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877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877A
KR20220129877A KR1020210034755A KR20210034755A KR20220129877A KR 20220129877 A KR20220129877 A KR 20220129877A KR 1020210034755 A KR1020210034755 A KR 1020210034755A KR 20210034755 A KR20210034755 A KR 20210034755A KR 20220129877 A KR20220129877 A KR 2022012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nsor
flow path
cartrid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829B1 (ko
Inventor
박주언
김민규
이종섭
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3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829B1/ko
Priority to EP22771657.8A priority patent/EP4307943A1/en
Priority to JP2023516206A priority patent/JP2023541412A/ja
Priority to CN202280005595.2A priority patent/CN115942883A/zh
Priority to PCT/KR2022/003140 priority patent/WO2022196991A1/en
Priority to US18/015,935 priority patent/US20230263222A1/en
Publication of KR2022012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체를 저장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제1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인접하는 센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가 결합하는 바디; 로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되며, 에어로졸의 유동거리를 줄여,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액체에 대한 정보 및 스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 물체에 의하여 센서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장치 외부에서 센서로 향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체를 저장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제1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인접하는 센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가 결합하는 바디; 로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되며, 에어로졸의 유동거리를 줄여,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되는 액체에 대한 정보 및 스틱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나 외부 물체에 의하여 센서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장치 외부에서 센서로 향하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5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바디(110)와, 바디(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카트리지(40)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컨테이너(41)와, 제1 컨테이너(4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컨테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414)을 제공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상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스틱(80, 도 2 참조)은 삽입공간(414)에 삽입될 수 있다.
바디(110)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디(110)는 내부에 각종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바디(110)는 하부바디(110a)와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바디(110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바디(110a)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바디(110a)는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하부바디(110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벽(411, 421)을 마주할 수 있다.
탈착공간(115)은 하부바디(110a)와 상부바디(11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탈착공간(115)에서 바디(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탈착공간(115)은 제1 탈착공간(115a)과 제1 탈착공간(115a)의 하측에 위치한 제2 탈착공간(11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제1 탈착공간(115a)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42)는 제2 탈착공간(115b)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캡(120)을 포함할 수 있다. 캡(120)은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와 카트리지(40)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은 바디(110)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캡(120)은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부바디(110b)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측벽(121)은 상부바디(110b)의 측부와 카트리지(40)의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상벽(122)은 상부바디(110b)의 상부와 카트리지(4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오프닝(124)은 캡(120)의 상벽(122)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캡(120)의 오프닝(124)은 삽입공간(4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삽입공간(414)과 연통될 수 있다. 스틱(80, 도 2 참조)은 오프닝(124)을 통과하여 삽입공간(414)에 삽입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를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탈착공간(115)을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가 결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 삽입공간(414)에 스틱(80)이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삽입공간(414)에 삽입된 스틱(80)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40)에 저장된 액체의 용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를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삽입공간(414)을 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40)는 제1 컨테이너(41)와 제1 컨테이너(41)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컨테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외벽(411)과 내벽(412)을 구비할 수 있다. 외벽(4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411)은 제1 컨테이너(4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내벽(412)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벽(412)은 외벽(4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상측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내벽(412)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내벽(412)은 삽입공간(414, 도 3 참조)을 둘러싸며, 삽입공간(414)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은 제1 컨테이너(41)의 외부측벽(411) 또는 컨테이너(41)의 측벽(411)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은 내부측벽(41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은 제1 외벽(411a)과 제2 외벽(4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벽(411a)은 상부바디(110b)의 제1 측벽(111a)을 마주할 수 있다. 컨테이너(41)의 제2 외벽(411b)은 제1 외벽(411a)에 대향될 수 있다. 제2 외벽(411b)은 외부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외벽(411a)과 제2 외벽(411b)은 제1 컨테이너(41)의 측면 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외벽(411b)은 제1 외벽(411a)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벽(411a)은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부측벽(411a)으로 명명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제2 외벽(411b)은 제1 컨테이너(41)의 제2 외부측벽(411b)으로 명명될 수 있다.
컨테이너(41)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는 제1 챔버(C1)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과 내벽(4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저장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되는 공기는 유로부(20)를 통과할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1 챔버(C1)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42)는 내부에 제2 챔버(C2)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유로부(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챔버(C2)는 유로부와 연통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2 컨테이너(42)의 내부인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챔버(C1)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심지(31)는 재1 챔버(C1)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유로부(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2)는 제2 챔버(C2)에 설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를 권선할 수 있다. 히터(32)는, 액체를 제공받은 심지(31)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챔버(C2)에 유입된 공기는, 유로부(20) 및 삽입공간(414)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2 챔버(C2)에 유입된 공기는, 심지(31)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동반할 수 있다. 심지(3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유로부(20)를 통하여, 삽입공간(414)에 삽입된 스틱(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챔버(C1)가 스틱(8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액체를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심지(31) 및 히터(32)로부터 스틱(8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14)까지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될 수 있어,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32)가 심지를 가열하도록 히터(32)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각종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52)는 제어부(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하부바디(110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40)와 상부바디(110b)는,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디(110a)는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하부바디(110a)의 상단면과 상부바디(110b)의 일면에 일부를 둘러싸일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카트리지(4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기장.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에 의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의 상태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6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스틱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에 대한 정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과 내벽(412)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의 적어도 일부는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빛에 대하여 반사율과 굴절율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은 투명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테플론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411)과 내벽(412)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은 상하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삽입공간(414)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내벽(412)의 내측이 상하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틱(80 도 2 참조)은 삽입공간(414)에 삽입될 수 있다. 내벽(412)은 제1 챔버(C1)와 삽입공간(41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벽(412)은 삽입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스틱(80)이 삽입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삽입공간(414)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80)이 삽입공간(414)에 삽입되면, 스틱(80)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에 둘러싸이며, 내벽(412)에 밀착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과 내벽(412)은 제1 컨테이너(41)의 상벽(41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챔버(C1)는 제1 컨테이너(41)의 외벽(411), 내벽(412), 상벽(413) 및 제2 컨테이너(42)의 측벽(421) 및 하벽(42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심지(31)는 삽입공간(4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유로부(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챔버(C1)와 연결되어. 제1 챔버(C1)로부터 액체를 제공받아 흡수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과 제2 컨테이너(42)의 하벽(4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심지(3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심지(31)에 권선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에 열을 가할 수 있다. 히터(32)는 전기저항 가열에 의해, 심지(31)가 흡수한 액체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32)는 제어부(51)와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유로부(20)는 삽입공간(414)과 심지(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심지(31)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유로부(20)를 통과하여 삽입공간(414)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유로부(20)는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진 후,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은 상측 방향일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유로벽(2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유로부(20)중 상부는 상부유로벽(220)에 의해 둘러싸이고, 유로부(20)중 하부는 하부유로벽(2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심지(31)는 하부유로벽(210) 및 제2 컨테이너(42)의 하벽(422)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유로부(20)는 제1 유로(21), 제2 유로(22), 제3 유로(2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유로(21)는 심지(3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로(21)는 심지(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414)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4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 및 제2 유로(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 및 제2 유로(22)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제1 유로(21)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제2 유로(22)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과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은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유로(22)의 폭(W2)은 삽입공간(414)의 폭(W0)보다 작을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1 유로(21)로부터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414)으로 향할수록 폭(W2)이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은 제1 유로(21)에서 폭이 좁은 제3 유로(23)로 모인 다음, 제2 유로(22)를 통해 확산되는 바, 에어로졸이 심지(31)로부터 균일하게 발생되지 않더라도, 스틱(80, 도 2 참조)의 하부로 균일하게 유입될 수 있다(도 7 참조).
제1 유로(21)는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W1)이 좁아질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W2)이 좁아질 수 있다.
제3 유로(23)를 향하면서 제1 유로(21)의 폭(W1)이 좁아지는 정도는, 제3 유로(23)를 향하면서 제2 유로(22)의 폭(W2)이 좁아지는 정도보다 급격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으로부터 제3 유로(23)의 폭(W3)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L1)는,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으로부터 제3 유로(23)의 폭(W3)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L2)보다 짧을 수 있다. 즉, 길이 대비 폭의 변화량이 제1 유로(21)에서 제3 유로(23)로 향할 때 더 클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1, 제2 유로(22)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2, 제3 유로(23)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3, 제1 유로(21)의 상하방향 길이는 L1,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는 L2라 하면, (W1-W3)/(L1) > (W2-W3)/(L2)와 같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상하"??* 길이(L1)는,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L1 < L2).
이에 따라, 제1 유로(21)에서 유로 길이를 축소시키면서, 액체가 무화되어 제3 유로(23)로 모이도록 안내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3 유로(23)에 모인 에어로졸이 제2 유로(22)를 통해 삽입공간(414)으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유동할 수 있다(도 7 참조).
제3 유로(23)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 유로(21)의 상하방향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로부터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폭(W2)이 점차 확대되다가, 최대 폭(W2)을 형성하는 구간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W2)으로 삽입공간(41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제1 유로(21)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2 유로(22)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제3 유로(23)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 및 제3 유로면(231)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은 연속된 면을 형성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21)는 제3 유로(23)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W1)으로 연장되다가, 제3 유로(23) 부근에서 폭(W1)이 급격하게 좁아져 제3 유로(23)의 폭(W3)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면(211)과 심지(31) 사이에 제1 유로(21)의 공간을 확보하여, 제1 유로면(211)과 심지(31)의 사이 부분까지 에어로졸의 생성과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제2 유로면(22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대략 깔대기 형상 또는 벤츄리(Venturi)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되다가, 최대 폭(W2)을 형성하는 구간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W2)을 형성하며 삽입공간(414)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반경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22)로 확산될 때,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유로(22)의 폭(W2)은 삽입공간(414)의 하단과 접촉되는 제2 유로(22)의 상단에서 최대가 될 수 있다. 제2 유로(22)의 상단의 폭(W2)은 삽입공간(414)의 폭(W0)보다 좁을 수 있다.
돌출면(417)은 삽입공간(414)의 하단과 제2 유로(22)의 상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면(417)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면(417)은 스틱(80, 도 2 참조)의 하단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돌출면(417)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을 결정할 수 있다.
돌출면(417)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유로벽(220)의 상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돌출면(417)은 내벽(412)의 내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면(417)과 내벽(412)의 내면은 삽입공간(414)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돌출면(417)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면(417)이 돌출된 길이(L3)는, 스틱(80)의 하단의 가장자리가 지지됨과 동시에, 에어로졸의 유량 손실이 최소화되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심지(31)는 제1 유로(2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히터(32)는 심지(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심지(31)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폭(W1)은 히터(32)의 폭(W4)보다 넓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히터(32)의 폭(W4)보다 좁을 수 있다. 유로부(20)의 폭방향은 좌우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32)가 심지(31)에 흡수된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 심지(31)의 에어로졸 생성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이 제3 유로(23)로 모인 다음, 제2 유로(22)에서 삽입공간(414)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유로면(221)에 형성된 제1 벤딩구간(222)과 제2 벤딩구간(22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2 유로면(2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3 유로(23)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제1 컨테이너(41)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제2 유로면(2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삽입공간(414)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제1 벤딩구간(222)으로부터 제1 컨테이너(4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제1 컨테이너(4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된 다음, 삽입공간(414)에 인접한 부근에서, 삽입공간(414)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은, 제2 유로면(221)의 제1 벤딩구간(222)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확산되며, 제2 유로면(221)의 제2 벤딩구간(223)을 따라 삽입공간(414)으로 직진성을 가지고 유입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22)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유동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부유로벽(220)은 제1 컨테이너(41)의 내벽(41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유로벽(220)은 내벽(4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유로면(221) 및 제3 유로면(231)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홈부(226)는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홈부(226)는 상부유로벽(220)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하부유로벽(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제1 유로면(2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하부유로벽(2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홈부(226)에 삽입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삽입부(216)가 홈부(226)에 삽입되면, 상부유로벽(220)과 하부유로벽(21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제1 유로(21)의 폭(W1, 도 4 참조)의 크기를 규정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하는 제1 유로면(211)이 좌우방향으로 함몰된 정도에 따라서, 제1 유로(21)의 폭(W1)이 달라질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제1 유로면(211)이 내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록 제1 유로(21)의 폭(W1)이 더 좁아질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제1 유로면(211)이 외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록, 제1 유로(21)의 폭(W1)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21)의 폭(W1)은, 상부유로벽(220)에 결합되는 하부유로벽(210)의 규격에 따라 규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가 제1 유로(21)에 노출되는 길이(W1) 및 히터(32)가 심지(31)에 권선되는 폭(W4)을 변경하여, 심지(31)에서 액체가 무화되는 면적을 규정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심지(3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제1 유로(21)의 길이(L1)를 규정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과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연결면(212)이라 명명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21)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제3 유로(2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을 연결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로부터 이격되어 심지(31)를 마주할 수 있다.
연장면(212)과 심지(3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 유로(21)의 높이(L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21)를 기준으로, 심지(31)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단부는, 제1 유로면(211), 심지(31) 및 연장면(2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은 제1 유로(21)의 단부에 체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이 유동하여 모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심지(31)의 끝단까지 흡입력이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에 의하여, 제1 유로(21)의 단부에서 난류가 형성되는 바, 심지(31)에서 에어로졸의 발생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다(도 7 참조).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과 연장면(2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21)의 상단의 엣지 부분과 접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으로부터 연장면(212)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연장면(212)과 제3 유로면(2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제1 유로(21)와 제3 유로(23)의 사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연장면(212)으로부터 제3 유로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21)로부터 제3 유로(23)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유동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하부유로벽(210)의 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제1 유로(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가 삽입되도록 심지(31)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를 구성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제1 유로면(211)과 연결될 수 있다.
심지(31)는 심지삽입면(215)과 제2 컨테이너(42)의 하벽(422)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1)가 삽입되면,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의 상단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에 밀착되어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상부유로벽(220, 도 5 참조)과 하부유로벽(210, 도 5 참조)은 결합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유로벽(220a)을 구성할 수 있다. 유로벽(220a)은 상부유로벽(220)과 하부유로벽(210)이 결합된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요소 간 결합 공정이 제외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 간의 결합 부위를 통하여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연장면(212a)은 하부유로벽(210b)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21)와 접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과 제1 연장면(212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상부유로벽(220b)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1 유로(21)와 접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제1 연장면(212b)과 제3 유로면(2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제1 연장면(212a)과 제2 연장면(212b)의 사이에서 소정의 깊이만큼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하부유로벽(210b)과 상부유로벽(220b)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제1 유로(21)의 상부를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에 의하여, 함몰부(212c)에 인접한 위치에서 난류가 더 형성되는 바, 심지(31)에서 에어로졸의 발생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제어부(51)는 각종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연결된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출력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출력부(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부(55)는 전원의 온/오프, 히터(32)의 작동여부, 스틱에 대한 정보, 액체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배터리에 대한 정보 등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구성들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출력부(55)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55)는 디스플레이(55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1)는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55)는 햅틱출력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출력부(552)는,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햅틱출력부(552)는 진동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출력부(55)는 음향출력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553)는 정보에 따른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553)는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입력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입력부(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54)에 전원의 온/오프, 히터(32)의 작동, 등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입력부(54)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메모리(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모리(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56)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6)는 제어부(51)로부터 각종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51)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모리(5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에 의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인접한 물체의 상태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62)는 근접센서일 수 있다. 센서(62)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62)는 정전용량형 센서 또는 커패시턴스 센서(capacitance senso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62)는 자기형 근접센서(magnetic proximity sensor)일 수 있다. 센서(62)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51)는 센서(62)로부터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에 따라 출력하는 값을 분석하여 카트리지에 대한 정보, 카트리지에 저장된 액체에 대한 정보, 스틱에 대한 정보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바디(110a)는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카트리지(40)의 측부를 마주할 수 있다.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의 일측을 마주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컨테이너(4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전자기파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에이로졸 생성장치(100) 외부의 전자기장으로부터 센서(62)가 영향을 받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전자기장이 통과되지 않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유닛(63)은 도체 또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 및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바디(110b)는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하는 제1 측벽(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1a)은 카트리지(40)의 일측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측벽(111a)은 제1 컨테이너(41)의 제1 외벽(411a)과 마주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측벽(111a)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측벽(111a)을 향할 수 있다.
상부바디(110b)는 제1 측벽(111a)에 대향되는 제2 측벽(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벽(111b)은 외부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측벽(111a)과 제2 측벽(111b)은 상부바디(110b)의 측면 둘레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측벽(111b)은 제1 측벽(111a)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벽(111b)은 센서(62)를 덮을 수 있다.
탈착공간(115)은 제1 측벽(111a)과 하부바디(110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40)는 탈착공간(115)에서 바디(110)와 결합될 수 있다. 센서(62)는 상부바디(110b)에 설치되어 탈착공간(115)을 향할 수 있다. 센서(62)는 바디(110)와 결합된 카트리지(40)를 향할 수 있다.
바디(110)는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삽입벽(11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벽(113)은 상부바디(110b) 및 하부바디(110a)와의 사이에서 탈착공간(115)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삽입벽(113)은 제2 컨테이너(4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도 1 참조).
탈착공간(115)은 제1 탈착공간(115a)과 제1 탈착공간(115a)의 하측에 위치한 제2 탈착공간(11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컨테이너(41)는 제1 탈착공간(115a)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컨테이너(42)는 제2 탈착공간(115b)에 위치될 수 있다. 삽입벽(113)은 제2 탈착공간(115b)을 둘러쌀 수 있다(도 1 참조).
바디(110)는, 감지영역과,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감지영역은, 카트리지(40)와 센서(6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62)는 감지영역에 인접하여 바디(11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62)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40)가 바디(110)에 결합 또는 탈착되면,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80)이 삽입공간(414)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면,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틱(80)이 사용되면, 사용된 정도에 따라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테이너(41)에 저장된 액체의 용량의 변화에 따라 감지영역에서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카트리지(40)와 센서(62)의 사이를 제외한 위치에서, 센서(62)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센서(62)를 향하는 외부 전자기장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센서(62)로 차폐유닛(63)는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전자기장이 센서(62)에 영향을 주는 것을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센서(62)의 측부 중 일부를 둘러싸는 제1 파트(6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1 파트(632)는 제2 측벽(111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632)는 제2 측벽(111b)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트(632)는 센서(62)의 일부를 둘러싸고, 카트리지(40)와 센서(62)의 사이는 둘러싸지 않을 수 있다. 제1 파트(632)는 제1 측벽(111b)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센서(62)의 상측에 배치된 제2 파트(632)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2 파트(632)는 센서(6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2 파트(632)는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트(632)는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과 결합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삽입벽(1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파트(633)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3 파트(633)는 제2 탈착공간(115b)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파트(633)는 제2 컨테이너(42)의 측부 중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하부바디(110a)와 상부바디(11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4 파트(634)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4 파트(634)는 센서(63)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4 파트(634)는 상부바디(110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4 파트(634)는 하부바디(110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파트(634)는 제2 탈착공간(115b)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제4 파트(634)는 카트리지(40)의 하부 또는 제2 컨테이너(41)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영역(A3)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외측에서 제1 컨테이너(41)의 제2 외벽(411b)을 둘러싸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영역(A3)은 캡(120)의 측벽(121)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 이외의 부분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의 측부를 둘러싸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차폐유닛(63)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와 접촉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서 전자기파가 센서(6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나 외부 물체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접촉되더라도 센서(62)에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제3 영역(A3)에서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캡(120)의 측벽(121)은, 제1 컨테이너(41)를 덮는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3 영역(A3)에서 캡(120)의 윈도우를 통해 제1 컨테이너(41)에 저장된 액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캡(120)은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와 카트리지(40)를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측벽(121)은 카트리지(40)의 측벽(411, 421)과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을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상벽(122)은 카트리지(40)의 상벽(413)과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을 덮을 수 있다. 캡(120)은 바디(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4 파트(634)는 캡(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캡(120)의 외벽(121, 122) 중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캡(12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캡(120)이 바디(110)에 결합되면, 차폐유닛(63)은 센서(62)의 외부를 둘러쌀 수 있다. 캡(120)이 바디(110)로부터 이탈되면, 차폐유닛(63)도 캡(120)과 함께 바디(1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캡(120)의 측벽(12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5 파트(635)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5 파트(635)는 센서(62)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5 파트(635)는 카트리지(40)의 측벽(411, 421)과 상부바디(110b)의 측벽(111)을 덮을 수 있다.
캡(120)의 측벽(121)은, 제1 컨테이너(41)를 덮는 부분 중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빛을 투과하는 윈도우(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유닛(63)의 제5 파트(635)는 윈도우(121a)가 형성된 부분을 덮지 않을 수 있다.
차폐유닛(63)은 캡(120)의 상벽(122)에 배치되는 제6 파트(6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파트(636)는 센서(62)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제6 파트(636)는 카트리지(40)의 상벽(413)과 상부바디(110b)의 상벽(112)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나 외부 물체가 에어로졸 생성장치(100)에 접촉되더라도 센서(62)에 정확도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캡(120)의 윈도우(121a)를 통해 제1 컨테이너(41)에 저장된 액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100)는,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414)을 정의하는 내벽(412)을 구비하고, 외벽(411)과 상기 내벽(412) 사이에 액체를 저장하는 챔버(C1)를 구비하는 제1 컨테이너(41); 상기 제1 컨테이너(41)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42); 상기 제2 컨테이너(42) 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C1)와 연결되는 심지(31); 및 상기 심지(31)를 가열하는 히터(32)를 포함하는 카트리지(40); 상기 카트리지(4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센서(62); 상기 카트리지(40)와 상기 센서(62)가 결합되는 바디(110); 로서, 상기 카트리지(40)와 상기 센서(62)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110);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63)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62)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는, 상기 카트리지(40)의 하부를 마주하는 하부바디(110a); 및 상기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40)의 측부를 마주하는 상부바디(110b)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62)는, 상기 상부바디(110b)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바디(110b)는, 상기 카트리지(40)의 측면을 마주하는 제1 측벽(111a); 및 상기 제1 측벽(111a)에 대향되는 제2 측벽(111b)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제2 측벽(111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측부를 덮는 제1 파트(6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상부바디(110a)의 상벽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상부를 덮는 제2 파트(6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는, 상기 하부바디(110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4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삽입벽(113)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62)는, 상기 제1 컨테이너(41)를 마주하고,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삽입벽(1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파트(6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하부바디(110a)와 상기 상부바디(110b)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하부를 덮는 제4 파트(6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파트(634)는, 상기 카트리지(40)의 하부 및 상기 센서(62)의 하부를 덮을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카트리지(40)를 덮고, 상기 삽입공간(414)과 연통되는 오프닝(124)이 형성된 캡(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캡(120)의 외벽(121, 122)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캡(120)의 측벽(12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5 파트(6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상기 캡(120)의 상벽(122)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62)의 상부를 덮는 제6 파트(6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에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폐유닛(63)은, 전자기장이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1)

  1. 길게 연장된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체를 저장하는 챔버를 구비하는 제1 컨테이너; 상기 제1 컨테이너와 결합되는 제2 컨테이너; 상기 제2 컨테이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챔버와 연결되는 심지; 및 상기 심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에 인접하는 센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가 결합하는 바디; 로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감지영역과, 상기 감지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비감지영역을 정의하는 바디; 및
    상기 비감지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영역의 전자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를 마주하는 하부바디; 및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측부를 마주하는 상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상부바디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카트리지의 측면을 마주하는 제1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에 대향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제2 측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측부를 덮는 제1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상부바디의 상벽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상부를 덮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하부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컨테이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삽입벽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제1 컨테이너를 마주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삽입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3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하부를 덮는 제4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파트는,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 및 상기 센서의 하부를 덮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덮고, 상기 삽입공간과 연통되는 오프닝이 형성된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캡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캡의 측벽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측부를 둘러싸는 제5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캡의 상벽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의 상부를 덮는 제6 파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전자기장이 통과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0210034755A 2021-03-17 2021-03-17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45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55A KR102545829B1 (ko) 2021-03-17 2021-03-17 에어로졸 생성 장치
EP22771657.8A EP4307943A1 (en) 2021-03-17 2022-03-07 Aerosol-generating device
JP2023516206A JP2023541412A (ja) 2021-03-17 2022-03-07 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202280005595.2A CN115942883A (zh) 2021-03-17 2022-03-07 气溶胶产生装置
PCT/KR2022/003140 WO2022196991A1 (en) 2021-03-17 2022-03-07 Aerosol-generating device
US18/015,935 US20230263222A1 (en) 2021-03-17 2022-03-07 Aerosol-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55A KR102545829B1 (ko) 2021-03-17 2021-03-17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77A true KR20220129877A (ko) 2022-09-26
KR102545829B1 KR102545829B1 (ko) 2023-06-20

Family

ID=8332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55A KR102545829B1 (ko) 2021-03-17 2021-03-17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63222A1 (ko)
EP (1) EP4307943A1 (ko)
JP (1) JP2023541412A (ko)
KR (1) KR102545829B1 (ko)
CN (1) CN115942883A (ko)
WO (1) WO202219699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3191A1 (en) * 2017-10-25 2019-05-09 Joyetech Europe Holding Gmbh Electronic cigarette
KR20190117488A (ko) * 2017-02-28 2019-10-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극 및 센서가 구비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00044022A (ko) * 2017-09-15 2020-04-28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KR20200089152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복수의 지자기센서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787A (ko) *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WO2019129630A1 (en) * 2017-12-28 2019-07-04 Jt International Sa Induction heating assembly for a vapour generating device
KR102281868B1 (ko) * 2019-06-11 2021-07-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488A (ko) * 2017-02-28 2019-10-1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전극 및 센서가 구비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00044022A (ko) * 2017-09-15 2020-04-28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흡연 가능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
US20190133191A1 (en) * 2017-10-25 2019-05-09 Joyetech Europe Holding Gmbh Electronic cigarette
KR20200089152A (ko) * 2019-01-16 2020-07-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복수의 지자기센서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에어로졸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42883A (zh) 2023-04-07
WO2022196991A1 (en) 2022-09-22
US20230263222A1 (en) 2023-08-24
EP4307943A1 (en) 2024-01-24
JP2023541412A (ja) 2023-10-02
KR102545829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727B2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detergent dosing system with fill level detection
KR20220129877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5898915U (zh) 一种主机结构及气溶胶产生装置
KR10258697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30329350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RU28084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10257382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7041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38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20125565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5591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KR20230105299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40156163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US20240074498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KR102621736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20240148073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KR2023005653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7156989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064522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7222334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20123966A (ko)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40003920A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위한 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KR2023005592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A3216634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support providing air to aerosol generating article
KR20230094496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