용량 에탄올(15~20% 이하)을 함유하고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생활환경이 도시화되고 복잡화되면서 많은 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하면서, 실내공기의 각종 오염 원인으로 인해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공기를 매개로 하고 호흡을 통하여 감염되는 각종 바이러스 등의 세균과 건축자재 등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유해한 화합물질에 노출되어 질병에 걸릴 수 있다.
대표적인 질병으로 피부에 발생하는 피부진균증, 각종 식중독을 유발하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aureus) 및 B형 만성위염,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을 유발시키며 위암발생의 일차적 결정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 등이 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직접 혹은 간접적인 피해는 경제, 환경, 의학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식품산업에서의 식품 유통 과정 중의 부패로 인한 손실, 농산업에서의 농작물에 대한 과량의 화학 살충제의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및 환경오염,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 등 사회 전반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항균제로 일반적으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고,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이들 화학물질은 저분자량 물질이므로 안정성 및 지속성에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균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여야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병풀잎추출물(Centella Asiatica leaves Extract), 황금추출물, 목향 추출물, 무화과나무추출물(Ficus Carica (Fig) stem Extra ct), 오미자추출물(Schisandra Chinensis Fruit Extract), 오배자 추출물,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773411호에는 대황, 연교, 적작약, 황련, 황금, 당귀, 치자, 빈랑, 목향, 박하, 길경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효능 및 SOD유사활성으로 확인한 항산화효과,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및 피부 상재균 및 구강내 세균 균주에 대한 생육 저해활성을 나타내는바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516448호에는 무좀습진의 주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에 대하여 특이적인 항균 작용을 가지는 목향 추출물을 얻는 방법 및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95917호에는 감나무잎 1 내지 2중량부, 솔잎 1 내지 2중량부, 잣나무잎 1 내지 2중량부, 상수리잎 1 내지 2중량부, 석류 1 내지 2중량부, 황현 1 내지 2중량부, 어수리뿌리 1 내지 2중량부, 황금 1 내지 2중량부 및 쇠무릎 1 내지 2중량부로 구성되는 천연물질 추출물에 하나 또는 2 이상으로 구성되는 향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방향제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851972호에는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은 정제수에 1,3부틸렌글리콜이 1 ~ 5 % 함유된 혼합수,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의 질량비가 50 : 5 : 5 : 5 : 5 : 1 : 1 : 0.25가 되도록 혼합한 뒤, 추출 및 농축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고 지속성이 우수한 천연물질로부터 항균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 병풀잎추출물(Centella Asiatica leaves Extract),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 목향추출물(Inula Helenium Extract), 무화과나무추출물(Ficus Carica (Fig) stem Extra ct), 오미자추출물(Schisandra Chinensis Fruit Extract), 오배자 추출물, 지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병풀잎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목향 추출물, 무화과나무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항균성 조성물 3중량%, 보습제 4.5 중량%, 에탄올 15 내지 20중량%, 증류수 72.5 내지 77.5 중량%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항균성 조성물은 병풀잎 추출물 13.35중량%, 황금 추출물 3.3중량%, 목향 추출물 13.35중량%, 무화과나무 추출물 25중량%, 오미자 추출물 3.3중량%, 오배자 25 중량%, 지유 16.7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습제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1,2-hexanediol 3 : 1.3 Butylen Glycol 1 : D-Panthenol(Pro.Vit.B5) 0.5 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균성 성분이 갖는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균에 매우 우수한 항균력을 포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실험군 샘플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대조군 및 실험군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실험예 3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험예 3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따른 시험군 샘플 및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른 시험군 샘플 및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험예 6에 따른 시험군 샘플 및 농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예 6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핸드크림 로션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예 1. 천연 추출물 제조
본 발명에 따른 무화과 나무 추출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이 10%이하로 잘 건조된 무화과나무(줄기)를 나무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 조각의 크기가 약 0.5cm 이하가 되게 반복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사용할 무화과나무를 저울로 1kg 적정하여 준비한다.
분쇄된 무화과나무 1kg을 부직포에 담아 70% 주정 알콜을 용매로 1:10의 비율로 침지 하여 저온 진공 추출기를 사용하여 65℃ - 70℃ 온도에서 6시간 추출을 시행 하였다. 추출이 끝난 시료는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추출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ml의 시료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48시간동안 동결 건조시키고 동결건조 완료된 시료의 최종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 수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무화과나무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의 함량을 적정하여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병풀잎 추출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이 10%이하로 잘 건조된 병풀잎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 조각의 크기가 약 0.1cm 이하가 되게 반복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사용할 병풀잎을 저울로 1kg 적정하여 준비 한다.
분쇄된 병풀잎 1kg을 부직포에 담아 70% 주정 알콜을 용매로 1:10의 비율로 침지 하여 저온 진공 추출기를 사용하여 65℃ - 70℃ 온도에서 6시간 추출을 시행 하였다. 추출이 끝난 시료는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추출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ml의 시료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48시간동안 동결 건조시키고 동결건조 완료된 시료의 최종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 수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병풀잎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의 함량을 적정하여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 하였다.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이 10% 이하로 잘 건조된 오미자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 조각의 크기가 약 0.1cm 이하가 되게 반복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사용할 오미자를 저울로 1kg 적정하여 준비 한다.
분쇄된 오미자 1kg을 부직포에 담아 70% 주정 알콜을 용매로 1:10의 비율로 침지하여 저온 진공 추출기를 사용하여 65℃ - 70℃ 온도에서 6시간 추출을 시행 하였다. 추출이 끝난 시료는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추출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ml의 시료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고 동결건조 완료된 시료의 최종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 수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의 함량을 적정하여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오배자 추출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이 10%이하로 잘 건조된 오배자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 조각의 크기가 약 0.1cm 이하가 되게 반복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사용할 오배자를 저울로 1kg 적정하여 준비한다.
분쇄된 오배자 1kg을 부직포에 담아 70% 주정 알콜을 용매로 1:10의 비율로 침지 하여 저온 진공 추출기를 사용 하여 65℃ - 70℃ 온도에서 6시간 추출을 시행하였다. 추출이 끝난 시료는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추출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ml의 시료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고 동결건조 완료된 시료의 최종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 수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오배자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의 함량을 적정하여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지유 추출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이 10%이하로 잘 건조된 지유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 조각의 크기가 약 0.1cm 이하가 되게 반복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사용할 지유를 저울로 1kg 적정하여 준비한다.
분쇄된 지유 1kg을 부직포에 담아 70% 주정 알콜을 용매로 1:10의 비율로 침지 하여 저온 진공 추출기를 사용 하여 65℃ - 70℃ 온도에서 6시간 추출을 시행 하였다. 추출이 끝난 시료는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추출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ml의 시료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48시간동안 동결 건조시키고 동결건조 완료된 시료의 최종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 수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지유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의 함량을 적정하여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황금 추출물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수분 함량이 10%이하로 잘 건조된 황금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 조각의 크기가 약 0.1cm 이하가 되게 반복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고, 사용할 황금를 저울로 1kg 적정하여 준비한다.
분쇄된 황금 1kg을 부직포에 담아 70% 주정 알콜을 용매로 1:10의 비율로 침지 하여 저온 진공 추출기를 사용 하여 65℃ - 70℃ 온도에서 6시간 추출을 시행 하였다. 추출이 끝난 시료는 여과지(와트만 41번)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추출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100ml의 시료를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고 동결건조 완료된 시료의 최종 무게를 측정하여 추출 수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상기 황금 에탄올 추출물은 추출물의 함량을 적정하여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2. 보존제 최적 혼합 비율 확인 실험
하기의 표 1은 균액의 조제를 나타낸다. 시험대상 균주를 각각 멸균된 TSB(Tryptoic Soy Broth) 5mL에 접종하여 37℃에서 18~22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여 균의 배양정도를 확인한다. 시험대상 균주의 초기 배양액을 TSB 배지(4℃ 냉장보관)로 10배 희석하였다.
균액의 조제
No. 시험대상 균주 Condition 비고
Temp Media
1 Escherichia coli
(KCCM 11234
37℃ Tryptic Soy Agar/Broth 그람음성
2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764
37℃ Tryptic Soy Agar/Broth 그람양성, 인수공통 감염균주(식중독)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실험군 샘플을 나타낸다. 시험군 및 대조군의 조제는 다음과 같다. 시험군은 균액 10 ul에 외용소독제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다. 대조군은 균액 10 ul에 PBS(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액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다.
시험군 및 대조군의 배지 도말은 다음과 같다. 1~5분간 방치된 시험군(균액/외용소독제) 및 대조군(균액) 각각을 원심분리(13,000 rpm, 5 min)한 후, 상등액을 제거한다. TSB 1 ml를 넣어 현탁하고, 원심분리(13,000 rpm, 5 min)를 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을 진행한다. 최종으로 침전물에 TSB 배지 100 ul를 넣어 잘 현탁하여 TSA(TryptoicSoy Agar) 배지에 도말 한다. 이후, 37℃에서 20~24 시간 배양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보존제는 다음과 같다. D-Panthenol은 S.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으며 농도가 32 mM 를 초과할 때, 71.9ㅁ1.3% 저해능을 가진다. (* 32 mM = 0.6568%) 1,3-Butylen Glycol은 30% 일 때, 10% hexylene glycol 의 효능과 거의 유사하며, 10% HG는 20h 이내에 TSB의 모든 미생물을 죽일 수 있다. Pentylene Glycol은 typical use level은 0.5~2.0% 이다. Poly(etylene glycol)은 50% 일 때, E.coli 에 항균 활성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대조군 및 실험군의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양성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해보면 보존제 혼합물은 그람 음성균, 그람양성균 모두에 항균력을 가진다. 그 항균 활성능은 그람 양성균에서는 비교적 약하지만, 그람 음성균에 강하게 나타났다.
sample 4, sample 5가 그람 음성균, 양성균 모두에 비교적 항균력이 크다고 판단 되었고, 그 중 보존제 총 함량이 더 적은 sample 5를 항균성 조성물의 최적 혼합 비율이라고 사료된다.
보존제혼합 비율(Sample 5) = 1,2-hexanediol 3: 1.3 ButylenGlycol 1: D-Panthenol (Pro.Vit.B5) 0.5
실험예 3. 천연물별 항균력 확인 실험
시험대상 균주 확보는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균주 stock을 TSA 고체배지에 streaking 하여 37℃에서 24 시간 배양하여 단일 콜로니를 확보하였다. 단일 콜로니 하나만을 채취하여 TSA 액체배지 4 ml에 현탁한 뒤 37℃에서 18~24 시간 배양하여 균주배양액을 확보하였다. 이후, 실험을 진행하거나 냉장 보관하였다.
시험대상 샘플 및 농도
No. 시험대상 샘플 Stock 농도 분주량 최종 농도 비고
1 병풀잎 추출물 6.7 mg/ml 20 ul 134 ug/20ul
2 황금 추출물 20 mg/ml 20 ul 400 ug/20ul
3 무화과나무 추출물 20 mg/ml 20 ul 400 ug/20ul
4 오미자 추출물 52.45 mg/ml 20 ul 1,049 ug/20ul
5 오배자 추출물 20 mg/ml 20 ul 400 ug/20ul
6 지유 추출물 20mg/ml 20 ul 400 ug/20ul
7 Ampicillin 5.0 mg/ml 20 ul 100 ug/20ul Positive Control Working concentration = 100 ug/ml
8 Kanamycin 2.5 mg/ml 20 ul 50 ug/20ul Positive Control Working concentration = 50 ug/ml
9 Ethanol 70% 20 ul Control Sample 용매 = 70% Ethanol
표 2는 본 발명의 실험예 3에 따른 시험대상 샘플 및 샘플 농도를 나타낸다. 시험대상의 샘플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멸균된 호일이나 6 mm paper disc에 20 ul 씩 각각 분주하고 완전히 말린다.
멸균된 면봉에 균주 배양액을 묻혀 TSA 고체배지에 골고루 spreading한다. 샘플이 분주된 disc를 배지에 올린다. 37℃에서 18~24 시간 배양하여 clear zone을 확인하였다.
도 3 내지 도 4는 실험예 3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용매(70% EtOH)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천연물의 clear zone이 생성된다면 그것은 오로지 천연물의 항균력임을 알 수 있다. 황금 추출물과 오미자 추출물은 E.coliS.aureus에 항균 활성이 없다. 무화과 추출물과 오배자 추출물, 지유 추출물은 E.coliS.aureus에 clear zone이 생긴 것으로 보아,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모두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보며 그 항균력의 크기는 비슷한 것으로 판단된다.
병풀 추출물은 그람양성균에만 clear zone이 나타났지만, 134 ug/disc로 다른 천연물에 비해 약 3배 정도 농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clear zone의 크기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항균 활성 테스트가 진행된 천연물 중에 항균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4. 1차 항균성 조성물 최적 혼합 비율 확인
균액의 조제는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시험대상 균주를 각각 멸균된 TSB(Tryptoic Soy Broth) 5mL에 접종하여 37℃에서 18~22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여 균의 배양정도를 확인한다. 시험대상 균주의 초기 배양액을 TSB 배지(4℃ 냉장보관)로 10배 희석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4에 따른 시험군 샘플 및 혼합비율을 나타낸다. 시험군 및 대조군 조제는 다음과 같다. 시험군은 균액 5 ul에 외용소독제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다. 대조군은 균액 5 ul에 PBS(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액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다.
시험군 및 대조군의 배지 도말은 다음과 같다. 1~5분간 방치된 시험군(균액/외용소독제) 및 대조군(균액) 각각을 원심분리(13000 rpm, 5분)한 후, 상등액을 제거한다. TSB 1 ml를 넣어 현탁하고, 원심분리(13000 rpm, 5 min)를 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을 진행한다. 최종으로 침전물에 TSB 배지 100 ul를 넣어 잘 현탁하여 TSA (TryptoicSoy Agar) 배지에 도말한다. 37℃에서 20~24 시간 배양한다.
도 6은 실험예 4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모든 sample이 그람 음성균, 그람 양성균에 전반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보존제 조성물로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력을 확보하였고, 천연물 조성물로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력을 확보하였다고 판단된다.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모두 뛰어나며 그 중 sample 6, 7이 그람 양성균에 더 큰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며, Sample 7이 그람 음성균과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 우수하다고 사료된다.
실험예 5. 2차 항균성 조성물 최적 혼합 비율 확인
균액의 조제는 상기 실험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른 시험군 샘플 및 혼합비율을 나타내고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5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항균력이 가장 강했던 sample 7에서 항염 소재인 목향(80 ug/ml)을 추가하였고 (sample 10), 이것을 기준으로 잡아 천연소재 함유량 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항균제품인 70% ethanol과 락스 성분인 Medilox-P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에도,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조성물이 훨씬 우수한 항균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캣닙과 오미자는 항균력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sample 11이 항균력도 가장 우수하였고, sample 색도 가장 연해 여러 방면에 응용하여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6. 3차 항균성 조성물 최적 혼합 비율 확인
균액의 조제는 상기 실험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시험대상 균주를 각각 멸균된 TSB(Tryptoic Soy Broth) 5mL에 접종하여 37℃에서 18~22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여 균의 배양정도를 확인하였다. 시험대상 균주의 초기 배양액을 TSB 배지(4℃ 냉장보관)로 10배 희석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 6에 따른 시험군 샘플 및 농도를 나타낸다. 시험군 및 대조군의 조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험군은 균액 2 ul에 외용소독제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다. 대조군은 균액 2 ul에 PBS(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액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5분간 방치한다.
시험군 및 대조군의 배지 도말방법은 다음과 같다. 1~5분간 방치된 시험군(균액/외용소독제) 및 대조군(균액) 각각을 원심분리(13000 rpm, 5분)한 후, 상등액을 제거한다. TSB 1 ml를 넣어 현탁하고, 원심분리(13000 rpm, 5 min)를 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을 진행한다. 최종으로 침전물에 TSB 배지 100 ul를 넣어 잘 현탁하여 TSA (TryptoicSoy Agar) 배지에 도말한다. 37℃에서 20~24 시간 배양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험예 6에 따른 실험결과를 나타낸다. EtOH 함량이 20%일 때, 항균력이 가장 좋다. EtOH 함량을 낮춘다면, 15% 까지 낮춰도 항균력에 큰 영향은 없다. EtOH 함량이 10%일 때는 sample마다, 균주마다 항균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항균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항균 테스트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항균테스트 시험 결과를 보면 결과 값은 5.5 이상으로 99.999% 항균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균 테스트 결과
TEST ITEM UNIT RESULT TEST METHOD
Bactericidal test(E. coii) Log reduction > 5.52 ASTM E2315-16
Bactericidal test(S. aureus) Log reduction > 5.52 ASTM E2315-16
Bactericidal test(P. aeruginosa) Log reduction > 5.54 ASTM E2315-16
Bactericidal test(S. typhimurium) Log reduction > 5.54 ASTM E2315-16
Bactericidal test(B. subtilis) Log reduction 3.01 ASTM E2315-16
* Test conditions
- Concentration of the test solution : undiluted solution
- Reaction temperature : (22±2) ℃
- Reaction time : 5 minutes
** Test strains
- Escherichia coil ATCC 25922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522
-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3311
- Bacillus subtilis ATCC 6633
*** Log reduction(LR)
LR = mean log (microbial population) - mean log (surviving test population)
****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 log reduction ≥ 1: ≥ 90 % - log reduction ≥ 2: ≥ 99 %
一 log reduction ≥ 3 ≥ 99.9 % - log reduction ≥ 4:≥ 99.99 %
- log reduction ≥ 5: ≥ 99.999 %
표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항바이러스 테스트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진행하였다.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및 Rotavirus A (RVA)률 시험 바이러스로 사용하였으며,시료(원액)을 바이러스 배양액과 혼합하여 5분 동안 접촉시킨 후 바이러스 활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바이러스의 활성은 숙주세포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50% 조직배양감염량 분석법 [tissue culture 50 % infectious dose assay (logwTCIDso)]으로 측정하였다. 항바이러스 시험 결과 값은 2.37 및 1.25를 나타내어 실험 바이러스별로 90 내지 99%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바이러스 테스트 결과
TEST ITEM UNIT RESULT TEST METHOD
Virucidal test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Log reduction 2.37 ASTM E1052-20
Virucidal test [Rotavirus A) Log reduction 1.25 ASTM E1052-20
* Test conditions
- Conoenhatbn of the test solution: Undiluted solulion
- Reaction time: 5 minutes
- Reaction temperature: 22±2 ℃
** Test virus
-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Strain: Long, ATCC VR-26
- Rotavirus A, Strain: Wa (TC adapted), ATCC VR-2018
*** Host cells
- Hep-2, KCLB 10023 - CV-1, KCLB 10070
**** Log reduction (LR)
- LR = LU - LT
- LU = The titer recovered from the virus control specimen (untreated)
- LT = The titer recovered from virucidal test specimen (treated)
*****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 log reduction > 1 :> 90 % - log reduction > 2 :> 99 %
- log reduction > 3 :> 99.9 % - log reduction > 4 :> 99.99 %
실시 예 7. 항균성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
도 11은 본 발명의 항균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핸드크림을 나타낸다. 핸드크림은 100g 에 점증제, 보습제, pH 조절제, 유화제 등을 포함하는 제형을 갖추고 있으며 본원발명의 핵심 성분인 항균성조성물 3중량%, 보습제 4.5 중량%, 에탄올 15 내지 20중량%, 증류수 72.5 내지 77.5 중량%를 포함하여 핸드크림을 제조 하였다.
또한, 정제수 100 ml에 대해 본원발명의 항균성조성물 10 mg 및 pH 조절제로서 트리에탄올아민을 1 mg을 혼합하여 항균 보습제 미스트를 제조하였다. 이 미스트의 pH는 7.5이고, 상기 미스트를 성인의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하였다.
이외에도 본원발명의 항균성조성물 3중량%, 보습제 4.5 중량%, 에탄올 15 내지 20중량%, 증류수 72.5 내지 77.5 중량%를 포함하는 항균 화장품 및 항균성 제품(반려용 소독제등)을 제조할 수 있다. 화장품의 피부외용제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선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화장용물티슈,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항균성 제품(반려동물용)으로 항균 반려동물 티슈, 항균성 소독제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천연물질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그람양성 및 그럼음성균에 매우 우수한 항균력이 있어 이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성과 지속성이 우수하여 관련 산업인의 이윤 창출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4)

  1. 병풀잎 추출물, 황금 추출물, 목향 추출물, 무화과나무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2. 병풀잎 추출물 13.35중량%, 황금 추출물 3.3중량%, 목향 추출물 13.35중량%, 무화과나무 추출물 25중량%, 오미자 추출물 3.3중량%, 오배자 25 중량%, 지유 16.7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3중량%, 보습제 4.5 중량%, 에탄올 15 내지 20중량%, 증류수 72.5 내지 77.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화장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1,2-hexanediol 3 : 1.3 Butylen Glycol 1 : D-Panthenol(Pro.Vit.B5) 0.5 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KR1020210034789A 2021-03-17 2021-03-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89A KR102603259B1 (ko) 2021-03-17 2021-03-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89A KR102603259B1 (ko) 2021-03-17 2021-03-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96A true KR20220129896A (ko) 2022-09-26
KR102603259B1 KR102603259B1 (ko) 2023-11-15

Family

ID=83452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89A KR102603259B1 (ko) 2021-03-17 2021-03-17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2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70079497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4055A (ko) * 2013-09-23 2013-10-1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화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795917B1 (ko) 2016-03-24 2017-11-08 김동현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방향제용 조성물
KR101851972B1 (ko) 2015-10-21 2018-06-11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팜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02827A (ko) * 2017-03-08 2018-09-18 정관영 하이드로겔형 보습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KR20070079497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4055A (ko) * 2013-09-23 2013-10-16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화과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대한 빛 조사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851972B1 (ko) 2015-10-21 2018-06-11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팜 청호, 구절초, 애엽, 인진호, 괴각, 대계, 및 목향을 포함하는 한약 추출물이 함유된 탈모개선 및 탈모방지용 복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5917B1 (ko) 2016-03-24 2017-11-08 김동현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방향제용 조성물
KR20180102827A (ko) * 2017-03-08 2018-09-18 정관영 하이드로겔형 보습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516448호에는 무좀습진의 주 원인균인 트리코피톤 멘타그로파이트(Trichophyton mentagrophytes) 및 에피더모피톤 플로코섬(Epidermophyton floccosum)에 대하여 특이적인 항균 작용을 가지는 목향 추출물을 얻는 방법 및 목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773411호에는 대황, 연교, 적작약, 황련, 황금, 당귀, 치자, 빈랑, 목향, 박하, 길경 및 감초를 포함하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효능 및 SOD유사활성으로 확인한 항산화효과,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 및 피부 상재균 및 구강내 세균 균주에 대한 생육 저해활성을 나타내는바 항산화, 항암 및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NH 생약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259B1 (ko)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64409B1 (ko) 한방 추출물 및 미생물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살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2318361B1 (ko)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070065926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383519B1 (ko) 항균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1221A (ko) 붉나무, 지모, 가죽나무 추출물과 그 용도
KR101626048B1 (ko)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KR102603259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바이러스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0420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저자극 화장료 조성물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2252009B1 (ko) 비자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또는 살균용 조성물
KR102259004B1 (ko)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용 방부제 조성물
KR10232723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4762A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8003111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100787634B1 (ko) 방부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5917B1 (ko) 천연물질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12393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균소독용 조성물
KR102085292B1 (ko) 모하비유카, 모란뿌리, 지치뿌리 및 밀배아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