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6970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6970B1
KR102586970B1 KR1020210009173A KR20210009173A KR102586970B1 KR 102586970 B1 KR102586970 B1 KR 102586970B1 KR 1020210009173 A KR1020210009173 A KR 1020210009173A KR 20210009173 A KR20210009173 A KR 20210009173A KR 102586970 B1 KR102586970 B1 KR 10258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flow path
insertion space
w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6343A (ko
Inventor
박주언
조병성
김민규
이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00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970B1/ko
Priority to CN202280006181.1A priority patent/CN116056598A/zh
Priority to PCT/KR2022/000368 priority patent/WO2022158772A1/en
Priority to US18/013,204 priority patent/US20230276846A1/en
Priority to JP2023516271A priority patent/JP2023541163A/ja
Priority to EP22742748.1A priority patent/EP4280901A1/en
Priority to CA3185268A priority patent/CA3185268A1/en
Publication of KR2022010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길게 연장되며,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결되는 심지와, 상기 심지에 열을 가하는 히터와,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심지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에서 상기 컨테이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 또는 물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매질은 다양한 성분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의 향미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질에 포함되는 물질은 니코틴 성분, 허브 성분 및/또는 커피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액상을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심지 및 히터와 스틱간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되어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액상 저장공간의 외측면에 센서 등 각종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액상 저장공간을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제품을 잡기 용이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스틱이 삽입되는 공간을 침범하거나, 스틱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틱에 대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길게 연장되며,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결되는 심지와, 상기 심지에 열을 가하는 히터와,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심지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부와,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에서 상기 컨테이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된 컨테이너의 내측에 스틱이 삽입 가능하게 설계되어, 액상을 저장하는 공간의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와 연결된 심지와 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로부터 스틱까지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될 수 있어, 에어로졸의 유동 거리를 줄어들고,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된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가 형성된 컨테이너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외벽의 면을 구비함으로써, 각종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함과 동시에, 액상 저장공간을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제품을 잡기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센서가 컨테이너의 외측에 배치됨으로써, 스틱이 삽입되는 공간을 침범하거나, 스틱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고, 빛이 챔버를 투과하여 반사됨으로써, 센서가 감지한 감지값에 기초하여 스틱에 대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방향을 정의한다. 직교좌표계에서 x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좌우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지준으로, +x를 향하는 방향은 우측방향, -x를 향하는 방향은 좌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y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상하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원점을 기준으로 +y를 향하는 방향은 상측방향, -y를 향하는 방향은 하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이너(10)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상하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외벽(11)과 내벽(12)을 구비할 수 있다. 외벽(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외벽(11)은 컨테이너(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외벽(1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길이방향은, 컨테이너(10)가 길게 연장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길이방향은 상하방향일 수 있다.
내벽(12)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내벽(12)은 컨테이너(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벽(12)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실린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내벽(12)는 외벽(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내벽(12)은 외벽(11)으로부터 반경 내측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외벽(11)과 내벽(12)은 상측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챔버(101)는 외벽(11)과 내벽(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챔버(10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챔버(101)는 외벽(11)과 내벽(1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챔버(101)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액상은 챔버(101)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유로부(20)는 내벽(12)의 내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되는 공기는 유로부(20)를 통과할 수 있다.
심지(31)는 챔버(101)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심지(31)는 챔버(101) 내에 저장된 액상을 흡수할 수 있다. 심지(31)는 컨테이너(10)의 길이방향에서, 삽입공간(102)의 일단에 인접할 수 있다.
스틱(40)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틱(40)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40)은 컨테이너(1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스틱(40)은 컨테이너(10)의 내벽(1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1)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유로부(20)를 통하여 스틱(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이 저장되는 컨테이너(10)의 챔버(101)가 스틱(4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액상 저장 공간의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101)와 연결된 심지(31) 및 액상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히터(32, 도 2 참조)로부터 스틱(40)까지의 거리가 가깝게 배치될 수 있어, 에어로졸의 열전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메인바디(50)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바디(50)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바디(50)는 상하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0)와 메인바디(5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메인바디(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메인바디(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10)와 메인바디(50)는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인바디(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 도 2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히터(32)가 심지를 가열하도록 히터(32)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메인바디(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52)는 제어부(51) 및/또는 단자(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52)은 제어부(5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자(53)는 메인바디(5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53)는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52)로 전달할 수 있다. 단자(53)은 메인바디(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53)는 배터리(5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내벽(12)은 상하방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삽입공간(102)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공간(102)은 내벽(12)의 내측이 상하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틱(40, 도 1 참조)은 삽입공간(102)에 삽입될 수 있다. 내벽(12)은 챔버(101)와 삽입공간(1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벽(12)은 삽입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삽입공간(102)은 스틱(40)이 삽입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102)은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삽입공간(102)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스틱(40)은 내벽(12)에 둘러싸이며, 내벽(12)에 밀착될 수 있다.
외벽(11)과 내벽(12)은 컨테이너(10)의 상부(1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챔버(101)는 컨테이너(10)의 외벽(11), 내벽(12), 상부(15) 및 하부(16)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심지(31)는 삽입공간(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유로부(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심지(31)는 챔버(101)와 연결되어. 챔버(101) 내에 저장된 액상을 흡수할 수 있다. 심지(31)는, 내벽(12)과 컨테이너(10)의 하부(16)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심지(3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심지(31)에 권선될 수 있다. 히터(32)는 심지에 열을 가할 수 있다. 히터(32)는 전기저항 가열에 의해, 심지(31)가 흡수한 액상으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32)는 제어부(51, 도 1 참조)와 연결되어, 전력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유로부(20)는 삽입공간(102)과 심지(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심지(31)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유로부(20)를 통과하여 삽입공간(102)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유로부(20)는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을 따라 폭이 좁아진 후,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의 유동 방향은 상측 방향일 수 있다.
유로부(20)는 내벽(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유로벽(2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유로부(20)중 상부는 상부유로벽(220)에 의해 둘러싸이고, 유로부(20)중 하부는 하부유로벽(2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심지(31)는 하부유로벽(210) 및 컨테이너(10)의 하부(16)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로부(20)는 제1 유로(21), 제2 유로(22), 제3 유로(23)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유로(21)는 심지(3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유로(21)는 심지(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10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10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 및 제2 유로(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유로(23)는 제1 유로(21) 및 제2 유로(22)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제1 유로(21)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제2 유로(22)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과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은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유로(22)의 폭(W2)은 삽입공간(102)의 폭(W0)보다 작을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1 유로(21)로부터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유로부(20)는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질 수있다. 제2 유로(22)는 삽입공간(102)으로 향할수록 폭(W2)이 점차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은 제1 유로(21)에서 폭이 좁은 제3 유로(23)로 모인 다음, 제2 유로(22)를 통해 확산되는 바, 에어로졸이 심지(31)로부터 균일하게 발생되지 않더라도, 스틱(40, 도 1 참조)의 하부로 균일하게 유입될 수 있다(도 6 참조).
제1 유로(21)는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W1)이 좁아질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로 향할수록 폭(W2)이 좁아질 수 있다.
제3 유로(23)를 향하면서 제1 유로(21)의 폭(W1)이 좁아지는 정도는, 제3 유로(23)를 향하면서 제2 유로(22)의 폭(W2)이 좁아지는 정도보다 급격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최대 폭(W1)으로부터 제3 유로(23)의 폭(W3)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L1)는,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으로부터 제3 유로(23)의 폭(W3)까지 도달하기 위한 거리(L2)보다 짧을 수 있다. 즉, 길이 대비 폭의 변화량이 제1 유로(21)에서 제3 유로(23)로 향할 때 더 클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1, 제2 유로(22)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2, 제3 유로(23)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폭은 W3, 제1 유로(21)의 상하방향 길이는 L1,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는 L2라 하면, (W1-W3)/(L1) > (W2-W3)/(L2)와 같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제1 유로(21)의 상하"??* 길이(L1)는,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L1 < L2).
이에 따라, 제1 유로(21)에서 유로 길이를 축소시키면서, 액상이 무화되어 제3 유로(23)로 모이도록 안내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3 유로(23)에 모인 에어로졸이 제2 유로(22)를 통해 삽입공간(102)으로 균일하게 확산되어 유동할 수 있다(도 6 참조).
제3 유로(23)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 유로(21)의 상하방향 길이(L1)보다 짧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2 유로(22)의 상하방향 길이(L2)보다 짧을 수 있다.
제2 유로(22)는 제3 유로(23)로부터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폭(W2)이 점차 확대되다가, 최대 폭(W2)을 형성하는 구간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W2)으로 삽입공간(10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제1 유로(21)를 둘러쌀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2 유로(22)를 둘러쌀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제3 유로(23)를 둘러쌀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 및 제3 유로면(231)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은 연속된 면을 형성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21)는 제3 유로(23)를 향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W1)으로 연장되다가, 제3 유로(23) 부근에서 폭(W1)이 급격하게 좁아져 제3 유로(23)의 폭(W3)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면(211)과 심지(31) 사이에 제1 유로(21)의 공간을 확보하여, 제1 유로면(211)과 심지(31)의 사이 부분까지 에어로졸의 생성과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제2 유로면(221)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유로면(231)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반경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는 대략 깔대기 형상 또는 벤츄리(Venturi)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외측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되다가, 최대 폭(W2)을 형성하는 구간부터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W2)을 형성하며 삽입공간(102)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반경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22)로 확산될 때, 유동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제2 유로(22)의 폭(W2)은 삽입공간(102)의 하단과 접촉되는 제2 유로(22)의 상단에서 최대가 될 수 있다. 제2 유로(22)의 상단의 폭(W2)은 삽입공간(102)의 폭(W0)보다 좁을 수 있다.
돌출면(17)은 삽입공간(102)의 하단과 제2 유로(22)의 상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면(17)은 컨테이너(10)의 내벽(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면(17)은 스틱(40)의 하단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돌출면(17)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2 유로(22)의 최대 폭(W2)을 결정할 수 있다.
돌출면(17)은 내벽(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상부유로벽(220)의 상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돌출면(17)은 내벽(12)의 내면(12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면(17)과 내면(121)은 삽입공간(102)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유로면(221)은 돌출면(17)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면(17)이 돌출된 길이(L3)는, 스틱(40, 도 1 참조)의 하단의 가장자리가 지지됨과 동시에, 에어로졸의 유량 손실이 최소화되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지(31)는 제1 유로(2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히터(32)는 심지(31)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심지(31)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폭(W1)은 히터(32)의 폭(W4)보다 넓을 수 있다. 제3 유로(23)의 폭(W3)은 히터(32)의 폭(W4)보다 좁을 수 있다. 컨테이너(10)가 상하"?향으?* 연장된 경우, 유로부(20)의 폭방향은 좌우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32)가 심지(31)에 흡수된 액상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때 심지(31)의 에어로졸 생성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이 제3 유로(23)로 모인 다음, 제2 유로(22)에서 삽입공간(102)으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유로면(221)에 형성된 제1 벤딩구간(222)과 제2 벤딩구간(22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2 유로면(22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3 유로(23)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벤딩구간(222)은 제3 유로면(231)으로부터 컨테이너(10)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제2 유로면(22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삽입공간(102)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제1 벤딩구간(222)으로부터 컨테이너(1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될 수 있다. 제2 벤딩구간(223)은 컨테이너(1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벤딩된 다음, 삽입공간(102)에 인접한 부근에서,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은, 제2 유로면(221)의 제1 벤딩구간(222)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확산되며, 제2 유로면(221)의 제2 벤딩구간(223)을 따라 삽입공간(102)으로 직진성을 가지고 유입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제3 유로(23)로부터 제2 유로(22)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유동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부유로벽(220)은 내벽(12)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유로벽(220)은 내벽(12)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유로면(221) 및 제3 유로면(231)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할 수 있다.
홈부(226)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홈부(226)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하부유로벽(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제1 유로면(211)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은 하부유로벽(210)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6)는 홈부(226)에 삽입되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삽입부(216)가 홈부(226)에 삽입되면, 상부유로벽(220)과 하부유로벽(21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상부유로벽(220)의 하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은 제1 유로(21)의 폭(W1, 도3 참조)의 크기를 규정할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내면을 구성하는 제1 유로면(211)이 좌우방향으로 함몰된 정도에 따라서, 제1 유로(21)의 폭(W1)이 달라질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제1 유로면(211)이 내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록 제1 유로(21)의 폭(W1)이 더 좁아질 수 있다. 하부유로벽(210)의 제1 유로면(211)이 외측에 가깝게 형성될 수록, 제1 유로(21)의 폭(W1)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21)의 폭(W1)은, 특정한 규격의 하부유로벽(210)을 상부유로벽(220)에 결합하여 규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 도 3 참조)가 제1 유로(21)에 노출되는 길이(W1) 및 히터(32, 도 3 참조)가 심지(31)에 권선되는 폭(W4)을 변경하여, 심지(31)에서 액상이 무화되는 면적을 규정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심지(31)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면(211)은 제1 유로(21)의 길이(L1)를 규정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상부유로벽(220)의 내면과 하부유로면(210)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21)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제3 유로(2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과 제3 유로면(231)을 연결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로부터 이격되어 심지(31)를 마주할 수 있다.
연장면(212)과 심지(31)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 유로(21)의 높이(L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21)를 기준으로, 심지(31)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심지(3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1 유로면(211)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면(212)은 제3 유로면(231)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로(21)의 단부는, 제1 유로면(211), 심지(31) 및 연장면(21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은 제1 유로(21)의 단부에 체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이 유동하여 모일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심지(31)의 끝단까지 흡입력이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에 의하여, 제1 유로(21)의 단부에서 난류가 형성되는 바, 심지(31)에서 에어로졸의 발생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다(도 6 참조).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과 연장면(2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21)의 상단의 엣지 부분과 접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으로부터 연장면(212)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연장면(212)과 제3 유로면(2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제1 유로(21)와 제3 유로(23)의 사이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연장면(212)으로부터 제3 유로면을 향하여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로(21)로부터 제3 유로(23)로 확산되는 에어로졸의 유동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하부유로벽(210)의 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제1 유로(21)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가 삽입되도록 심지(31)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개구를 구성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제1 유로면(211)과 연결될 수 있다.
심지(31)는 심지삽입면(215)과 컨테이너(10)의 하부(16)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심지(31)가 삽입되면,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의 상단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심지삽입면(215)은 심지(31)에 밀착되어 액상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부유로벽(220, 도 4 참조)과 하부유로벽(210, 도 4 참조)은 결합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유로벽(220a)을 구성할 수 있다. 유로벽(220a)은 상부유로벽(220)과 하부유로벽(210)이 결합된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성요소 간 결합 공정이 제외될 수 있으며, 구성요소 간의 결합 부위를 통하여 액상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연장면(212a)은 하부유로벽(210b)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21)와 접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장면(212a)은 제1 유로면(211)의 상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엣지부(213)는 제1 유로면(211)와 제1 연장면(212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상부유로벽(220b)의 내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1 유로(21)와 접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면(212b)은 제3 유로면(231)의 하단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엣지부(214)는 제1 연장면(212b)와 제3 유로면(23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제1 연장면(212a)과 제2 연장면(212b)의 사이에서 소정의 깊이만큼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하부유로벽(210b)과 상부유로벽(220b)이 결합되는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12c)는 제1 유로(21)의 상부를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31)의 끝단에서 무화된 에어로졸에 의하여, 함몰부(212c)에 인접한 위치에서 난류가 더 형성되는 바, 심지(31)에서 에어로졸의 발생 부위에 편차가 있더라도, 에어로졸을 균일하게 섞어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테이너(10)의 상부(15)는 외벽(11)과 내벽(12)의 상측에 형성되며, 외벽(11)과 내벽(12)을 연결할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상부(15)는 챔버(101)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상부(15)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공간(102)을 둘러쌀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내면(121)은, 내벽(12)과 상부(15)의 내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내면(12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경사면(152)은 컨테이너(10)의 상단면(151)과 내면(121) 사이에 형성되어, 상단면(151)과 내면(121)을 연결할 수 있다. 경사면(152)은 컨테이너(10)의 상단면(151)으로부터 내면(121)까지 완곡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52)은 내면(121)으로부터 상단면(151)을 향해 반경 외측방향으로 점차 확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경사면(152)은 외측 방향으로 경사를 가짐으로써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내면(121), 상단면(151) 및 경사면(152)은 연속된 면을 구성할 수 있다.
경사면(152)의 하단이 형성하는 폭(W0)은 경사면(152)의 상단이 형성하는 폭(W5)보다 더 좁을 수 있다. 경사면(152)의 하단이 형성하는 폭(W)과 내면(121)이 형성하는 폭(W0)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40)을 삽입공간(102)에 삽입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플러그(41)은 스틱(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43)는 스틱(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과립부(42)은 스틱(40)의 내부에서 플러그(41)와 필터부(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매질은 과립부(42)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테이너(10)에 삽입된 스틱(40)의 필터부(43)를 입에 물은 상태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틱(4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심지(31)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은, 유로부(20)를 통과한 뒤, 플러그(41)를 거쳐 과립부(42)로 유입될 수 있다. 과립부(42)에 유입된 에어로졸은 매질의 성분을 포함하여 필터부(43)로 유입된 다음, 필터링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메인바디(5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메인바디(5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메인바디(5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인바디(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히터(3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메인바디(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컨테이너(10)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52')는 컨테이너(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자(53')는 메인바디(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자(53')는 제어부(51') 및 배터리(5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부하우징(60)은 컨테이너(10, 1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외벽(11, 110)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메인바디(50)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메인바디(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과 컨테이너(10, 100)는 메인바디(50)의 상측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10, 100)는 교체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 100)는 메인바디(50)의 상단면과 상부하우징(60)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내부에 수용공간(63)을 제공할 수 있다. 센서(62)는 상부하우징(60)의 수용공간(63)에 배치될 수 있다. 각종 구성요소들은 상부하우징(60)의 수용공간(63)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외벽(11, 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외벽(11, 110)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는 컨테이너(100)의 내부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51)는 센서(62)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틱에 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외벽(11, 110)과 내벽(12)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11, 110)과 내벽(12)은 빛에 대하여 반사율과 굴절율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11, 110)과 내벽(12)은 광센서용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11, 110)과 내벽(12)은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테플론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11, 110)과 내벽(12)를 구성하는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70)는 메인바디(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70)는 컨테이너(10, 100)와 상부하우징(60)의 외측에 배치되어, 컨테이너(10, 100)와 상부하우징(60)을 둘러쌀 수 있다. 커버(70)의 외면은, 메인바디(50)의 외면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커버(70)의 외면은, 메인바디(50)의 외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70)의 외면은, 메인바디(50)의 외면을 연장한 가상의 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70)는 메인바디(50)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10, 100)는 커버(70)를 탈거한 상태에서 교체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z축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장치의 전후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원점을 기준으로 +z를 향하는 방향은 전측방향, -z를 향하는 방향은 후측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상하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우측면이 상하방향으로 평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외벽(110)을 구비할 수 있다. 외벽(110)은 내벽(12)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외벽(110)은 컨테이너(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면(111)은 외벽(110)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111)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면(112)은 외벽(110)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면(112)은 제1 면(111)에 대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면(111)과 제2 면(11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면(112)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면(111)은 라운드진 형상이 아닐 수 있다. 제1 면(111)은 평평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1)은 상하방향 및/또는 전후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제1 면(111)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제1 면(111)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하우징(60)은 컨테이너(100)와 접촉될 수 있다.
제3 면(611)은 상부하우징(60)의 좌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면(611)은 제1 면(111)에 인접하며, 제1 면(111)을 마주할 수 있다. 제3 면(611)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면(611)은 제1 면(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면(111)과 접촉될 수 있다. 제3 면(611)은 상하방향 및/또는 좌우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1)과 제3 면(611)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면(612)은 상부하우징(60)의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면(612)은 제3 면(611)에 대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4 면(612)은 제3 면(611)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4 면(612)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센서(62)는 상부하우징(60)의 내부에서 상부하우징(60)의 제3 면(6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62)의 일부는 상부하우징(60)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3 면(611)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센서(62)는 제1 면(111)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장치를 잡기 용이하면서, 챔버(101, 도 11 참조)의 부피를 증대시켜 액상의 저장량을 늘릴 수 있는 동시에, 센서(62)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진동모터(54)는 전원의 온/오프, 히터(32)의 작동여부, 스틱에 대한 상태, 액상에 대한 상태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진동모터(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구성들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진동모터(54)가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도록 진동모터(54)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57)에 전원의 온/오프, 히터(32)의 작동, 등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입력부(57)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입력부(57)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아,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는 전원의 온/오프, 히터(32)의 작동여부, 스틱에 대한 상태, 액상에 대한 상태 등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디스플레이부(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구성들로부터 전달받은 각종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55)가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56)는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모리(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56)는 제어부(51)로부터 각종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51)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모리(56)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62, 도 11 참조)는 적외선센서(62)일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0)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발광부(621)와 수광부(622)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부(621)는 컨테이너(100)의 내측을 향하여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621)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은 외벽(110), 챔버(101) 및 내벽(12)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스틱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적외선은 다시 내벽(12), 챔버(101) 및 외벽(1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광부(622)에 도달할 수 있다. 수광부(622)는 물체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챔버(101) 내에 액상이 저장된 경우, 적외선은 액상을 투과할 수 있다. 액상은 적외선에 대하여 소정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적외선이 액상을 투과하는 경우, 수광부(622)에 도달하는 적외선의 양은, 적외선이 액상을 투과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적을 수 있다.
수광부(622)가 감지한 감지값은, 수광부(622)가 감지한 적외선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부(622)로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많을수록 감지값이 크고, 수광부(622)로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적을수록 감지값이 작을 수 있다.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은 물체의 반사율과 굴절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51)는 적외선센서(62)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적외선센서(62)로부터 감지값과 관련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51)는 적외선센서(62)가 감지한 감지값에 기초하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적외선센서(62)가 감지한 감지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기준값과 감지값은 전류값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발광부(621)는 물체(623)를 향해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적외선은 물체(623)로부터 반사되어 수광부(622)로 유입될 수 있다.
수광부(622)는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흐르는 전류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수광부(622)는 포토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일 수 있다. 수광부(622)는 컬렉터(Collector)(622a)와 에미터(Emitter)(622b)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622)는 감지값을 전류의 크기로 치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광부(622)에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많을수록 수광부(622)의 컬렉터(622a) 전류가 증가하고, 수광부(622)에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적을수록 수광부(622)의 컬렉터(622a)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감지값에 따른 전류의 양에 기초하여, 스틱에 대한 상태 및 액상에 대한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감지값에 따른 전류의 크기를 기준이 되는 전류의 크기와 비교하여, 스틱에 대한 상태 및 액상에 대한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6를 참조하면, 플러그(41)는 스틱(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과립부(42)는 플러그(41)와 필터부(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41)의 내부에는 필터(411)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411)는 종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411)는 긴 길이를 가지는 종이를 주름지게 뭉쳐져 형성될 수 있다. 필터(411)가 주름을 형성함에 따라, 주름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유동하면, 에어로졸의 일부는 필터(411)를 적시며 과립부(42)로 유입되고, 에어로졸의 나머지 일부는 필터(411)가 형성하는 주름 사이의 틈을 통과하며 과립부(4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유동하면, 에어로졸은 필터(411)를 적셔 스틱(40')의 표면 부분을 적실 수 있다.
과립부(42)의 내부에는 매질이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에어로졸을 통해 매질로부터 매질로부터 일정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과립부(42)는 플러그(4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43)는 과립부(4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43)의 내부에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중공부(44)는 필터부(4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중공부(44)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우스피스(45)는 스틱(4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45)는 중공부(4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45) 내부에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플러그(41), 과립부(42), 필터부(43), 중공부(44) 및 마우스피스(45)는 겉면지로 둘러싸일 수 있다. 겉면지는 종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겉면지는 흰색일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스틱(40')이 삽입공간(102, 도 2 참조)에 삽입되면, 플러그(41)는 삽입공간(10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과립부(42)는 삽입공간(1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이 삽입되면, 필터부(43)의 적어도 일부분은 삽입공간(102) 배에 배치될 수 있다.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중공부(44)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마우스피스(45)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삽입공간(102)은,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완전히 삽입되면, 필터부(43)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공간(102)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삽입공간(102)의 높이(H)는, 플러그(41)의 하단으로부터 과립부(42)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더 클 수 있다. 삽입공간(102)의 높이(H)는, 플러그(41)의 하단으로부터 필터부(43)의 상단까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플러그(41)의 상하방향 길이(L1)는 7mm 내외일 수 있다. 과립부(42)의 상하방향 길이(L2)는 10mm 내외일 수 있다. 필터부(43)의 상하방향 길이(L3) 7mm 내외일 수 있다. 중공부(44)의 상하방향 길이(L4)는 12mm 내외일 수 있다. 마우스피스(45)의 상하방향 길이(L5)는 12mm 내외일 수 있다.
삽입공간(102)의 높이(H)는 17mm 이상일 수 있다. 삽입공간(102)의 높이(H)는 24mm 이하일 수 있다. 삽입공간(102)의 높이(H)는, 22mm 일 수 있다.
스틱(40')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삽입공간(10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의 길이는, 삽입공간(102)의 높이(H)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플러그(41)와 과립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필터부(43)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중공부(44)와 마우스피스(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필터부(43)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6)는 스틱(40')의 겉면지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46)는 겉면지의 일부분에 인쇄되거나, 겉면지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인쇄될 수 있다.
표시부(46)는,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는 스틱(40')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부(46)는, 스틱(40')의 제1 영역(A1)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46)는, 제1 영역(A1) 내에서, 플러그(41), 과립부(42) 및 필터부(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따.
표시부(46)는 스틱(40')의 겉면지와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46)와 겉면지는, 적외선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사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겉면지는 흰색이고, 표시부(46)는 파란색일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었을 때, 표시부(46)가 위치하는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6)는 스틱(40’)의 겉면지의 일부 영역일 수 있다. 또는, 표시부(46)는 컬러센서(62)의 발광부가 방출하는 광이 입사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6)는 스틱(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띠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틱(40’)을 삽입공간(102)에 어느 방향으로 삽입하더라도, 컬러센서(62)가 표시부(46)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 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 100)의 외벽(11, 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외벽(11, 110)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외벽(11, 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삽입공간(102, 도 2참조)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 100)의 내부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표시부(46)의 높이와 인접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 100)의 외측에서, 챔버(101)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 100)의 외측에서, 삽입공간(102)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 100)의 외측에서, 돌출면(17)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적외선센서(62)는 컨테이너(10, 100)의 내측을 향하여 적외선을 발광하는 발광부(62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621)는 삽입공간(102)을 향하여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621)는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스틱(40, 40')을 향하여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621)는 스틱(40')의 표시부(46)를 향해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발광부(621)로부터 발광된 적외선은, 물체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적외선은 스틱(40, 40')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적외선은 스틱(40')의 표시부(46)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수광부(622)는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다.
외벽(11, 110) 및 내벽(12)은 적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외벽(11, 110)과 내벽(12)은 적외선에 대하여 반사율과 굴절율이 낮고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부(621)에서 발광된 적외선은, 외벽(11, 110), 챔버(101) 및 내벽(12)를 순차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투과된 적외선은 스틱(40, 40')으로부터 반사되어 내벽(12), 챔버(101) 및 외벽(11, 110)을 순차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반사된 적외선은 수광부(622)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은 물체의 반사율 및 굴절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광부(622)는 반사된 적외선의 양에 따라 적외선 양에 대응되는 특정한 감지값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경우, 반사되는 적외선 양이 적거나 거의 없을 수 있다.
표시부(46)가 표시되지 않은 스틱(40)은 제1 스틱(40)이라 지칭할 수 있다. 표시부(46)가 표시된 스틱(40')은 제2 스틱(40')이라 지칭할 수 있다.
도 19(b) 및 도 19(c)와 같이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어 있을 경우, 적외선센서(62)에서 방출된 적외선은 스틱(40, 40')으로부터 반사되어 다시 적외선센서(62)에 유입될 수 있다. 제2 스틱(40')(도 19(c))의 표시부(46)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의 양은, 제1 스틱(40)(도 19(b))으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보다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센서(62)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스틱(40, 40')의 삽입 여부 및 스틱(40, 40')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0를 참조하면, 에어로졸이 제2 스틱(40')에 유입되면, 표시부(46)는, 에어로졸에 의해 젖어 색상이 변화될 수 있다. 유입된 에어로졸의 양이 많을수록 표시부(46)의 색상은 더 진해질 수 있다. 표시부(46)의 적외선에 대한 반사율은 표시부(46)의 색상이 변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사용되지 않은 제2 스틱(40')의 경우(도 20(a)), 표시부(46a)의 색상은 변화하지 않으며, 반사율이 가장 높을 수 있다. 에어로졸이 유입된 제2 스틱(40')의 경우(도 20(b)), 표시부(46b)의 색상은 도 20(a)의 경우보다 더 진하고, 반사율이 낮을 수 있다. 도 20(b)보다 에어로졸이 더 많이 유입된 제2 스틱(40')의 경우(도 20(c)), 표시부(46c)의 색상은 도 20(b)의 경우보다 더 진하고, 반사율이 더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외선센서(62)가 감지하는 감지값은, 스틱(40')의 사용량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적외선센서(62)는 온(On) 되면(S10), 적외선센서(62)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62)가 온(On) 되면(S10), 제어부(51)는 적외선센서(62)가 감지한 감지값(X)을 수신할 수 있다. 감지값(X)은 적외선센서(62)로 유입된 적외선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51)는 적외선센서(62)가 감지한 감지값(X)과 스틱기준값(RS1, RS2, RS3, ... RSn, n=1, 2, 3, ..., 이하, RSn)을 비교할 수 있다(S20). 메모리(56)는 스틱기준값(RSn)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메모리(56)로부터 스틱기준값(RSn)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감지값(X)과 스틱기준값(RSn)을 비교하여(S20),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0). 제어부(51)는 감지값(X)과 스틱기준값(RSn)을 비교하여, 감지값(X)이 어느 범위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S30에서 판단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51)와 연결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S30에서 판단한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55)가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5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S30)한 이후, 적외선센서(62)가 오프(Off)된 경우(S40에서 Yes),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한 이후, 적외선센서(62)가 오프(Off)되지 않은 경우(S40에서 No), 다시 스틱기준값(RSn)과 감지값(X)을 비교하여(S20),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30).
도 22를 참조하면, 적외선센서(62)가 온(On) 되어 적외선센서(62)가 적외선을 감지하면(S10), 제어부(51)는 감지값(X)과 스틱기준값(RSn)을 비교할 수 있다(S20). 제어부(51)는 감지값(X)과 스틱기준값(RSn)을 비교하여, 스틱의 삽입 여부, 삽입된 스틱의 종류, 스틱의 사용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이면, 감지값(X)은 제1 스틱기준값(RS1)을 초과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감지값(X)이 제1 스틱기준값(RS1)을 초과하면(S21에서 Yes),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면, 감지값(X)은 제1 스틱기준값(RS1) 이하일 수 있다. 제어부(51)는 감지값(X)이 제1 스틱기준값(RS1) 이하이면(S21에서 no),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미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S312).
제1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감지값(X)은 제2 스틱기준값(RS2)을 초과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감지값(X)이 제2 스틱기준값(RS2)을 초과하면(S22에서 Yes), 제1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S321).
제2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감지값(X)은 제2 스틱기준값(RS2) 이하일 수 있다. 즉, 제2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감지값(X)은, 제1 스틱기준값(RS1)을 초과하고, 제2 스틱기준값(RS2) 이하인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제2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될 때의 감지값(X)은, 제2 스틱(40')의 표시부(46)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에 대한 감지값(X)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감지값(X)이 제2 스틱기준값(RS2) 이하이면(S22에서 No), 제2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S322).
46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은, 감지값(X)이 스틱기준값(RSn) 범위 중 어느 범위에 있는지 판단하면 되고, 위 과정들이 순차적으로 일어날 필요는 없다.
제1 스틱기준값(RS1)은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경우와 삽입되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삽입된 경우보다, 적외선센서(62)로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더 적을 수 있다. 제1 스틱기준값(RS1)은, 스틱(40, 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었을 때의 감지값(X)과, 삽입되지 않았을 때의 감지값(X)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스틱기준값(RS2)은 제1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경우와 제2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경우를 구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었을 경우, 제1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었을 경우보다, 적외선센서(62)로 반사되는 적외선의 양이 더 적을 수 있다. 제2 스틱기준값(RS2)은, 제1 스틱(40)이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었을 때의 감지값(X)과, 제2 스틱(40')이 삽입되었을 때의 감지값(X) 사이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46제어부(51)는,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한 후, 적외선센서(62)가 오프된 상태이면(S40에서 Yes),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51)는,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한 후, 적외선센서(62)가 오프된 상태가 아니면(S40에서 No), 다시 스틱기준값(RSn)과 감지값(X)을 비교하여,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적외선이 챔버(101) 내의 액상을 투과하는 경우 적외선센서(62)로 유입되는 적외선의 양과, 적외선이 챔버(101) 내의 액상을 투과하지 않는 경우 적외선센서(62)로 유입되는 적외선의 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적외선이 챔버(101) 내의 액상을 투과하면, 액상의 굴절률으로 인하여 적외선센서(62)로 유입되는 적외선의 양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스틱기준값(RSn)은, 액상의 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감지값(X)을 수용하기 위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길게 연장되며, 삽입공간(102)을 정의하는 내벽(12)을 구비하고, 외벽(11, 110)과 상기 내벽(12) 사이에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101)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 100); 상기 컨테이너(10, 100)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삽입공간(102)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챔버(101)의 내부와 연결되는 심지(31); 상기 심지(31)에 열을 가하는 히터(32); 상기 삽입공간(102)과 상기 심지(31)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부(20); 및 상기 컨테이너(10, 100)의 외측에서 상기 컨테이너(10, 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는 적외선센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장치는, 상기 센서(62)가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센서(62)는, 적외선센서(62)로써, 상기 컨테이너(10, 100) 내측을 향하여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621); 및 물체로부터 반시된 상기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외선센서(62)가 감지한 감지값(X)과 스틱기준값(RSn)을 비교하여, 상기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감지값(X)이 제1 스틱기준값(RS1)을 초과하면, 상기 스틱(40, 40')이 상기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값(X)이 제1 스틱기준값(RS1) 이하이면, 상기 스틱(40, 40')이 상기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틱(40, 40')의 종류는, 제1 스틱(40); 및 상기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틱(40')과 다른 반사율을 가지는 표시부(46)가 인쇄된 제2 스틱(40')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51)는, 상기 감지값(X)이 상기 제1 스틱기준값(RS1)을 초과하되, 제2 스틱기준값(RS2)을 초과하면, 제1 스틱(40)이 상기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값(X)이 상기 제1 스틱기준값(RS1)을 초과하되, 상기 제2 스틱기준값(RS2) 이하이면, 상기 제2 스틱(40')이 상기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적외선센서(62)는, 상기 제2 스틱(40')이 상기 삽입공간(10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표시부(46)가 배치되는 높이와 인접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10, 100)의 외벽(11, 110)과 내벽(12)은, 적외선이 투과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테이너(10, 100)의 외벽(11, 110)은, 상기 적외선센서(62)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 제1 면(111); 및 상기 제1 면(111)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면(111)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2 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면(111)에 인접하며, 수용공간(63)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면(111)을 마주하는 제3 면(611)을 구비하는 상부하우징(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센서(62)는, 상기 상부하우징(6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면(111)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면(111)과 상기 제3 면(611)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하우징(60)은, 상기 제3 면(611)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3 면(611)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4 면(6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면(112)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4 면(612)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2)

  1. 길게 연장되며, 스틱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정의하는 내벽을 구비하고,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에 액상이 저장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일단에 인접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와 연결되는 심지;
    상기 심지에 열을 가하는 히터;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심지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부; 및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에서 상기 컨테이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의 외벽과 내벽은 적외선이 투과되는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센서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스틱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외벽은,
    상기 적외선센서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면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인접하며,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제1 면을 마주하는 제3 면을 구비하는 상부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센서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제3 면에 대향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3 면과 다른 형상을 가지는 제4 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면은,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에어로졸 생성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센서가 감지한 감지값과 스틱기준값을 비교하여, 스틱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값이 제1 스틱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스틱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값이 상기 제1 스틱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스틱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의 종류는,
    제1 스틱; 및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스틱과 다른 반사율을 가지는 표시부가 인쇄된 제2 스틱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값이 상기 제1 스틱기준값을 초과하되, 제2 스틱기준값을 초과하면, 제1 스틱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감지값이 상기 제1 스틱기준값을 초과하되, 상기 제2 스틱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라고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센서는,
    상기 제2 스틱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표시부가 배치되는 높이와 인접한 높이로 배치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12. 삭제
KR1020210009173A 2021-01-22 2021-01-22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8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73A KR102586970B1 (ko) 2021-01-22 2021-01-22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2280006181.1A CN116056598A (zh) 2021-01-22 2022-01-10 气溶胶生成装置
PCT/KR2022/000368 WO2022158772A1 (en) 2021-01-22 2022-01-10 Aerosol-generating device
US18/013,204 US20230276846A1 (en) 2021-01-22 2022-01-10 Aerosol-generating device
JP2023516271A JP2023541163A (ja) 2021-01-22 2022-01-10 エアロゾル生成装置
EP22742748.1A EP4280901A1 (en) 2021-01-22 2022-01-10 Aerosol-generating device
CA3185268A CA3185268A1 (en) 2021-01-22 2022-01-10 Aerosol-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73A KR102586970B1 (ko) 2021-01-22 2021-01-22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43A KR20220106343A (ko) 2022-07-29
KR102586970B1 true KR102586970B1 (ko) 2023-10-06

Family

ID=8254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73A KR102586970B1 (ko) 2021-01-22 2021-01-22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76846A1 (ko)
EP (1) EP4280901A1 (ko)
JP (1) JP2023541163A (ko)
KR (1) KR102586970B1 (ko)
CN (1) CN116056598A (ko)
CA (1) CA3185268A1 (ko)
WO (1) WO202215877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7284A1 (en) 2019-05-06 2020-11-12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sensor, method for identifying a user of a vaporizer device, and system for biometric recognition of a vaporiz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19334A1 (en) * 2009-10-27 2011-05-11 Philip Morris Products S.A. A smoking system having a liquid storage portion
US10117460B2 (en) * 2012-10-08 2018-11-06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US10092036B2 (en) * 2015-12-28 2018-10-09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housing and a coupler
GB201700136D0 (en) * 2017-01-05 2017-02-22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rticle
KR102138246B1 (ko) * 2017-10-30 2020-07-2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증기화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16498B1 (ko) * 2019-06-26 2021-10-2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7284A1 (en) 2019-05-06 2020-11-12 Juul Labs, Inc. Vaporizer device with sensor, method for identifying a user of a vaporizer device, and system for biometric recognition of a vaporiz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76846A1 (en) 2023-09-07
EP4280901A1 (en) 2023-11-29
CN116056598A (zh) 2023-05-02
WO2022158772A1 (en) 2022-07-28
KR20220106343A (ko) 2022-07-29
CA3185268A1 (en) 2022-07-28
JP2023541163A (ja)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2953B1 (en) Vapour provision device
US20240000134A1 (en) Heater control circuitry for vaporizer device
JP6996697B2 (ja) 蒸気供給デバイス
JP7223127B2 (ja) 吸引装置、吸引体験提供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116960A (ko) 전자 전달 시스템용 카트리지
KR10258697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5702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62326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8115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варианты)
CN111650133A (zh) 电子雾化设备待雾化溶液中有害物质的检测与控制方法及其电子雾化设备
KR10260715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RU28084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RU280840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10254582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7382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WO2024013928A1 (ja)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4518726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20230055913A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CN117136017A (zh) 气溶胶生成装置
KR20230143541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